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3960A - 안경형 카메라와 배낭형 실시간 영상전송장치 - Google Patents

안경형 카메라와 배낭형 실시간 영상전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3960A
KR20120083960A KR1020110005217A KR20110005217A KR20120083960A KR 20120083960 A KR20120083960 A KR 20120083960A KR 1020110005217 A KR1020110005217 A KR 1020110005217A KR 20110005217 A KR20110005217 A KR 20110005217A KR 20120083960 A KR20120083960 A KR 20120083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glasses
real
time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5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훈
Original Assignee
이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훈 filed Critical 이경훈
Priority to KR1020110005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3960A/ko
Publication of KR20120083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396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1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not fully classifiable according to technical characteristics, e.g. therapeutic gla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간이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안경, 상기 안경의 소정의 부위에 설치된 카메라, 사기 안경의 안경다리에 홈을 파서 카메라 홀을 구성하고 상기 카메라홀 내부에 인입되었다가 필요에 따라 외부로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안경 다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보조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 또는 보조 카메라로 촬영된 촬영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안경형 카메라와 배낭형 실시간 영상전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안경형 카메라와 배낭형 백팩에 실시간 영상전송장치를 탑재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실시간으로 영상을 전송할 수 있으며, 더불어 실시간 영상과 이미지를 인터넷과 모바일 통하여 다양한 디바이스에 서비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경형 카메라와 배낭형 실시간 영상전송장치{Camera typed in glasses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mage real-time }
본 발명은 안경형 카메라와 배낭형 실시간 영상전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와 영상전송기술을 이용한 실시간 영상전송장치로써 안경형 카메라와 배낭형 백팩에 실시간 영상전송장치를 탑재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실시간으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실시간 영상과 이미지를 인터넷과 모바일 통하여 다양한 디바이스에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안경형 카메라와 배낭형 실시간 영상전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실시간 영상전송을 위해서는 전송장비와 촬영장소에 제약사항이 많으며, 외부에서 영상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노특북을 활용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동성, 시간의 제약과 촬영팀이 구성되어어야 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장소(내/외부)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배낭형 전송장치와 안경형 카메라를 착용한 후 실시간으로 미디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안경형 카메라와 배낭형 실시간 영상전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카메라와 배낭형 실시간 영상전송장치는,
인간이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안경, 상기 안경의 소정의 부위에 설치된 카메라, 상기 안경의 안경다리에 홈을 파서 카메라 홀을 구성하고 상기 카메라홀 내부에 인입되었다가 필요에 따라 외부로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안경 다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보조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 또는 보조 카메라로 촬영된 촬영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카메라와 영상전송기술을 이용한 실시간 영상전송장치로써 안경형 카메라와 배낭형 백팩에 실시간 영상전송장치를 탑재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실시간으로 영상을 전송할 수 있으며, 더불어 실시간 영상과 이미지를 인터넷과 모바일 통하여 다양한 디바이스에 서비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카메라와 배낭형 실시간 영상전송장치는 인간이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안경, 상기 안경의 소정의 부위에 설치된 카메라, 상기 안경의 안경다리에 홈을 파서 카메라 홀을 구성하고 상기 카메라홀 내부에 인입되었다가 필요에 따라 외부로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안경 다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보조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 또는 보조 카메라로 촬영된 촬영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즉, 카메라 안경으로서 상기 안경은 기본적으로 안경이 갖추어야할 안경과 상기 안경을 사람이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안경다리부위와 상기 안경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 정보를 근거리 무선송신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로 구성된다.
현재 휴대폰의 경우 근거리 무선 송수신을 위하여 불루투스를 사용하고 있는데 상기 불루투스는 근거리에서 별도의 통신 비용을 요하지 않고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개발된 장치이다.
또한, 그 형태와 구성에 있어서도 휴대폰에는 내장형으로 장치되고 송수신 장치는 극 소형으로 개발되어 귀마개 정도의 크기로 귀에 꼽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준에 이르고 있으며 통신 능력에 있어서도 음성파일과 같이 용량이 큰 디지털 음성 파일을 실시간으로 송수신할 수 있을 정도의 능력이 구비되어 있음으로 실제 사용상에 큰 어려움이 없는 게 사실이다.
본 발명에서의 데이터 처리 컴퓨터로서 상기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통신 능력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전화국 서버와 연결할 수 있으며 그 기능상에 있어서도 소형 컴퓨터보다 기능상에 있어서 더욱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것이다. 기본적인 동작 과정을 살펴보면, 일차적으로 상기 카메라가 부착된 안경을 착용한 사람 예를 들어, 건물 경비원 또는 경찰 등이 목적지에 도착하여 각종 사물을 주시하게 되는 과정에 상기 주시 되는 각종 정보를 상기 안경에 부착된 카메라로 촬영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장치로 전달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장치와 카메라와의 연결은 유선을 통하여 연결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할 것이며, 상기 카메라 촬영을 위한 에너지는 소형 건전지 예를 들어 수은전지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안경 사용자가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주변 사물을 바라보게 되면 상기 카메라는 촬영을 시작하고 촬영된 정보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로 전달되게 되며 전달된 촬영 정보는 상기 안경 착용자 또는 인근의 다른 사람이 보유한 휴대폰으로 무선으로 전달되게 되는 것이다.
이후에 휴대폰으로 공급된 촬영정보는 일차적으로 휴대폰에 저장되게 되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휴대폰의 액정화면을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 정보를 오프라인 상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더욱 효과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상기 휴대폰으로 공급된 촬영 정보는 휴대폰의 통신 능력을 활용하여 무선으로 서버에 공급되게 되는데 이러한 기능은 프로그래밍에 의하여 자동으로 촬영된 모든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때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필요로 할 때 수작업을 통하여 서버로 촬영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전송된 정보는 서버 관리자에 의하여 재처리되어 필수적으로 필요한 정보만을 추출하고 불필요한 촬영 정보는 삭제하는 과정을 통해 촬영정보 운영상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의 사용처는 건물 순찰하고 방범 활동을 수행하는 관리자가 사용할 수 있는데 순간적으로 범죄자 등이 지나칠 때 인간의 능력상 이를 확인할 수 없으나 상기 안경 카메라를 사용할 경우 실시간으로 상기 범죄자의 인상착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서 범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경찰 또는 형사와 같은 범죄자 집단과 대치하고 있는 사용자의 경우 상기 카메라가 부착된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범죄자들이 모여있는 건물 내부로 들어갔을 때 모든 상황을 실시간으로 중앙에서 확인함과 동시에 녹화하여 추후 재판 정보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전체적으로 본 발명은 카메라 안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에 소형 카메라가 부착되고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스냅 사진 또는 동영상을 근거리 통신망의 하나인 불루투스로 전송하여 소형 저장장치에 저장한 후, 추후에 상기 소형 저장장치의 데이터를 별도로 컴퓨터로 백업하여 별도로 관리하도록 하기 위하여, 인간이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안경, 상기 안경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촬영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촬영된 촬영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폰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카메라가 부착된 안경을 활용하는 방법은, 상기 카메라가 부착된 안경으로 촬영하여 촬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된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로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공급된 촬영 정보를 무선으로 휴대폰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폰으로 송신된 촬영 정보를 휴대폰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상가 촬영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중앙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보조 카메라는 안경 다리에 설치되게 되는데 안경 정면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와 연합하여 입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를 하고 있다.
먼저 그 구조를 살펴보면 안경다리에 보조 카메라를 인입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카메라 홀을 형성하여 두고 상기 카메라 홀의 시작부위에 보조 카메라와 경첩을 연결하여 설치하고 보조 카메라 소정의 위치에 상기 보조 카메라를 인입시키거나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동작구를 설치하여 보조 카메라를 카메라 홀로 인입 또는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여기에서 특징적인 것은 상기 카메라 홀의 설치 각도에 있는데 먼저 보조 카메라의 설치 목적이 입체적인 영상을 얻는 데 있으므로 입체적인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카메라의 촬영 방향이 모두 정명을 향하고 있지 않고 소정의 각도를 두고 설치되게 되면 효과적으로 상기 보조 카메라를 통해 입체 영상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맨 앞에 설치되어 있는 보조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홀은 좌측으로 기우라져 파여 있으므로 이곳에 보조 카메라를 설치한 후 보조 카메라를 인출 시켰을 때 이곳에 설치되어 있는 보조 카메라는 좌측으로 기우라져 있게 되고, 다음에 설치된 카메라홀은 정면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이곳에 보조 카메라를 설치한 후 인출시켰을 때 보조 카메라는 정면을 향하게 되고 맨 뒤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홀은 우측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모든 보조 카메라가 정면을 바라보고 있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며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는 하나의 사물을 촬영함에 있어 모든 카메라가 한 방향이 아닌 여러 방향에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라 하겠다.
본 발명에 의한 안경에 대하여 정면에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고 안경다리에 다수개의 보조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어서 하나의 사물을 동시다발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게 되어 있다.
그러나 평상시에는 상기 보조 카메라들은 안경다리 내부에 인입되어 있다가 사용하여야 하는 필요성이 발생하게 되면 안경다리로부터 카메라를 인출시키게 된다.
더불어 다수개의 카메라가 하나의 안경다리에 설치되게 되므로 모든 카메라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안경다리를 둘러서 정면에서 보았을 때 동일한 위치가 아닌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본 발명에 의한 보조 카메라는 동작구를 동작시켜 보조 카메라를 안경다리로부터 외부로 인출시키게 되는 것이라 하겠다.
또한 상기 보조 카메라와 근거리 무선 통신장치의 연결은 안경다리 내부에 설치되는 연결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Claims (1)

  1. 인간이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안경;
    상기 안경의 소정의 부위에 설치된 카메라;
    상기 안경의 안경다리에 홈을 파서 카메라 홀을 구성하고 상기 카메라홀 내부에 인입되었다가 필요에 따라 외부로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안경 다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보조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 또는 보조 카메라로 촬영된 촬영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안경형 카메라와 배낭형 실시간 영상전송장치.
KR1020110005217A 2011-01-19 2011-01-19 안경형 카메라와 배낭형 실시간 영상전송장치 KR201200839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217A KR20120083960A (ko) 2011-01-19 2011-01-19 안경형 카메라와 배낭형 실시간 영상전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217A KR20120083960A (ko) 2011-01-19 2011-01-19 안경형 카메라와 배낭형 실시간 영상전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960A true KR20120083960A (ko) 2012-07-27

Family

ID=46714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217A KR20120083960A (ko) 2011-01-19 2011-01-19 안경형 카메라와 배낭형 실시간 영상전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39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4821A1 (ko) * 2014-12-22 2016-06-30 (주) 트라이너스 사용자 착용 타입의 촬영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4821A1 (ko) * 2014-12-22 2016-06-30 (주) 트라이너스 사용자 착용 타입의 촬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39972B (zh) 基于耳机的电信平台
JP6428268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並びに画像表示システム
US2012018834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reaming live images, audio and meta-data
CN205176409U (zh) 工业智能眼镜
CN103327170A (zh) 用于蜂窝电话机的对接台
CN104838642A (zh) 用创建者身份或场景标记媒体的方法和设备
CN203377928U (zh) 一种分体式3d智能手机
US20100039493A1 (en) Mobile video headset
KR101083381B1 (ko) 긴급구조 신호 발생장치 및 긴급구조 신호 전송방법
US9332580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orming ad-hoc networks among headset computers sharing an identifier
KR101670033B1 (ko) 스마트 블랙박스 헬멧을 이용한 스마트 블랙박스 서비스 시스템
CN108833832A (zh) 一种眼镜摄录仪及摄录方法
KR20200016211A (ko) 자기 카메라 결합 시스템
GB2566172B (en)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KR20150029049A (ko) 신체 후방 감시 시스템
KR20120083960A (ko) 안경형 카메라와 배낭형 실시간 영상전송장치
KR101253348B1 (ko) 휴대용 촬영기능 및 네트워크를 이용한 신변보호 안경
KR101809946B1 (ko) 휴대용 단말기
KR20130131511A (ko) 시각 장애인용 안내장치
KR101005325B1 (ko) 카메라가 부착된 안경
US10484649B2 (en) Mobile wearable video conferencing solution
KR101622220B1 (ko) 휴대용 단말기
CN107454365A (zh) 一种利用ar进行特种侦察的方法
CN101620320B (zh) 一种无视差摄录像护目镜装置
KR20140011900A (ko) 비상영상 송출기능이 구비된 비상단말 및, 이를 포함하는 비상영상 송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