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4850A - 접시형 스프링을 이용한 스프링클러 헤드 - Google Patents

접시형 스프링을 이용한 스프링클러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4850A
KR20120084850A KR1020110006133A KR20110006133A KR20120084850A KR 20120084850 A KR20120084850 A KR 20120084850A KR 1020110006133 A KR1020110006133 A KR 1020110006133A KR 20110006133 A KR20110006133 A KR 20110006133A KR 20120084850 A KR20120084850 A KR 20120084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kler head
double
spring
pla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6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1641B1 (ko
Inventor
김교연
Original Assignee
김교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교연 filed Critical 김교연
Priority to KR1020110006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1641B1/ko
Publication of KR20120084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4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62C37/12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with fusible lin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 헤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실내 온도에 의해 이중 열전도체 내부의 납이 용융되면 이중 열전도체가 분리되고 접시형 스프링이 복원력에 의하여 바디의 하부 걸림턱을 이탈함과 동시에 디플렉터가 하강하여 소화수를 분사한다.
평상시 스프링클러 헤드가 천장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비상시 실내 온도에 신속하게 반응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에 관한 것이다.
본 스프링클러 헤드는, 배관과 연결된 방수로에 결합되는 밀폐막; 상기 밀폐막 종단에 결합되는 디프렉터; 접시형 스프링, 이중 열전도체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고, 이중 열전도체가 접시형 스프링을 외측방향으로 밀어 외측방향으로 팽창시키고 접시형 스프링 하방이 상기 바디의 하부에 결합되는 스프링클러 헤드; 및 상기 바디에 내장되며, 상기 프레임의 방출구를 막고, 퓨즈박스에 의해 지지되는 디플렉터를 포함하여, 상기 이중 열전도체의 납이 외부열에 의해 용융되면, 접시형 스프링이 안쪽방향으로 수축되어 이탈,
박스의 결합이 해체되는 스프링클러 헤드를 포함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 헤드는 이중 열전도체와 접시형 스프링의 압축결합을 통해 평상시 그 크기를 줄임으로써, 스프링클러 헤드가 천장재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건축물의 실내 인테리어를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바디와 박스간에 형성된 스프링의 복원력을 이용하며, 마감 열전도체를 사용함으로써 평상 시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전 사고를 방지 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접시형 스프링을 이용한 스프링클러 헤드{Disk spring type sprinkler head}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 헤드에 관한 것으로, 실내 온도조건에 의해 이중 열전도체 사이에 용접된 납이 용융되면 이중 열전도체가 분리되고 접시형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접시형 스프링이 이탈함과 동시에 접시형 스프링이 내부로 유입되어 이중 열전도체, 접시형 스프링 등이 바디의 걸림턱을 이탈하며 수압에 의해 디플렉터가 하강하여 소화수를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작동하는 것으로 접시형 스프링과 이중 열전도체가 압축된 형태를 유지하여 평상시 스프링클러 헤드가 천장재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집열판을 바디 하단에 납으로 용접하여 평상 시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일반적으로 불의의 화재 발생 시 초기에 화재를 진압하기 위하여 일정한 규모 이상의 고층빌딩이나 공장 건축물 등에는 스프링클러가 의무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소화용 스프링클러의 설치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설치방법과 사용목적에 따라 그 용도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스프링클러 헤드의 모양에 따라서 천장의 높이 제한과 그에 따른 오동작이 발생되어 항상 문제점들이 수반되었다.
종래의 스프링클러 헤드는 방수로의 좌우에 두 개의 기둥(프레임)으로 형성되고, 기둥 접지 점 하단에 물 분사판을 고정식으로 부착하며, 두 개의 기둥 사이에 방수로 막음판과 감열체(Glass Bulb)를 조립하여 완성된다.
이러한 형태의 스프링클러 헤드는 양쪽 기둥의 중앙에 조립된 감열체의 보호망이 없으므로 취급과정이나 설치 후에도 충격으로부터 쉽게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나, 종래의 내장형 스프링클러 헤드는 천장재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관과 연결되는 헤드 본체 하단에 충격 방지판을 납으로 부착하여 설치한다. 이러한 구조는 좌우충격 및 상하충격에도 충격 방지판이 1차 분리되어 떨어지고 헤드 본체 내부에 설치된 퓨즈가 2차 분리되어 작동하는 이중 구조로 되어 있어, 비상시 신속하게 작동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전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평상시 스프링클러 헤드가 천장재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매립형 스프링클러 헤드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출된 이중 열전도체가 납과 밀착되어 있어 화재발생시 외부 온도조건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반응할 수 있으며 바디하부를 집열판으로 밀봉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스프링클러 헤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과 연결된 방수로에 결합되는 밀폐막; 상기 밀폐막 종단에 결합되는 디프렉터; 접시형 스프링; 이중 열 전도체로 이루어진 퓨즈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이중열전도체가 접시형 스프링을 외측방향으로 밀어 접시형 스프링 하방이 상기 바디 하부의 걸림턱에 결합되는 스프링클러 헤드; 상기 바디에 내장되며, 상기 프레임의 방출구를 막고, 퓨즈박스에 의해 지지 되는 밀폐막이 결합된 디플렉터를 포함하여, 상기 이중열전도체의 납이 외부열에 의해 용융되면, 접시형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접시형 스프링이 안쪽방향으로 밀려 들어가 이탈됨과 동시에 결합이 해체되는 스프링클러 헤드에 의해 달성된다.
본 스프링클러 헤드는 접시형 스프링과 이중열전도체의 압축결합을 통해 평상시 그 크기를 줄임으로써, 스프링클러 헤드가 천장재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건축물의 실내 인테리어를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돌출부위가 없고 바디하단을 집열판으로 밀봉하여 어떠한 좌우의 충격에 안전하고 접시형 스프링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모양을 단순화하고 이에 따라 생산의 작업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화재발생시 외부 온도조건에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 은 종래의 하향형 및 프레쉬형 스프링클러 헤드 단면도
도 2a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립형 스프링클러 헤드의 사용 상태에 대한 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립형 스프링클러 헤드의 사용 상태에 대한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립형 스프링클러 헤드의 퓨즈박스 동작원리,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립형 스프링클러 헤드의 하부구조 분해 사시도.
본 스프링클러 헤드 발명은 접시형 스프링과 이중열전도체로 이루어진 퓨즈는 접시형 스프링을 납으로 부착된 이중 열전도체가 잡아줌으로서 접시형 스프링을 외측으로 팽창 유지시키는 원리다.
마감 열전도체에 열이 감응하면 마감 열전도체에 용접되어 있는 납이 융해되어 고정되어있던 마감 열전도체를 이탈시키고 이중열전도체로 이루어진 퓨즈가 융해되면 접시형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접시형 스프링이 안쪽방향으로 밀려들어가 이탈됨과 동시에 결합이 해체되어 접시형 스프링이 내부로 유입되어 이중열전도체, 접시형 스프링등이 바디의 걸림턱을 이탈하고 디플렉터가 하강하여 소화수를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작동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 본 발명의 기술적 부분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부분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 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준비상태의 일실시예로서, 스프링클러 헤드가 내설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배관에 연결된 방수로(200)의 종단 방수구에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210)가 결합된다.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210)는 배관과 연결된 방수로
(200)에 결합되는 프레임(210), 프레임(210) 종단에 결합되는 바디(230), 바디(230) 디프렉트 종단에 결합되는 접시형 스프링(250), 접시형 스프링(250) 하단에 돌출부(251)를 두어 이중 열전도체(260, 261)가 지지되도록 한 접시형 스프링(250), 접시형 스프링(250) 하단에 위치하는 이중 열전도체(260, 261), 이중 열전도체(260, 261)에 돌출부(263)를 두어 평상시 용접부위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 이중 열전도체(260, 261), 비상시 이중 열전도체(260, 261)가 분리되면 접시형 스프링(250),이중 열전도체(260, 261)가 이탈하고 디플렉터(220)가 수압에의하여 하강하여 분사된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준비상태의 일실시예로서, 스프링클러 헤드가 내설된 상태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2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는 준비 상태 시(평상시) 천장재(290)보다 돌출되지 않으며, 집열판(270)에 의해 천장재와 동일 평면에 마감되는 부분단면도이며, 열전도체(271)에 의해 집열판에 집적된 열이 이중 열전도체(260, 261)로 전달되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의 일실시예로서, 이중 열전도체(260, 261)가 분리되고 디플렉터(220)가 바디(230)의 종단 내부에 결합되어 소화수가 분사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매립형 스프링클러 헤드 하부 구조물의 분해사시도이다.
접시형 스프링(250), 접시형 스프링(250)하단에 위치하는 이중 열전도체(260, 261), 이중 열전도체를 결속하는 납(262)로 이루어지며 스프링클러의 작동은 실내온도가 일정온도이상 상승하면 이중 열전도체(260, 261)의 납(262)이 융해되어 이중 열전도체(260, 261)가 분리되면 접시형 스프링(250)이 안으로 밀려들어와 접시형 스프링(250),이중 열전도체(260, 261)가 수압에 의해 바디(230) 하부 걸림턱(231)을 이탈하고 이중 열전도체(260, 261)와 접시형 스프링(250)에 의해 밀봉되어 있던 디플렉터(220)가 수압에 의해 하강하고 디플렉터(220)가 바디(230) 하부의 걸림턱(231)에 걸려 소화수를 분사하는 원리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220: 디플렉터
230: 바디
231: 걸림턱
240: 밀폐막
250: 접시형 스프링
251: 접시형 스프링 돌출부
260, 261: 이중 열전도체
262: 납 용접
263: 이중 열전도체 돌출부
270: 집열판
271: 열전도체
280: 커버링
290: 천정

Claims (4)

  1. 접시형 스프링과 이중 열전도체로 구성된 매립형 스프링클러 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접시형 스프링의 하단을 이중 열전도체 방향으로 돌출시켜 이중 열전도체를 고정하도록 만들어진 접시형 스프링이 포함된 스프링클러 헤드
  3. 도2c에 있어서,
    이중 열전도체로 열을 전달하도록 집열판이 바디 하부에 용접된 열 전달체를 포함한 스프링클러 헤드
  4. 제1항에 있어서
    이중 열전도체를 돌출시켜 납의 용접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 돌출부가 있는 이중 열전도체를 포함한 스프링클러 헤드
KR1020110006133A 2011-01-21 2011-01-21 접시형 스프링을 이용한 스프링클러 헤드 KR101331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133A KR101331641B1 (ko) 2011-01-21 2011-01-21 접시형 스프링을 이용한 스프링클러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133A KR101331641B1 (ko) 2011-01-21 2011-01-21 접시형 스프링을 이용한 스프링클러 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850A true KR20120084850A (ko) 2012-07-31
KR101331641B1 KR101331641B1 (ko) 2013-11-20

Family

ID=46715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6133A KR101331641B1 (ko) 2011-01-21 2011-01-21 접시형 스프링을 이용한 스프링클러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16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6453A (ko) * 2019-10-18 2021-04-28 유정현 회전식 스프링쿨러
KR20240006158A (ko) 2022-07-06 2024-01-15 하나에이엠티 주식회사 스프링클러 써멀퓨즈용 합금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7232B2 (ja) * 1994-11-16 2003-07-14 能美防災株式会社 フラッシュ型スプリンクラヘッド
KR100582212B1 (ko) * 2004-03-09 2006-05-23 주식회사 파라다이스산업 스프링클러 헤드
KR20090002731U (ko) * 2007-09-14 2009-03-18 조병종 조기반응형 플러쉬 스프링클러헤드
KR20090096027A (ko) * 2008-03-07 2009-09-10 (주)이엔쓰리 스프링클러 헤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6453A (ko) * 2019-10-18 2021-04-28 유정현 회전식 스프링쿨러
KR20240006158A (ko) 2022-07-06 2024-01-15 하나에이엠티 주식회사 스프링클러 써멀퓨즈용 합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1641B1 (ko) 201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96289A (en) Quick response automatic fire sprinkler head
KR101287348B1 (ko) 스프링클러의 헤드 보호장치
US8474545B2 (en) Sprinkler head
CN204932682U (zh) 定温与电启动洒水喷头
US20120267453A1 (en) Sprinkler protection system
KR101063857B1 (ko) 집열판을 구비하는 상향식 스프링클러
JP5128591B2 (ja) 熱トリップ機器を有する自動消火器及びノズル用密封装置
KR20120084850A (ko) 접시형 스프링을 이용한 스프링클러 헤드
KR100809627B1 (ko) 플러쉬 타입 스프링클러 헤드
KR20160009199A (ko) 스프링클러 헤드
CN204932683U (zh) 定温与电爆启动洒水喷头
CN105107128A (zh) 感温自启闭灭火装置
JP6013900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システム
KR200408362Y1 (ko) 플러시형 드라이 팬턴트 타입 스프링클러 헤드
KR200472191Y1 (ko) 체결이 용이한 집열판을 갖는 상향식 스프링클러의 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상향식 스프링클러
KR101380117B1 (ko) 덕트의 과압 배출 및 폐쇄 장치
KR20120075655A (ko) 매립형 스프링클러 헤드
CN103861230A (zh) 房顶自动喷淋灭火系统
KR101384253B1 (ko) 소 공간용 소화장치
CN112807594B (zh) 一种智慧建筑用自动防火装置
WO2014200124A1 (ko) 스프링클러 헤드
KR20120021588A (ko) 스프링클러 헤드
JP6087633B2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KR101197675B1 (ko) 반도체 흄 덕트용 스프링클러의 헤드 보호구조
KR101448381B1 (ko) 스프링클러 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