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3026A - 포도 재배용 간이 비가림 장치 - Google Patents

포도 재배용 간이 비가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3026A
KR20120083026A KR1020110004444A KR20110004444A KR20120083026A KR 20120083026 A KR20120083026 A KR 20120083026A KR 1020110004444 A KR1020110004444 A KR 1020110004444A KR 20110004444 A KR20110004444 A KR 20110004444A KR 20120083026 A KR20120083026 A KR 20120083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aining
facility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1716B1 (ko
Inventor
김영수
조조환
최재범
김양섭
김진희
김희정
Original Assignee
보령시농업기술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령시농업기술센터 filed Critical 보령시농업기술센터
Priority to KR1020110004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1716B1/ko
Publication of KR20120083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3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06Canopies, i.e. devices providing a roof above the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25Wind breakers, i.e. devices providing lateral protection of the pl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캠벨얼리와 같은 단초 및 중초전정 품종의 개량 일문자 수형에 적용을 목적으로 하는 포도 재배용 간이 비가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두둑을 한번에 비가림하여 비가림 효율을 증대시키고, 이를 통해 병해충 발생 경감 및 우천시 포도 수확과 관리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특히 충분한 수간과 비닐 사이의 간격 확보로 인하여 충분한 환기 공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 인하여 포도의 고온장해을 경감시키는 동시에 포도 품질을 향상시키는 등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포도 재배용 간이 비가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포도 재배용 간이 비가림 장치{Tempory Protct Rain facility}
본 발명은 캠벨얼리와 같은 단초 및 중초전정 품종의 개량 일문자 수형에 적용을 목적으로 하는 포도 재배용 간이 비가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두둑을 한번에 비가림하여 비가림 효율을 증대시키고, 이를 통해 병해충 발생 경감 및 우천시 포도 수확과 관리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특히 충분한 수간과 비닐 사이의 간격 확보로 인하여 충분한 환기 공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 인하여 포도의 고온장해을 경감시키는 동시에 포도 품질을 향상시키는 등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포도 재배용 간이 비가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가림시설은 주요 지주를 중심으로 석가래 형식의 받침대를 엮고 그 위에 비닐이나 유사 포장을 덮어 수확기에 비를 가리는 역할을 하게 하는 시설물을 말하는 것으로, 비가림을 함으로써 과실은 비에 의해 부패되는 현상과 아울러 병해충이 적어지고 또한 과실이나 열매의 품질이 개량될 수 있는 것이다.
종래 포도 비가림 시설로는 1-2W형 연동하우스 형태와 단동하우스의 연결형, 파이프 휨식 간이 비가림 시설, 영동지역에서 많이 이용되는 간이 비가림 시설 등 몇 가지가 있으나, 하우스형은 시설비가 많이 들고, 파이프 휨식 간이 비가림 시설은 시설의 설치가 까다로워서 실용성이 적으며, 간이 비가림시설은 설치가격은 저렴하지만 견고성이 매우 약해 생육기 중 비바람에 의해 쉽게 파손되며, 더욱이 종래의 간이 비가림 시설들은 모두가 공기유통이 불량하여 고온장해라는 공통적인 결함을 가지고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1999년 영동군농업기술센터에서 공기 유통 개선 및 시설비를 절감한 개량형 간이 비가림 시설이 개발 보급되었다.
그러나, 상기의 개량형 간이 비가림 시설은 1두둑씩 비가림하는 형태로 비가림 효율이 다소 떨어지며, 지주 파이프 등 자재의 소요량이 많고, 지주 파이프가 고랑에 위치하여 과원 관리시 작업 동선에 방해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간이 비가림 시설들이 가지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2두둑을 한번에 비가림하면서 지붕과 지붕 사이의 간격 및 비닐과 수간부 사이에 충분한 환기 공간이 확보되는 간이 비가림 시설을 구성함으로써, 비가림 효율을 증대시키고, 충분한 환기공간 확보를 통해 병해충 발생 경감 및 농약 사용을 최소화하는 포도 재배용 간이 비가림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육기간의 저온 고온에 의한 열과, 낙과 등을 예방하여 과실의 상품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우천시에도 수확과 관리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자재의 절감 및 작업 동선 확보가 가능한 포도 재배용 간이 비가림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포도 재배용 간이 비가림 장치는, 2두둑 중앙에 위치하는 콘크리트 기초석에 고정 설치되는 지주파이프; 상기 지주파이프의 상단 일정지점에서 직각방향으로 교차되고, 지붕 형성시 환기공간이 확보되도록 고정구를 통해 연결되는 수평파이프; 상기 지주파이프에 고정구로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수평파이프에 고정구를 통해 연결 고정되는 보강파이프; 상기 수평파이프의 양끝단으로부터 상기 지주파이프의 끝단을 통해 곡선처리되어 만곡되는 제 1 골조파이프; 상기 지주파이프와 수평파이프 및 제 1 골조파이프와 직각방향으로 교차되면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제 2 골조파이프; 및, 상기 제 1,2 골조파이프의 위를 덮으면서 지붕을 형성하여 2두둑을 동시에 비가림하는 비닐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상기 비가림 장치의 지지능력과 내구성을 보강하도록 전면과 후면측에는 종방향으로 일정개수의 지주파이프를 대각으로 연결 고정하는 지지대 파이프를 더 포함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2두둑을 한번에 비가림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강우에 노출되는 엽면적을 최소화하여 병해 발생을 경감시키고, 우천시에도 포도의 적기 수확과 관리작업이 가능하며, 수간부와 비닐사이의 간격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고온에 의한 생리장해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수확 후기까지 건전한 엽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포도의 품질과 생산량을 향상시키고, 특히 지주 파이프를 두둑에 설치함으로 인하여 과원의 고랑을 이용한 기계화 작업 및 농업인의 작업동선 확보가 용이하고 덕의 높이를 농업인의 신장에 적합하도록 개선하여 과원 관리시 신체의 부담을 경감하는 한편, 덕 시설의 설치 자재를 비가림 재배시설에 동시 이용하고, 지주 파이프가 기존 간이 비가림 시설의 1/2이 소요되어 시설비 절감 효과는 물론, 전체 시설이 조립식으로 형태 변경시에도 자재의 재활용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지도록 하는 등의 여러 유용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도 재배용 간이 비가림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포도 재배용 간이 비가림 장치의 상세도.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 파이프와 지지대 파이프, 수평파이프, 제 2 골조파이프의 결합 확대도.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포도 재배용 간이 비가림 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각 파이프 연결부의 결합 상세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도 재배용 간이 비가림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포도 재배용 간이 비가림 장치의 상세도이며,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 파이프와 지지대 파이프, 수평파이프, 제 2 골조파이프의 결합 확대도를 도시한다. 그리고,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포도 재배용 간이 비가림 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각 파이프 연결부의 결합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도 재배용 간이 비가림 장치는, 지주파이프(10), 수평파이프(20), 보강파이프(30), 제 1,2 골조파이프(40)(50), 비닐지(60), 그리고 지지대 파이프(70)를 포함한다.
상기 지주파이프(10)는, 2두둑 중앙에 위치하는 콘크리트 기초석(11)에 고정 설치되어 수직으로 일정높이 세워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평파이프(20)는, 상기 지주파이프(10)의 상단 일정지점에서 직각방향으로 교차되고, 상기 비닐지(60)에 의한 지붕 형성시 환기공간(A)이 확보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평파이프(20)에 고정구(100)를 통해 연결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환기공간(A)은, 지붕과 지붕 사이의 간격이 30㎝ 정도 확보되도록 한 것이며, 이는 상기 비닐지(60)에 의한 지붕높이를 상기 수평파이프(20)에서부터 약 90㎝ 정도로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확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보강파이프(30)는, 상기 지주파이프(10)에 고정구(100)로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수평파이프(20)에 고정구(100)를 통해 연결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보강파이프(30)는 하나의 지주파이프(10)를 중심으로 하여 V자형을 이루는 것이다.
상기 제 1 골조파이프(40)는, 상기 수평파이프(20)의 양끝단으로부터 상기 지주파이프(10)의 끝단을 통해 곡선처리되어 만곡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골조파이프(50)는, 상기 지주파이프(10)와 수평파이프(20) 및 제 1 골조파이프(40)와 직각방향으로 교차되면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비닐지(60)는, 상기 제 1,2 골조파이프(40)(50)의 위를 덮으면서 지붕을 형성하여 2두둑을 동시에 비가림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 파이프(70)는, 상기 비가림 장치의 지지능력과 내구성을 보강하도록 상기 비가림 장치의 전면과 후면측에 그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종방향으로 일정개수(3개)의 지주파이프(10)를 대각으로 연결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도 재배용 간이 비가림 장치는, 캠벨얼리와 같은 단초 전정 및 중초전정 품종의 개량 일문자 수형에 적용을 목적으로 하는 간이 비가림시설로서, 비가림 효율과 환기 개선으로 병해 및 고온장해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견고성을 갖추도록 설계된 것이며, 첨부된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다수의 파이프(10)(20)(30)(40)(50)가 고정구(100)를 통해 상호 조합 구성되어 일정면적의 간이 비가림시설을 구축하기 위한 골조를 이루고 있는 것이며, 상기 골조에 덮혀지는 비닐지(60)에 의해 형성되는 지붕은 2두둑을 동시에 비가림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강우에 노출되는 엽면적을 최소화하여 병해 발생을 경감시킴은 물론, 우천시에도 포도의 적기 수확과 관리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충남 보령시농업기술센터 사현포도 재배 단지에서, 농업인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지역 맞춤형 내풍성 개량형 포도 간이 비사림시설 개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발명자들에 의해 진행되었다.
구체적으로, 비닐지(60)의 폭은 비가림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450㎝로 넓게 확장하여 한 번에 2두둑을 비가림 하고, 이에 따른 공기 유통 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닐지(60)의 높이를 90㎝로 높여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따라서 덕 높이가 180㎝일 경우 시설의 총 높이는 270㎝가 되도록 설치하였다.
이때, 비닐지(60)의 폭과 높이 변경에 따른 견고성 저하와 폭설과 강풍이 빈번한 보령지역의 기후여건을 감안하여 자주파이프(10)는 기초석(11)에 500㎜이상 묻히도록 하고, 재식거리와 동일한 2.4(열간)×1.8(주간) 간격으로 서까래별 2개의 지주파이프(10)가 설치되도록 하여 덕 기둥파이프로 동시에 이용하며, 서까래 곡부분의 3/5지점에 지주파이프(10)가 이어져 하중을 분산하도록 하였다.
또한, 수평파이프(20)와 덕 파이프가 만나는 지점에서 대각으로 지주파이프(10)와 연결하는 보강파이프(30)를 설치하고, 덕과 가로대는 견고하게 엮이도록 고정하며, 수평파이프(20)의 가로대는 5개로 설치하고, 수평파이프(20)별 덕에 30㎝의 환기창을 설치하여 견고성을 높이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비닐지(60)에 의한 지붕의 형태는 설하중과 바람에 대한 영향을 감안하여 아치 형태로 하고, 피복 비닐지(60)는 패드를 이용하여 단단히 고정되도록 하는 한편, 덕 높이는 작업 높이를 감안하여 170~180㎝로 하였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상기 지주파이프(10)는 콘크리트 기초석(11)을 통해 두둑에 설치하였는데, 이는 과원의 고랑을 이용한 기계화 작업 및 농업인의 작업 동선 확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간이 비가림 장치의 전면과 후면측에 위치하는 3개의 지주파이프(10)를 종방향으로 대각지게 연결 고정시, 상기 지지대 파이프(70)에 의해 상기 지주파이프(10)에 의한 비가림 장치의 지지능력과 내구성이 보강되면서 외부의 강한 비바람(특히 강풍)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내풍성 개량형 간이 비가림 시설은, 상기 수평파이프(20)와 비닐지(60)의 사이에 마련되는 환기공간(A)으로 인하여 고온에 의한 생리 장해를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포도의 수확 후기까지 건전한 엽 상태가 유지되면서 포도의 품질과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를 통해 살펴본 본 발명의 내풍성 개량형 간이 비가림 시설은,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보이게 되는 것이었다.
(1) 내재해성(견고성)
폭설, 폭우, 태풍(태풍 곤파스 : 2010.9.2. 04:00~06:00, 최대풍속 36m/s) 등 악천의 기상(惡氣象)으로 인한 비가림 형태별 시설의 피해율(단위 ha,%)을 조사한 결과, 폭설 및 폭우에 의한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태풍에 의한 강풍피해 발생은 아래의 표 1(비가림 형태별 강풍피해 비교)과 같이 내재해성(견고성)이 우수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구 분 시설하우스(1-2W) 기존 간이비가림시설 본발명 개량 간이비가림시설
피해율 2.6/11.6(22.4%) 11.4/41.4(27.5%) 0.2/0.013(6.5%)
본 발명의 간이 비가림 시설은 시설하우스나 종래 간이 비가림 시설과 비교하여 내풍성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피복 비닐의 내구성 및 결속력 강화로 대형 태풍 발생시 비닐이 파손되지 않고, 시설 전체가 바람에 밀려 올라가 피해 규모가 오히려 더 커질 위험이 있었으므로 전후면의 지주파이프 3개를 대각으로 연결하는 지지대 파이프(70)를 추가하였으며, 그 결과 구조적으로 안정감을 유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수관부 온도
비가림 재배시 환기 불량에 의한 시설 내부 온도 상승은 과실의 착색을 불량하게 하고, 엽소 현상 등을 유발하여 포도 잎의 건전한 생육을 저해함으로써 과실의 수량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고품질 포도 생산과 생산성 증대를 위하여 외기 온도와의 차이를 최대한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비가림 시설의 형태에 따른 덕면 10㎝ 윗부분의 비닐 내부 일중 최고온도는 노지에서 평균 32.5℃일 때 비닐과 수관이 밀착되어 있는 종래의 간이 비가림 시설에서 40.0℃로 가장 높아 외기 온도보다 평균 7.2℃가 높게 나타났으며, 개량형인 본 발명의 간이 비가림 시설은 아래의 표 2(비가림 형태별 일중 최고온도(덕면 10㎝))에서와 같이 33.7℃로 1℃ 내외의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구 분 최고온도 (℃) 평 균
7.12 7.20 8.9 8.19 8.22
비가림하우스(1-2W) 33.2 34.9 37.2 35.2 34.9 35.1
간이비가림 36.9 40.3 43.3 40.9 38.7 40.0
본발명 개량형 간이비가림 32.0 33.9 35.6 34.0 33.1 33.7
외기(노지) 30.6 32.8 34.4 32.7 32.1 32.5
(3) 병해의 발생
비닐의 폭이 좁고 비에 노출되는 엽수가 많은 종래의 비가림 시설에서 갈반병이 다발생 하여 조기낙엽 되었고, 수관과 비닐의 밀착되는 구조로 환기가 불량하여 고온 장해인 엽소현상 또한 22.1%의 비율로 높게 나타났지만, 본 발명의 개량형 간이 비가림 시설에서는 아래의 표 3(병해 발생 및 방제 횟수)에서와 같이 엽소현상은 전혀 발생하지 않았고, 갈반병의 발생율은 1.5%로 기존 간이 비가림 시설의 13%보다 현저히 낮았으며, 약제 방제횟수도 기존 비가림보다 6회 적은 7회로 방제 노력 및 비용 절감됨을 알 수 있었다.
구 분 병해 발생비율 방제 횟수
갈반병 엽소현상 살균제 살충제
간이비가림 13 22.1 8 5
본발명 개량형 간이비가림 1.5 0 5 2
(4) 과실의 특성
보령 사현포도 재배 단지는 기존 간이 비가림을 이용한 노지 재배의 기술수준이 매우 높은 편으로 과실의 품질 차이가 크지는 않았으나, 당도 및 착색도에서 아래의 표 4(과실 특성)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개량형 간이 비가림 재배가 기존의 간이 비가림 재배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설하우스 보다는 다소 낮은 당도와 착색도를 나타냈으나 이는 시설구조에 의한 차이라기보다는 수확시기 및 수확기의 기상여건 차이에 의한 것으로 보였다.
특히 판매가격에 있어서는 시설하우스는 조기 출하 형태이므로 출하시기의 차이에 따른 가격편차가 커서 비교대상으로 적합하지 않으며, 출하시기가 같은 간이 비가림 시설 간의 비교에서는 본 발명의 개량 간이 비가림 재배가 기존의 간이 비가림 재배보다 판매가격이 약 115%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본 발명의 개량 간이 비가림 시설의 품질 향상 효과를 보여주는 간접적인 지표라 할 수 있고, 수량은 개량형 간이 비가림 시설이 가장 높았으며, 이러한 품질 및 수량의 증대는 본 발명의 개량형 간이 비가림 시설이 기존의 간이 비가림 시설보다 성숙 후기까지 포도 잎의 생육 상태가 양호하여 광합성율이 높았기 때문이다.
구분 당도(°Bx) 착색도 수량(㎏/10a) 판매가격(원/㎏)
하우스(무가온) 16.1 10.7 2,000 4,800
간이비가림 15.6 10.0 2,200 2,600
본발명 개량형 간이비가림 16.0 10.4 2,400 3,000
(5) 경제성 가치 (비가림시설 설치비 및 소득 분석)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비가림 시설의 경제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1-2W형 하우스는 조기 착과 및 출하가 가능하여 조수입은 가장 높으나, 시설비의 부담이 커서 농가에서 쉽게 투자하기가 어렵고, 대형 시설로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는 단점이 있는 반면, 종래 간이 비가림 시설은 설치 가격이 저렴하여 많은 농가에서 이용되나 견고성이 매우 약해 비바람에 쉽게 파손되며, 피복 범위가 좁고 고온장해가 유발되어 비가림 효과가 떨어져 품질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간이 비가림 시설은 아래의 표 5(설치비 및 소득분석)에서와 같이 종래 간이 비가림 시설보다는 시설비가 높았으나, 1-2W형 하우스의 1/4수준의 시설비로, 비가림 하우스와 유사한 수준의 고품질 포도 생산이 가능하여 동일한 시기에 출하되는 종래 간이 비가림 포도보다 소득이 26%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구 분 하우스(무가온) 본발명 개량 간이비가림 간이비가림
시설비(천원) 50,564 12,716 3,019
조수입(천원/년) 9,600 7,200 5,720
즉, 종래 기존 간이 비가림 시설과 비교한 본 발명의 개량 간이 비가림 시설의 재배 이익적 요소에는 수량 및 품질 향상에 따른 소득 증대 약1,480천원/년, 방제비 절감 55천원/년으로 연 1,535천원의 이익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증가되는 설치비에 대한 회수에는 약 6.3년이 소요 될 것으로 파악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간이 비가림 시설은, 비닐 피복 노력을 연 1회에서 3~5년에 1회로 절감할 수 있으며, 지주파이프가 두둑에 위치함으로써 과원의 고랑을 이용한 기계화 작업이 가능해지는 등 생력화 효과가 있고, 특히 2두둑을 한번에 비가림하는 광폭형 시설로서 우천시에도 과원관리가 용이하고, 치마식으로 시설 보완시 출하시기의 조절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이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지주파이프 11; 콘크리트 기초석
20; 수평파이프 30; 보강파이프
40; 제 1 골조파이프 50; 제 2 골조파이프
60; 비닐지 70; 지지대 파이프
100; 고정구

Claims (2)

  1. 2두둑 중앙에 위치하는 콘크리트 기초석에 고정 설치되는 지주파이프;
    상기 지주파이프의 상단 일정지점에서 직각방향으로 교차되고, 지붕 형성시 환기공간이 확보되도록 고정구를 통해 연결되는 수평파이프;
    상기 지주파이프에 고정구로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수평파이프에 고정구를 통해 연결 고정되는 보강파이프;
    상기 수평파이프의 양끝단으로부터 상기 지주파이프의 끝단을 통해 곡선처리되어 만곡되는 제 1 골조파이프;
    상기 지주파이프와 수평파이프 및 제 1 골조파이프와 직각방향으로 교차되면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제 2 골조파이프; 및,
    상기 제 1,2 골조파이프의 위를 덮으면서 지붕을 형성하여, 1열의 지붕이 2두둑을 동시에 비가림하도록 구성되는 비닐지;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 재배용 간이 비가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림 장치의 지지능력과 내구성을 보강하도록, 전면과 후면측에는 종방향으로 일정개수의 지주파이프를 대각으로 연결 고정하는 지지대 파이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 재배용 간이 비가림 장치.
KR1020110004444A 2011-01-17 2011-01-17 포도 재배용 간이 비가림 장치 KR101261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444A KR101261716B1 (ko) 2011-01-17 2011-01-17 포도 재배용 간이 비가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444A KR101261716B1 (ko) 2011-01-17 2011-01-17 포도 재배용 간이 비가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026A true KR20120083026A (ko) 2012-07-25
KR101261716B1 KR101261716B1 (ko) 2013-05-07

Family

ID=46714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444A KR101261716B1 (ko) 2011-01-17 2011-01-17 포도 재배용 간이 비가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17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20111A (zh) * 2013-03-21 2013-05-29 新疆农业科学院园艺作物研究所 一种适合北方葡萄水平连棚架栽培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606Y1 (ko) 2017-03-16 2017-06-02 정주광 비가림 시설물
CN110178594A (zh) * 2019-07-08 2019-08-30 迟美丽 一种葡萄种植用翅片式温室大棚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6409A (ja) * 2005-03-25 2006-11-02 Masakazu Yoshida シートハウス
KR100830904B1 (ko) * 2007-04-03 2008-05-22 주식회사 광진기업 과수 재배용 비가림 시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20111A (zh) * 2013-03-21 2013-05-29 新疆农业科学院园艺作物研究所 一种适合北方葡萄水平连棚架栽培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1716B1 (ko) 2013-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38877B (zh) 一种火龙果高效高产栽培方法
CN107258390B (zh) 一种方便收放折叠的连动温室大棚及莲雾的优质稳产栽培方法
CN205105851U (zh) 一种无横档y型篱架葡萄棚架
CN103918519B (zh) 一种白肉枇杷双膜大棚保温促早成熟栽培方法
CN104221807A (zh) 一种葡萄单幅连棚降密提质促早熟栽培方法
CN206118595U (zh) 一种鲜食枣防雨棚
KR101261716B1 (ko) 포도 재배용 간이 비가림 장치
CN102379228A (zh) 一种葡萄遮阴栽培技术
CN103430801B (zh) 枣树定高分层避雨栽培方法及其矮化修剪整形避雨装置
CN106613507A (zh) 一种适用于铁皮石斛和金线莲立体共生的栽培设施和方法
KR20040072192A (ko) 자동 개폐식 과수 비가림 하우스
CN101563997B (zh) 一种露地葡萄促成防寒的栽培方法
CN108633559B (zh) 一种低成本且产量高的大棚果蔬种植方法
CN107466773A (zh) 通过联栋大棚促成梨无袋高产栽培技术
KR100830904B1 (ko) 과수 재배용 비가림 시설
CN202617833U (zh) 一种适用于葡萄栽培的大棚
CN205511016U (zh) 一种蘑菇种植大棚
KR102215938B1 (ko) 홉의 재배설비
CN109429814B (zh) 一种蔬菜生产的简易保护地设施
CN204482558U (zh) 单十字双v形葡萄架
CN106613562A (zh) 一种田间枣树防雨棚
CN210328719U (zh) 一种用于重楼种植的棚架
CN108812035B (zh) 一种南方梨设施避雨栽培方法
CN209171026U (zh) 冷棚葡萄栽培架
CN208029708U (zh) 一种高抗多用途果树避雨的新型栽培篱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