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5580A - 의자용 접이식 얼굴가리개 - Google Patents

의자용 접이식 얼굴가리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5580A
KR20120085580A KR1020110007003A KR20110007003A KR20120085580A KR 20120085580 A KR20120085580 A KR 20120085580A KR 1020110007003 A KR1020110007003 A KR 1020110007003A KR 20110007003 A KR20110007003 A KR 20110007003A KR 20120085580 A KR20120085580 A KR 20120085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chair
frame
hinge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7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7776B1 (ko
Inventor
배상민
아유브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10007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7776B1/ko
Publication of KR20120085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5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4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 A47C1/11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eats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4Seat parts with dou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3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coil springs
    • A47C7/4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coil springs of torsion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용 접이식 얼굴가리개에 관한 것으로, 제 1레그에 지지되는 제 1상판부와 이 제 1상판부에 탄성적으로 뉘어지게 연결되는 제 1등받이를 구비하는 제 1의자, 이 제 1레그에 연결되는 연결축부재, 이 연결축부재에 제 2레그를 연결하고 제 2레그에 지지되는 제 2상판부에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제 1등받이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제 2등받이를 구비하는 제 2의자, 및 이 제 1등받이에 접을 수 있도록 연결되어 제 2등받이의 기울어짐 시 펼쳐지며 제 2의자에 누운 사람의 얼굴을 가리는 제 1가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적어도 한 쌍의 의자를 서로 등지게 배열한 채 서로 유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마주하는 의자 중 어느 하나의 등받이를 젖히고 나서 상대측에서 세워진 의자의 등받이에 구비된 가림판으로 젖혀진 등받이에 누운 사용자의 얼굴을 가릴 수 있어 좁은 공간에 번갈아 안락의자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자용 접이식 얼굴가리개{FOLDABLE FACE-VISOR FOR CHAIR}
본 발명은 의자용 접이식 얼굴가리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한 쌍의 의자를 서로 등지게 배열한 채 서로 유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마주하는 의자 중 어느 하나의 등받이를 젖히고 나서 상대측에서 세워진 의자의 등받이에 구비된 가림판으로 젖혀진 등받이에 누운 사용자의 얼굴을 가릴 수 있어 좁은 공간에 번갈아 안락의자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의자용 접이식 얼굴가리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공기, 선박, 차량 등의 운송수단 내 또는 대합실 등에 설치되는 의자는 승객의 편의를 위하여 등받이가 뒤로 젖혀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의자는 승객이 장거리 여행 중에 편안한 휴식과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고 있지만 얼굴이 빛이나 소리에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해안가 또는 주택 내에서 일광욕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의자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특히, 승객의 편의를 제공하는 의자의 경우에는 승객이 주간과 야간에 휴식이나 수면을 취할 때 얼굴에 햇빛 또는 조명이 비추어 자극을 주게 되고 주위의 움직임 또는 소리에 대한 시각과 청각상의 자극을 주게 되어 의자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지장을 초래하고 있었다. 그래서 이러한 것에 예민한 사람의 경우에는 신문지나 손수건 등으로 얼굴을 가리는 경우가 많았다.
기존의 편의 제공용 의자는 얼굴가리개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아 예민한 사람의 경우 신문지나 손수건 등으로 얼굴을 가림으로써 불쾌감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적어도 한 쌍의 의자를 서로 등지게 배열한 채 마주하는 레그를 연결축부재로 구속하여 서로 유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마주하는 의자 중 어느 하나의 등받이를 젖히고 나서 상대측에서 세워진 등받이에 구비된 가림판으로 젖혀진 등받이에 누운 사용자의 얼굴을 가릴 수 있어 좁은 공간에 번갈아 안락의자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의자용 접이식 얼굴가리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서로 구속된 의자 각각의 팔걸이에 대응되는 등받이의 젖힘상태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사용하고 있는 의자의 등받이 젖힘 가능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의자용 접이식 얼굴가리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접이식 얼굴가리개는: 제 1레그에 지지되는 제 1상판부와 이 제 1상판부에 탄성적으로 뉘어지게 연결되는 제 1등받이를 구비하는 제 1의자, 이 제 1레그에 연결되는 연결축부재, 이 연결축부재에 제 2레그를 연결하고 제 2레그에 지지되는 제 2상판부에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제 1등받이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제 2등받이를 구비하는 제 2의자, 및 이 제 1등받이에 접을 수 있도록 연결되어 제 2등받이의 기울어짐 시 펼쳐지며 제 2의자에 누운 사람의 얼굴을 가리는 제 1가림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가림부는, 상기 제 1등받이의 양측에 힌지 연결되는 제 1힌지노브, 한 쌍의 상기 제 1힌지노브의 동일측 단부를 연결하는 제 1커넥팅로드, 및 상기 제 1커넥팅로드를 축 삽입되어 상기 제 1등받이의 후측에 위치하고, 양측 가장자리를 대응되는 상기 제 1힌지노브에 접함으로써 억지 회동되며 사람의 얼굴을 가리는 제 1가림판을 포함한다.
상기 제 2등받이는 상기 제 1등받이의 기울어짐 시 펼쳐지며 상기 제 1의자에 누운 사람의 얼굴을 가리는 제 2가림부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가림부는, 상기 제 2등받이의 양측에 힌지 연결되는 제 2힌지노브, 한 쌍의 상기 제 2힌지노브의 동일측 단부를 연결하는 제 2커넥팅로드, 및 상기 제 2커넥팅로드를 축 삽입되어 상기 제 2등받이의 후측에 위치고, 양측 가장자리를 대응되는 상기 제 2힌지노브에 접함으로써 억지 회동되며 사람의 얼굴을 가리는 제 2가림판을 포함한다.
상기 제 1상판부는, 상기 제 1레그에 직접적으로 지지되고 양측 가장자리에 전후방향을 따라 장방형으로 통공되는 제 1슬롯홀을 갖는 제 1베이스프레임, 상기 제 1베이스프레임의 후측과 제 1힌지축으로 연결되어 탄성적으로 뉘어지고 상기 제 1등받이를 지지하는 제 1등받이프레임, 및 상기 제 1베이스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고, 마주하는 상기 제 1슬롯홀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 1이동축을 갖는 제 1좌판프레임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 2상판부는, 상기 제 2레그에 직접적으로 지지되고 양측 가장자리에 전후방향을 따라 장방형으로 통공되는 제 2슬롯홀을 갖는 제 2베이스프레임, 상기 제 2베이스프레임의 후측과 제 2힌지축으로 연결되어 탄성적으로 뉘어지고 상기 제 2등받이를 지지하는 제 2등받이프레임, 상기 제 2베이스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고, 마주하는 상기 제 2슬롯홀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 2이동축을 갖는 제 2좌판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제 1좌판프레임은 상기 제 1등받이프레임의 뉘어짐에 연동되어 전진하고, 상기 제 2좌판프레임은 상기 제 2등받이프레임의 뉘어짐에 연동되어 전진하며, 상기 제 1슬롯홀과 상기 제 2슬롯홀은 대응되는 상기 제 1이동축과 상기 제 2이동축의 초기 상태에서 압접되는 압접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 1등받이에 구비된 제 1팔걸이와 상기 제 2등받이에 구비된 제 2팔걸이는 대응되는 상기 압접센서의 신호에 따라 다른 색상을 나타내는 표시부재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접이식 얼굴가리개는 종래 기술과 달리 적어도 한 쌍의 의자를 서로 등지게 배열한 채 마주하는 레그를 연결축부재로 구속하여 서로 유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마주하는 의자 중 어느 하나의 등받이를 젖히고 나서 상대측에서 세워진 등받이에 구비된 가림판으로 젖혀진 등받이에 누운 사용자의 얼굴을 가릴 수 있어 좁은 공간에 번갈아 안락의자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서로 구속된 의자 각각의 팔걸이에 대응되는 등받이의 젖힘상태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사용하고 있는 의자의 등받이 젖힘 가능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얼굴가리개의 접힌 상태에서 서로 연결된 한 쌍의 의자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연결된 한 쌍의 의자 중 어느 한 의자의 등받이를 기울여 접이식 얼굴가리개를 펼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얼굴가리개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얼굴가리개를 갖는 의자의 상판 슬라이드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접이식 얼굴가리개의 등받이 기울어짐 상태 확인을 위한 센서의 작동 상태를 보인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접이식 얼굴가리개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얼굴가리개의 접힌 상태에서 서로 연결된 한 쌍의 의자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연결된 한 쌍의 의자 중 어느 한 의자의 등받이를 기울여 접이식 얼굴가리개를 펼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얼굴가리개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얼굴가리개를 갖는 의자의 상판 슬라이드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접이식 얼굴가리개의 등받이 기울어짐 상태 확인을 위한 센서의 작동 상태를 보인 작동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접이식 얼굴가리개는 제 1의자(100), 연결축부재(300), 제 2의자(200), 제 1가림부(400) 및 제 2가림부(500)를 포함한다.
제 1의자(100)는 제 1레그(110), 제 1상판부(120) 및 제 1등받이(130)를 포함한다.
특히, 제 1레그(110)는 제 1의자(100)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제 1상판부(120)와 제 1등받이(1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제 1레그(1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제 1상판부(120)는 제 1레그(110)에 지지되고, 제 1의자(100)에 착석하는 사용자에 좌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제 1상판부(1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제 1등받이(130)는 제 1상판부(120)에 앉은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제 1상판부(120)에 대해 탄성적으로 휘어지며 뉘어질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제 1등받이(13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제 2의자(200)는, 제 1의자(100)와 마찬가지로, 제 2레그(210), 제 2상판부(220) 및 제 2등받이(230)를 포함한다.
특히, 제 2레그(210)는 제 2의자(200)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제 2상판부(220)와 제 2등받이(2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제 2레그(2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제 2상판부(220)는 제 2레그(210)에 지지되고, 제 2의자(200)에 착석하는 사용자에 좌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제 2상판부(2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제 2등받이(230)는 제 2상판부(220)에 앉은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제 2상판부(220)에 대해 탄성적으로 휘어지며 뉘어질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제 2등받이(23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연결축부재(300)는 일측을 제 1레그(110)에 연결하고, 타측을 제 2레그(210)에 연결한다. 그래서, 제 1의자(100)와 제 2의자(200)는 연결축부재(300)에 의해 서로 구속된다. 즉, 제 1의자(100)와 제 2의자(200)는 연결축부재(300)에 의해 서로 유격된 거리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연결축부재(300)에 의해 연결된 제 1의자(100)와 제 2의자(200)는 제 1등받이(130)와 제 2등받이(230)끼리 등지게 배치된다. 그래서, 제 1의자(100)에 앉은 사용자와 제 2의자(200)에 앉는 사용자는 서로 등을 마주본다.
특히, 제 1의자(100)와 제 2의자(200)는 연결축부재(300)에 구속되고 연결축부재(300)는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소의 길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 1의자(100)와 제 2의자(200)가 배치되는 공간은 최소화될 수 있다. 여기서, '최소의 길이'는 뉘어진 제 1등받이(130)가 세워진 제 2등받이(230)에 간섭을 주지 않는 정도의 거리를 말한다.
물론, 연결축부재(30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고,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방식에 의해 제 1레그(110)와 제 2레그(210)에 연결된다. 이때, 연결축부재(300)는 제 1레그(110)와 제 2레그(21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 1의자(100)와 제 2의자(200)는 각각 동일 개수로 복수 개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연결축부재(300)로 구속될 수 있으나, 편의상, 하나씩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또한, 제 1가림부(400)는 제 1등받이(130)의 후측에서 접었다가 펼 수 있도록 구비되어 기울어진(뉘어진) 제 2등받이(230)에 누운 사람의 얼굴을 가리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서, 제 1가림부(400)는 제 1등받이(130)에 접을 수 있도록 연결되어 제 2등받이(230)의 기울어짐 시 펼쳐지며 제 2의자(200)에 누운 사람의 얼굴을 가리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 1가림부(400)는 제 1힌지노브(410), 제 1커넥팅로드(420) 및 제 1가림판(430)을 포함한다.
도 3에서처럼, 제 1힌지노브(410)는 제 1등받이(130)의 양측에 힌지 연결된다. 즉, 제 1힌지노브(410)는 제 1등받이(13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제 1등받이(130)와 연결되는 힌지점을 기준으로 호 궤적을 따라 회동하게 된다. 제 1힌지노브(410)는 한 쌍 구비된다. 물론, 제 1힌지노브(410)는 피벗축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제 1등받이(130)의 양측에 각각 힌지 연결되고, 제 1등받이(130)에 대해 억지 회동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제 1힌지노브(4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제 1커넥팅로드(420)는 한 쌍의 제 1힌지노브(410)의 동일측 단부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제 1커넥팅로드(420)가 일정 궤적을 따라 강제로 이동하게 되면, 한 쌍의 제 1힌지노브(410)는 강제로 제 1커넥팅로드(420)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 1힌지노브(410)가 호 궤적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제 1커넥팅로드(420)는 호 궤적을 따라 왕복 이동하게 된다. 물론, 제 1커넥팅로드(420)는 양측이 대응되는 제 1힌지노브(41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제 1가림판(430)은 제 1커넥팅로드(420)를 축 삽입되어 제 1등받이(130)의 후측에 위치하게 된다. 즉, 제 1가림판(430)은 판(板)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 가장자리에 제 1커넥팅로드(420)를 축 삽입하게 된다. 물론, 제 1가림판(430)이 제 1커넥팅로드(42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려면, 제 1커넥팅로드(420)는 제 1힌지노브(41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1가림판(430)은 양측 가장자리를 대응되는 제 1힌지노브(410)에 접함으로써 억지 회동됨이 바람직하며, 제 2의자(200)에 누운 사람의 얼굴을 가리는 역할을 한다.
제 1가림판(430)이 제 1등받이(130)의 후측에 위치하여 펼쳐지며 사람의 얼굴 상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 1힌지노브(410), 제 1커넥팅로드(420) 및 제 1가림판(430)은 임의적으로 회동되지 않고 억지 회동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제 1가림판(430)은 다양한 형상,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한편, 제 2가림부(500)는 제 2등받이(230)의 후측에서 접었다가 펼 수 있도록 구비되어 기울어진(뉘어진) 제 1등받이(130)에 누운 사람의 얼굴을 가리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서, 제 2가림부(500)는 제 2등받이(230)에 구비되어 제 1등받이(130)의 기울어짐 시 펼쳐지며 제 1의자(100)에 누운 사람의 얼굴을 가리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 2가림부(500)는 제 2힌지노브(510), 제 2커넥팅로드(520) 및 제 2가림판(530)을 포함한다.
제 2힌지노브(510)는 제 2등받이(230)의 양측에 힌지 연결된다. 즉, 제 2힌지노브(510)는 제 2등받이(23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제 2등받이(230)와 연결되는 힌지점을 기준으로 호 궤적을 따라 회동하게 된다. 제 2힌지노브(510)는 한 쌍 구비된다. 물론, 제 2힌지노브(510)는 피벗축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제 2등받이(230)의 양측에 각각 힌지 연결되고, 제 2등받이(230)에 대해 억지 회동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제 2힌지노브(5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제 2커넥팅로드(520)는 한 쌍의 제 2힌지노브(510)의 동일측 단부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제 2커넥팅로드(520)가 일정 궤적을 따라 강제로 이동하게 되면, 한 쌍의 제 2힌지노브(510)는 강제로 제 2커넥팅로드(520)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 2힌지노브(510)가 호 궤적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제 2커넥팅로드(520)는 호 궤적을 따라 왕복 이동하게 된다. 물론, 제 2커넥팅로드(520)는 양측이 대응되는 제 2힌지노브(51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제 2가림판(530)은 제 2커넥팅로드(520)를 축 삽입되어 제 2등받이(230)의 후측에 위치하게 된다. 즉, 제 2가림판(530)은 판(板)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 가장자리에 제 2커넥팅로드(520)를 축 삽입하게 된다. 물론, 제 2가림판(530)이 제 2커넥팅로드(52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려면, 제 2커넥팅로드(520)는 제 2힌지노브(51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2가림판(530)은 양측 가장자리를 대응되는 제 2힌지노브(510)에 접함으로써 억지 회동됨이 바람직하며, 제 1의자(100)에 누운 사람의 얼굴을 가리는 역할을 한다.
제 2가림판(530)이 제 2등받이(230)의 후측에 위치하여 펼쳐지며 사람의 얼굴 상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 2힌지노브(510), 제 2커넥팅로드(520) 및 제 2가림판(530)은 임의적으로 회동되지 않고 억지 회동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제 2가림판(530)은 다양한 형상,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한편, 제 1상판부(120)는 전후진 슬라이드 이송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 1상판부(120)에 앉은 사용자가 허리힘으로 제 1등받이(130)를 밀어 눕고자 할 때 제 1등받이(130)가 뉘어지면서 제 1상판부(120)가 전진됨에 따라 사용자가 편히 누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로, 제 2상판부(220)는 전후진 슬라이드 이송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 2상판부(220)에 앉은 사용자가 허리힘으로 제 2등받이(230)를 밀어 눕고자 할 때 제 2등받이(230)가 뉘어지면서 제 2상판부(220)가 전진됨에 따라 사용자가 편히 누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에서처럼, 제 1상판부(120)는 제 1베이스프레임(121), 제 1등받이프레임(123) 및 제 1좌판프레임(125)을 포함한다.
제 1베이스프레임(121)은 제 1레그(110)에 연결되어 제 1레그(110)에 직접적으로 지지되고, 마주하는 양측 가장자리에 전후방향을 따라 장방형으로 통공되는 제 1슬롯홀(122)을 구비한다. 이때, 제 1베이스프레임(121)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제 1슬롯홀(122)은 제 1좌판프레임(125)의 전후진되는 방향에 대해 제 1베이스프레임(121)의 전후측 상부에 서로 마주하게 각각 구비될 수도 있고, 제 1베이스프레임(121)의 전측 또는 후측 상부에 서로 마주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제 1슬롯홀(122)은 제 1좌판프레임(125)의 전후진되는 방향을 따라 장방형으로 통공된다.
여기서, '전진방향'은 등지고 있는 제 1의자(100) 또는 제 2의자(200)와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진방향'은 등지고 있는 제 1의자(100) 또는 제 2의자(200)와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제 1등받이프레임(123)은 제 1등받이(130)의 뼈대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제 1베이스프레임(121)에 힌지 연결되어 미는 힘에 의해 탄성적으로 뉘어지게 된다. 그래서, 제 1등받이프레임(123)과 제 1등받이(130)는 미는 힘의 제거시 자동적으로 탄성 복원된다. 특히, 제 1등받이프레임(123)과 제 1베이스프레임(121)은 제 1힌지축(124)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 1힌지축(124)은 제 1베이스프레임(121)의 후측에 구비되어 제 1등받이프레임(123)을 힌지 연결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 1좌판프레임(125)은 제 1베이스프레임(121)의 상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 1좌판프레임(125)은 제 1레그(110)에 고정된 제 1베이스프레임(121)을 따라 전후진 이동 안내된다. 즉, 제 1좌판프레임(125)은 양측으로 돌출되게 제 1이동축(126)을 구비하고, 제 1이동축(126)이 마주하는 제 1슬롯홀(122)에 일대일로 삽입되어 이송 안내된다. 따라서, 제 1좌판프레임(125)은 제 1베이스프레임(121)에 대해 전후진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제 1이동축(126)은 제 1좌판프레임(125)에 삽입되는 축 형상일 수도 있고, 제 1좌판프레임(125)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돌기 형상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 1좌판프레임(125)은 제 1베이스프레임(121)에 대해 강제로 왕복 이동된다.
한편, 제 2상판부(220)는 제 2베이스프레임(221), 제 2등받이프레임(223) 및 제 2좌판프레임(225)을 포함한다.
제 2베이스프레임(221)은 제 2레그(210)에 연결되어 제 2레그(210)에 직접적으로 지지되고, 마주하는 양측 가장자리에 전후방향을 따라 장방형으로 통공되는 제 2슬롯홀(222)을 구비한다. 이때, 제 2베이스프레임(221)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제 2슬롯홀(222)은 제 2좌판프레임(225)의 전후진되는 방향에 대해 제 2베이스프레임(221)의 전후측 상부에 서로 마주하게 각각 구비될 수도 있고, 제 2베이스프레임(221)의 전측 또는 후측 상부에 서로 마주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제 2슬롯홀(222)은 제 2좌판프레임(225)의 전후진되는 방향을 따라 장방형으로 통공된다.
또한, 제 2등받이프레임(223)은 제 2등받이(230)의 뼈대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제 2베이스프레임(221)에 힌지 연결되어 미는 힘에 의해 탄성적으로 뉘어지게 된다. 그래서, 제 2등받이프레임(223)과 제 2등받이(230)는 미는 힘의 제거시 자동적으로 탄성 복원된다. 특히, 제 2등받이프레임(223)과 제 2베이스프레임(221)은 제 2힌지축(224)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 2힌지축(224)은 제 2베이스프레임(221)의 후측에 구비되어 제 2등받이프레임(223)을 힌지 연결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 2좌판프레임(225)은 제 2베이스프레임(221)의 상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 2좌판프레임(225)은 제 2레그(210)에 고정된 제 2베이스프레임(221)을 따라 전후진 이동 안내된다. 즉, 제 2좌판프레임(225)은 양측으로 돌출되게 제 2이동축(226)을 구비하고, 제 2이동축(226)이 마주하는 제 2슬롯홀(222)에 일대일로 삽입되어 이송 안내된다. 따라서, 제 2좌판프레임(225)은 제 2베이스프레임(221)에 대해 전후진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제 2이동축(226)은 제 2좌판프레임(225)에 삽입되는 축 형상일 수도 있고, 제 2좌판프레임(225)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돌기 형상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 2좌판프레임(225)은 제 2베이스프레임(221)에 대해 강제로 왕복 이동된다.
특히, 제 1좌판프레임(125)은 제 1등받이프레임(123)의 뉘어짐에 연동되어 전진함이 바람직하고, 제 2좌판프레임(225)은 제 2등받이프레임(223)의 뉘어짐에 연동되어 전진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연동'은 제 1등받이프레임(123) 또는 제 2등받이프레임(223)을 앉은 사용자가 등으로 밀면서 허벅지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제 1좌판프레임(125) 또는 제 2좌판프레임(225)을 전측으로 미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제 1등받이프레임(123)이 뉘어질 경우, 제 2등받이프레임(223)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제 2등받이프레임(223)이 뉘어질 경우, 제 1등받이프레임(123)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이는, 제 1등받이프레임(123) 또는 제 2등받이프레임(223)의 뉘어지는 상태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뉘어진 제 1등받이프레임(123) 또는 제 2등받이프레임(223)을 감지해야, 세워진 제 2등받이프레임(223) 또는 제 1등받이프레임(123)이 강제로 뉘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더욱 상세히, 제 1슬롯홀(122)과 제 2슬롯홀(222)은 대응되는 제 1이동축(126)과 제 2이동축(226)의 초기 상태에서 압접되는 압접센서(610)를 구비한다.
즉, 제 1슬롯홀(122)과 제 2슬롯홀(222)에는 다양한 방식으로 압접센서(610)가 부착된다.
이때, 제 1등받이프레임(123)이 세워져 있다면, 제 1이동축(126)이 제 1슬롯홀(122)의 압접센서(610)를 누르게 된다. 반대로, 제 1등받이프레임(123)이 뉘어진다면, 제 1이동축(126)이 제 1슬롯홀(122)의 압접센서(610)를 누르지 않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 2등받이프레임(223)이 세워져 있다면, 제 2이동축(226)이 제 2슬롯홀(222)의 압접센서(610)를 누르게 된다. 반대로, 제 2등받이프레임(223)이 뉘어진다면, 제 2이동축(226)이 제 2슬롯홀(222)의 압접센서(610)를 누르지 않게 된다.
특히, 제 1등받이프레임(123)이 뉘어짐은 제 2의자(200)에 앉은 사용자에게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제 2등받이프레임(223)이 뉘어짐은 제 1의자(100)에 앉은 사용자에게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제 1등받이(130)에 구비된 제 1팔걸이(140)와 제 2등받이(230)에 구비된 제 2팔걸이(240)는 대응되는 압접센서(610)의 신호에 따라 다른 색상을 나타내는 표시부재(620)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 1등받이(130)는 제 1팔걸이(140)를 구비하고, 제 2등받이(230)는 제 2팔걸이(240)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 1팔걸이(140)와 제 2팔걸이(240)는 각각 표시부재(620)를 구비한다. 표시부재(620)는 서로 다른 색상을 발하는 복수 개의 엘이디로 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도 5에서처럼, 제 2등받이프레임(223)이 뉘어지면, 세워진 제 1등받이(130)에 구비된 표시부재(620)는 '붉은빛'을 발하게 된다. 이때, 제 2의자의 표시부재(620)는 '녹색빛'을 발하게 된다.
아울러, 제 1등받이(130)와 제 2등받이(230)가 동시에 세워져 있다면, 제 1팔걸이(140)와 제 2팔걸이(240)의 표시부재(620)는 모두 '녹색빛'을 발하게 된다. 표시부재(620)의 발광 설정은 압접센서(610)와 연결된 제어부(630)에서 제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200: 제 1,2의자 110,210: 제 1,2레그
120,220: 제 1,2상판부 130,230: 제 1,2등받이
140,240: 제 1,2팔걸이 300: 연결축부재
400,500: 제 1,2가림부 610: 압접센서
620: 표시부재

Claims (6)

  1. 제 1레그에 지지되는 제 1상판부와, 상기 제 1상판부에 탄성적으로 뉘어지게 연결되는 제 1등받이를 구비하는 제 1의자;
    상기 제 1레그에 연결되는 연결축부재;
    상기 연결축부재에 제 2레그를 연결하고, 상기 제 2레그에 지지되는 제 2상판부에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1등받이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제 2등받이를 구비하는 제 2의자; 및
    상기 제 1등받이에 접을 수 있도록 연결되어 상기 제 2등받이의 기울어짐 시 펼쳐지며 상기 제 2의자에 누운 사람의 얼굴을 가리는 제 1가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접이식 얼굴가리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림부는,
    상기 제 1등받이의 양측에 힌지 연결되는 제 1힌지노브;
    한 쌍의 상기 제 1힌지노브의 동일측 단부를 연결하는 제 1커넥팅로드; 및
    상기 제 1커넥팅로드를 축 삽입되어 상기 제 1등받이의 후측에 위치하고, 양측 가장자리를 대응되는 상기 제 1힌지노브에 접함으로써 억지 회동되며 사람의 얼굴을 가리는 제 1가림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접이식 얼굴가리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등받이는 상기 제 1등받이의 기울어짐 시 펼쳐지며 상기 제 1의자에 누운 사람의 얼굴을 가리는 제 2가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접이식 얼굴가리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가림부는,
    상기 제 2등받이의 양측에 힌지 연결되는 제 2힌지노브;
    한 쌍의 상기 제 2힌지노브의 동일측 단부를 연결하는 제 2커넥팅로드; 및
    상기 제 2커넥팅로드를 축 삽입되어 상기 제 2등받이의 후측에 위치고, 양측 가장자리를 대응되는 상기 제 2힌지노브에 접함으로써 억지 회동되며 사람의 얼굴을 가리는 제 2가림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접이식 얼굴가리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상판부는, 상기 제 1레그에 직접적으로 지지되고, 양측 가장자리에 전후방향을 따라 장방형으로 통공되는 제 1슬롯홀을 갖는 제 1베이스프레임;
    상기 제 1베이스프레임의 후측과 제 1힌지축으로 연결되어 탄성적으로 뉘어지고, 상기 제 1등받이를 지지하는 제 1등받이프레임; 및
    상기 제 1베이스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고, 마주하는 상기 제 1슬롯홀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 1이동축을 갖는 제 1좌판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상판부는, 상기 제 2레그에 직접적으로 지지되고, 양측 가장자리에 전후방향을 따라 장방형으로 통공되는 제 2슬롯홀을 갖는 제 2베이스프레임;
    상기 제 2베이스프레임의 후측과 제 2힌지축으로 연결되어 탄성적으로 뉘어지고, 상기 제 2등받이를 지지하는 제 2등받이프레임; 및
    상기 제 2베이스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고, 마주하는 상기 제 2슬롯홀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 2이동축을 갖는 제 2좌판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접이식 얼굴가리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좌판프레임은 상기 제 1등받이프레임의 뉘어짐에 연동되어 전진하고;
    상기 제 2좌판프레임은 상기 제 2등받이프레임의 뉘어짐에 연동되어 전진하며;
    상기 제 1슬롯홀과 상기 제 2슬롯홀은 대응되는 상기 제 1이동축과 상기 제 2이동축의 초기 상태에서 압접되는 압접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 1등받이에 구비된 제 1팔걸이와 상기 제 2등받이에 구비된 제 2팔걸이는 대응되는 상기 압접센서의 신호에 따라 다른 색상을 나타내는 표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접이식 얼굴가리개.
KR1020110007003A 2011-01-24 2011-01-24 의자용 접이식 얼굴가리개 KR101207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003A KR101207776B1 (ko) 2011-01-24 2011-01-24 의자용 접이식 얼굴가리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003A KR101207776B1 (ko) 2011-01-24 2011-01-24 의자용 접이식 얼굴가리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580A true KR20120085580A (ko) 2012-08-01
KR101207776B1 KR101207776B1 (ko) 2012-12-04

Family

ID=46871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7003A KR101207776B1 (ko) 2011-01-24 2011-01-24 의자용 접이식 얼굴가리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77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212B1 (ko) 2014-02-27 2015-03-17 김인송 머리 받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090Y1 (ko) 1999-06-15 2000-02-15 손은숙 의자부설용 얼굴가리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7776B1 (ko) 2012-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5785B2 (en) Ergonomic productivity workstation having coordinated and harmonized movement of head rest, backrest, seat, leg rest, arm rests, monitor support, and work trays through sitting, standing, and reclining configurations
JP5952957B2 (ja) 航空機のプレミアムクラス乗客用スイート
JP5952956B2 (ja) 独立したシート領域を有するプレミアムクラス航空機乗客用スイート
JP7159269B2 (ja) パネル付き椅子ユニット
KR20130002526U (ko) 사무용리클라이너
JP2020058832A5 (ko)
US20050264058A1 (en) Seat backrest for the crew rest compartment of an aircraft
US20150230609A1 (en) Convertible Chair
KR101207776B1 (ko) 의자용 접이식 얼굴가리개
JP6705657B2 (ja) 椅子ユニット及び家具装置並びに中間ユニット
CN108323976A (zh) 一种便携式椅垫及一种椅子
KR101515164B1 (ko) 의자용 헤드레스트
KR20040023115A (ko) 의자
JPH11321795A (ja) 航空機用座席装置
US20090127892A1 (en) Chair capable of being adjusted as a chaise
KR101560494B1 (ko) 접이식 의자 시트의 굴곡방지장치
JP2017131572A (ja) 複合家具及びその組み合わせ
JP6942838B2 (ja) 家具装置
JP2004261471A (ja) 作業環境構成什器
US20180132618A1 (en) Convertible Chair
KR200414598Y1 (ko) 접이식 의자용 팔걸이구조
KR20160073582A (ko) 팔받침 부재를 이용한 접이식 의자
JP2020108827A (ja) 椅子ユニット
JP6338213B2 (ja) 椅子
JP2024093829A (ja) 椅子及びこれに使用する背もたれ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