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348B1 - 휴대용 촬영기능 및 네트워크를 이용한 신변보호 안경 - Google Patents

휴대용 촬영기능 및 네트워크를 이용한 신변보호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3348B1
KR101253348B1 KR1020110080665A KR20110080665A KR101253348B1 KR 101253348 B1 KR101253348 B1 KR 101253348B1 KR 1020110080665 A KR1020110080665 A KR 1020110080665A KR 20110080665 A KR20110080665 A KR 20110080665A KR 101253348 B1 KR101253348 B1 KR 101253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image information
user
glasses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0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7922A (ko
Inventor
이형호
Original Assignee
이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호 filed Critical 이형호
Priority to KR1020110080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348B1/ko
Publication of KR20130017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7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6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closed rigid rims for the len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촬영기능 및 네트워크를 이용한 신변보호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변보호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안경으로서, 상기 안경 사용자의 전후를 촬영 및 녹화하여 녹화된 영상을 저장 및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휴대용 촬영기능 및 네트워크를 이용한 신변보호 안경에 따르면, 모든 지역에 방범용 폐쇄회로 카메라를 다 설치할 수 없다는 물질적 및 공간적 한계를 극복하고, 폐쇄회로 카메라의 한정적인 범인의 용모파기 제공기능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범죄가 일어나는 시점을 사용자가 정확하게 예측 또는 인지할 수 있게 하여, 상황에 적합한 대처를 하게 함으로써, 피해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촬영기능 및 네트워크를 이용한 신변보호 안경{AN EYEGLASSES FOR PERSONAL SAFETY USING PORTABLE FILMING FEATURE AND NETWORK}
본 발명은 신변보호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휴대용 촬영기능 및 네트워크를 이용한 신변보호 안경에 관한 것이다.
현 사회는 성범죄를 비롯한 강력범죄가 급증하는 단계를 겪고 있다. 경기대학교의 이수정 범죄심리학 교수에 따르면, 사회화가 덜된 일부가 대응력이 떨어지는 여성, 아동 및 장애인 등에게 성적 욕구를 잘못 분출하는 현상이 상기 단계에 기여하고 있다고 한다. 경찰청은 전국 성폭력 발생 건수가 2001년에는 1만3204건에서, 2009년에는 1만8351건으로 38.9%나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러한 수치는, 성범죄가 30분당 1건이 발생하는 꼴이라고 할 수 있다. 경찰대학교의 표창원 범죄심리학 교수는, 성범죄에 대한 경각심과 수사기관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지고, 피해자를 바라보는 사회인식이 개선되면서, 신고가 늘어난 점 등도 수치 증가에 한몫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더 나아가, 표창원 교수는 성폭력을 포함한 강력범죄 발생 자체가 연령대를 불문하고 절대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초중고생을 가리지 않는, 이른바 성범죄의 저연령화 추세가 심각한 상황이다. 한국형사정책연구원의 범죄통보 통계시스템에 등재된 연령대별 피해자 현황을 살펴보면, 2001년 강간 피해자 가운데 20세 미만 미성년자는 28%이었던 것이, 2005~2007년에는 31%로 늘었다가, 2008년에는 33%를 기록했다. 미성년자 피해자 숫자는 2001년 1154명에서 2008년 4591명으로 300% 가까이 급증했다. 하지만 여성부 조사에 따르면, 성범죄 신고율은 7.1%에 그치고 있다고 한다. 수치상으로 드러난 성범죄는 사실 빙산의 일각뿐인 것이다. 뿐만 아니라, 성폭행에 이어 증거 인멸을 위한 살인 및 방화 등이 저질러지는 등, 수법도 더욱 끔찍해지고 있다.
서울 해바라기 아동센터 관계자는, 특히 아동이나 이주여성 등이 범죄에 취약하다고 한다. 아동이나 이주여성들은, 일반 성인과 달리, 정신적 및 신체적 피해가 큰 데다, 가해자가 아는 사람인 경우가 많아서 진술을 거부하거나 번복하는 사례가 빈번하다며, 피해 소명 단계부터 매우 힘겹다고 전했다. 이주여성 긴급지원센터의 권미경 상담팀장은, 30만 명 규모로 추정되는 이주여성의 성폭력 피해는, 거의 드러나지 않고 있다고 봐야한다면서, 이 센터 집계에 따르면, 설립 이듬해인 2007년 119건이던 성범죄 상담건수는, 2009년 292건으로 3배 가까이 늘었다고 밝혔다.
종래에는 성범죄를 비롯한 강력범죄를 예방하는 차원에서, 특정지역에 방범용 폐쇄회로 카메라들을 설치하거나, GPS를 이용하여 피해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기술들이 있었다. 하지만 범인은 방범용 폐쇄회로 카메라가 설치된 지역을 미리 파악하여, 사각지대에서 범죄를 저지를 수 있으며, 대부분 먼 곳에 설치되어 있는 폐쇄회로 카메라는 범인의 정밀한 용모파기를 확보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위치추적 기술은 범행이 이루어지는 시점을 정확하게 예측하여 추적하는 것이 어려우며, 위치추적 장치의 전원을 꺼버리거나 유기하면 아무런 효과가 없는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모든 지역에 방범용 폐쇄회로 카메라를 다 설치할 수 없다는 물질적 및 공간적 한계를 극복하고, 폐쇄회로 카메라의 한정적인 범인의 용모파기 제공기능을 보완할 수 있는, 휴대용 촬영기능 및 네트워크를 이용한 신변보호 안경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범죄가 일어나는 시점을 사용자가 정확하게 예측 또는 인지할 수 있게 하여, 상황에 적합한 대처를 하게 함으로써,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휴대용 촬영기능 및 네트워크를 이용한 신변보호 안경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휴대용 촬영기능 및 네트워크를 이용한 신변보호 안경은,
신변보호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안경으로서,
상기 안경 사용자의 전후를 촬영 및 녹화하여 녹화된 영상을 저장 및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경은,
특수디스플레이렌즈를 이용한 안경렌즈 및 안경테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수디스플레이렌즈는,
촬영되는 후면의 영상정보를 반투명하게 표시하는 방법, 한쪽 렌즈에만 표시하는 방법, 및 각각의 렌즈의 반쪽에만 표시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경테는,
휴대용 배터리, 전원버튼, 카메라 렌즈, 후면출력버튼 및 녹화버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외부에 부착되며, 제어회로부, 저장매체 및 내장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메라 렌즈는,
안경테 양쪽 후면에 각각 부착되어 촬영하며, 방향전환이 가능할 수 있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면출력버튼은,
촬영되는 후면의 영상정보가 상기 특수디스플레이렌즈에 출력되는 것을 조작할 수 있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녹화버튼은,
촬영되는 후면의 영상정보가 녹화되는 것을 조작할 수 있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장매체는,
녹화되는 영상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장 안테나는,
녹화되는 영상정보를 3G 네트워크를 포함한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폰, 컴퓨터 및 서비스 회사 서버 중 하나 이상의 정해진 매개체로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휴대용 촬영기능 및 네트워크를 이용한 신변보호 안경에 따르면, 모든 지역에 방범용 폐쇄회로 카메라를 다 설치할 수 없다는 물질적 및 공간적 한계를 극복하고, 폐쇄회로 카메라의 한정적인 범인의 용모파기 제공기능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범죄가 일어나는 시점을 사용자가 정확하게 예측 또는 인지할 수 있게 하여, 상황에 적합한 대처를 하게 함으로써,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촬영기능 및 네트워크를 이용한 신변보호 안경을 사람 얼굴에 착용시켜 실시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촬영기능 및 네트워크를 이용한 신변보호 안경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촬영기능 및 네트워크를 이용한 신변보호 안경에서, 안경테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촬영기능 및 네트워크를 이용한 신변보호 안경에서, 특수디스플레이렌즈가 촬영되는 후면의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방법들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촬영기능 및 네트워크를 이용한 신변보호 안경의 실시간 전송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촬영기능 및 네트워크를 이용한 신변보호 안경을 사람 얼굴에 착용시켜 실시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촬영기능 및 네트워크를 이용한 신변보호 안경은, 사람의 얼굴에 기존의 안경처럼 착용 될 수 있다. 시력보완을 위하여 기존의 안경을 사용하던 사람은, 본래 사용하던 안경 대신 신변보호 안경을 자신의 시력에 적합하게 변경하여 착용함으로써, 평소에는 기존의 안경과 같은 시력보완 효과를 누릴 수 있고, 필요할 시에는 신변보호 안경의 기능도 사용할 수 있다. 반면, 시력보완이 불필요하여 기존의 안경을 사용하지 않는 사람은, 신변보호 안경을 패션용으로 사용하거나, 자신의 신변이 위협받고 있다고 느낄 시,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기존의 안경의 형태를 지닌 신변보호 안경은, 사용자가 주변인을 의심하여 주위를 감시하고 있다는 사실을 들킬 확률이 낮다. 이러한 점 덕분에, 의심이 가는 주변인이 결백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의심을 한 자에게 모독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만약, 의심이 가는 주변인이 범죄자일 경우에는, 범죄자가 알아채지 못하게 사용자가 감시 및 대처함으로써, 범죄자를 자극시켜 더 큰 화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촬영기능 및 네트워크를 이용한 신변보호 안경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촬영기능 및 네트워크를 이용한 신변보호 안경은, 특수디스플레이렌즈(100), 안경테(200), 휴대용 배터리(210), 전원버튼(220), 카메라 렌즈(230), 후면출력버튼(240) 및 녹화버튼(2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수디스플레이렌즈(100)는, 사용자가 자신의 후면을 감시하고 싶을 시, 후면의 영상정보를 표시해주는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자는 특수디스플레이렌즈(100)를 이용하여 자신의 후면을 감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후면이 의심될 시, 자신의 몸을 직접 후면으로 틀어야만 하는 신체적인 한계를 보완하여, 상대방이 의식하지 않게 감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가 시력보완이 필요한 경우에는, 그에 맞게 특수디스플레이렌즈(100)의 도수를 조절할 수 있다.
안경테(200)는, 신변보호 안경의 뼈대의 역할을 한다. 안경테(200)는, 두 개의 다리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두 개의 특수디스플레이렌즈(100)들을 서로 연결 및 지탱해 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촬영기능 및 네트워크를 이용한 신변보호 안경의 안경테(200)에는, 휴대용 배터리(210), 전원버튼(220), 카메라 렌즈(230), 후면출력버튼(240) 및 녹화버튼(250) 등이 부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안경테(200)는 안테나로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은, 안경테(200)의 내부를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안경테(200) 내부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추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휴대용 배터리(210)는, 신변보호 안경 사용자의 전후를 촬영 및 녹화하여 녹화된 영상을 저장 및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휴대용 배터리(210)로는 800㎃h 리튬 이온 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다. 휴대용 배터리(210)의 전력이 소진될 경우, 사용자는 새로운 휴대용 배터리(210)를 구입하여 헌 것과 교환함으로써, 신변보호 안경 사용자의 전후를 촬영 및 녹화하여 녹화된 영상을 저장 및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다시 구현할 수 있다.
전원버튼(220)은, 신변보호 안경 사용자의 전후를 촬영 및 녹화하여 녹화된 영상을 저장 및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기능의 전원을 조작할 수 있는 버튼이다. 사용자는 감시 기능이 당장 불필요하다고 판단할 경우, 전원버튼(220)을 이용하여 감시 기능의 전원을 끔으로써,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막을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다시 감시 기능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경우, 휴대용 배터리(210)에 전력이 남아있다면, 전원버튼(220)을 눌러 감시 기능을 다시 작동시킬 수 있다.
카메라 렌즈(230)는, 사용자의 전후를 촬영 및 녹화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안경테(200)의 두 개의 다리들 각각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물론, 카메라 렌즈의 개수가 2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안경테의 다리들 중 어느 한쪽에만 부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촬영기능 및 네트워크를 이용한 신변보호 안경의 카메라 렌즈(230)는, 방향전환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전면과 후면을 포함한 방향들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렌즈(230)는, 더욱 선명한 용모파기 제공기능을 위하여, 300만 화소 이상의 고해상도 렌즈일 수 있으며, 휴대성을 고려하여 3㎜와 같이 미세한 렌즈일 수도 있다.
후면출력버튼(240)은, 사용자가 자신의 후면이 의심스러워 감시를 하고 싶을 경우, 카메라 렌즈(230)를 이용하여 촬영한 후면의 영상정보를 특수디스플레이렌즈(100)에 표시하는 기능을 조작할 수 있는 버튼이다. 사용자는 자신의 후면을 녹화 및 전송하기 전에, 후면출력버튼(240)을 이용하여, 자신의 후면을 감시하면서, 상황을 분석하고, 범죄를 예측할 수 있다. 후면출력버튼(240)의 조작 시, 후면의 영상정보가 특수디스플레이렌즈(100)에 표시되는 방법들은 추후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녹화버튼(250)은, 사용자가 카메라 렌즈(230)를 이용하여 촬영하고 있는 영상정보를 녹화하고 싶을 경우, 녹화기능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이다. 사용자가 녹화를 하기 위하여 녹화버튼(250)을 누를 시, 촬영되고 있는 영상정보는 녹화가 되면서 저장이 되고, 실시간으로 정해진 매개체로 전송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녹화를 중단하고 싶을 경우, 녹화버튼(250)을 다시 눌러서 녹화를 중지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덕분에, 사용자는 자신의 주변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함으로써, 도움을 요청할 수 있으며, 자신의 신변이 위협받고 있다고 느낄 시에만 작동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비 및 데이터 낭비를 막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촬영기능 및 네트워크를 이용한 신변보호 안경에서, 안경테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촬영기능 및 네트워크를 이용한 신변보호 안경의 안경테 내부는, 제어회로부(260), 저장매체(270) 및 내장 안테나(2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회로부(260)는, 내부에서 전력이 필요한 신변보호 안경 사용자의 전후를 촬영 및 녹화하여 녹화된 영상을 저장 및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제어회로부(2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테(200)의 내부에 삽입되어 구현될 수 있다.
저장매체(270)는, 안경테(2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녹화되는 영상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매체(270)를 통해 영상정보를 저장함으로써, 내장 안테나(280)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정해진 매개체에 전송할 수 있다. 저장매체(270)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저장된 영상정보를 자동으로 삭제하거나, 용량이 가득 차면 새로이 녹화되고 있는 영상정보를 기존의 영상정보에 덮어씌움으로써, 저장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만약, 실시간 전송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정해진 매개체로 영상정보가 전송되지 않았다면, 사용자는 저장매체(270) 내에서 원하는 영상정보가 지워지기 전에, 저장매체(270)를 안경테(200)의 내부에서 분리하여 원하는 영상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원하는 영상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
내장 안테나(280)는, 안경테(2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자신의 신변이 위협받고 있다고 느껴서 녹화버튼(250)을 누를 경우, 녹화되고 있는 영상정보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해진 매개체로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네트워크는, 3G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개체는, 스마트폰, 컴퓨터 및 서비스 회사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사전에 원하는 매개체를 지정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촬영기능 및 네트워크를 이용한 신변보호 안경에서, 특수디스플레이렌즈가 촬영되는 후면의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방법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촬영기능 및 네트워크를 이용한 신변보호 안경에서, 특수디스플레이렌즈가 촬영되는 후면의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방법들로는, 반투명하게 표시하는 방법(110), 한쪽 렌즈에만 표시하는 방법(120), 및 각각의 렌즈의 반쪽에만 표시하는 방법(130) 등이 가능할 수 있다.
반투명하게 표시하는 방법(1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후면출력버튼(240)을 누를 경우, 후면의 영상정보를 두 개의 특수디스플레이렌즈(100)들에 반투명하게 표시한다. 반투명하게 표시할 경우, 사용자는 전면의 영상정보와 후면의 영상정보 모두를 동시에 볼 수 있다.
한쪽 렌즈에만 표시하는 방법(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후면출력버튼(240)을 누를 경우, 후면의 영상정보를 두 개의 특수디스플레이렌즈(100)들 중 한 개의 특수디스플레이렌즈(100)에만 표시한다. 나머지 하나의 특수디스플레이렌즈(100)는 전면의 영상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후면의 영상정보를 하나의 특수디스플레이렌즈(100)에만 표시할 경우, 영상정보를 사용자 기준으로 왼쪽 혹은 오른쪽 특수디스플레이렌즈(100)에 표시할 수 있다.
각각의 렌즈의 반쪽에만 표시하는 방법(1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후면출력버튼(240)을 누를 경우, 후면의 영상정보를 각각 두 개의 특수디스플레이렌즈(100)들의 반쪽에만 표시한다. 후면의 영상정보를 각각의 특수디스플레이렌즈(100)들의 반쪽에만 표시할 경우, 후면의 영상정보를 위쪽 혹은 아래쪽으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신의 편의에 따라서, 반투명하게 표시하는 방법(110), 한쪽 렌즈에만 표시하는 방법(120), 및 각각의 렌즈의 반쪽에만 표시하는 방법(130) 중 한 가지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촬영기능 및 네트워크를 이용한 신변보호 안경의 실시간 전송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촬영기능 및 네트워크를 이용한 신변보호 안경의 실시간 전송 구성은, 신변보호 안경(300), 네트워크(310) 및 매개체(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신변보호 안경(300)의 사용자가 후면을 제외한 다른 방향으로부터 신변보호의 위협을 느낄 경우, 사용자는 전원버튼(220)을 눌러서, 신변보호 안경(300) 사용자의 전후를 촬영 및 녹화하여 녹화된 영상을 저장 및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켤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카메라 렌즈(230)가 자신이 원하는 방향을 촬영하고 있을 경우, 녹화버튼(250)을 눌러서 촬영되는 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 사용자가 녹화버튼(250)을 누를 경우, 녹화되고 있는 영상정보는, 안경테(200)의 내부에 위치해 있는 저장매체(270)에 저장될 수 있다. 동시에, 신변보호 안경(300)은, 영상정보를 3G 네트워크를 포함한 네트워크(310)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정해진 매개체(320)로 전송할 수 있다. 매개체(320)에는, 스마트폰, 컴퓨터 및 서비스 회사 서버가 포함될 수 있다.
반면, 신변보호 안경(300)의 사용자가 후면으로부터 신변보호의 위협을 느낄 경우, 사용자는 마찬가지로 전원버튼(220)을 눌러서, 신변보호 안경(300) 사용자의 전후를 촬영 및 녹화하여 녹화된 영상을 저장 및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켤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카메라 렌즈(230)가 후면을 촬영하고 있을 경우, 후면출력버튼(240)을 눌러서 후면의 영상정보를 감시할 수 있다. 후면출력버튼(240)을 누를 경우, 영상정보는 특수디스플레이렌즈(100)에 사용자가 원하는 방법으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되는 영상정보를 토대로 자신의 신변에 위협이 가해지고 있다고 판단되면, 녹화버튼(250)을 눌러서 후면의 영상정보를 녹화할 수 있다. 사용자가 녹화버튼(250)을 누를 경우, 녹화되고 있는 영상정보는, 안경테(200)의 내부에 위치해 있는 저장매체(270)에 저장될 수 있으며, 동시에 3G 네트워크를 포함한 네트워크(310)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정해진 매개체(320)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위협을 받고 있다고 느낄 경우, 자신의 주변정보를 영상정보로서 전송 및 보고할 수 있어서, 필요 시 더욱 신속하게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특수디스플레이렌즈
110: 반투명하게 비추는 방법
120: 한쪽 렌즈에만 비추는 방법
130: 각각의 렌즈의 반쪽에만 비추는 방법
200: 안경테 210: 휴대용 배터리
220: 전원버튼 230: 카메라 렌즈
240: 후면출력버튼 250: 녹화버튼
260: 제어회로부 270: 저장매체
280: 내장 안테나 300: 신변보호 안경
310: 네트워크 320: 매개체

Claims (9)

  1. 신변보호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안경으로서,
    상기 안경 사용자의 전후를 촬영 및 녹화하여 녹화된 영상을 저장 및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안경은 특수디스플레이렌즈를 이용한 안경렌즈 및 안경테를 포함하되,
    상기 특수디스플레이렌즈는,
    촬영되는 후면의 영상정보를 반투명하게 표시하는 방법, 한쪽 렌즈에만 표시하는 방법, 및 각각의 렌즈의 반쪽에만 표시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선택하여 표시하며,
    상기 안경테는,
    휴대용 배터리, 전원버튼, 안경테 양쪽 후면에 각각 부착되어 촬영되며 방향전환이 가능한 카메라 렌즈, 촬영되는 후면의 영상정보가 상기 특수디스플레이렌즈에 출력되는 것을 조작하는 후면출력버튼 및 촬영되는 후면의 영상정보가 녹화되는 것을 조작하는 녹화버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외부에 부착되며, 제어회로부, 녹화되는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매체 및 녹화되는 영상정보를 3G 네트워크를 포함한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폰, 컴퓨터, 및 서비스 회사 서버 중 하나 이상의 정해진 매개체로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내장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촬영기능 및 네트워크를 이용한 신변보호 안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10080665A 2011-08-12 2011-08-12 휴대용 촬영기능 및 네트워크를 이용한 신변보호 안경 KR101253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665A KR101253348B1 (ko) 2011-08-12 2011-08-12 휴대용 촬영기능 및 네트워크를 이용한 신변보호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665A KR101253348B1 (ko) 2011-08-12 2011-08-12 휴대용 촬영기능 및 네트워크를 이용한 신변보호 안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922A KR20130017922A (ko) 2013-02-20
KR101253348B1 true KR101253348B1 (ko) 2013-04-23

Family

ID=47896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0665A KR101253348B1 (ko) 2011-08-12 2011-08-12 휴대용 촬영기능 및 네트워크를 이용한 신변보호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33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771B1 (ko) * 2013-08-07 2015-08-06 한동관 Ar 글래스를 이용한 스포츠 경기 판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652475B1 (ko) * 2014-06-11 2016-08-30 안병영 후방 영상이 나타나는 안경
KR20160105569A (ko) 2015-02-27 2016-09-07 김원재 안경
US11297224B2 (en) 2019-09-30 2022-04-05 Snap Inc. Automated eyewear device sharing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2713A (ko) * 1997-10-20 1999-05-15 구자홍 캠코더를 내장한 안경형 디스플레이 장치
JP2001522063A (ja) * 1997-10-30 2001-11-13 ザ マイクロオプティカル コーポレイション 眼鏡インターフェースシステム
KR200389180Y1 (ko) * 2005-03-16 2005-07-08 이성용 소형 카메라가 장착된 안경
KR20080113815A (ko) * 2007-06-26 2008-12-31 손진영 다기능 안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2713A (ko) * 1997-10-20 1999-05-15 구자홍 캠코더를 내장한 안경형 디스플레이 장치
JP2001522063A (ja) * 1997-10-30 2001-11-13 ザ マイクロオプティカル コーポレイション 眼鏡インターフェースシステム
KR200389180Y1 (ko) * 2005-03-16 2005-07-08 이성용 소형 카메라가 장착된 안경
KR20080113815A (ko) * 2007-06-26 2008-12-31 손진영 다기능 안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922A (ko) 201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nn Smart clothing: The wearable computer and wearcam
US2014010439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reaming live images, audio and meta-data
US6614408B1 (en) Eye-tap for electronic newsgathering, documentary video, photojournalism, and personal safety
US11463663B2 (en) Camera glasses for law enforcement accountability
WO2017136940A1 (en) Authenticating or registering users of wearable devices using biometrics
KR101253348B1 (ko) 휴대용 촬영기능 및 네트워크를 이용한 신변보호 안경
KR101360246B1 (ko) 다기능 방범카메라 통합방범 시스템
JP6402219B1 (ja) 防犯システム、防犯方法、及びロボット
JP2010081480A (ja) 携帯型不審者検出装置、不審者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168854A (zh) 视力保护的提醒方法及装置
US20210056833A1 (en) Wearable personal security devices and systems
CN108833832B (zh) 一种眼镜摄录仪及摄录方法
KR20100109767A (ko) 긴급구조 신호 발생장치 및 긴급구조 신호 전송방법
CN105569521A (zh) 一种防盗门
CN206532246U (zh) 应用于公安刑侦的案件现场信息展示系统
KR20150058866A (ko) 스마트 블랙박스 헬멧, 이를 이용한 스마트 블랙박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170054900A1 (en) Monitoring system and wearable device with same
CN109947240B (zh) 显示控制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5054940B (zh) 安全定位监护仪及其监护方法
WO2015125364A1 (ja) 電子機器、および画像の提供方法
JP2021056511A (ja) 防犯カメラ装置
CN202121670U (zh) 手机配套的环境监控影音自动传输装置
KR101236640B1 (ko)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개인 보호 장치
KR200486329Y1 (ko) 스마트 경보 장치
WO2021154402A1 (en) Extracting information about people from sensor sig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