KR20120087863A - 기능성 강화마루 바닥재 - Google Patents

기능성 강화마루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7863A
KR20120087863A KR1020120027052A KR20120027052A KR20120087863A KR 20120087863 A KR20120087863 A KR 20120087863A KR 1020120027052 A KR1020120027052 A KR 1020120027052A KR 20120027052 A KR20120027052 A KR 20120027052A KR 20120087863 A KR20120087863 A KR 20120087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board
floor
flooring
grooves
reinfor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봉식
Original Assignee
한봉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봉식 filed Critical 한봉식
Priority to KR1020120027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7863A/ko
Publication of KR20120087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78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강화마루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강화마루를 이루는 마루판재의 저면에 일정 간격마다 요홈을 형성하고 코팅 처리 후 그 하부면에 저면이 엠보싱 형태로 압축 가공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를 접착하되 상기 마루판재의 홈 방향으로 돌출되게 접착하여 구성함으로써 겨울철 난방 시 열전도성을 현저히 향상시킴과 아울러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충간소음을 더욱 감쇄시키도록 하는 기능성 강화마루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능성 강화마루 바닥재 {Functional laminate floor material}
본 발명은 기능성 강화마루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강화마루를 이루는 마루판재의 저면에 일정 간격마다 요홈을 형성하고 코팅 처리 후 그 하부면에 저면이 엠보싱 형태로 압축 가공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를 접착하여 구성함으로써 겨울철 난방 시 열전도성을 현저히 향상시킴과 아울러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충간소음을 더욱 감쇄시키도록 하는 기능성 강화마루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재로 사용되는 마루는 강화마루, 원목마루, 합판마루로 크게 분류되는데, 이 중에서 강화마루는 미세하게 분쇄된 목재를 방수수지와 혼합하여 고온고압으로 압축한 HDF(High density fiberboard) 표면에 원목무늬를 인쇄한 종이를 부착 후 다시 멜라민 수지를 라미네이팅 코팅하여 만든 것으로서, 이러한 강화마루는 다양한 색상 및 디자인의 연출이 가능하고 외부충격에 강해 표면의 손상이 거의 없으며, 가격이 비교적 저렴한 편이고 시공이 간편할 뿐 아니라 시공 시 유독성 접착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등의 장점으로 인해 그 성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강화마루의 구성 및 시공순서를 살펴보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시멘트 바닥면(100)이 평평해지도록 요철을 정리하고 그 위에 시멘트 바닥면으로부터 지속적으로 방출되는 습기와 유독성 물질을 차단하기 위해 폴리에텔렌 비닐지(200)를 깔아 마루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막아주며, 상기 비닐지 상부에는 충격흡수를 위해 PE폼(300: 발포쿠션제)을 깔고 다시 그 상부에 클릭방식(click system)으로 마루판재(400)를 조립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종래의 강화마루는 표면강도가 높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반면, 마루판재 하부에 배치되는 PE폼 즉, 비닐폼의 성질에 의해 시멘트 바닥면의 난방열이 차단됨에 따라 열효율을 대략 30% 정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마루판재 자체가 딱딱한 재질로 되어 있어 시공하는 과정에서 바닥면과 마루판재 사이에 약간의 틈이라도 생길 경우 작은 충격음에도 소리가 울린다는 단점이 있었다.
더욱이 강화마루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시멘트 바닥면을 기계미장으로 마감 시 바닥면이 완전한 평활도를 이루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대략 1~2㎜의 미세한 요철이 남게 되며, 리모델링의 경우 접착제 흔적 등에 의해 요철의 정도가 더욱 심한 편인데, 이로 인해 시멘트 바닥면 상면과 비닐폼 사이에 공기층(A)이 형성됨에 따라 마루판재의 상부면에 약간의 충격이 가해져도 울림(진동)현상이 발생되어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경우 층간소음의 주된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출원인은 열전도성을 향상시키고 아파트와 같은 집합건물의 층간소음을 감쇄시키도록 하는 기능성 강화마루 바닥재 및 그 시공방법에 대하여 등록번호 제10-1000679호로 등록을 받은바,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능성 강화마루 바닥재의 열전도성 및 층간소음 감쇄 효과를 더욱 지속시키기 위하여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표면강도가 높은 강화마루 고유의 특성을 살리면서 기존의 강화마루의 단점을 개선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마루판재 자체 및 공기층에 의한 울림현상을 제거하여 층간소음을 더욱 감쇄시키도록 하는 기능성 강화마루 바닥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방 측면에 홈과 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저면에 일정 간격마다 요홈이 형성된 마루판재 및 상기 마루판재의 하부면에 접착되되 상기 마루판재의 홈 방향으로 돌출되게 접착되고 저면이 격자무늬 엠보싱으로 압축 가공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이를 시멘트 바닥면에 깔린 비닐지 위에 적층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마루판재의 요홈 부위에 멜라민 수지를 코팅 처리하여 습기를 차단하도록 하고, 아울러 상기 요홈의 깊이는 마루판재 두께 기준으로 30~35%가 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능성 강화마루 바닥재에 따르면, 강화마루의 구조를 개선하여 전체적인 열전도 효율을 30~40% 이상 향상시킴으로써 온돌문화를 가진 우리나라의 주거방식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또한 흡음력을 대략 45% 이상 향상시켜 아파트나 빌라, 오피스텔, 다세대 주택 등과 같은 공동주택의 층간소음문제를 해결함에 따라 주거공간의 유해성을 차단시켜 쾌적한 생활공간을 조성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마루 바닥재 중 마루판재를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를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강화마루 바닥재가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강화마루 바닥재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마루판재 하부면에 폴리에스테르 부직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바닥재와 바닥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
도7은 종래의 강화마루 바닥재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강화마루 바닥재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강화마루 바닥재(F)는 사방 측면에 홈(11)과 돌기(12)가 각각 형성되고 저면에 일정 간격마다 요홈(13)이 형성된 마루판재(10) 및 상기 마루판재의 하부면에 접착되되 상기 마루판재의 홈 방향으로 돌출되게 접착되고 저면이 격자무늬 엠보싱으로 압축 가공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20)로 이루어지고, 이를 시멘트 바닥면(40)에 깔린 비닐지(30) 위에 적층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마루판재(10)는 공지의 것과 마찬가지로 표면에 다양한 색상 및 무늬를 형성할 수 있고, 마루판재(10)의 사방 측면에는 홈(groove : 11)과 돌기(tongue : 12)가 각각 형성되어 서로 접하는 마루판재와 마루판재 사이를 클릭결합에 의해 종, 횡방향으로 연속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마루판재(1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저면에 다수의 요홈(13)이 형성되어 흡음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즉, 마루판재에 가해지는 경량 충격음에 의한 소음이 상기 요홈의 내부로 흡수되면서 소음이 저감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요홈(13)의 깊이는 시공 시 부러짐에 의한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흡음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마루판재의 두께를 기준으로 30~35% 정도에 이르도록 형성하되, 이를 일정 간격마다 다수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루판재의 요홈(13) 부위에는 멜라민 수지로 코팅 처리하여 습기를 방지하도록 한다.
마루판재(10)의 하부면에는 폴리에스테르 부직포(20)가 접착 결합되는데,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는 가볍고 잘 찢어지지 않으며 미세한 섬유조직이 조밀하게 제직되어 통기성, 열전도성 및 보온성이 우수하고, 내압성 및 원상복원력이 좋은 것으로서 종래에는 주로 정수기용 필터에만 이용되어 왔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부직포(2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저면을 격자무늬 엠보싱으로 압축 가공한 후 수성접착제를 이용하여 마루판재 하부면에 전사열을 가해 접착하며, 아울러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를 15㎜ 간격으로 격자무늬 엠보싱 가공 시 오목한 부위(21)는 1~2㎜ 두께, 볼록한 부위(22)는 3~4㎜ 두께로 가공하여 시멘트 바닥면의 요철 편차를 2㎜까지 커버하여 마루판재(10)가 시멘트 바닥면에 밀착되어 공기층을 제거함으로써 바닥면의 울림작용으로 인한 소음을 차단함과 아울러 흡음성은 극대화하고 시멘트 바닥의 먼지를 여과하는 효과를 겸하게 된다.
도3 및 도4는 요홈을 가진 마루판재(10) 하부에 엠보싱 가공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20)가 일체되게 결합된 상태로 후술하는 시멘트 바닥면에 깔린 비닐지(30) 위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며, 도면에서는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엠보싱 부위가 비닐지 위에 일정 부분만 눌린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 시공 시에는 폴리에스테르 부직포(20)의 볼록한 쿠션 부위가 시멘트 바닥면(40)에 형성된 높이가 각기 다른 요철 부위에 차별적으로 대응하면서 밀접하게 눌림에 따라 공기층이 제거되어 울림현상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부직포(20)를 마루판재(10)의 하부면에 접착 결합 시에는 마루판재와 동일한 크기로 절단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를 마루판재의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위치시킨 후 결합한다.
이는 강화마루를 시공 시 마루판재와 마루판재 사이의 틈을 통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며, 이때 도6에 도시되듯이 하나의 마루판재의 홈(11)에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마루판재의 돌기(12)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가 마루판재와 마루판재 사이에 끼지 않고 마루판재 하부에 자연스럽게 위치하도록 마루판재의 홈(11)이 형성된 방향으로 각각 폴리에스테르 부직포가 돌출되게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5 및 도6에서와 같이, 도면을 기준으로 마루판재의 전방 및 좌측에 돌기(12)가 형성되고 후방 및 우측에 홈(11)이 형성됨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는 마루판재보다 우측 및 후방으로 각각 돌출되게 위치시킨 후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부직포(20)는 참숯이나 황토를 미세분말로 가공한 것을 함침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에 따라 탈취와 항균기능을 가짐과 아울러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발생효과를 함께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비닐지(30)는 공지의 것과 마찬가지로 마루판재를 시공하기 전에 시멘트 바닥면에 깔아 습기를 차단하는 것으로서 폴리에텔렌비닐 등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기능성 강화마루 바닥재를 사용하는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파트나 오피스텔과 같은 공동주택이나 일반 개인주택 등 실내공간의 바닥공사를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화마루 바닥재(F)를 설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루판재(10)는 8㎜ 두께이고 그 저면에 직경 5㎜, 깊이 2.5㎜의 요홈(13)이 30㎜ 간격마다 다수 형성된 것을 사용한다.
우선, 저면이 격자무늬 엠보싱으로 압축 가공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20)를 마루판재(10)의 크기와 동일하게 절단한 후 각각의 마루판재의 하부면에 접착하되, 마루판재의 사방 측면 중 홈(11)이 형성된 방향으로 각각 2㎝씩 돌출되도록 접착 결합한다(도6 참조).
이어서, 그라인더를 이용하여 시멘트 바닥면(40)을 평평하게 정리하고, 바닥면 가장자리에는 마감재(미도시)를 접착하여 고정시킨 후 시멘트 바닥면으로부터 올라오는 습기와 유독성 물질을 차단하도록 바닥면에 폴리에텔렌 비닐지(30)를 넓게 깔아준다.
다음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 부직포(20)가 결합된 마루판재(10)를 바닥면 한쪽 끝에서부터 하나씩 깔아주되, 이미 바닥면에 깔린 마루판재(10)와 그 옆에 새로이 깔아줄 마루판재에 각각 형성된 홈(11)과 돌기(12) 부분이 서로 대향되도록 한 상태에서를 대략 30~40도 각도로 경사지게 밀착시킨 후 양자 간의 홈과 돌기가 서로 끼워지도록 마루판재를 상하 방향으로 조금씩 움직여준 후 바닥에 내려놓고 고무망치 등으로 쳐서 견고히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마루판재(10) 하부면에 가로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접착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20)에 의해 마루판재와 마루판재 사이의 틈이 가려지면서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되고, 이후 실내 바닥면에 마루판재(10)를 모두 깔고 난 후에는 마루와 벽 사이에 걸레받이(미도시)를 설치하여 마무리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화마루 바닥재(F)를 설치 후 난방을 하게 되면 시멘트 바닥면으로부터 열전도가 잘 이루어지고 난방열이 오래 유지될 뿐 아니라 흡음효과가 뛰어나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발생이 현저히 저하됨에 따라 바닥재(F) 위에 물체가 떨어지거나 또는 어린아이들이 뛰어도 아래층에 울림현상과 같은 피해를 주는 일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마루판재에 가해지는 소음이 마루판재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요홈(13)의 내부로 흡수되면서 소음이 더욱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엠보싱 가공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특성으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눌림에 의한 변형이 거의 없고 지속적인 탄성이 유지되어 편리하다.
10 : 마루판재 11 : 홈
12 : 돌기 13 : 요홈
20 :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21 : 엠보싱 오목 부위
22 : 엠보싱 볼록 부위 30 : 비닐지
40 : 시멘트 바닥면 F : 강화마루 바닥재

Claims (3)

  1. 사방 측면에 홈과 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저면에 일정 간격마다 요홈이 형성된 마루판재; 및 상기 마루판재의 하부면에 접착되되 상기 마루판재의 홈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접착되고 저면이 격자무늬 엠보싱으로 압축 가공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이를 시멘트 바닥면에 깔린 비닐지 위에 적층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강화마루 바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판재의 요홈에 멜라민 수지를 코팅 처리하여 습기를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강화마루 바닥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의 깊이는 마루판재 두께 기준으로 30~35%가 되도록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강화마루 바닥재.
KR1020120027052A 2012-03-16 2012-03-16 기능성 강화마루 바닥재 KR201200878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052A KR20120087863A (ko) 2012-03-16 2012-03-16 기능성 강화마루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052A KR20120087863A (ko) 2012-03-16 2012-03-16 기능성 강화마루 바닥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857 Division 2011-0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863A true KR20120087863A (ko) 2012-08-07

Family

ID=46873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052A KR20120087863A (ko) 2012-03-16 2012-03-16 기능성 강화마루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786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4485B2 (en) Cork floor with click connection
US6213252B1 (en) Sound absorbing substrate
CA2593392C (en) Panel comprising a decorative layer
TWI630094B (zh) 多層面板
KR102116007B1 (ko) 층간소음 발생을 저감한 차음 복합마루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636257B1 (ko) 석고-패널 차음성 모놀리식 천정
US11149441B2 (en) Panel and method of producing a panel
EP2948303B1 (en) Laminated cork-based panel without wood layers, the panel comprising a cork-based coupling member
KR101000679B1 (ko) 기능성 강화마루 바닥재 및 그 시공방법
KR101444639B1 (ko) 조립식 난방용 패널
KR100475210B1 (ko) 방음성 바닥재
KR20120087863A (ko) 기능성 강화마루 바닥재
CN213234126U (zh) 一种新型楼层复合隔声板
KR20110062368A (ko) 석재 마루바닥재
CN2926376Y (zh) 超静音木地板
KR200476687Y1 (ko) 플로킹막이 구비된 바닥재
CN207686212U (zh) 一种隔音地板
CN209987089U (zh) 一种lvt饰面的中密度纤维板
KR20190003276U (ko) 강화 마루 바닥재 및 층간 소음 방지재
KR20080083756A (ko) 공동주택의 층간 완전건식구조
KR100967051B1 (ko) 조립식 마루판
KR200315770Y1 (ko) 건물의 바닥충격 방음판넬
WO2012140682A1 (en) Composite structure tile with wooden portion for coverings, in particular for floorings,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tile
KR102321452B1 (ko) 고내마모성과 무변형 및 기능성을 갖는 실내용 바닥재
JP6531192B1 (ja) 界床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