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5989A - 감지 센서 - Google Patents

감지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5989A
KR20120085989A KR1020110007155A KR20110007155A KR20120085989A KR 20120085989 A KR20120085989 A KR 20120085989A KR 1020110007155 A KR1020110007155 A KR 1020110007155A KR 20110007155 A KR20110007155 A KR 20110007155A KR 20120085989 A KR20120085989 A KR 20120085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s
specific
sensing
antenna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7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3804B1 (ko
Inventor
정성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10007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3804B1/ko
Priority to DE102012001069.9A priority patent/DE102012001069B4/de
Priority to CN201210051971.XA priority patent/CN102621545B/zh
Priority to US13/357,387 priority patent/US9035818B2/en
Publication of KR20120085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5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 H01Q1/46Electric supply lines or communication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01Q21/065Patch antenna arra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5/00Antennas or antenna systems providing at least two radiating patterns
    • H01Q25/002Antennas or antenna systems providing at least two radiating patterns providing at least two patterns of different beamwidth; Variable beamwidth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orientation by switching energy from one active radiating element to another, e.g. for beam switch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209Systems with very large relative bandwidth, i.e. larger than 10 %, e.g. baseband, pulse, carrier-free, ultrawideba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4Systems determining presence of a targe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50Systems of measurement based on relative movement of target
    • G01S13/52Discriminating between fixed and moving objects or between objects moving at different speeds
    • G01S13/56Discriminating between fixed and moving objects or between objects moving at different speeds f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지 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은 안테나 사이즈로도 다양한 감지영역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센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감지 센서{DETECTION SENSOR}
본 발명은 감지 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은 안테나 사이즈로도 다양한 감지영역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센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다양한 감지영역에 있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해서, 다양한 감지영역별로 별도의 감지센서를 구비해야만 했다. 즉, 다양한 감지영역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많은 감지센서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감지영역별 감지센서를 통합한 통합형 감지센서가 개발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통합형 감지센서는 다양한 감지영역별 안테나를 따로 구비해야만 하기 때문에, 전체 안테나 사이즈가 커지게 되어 통합형 감지 센서의 전체 사이즈도 커지고 제조 비용도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감지영역을 감지하기 위하여 각 감지영역별로 별도의 안테나 구조를 구비하지 않고도, 하나의 안테나 구조만을 이용하여 다양한 감지영역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센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복수의 송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송신 안테나부; 복수의 수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수신 안테나부; 설정된 감지영역정보에 따라 복수의 송신 급전포트 중 특정 송신 급전포트를 선택하여 급전시키는 송신 스위치;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 중에서 상기 특정 송신 급전포트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특정 송신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신하는 신호 송신부; 및 상기 송신된 신호가 주변에서 반사된 신호를 상기 복수의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송신 급전포트 각각은,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 중 하나 이상의 송신 안테나와 연결되되, 상기 연결된 하나 이상의 송신 안테나의 송신 안테나 개수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 센서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복수의 송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송신 안테나부; 복수의 수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수신 안테나부; 설정된 감지영역정보에 따라 복수의 수신 급전포트 중 특정 수신 급전포트를 선택하여 급전시키는 스위치;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신하는 신호 송신부; 및 상기 특정 수신 급전포트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안테나를 통해, 상기 송신된 신호가 주변에서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수신 급전포트 각각은, 상기 복수의 수신 안테나 중 하나 이상의 수신 안테나와 연결되되, 상기 연결된 하나 이상의 수신 안테나의 수신 안테나 개수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 센서를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안테나부; 설정된 감지영역정보에 따라 복수의 급전포트 중 특정 급전포트를 선택하여 급전시키는 스위치; 및 상기 특정 급전포트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특정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급전포트 각각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하나 이상의 안테나와 연결되되, 상기 연결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의 안테나 개수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 센서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감지영역을 감지하기 위하여 각 감지영역별로 별도의 안테나 구조를 구비하지 않고도, 하나의 안테나 구조만을 이용하여 다양한 감지영역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센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전체 안테나 사이즈가 줄어들어 감지 센서의 사이즈도 작아지고 제조 비용도 적게 드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를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러한 감지 센서에 감지가능한 다양한 감지영역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의 제1감지 예시로서, 스위치에 의해 제1급전포트가 스위칭되어 급전된 경우의 감지 센서와, 이때의 제1감지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의 제2감지 예시로서, 스위치에 의해 제2급전포트가 스위칭되어 급전된 경우의 감지 센서와, 이때의 제2감지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의 제3감지 예시로서, 스위치에 의해 제3급전포트가 스위칭되어 급전된 경우의 감지 센서와, 이때의 제3감지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에서 안테나의 구조를 일반화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100)를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러한 감지 센서(100)에 감지가능한 다양한 감지영역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100)는, 다양한 감지영역을 감지하기 위하여 각 감지영역별로 별도의 안테나 구조를 구비하지 않고도, 하나의 안테나 구조만을 이용하여 다양한 감지영역을 감지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감지 센서(100)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 1에서는, 감지 센서(100)가 예시적으로 제1감지영역(110), 제2감지영역(120) 및 제3감지영역(130)를 포함하는 3개의 감지영역에 대한 감지가 가능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뿐, 2개의 감지영역, 또는 4개 이상의 감지영역에 대한 감지가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에서 제1감지영역(110), 제2감지영역(120) 및 제3감지영역(130) 각각의 도시된 형태는 빔(Beam) 형태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감지영역(110), 제2감지영역(120) 및 제3감지영역(130)은 각기 다른 감지거리 및 감지각도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제1감지영역(110)은 제1감지거리(R1)와 제1감지각도(θ1)에 의해 정의되고, 제2감지영역(120)은 제2감지거리(R2)와 제2감지각도(θ2)에 의해 정의되며, 제3감지영역(130)은 제3감지거리(R3)와 제3감지각도(θ3)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각 감지영역에서의 감지거리 및 감지각도는 다음과 같은 대소 관계가 성립될 수 있다.
- 감지거리: R1 < R2 < R3
- 감지각도: θ1 > θ2 > θ3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간략하게 기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100)에 대한 몇몇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감지영역(110)을 근거리 감지영역, 제2감지영역(120)을 중거리 감지영역 및 제3감지영역(130)을 장거리 감지영역으로도 기재한다. 그리고, 제1감지거리(R1)는 근거리 감지거리, 제2감지거리(R2)는 중거리 감지거리, 제3감지거리(R3)는 장거리 감지거리로도 기재한다. 또한, 제1감지각도(θ1)는 근거리 감지각도, 제2감지각도(θ2)는 중거리 감지각도, 제3감지각도(θ3)는 장거리 감지각도로도 기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100)는, 복수의 안테나(A1, A2, A3, A4, A5)를 포함하는 안테나부(210)와, 설정된 감지영역정보에 따라 복수의 급전포트(P1, P2, P3) 중 특정 급전포트를 선택하여 급전시키는 스위치(220)와, 특정 급전포트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특정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230) 등을 포함한다.
다양한 감지영역에 대한 감지가 가능하도록, 복수의 급전포트(P1, P2, P3) 각각은, 복수의 안테나(A1, A2, A3, A4, A5) 중 하나 이상의 안테나와 연결되되, 연결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의 안테나 개수가 서로 달라야 한다. 이는, 하나의 안테나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한 감지영역(도 2에서는 3개의 감지영역)에 대한 감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제1급전포트(P1)는 A3 안테나와 연결되고, 제2급전포트(P2)는 A2 안테나, A3 안테나 및 A4 안테나와 연결되며, 제3급전포트(P3)는 A1 안테나, A2 안테나, A3 안테나, A4 안테나 및 A5 안테나와 연결된다. 즉, 제1급전포트(P1)와 연결된 안테나의 안테나 개수는 1개, 제2급전포트(P2)와 연결된 안테나의 안테나 개수는 3개, 제3급전포트(P3)과 연결된 안테나의 안테나 개수는 5개로 모두 다름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위치(22)는, 설정된 감지영역정보에 따라, 전술한 복수의 급전포트(P1, P2, P3) 중 하나의 특정 급전포트를 선택하게 되는데, 여기서, 설정된 감지영역정보는 감지거리 및 감지각도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설정 값을 포함하거나, 장거리 감지영역 식별정보, 중거리 감지영역 식별정보 및 근거리 감지영역 식별정보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설정된 감지영역정보는 감지거리 및 감지각도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설정 값을 포함하는 경우, 스위치(220)가 복수의 급전포트(P1, P2, P3) 중 하나의 특정 급전포트를 선택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정된 감지영역정보에 포함된 감지거리에 대한 설정 값은 스위치(220)에 선택된 특정 급전포트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특정 안테나의 안테나 개수에 비례하고, 감지각도에 대한 설정 값은 특정 급전포트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특정 안테나의 안테나 간격에 반비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특정 급전포트가 제1급전포트(P1)인 경우, 감지거리에 대한 설정 값은 안테나 개수인 1에 비례한다. 특정 급전포트가 제2급전포트(P2)인 경우, 감지거리에 대한 설정 값은 안테나 개수인 3에 비례한다. 특정 급전포트가 제3급전포트(P3)인 경우, 감지거리에 대한 설정 값은 안테나 개수인 5에 비례한다.
감지 센서(100) 또는 감지 센서(100)와 연결된 다른 장치에, 감지영역정보에 포함된 감지거리별 안테나 개수 정보, 감지각도별 안테나 간격 정보, 또는 각도 분해 성능에 대한 안테나 개수 및 안테나 간격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전술한 스위치(220)는, 설정된 감지영역정보에 포함된 감지거리 및 감지각도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설정 값을 확인하고, 감지영역정보에 포함된 감지거리별 안테나 개수 정보, 감지각도별 안테나 간격 정보, 또는 각도 분해 성능에 대한 안테나 개수 및 안테나 간격 정보를 참조하여, 확인된 설정 값에 의해 정해지는 특정 안테나 개수를 결정하고, 이렇게 결정된 특정 안테나 개수로 특정 안테나 간격을 갖는 특정 안테나와 연결된 특정 급전포트를 복수의 급전포트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전술한 스위칭 방식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미리 저장된 감지거리 별 안테나 개수 정보에서, 감지거리가 제1감지거리(R1)인 경우 안테나 개수가 1로 정해져 있고, 감지거리가 제2감지거리(R2)인 경우 안테나 개수가 3으로 정해져 있고, 감지거리가 제3감지거리(R3)인 경우 안테나 개수가 5로 정해져 있다고 가정한다.
상기 가정에 따른 일 예로서, 스위치(220)가 스위칭할 당시에, 설정된 감지영역정보를 확인한 결과, 감지거리에 대한 설정값이 제1감지거리(R1)이면, 미리 저장된 감지거리 별 안테나 개수 정보로부터 특정 안테나 개수를 1로 결정하고, 결정된 안테나 개수인 1만큼의 특정 안테나(A3 안테나)와 연결된 제1급전포트(P1)를 복수의 급전포트(P1, P2, P3) 중에서 선택한다.
상기 가정에 따른 다른 예로서, 스위치(220)가 스위칭할 당시에, 설정된 감지영역정보를 확인한 결과, 감지거리에 대한 설정값이 제2감지거리(R2)이면, 미리 저장된 감지거리 별 안테나 개수 정보로부터 특정 안테나 개수를 3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안테나 개수인 3만큼의 특정 안테나(A2 안테나, A3 안테나, A4 안테나)와 연결된 제2급전포트(P2)를 복수의 급전포트(P1, P2, P3) 중에서 선택한다.
상기 가정에 따른 또 다른 예로서, 스위치(220)가 스위칭할 당시에, 설정된 감지영역정보를 확인한 결과, 감지거리에 대한 설정값이 제3감지거리(R3)이면, 미리 저장된 감지거리 별 안테나 개수 정보로부터 특정 안테나 개수를 5로 결정하고, 결정된 안테나 개수인 5만큼의 특정 안테나(A1 안테나, A2 안테나, A3 안테나, A4 안테나, A5 안테나)와 연결된 제3급전포트(P3)를 복수의 급전포트(P1, P2, P3) 중에서 선택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100)는, 특정 급전포트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특정 안테나의 안테나 개수와 안테나 간격을 곱한 값에 반비례하는 각도 분해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아래에서는, 설정된 감지영역정보는 장거리 감지영역 식별정보, 중거리 감지영역 식별정보 및 근거리 감지영역 식별정보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경우, 스위치(220)가 복수의 급전포트(P1, P2, P3) 중 하나의 특정 급전포트를 선택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만약, 설정된 감지영역정보가 근거리 감지영역 식별정보가 포함된 경우, 스위치(220)는 복수의 급전포트(P1, P2, P3) 중에서 가장 적은 안테나와 연결된 특정 급전포트(도 2에서는, 1개의 안테나(A3 안테나)와 연결된 제1급전포트(P1))를 선택한다. 설정된 감지영역정보가 중거리 감지영역 식별정보가 포함된 경우, 스위치(220)는 복수의 급전포트(P1, P2, P3) 중에서 그 다음으로 적은 개수의 안테나와 연결된 특정 급전포트(도 2에서는, 3개의 안테나(A2 안테나, A3 안테나, A4 안테나)와 연결된 제2급전포트(P2))를 선택한다. 설정된 감지영역정보가 장거리 감지영역 식별정보가 포함된 경우, 스위치(220)는 복수의 급전포트(P1, P2, P3) 중에서 가장 많은 안테나와 연결된 특정 급전포트(도 2에서는, 5개의 안테나(A1 안테나, A2 안테나, A3 안테나, A4 안테나, A5 안테나)와 연결된 제3급전포트(P3))를 선택한다.
위에서 언급한 근거리 감지영역 식별정보는 근거리 감지거리(R1) 및 근거리 감지각도(θ1)에 의해 정의되고, 중거리 감지영역 식별정보는 중거리 감지거리(R2) 및 중거리 감지각도(θ2)에 의해 정의되고, 장거리 감지영역 식별정보는 장거리 감지거리(R3) 및 장거리 감지각도(θ3)에 의해 정의된다.
장거리 감지거리(R3)가 가장 길고 근거리 감지거리(R1)가 가장 짧다(즉, R1<R2<R3). 장거리 감지각도(θ3)가 가장 좁은 각도이고 근거리 감지각도(θ1)가 가장 넓은 각도이다(즉, θ1>θ2>θ3).
전술한 바와 같은 스위칭 방식에 따라, 스위치(220)에 의해 특정 급전포트(P1, P2, P3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특정 급전포트로 급전시키고, 이후, 신호 송수신부(230)는, 특정 급전포트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100)의 제1감지 예시로서, 도 3의 (a)는 스위치(100)가 감지영역정보(R1 및 θ1를 포함하거나, R1 및 θ1에 의해 정의된 근거리 감지영역 식별정보(제1감지영역 식별정보)를 포함함)에 따라 제1급전포트(P1)를 스위칭하여 급전한 경우의 감지 센서(100)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의 (b)는 이때의 제1감지영역(110)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는 A3 안테나이고, 안테나 개수 N은 1, 안테나 간격 D는 기본 안테나 간격인 d가 된다(N=1, D=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100)의 제2감지 예시로서, 도 4의 (a)는 스위치(100)가 감지영역정보(R2 및 θ2를 포함하거나, R2 및 θ2에 의해 정의된 중거리 감지영역 식별정보(제2감지영역 식별정보)를 포함함)에 따라 제2급전포트(P2)를 스위칭하여 급전한 경우의 감지 센서(100)를 나타낸 것이고, 도 4의 (b)는 이때의 제2감지영역(120)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는 A2 안테나, A3 안테나 및 A4 안테나이고, 이들 안테나들의 안테나 개수 N은 3, 안테나 간격 D는 기본 안테나 간격인 d에 2를 곱한 값이 된다(N=3, D=2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100)의 제3감지 예시로서, 도 5의 (a)는 스위치(100)가 감지영역정보(R3 및 θ3을 포함하거나, R3 및 θ3에 의해 정의된 장거리 감지영역 식별정보(제3감지영역 식별정보)를 포함함)에 따라 제3급전포트(P3)를 스위칭하여 급전한 경우의 감지 센서(100)를 나타낸 것이고, 도 5의 (b)는 이때의 제3감지영역(130)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는 A1 안테나, A2 안테나, A3 안테나, A4 안테나 및 A5 안테나이고, 이들 안테나들의 안테나 개수 N은 5, 안테나 간격 D는 기본 안테나 간격인 d에 4를 곱한 값이 된다(N=5, D=4d).
이상에서도 전술한 바 있는, 안테나 구조적 특징(스위칭된 특정 급전포트와 연결된 특정 안테나에 대한 안테나 개수(N) 및 안테나 간격(D))에 따른 감지거리(R) 및 감지각도(θ)가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안테나 구조적 특징(스위칭된 특정 급전포트와 연결된 특정 안테나에 대한 안테나 개수(N) 및 안테나 간격(D))에 따른 감지거리(R) 및 감지각도(θ)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100)에서 안테나의 구조를 일반화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예시된 안테나부(210)의 안테나 구조는, N(안테나 개수)개의 안테나(A1, A2, ..., AN) 각각이 d(기본 안테나 간격) 만큼 떨어져 있다. 단, N(안테나 개수)개의 안테나(A1, A2, ..., AN) 모두는 하나의 급전포트에 연결되어 급전된 경우로 가정한다.
도 6에 예시된 안테나 구조 하에, 감지거리(R) 및 감지각도(θ)를 알아본다.
먼저, 안테나 구조에 따른 감지거리(R)에 대하여 알아본다.
감지거리(R)는 안테나 이득(G)과 비례하며 아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안테나 이득(G)은 N개의 안테나에 대한 전체 안테나 이득이며, 아래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상기 수학식 2를 상기 수학식 1에 대입하여, 감지거리(R)와 안테나 개수(N)만의 관계식으로 도출해보면, R은 (logN)1/2에 비례한다. 즉, R은 N에 비례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안테나 개수(N)를 조절하여 감지거리(R)를 가변할 수 있다. 즉, 스위치(120)는, 원하는 특정 감지거리를 얻기 위해, 연결된 안테나 개수가 얻고자 하는 특정 감지거리에 의해 정의된 특정 안테나 개수인 특정 급전포트를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특정 감지거리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안테나 구조에 따른 감지각도(θ)를 알아본다.
감지각도(θ)는, 안테나 간격(D)에 반비례하며, 아래 수학식 3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안테나 간격(D)은 두 안테나 간의 간격, 즉 기본 안테나 간격(d)과 간격 개수를 곱한 값이 된다. 즉, 도 6에서 안테나 간격(D)은 (N-1)*d 가 된다.
Figure pat00003
상기 수학식 3을 통해, 안테나 간격(D)을 조절함으로써 감지각도(θ)를 가변할 수 있다. 즉, 스위치(120)는, 원하는 특정 감지각도를 얻기 위해, 특정 안테나 간격으로 배열된 안테나와 연결된 특정 급전포트를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특정 감지각도를 얻을 수 있다.
한편, 감지 센서(100)는 안테나 개수(N) 및 안테나 간격(D)와 반비례하는 각도 분해 성능을 가질 수 있다. 각도 분해 성능은 아래 수학식 4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4
한편, 위에서 언급한 복수의 안테나(A1~A5) 각각은,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100)는, 차량 등에 장착될 수 있는 레이더 장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감지영역을 감지하기 위하여 각 감지영역별로 별도의 안테나 구조를 구비하지 않고도, 하나의 안테나 구조만을 이용하여 다양한 감지영역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센서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 7,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7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700)는, 복수의 송신 안테나(T1, T2, T3, T4, T5)를 포함하는 송신 안테나부(710)와, 복수의 수신 안테나(R1, R2, R3, R4, R5)를 포함하는 수신 안테나부(720)와, 설정된 감지영역정보에 따라 복수의 송신 급전포트(P1, P2, P3) 중 특정 송신 급전포트(P1, P2, P3 중 하나)를 선택하여 급전시키는 송신 스위치(730)와, 복수의 송신 안테나(T1, T2, T3, T4, T5) 중에서 특정 송신 급전포트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특정 송신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신하는 신호 송신부(750)와, 송신된 신호가 주변에서 반사된 신호를 복수의 수신 안테나(R1, R2, R3, R4, R5)를 통해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760) 등을 포함한다.
위에서 언급한 복수의 송신 급전포트(P1, P2, P3) 각각은, 복수의 송신 안테나(T1, T2, T3, T4, T5) 중 하나 이상의 송신 안테나와 연결되되, 연결된 하나 이상의 송신 안테나의 송신 안테나 개수가 서로 다르다. 이를 통해, 3가지의 다른 감지영역을 감지하기 위한 빔 패턴을 갖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설정된 감지영역정보는, 감지거리(R) 및 감지각도(θ)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설정 값을 포함하거나, 장거리 감지영역 식별정보, 중거리 감지영역 식별정보 및 근거리 감지영역 식별정보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설정된 감지영역정보는 감지거리 및 감지각도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설정 값을 포함하는 경우, 송신 스위치(730)가 복수의 급전포트(P1, P2, P3) 중 하나의 특정 급전포트를 선택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정된 감지영역정보에 포함된 감지거리(R)에 대한 설정 값은 스위칭된 특정 송신 급전포트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특정 송신 안테나의 송신 안테나 개수(N)에 비례하고, 감지각도(θ)에 대한 설정 값은 스위칭된 특정 송신 급전포트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특정 송신 안테나의 송신 안테나 간격(D)에 반비례한다.
이러한 감지거리(R)와 감지각도(θ)와 관련된 안테나 구조적 특성, 즉, 송신 안테나 개수(N) 및 송신 안테나 간격(D)에 따라, 각도 분해 성능이 정해질 수 있다. 각도 분해 성능은 특정 송신 급전포트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특정 송신 안테나의 송신 안테나 개수(N)와 송신 안테나 간격(D)을 곱한 값에 반비례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특정 송신 급전포트가 제1송신 급전포트(P1)인 경우, 감지거리에 대한 설정 값은 제1송신 급전포트(P1)에 연결된 송신안테나(T3)의 송신 안테나 개수인 1에 비례한다. 특정 송신 급전포트가 제2송신 급전포트(P2)인 경우, 감지거리에 대한 설정 값은 제2송신 급전포트(P2)에 연결된 송신안테나(T2, T3, T4)의 송신 안테나 개수인 3에 비례한다. 특정 송신 급전포트가 제3송신 급전포트(P3)인 경우, 감지거리에 대한 설정 값은 제3송신 급전포트(P3)에 연결된 송신안테나(T1, T2, T3, T4, T5)의 송신 안테나 개수인 5에 비례한다.
감지 센서(700) 또는 감지 센서(700)와 연결된 다른 장치에, 감지영역정보에 포함된 감지거리별 송신 안테나 개수 정보, 감지각도별 송신 안테나 간격 정보, 또는 각도 분해 성능별 송신 안테나 개수 및 송신 안테나 간격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참조하고, 이러한 감지거리(R) 및 안테나 구조(즉, 송신 안테나 개수(N)) 간의 관계 특성과, 감지각도(θ) 및 안테나 구조(즉, 송신 안테나 간격(D)) 관계 특성을 이용하여, 송신 스위치(730)는 감지거리 및 감지각도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설정 값에 의해 정해지는 특정 송신 안테나 개수의 특정 송신 안테나가 특정 송신 안테나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된 특정 송신 급전포트를 복수의 송신 급전포트(P1, P2, P3)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전술한 스위칭 방식을 도 7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미리 저장된 감지거리별 송신 안테나 개수 정보에서, 감지거리가 제1감지거리(R1)인 경우 송신 안테나 개수가 1로 정해져 있고, 감지거리가 제2감지거리(R2)인 경우 송신 안테나 개수가 3으로 정해져 있고, 감지거리가 제3감지거리(R3)인 경우 송신 안테나 개수가 5로 정해져 있다고 가정한다.
상기 가정에 따른 일 예로서, 송신 스위치(730)가 스위칭할 당시에, 설정된 감지영역정보를 확인한 결과, 감지거리에 대한 설정값이 제1감지거리(R1)이면, 미리 저장된 감지거리 별 송신 안테나 개수 정보로부터 특정 송신 안테나 개수를 1로 결정하고, 결정된 송신 안테나 개수인 1만큼의 특정 송신 안테나(T3)와 연결된 제1송신 급전포트(P1)를 복수의 송신 급전포트(P1, P2, P3) 중에서 선택한다.
상기 가정에 따른 다른 예로서, 송신 스위치(730)가 스위칭할 당시에, 설정된 감지영역정보를 확인한 결과, 감지거리에 대한 설정값이 제2감지거리(R2)이면, 미리 저장된 감지거리 별 송신 안테나 개수 정보로부터 특정 송신 안테나 개수를 3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송신 안테나 개수인 3만큼의 특정 송신 안테나(T3, T4, T5)와 연결된 제2송신 급전포트(P2)를 복수의 송신 급전포트(P1, P2, P3) 중에서 선택한다.
상기 가정에 따른 또 다른 예로서, 송신 스위치(730)가 스위칭할 당시에, 설정된 감지영역정보를 확인한 결과, 감지거리에 대한 설정값이 제3감지거리(R3)이면, 미리 저장된 감지거리 별 송신 안테나 개수 정보로부터 특정 송신 안테나 개수를 5로 결정하고, 결정된 안테나 개수인 5만큼의 특정 송신 안테나(T1, T2, T3, T4, T5)와 연결된 제3송신 급전포트(P3)를 복수의 송신 급전포트(P1, P2, P3) 중에서 선택한다.
아래에서는, 설정된 감지영역정보는 장거리 감지영역 식별정보, 중거리 감지영역 식별정보 및 근거리 감지영역 식별정보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경우, 송신 스위치(730)가 복수의 송신 급전포트(P1, P2, P3) 중 하나의 특정 송신 급전포트를 선택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정된 감지영역정보가 근거리 감지영역 식별정보가 포함된 경우, 송신 스위치(730)는 복수의 송신 급전포트(P1, P2, P3) 중에서 가장 적은 송신 안테나와 연결된 특정 송신 급전포트(P1)를 선택한다.
설정된 감지영역정보가 중거리 감지영역 식별정보가 포함된 경우, 송신 스위치(730)는 복수의 송신 급전포트(P1, P2, P3) 중에서 그 다음 적은 송신 안테나와 연결된 특정 송신 급전포트(P2)를 선택한다.
설정된 감지영역정보가 장거리 감지영역 식별정보가 포함된 경우, 송신 스위치(730)는 복수의 송신 급전포트(P1, P2, P3) 중에서 가장 많은 송신 안테나와 연결된 특정 송신 급전포트(P3)를 선택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700)가, 설정된 감지영역정보에 따라 복수의 수신 급전포트(P1', P2', P3') 중 특정 수신 급전포트를 선택하여 급전시키는 수신 스위치(8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신호 수신부(860)는, 특정 수신 급전포트(P1', P2', P3')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 안테나부(710)에서 송신된 신호가 주변에서 반사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수신 급전포트(P1', P2', P3') 각각은, 복수의 수신 안테나(R1, R2, R3, R4, R5) 중 하나 이상의 수신 안테나와 연결되되, 연결된 수신 안테나 개수가 서로 다르다. 이는, 특정 감지영역을 더욱 잘 감지하기 위하여, 송신 스위치(730)의 스위칭에 따라 송신 안테나부(710)를 통해 송신된 신호가 주변에서 반사된 신호를 더욱 잘 수신하기 위하여, 감지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송신 측 및 수신 측 각각에 송신 스위치(730) 및 수신 스위치(840)가 포함된 경우, 감지거리(R)와 안테나 구조 특성(송신 안테나 구조 특성, 수신 안테나 구조 특성) 간의 관계와, 감지각도(θ)와 안테나 구조 특성(송신 안테나 구조 특성, 수신 안테나 구조 특성) 간의 관계를 다시 알아본다.
감지거리(R)에 대한 설정 값은 특정 송신 급전포트(P1, P2, P3)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특정 송신 안테나의 송신 안테나 개수와 특정 수신 급전포트(P1', P2', P3')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안테나의 수신 안테나 개수를 곱한 값에 비례한다.
감지각도(θ)에 대한 설정 값은 특정 송신 급전포트(P1, P2, P3)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특정 송신 안테나의 송신 안테나 간격의 역수와 특정 수신 급전포트(P1', P2', P3')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안테나의 수신 안테나 간격의 역수 중 작은 값에 비례한다. 즉, 감지각도(θ)에 대한 설정 값은, 송신 안테나 구조에 의해 결정되는 감지각도와, 수신 안테나 구조에 의해 결정되는 감지각도 중에서 더 좁은 감지각도라는 의미이다.
특정 송신 급전포트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특정 송신 안테나의 송신 안테나 개수와, 특정 수신 급전포트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안테나의 수신 안테나 개수는 동일할 수 있다. 즉, 송신과 수신 각각의 감지영역을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감지영역을 결정하게 되는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안테나 개수와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 개수를 같게 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언급한 복수의 송신 안테나(T1~T5) 및 복수의 수신 안테나(R1~R5) 각각은,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700)는, 차량 등에 장착될 수 있는 레이더 장치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9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900)는, 복수의 송신 안테나(T1~T5)를 포함하는 송신 안테나부(910)와, 복수의 수신 안테나(R1~R5)를 포함하는 수신 안테나부(920)와, 설정된 감지영역정보에 따라 복수의 수신 급전포트(P1', P2', P3') 중 특정 수신 급전포트를 선택하여 급전시키는 스위치(940)와, 복수의 송신 안테나(T1~T5)를 통해 신호를 송신하는 신호 송신부(950)와, 특정 수신 급전포트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된 신호가 주변에서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960) 등을 포함한다.
위에서 언급한 복수의 수신 급전포트(P1', P2', P3') 각각은, 복수의 수신 안테나 중 하나 이상의 수신 안테나와 연결되되, 연결된 하나 이상의 수신 안테나의 수신 안테나 개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감지영역을 감지하기 위하여 각 감지영역별로 별도의 안테나 구조를 구비하지 않고도, 하나의 안테나 구조만을 이용하여 다양한 감지영역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센서(100, 700, 900)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전체 안테나 사이즈가 줄어들어 감지 센서(100, 700, 900)의 사이즈도 작아지고 제조 비용도 적게 드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복수의 송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송신 안테나부;
    복수의 수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수신 안테나부;
    설정된 감지영역정보에 따라 복수의 송신 급전포트 중 특정 송신 급전포트를 선택하여 급전시키는 송신 스위치;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 중에서 상기 특정 송신 급전포트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특정 송신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신하는 신호 송신부; 및
    상기 송신된 신호가 주변에서 반사된 신호를 상기 복수의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송신 급전포트 각각은,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 중 하나 이상의 송신 안테나와 연결되되, 상기 연결된 하나 이상의 송신 안테나의 송신 안테나 개수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감지영역정보는,
    감지거리 및 감지각도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설정 값을 포함하거나, 장거리 감지영역 식별정보, 중거리 감지영역 식별정보 및 근거리 감지영역 식별정보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 센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거리에 대한 설정 값은 상기 특정 송신 급전포트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특정 송신 안테나의 송신 안테나 개수에 비례하고,
    상기 감지각도에 대한 설정 값은 상기 특정 송신 급전포트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특정 송신 안테나의 송신 안테나 간격에 반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 센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는,
    상기 특정 송신 급전포트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특정 송신 안테나의 송신 안테나 개수와 송신 안테나 간격을 곱한 값에 반비례하는 각도 분해 성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 센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설정된 감지영역정보가 근거리 감지영역 식별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복수의 송신 급전포트 중에서 가장 적은 송신 안테나와 연결된 상기 특정 송신 급전포트를 선택하고,
    상기 설정된 감지영역정보가 장거리 감지영역 식별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복수의 송신 급전포트 중에서 가장 많은 송신 안테나와 연결된 상기 특정 송신 급전포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 센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감지영역정보에 따라 복수의 수신 급전포트 중 특정 수신 급전포트를 선택하여 급전시키는 수신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신호 수신부는, 상기 특정 수신 급전포트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안테나를 통해 상기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수신 급전포트 각각은,
    상기 복수의 수신 안테나 중 하나 이상의 수신 안테나와 연결되되, 연결된 수신 안테나 개수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 센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거리에 대한 설정 값은 상기 특정 송신 급전포트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특정 송신 안테나의 송신 안테나 개수와 상기 특정 수신 급전포트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안테나의 수신 안테나 개수를 곱한 값에 비례하고,
    상기 감지각도에 대한 설정 값은 상기 특정 송신 급전포트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특정 송신 안테나의 송신 안테나 간격의 역수와 상기 특정 수신 급전포트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안테나의 수신 안테나 간격의 역수 중 작은 값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 센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송신 급전포트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특정 송신 안테나의 송신 안테나 개수와, 상기 특정 수신 급전포트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안테나의 수신 안테나 개수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 센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 및 상기 복수의 수신 안테나 각각은, 어레이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 센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는 레이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 센서.
  11. 복수의 송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송신 안테나부;
    복수의 수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수신 안테나부;
    설정된 감지영역정보에 따라 복수의 수신 급전포트 중 특정 수신 급전포트를 선택하여 급전시키는 스위치;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신하는 신호 송신부; 및
    상기 특정 수신 급전포트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안테나를 통해, 상기 송신된 신호가 주변에서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수신 급전포트 각각은,
    상기 복수의 수신 안테나 중 하나 이상의 수신 안테나와 연결되되, 상기 연결된 하나 이상의 수신 안테나의 수신 안테나 개수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 센서.
  12.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안테나부;
    설정된 감지영역정보에 따라 복수의 급전포트 중 특정 급전포트를 선택하여 급전시키는 스위치; 및
    상기 특정 급전포트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특정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급전포트 각각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하나 이상의 안테나와 연결되되, 상기 연결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의 안테나 개수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 센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감지영역정보는,
    감지거리 및 감지각도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설정 값을 포함하거나,
    장거리 감지영역 식별정보, 중거리 감지영역 식별정보 및 근거리 감지영역 식별정보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 센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거리에 대한 설정 값은 상기 특정 급전포트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특정 안테나의 안테나 개수에 비례하고,
    상기 감지각도에 대한 설정 값은 상기 특정 급전포트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특정 안테나의 안테나 간격에 반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 센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는,
    상기 특정 급전포트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특정 안테나의 안테나 개수와 안테나 간격을 곱한 값에 반비례하는 각도 분해 성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 센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설정된 감지영역정보가 근거리 감지영역 식별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복수의 급전포트 중에서 가장 적은 안테나와 연결된 상기 특정 급전포트를 선택하고,
    상기 설정된 감지영역정보가 장거리 감지영역 식별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복수의 급전포트 중에서 가장 많은 안테나와 연결된 상기 특정 급전포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 센서.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감지영역 식별정보는 근거리 감지거리 및 근거리 감지각도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중거리 감지영역 식별정보는 중거리 감지거리 및 중거리 감지각도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장거리 감지영역 식별정보는 장거리 감지거리 및 장거리 감지각도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장거리 감지거리가 가장 길고 상기 근거리 감지거리가 가장 짧으며,
    상기 장거리 감지각도가 가장 좁은 각도이고 상기 근거리 감지각도가 가장 넓은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 센서.
KR1020110007155A 2011-01-25 2011-01-25 감지 센서 KR101223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155A KR101223804B1 (ko) 2011-01-25 2011-01-25 감지 센서
DE102012001069.9A DE102012001069B4 (de) 2011-01-25 2012-01-20 Erfassungsensor
CN201210051971.XA CN102621545B (zh) 2011-01-25 2012-01-20 检测传感器
US13/357,387 US9035818B2 (en) 2011-01-25 2012-01-24 Detection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155A KR101223804B1 (ko) 2011-01-25 2011-01-25 감지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989A true KR20120085989A (ko) 2012-08-02
KR101223804B1 KR101223804B1 (ko) 2013-01-17

Family

ID=46511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7155A KR101223804B1 (ko) 2011-01-25 2011-01-25 감지 센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35818B2 (ko)
KR (1) KR101223804B1 (ko)
CN (1) CN102621545B (ko)
DE (1) DE102012001069B4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017B1 (ko) * 2012-11-30 2013-04-08 주식회사 그리니스 듀얼포트를 구비한 센서모듈
WO2017039161A1 (ko) * 2015-08-31 2017-03-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레이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레이더 장치
KR20170028598A (ko) * 2015-09-04 2017-03-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패치 어레이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이더 신호 송수신 장치
KR20170056219A (ko) * 2015-11-13 2017-05-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패치 어레이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이더 신호 송수신 장치
KR20180060341A (ko) * 2016-11-28 2018-06-07 주식회사 만도 레이더 장치 및 그를 위한 안테나 장치
KR20190139392A (ko) * 2018-06-08 2019-12-18 주식회사 만도 안테나 어레이 및 이를 이용한 레이더 장치
CN114280380A (zh) * 2021-12-06 2022-04-05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三十八研究所 导引头测试转台
KR102407898B1 (ko) * 2021-12-09 2022-06-13 주식회사 엠티오메가 넓은 빔폭을 출력하기 위한 블랙 박스용 안테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225B1 (ko) * 2013-03-20 2015-07-06 주식회사 만도 레이더 장치
US9843098B2 (en) * 2014-05-01 2017-12-12 Raytheon Company Interleaved electronically scanned arrays
FR3039328B1 (fr) 2015-07-22 2017-08-25 Thales Sa Dispositif radioelectrique d'emission-reception d'ondes radioelectriques et systeme de radio altimetrie associe
KR101890352B1 (ko) * 2015-12-11 2018-08-21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레이더 장치 및 그의 고스트 제거 방법
DE102016215437A1 (de) * 2016-08-18 2018-02-22 Audi Ag Radarsensor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Radarsensor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DE102017206944A1 (de) 2017-04-25 2018-10-25 Audi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s Radarsensors in einem Kraftfahrzeug, Radarsensor und Kraftfahrzeug
KR102516365B1 (ko) * 2018-05-25 2023-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용 radar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00095703A (ko) 2019-02-01 2020-08-11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레이더 센서장치 및 물체 감지방법과 그를 위한 안테나 장치
KR102279957B1 (ko) * 2019-07-08 2021-07-22 주식회사 이엠텍 휴대용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에어로졸 형성기재 감지 구조 및 방법
FR3123162B1 (fr) * 2021-05-20 2024-02-16 Thales Sa Antenne a réseau de distribution lacunair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5418B2 (ja) * 1990-02-19 1998-08-13 日本電気株式会社 合成開口レーダ装置
JP4403653B2 (ja) 2000-10-24 2010-01-27 ソニー株式会社 多用途ソフトウエア規定型無線通信装置
US6995730B2 (en) * 2001-08-16 2006-02-07 Raytheon Company Antenna configurations for reduced radar complexity
US6750810B2 (en) * 2001-12-18 2004-06-15 Hitachi, Ltd. Monopulse radar system
JP2003248055A (ja) 2001-12-18 2003-09-05 Hitachi Ltd モノパルスレーダシステム
DE10261027A1 (de) 2002-12-24 2004-07-08 Robert Bosch Gmbh Winkelauflösendes Antennensystem
DE102004059915A1 (de) 2004-12-13 2006-06-14 Robert Bosch Gmbh Radarsystem
JP2009265007A (ja) 2008-04-28 2009-11-12 Hitachi Ltd 移動体用レーダ及び平面アンテナ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017B1 (ko) * 2012-11-30 2013-04-08 주식회사 그리니스 듀얼포트를 구비한 센서모듈
WO2017039161A1 (ko) * 2015-08-31 2017-03-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레이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레이더 장치
US10684355B2 (en) 2015-08-31 2020-06-16 Lg Innotek Co., Ltd. Radar module, and vehicle radar device comprising same
KR20170028598A (ko) * 2015-09-04 2017-03-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패치 어레이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이더 신호 송수신 장치
KR20170056219A (ko) * 2015-11-13 2017-05-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패치 어레이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이더 신호 송수신 장치
KR20180060341A (ko) * 2016-11-28 2018-06-07 주식회사 만도 레이더 장치 및 그를 위한 안테나 장치
KR20190139392A (ko) * 2018-06-08 2019-12-18 주식회사 만도 안테나 어레이 및 이를 이용한 레이더 장치
CN114280380A (zh) * 2021-12-06 2022-04-05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三十八研究所 导引头测试转台
CN114280380B (zh) * 2021-12-06 2023-06-20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三十八研究所 导引头测试转台
KR102407898B1 (ko) * 2021-12-09 2022-06-13 주식회사 엠티오메가 넓은 빔폭을 출력하기 위한 블랙 박스용 안테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21545A (zh) 2012-08-01
DE102012001069A1 (de) 2012-08-02
KR101223804B1 (ko) 2013-01-17
US20120188117A1 (en) 2012-07-26
DE102012001069B4 (de) 2022-08-25
CN102621545B (zh) 2014-10-29
US9035818B2 (en) 2015-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804B1 (ko) 감지 센서
US10197671B2 (en) Virtual radar configuration for 2D array
CN108120957B (zh) 雷达装置及其天线装置
KR102662232B1 (ko) 다중입력 다중출력 안테나부를 포함하는 레이더 장치
US10270166B2 (en) Radar and method for switching to enable array antenna
KR101477909B1 (ko) 레이더 장치 및 안테나 장치
KR102232075B1 (ko) 레이더 장치 및 레이더 장치에 이용되는 안테나 장치
KR102662238B1 (ko) 레이더 장치 및 그를 위한 안테나 장치
ITBO20090046A1 (it) Sistema di posizionamento per veicoli a guida automatica funzionante a radio frequenza con antenne direttive
KR102276975B1 (ko) 레이더 장치 및 레이더 장치에 이용되는 안테나 장치
KR20110126939A (ko) 통합 레이더 시스템 및 차량 제어 시스템
CN103097909A (zh) 多程雷达系统
JP5472187B2 (ja) アンテナ装置
CN112136060B (zh) 用于机动车的mimo雷达传感器
US201203198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rimination of RFID Tags
EP4253993A1 (en) Radar having multiple antennas arranged in horizontal and vertical intervals
KR20140109760A (ko) 능동 역지향성 무선통신장치
US10151825B2 (en) Radar detection system
CN111180905B (zh) 阵列天线布阵和汽车
US20190310346A1 (en) Nonlinear array antenna radar and method thereof
US9697394B2 (en) RFID tag system and RFID reader/writer
KR102496065B1 (ko) 레이더 장치 및 레이더 장치에 이용되는 안테나 장치
US11251542B2 (en) Antenna array for a radar sensor
JP2009111510A (ja) Rfid用無指向性アンテナ
CN110581366A (zh) 天线阵列和使用该天线阵列的雷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