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3641A -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3641A
KR20120083641A KR1020110004880A KR20110004880A KR20120083641A KR 20120083641 A KR20120083641 A KR 20120083641A KR 1020110004880 A KR1020110004880 A KR 1020110004880A KR 20110004880 A KR20110004880 A KR 20110004880A KR 20120083641 A KR20120083641 A KR 20120083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upport shaft
vacuum cleaner
suction nozzle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7517B1 (ko
Inventor
서진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4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517B1/ko
Priority to US13/236,789 priority patent/US8677556B2/en
Publication of KR20120083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3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54Stands or the like for temporary interruption of wor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9Carrying-vehicles; Arrangements of trollies or wheels; Means for avoiding mechanical obs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는 흡입 노즐; 상기 본체와 상기 흡입 노즐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피청소면에 대한 배치 각도가 변화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회동 운동을 안내하는 회동 안내 부재; 및 상기 회동 안내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하중을 지지하고, 피청소면에 대한 상기 본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지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 어셈블리는, 상기 회동 안내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하중을 받는 제1지지축과, 상기 제1지지축이 받는 상기 본체의 하중이 전달되도록 상기 제1지지축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2지지축과, 상기 제2지지축에 전달된 상기 본체의 하중을 피청소면에 분산시키도록 상기 제2지지축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바퀴를 포함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UPRIGHT TYPE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고, 본체의 조향 성능을 향상시킨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 모터의 흡입력에 의하여 피청소면에 산재하는 먼지 및 이물 등을 공기와 함께 흡입한 다음 본체 내부에서 먼지 및 이물 등을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기능의 진공 청소기는 크게 먼지 및 이물 등의 흡입구인 흡입 노즐이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업라이트(up-right) 방식과 흡입 노즐이 본체와 연결관을 통해 연통되는 캐니스터(canister) 방식으로 구별될 수 있다.
두 종류의 진공 청소기 중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 등이 내장되는 진공 청소기 본체와, 흡입 모터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하여 피청소면에 산재하는 먼지 및 이물 등을 진공 청소기의 본체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 노즐과, 흡입 노즐이 피청소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진공 청소기의 본체 상부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본체에 전원이 인가되어 흡입 모터가 구동되면 흡입력이 발생되고, 이러한 흡입력에 의하여 흡입 노즐로 피청소면에 산재하는 먼지 및 이물 등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된다.
그리고, 먼지 및 이물 등이 포함된 공기는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본체에 장착된 집진통의 내부에서 싸이클론 원리에 의하여 먼지 및 이물 등이 분리된다.
상기와 같이 분리된 먼지 및 이물 등은 상기 집진통 내부에 포집되고, 먼지 및 이물 등이 분리된 공기는 공기 배출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는 흡입 노즐의 상부에 본체가 안착되는 관계로 상기 집진통 등이 장착된 본체의 하중 압력을 상기 흡입 노즐이 모두 받게 된다. 따라서, 청소 수행시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조향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상기 본체의 하중 압력을 분산시킴과 동시에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조향 성능을 향상시키는 상기 본체의 새로운 지지 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지지축을 포함하는 지지 어셈블리를 마련함으로써 상기 본체의 하중을 분산시키고, 이로 인하여 조향 성능이 향상된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는 흡입 노즐; 상기 본체와 상기 흡입 노즐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피청소면에 대한 배치 각도가 변화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회동 운동을 안내하는 회동 안내 부재; 및 상기 회동 안내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하중을 지지하고, 피청소면에 대한 상기 본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지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 어셈블리는, 상기 회동 안내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하중을 받는 제1지지축과, 상기 제1지지축이 받는 상기 본체의 하중이 전달되도록 상기 제1지지축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2지지축과, 상기 제2지지축에 전달된 상기 본체의 하중을 피청소면에 분산시키도록 상기 제2지지축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바퀴를 포함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축을 포함하는 지지 어셈블리가 본체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본체의 하중을 분산시켜 상기 본체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되고, 본체 하중을 느끼는 사용자의 육체적 피로도를 경감할 수 있다.
본체가 흡입 노즐에 대하여 두 개의 축을 기준으로 상하 좌우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와 상기 흡입 노즐을 연결하는 조인트 및 연결관이 마련됨으로써 청소 수행시 상기 본체의 조향 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체의 하중에 대한 사용자의 부담이 줄어들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쉽게 본체를 운동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하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지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결합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회동 안내 부재와 흡입 노즐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가 좌우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구성 및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는 피청소면에 산재하는 먼지 및 이물 등이 포집되는 집진통(110)이 장착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하측에 마련되어 피청소면에 산재한 먼지 및 이물 등을 공기와 함께 흡입하는 흡입 노즐(200)과, 청소 수행시 상기 본체(10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의 상측에 마련되는 손잡이(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상기 흡입 노즐(2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 노즐(20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0)는 피청소면에 대한 배치 각도가 변화 가능하게 마련되어, 사용자는 상기 본체(100)를 피청소면 측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집진통(11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집진통(110)에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먼지 및 이물 등을 싸이클론 원리에 의하여 필터링하는 먼지 분리 부재(미도시)가 구비된다.
즉, 상기 흡입 노즐(200)을 통하여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집진통(110)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집진통(1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및 이물 등은 상기 먼지 분리 부재에 의하여 필터링 되어 상기 집진통(110)의 내부에 포집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 및 이물 등이 분리된 깨끗한 공기는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집진통(110)은 상기 본체(10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집진통(110)의 내부에 포집된 먼지 및 이물 등을 버리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집진통(110)을 상기 본체(100)로부터 분리하여 손쉽게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집진통(110)은 원통의 형상을 하고 있으나, 사각 기둥 등 다각형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집진통(110)의 형상에 의하여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흡입 노즐(200)은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마련되어 피청소면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피청소면에 산재한 먼지 및 이물 등을 공기와 함께 흡입한다.
즉, 상기 흡입 노즐(200)의 하면에는 상기 흡입 노즐(200)의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슬릿(slit) 형상의 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에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된 흡입 모터(미도시)가 발생시키는 흡입력이 전달됨으로써 피청소면에 산재한 먼지 및 이물 등을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 하단부의 양측에는 한 쌍의 바퀴(430)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사용자가 청소를 수행하는 경우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먼지 및 이물 등을 흡입하기 위하여 상기 흡입 노즐(200)은 피청소면에 대하여 전후 좌우로 이동하는데, 상기 바퀴(430)는 상기 흡입 노즐(200)이 피청소면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회전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상측에는 손잡이(120)가 마련된다. 따라서, 청소 수행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120)를 파지하여 상기 본체(100)가 소정의 각도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본체(100)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120)의 상부에는 조작 패널(122)이 마련되는데, 사용자는 상기 조작 패널(122)에 마련된 버튼을 눌러 본 발명의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작동 상태 등을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청소면에 상태에 따라 상기 흡입 노즐(200)의 흡입 강도, 청소 시간 등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구성 및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본체(100)의 후방에는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유닛(610)이 마련된다.
즉, 상기 지지 유닛(610)의 상단부는 상기 본체(100)의 후방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본체(100)에 마련된 고정 장치(미도시) 등에 의하여 상기 본체(100)의 후방에 밀착되도록 고정된다.
청소 수행시 사용자가 상기 지지 유닛(610)을 사용하지 않거나 본 발명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를 보관하는 경우, 상기 지지 유닛(610)의 하단부를 상기 고정 장치에 의하여 상기 본체(100)의 후방에 밀착되게 고정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청소를 수행하거나, 상기 본체(100)의 부피를 감소시켜 수납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본체(100)를 피청소면 측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본체(100)의 피청소면에 대한 배치 각도를 변화시켜 청소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지지 유닛(610)은 상기 본체(100)를 피청소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지지 유닛(610)을 상기 고정 장치 등으로부터 탈거시키면, 상기 지지 유닛(610)은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하게 되어 상기 본체(100)를 지지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 유닛(610)이 피청소면에 대하여 상기 본체(100)를 지지하는 경우, 상기 지지 유닛(610)은 상기 본체(100)의 하중 압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본체(100)의 하중에 대한 부담 없이 용이하게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는 상기 본체(100)의 회동 운동을 안내하는 회동 안내 부재(300)가 마련된다.
상기 회동 안내 부재(300)는 상기 본체(100) 하부의 일부분을 감싸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의 상하 및 좌우 회동 운동을 안내한다.
즉, 상기 본체(100)의 양측에는 결합 돌기(130)가 마련되는데, 상기 결합 돌기(130)는 상기 회동 안내 부재(300)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홈(320)에 삽입되고 상기 본체(100)는 상기 회동 안내 부재(300)와의 결합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지지 어셈블리(400)가 마련되는데, 상기 지지 어셈블리(400)는 상기 회동 안내 부재(300)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100)의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피청소면에 대한 상기 본체(100)의 이동을 안내한다.
즉, 상기 지지 어셈블리(400)는 제1지지축(410), 제2지지축(420) 및 바퀴(4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에 대하여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는 평소 상기 본체(100)가 직립된 상태로 보관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고정 프레임(632)을 마련함으로써 상기 본체(100)의 직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 프레임(632)은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홈(634)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100)의 회동 운동을 구속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고정 프레임(632)을 상기 고정홈(634)으로부터 탈거시켜 상기 본체(100)의 회동 운동의 구속을 해제함으로써, 피청소면에 대한 상기 본체(100)의 배치 각도를 변화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 프레임(632)의 일측에는 레버(620)가 마련되는데, 상기 고정 프레임(632)은 상기 레버(620)에 연동되도록 설치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상기 레버(620)를 발로 밟는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상기 고정 프레임(632)을 상기 고정홈(634)으로부터 탈거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하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청소기의 본체(100)를 지지하는 구조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는 크게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마련되는 흡입 노즐(200) 및 상기 본체(100)와 상기 흡입 노즐(200) 사이에 마련되는 회동 안내 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흡입 모터(미도시)가 장착되고, 상기 흡입 노즐(200)은 상기 흡입 모터와 연통됨으로써 상기 흡입 모터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하여 피청소면에 산재하는 먼지 및 이물 등을 흡입한다.
한편, 상기 본체(100)와 상기 회동 안내 부재(300)는 상기 흡입 노즐(200)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본체(100)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흡입관(330)에 의하여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 안내 부재(300)는 상기 흡입관(330)과 마찬가지로 상기 본체(100)와 상기 흡입 노즐(200)을 연결시킴과 동시에, 그 상부에 상기 본체(100)가 안착됨으로써 상기 본체(100)의 회동 운동을 안내한다.
즉, 상기 회동 안내 부재(300)는 상기 본체(100) 하부의 일부부을 감싸는 반구 형상으로 마련되고 그 양측에는 결합홈(3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양측에 마련되는 결합 돌기(130)가 상기 결합홈(32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본체(100)와 상기 회동 안내 부재(300)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 안내 부재(300)는 상기 본체(100)가 상기 회동 안내 부재(300)와의 결합축을 중심으로 즉, 상하 방향으로 회동 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한편, 상기 회동 안내 부재(300)의 일측에는 상기 흡입 노즐(200)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관(310)이 마련되며, 상기 흡입 노즐(200)이 상기 연결관(31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흡입 노즐(200)과 상기 회동 안내 부재(30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와 상기 흡입 노즐(200)을 연결하는 상기 흡입관(330)은 상기 연결관(31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흡입 노즐(200)과 상기 연결관(310) 사이에는 플랜지(flange)(640)가 마련되어 상기 흡입 노즐(200)과 상기 연결관(310)의 결합을 더욱 공고히 한다.
또한, 상기 플랜지(640)는 상기 흡입 노즐(200)을 통하여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흡입 노즐(200)과 상기 연결관(310) 사이를 밀폐시킨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는 지지 어셈블리(400)가 마련되는데, 상기 지지 어셈블리(400)는 상기 본체(100)의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피청소면에 대한 상기 본체(10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제1지지축(410)과, 제2지지축(420) 및 바퀴(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1지지축(410)은 상기 회동 안내 부재(300)의 하측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본체(100)의 하중을 받게 된다.
통상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본체는 상기 흡입 노즐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흡입노즐이 본체의 하중을 지지하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1지지축(410)이 상기 본체(100)의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청소기의 조향 성능이 향상된다.
상기 제1지지축(410)은 상기 본체(100)의 좌우 방향의 회동축으로서의 기능을 함으로써, 청소 수행시 사용자는 상기 본체(100)를 상기 제1지지축(410)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지지축(410)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2지지축(420)이 마련되는데, 상기 제2지지축(420)은 상기 제1지지축(410)이 받는 상기 본체(100)의 하중이 전달되도록 상기 제1지지축(410)의 일단부와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1지지축(410)은 제1연결 부재(510)에 의하여 상기 회동 안내 부재(300)와 결합되고, 제2연결 부재(520)에 의하여 상기 제2지지축(420)과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연결 부재(520)는 그 일측으로부터 상기 흡입 노즐(200)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지지축(5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3지지축(522)는 제3연결 부재(530)에 의하여 상기 회동 안내 부재(30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 하단부의 양측에는 한 쌍의 바퀴(430)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상기 제2지지축(420)의 양단부에 상기 바퀴(4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본 발명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이동 성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2지지축(420)에 전달된 상기 본체(100)의 하중을 피청소면에 분산시킨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는 상기 본체(100)의 직립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고정 프레임(632)이 마련된다.
즉, 상기 고정 프레임(632)은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홈(634)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100)의 회동 운동을 제한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 프레임(632)은 그 일측에 마련되는 레버(620)와 서로 연동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레버(620)를 발로 밟는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상기 고정 프레임(632)을 상기 고정홈(634)으로부터 탈거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지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본체(100)를 지지하는 지지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미도시), 먼지 및 이물 등이 포집되는 집진통(110)(도 1 참조) 등이 장착되는 본체(100)는 그 자체로써 무거운 하중을 갖는다. 이러한 상기 본체(10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는 제1지지축(410)이 마련된다.
즉,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는 상기 본체(100)의 회동 운동을 안내하는 회동 안내 부재(300)가 마련되는데, 상기 제1지지축(410)은 상기 회동 안내 부재(300)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본체(100)의 하중을 지지한다.
한편, 상기 제1지지축(410)은 제1연결 부재(510)에 의하여 상기 회동 안내 부재(300)와 결합되며, 상기 제1지지축(410)과 상기 제1연결 부재(510)가 더욱 공고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1지지축(410)의 타단부에는 제1리브(412)가 마련된다.
상기 제1리브(412)는 상기 제1지지축(410)의 타단부의 외주상에 단차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 부재(510)에 삽입,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제1지지축(410)이 받는 상기 본체(100)의 하중을 피청소면에 분산시키기 위한 제2지지축(420)은 상기 제1지지축(410)의 일단부에 연결된다.
즉, 상기 제2지지축(420)은 상기 제1지지축(410)과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지지축(410)의 일단부가 제2연결 부재(520)에 의하여 상기 제2지지축(420)의 길이 방향의 중심 상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지지축(410)이 지지하는 상기 본체(100)의 하중이 상기 제2지지축(420)으로 전달된다.
한편, 상기 제1지지축(410)의 타단부와 상기 회동 안내 부재(300)가 결합되는 지점과 상기 제1지지축(410)의 일단부와 상기 제2지지축(420)이 결합되는 지점은 그 높이가 서로 다르므로 상기 제1지지축(410)은 그 타단부에서 그 일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지지축(410)의 일단부와 상기 제2연결 부재(520)가 더욱 공고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1지지축(410)의 일단부에는 제2리브(414)가 마련되며, 상기 제2리브(414)는 상기 제1지지축(410)의 일단부의 외주상에 단차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 부재(520)에 삽입,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축(410)의 일단부는 상기 제2지지축(420)의 길이 방향의 중심 상에 결합되므로, 상기 제1지지축(410)과 상기 제2지지축(420)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지지축(410)에는 상기 제2지지축(420)에 형성되는 삽입홈(422)에 삽입되는 삽입부(416)가 마련된다.
즉, 상기 삽입부(416)는 상기 제1지지축(410)의 일단부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422)은 상기 삽입부(416)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2지지축(420)의 길이 방향의 중심 상에 상기 제1지지축(410)의 일단부를 항하여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연결 부재(520)는 그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회동 안내 부재(300)에 결합되는 제3지지축(52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3지지축(522)의 일단부는 제3연결 부재(530)에 의하여 상기 회동 안내 부재(300)와 결합된다.
즉, 상기 제3지지축(522)은 상기 제1지지축(4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회동 안내 부재(300)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지지축(410)을 보조하여 상기 본체(100)의 하중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3지지축(522)의 일단부와 상기 제3연결 부재(530)가 더욱 공고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3지지축(522)의 일단부에는 제3리브(524)가 마련되며, 상기 제3리브(524)는 상기 제3지지축(522)의 일단부의 외주상에 단차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3연결 부재(530)에 삽입, 고정된다.
한편, 사용자가 청소를 수행하는 경우 조향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본체(100)는 상기 제1지지축(410)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상기 제1지지축(410)의 하측에서 상기 제3지지축(522)을 상기 회동 안내 부재(300)에 결합시키는 상기 제3연결 부재(530)도 상기 본체(100)의 회동 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제3지지축(522)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상기 제3연결 부재(530)의 내주면에는 가이드 리브(532)가 마련되어, 상기 제3지지축(522)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상기 제3리브(524)의 상대 운동을 안내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리브(532)는 상기 제3리브(524)가 삽입, 고정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상기 본체(100)에 대한 지지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결합축(A-A')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청소기의 본체(100)가 결합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 운동하는 작동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마련되는 회동 안내 부재(300)의 양측에는 결합홈(320)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의 양측에 마련되는 결합 돌기(130)가 상기 결합홈(32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본체(100)는 상기 회동 안내 부재(300)와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청소를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고정 프레임(632)을 상기 고정홈(634)으로부터 탈거시키고, 상기 본체(100)를 상기 회동 안내 부재(300)와의 결합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으므로 청소기의 조향 성능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결합축은 상기 제2지지축(420)과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회동 안내 부재(300)와 흡입 노즐(200)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회동 안내 부재(300)와 상기 흡입 노즐(200)의 결합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 안내 부재(300)는 대략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본체(100) 하부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동 안내 부재(300)에는 상기 본체(10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상기 회동 안내 부재(300)의 전방부에는 상기 흡입 노즐(200)과 결합되는 연결관(310)이 마련되는데, 상기 연결관(310)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 노즐(200)로부터 흡입되는 먼지 및 이물 등이 포함된 공기가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흡입관(330)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310)의 일단부는 상기 흡입 노즐(200) 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본체(100)가 좌우 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흡입 노즐(200)도 상기 본체(100)의 회동에 연동하여 좌우 회동된다.
즉, 상기 본체(100)가 소정 각도로 좌우 회동되는 경우 상기 연결관(310)도 그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100)의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하게 되고, 상기 흡입 노즐(200)은 상기 연결관(310)의 회동에 연동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배치 방향이 변화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상기 본체(100)를 좌우로 회동하는 것만으로도 상기 흡입 노즐(200)이 상기 본체(100)가 회동된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회동되므로, 청소기의 조향 성능 및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가 좌우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 수행시 사용자가 청소기의 진행 방향을 일방향으로 선회시키고자 하는 경우, 손잡이(120)를 파지하여 상기 본체(100)를 일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리고, 일방향으로 회동된 본체(100)에 연동하여 상기 회동 안내 부재(300) 및 상기 연결관(310)도 일방향으로 회동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310)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경사와 상기 흡입 노즐(200)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상기 흡입 노즐(200) 역시 상기 본체(100)의 진행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 수행시 사용자가 진공 청소기의 진행 방향을 타방향으로 선회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손잡이(120)를 파지하여 상기 본체(100)를 타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리고, 타방향으로 회동된 본체(100)에 연동하여 상기 회동 안내 부재(300) 및 상기 연결관(310)도 일방향으로 회동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310)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경사부와 상기 흡입 노즐(200)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상기 흡입 노즐(200) 역시 상기 본체(100)의 진행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본체(100)를 좌우로 회동하는 것만으로도 상기 흡입 노즐(200)이 상기 본체(100)가 회동된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회동되므로, 청소 수행시 진공 청소기의 진행 방향을 용이하게 바꿔가며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체 200: 흡입 노즐
300: 회동 안내 부재 400: 지지 어셈블리
510: 제1연결 부재 520: 제2연결 부재
530: 제3연결 부재

Claims (13)

  1.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는 흡입 노즐;
    상기 본체와 상기 흡입 노즐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피청소면에 대한 배치 각도가 변화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회동 운동을 안내하는 회동 안내 부재; 및
    상기 회동 안내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하중을 지지하고, 피청소면에 대한 상기 본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지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 어셈블리는, 상기 회동 안내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하중을 받는 제1지지축과,
    상기 제1지지축이 받는 상기 본체의 하중이 전달되도록 상기 제1지지축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2지지축과,
    상기 제2지지축에 전달된 상기 본체의 하중을 피청소면에 분산시키도록 상기 제2지지축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바퀴를 포함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축과 상기 제2지지축은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축은 그 타단부에서 그 일단부 방향으로 하향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축의 타단부와 상기 회동 안내 부재를 연결하는 제1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축의 타단부의 외주에는 상기 제1연결 부재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1리브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축의 일단부와 상기 제2지지축을 연결하는 제2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축의 일단부의 외주에는 상기 제2연결 부재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2리브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축에는 그 일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삽입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지지축에는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지지축의 일단부를 향하여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 부재는,
    그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회동 안내 부재에 연결되는 제3지지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지지축의 일단부와 상기 회동 안내 부재를 연결하는 제3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지지축의 일단부의 외주에는 상기 제3연결 부재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3리브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지지축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회동 안내 부재와 결합되는 결합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결합축은 상기 제2지지축과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연결 부재는,
    상기 본체가 좌우 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제3연결 부재에 대한 상기 제3리브의 상대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안내 부재는,
    상기 흡입 노즐과 결합되도록 그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의 일단부는 상기 흡입 노즐 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이 상기 본체의 좌우 방향 회동에 연동하여 그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흡입 노즐은 상기 연결관의 회동에 연동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배치 방향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KR1020110004880A 2011-01-18 2011-01-18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KR101227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880A KR101227517B1 (ko) 2011-01-18 2011-01-18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US13/236,789 US8677556B2 (en) 2011-01-18 2011-09-20 Upright type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880A KR101227517B1 (ko) 2011-01-18 2011-01-18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641A true KR20120083641A (ko) 2012-07-26
KR101227517B1 KR101227517B1 (ko) 2013-01-31

Family

ID=46489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880A KR101227517B1 (ko) 2011-01-18 2011-01-18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77556B2 (ko)
KR (1) KR1012275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386B1 (ko) * 2012-03-06 2013-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CN104271020B (zh) * 2012-03-19 2017-04-05 伊莱克斯公司 具有支撑件的直立式真空吸尘器
WO2014087610A1 (ja) * 2012-12-06 2014-06-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用吸込具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CN113633216A (zh) * 2020-05-11 2021-11-12 添可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地刷和吸尘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6943A (en) * 1993-01-07 1995-09-05 Royal Appliance Mfg. Co. Compact air path construction for vacuum cleaner
US5323510A (en) * 1993-07-09 1994-06-28 Redding Glenn K Vacuum cleaner having improved steering features
US7805804B2 (en) * 2004-12-21 2010-10-05 Royal Appliance Mfg. Co. Steerable upright vacuum cleaner
GB2433425B (en) * 2005-12-23 2010-11-17 Cassidy Brothers Plc Improvements relating to vacuum cleaners
KR101390924B1 (ko) * 2007-10-08 2014-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조향유닛을 구비한 업라이트 진공청소기
KR101457430B1 (ko) * 2008-01-02 2014-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조향유닛을 구비한 업라이트 진공청소기
US8627545B2 (en) * 2011-03-18 2014-01-14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Vacuum cleaner with enhanced maneuverab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7517B1 (ko) 2013-01-31
US20120180256A1 (en) 2012-07-19
US8677556B2 (en) 2014-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2746B1 (ko) 진공 청소기
US8230550B2 (en) Accessory tool for a vacuum cleaner
US7188388B2 (en) Vacuum cleaner with detachable cyclonic vacuum module
US8272097B2 (en) Upright vacuum cleaner
JP2016511671A (ja) 表面クリーニング装置
KR101187077B1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KR101227517B1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KR101208556B1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KR102083800B1 (ko) 진공 청소기
KR101186616B1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EP2656765B1 (en) Accessory tool for a vacuum cleaner
KR101187078B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20100076147A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KR101003601B1 (ko) 진공 청소기
KR101259125B1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핸들
KR101253196B1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KR101055910B1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AU2012216325B2 (en) Accessory tool for a vacuum cleaner
KR101199398B1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JP6133179B2 (ja) 電気掃除機
KR20090069651A (ko) 진공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