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6014A -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6014A
KR20120086014A KR1020110007195A KR20110007195A KR20120086014A KR 20120086014 A KR20120086014 A KR 20120086014A KR 1020110007195 A KR1020110007195 A KR 1020110007195A KR 20110007195 A KR20110007195 A KR 20110007195A KR 20120086014 A KR20120086014 A KR 20120086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bottom plate
auxiliary material
terminal case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7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준
Original Assignee
김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준 filed Critical 김영준
Priority to KR1020110007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6014A/ko
Publication of KR20120086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60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PDA, 태블릿PC 등의 개인 휴대기기의 외면 일부를 스킨 형태로 감싸 보호하는 것으로서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지면서도 늘어짐 없이 휴대용 단말기의 외형과 일치하는 형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을 덮는 연질 소재의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을 덮는 상기 연질 소재의 테두리단; 및 상기 바닥판 보다 연신율이 작고 상기 바닥판 내에 삽입된 보조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지면서도 늘어짐 없이 휴대용 단말기의 외형과 일치하는 형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카메라렌즈공은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렌즈와 일치하는 위치를 항시 유지하여 카메라렌즈가 케이스의 일부로 가려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바닥면의 내부에 삽입되는 보조재를 통해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HANDY TERMINAL CAS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휴대폰, PDA, 태블릿PC 등의 개인 휴대기기의 외면 일부를 스킨 형태로 감싸 보호하는 것으로서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지면서도 늘어짐 없이 휴대용 단말기의 외형과 일치하는 형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Handy Terminal)란 사용자가 휴대하며 이동 중에 손에 들고 입력 조작할 수 있는 중, 소형의 전기전자 단말장치로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여러 가지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으로 최근에는 모바일폰(Mobilephone), 스마트폰(Smart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PC((Tablet Personal Computer) 등 여러 종류의 다양한 장치가 소개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휴대용 단말기의 외면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거나 개인 취향에 따라 꾸미기 위해 다양한 보호케이스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보호케이스는 직물, 천연, 인조 가죽 등에서부터 경질, 연질의 합성수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지는데,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폭발적인 사용과 더불어 이에 적합한 연질의 스킨형 케이스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연질의 스킨형 케이스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과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실리콘과 같은 연질의 소재를 주형에 넣고 압축 성형한 것으로 테두리단(11)과 바닥판(12)을 포함하고 테두리단(11)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각종 버튼 및 연결단자와 대응하는 관통공(14)이, 바닥판(12)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렌즈와 대응하는 카메라렌즈공(13)이 마련된다.
이러한 연질의 스킨형 케이스는 봉합면이나 이음매 없이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외관이 깔끔하고 손에 닿는 촉감이 좋다.
뿐만 아니라, 소재가 지닌 탄성으로 테두리단(11)과 바닥판(12)이 휴대용 단말기의 외면에 효과적으로 밀착하고 외부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파손을 방지하는 등 여러 이점이 있다.
그러나, 연질의 스킨형 케이스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다 보면 연질 소재의 특성상 탄성 내지 소재의 강도가 떨어져 늘어나게 되고 결국, 연질의 스킨형 케이스는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헐겁게 이격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함께, 카메라렌즈공(13)은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렌즈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벗어나고 바닥판(12)의 일부가 카메라렌즈를 가리게 되어 케이스를 씌운 채로는 카메라 기능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지면서도 늘어짐 없이 휴대용 단말기의 외형과 일치하는 형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을 덮는 연질 소재의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을 덮는 상기 연질 소재의 테두리단; 및 상기 바닥판 보다 연신율이 작고 상기 바닥판 내에 삽입된 보조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판의 일면 또는 타면으로부터 상기 보조재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조재는 도전물질을 포함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제조방법으로서, 상호 밀착에 의해 그 사이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압축 성형을 위한 성형공간을 제공하는 제 1 틀 및 제 2 틀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공간에 상기 제 1 틀 및 제 2 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연질 소재의 일부, 상기 보조재, 상기 연질 소재의 나머지를 차례로 놓고 상기 제 1 틀 및 제 2 틀을 상호 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는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지면서도 늘어짐 없이 휴대용 단말기의 외형과 일치하는 형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카메라렌즈공은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렌즈와 일치하는 위치를 항시 유지하여 카메라렌즈가 케이스의 일부로 가려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바닥면의 내부에 삽입되는 보조재를 통해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은 성형 과정 중 보조재가 틀어지거나 제 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불량 생산을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Ⅰ-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보조재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제조방법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를 제조하는 틀의 평면도.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제조방법의 순차적인 공정도.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0의 Ⅹ-Ⅹ'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를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 및 측면을 감싸 휴대용 단말기의 외면을 보호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을 덮는 연질 소재의 바닥판(12), 바닥판(12)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을 덮는 연질 소재의 테두리단(11), 바닥판(12) 보다 연신율이 작고 바닥판(12) 내에 삽입된 보조재(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바닥판(12)은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을 덮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제 1 바닥판(110) 및 제 2 바닥판(120)으로 구분되고 각각 동일한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과 대응되는 형태와 면적을 갖는다.
이때, 연질의 소재는 바람직하게는 실리콘과 같은 연질이고 녹는점이 130℃ ~ 200℃ 의 범위 내인 합성수지재를 이용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 1 바닥판(110) 및 제 2 바닥판(120)의 동일한 일측을 관통하는 카메라렌즈공(13)을 포함한다.
테두리단(11)은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을 덮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질의 소재와 동일한 것으로 제 1 바닥판(110) 및 제 2 바닥판(120)의 가장자리를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두께만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마련된다.
보조재(130)는 연질의 소재로 된 바닥판(12)이 소재의 특성에 따라 지속적인 사용으로 탄성 내지 강도가 떨어져 형태의 변형이 오는 즉, 늘어지는 것을 보강하여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즉, 보조재(130)는 바닥판(12)보다 연신율이 작은 것으로 연성이 적은 재질의 것을 사용한다.
또한, 보조재(13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압축 성형 시 가열로 인해 녹아내리는 연질의 소재와는 다르게 해당 가열온도에서 녹지 않는 직물재, 금속재, 합성수지재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소재로 이루어진 보조재(130)는 바람직하게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바닥판(110) 및 제 2 바닥판(120)의 내부로 위치하고 제 1 바닥판(110) 및 제 2 바닥판(120)과 대응되는 형태와 면적의 판재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때, 보조재(130)는 제 1 바닥판(110) 및 제 2 바닥판(120)의 내부에 실장된 상태에서 카메라렌즈공(13)과 일치하게 일측이 타공(133)된다.
그 결과, 내부로 보조재(130)가 삽입된 바닥판(12)은 카메라렌즈공(13)이 관통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에 마련된 카메라렌즈의 전방이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로 가려지지 않는다.
또한, 보조재(130)는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성형 시 비틀어지거나 제 위치를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메쉬 형태를 취하거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공(131)이 타공된다.
이에 따라 보조재(130)가 성형 시 비틀어지거나 제 위치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제조방법의 설명으로 이해가 자명하고 이와 같은 제조과정을 통해 성형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는 바닥판(12)의 일면 또는 타면으로부터 보조재(130)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150)을 더 포함하게 된다.
또한, 보조재(130)는 바람직하게는 도전물질을 포함한다.
따라서, 보조재(130)가 내부에 삽입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는 전자파 차단 효과를 발휘한다.
지금까지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는 종래의 케이스와 같이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져 탄성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외면을 감싸 보호하고 나아가, 내부에 보조재(130)를 더 포함하여 지속적인 사용에도 바닥판(12)이 늘어지는 등 변형되지 않는다.
따라서, 바닥판(12)은 항시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과 대응되는 형태로 밀착을 유지하고 특히,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를 오랫동안 사용한 후에도 카메라렌즈공(13)이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렌즈의 위치와 일치하여 바닥판(12)의 일부가 카메라렌즈를 가리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제조방법을 도 5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때, 설명에 필요한 도 1 내지 도 4의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명칭과 동일한 도면부호를 인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제조방법은 앞서 설명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를 제조하는 과정인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밀착에 의해 그 사이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의 압축 성형을 위한 성형공간을 제공하는 제 1 틀(210) 및 제 2 틀(220)을 준비하는 단계(s310), 상기 성형공간에 제 1 틀(210) 및 제 2 틀(22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연질 소재의 일부(20), 보조재(130), 연질 소재의 나머지(30)를 차례로 놓고 제 1 틀(210) 및 제 2 틀(220)을 상호 밀착시키는 단계(s320 ~ s350)를 포함한다.
우선, 상기 s310의 준비단계에서 마련되는 제 1 틀(210) 및 제 2 틀(220)에 관해 살펴본다.
제 1 틀(210) 및 제 2 틀(220)은 서로 접합된 일면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연결된 성형공간이 마련되어 그 내부에 소재를 넣고 가열하여 압축성형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틀(210)은 상부틀로서 일면으로부터 음각되어 내부에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의 일부와 일치하는 제 1 성형공간(211)이 마련되고 제 2 틀(220)은 하부틀로서 제 1 틀(210)의 상기 일면과 접하는 면으로부터 음각되어 내부에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의 나머지와 일치하는 제 2 성형공간(221)이 마련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 1 성형공간(211)은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 중 바닥판(12) 외면을 포함하는 일부를 성형하고 제 2 성형공간(221)은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 중 바닥판(12) 내면 및 테두리단(11)을 포함하는 나머지를 성형하게 마련된다.
또한, 제 1 틀(210)과 제 2 틀(220)에는 서로 밀착시키고 분리하기 위해 각각 손잡이가 마련되는데 제 1 틀(210)에 마련된 제 1 손잡이(215)와 제 2 틀(220)에 마련된 제 2 손잡이(225)는 바람직하게는 제 1 틀(210) 및 제 2 틀(220)이 포개진 상태에서 제 1 틀(210)과 제 2 틀(220)을 구분하여 판별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크기 내지 모양으로 마련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 2 틀(220)은 제 2 성형공간(221) 중 제 2 성형공간(221)에 놓인 보조재(130)의 고정공(131)과 일치하는 수와 위치로 배치되고 제 2 성형공간(221)의 저면으로부터 제 1 바닥판(110)과 보조재(130)를 합친 두께 이상 제 1 바닥판(110) 및 제 2 바닥판(120)과 보조재(130)를 모두 합친 두께 이하로 연장된 고정대(223)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고정대(223)는 제 2 성형공간(221)에 놓여지는 보조재(130)의 고정공(131)과 결합하는 것으로 제 1 성형공간(211) 및 제 2 성형공간(221)의 내부에서 보조재(130)가 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보조재(130)는 제조공정 내내 위치 및 모양이 고정되어 후술하는 압축성형 시 뒤틀리거나 제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성형 후 보조재(130)의 변형 및 이탈로 발생할 수 있는 제품 불량을 막을 수 있다.
그러나, 고정대(223)는 이와 같이 보조재(130)의 고정이 목적인 것으로 보조재(130)가 메쉬형태로 마련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재가 메쉬 사이로 녹아들어 고정대(223)의 역할을 대신하는 경우에는 생략될 수 있다.(도 15 참조)
이와 같이 마련된 제 1 틀(210) 및 제 2 틀(220)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를 제조하는 각각의 단계는 순차적으로 다음과 같다.
우선, 도 7과 같이 제 2 성형공간(221)의 저면에 연질 소재의 일부(20)를 놓는다(s320).
이때, 상기 연질 소재의 일부(20)는 고정대(223)를 덮지 않도록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8과 같이 상기 연질 소재의 일부(20) 위로 보조재(130)를 안착시킨다(s330).
이때, 보조재(130)는 제 2 성형공간(221)의 내부에 고정공(131)과 고정대(223)가 일대일로 대응되게 결합하거나 배치한다.
다음으로, 도 9와 같이 보조재(130) 위로 연질 소재의 나머지(30)를 놓는다(s340).
한편, 이와 같은 연질 소재의 일부(20), 보조재(130), 연질 소재의 나머지(30)를 순차적으로 올려놓은 곳이 제 2 성형공간(221)이 아닌 제 1 성형공간(211)에서 이루어지는 것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도 10과 같이 제 1 틀(210) 및 제 2 틀(220)을 상호 밀착한 후 가열 압축성형한다(s350).
다시 말해, 연질 소재와 보조재(130)가 놓인 제 2 성형공간(221) 위로 제 1 성형공간(211)이 위치하게 제 1 틀(210)을 덮고 이를 성형장치로 가열하여 압축 성형한다.
이때, 가열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30℃ ~ 200℃이고 해당 범위 내에 녹는점을 갖는 연질 소재는 녹아 제 1 성형공간(211) 및 제 2 성형공간(221) 내를 채우게 된다.
한편, 보조재(13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연질 소재보다는 녹는점이 높아 위와 같은 가열온도로 성형하는 과정에서 녹지 않고 본래의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가열 압축성형 중에 일어날 수 있는 보조재(130)의 변형은 앞서 설명된 고정대(223)와 고정공(131)의 결합으로 방지되고 이에 관한 내부 성형 모습 및 구조는 후술하는 설명으로 이해가 자명하다.
다음으로,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제 1 틀(210) 및 제 2 틀(220)을 분리시키고 제 1 성형공간(211) 및 제 2 성형공간(221)으로부터 성형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를 탈거한다(s360).
이때, 제 1 틀(210) 및 제 2 틀(220)의 분리는 성형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가 소정온도 이하로 냉각된 후에 행하는 것으로 소재의 성형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 1 틀(210) 및 제 2 틀(220)로부터 분리시킨다.
그런 다음 마지막으로 성형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의 외면을 다듬고 제품을 완성한다.
한편, 상기 s350 단계에서 성형 중 가열 압착으로 인해 연질 소재 사이에 놓인 보조재(130)가 비틀어지거나 제 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일환으로 고정공(131)과 고정대(223)가 결합된 성형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고정대(223)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틀(220)의 내부 즉, 제 2 성형공간(221, 도 6 참조)의 저면에 세워져 연질 소재가 녹아 형성된 제 2 바닥판(120)을 관통하고 보조재(130)의 고정공(131)과 연결된다.
이때, 고정대(223)는 앞서 설명된 제 1 바닥판(110)과 보조재(130)를 합친 두께 이상 제 1 바닥판(110) 및 제 2 바닥판(120)과 보조재(130)를 모두 합친 두께 이하의 범위 중 제 1 바닥판(110)과 보조재(130)를 합친 두께만큼만 연장된 것으로 말단이 보조재(130)를 관통해 보조재(130)의 일면과 일치한다.
따라서, 보조재(130)는 고정대(223)로 고정되어 압축 성형시 뒤틀어지거나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성형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는 내면에 홀(150, 도 1참조)이 생기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홀(150, 도 1 참조)은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의 내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외관은 상관없이 미끈한 면을 이룬다.
이와 달리, 고정대(223)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바닥판(110) 및 제 2 바닥판(120) 및 보조재(130) 모두를 관통하고 고정공(131)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고정대(223)는 앞서 설명된 제 1 바닥판(110)과 보조재(130)를 합친 두께 이상 제 1 바닥판(110) 및 제 2 바닥판(120)과 보조재(130)를 모두 합친 두께 이하의 범위 중 제 1 바닥판(110) 및 제 2 바닥판(120)과 보조재(130)를 모두 합친 두께만큼 연장된 것으로 말단이 제 1 틀(210)의 내면에 맞닿는다.
따라서, 이러한 고정대(223)는 보조재(130)의 위치를 고정함은 물론 성형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의 바닥판에 관통된 홀을 생성한다.
이러한 홀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에 구성된 마이크, 센서 등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5와 같이 메쉬 형태의 보조재(130)를 사용하는 경우, 메쉬 사이사이로 연질의 소재가 녹아 들어가 보조재(13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고정대(223)의 생략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와 같이 고정대(223)가 생략되고 메쉬 형태의 보조재(130)가 사용되는 경우 성형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의 내외면은 홀의 구성 없이 미끈한 면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를 제조하는 과정 중에 보조재(130)는 고정공(131)과 연결된 고정대(223) 또는 메쉬 사이로 녹아든 연질 소재에 의해 그 형태 및 위치가 고정되어 성형 중에 뒤틀리거나 위치를 이탈하여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가 불량으로 생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바,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들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포함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있다 해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를 통해 당업자에게 쉽게 파악될 수 있다.
10: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11: 테두리단
12: 바닥판 13: 카메라렌즈공
14: 관통공 20: 연질 소재의 일부
30: 연질 소재의 나머지 110: 제 1 바닥판
120: 제 2 바닥판 130: 보조재
131: 고정공 210: 제 1 틀
211: 제 1 성형공간 215: 제 1 손잡이
220: 제 2 틀 221: 제 2 성형공간
223: 고정대 225: 제 2 손잡이

Claims (4)

  1.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을 덮는 연질 소재의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을 덮는 상기 연질 소재의 테두리단; 및
    상기 바닥판 보다 연신율이 작고 상기 바닥판 내에 삽입된 보조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일면 또는 타면으로부터 상기 보조재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재는 도전물질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제조방법으로서,
    상호 밀착에 의해 그 사이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압축 성형을 위한 성형공간을 제공하는 제 1 틀 및 제 2 틀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공간에 상기 제 1 틀 및 제 2 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연질 소재의 일부, 상기 보조재, 상기 연질 소재의 나머지를 차례로 놓고 상기 제 1 틀 및 제 2 틀을 상호 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제조방법.
KR1020110007195A 2011-01-25 2011-01-25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860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195A KR20120086014A (ko) 2011-01-25 2011-01-25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195A KR20120086014A (ko) 2011-01-25 2011-01-25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014A true KR20120086014A (ko) 2012-08-02

Family

ID=46871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7195A KR20120086014A (ko) 2011-01-25 2011-01-25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60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358Y1 (ko) * 2012-12-21 2013-08-08 이민혜 엠보싱 구조를 갖는 휴대장치용 케이스
KR200475373Y1 (ko) * 2013-07-26 2014-11-28 (주)성업상사 탈부착 인형을 구비한 다기능 스마트폰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358Y1 (ko) * 2012-12-21 2013-08-08 이민혜 엠보싱 구조를 갖는 휴대장치용 케이스
KR200475373Y1 (ko) * 2013-07-26 2014-11-28 (주)성업상사 탈부착 인형을 구비한 다기능 스마트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9429B2 (en) Mobile phone case with enhanced grip area and reduced grip area
CN107205533A (zh) 用于壳体端口的桥形加强件
KR200470939Y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플립형 보호케이스
TWI619417B (zh) 可攜式電子裝置及其製造方法
CN204104227U (zh) 一种可穿戴式电子设备结构
CN103002078B (zh) 移动终端以及制造其外壳的方法
KR101576423B1 (ko) 휴대폰 케이스의 휴대폰 고정 장치
TW201318818A (zh) 用於具有覆蓋成型熱塑薄膜之可攜式電子裝置的外殼
US20160147264A1 (en) Mobile terminal
US20110018836A1 (en) Capacitive touch control modul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1084548B1 (ko) 실드 케이스 및 그의 제조방법
CN104273891A (zh) 智能眼镜盒
KR20120086014A (ko)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252648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72846Y1 (ko) 스티치를 갖는 가죽베이스가 일체로 결합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CN104869767B (zh) 机壳及应用该机壳的便携式电子装置
KR101598337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용 백 커버 제조장치
KR101831620B1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및 이의 제조방법
CN203416292U (zh) 改良的手机保护套结构
CN105072227A (zh) 一种具侧面屏幕触摸功能的移动终端保护壳及其制造方法
KR20170117720A (ko) 박막 배터리 커버의 제조 방법
KR20140137491A (ko) 휴대기기용 보호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JP4781076B2 (ja) ケースの製造方法
KR20110109668A (ko) 커넥터 커버가 부착된 핸드폰 케이스
CN107734953B (zh) 组装指纹辨识模块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