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1937A - 급수 보틀의 교환이 용이한 워터 서버 - Google Patents

급수 보틀의 교환이 용이한 워터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1937A
KR20120081937A KR1020117009714A KR20117009714A KR20120081937A KR 20120081937 A KR20120081937 A KR 20120081937A KR 1020117009714 A KR1020117009714 A KR 1020117009714A KR 20117009714 A KR20117009714 A KR 20117009714A KR 20120081937 A KR20120081937 A KR 20120081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supply bottle
bottle
water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9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리오 오기노
Original Assignee
카부시키가이샤 오켄워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부시키가이샤 오켄워타 filed Critical 카부시키가이샤 오켄워타
Publication of KR20120081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19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 B67D3/003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the bottle or container being held upside down and provided with a closure, e.g. a cap, adapted to cooperate with a feed tub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8Supports
    • B67D3/0083Supports for the liqui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94Ergonomics
    • B67D2210/00097Handling of storage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급수 보틀(10)이 뒤집힌 상태의 기본자세에 있어서, 급수 보틀 지지부(110)에 지지된 급수 보틀(10)의 관구(11)와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에 지지된 급수 접속구(120)와의 거리가 급수 보틀(10)의 관구(11)에 대하여 급수 접속구(120)가 정상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상태의 거리이다. 급수 보틀(10)의 교환 작업에 있어서, 사용이 끝난 급수 보틀(10)을 전방으로 인출하는 인출 동작에 의해, 급수 보틀 지지부(110)에 지지된 급수 보틀(10)의 관구(11)와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에 지지된 급수 접속구(120)와의 거리가 점차로 커지고, 관구(11)로부터 급수 접속구(120)가 정상적으로 분리된 상태의 거리에까지 이르러, 급수 접속구(120)의 분리 작업이 완료된다. 설치 작업은 그 반대의 동작이 된다. 급수 접속구 탈착 기구(150)에 의해, 급수 보틀(10)의 인출ㆍ되밀기 작업만으로 급수 접속구(120)의 급수 보틀(10)의 설치ㆍ분리가 자동적으로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급수 보틀의 교환이 용이한 워터 서버 {Water server employing improved mechanism for easy water bottle exchange}
본 발명은, 교환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급수 보틀(bottle)을 장착하는 것에 의해 물을 공급하고,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물 또는 온수로서 간단히 취출(取出)할 수 있는 워터 서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용도는, 업무용의 급수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반 가정이나 회사 등에 설치되는 일반용의 급수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워터 서버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은, 액체라면 무엇이든지 가능하며, 음료수의 이외에, 끓인 물, 각종 드링크류, 커피, 홍차, 차, 스프ㆍ우려낸 국물류 등도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교환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급수 보틀(bottle)을 장착하는 것에 의해 물을 공급하고,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물 또는 온수로서 간단히 취출할 수 있는 워터 서버가 호평을 얻어서 널리 보급되고 있다.
종래부터 널리 보급되고 있는 워터 서버의 구조는, 급수 보틀(bottle)을 장치본체의 최상부에 배치하고, 이 급수 보틀(bottle)내의 물을 자연낙하시켜서 각계(各系)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 공개 특허 제 2010-63799호 공보에 공개된 워터 서버의 구성은, 도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를 저장하는 급수 보틀(22)을 상부에 설치 가능한 액체공급 유니트(20)와, 원료를 저장하는 원료저장부(50)와, 상기 액체공급 유니트로부터 공급된 액체와 상기 원료저장부로부터 공급된 원료를 혼합하는 혼합부(80)을 갖는 음료조제 유니트(30)을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렇게, 일본 공개 특허 제 2010-63799호 공보에 공개된 워터 서버에서는, 급수 보틀(22)이 상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급수 보틀(22)안의 음료수를 음료 조제 유니트(30)에 공급할 때, 액체의 자중을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형의 워터 서버에서는, 평상 사용시는 물의 흐름이 중력을 이용하는 것이 되어, 장치 내에서의 소비 전력 등이 작아지는 메리트를 얻을 수 있지만, 급수 보틀(bottle)의 교환시에는 반대로 큰 노동력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즉, 급수 보틀(bottle)이 장치본체의 최상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급수 보틀(bottle)의 교환 시에는 장치본체의 최상부에서 급수 보틀(bottle)을 떼어내고, 새로운 급수 보틀(bottle)을 다시 장치본체의 최상부에 설치 하는, 급수 보틀(bottle)을 올렸다 내렸다 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있었다. 물이 충전된 물 탱크는 무겁고, 장치본체의 최상부까지 들어 올려서 설치 하는 작업에는 강한 힘이 필요하여, 힘이 약한 여성이나 어린이, 허리가 아픈 노인 등에 있어서는 부담이 지나치게 크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급수 보틀(bottle)이 장치본체의 최상부에 배치되고, 장치본체의 중심이 위 쪽에 있기 때문에 불안정하여 장치의 안전성에도 문제가 있었다.
상기 종래형의 워터 서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급수 보틀(bottle)을 아래쪽으로 두는 연구가 행하여 지고 있다.
일본 공개 특허 제2001-153523호 공보에 공개된 워터 서버는, 급수 보틀(bottle)을 아래쪽으로 두는 연구를 하고 있다. 일본 공개 특허 제2001-153523호 공보에는, 도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 보틀(5)이 장치본체의 저부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며, 이 급수 보틀(5)로부터 급수계에 펌프에 의해 송수하는 송수 관(62)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 공개되어 있다. 이렇게 급수 보틀(5)을 아래쪽으로 두는 연구를 하는 것에 의해, 급수 보틀(5)의 교환시에는 장치본체의 하부에서 급수 보틀(5)을 분리해 내고, 새로운 급수 보틀(5)을 다시 장치본체의 하부에 설치하면 되며, 일본 공개 특허 2010-63799호 공보에 공개된 워터 서버와 같이 급수 보틀(bottle)을 올리고 내리는 작업은 불필요해진다. 또한, 장치본체의 중심을 아래쪽으로 내리는 것에 의해 안정성을 향상시켜, 지진 등이 발생해도 쓰러지지 어려운 워터 서버가 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2010-63799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 2001-153523호 공보
상기한 바와 같이, 워터 서버에 있어서 급수 보틀(bottle)을 아래쪽으로 두는 연구를 하는 것에 의해, 급수 보틀의 교환시에 있어서도 급수 보틀을 올리고 내리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고, 또한, 장치본체의 중심을 아래쪽으로 내릴 수 있게 되므로, 장치전체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일본 공개 특허 2001-153523호 공보에 공개된 워터 서버에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문제가 있다.
우선, 위생면의 문제다. 일본 공개 특허 제2001-153523호 공보에 공개된 워터 서버에서는, 급수 보틀(bottle)을 장치의 아래 쪽 부분에 설치할 뿐, 즉, 급수 보틀(bottle)의 개구부를 위로 하여 설치하는 것이 되며, 펌프에 의해 송수하는 송수 관을 개구부로부터 집어넣는 것으로 되어 있다. 급수 보틀(bottle)의 개구부를 위로 해서 설치할 경우, 물을 최후까지 펌프로 퍼 내기 위해서는, 송수 관을 길게 해서 급수 보틀(bottle)의 상면(上面)부터 하면(下面)까지 통과시켜 넣을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금속 등의 송수 관이 급수 보틀(bottle)내의 수중에 깊게 들어가 있는 것이 되어, 송수 관이 충분히 유지관리 되지 않는 한, 위생면에서 문제가 있다.
한편, 일본 공개 특허 2010-63799호 공보에 공개된 종래 형 워터 서버와 같이, 장치본체의 최상부에 급수 보틀(bottle)을 뒤집어 놓은 상태로 지지하는 타입이라면, 뒤집힌 급수 보틀의 개구부에 직접 접속하는 급수 접속구에 의해 적정량이 빼 내어지기 때문에, 급수 보틀(bottle)내의 수중에 치구(治具) 등이 깊이 들어가지 않아 위생면에서 우수하다.
그러나, 단지, 일본 공개 특허 2001-153523호 공보에 공개된 급수 보틀(bottle)을 장치의 하방부분에 배치하는 워터 서버의 구성에 있어서, 일본 공개특허 2010-63799호 공보에 공개된 급수 보틀을 뒤집어 놓은 상태에서 지지하는 구성을 조합시킨 구성을 상정했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워터 서버의 구성에서는, 급수 보틀의 교환 작업이 지극히 어려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즉, 급수 보틀을 장치 하방에 설치하고, 동시에 급수 보틀을 뒤집어 놓은 모습으로서 급수 접속구와 접속시켜서 설치하는 것은 구조상 어렵다는 문제다.
즉, 급수 보틀을 장치의 하방 부분에 배치 하는 타입이라면, 급수 보틀(bottle)의 교환 작업시에 급수 보틀(bottle)을 크게 들어 올릴 필요가 없어, 급수 보틀을 올리고 내리는 관점에서는 편하지만, 급수 보틀(bottle)을 뒤집어 놓은 자세로 하면, 급수 보틀의 개구부가 최하점에 위치하는 것이 되고, 또한, 급수 보틀 자체가 시야를 가로막아버리기 때문에, 눈으로 보면서 급수 보틀의 개구부와 급수 접속구를 접속시킬 수 없다. 또한, 급수 보틀(bottle)의 배치장소가 장치내부 아래 쪽이라면, 장치의 케이스자체가 시야를 가로막아버리는 데에 더하여, 장치의 안쪽에는 손을 넣기 어렵기 때문에, 작업성을 저해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일본 공개특허 2001-153523호 공보에는, 급수 보틀(bottle) 밑에 받침대를 설치해서 급수 보틀(bottle)을 인출 내고자 하는 연구가 공개되어 있지만, 급수 보틀(bottle)을 뒤집힌 자세로 급수 접속구에 접속하는 타입에서는, 급수 접속구가 장치내부의 급수계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간단히는 크게 인출해 낼 수 없다. 받침대에 의해 급수 보틀(bottle)을 약간 인출 내는 정도로는, 뒤집힌 자세에 있는 급수 보틀(bottle)의 접속 개소가 안 쪽에 숨겨져 있는 채이며, 급수 보틀(bottle)의 교환 작업 효율이 저해된 상태라는 것에는 변함이 없다.
상기 문제를 감안해, 본 발명은, 급수 보틀을 장치 아래 쪽 부분에 배치 하는 것에 의해 급수 보틀을 올리고 내리는 작업을 불필요하게 하는 메리트와, 급수 보틀을 뒤집힌 자세로 급수 접속구에 직접 접속하는 것에 의해 위생면에서의 메리트를 얻으면서, 더욱이, 급수 보틀의 교환 작업이 지극히 용이한 구조를 채용하는 것에 의해, 급수 보틀의 교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킨 워터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워터 서버는, 교환 자유롭게 지지된 급수 보틀(bottle)에서 음료수를 빼내어 저장하고,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음료수를 공급하는 워터 서버에 있어서, 상기 급수 보틀을 뒤집힌상태로 지지하는 급수 보틀 지지부와, 상기 급수 보틀의 관구를 통하여 상기 급수 보틀 내측과 도통(導通)하여 상기 음료수를 취출하는 급수 접속구를 지지하는 급수 접속구 지지부와, 상기 급수 보틀 지지부에 지지되는 상기 급수 보틀의 관구와 상기 급수 접속구 지지부에 지지되는 상기 급수 접속 지지구의 상대 거리를 제어하고 양자의 탈착을 제어하는 급수 접속구 탈착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급수 보틀을 전방으로 인출하는 인출 동작 및 후방으로 되미는 되밀기 동작과, 상기 급수 접속구 탈착 기구에 의한 상기 급수 보틀 지지부와 상기 급수 접속구 지지부와의 탈착 제어를 연동시켜, 상기 인출 동작 및 상기 퇴밀기 동작에 연동한 상기 급수 접속구의 상기 급수 보틀의 관구에의 설치ㆍ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워터 서버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 구성으로서, 인출 동작 및 되밀기 동작은, 상기 급수 보틀을 전후로 인출하려고 슬라이드 이동 시키는 인출 타입과, 인출 동작 및 되밀기 동작이 급수 보틀을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여 인출하고 다시 후방으로 되미는 경사 타입이 가능하다.
인출 타입의 워터 서버로서, 급수 접속구 탈착 기구가, 상기 급수 보틀 지지부와 상기 급수 접속구 지지부를 포함하는 유니트를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유니트 슬라이드 기구와, 상기 급수 보틀과 상기 급수 접속구가 서로 마주보며 접근ㆍ이격하게 양자를 상대 이동시키는 탈착 슬라이드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유니트 슬라이드 기구에 의한 슬라이드 이동과 상기 탈착 슬라이드 기구에 의한 상기 급수 접속구와 상기 급수 보틀의 탈착을 연동시켜, 상기 급수 보틀의 전후에의 슬라이드 이동에 맞추어 상기 급수 접속구의 상기 급수 보틀의 관구에의 결합ㆍ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탈착 슬라이드 기구가, 상기 급수 접속구 또는 상기 급수 접속구 지지부에 설치한 제1 연결 형상과, 상기 제1 연결 형상에 대향하는 장치 케이스측에 설치한 제2 연결 형상과의 연결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유니트 슬라이드 기구에 의해 주어지는 상기 제1 연결 형상 또는 상기 제2 연결 형상의 전후의 슬라이드 이동의 궤적에 있어서 수직성분의 이동이 강제적으로 발생되어, 상기 유니트 슬라이드 기구에 의한 전후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급수 접속구와 상기 급수 보틀의 관구와의 상대이동이 생기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급수 보틀과 급수 접속구와의 탈착은, 급수 보틀 측을 움직이는 구성도 있으며, 급수 접속구 측을 움직이는 구성도 있다.
급수 접속구 측을 움직일 경우의 탈착 슬라이드 기구의 구성 예로서는, 상기 제1 연결 형상이 돌기체이며, 상기 제2 연결 형상이 구 형상의 가이드인 구조가 있다. 상기 제2 연결 형상의 구 형상의 가이드의 일부가 비스듬히 설치되는 연구를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이동에 있어서 상기 수직성분의 이동이 강제적으로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경우, 상기 급수 접속구 지지부가, 상기 급수 접속구의 수평성분의 이동을 제한하면서 수직성분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급수 접속구의 이동 공간과, 상기 제2 연결 형상의 상기 구 형상의 가이드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돌기체의 수직성분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돌기체의 이동 공간을 확보하는 것으로 하면 급수 접속구의 상하이동이 가능해진다.
급수 보틀 측을 움직일 경우의 탈착 슬라이드 기구의 구성 예로서는, 상기와는 반대의 관계로 하여, 상기 제2 연결 형상이 돌기체이며, 상기 제1 연결 형상이 구 형상의 가이드인 구조가 있다. 상기 제1 연결 형상의 구 형상의 가이드의 일부가 비스듬히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이동에 있어서 상기 수직성분의 이동이 강제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경사 타입의 워터 서버는, 상기 인출 동작 및 상기 되밀기 동작이, 상기 급수 접속구 탈착 기구가, 상기 급수 보틀 지지부와 상기 급수 접속구 지지부를 포함하는 유니트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유니트 회전 기구와, 상기 유니트 회전 기구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급수 보틀과 상기 급수 접속구가 서로 마주보며 접근ㆍ이격하게 양자를 상대 이동시키는 탈착 슬라이드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유니트 회전 기구에 의한 회전 경사 이동과 상기 탈착 슬라이드 기구에 의한 상기 급수 접속구와 상기 급수 보틀의 탈착을 연동시켜, 상기 급수 보틀의 전후에의 회전 경사 이동에 맞추어 상기 급수 접속구의 상기 급수 보틀의 관구에의 설치 ㆍ분리를 가능하게 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급수 접속구 탈착 기구가, 상기 유니트 회전 기구에 의해 회전 경사 이동하는 상기 급수 보틀 지지부 또는 상기 급수 접속구 지지부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유니트 회전 기구에 의한 회전 궤적보다 외측으로 벗어난 궤적을 따라 이동시키는 비회전 경사 이동 기구를 갖추고, 상기 비회전 경사 이동 기구를 통해 상기 유니트 회전 기구와 상기 탈착 슬라이드 기구를 연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구성에 의해, 상기 급수 보틀 교환시의 상기 회전 경사 동작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회전 기구에 따른 상기 급수 접속구 또는 상기 급수 접속구 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회전 경사 이동과, 상기 비회전 경사 이동 기구에 따른 다른 하나의 상기 비회전 경사 이동의 차이에 의해, 상기 탈착 슬라이드 기구에 따른 양자의 접근ㆍ이격 운동이 야기된다.
예를 들면, 상기 유니트 회전 기구의 상기 회전 운동의 기단(起端)에서, 상기 급수 보틀이 장치 내에서 뒤집힌 상태이거나 또는 상기 급수 보틀 지지부와 상기 급수 접속구 지지부의 상대적 거리가 가장 작은 상기 급수 보틀과 상기 급수 접속구가 접속된 상태에 있고, 상기 유니트 회전 기구의 상기 회전 운동의 종단(終端)을 향할 수록, 상기 급수 보틀이 전방으로 경사져 인출되거나, 또는 상기 급수 보틀 지지부와 상기 급수 접속구 지지부의 상대적 거리가 커져 상기 급수 보틀과 상기 급수 접속구의 접속이 개방되는 상태가 된다.
즉, 급수 보틀을 장치 전방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기울이는 운동이, 급수 보틀 지지부와 급수 접속구 지지부를 상대적으로 서로 마주보며 접근ㆍ이격하는 운동과 연동시킬 수 있고, 간단히 급수 접속구 지지부와 급수 보틀의 관구의 결합ㆍ분리가 절하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상기 유니트 회전 기구의 상기 회전 운동의 상기 기단에 있어서, 상기 급수 보틀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급수 보틀의 관구와 상기 급수 접속구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급수 접속구와의 거리가, 상기 급수 보틀의 관구에 대하여 상기 급수 접속구가 정상적으로 결합된 상태의 거리이고, 상기 유니트 회전 기구의 상기 회전 운동의 상기 기단을 향함에 따라, 상기 유니트 회전 기구에 따른 상기 급수 접속구 지지부의 회전운동과, 상기 비회전 경사 이동 기구에 따른 상기 급수 보틀 지지부의 운동에 부수하여 상기 급수 보틀의 관구에 대한 상기 급수 접속구의 설치 작업이 완료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해, 상기 유니트 회전 기구의 상기 회전운동의 상기 기단에서 상기 종단을 향함에 따라, 상기 급수 보틀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급수 보틀의 관구와 상기 급수 접속구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급수 접속구와의 거리가 점차 커지고, 그 중 상기 급수 보틀의 관구로부터 상기 급수 접속구가 정상적으로 분리되는 상태의 거리에까지 이르고, 상기 유니트 회전 기구에 따른 상기 급수 접속구 지지부의 회전운동과 상기 비회전 경사 이동 기구에 따른 상기 급수 보틀 지지부의 운동에 부수하여, 상기 급수 보틀의 관구에 대한 상기 급수 접속구의 결합 작업이 완료된다.
여기에서, 상기 비회전 경사 이동 기구의 구성 예로서는, 장치 케이스 벽면에 설치된 습동구와 상기 습동구를 습동하는 습동 바퀴와, 상기 습동 바퀴와 상기 급수 보틀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자를 구비하고, 상기 습동구의 기단에서, 상기 회전축과 상기 습동 기구와의 거리가 가장 가깝고, 상기 습동구의 종단에 향할수록 회전축과 상기 습동 기구와의 거리가 커져 가도록, 상기 회전축의 위치와 상기 습동구의 형상이 조정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급수 보틀 교환 기구에 있어서, 상기 습동구의 형상이나 상기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각도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급수 보틀의 회전 운동에 대한 급수 보틀의 관구와, 급수 접속구 지지부에 지지된 급수 접속구와의 접근ㆍ이격의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에 있어서, 급수 보틀의 중심의 위치가 그다지 전방에 치우치지 않도록 이하의 연구를 할 수 있다. 즉, 상기 급수 보틀 지지부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축의 위치가, 상기 급수 보틀의 관구가 고정되어 있는 위치보다도, 상기 유니트 회전 기구에 의한 회전운동의 종단측에 편심시키도록 궁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워터 서버의 케이스의 개폐 문이 정면에 설치되어, 상기 유니트 회전 기구에 의한 회전운동의 상기 기단이 상기 워터 서버의 케이스의 내측, 상기 유니트 회전 기구에 의한 회전운동의 상기 종단이 상기 워터 서버의 케이스의 정면측이 되도록 설치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인출 타입의 워터 서버, 경사 타입의 워터 서버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급수 보틀을 급수 접속구 지지부에서 빼내는 동작에 있어서, 확실하게 빼내기 위해서는 급수 보틀이 급수 보틀 지지부에 대하여 확실히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기에서, 상기 급수 보틀의 관구가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급수 보틀 지지부가 상기 급수 보틀의 관구의 상기 플랜지와 서로 감합하고, 상기 급수 보틀이 상기 플랜지에 대한 수직성분의 이동을 제지하는 감합형상을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급수 보틀을 전방으로 인출하는 인출 동작에 있어서, 상기 급수 접속구 탈착 기구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급수 보틀 지지부와 상기 급수 접속구 지지부와의 상대거리가, 상기 급수 보틀과 상기 급수 접속구가 접합 상태의 거리인 동안, 상기 급수 보틀 지지부의 상기 감합형상과 상기 급수 보틀의 관구의 상기 플랜지가 감합된 상태가 된다.
예를 들면, 상기 감합형상이, 상기 유니트 회전 기구의 상기 회전운동의 상기 기단에서 상기 종단방향을 향하여 상기 급수 보틀의 상기 관구의 외경보다 크고 또한 상기 플랜지의 직경보다 작은 폭으로 개방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형상이라면, 상기 개방 방향에 따라 상기 급수 보틀의 상기 관구가 상기 감합형상에 대하여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플랜지와 수평성분의 운동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플랜지와 수직성분의 운동은 상기 플랜지와 상기 감합형상의 감합에 의해 제지되는 것이 된다.
본 발명의 워터 서버에 있어서, 상기의 급수 보틀 교환 기구를 장치 전체에 있어서, 이하와 같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급수 보틀 교환 기구의 상기 급수 보틀 지지부 및 상기 급수 접속구 지지부는, 상기 워터 서버의 케이스 안의 하방 부근에 배치되고 있어, 상기 급수 보틀의 장착 위치가 상기 워터 서버의 케이스 안의 하방 부근이 되도록 배치된다.
다음으로, 본발명의 워터 서버의 교환 작업은, 워터 서버의 케이스의 개폐 문을 열고, 상기 기본상태에 있는 상기 급수 보틀이 상기 교환 상태가 되도록, 상기 급수 보틀 지지부 및 상기 급수 접속구 지지부를 조작해서 상기 급수 보틀의 관구로부터의 상기 급수 접속구의 분리 작업을 완료하고, 상기 급수 보틀을 새로운 상기 급수 보틀로 교환한 후, 상기 급수 보틀 지지부 및 상기 급수 접속구 지지부를 조작해서 상기 급수 보틀의 관구에 대한 상기 급수 접속구의 설치 작업을 완료하고, 상기 기본상태로 되돌려지는 것이 되며, 지극히 간단히 급수 보틀의 교환 작업을 완료할 수 있는 것이 된다.
인출 타입의 워터 서버라면, 상기 워터 서버의 케이스내의 상기 급수 보틀의 기본상태는, 상기 급수 보틀이 상기 급수 보틀 지지부 상에 거의 연직방향으로 도립하고, 상기 급수 보틀의 관구에 대하여 상기 급수 접속구가 결합된 상태이고, 상기 급수 보틀의 교환 상태는, 상기 급수 보틀이 상기 급수 보틀 지지부에 뒤집힌 상태에서 장치 케이스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되어 교환하기 쉬운 상태가 되게 배치된다.
경사 타입의 워터 서버라면, 상기 워터 서버의 케이스내의 상기 급수 보틀의 기본상태는, 상기 급수 보틀이 상기 급수 보틀 지지부 상에 거의 연직방향으로 도립하고, 상기 급수 보틀의 관구에 대하여 상기 급수 접속구가 결합된 상태이고, 상기 급수 보틀의 교환 상태는, 상기 급수 보틀이 상기 급수 보틀 지지부와 함께 정면 앞쪽 경사 방향으로 기울여 교환하기 쉬운 상태가 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워터 서버에 의하면, 급수 보틀을 장치 하방 부분에 배치하여, 급수 보틀을 올리고 내리는 작업이 필요 없어지도록 하는 메리트와, 급수 보틀을 뒤집은 자세에서 급수 접속구에 직접 접속시키는 것에 의한 위생면에서의 메리트를 얻을 수 있으며, 더욱이 본 발명의 급수 보틀 교환 기구에 의해, 급수 보틀의 교환 작업이 지극히 용이한 것이 되어 급수 보틀의 교환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련되는 워터 서버(100)의 급수 보틀 교환에 관한 구조를 중심으로 한 구성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급수 보틀(10)을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감합형상(112)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급수 접속구(120) 및 탈착 슬라이드 기구(132)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5는 급수 접속구 탈착 기구에 의해 급수 접속구(120)가 탈착 슬라이드 기구(132)를 따라 상대이동을 하는 측면에서의 모습을 간단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이용자가 급수 보틀(10)을 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전방으로 인출하면, 급수 접속구(120)가 급수 보틀(10)의 관구(11)로부터 분리되는 모습을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7은 사용이 끝난 빈 급수 보틀(10)을 급수 보틀 지지부(110)로부터 분리하는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8은 교환한 급수 보틀(10)을 장치 케이스(190)의 내부로 되밀면, 급수 접속구(120)를 급수 보틀(10)의 관구(11)에 결합시킬 수 있는 모습을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9는 인출 타입의 워터 서버(100)에 있어서의 급수 보틀(10)의 교환 작업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챠트(flow chart)다.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련되는 워터 서버(100a)의 급수 보틀 교환 기구를 중심으로 한 구성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는 감합형상(112a)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는 급수 접속구(120a)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3은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에 있어서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위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14는 탈착 슬라이드 기구(170)에 의한 급수 보틀 지지부(110a)와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와의 상대적 운동을 간단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5는 비회전 경사 이동 기구(180)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6은 유니트 회전 기구(160)와, 탈착 슬라이드 기구(170)와, 비회전 경사 이동 기구(180)의 3개의 기구의 연동에 의한 제2 급수 접속구 탈착 기구로서의 전체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7은 급수 보틀(10)을 장착한 기본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8은 이용자가 급수 보틀(10)을 앞으로 기울여서 인출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9는 사용이 끝난 빈 급수 보틀(10)을 급수 보틀 지지부(110a)로부터 분리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0은 새로운 만수(滿水)의 급수 보틀(10)을 급수 보틀 지지부(110a)에 설치하여 교환하는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21은 교환한 급수 보틀(10)을 급수 보틀 지지부(110a)에 재치시킨채로, 교환한 급수 보틀(10)을 장치케이스의 내부로 되미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2는 경사 타입의 워터 서버(100a)에 있어서의 급수 보틀(10)의 교환 작업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챠트(flow chart)이다.
도23은 종래의 일본 공개특허 제2010-63799호 공보에 공개된 종래의 워터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4는 종래의 일본 공개특허 제2001-153523호 공보에 공개된 종래의 워터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실시 형태를, 실시예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본 말명은 이들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워터 서버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여기에서, 워터 서버는, 냉수와 온수를 선택해서 급수할 수 있는 타입의 것으로서 설명한다.
(실시예1)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워터 서버(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급수 보틀(bottle) 교환 기구 전체가 워터 서버의 케이스 내의 하방 부근에 배치되어, 급수 보틀(bottle)의 장착 위치가 워터 서버의 케이스 내의 하방 부근으로 되어 있는 구성 예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련된 워터 서버(100)의 급수 보틀 교환 기구를 중심으로 한 구성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A)는 워터 서버(100)의 정면도, 도1(B)는 워터 서버(100)의 우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1 (A)에 있어서, 장치의 내용의 구성을 이해하기 쉽도록, 정면의 문 등의 케이스(190)는 자세히는 도시하지 않고 장치 내의 구성을 간단히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1(B)에 있어서, 장치의 내용의 구성을 이해하기 쉽도록, 케이스 벽면은 도시하지 않고, 벽면 내측에 존재하는 탈착 슬라이드 기구(150)를 점선으로 도시하였으며, 그 외의 장치내의 구성을 실선으로 간단히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워터 서버(100)는, 급수 보틀 교환에 관련되는 구성으로서, 급수 보틀 지지부(110), 급수 접속구(120),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 유니트 슬라이드 기구(140), 탈착 슬라이드 기구(150)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니트 슬라이드 기구(140)와 탈착 슬라이드 기구(150)에 의해 제1 급수 접속구 탈착 기구가 구성된다.
케이스(190)는 간략화하여 도시하고 있다. 한편, 급수 보틀(bottle)은 급수 보틀(10)로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워터 서버(100)에는, 온열 유니트ㆍ주수(注水) 유니트(101), 급수계(102) 등 기타의 구성 요소가 있지만, 여기에서는 간단히 도시하거나 또는 도시를 생략하는 것으로 하고, 급수 보틀 교환 기구에 관한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설명을 한다.
우선, 급수 보틀(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2는 급수 보틀(10)을 꺼내어 도시한 도면이다.
급수 보틀(10)은 음료수 등이 저장된 대형의 보틀(bottle)이며, 예를 들면 플라스틱제의 물건 등이어도 좋다. 관구(筒口, 11)가 있고, 후술하는 급수 접속구(120)의 접속관(121)이 정확히 끼워 넣어지는 내경의 소공(小孔, 12)을 가지고 있다. 한편, 소공(12)의 개구는 마개(13)에 의해 차단되어 있다.
도2(B)는, 이 구성 예에 있어서, 급수 보틀(10) 내부와 도통(導通)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급수 접속구(120)와 접속할 때, 급수 보틀(10)을 위에서부터 급수 접속구(120)에 접근시켜, 접속관(121)에 대하여 관구(11)의 소공(12)을 삽입해 가는데, 우선, 도2(B)의 좌측 도면에서와 같이 봉상의 접속관(121)의 선단부분이 마개(13)에 당접하고, 그대로 급수 보틀(10)이 하방으로 이동하면 접속관(121)이 마개(13)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고, 결국은 마개(13)의 선단부분이 급수 보틀(10)의 내부에까지 도달한다. 봉상의 접속관(121)은 중공이며, 그 선단부분에는 소공(122)을 열려 있어, 이 소공(122)을 통해서 급수 보틀(10)의 내부와 접속관(121)이 도통하고, 급수 보틀(10)내부의 물을 급수 접속구(120)을 통해서 외부로 취출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급수 보틀(10)을 상방으로 빼내면, 급수 접속구(120)의 접속관(121)이 급수 보틀(10)의 소공(12)으로부터 빠지는 것이 된다.
한편, 도2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 보틀(10)의 관구(11)의 외벽면에는 플랜지(14)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플랜지(14)는 급수 보틀 지지부(110)의 감합형상(嵌合形狀, 112)과 서로 감합(嵌合)하는 것이 된다. 이 플랜지(14)와 감합형상(112)과의 감합(嵌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의 급수 보틀(10)의 구성 예는 하나의 일 예이며, 다른 급수 보틀(bottle)의 구성이어도 좋다.
다음으로, 급수 보틀 지지부(110)를 설명한다. 급수 보틀 지지부(110)는, 급수 보틀(10)을 지지하는 부재이며, 여기에서는 플레이트 형상의 것으로 되어 있다. 도3 (A)에 도시된 예에서는, 급수 보틀 지지부(110)에 급수 보틀 수용부(111)의 구멍이 열려 있어, 급수 보틀(10)의 관구(11)가 수용되도록 되어 있으며, 급수 보틀 수용부(111)에 관구(11)를 세워서 급수 보틀(10) 전체가 뒤집힌 상태로 급수 보틀 지지부(110) 상에 지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급수 보틀 수용부(111)의 구멍은 관구(11)의 직경에 대응하는 원형의 것으로 설치된다.
급수 보틀 지지부(110)에는 감합부(112)가 설치되어 내부에 핀(113)이 내장되어 있다. 이 내부에 내장된 핀(113)은, 도3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누름이나 와이어 조작 등에 의해, 용수철이나 액츄에이터(미도시)에 의해 밀려나오는 장치로 되어 있으며, 핀(113)이 급수 보틀(10)의 플랜지(14)와 서로 감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렇게 감합부(112)에 의해 고정되어 있어, 급수 보틀(10)은 급수 보틀 지지부(110)에 단지 올려 놓여져 있는 상태가 아니라, 양자가 확실히 일체적으로 결합된 효과가 얻어진다.
도3의 예에서는, 감합형상(112)은, 2편의 핀이며, 2편의 간격은, 급수 보틀(10)의 관구(11)의 외경보다 크고 또한 플랜지(14)의 직경보다 작은 폭으로 되어 있다. 즉, 도3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 보틀(10)의 관구(11)가 상기 2편의 핀으로 협지(挾持)되어, 급수 보틀(10)의 수직성분의 이동은 감합부(112)의 핀(113)에 의해 제지(制止)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즉, 도3의 지면과 직교하는 수직성분의 이동은 플랜지(14)와 급수 보틀 지지부(110)의 감합부(112)의 핀(113)과의 감합에 의해 제지되어, 급수 보틀 지지부(110)와 급수 보틀(10)이 상하 방향으로 확실히 일체화 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감합에는 이하의 효과가 있다.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 보틀(10)의 소공(12)에는 급수 접속구(120)의 접속관(121)이 삽입되어, 큰 마찰력을 가지고 접합하기 때문에, 급수 보틀(10)을 급수 접속구(120)로부터 뽑아 낼 때에는, 큰 텐션이 발생할 경우가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탈착 슬라이드 기구(150)에 의해 급수 보틀 지지부(110)에 고정된 급수 보틀(10)이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에 고정된 급수 접속구(120)에 탈착하지만, 급수 보틀 지지부(110)와 급수 보틀(10)이 확실히 일체로 이동하도록, 급수 보틀(10)의 급수 보틀 지지부(110)에 대한 수직성분의 이동을 제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감합부(112)의 핀(113)과 플랜지(14)와의 감합에 의해, 급수 보틀(10)을 급수 접속구(120)로부터 뽑을 때에 걸리는 텐션에 뒤지지 않도록, 급수 보틀 지지부(110)와 급수 보틀(10)을 확실히 일체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급수 접속구(120)을 설명한다. 급수 접속구(120)는, 급수 보틀(10)의 관구(11)와 접속되어, 급수 보틀(10)의 내부와 도통(導通) 하는 것에 의해, 급수 보틀(10) 내부의 물을 취출하는 기구다.
도4 (A) 및 도4 (B)는 급수 접속구(120)의 구성 예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4 (A)는 사시도, 도4(B)은 단면도이다. 이 구성 예에서는 중앙에 중공의 접속관(121)이 서고 있어, 그 주위를 소컵(123)이 둘러싼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접속관(121)이 도2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 보틀(10)의 관구(11)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급수 보틀(10)과 급수 접속구(120)가 접속된다. 접속관(121)의 측면에는 소공(122)이 뚫려 있고, 이 소공(122)이 급수 보틀(10)의 관구(11)로부터 급수 보틀(10)의 내부에 끼워지는 것으로, 급수 보틀(10)의 내부와 급수 접속구(120)가 도통 하게 된다. 또한, 급수 접속구(120)에는 파이프 관(124)이 설치되어 있어, 접속관(121)을 통해서 빼낸 물을 장치내의 급수계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여기에서, 이 구성 예에서는, 급수 접속구(120)에 돌기체(15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돌기체(151)는 탈착 슬라이드 기구(150)의 제1 연결형상(151)이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탈착 슬라이드 기구(150)의 제2 연결 형상으로서 장치케이스(190)측에 설치되어 있는 구(溝, 152)와 연결되는 구조부분이다.
다음으로,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를 설명한다. 도4 (c)에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의 구성 예가 간단히 도시되어 있는데, 내부의 구조를 알기 쉽도록 일부의 내부 구조를 점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는 급수 접속구(120)를 지지하는 부분이지만, 도4 (c)에 도시된 구성 예에서는,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에는 상면의 플레이트의 하부에 원통형의 부재(131)가 설치 되어 있다. 이 원통형의 부재는 중공으로 되어 있고, 급수 접속구(120)의 수평성분의 이동을 제한하면서 수직성분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급수 접속구의 이동 공간으로서 제공되어 있다. 또한, 도4 (c)에 도시된 구성 예에서는,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의 원통형의 부재(131)의 측면에는 절개부(13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개부(132)는, 돌기체(151)의 수직성분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돌기체의 이동 공간으로서 제공되고 있다.
도4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절개부(132)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연결 형상인 돌기체(151)가 대향하는 케이스(190)측에 형성된 구(152)와 연결된 상태에서, 돌기체(151)의 수직성분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한편,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의 원통형의 부재(131)의 저부에는 급수 접속구(120)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지부(133)가 설치되어 있다. 제지부(133)는 급수 접속구(120)가 낙하하지 않도록 급수 접속구(120)을 지지한다.
다음으로, 제1 급수 접속구 탈착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급수 접속구 탈착 기구는, 급수 보틀 지지부(110)에 지지된 급수 보틀(10)의 관구(11)와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에 지지된 급수 접속구(120)와의 상대거리를 제어하고, 양자의 탈착을 제어하는 기구이며, 이 구성 예에서는 유니트 슬라이드 기구(140)와 탈착 슬라이드 기구(150)를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유니트 슬라이드 기구(140)와 탈착 슬라이드 기구(150)을 각각 설명한다.
유니트 슬라이드 기구(140)는 급수 보틀 지지부(110)와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를 포함하는 유니트를 전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이다. 도5의 구성 예에서는, 유니트 슬라이드 기구(140)가 간단히 도시되어 있는데, 케이스(190)는 윤곽만을 나타내며, 내부의 급수 보틀 지지부(110)와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를 중심으로 도시하고 있다. 유니트 슬라이드 기구(140)는 저부에 바퀴(141)를 구비하여, 유니트 슬라이드 기구(140)의 케이스 채로 인출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유니트 슬라이드 기구(14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탈착 슬라이드 기구(150)와 연동하여, 급수 보틀(10)의 전후에의 슬라이드 이동에 맞춰서, 급수 접속구(120)가 급수 보틀(10)의 관구(11)에 결합ㆍ분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탈착 슬라이드 기구(150)는, 급수 보틀(10)과 급수 접속구(120)가 정면으로 마주본채 접근ㆍ이격되도록 양자를 상대 이동시키는 기구다. 이 구성 예에서, 탈착 슬라이드 기구(150)는, 급수 접속구(120)에 설치된 제1 연결 형상인 돌기체(151)와 대향하는 장치 케이스(190) 측에 설치된 제2 연결 형상인 구(152)의 연결 구조를 구비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돌기체(151)는 구(152)를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1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케이스(190) 측에 설치된 제2 연결 형상인 구(152)의 일부가 경사지게 설치 되는 것에 의해, 수직성분의 이동이 강제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즉,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니트 슬라이드 기구(140)에 의해 제공되는 전후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돌기체(151)가 구(152)를 따라 이동할 경우, 그 궤적에 있어서 수직성분의 이동이 강제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되어, 급수 접속구(120)와 급수 보틀(10)의 상대이동이 발생하는 것이 된다.
도5 (a)의 좌측 도면은 기본 모습이지만, 우측 도면은 유니트 슬라이드 기구(140)에 의해 급수 보틀 지지부(110)와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를 포함하는 유니트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가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급수 접속구(120)에 설치되어 있는 돌기체(151)가 케이스(190)측에 설치되어 있는 구(152) 안을 미끄러져서 이동하는데, 구(152)가 수직성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급수 접속구(120)의 이동 궤적도 강제적으로 수직성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되어, 급수 접속구(120)가 원통형의 부재(131)의 이동 공간 안에서 하방으로 내려간다.
이 구성 예에서는, 급수 접속구(120)에 대하여 급수 보틀(10)이 정면으로 마주보며 접근ㆍ이격 되기 때문에, 급수 접속구(120)가 원통형의 부재(131)의 이동 공간 안을 아래쪽으로 내려가는 동안, 급수 보틀(10)의 관구로부터 급수 접속구(120)의 접속관(121)이 빠져 나오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5 (B)와 같이 돌기체(151)가 구(152)의 낮은 위치에 이르기까지, 급수 보틀(10)의 관구로부터 급수 접속구(120)의 접속관(121)이 빠져 나온다. 즉, 유니트 슬라이드 기구(140)에 의한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탈착 슬라이드 기구(150)에 의한 급수 접속구(120)와 급수 보틀(10)의 탈착이 연동하고 있어, 급수 보틀(10)의 교환을 위해서 급수 보틀(10)을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급수 접속구(120)의 급수 보틀(10)의 관구(11)에의 결합ㆍ분리가 동시에 행하여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발명의 워터 서버(100)을 이용한 급수 보틀(10)의 교환 작업의 순서에 대해서 정리해 둔다.
도6 내지 도8은, 급수 보틀(10)의 교환의 흐름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9는 급수 보틀(10)의 교환 작업 순서를 간단히 나타낸 플로우 챠트(flow chart)이다.
교환 작업의 제1 스텝으로서, 우선, 장치 케이스(190)의 전면에 설치되는 개폐 문을 열면 (도9 스텝S1) (미도시), 이용자의 무릎 부근에 급수 보틀(10)이 뒤집힌 상태로 전면에 보이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6의 우측도면은 기본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현재 사용중의 급수 보틀(10)이 워터 서버(100)안에 뒤집힌 상태로 설치되고, 그 관구(11)는 급수 보틀 지지부(110)의 급수 보틀 수용부(111)에 수용되고, 급수 보틀(10) 전체가 뒤집힌 상태로 급수 보틀 지지부(110)상에 지지되어 있다. 급수 보틀(10)의 플랜지(14)는 급수 보틀 지지부(110)의 감합형상(112)에 감합되어 고정되어 있다.
도6의 우측도면의 기본 모습의 상태에서는, 급수 보틀 지지부(110)와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와의 상대적 거리가 가장 가까운 상태로 되어 있어, 급수 보틀(10)이 급수 접속구(120)에 대하여 정상적으로 장착된 상태가 되어 있다. 한편, 만수의 급수 보틀(10)은 중량이 커서, 자연히 급수 접속구(120)에 대하여 정상적으로 장착된 상태로 안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6의 우측 도면으로부터 도6의 좌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가, 급수 보틀 지지부(110)와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을 포함하는 유니트 채로 급수 보틀(10)을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유니트 슬라이드 기구(140)가 있으므로, 부드럽게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도9 스텝S2).
도6 좌측도면부터 도6 우측도면은, 급수 보틀(10)이 급수 접속구(120)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급수 보틀(10)을 앞으로 인출하면, 탈착 슬라이드 기구(150)의 이동에 의해, 돌기체(151)가 구(152)를 따라 이동하고, 급수 보틀 지지부(110)와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와의 상대적 거리가 이격되어 가며, 급수 보틀(10)에 대하여 급수 접속구(120)가 하방으로 가라앉아서 멀어져 가고, 급수 보틀(10)의 관구(11)가 급수 접속구(120)의 접속관(121)으로부터 정상적으로 분리된 모습의 상태로 된다.
급수 보틀(10)의 플랜지(14)가 급수 보틀 지지부(110)의 감합형상(112)과 감합되어 있기 때문에, 급수 보틀(10)은 급수 보틀 지지부(110)에 대하여 견고히 고정되어 있다. 한편, 급수 보틀 지지부(110)와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가 이격되어 급수 보틀(10)과 급수 접속구(120)와의 거리가 이격되어 가기 때문에, 급수 보틀(10)의 관구(11)와 급수 접속구(120)의 접속관(121)이 멀어져 가는 운동이 된다. 접속관(121)이 소공(12)로부터 빠져 나오면, 급수 보틀(10)이 급수 접속구(120)로부터 빠져 나온 상태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9 스텝S3).
즉, 도6의 좌측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 보틀(10)의 앞으로의 인출이 완료되면, 자연히 급수 보틀(10)이 급수 접속구(120)로부터 빠져 나온 상태가 되고, 급수 보틀(10)을 교환하기 위해서 빼낼 때의 모습이 된다.
도7은, 사용이 완료된 빈 급수 보틀(10)을 급수 보틀 지지부(110)로부터 분리시키고, 새로운 만수의 급수 보틀(10)을 급수 보틀 지지부(110)에 설치하여 교환하는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급수 보틀 지지부(110)와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를 포함하는 유니트 채로 전방에 인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이 끝난 급수 보틀(10)은 전방으로 인출되어 있어, 빼내기 쉬워진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사용이 끝난 빈 급수 보틀(10)을 급수 보틀 지지부(110)로부터 분리할 때는, 감합형상(112)에 대하여 감합하고 있는 플랜지(14)를 분리할 필요가 있다. 급수 보틀(10)의 플랜지(14)에 감합하고 있는 감합형상(112)을 감합부(111)안으로 되돌리도록 버튼 조작이나 와이어 조작 등을 하여(미도시), 플랜지(14)로부터 감합형상(112)을 뺀다 (도9스텝S4). 감합을 해제하면, 간단히 빈 급수 보틀(10)을 꺼낼 수 있다.
다음으로, 만수 상태의 새로운 급수 보틀(10)을 급수 보틀 지지부(110)에 재치시켜 교환한다 (도9 스텝S5). 이용자는 급수 보틀(10)을 단지 올려 교체하는 것으로 좋으며, 어떠한 급수 보틀(10)과 급수 접속구(120)와의 접속 작업에 대해서는 직접 작업할 필요가 없다.
교환후, 새로운 급수 보틀(10)의 플랜지(14)에 대하여 감합형상(112)을 감합시킨다.(도9스텝S6).
다음으로, 도8은, 교환한 급수 보틀(10)을 급수 보틀 지지부(110)에 재치시킨채로, 교환한 급수 보틀(10)을 장치케이스(190)의 내부에 다시 밀어 넣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6에 도시된 운동의 반대의 운동이 된다.
도8의 좌측 도면으로부터 도8의 우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환한 급수 보틀(10)을 포함하는 유니트 전체를 장치케이스(190)의 내부로 되미는 것에 의해 (도9스텝S7), 돌기체(151)가 구(152)를 따라 되돌아가고, 급수 접속구(120)가 급수 보틀(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승하며, 급수 보틀 지지부(110)와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의 거리가 줄어들어 가고, 급수 보틀(10)의 관구(11)의 소공(12)이 급수 접속구(120)의 접속관(121)에 끼워져 정상적으로 설치된 상태로 된다. (도9스텝S8).
급수 보틀(10)의 교환 작업이 완료되면 전면의 문을 닫는다 (도9스텝S9).
이상이, 급수 보틀 교환 기구의 동작이다. 즉, 급수 보틀 지지부(110)와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를 포함하는 유니트를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동작에 연동하여, 급수 보틀(10)의 관구에 대한 급수 접속구(120)의 설치, 분리가 가능해진다.
이렇게, 유니트 슬라이드 기구(140)와 급수 접속구 탈착 기구(150)에 의해, 급수 보틀 지지부(110)와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와의 상대거리의 제어 동작과 연동시켜, 급수 접속구(120)의 급수 보틀(10)의 관구(11)에의 설치ㆍ분리가 자동적으로 가능해진다.
(실시예2)
실시예 2에 관련된 워터 서버(100a)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급수 보틀(bottle) 교환 기구 전체가 워터 서버의 케이스 내부의 하방 부근에 배치되고, 급수 보틀(bottle)의 장착 위치가 워터 서버의 케이스 내부의 하방 부근으로 되어 있는 구성 예를 설명한다.
도10은, 본발명의 실시예 2에 관련된, 워터 서버(100a)의 급수 보틀(bottle) 교환 기구를 중심으로 한 구성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 (A)는 워터 서버(100a)의 정면도, 도10(B)는 워터 서버(100a)의 우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10 (A)에 있어서, 장치의 내용의 구성이 알기 쉽도록, 정면의 문 등의 케이스는 도시하지 않고, 장치내의 구성을 간단히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10(B)에 있어서, 장치의 내용의 구성이 알기 쉽도록, 측면의 케이스(190)의 벽면은 자세히는 도시하지 않고, 측면에 존재하는 비회전 경사 이동 기구(180)만을 점선에서 도시하며, 기타 장치내의 구성을 간단히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워터 서버(100a)는, 급수 보틀 지지부(110a), 급수 접속구(120a),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 유니트 회전 기구(160), 탈착 슬라이드 기구(170), 비회전 경사 이동 기구(180)를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니트 회전 기구(160)와 탈착 슬라이드 기구(170)와 비회전 경사 이동 기구(180)에 의해 제2 급수 접속구 탈착 기구가 구성되고 있다.
케이스(190)는 간략화하여 도시하고 있다. 한편, 워터 서버(100)에는, 온열 유니트ㆍ주수 유니트(101), 급수계(102) 등 기타의 구성 요소가 있지만, 여기에서는 간단히 도시하던지 또는 도시를 생략하는 것으로 하여, 급수 보틀(bottle) 교환 기구에 관한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설명을 한다.
이하, 각 구성 요소를 설명한다.
우선, 급수 보틀(10)은,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급수 보틀(10)과 같으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 2의 급수 보틀 지지부(110a)를 설명한다.
도11은, 본 실시예 2에 적용하는 급수 보틀 지지부(110a)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급수 보틀 지지부(100a)로서 실시예 1에 도시한 급수 보틀 지지부(110)도 적용 가능하지만, 여기에서는 실시예 1에 나타난 급수 보틀 지지부(110)와는 다른 구성 예의 것을 도시한다.
도11에 도시된 급수 보틀 지지부(110a)는 급수 보틀(10)을 유지하는 부재이며, 여기에서는 플레이트 형상의 것으로 되어 있다. 급수 보틀 지지부(110a)에는 급수 보틀 수용부(111a)의 구멍(孔)이 열려 있고, 급수 보틀(10)의 관구(11)가 수용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 급수 보틀 수용부(111a)에 관구(11)을 세워서 급수 보틀(10)전체가 뒤집힌 상태로 급수 보틀 지지부(110) 상에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이 예에서는, 급수 보틀 수용부(111a)의 구멍(孔)은 가로로 길게 설치 되어져, 후술하는 도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 보틀(10)의 관구(11)를 급수 보틀 수용부(111a)로 넣은 후에 슬라이드 시켜서, 플랜지(14)를 감합형상(112a) 안에 감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급수 보틀 지지부(110a)에는 감합형상(112a)이 설치되어 있어, 급수 보틀(10)의 플랜지(14)와 서로 감합하는 연구를 행하고 있다. 급수 보틀 지지부(110a)의 수용부(111a)에 단지 급수 보틀(10)이 재치되어 있는 상태가 아니라, 도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자를 확실히 일체적으로 접합시키는 움직임을 갖는다.
도11 (A)는 감합형상(112a)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구성 예에서는, 감합형상(112a)은, 도11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전방 방향(도면에서 좌측)으로 말굽형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그 말굽형의 끝단의 간격은, 급수 보틀(10)의 관구(11)의 외경보다 크고 또한 플랜지(14)의 직경보다 작은 폭으로 되어 있다. 즉, 도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 보틀(10)의 관구(11)가 이 말굽형의 개방 방향을 따라 감합형상에 대하여 출입하는 것이 가능하여, 도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14)와 수평성분의 운동이 가능해지지만, 수직성분의 운동은 플랜지(14)와 급수 보틀 지지부(110a)의 감합형상(112a)과의 감합에 의해 제지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즉, 도11의 지면에서, 감합형상(112a)이 좌측방향으로는 말굽형으로 개방되고 있고, 급수 보틀(10)의 관구는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도11의 지면과 직교하는 수직성분의 운동은 플랜지(14)와 급수 보틀 지지부(110a)의 감합형상(112a)의 감합에 의해 제지되어, 급수 보틀 지지부(110a)와 급수 보틀(10)이 상하 방향으로는 확실히 일체화된다.
다음으로, 본실시예 2의 급수 접속구(120a)를 설명한다.
본실시예 2에 적용하는 급수 접속구(120a)는, 도12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급수 접속구(120a)와 같지만, 실시예 1로 설명한 급수 접속구(120a)에서는 탈착 슬라이드 기구(150)의 돌기체(151)가 설치되어 있는 반면, 본실시예 2에 적용하는 급수 접속구(120a)에는 그러한 돌기체가 설치되어있지 않다. 다른 구성은 실시예 1의 급수 접속구(120a)와 동일해도 무방하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실시예 2의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를 설명한다.
본실시예 2에 적용하는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와 같으며, 급수 접속구(120a)를 설치하는 베이스가 되는 부재이다. 도12(C) (D)는, 급수 접속구(120a)가 설치된 상태의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를 도시하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와 급수 보틀 지지부(110a)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급수 보틀(10)과 급수 접속구(120a)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된다. 여기에서는, 대략 중앙에 설치된 급수 접속구 장착 부분에 급수 접속구(120a)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 2에 적용하는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에는 유니트 회전 기구(160)의 회전축(161)이 설치 되어 있다.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는 후술하는 유니트 회전 기구(160)의 움직임에 의해 회전축(161)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다음으로, 제2 급수 접속구 탈착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급수 접속구 탈착 기구는, 실시예 1에 도시된 제1 급수 접속구 탈착 기구와 같이 급수 보틀 지지부(110a)에 지지된 급수 보틀(10)의 관구(11)와,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에 지지된 급수 접속구(120)를 서로 대향하는 상태에 유지하면서 양자의 상대거리를 제어하는 기구다. 제2 급수 접속구 탈착 기구는, 급수 보틀(10a)을 장치 문을 열어 전방으로 경사지게 인출하는 인출동작에 있어서, 급수 보틀 지지부(110a)와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와의 상대거리의 제어 동작과 연동시켜, 급수 접속구의 급수 보틀(bottle)의 관구에의 설치ㆍ분리를 가능하게 한다.
제2 급수 접속구탈착 기구의 구체 예로서는, 유니트 회전 기구(160)와 탈착 슬라이드 기구(170)와, 비회전 경사 이동 기구(180)의 3개의 기구의 조합으로 되어 있다.
우선, 유니트 회전 기구(160)에 대해서 설명한다.
유니트 회전 기구(160)는, 회전축(161)을 중심으로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를 회전시키는 유니트 회전 기구다. 이 예에서는, 케이스(190)의 측면에 회전축받이를 설치하고, 거기에 회전축(161)을 걸쳐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회전축(161)은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를 회동 가능하게 통과하고 있다.
여기에서, 회전축(161)이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를 관통하는 위치, 즉, 회전축(161)의 위치에 있어서,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의 대략 중앙부분(급수 보틀(10)의 관구(11)가 고정되고 있는 급수 접속구 장착부(131)의 위치)보다도, 유니트 회전 기구(160)에 의한 회전운동의 종단(終端)측에 편심시키려고 하는 연구를 더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3은,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에 있어서의 회전축(161)이 관통하는 위치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움직임을 알기 쉽도록, 회전축(161)과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와 급수 접속부(130a)만을 도시하고 있다. 후술하는 탈착 슬라이드 기구(170)나 비회전 경사 이동 기구(180)에 의한 운동은 가미하지 않고 있다.
도13 (A)는, 회전축(161)이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를 통과하는 위치가 거의 중앙인 경우에 있어서,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가 회전축(16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의 움직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13 (B)는, 회전축(161)이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를 통과하는 위치가 유니트 회전 기구(160)에 의한 회전운동의 종단(終端)측(도면의 좌측)에 편심된 경우에 있어서,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가 회전축(161)을 중심으로 회전했을 경우의 움직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13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61)이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를 통과하는 위치가 거의 중앙일 경우는,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가 중앙부근에 있는 회전축(161)을 중심으로 회전하므로, 그 위에 뒤집혀 고정되어 있는 급수 보틀(10)은 저부를 전방 (도면의 좌측)로 기울여 인출하기 쉬워지지만, 여전히 장치의 케이스(190)의 내부에 있다. 한편, 도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이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를 통과하는 위치가 유니트 회전 기구(160)에 의한 회전운동의 종단측 (도면의 좌측)에 편심되어 있을 경우는,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가 편심된 위치에 있는 회전축(161)을 중심으로 회전하므로, 그 위에 뒤집혀 고정되어 있는 급수 보틀(10)은 저부를 전방 (도면의 좌측)으로 나오도록 기울여서 장치의 케이스(190)로부터 꺼내기 쉽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회전축이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를 통과하는 위치가 유니트 회전 기구(170)에 의한 회전운동의 종단측 (도면의 좌측)에 편심되는 것에 의해, 이용자에 의한 급수 보틀(10)의 교환 작업이 한층 더 편안히 실시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탈착 슬라이드 기구(170)에 대해서 설명한다.
탈착 슬라이드 기구(170)는, 급수 보틀 지지부(110a)와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가 서로 마주보며 접근ㆍ이격하는 평행 운동이 되도록 양자를 연결하는 기구이다. 즉, 급수 보틀 지지부(110a)의 상대적 운동은, 탈착 슬라이드 기구(170)을 통해서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에 대하여 서로 마주보며 접근ㆍ이격하는 평행 운동이 되도록 제동된다. 여기에서, 상기 한 바와 같이, 유니트 회전 기구(160)에 의해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가 회전하는 경우, 급수 보틀 지지부(110a)는, 탈착 슬라이드 기구(170)을 통하여, 급수 보틀 지지부(110a)의 회전에 맞춰서 회전하면서, 상대적으로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에 대하여 서로 마주보며 접근ㆍ이격하는 평행 운동을 하게 된다.
도14는 탈착 슬라이드 기구(170)에 의한 급수 보틀 지지부(110a)와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와의 상대적 운동을 간단히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4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 보틀 지지부(110a)와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가 탈착 슬라이드 기구(170)의 접속에 의해 서로 마주보며 접근ㆍ이격하는 평행 운동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도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14 (A)의 상태로부터 유니트 회전 기구(160)에 의해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가 도14(B)의 상태로 회전하는 경우도, 급수 보틀 지지부(110a)는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에 대하여 서로 마주보며 접근ㆍ이격하는 상대적으로 평행 운동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비회전 경사 이동 기구(180)에 대해서 설명한다.
비회전 경사 이동 기구(180)는, 급수 보틀 지지부(110a)에 연결되어 급수 보틀 지지부(110a)를 이동시키는 기구이다. 비회전 경사 이동 기구(180)는 급수 보틀 지지부(110a)를 이동시킬 수 있는 기구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15는 비회전 경사 이동 기구(180)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구성 예에서는 장치케이스(190)의 측면에 설치된 습동구(摺動溝, 181)와, 습동 바퀴(182)와, 습동 바퀴(182)와 급수 보틀 지지부(110a)를 연결한 연결자(183)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특히, 도15 (A)에서는, 습동구(181)가 장치케이스(190)의 측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즉, 습동구(181)의 일단이 장치케이스(190)의 내측, 습동구(181)의 타단이 장치케이스(190)의 정면측에 위치하고, 수평으로 구(溝)가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습동구(181)가 수평으로 설치되어진 구성이라면, 도15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습동구(181)를 따라 습동 바퀴(182)가 수평이동하고, 비회전 경사 이동 기구(180)는 수평방향에 평행 이동하는 움직임이 되며, 급수 보틀 지지부(110a)는 연결자(183)에 의해 습동 바퀴(182)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급수 보틀 지지부(110a)가 습동 바퀴(182)의 미끄럼 운동에 맞추어 운동하는 것이 된다. 회전운동하는 유니트 회전 기구(160)에 연동한 회전운동과는 다른 운동이 된다.
비회전 경사 이동 기구(180)의 구성에 있어서, 습동구(181)의 궤적은 반드시 수평방향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습동 바퀴(182)의 움직임을 저해하지 않는 한 다양한 습동구(181)가 가능하다. 도15(B)에서는 습동구(181)가 장치케이스(190)의 측면에서 전방(도면의 좌측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상방으로 올라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습동구(181)를 따라, 습동 바퀴(182)가 경사지게 상방으로 이동해 가는 것이 되고, 비회전 경사 이동 기구(180)는 전방에 향함에 따라 서서히 상방으로 올라 가는 움직임이 되며, 급수 보틀 지지부(110a)는 연결자(183)에 의해 습동 바퀴(182)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급수 보틀 지지부(110a)가 습동 바퀴(182)의 미끄럼 운동에 맞춰서 움직이고, 도15 (A)의 경우의 운동 보다도 도15(B)의 경우의 운동 쪽이 보다 상방을 향하는 운동이 된다.
이상, 제2 급수 접속구 탈착 기구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 마다의 기능의 설명을 했지만, 제2 급수 접속구 탈착 기구 전체로서는, 상기 3개의 유니트 회전 기구(160), 탈착 슬라이드 기구(170), 비회전 경사 이동 기구(180)의 연동에 의한 움직임이 된다. 이하, 제2 급수 접속구 탈착 기구 전체로서의 움직임을 설명한다.
도16은, 유니트 회전 기구(160)와, 탈착 슬라이드 기구(170)와, 비회전 경사 이동 기구(180)의 3개의 기구의 연동에 의한, 제2 급수 접속구 탈착 기구로서의 전체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급수 보틀(10)의 교환시에 급수 보틀(10)을 전방으로 경사지게 인출하는 인출 동작 있어서, 우선, 급수 보틀(10)이 급수 접속구(120a)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가 유니트 회전 기구(160)를 따라 회전한다.
급수 보틀 지지부(110a)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급수 보틀 지지부(110a)는, 유니트 회전 기구(160)에 연동한 회전운동과, 비회전 경사 이동 기구(180)에 연동한 평행 이동의 합성된 움직임을 갖는다.
우선, 유니트 회전 기구(160)에 의해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가 회전하면, 급수 보틀 지지부(110a)는 탈착 슬라이드 기구(170)에 의해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마주보는 상태로 유지되므로, 급수 보틀 지지부(110a)가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에 맞춰서 회동하려고 한다.
여기에서, 타방 급수 보틀 지지부(110)는 연결자(183)을 통해서 비회전 경사 이동 기구(18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비회전 경사 이동 기구(180)에 대응되는 움직임도 동시에 행하는 것이 된다. 즉,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와 연동한 회전운동과, 비회전 경사 이동 기구(180)에 대응하는 운동을 동시에 만족하는 운동을 행한다. 이 구성 예에 있어서는,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 보틀 지지부(110a)는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에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로부터 이격하는 것과 같은 운동을 한다.
급수 보틀 지지부(110a)가 도16에 도시된 운동이 되는 이유는, 습동구(181)의 기단 (起端, 급수 보틀(10)을 장치 케이스 내에서 뒤집힌 상태로 설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회전축과 습동구(181)와의 거리가 가장 가깝고, 습동구(181)의 종단(급수 보틀(10)을 전방으로 인출한 상태)으로 향할수록 회전축과 습동구(181)와의 거리가 커져 가도록, 회전축의 위치와 습동구(181)의 형상이 조정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습동구(181)의 기단(起端)에서 급수 보틀 지지부(110a)와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와의 거리가 가장 작아지고, 습동구(181)의 종단을 향할 수록, 급수 보틀 지지부(110a)와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의 거리가 커져 간다.
이렇게, 유니트 회전 기구(160)의 움직임에 연동한 급수 보틀 지지부(110a)의 움직임과 비회전 경사 이동 기구(180)에 따른 급수 보틀 지지부(110a)의 운동의 차이가, 탈착 슬라이드 기구(170)에 따른 양자의 접근ㆍ이격 운동으로 변환되는 것이 되다. 한편, 급수 보틀 지지부(110a)와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와의 상대적 거리는 급수 보틀(10)과 급수 접속구(120a)와의 접속ㆍ이탈을 제어할 수 있는 조건으로, 설정 해 놓을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본발명의 워터 서버(100a)를 이용한 급수 보틀(10)의 교환 작업에 대하여 순서에 따라 설명한다.
도17 내지 도21은, 급수 보틀(10)의 교환의 흐름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22는 급수 보틀(10)의 교환 작업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 챠트(flow chart)이다.
도17은 기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현재 사용중인 급수 보틀(10)이 워터 서버(100a) 안에 뒤집힌 상태로 설치되며, 그 관구(11)은 급수 보틀 지지부(110a)의 급수 보틀 수용부(111)a에 수용되고, 급수 보틀(10)전체가 뒤집힌 상태로 급수 보틀 지지부(110a) 상에 지지될 수 있다. 여기에서, 급수 보틀(10)의 플랜지(14)는 급수 보틀 지지부(110a)의 감합형상(112a)에 감합되어 고정된다. 여기에서는, 급수 보틀(10)이 빈 상태로 교환할 필요가 발생하여 있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도18은, 이용자가 급수 보틀(10)을 앞으로 기울여 인출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급수 보틀(10)을 앞으로 기울여서 인출하면, 자연히 급수 보틀(10)이 조금 경사져, 제2 급수 접속구 탈착 기구의 움직임에 의해, 급수 보틀 지지부(110a)와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와의 상대적 거리가 어느 정도 이격되고, 급수 보틀(10)의 관구(11)가 급수 접속구(120a)의 접속관(121a)로부터 정상적으로 분리된 자세의 상태가 된다.
우선, 장치케이스(190)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는 개폐 문을 열면 (도22 스텝S1) (미도시), 이용자의 무릎의 부근에 급수 보틀(10)이 뒤집힌 상태로 전면에 보이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뒤집힌 상태에 있는 급수 보틀(10)의 저부를 손으로 이용자의 앞으로 기울여 인출한다 (도22스텝S2).
이용자가 급수 보틀(10)을 앞에게 기울여 가면, 급수 보틀 지지부(110a) 및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에 힘이 인가된 상태로 급수 보틀(10)의 움직임에 맞추어 제2 급수 접속구 탈착 기구가 움직인다.
즉, 유니트 회전 기구(160)에 의한 회전운동과 함께, 비회전 경사 이동 기구(180)의 습동구(181)에 따른 이동 운동이 합쳐지기 때문에,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에 대하여 급수 보틀 지지부(110a)가 상대적으로 이격되어 간다. 급수 보틀(10)의 플랜지(14)가 급수 보틀 지지부(110a)의 감합형상(112a)과 감합하고 있기 때문에, 급수 보틀(10)은 급수 보틀 지지부(110a)에 대하여 견고히 고정되어 있다. 한편, 급수 보틀 지지부(110a)와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가 이격되어 급수 보틀(10)과 급수 접속구(120a)와의 거리가 이격되어 가기 때문에, 급수 보틀(10)의 관구(11)와 급수 접속구(120a)의 접속관(121a)이 멀어져 가는 운동이 된다. 접속관(121a)이 소공(12)으로부터 빠져 나오면, 급수 보틀(10)이 급수 접속구(120a)로부터 빠져 나온 상태를 얻을 수 있게 된다(도22스텝S3).
즉,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 보틀(10)의 앞으로의 인출이 완료되면, 자연히 급수 보틀(10)이 급수 접속구(120a)로부터 빠져 나온 상태가 되어, 급수 보틀(10)을 교환하기 위해 인출할 때의 모습이 된다.
도19부터 도20은, 사용이 끝난 빈 보틀(10)을 급수 보틀 지지부(110a)로부터 빼내, 새로운 만수의 급수 보틀(10)을 급수 보틀 지지부(110a)에 설치하여 교환하는 순서를 나타낸 도다.
한편, 급수 보틀(10)은, 전방으로 기울어져 이용자의 무릎부근에 있으므로, 꺼내기 쉽게 된다. 또한, 도1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축(161)이 전방으로 편심하여 있기 때문에, 급수 보틀(10)이 장치케이스(190)로부터 전방으로 밀어내지도록 앞으로 나와 있어, 한층 빼내기 쉽게 되어 있다.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사용이 끝난 빈 급수 보틀(10)을 급수 보틀 지지부(110a)로부터 분리시킬 때에는, 감합형상(112a)에 대하여 감합하고 있는 플랜지(14)를 빼낼 필요가 있다. 급수 보틀(10)의 플랜지(14)를 감합형상(112a)이 개방된 방향에 대하여 비켜 놓으면 플랜지(14)가 감합형상(112a)으로부터 간단히 빠져 나온다. 이 구성에서는, 빈 급수 보틀(10)을 조금 비스듬히 위로 들어 올리도록 하여 말굽형의 감합형상(112a)으로부터 플랜지(14)를 뽑아 내는 것이 된다. 감합을 해제하면, 간단히 빈 급수 보틀(10)을 빼낼 수 있다 (도22 스텝S4).
다음으로, 도20은 만수 상태의 새로운 급수 보틀(10)을 교환하여, 만수 상태의 새로운 급수 보틀(10)을 급수 보틀 지지부(110a)에 재치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용자는 급수 보틀(10)을 간단히 올려 교환하는 것만으로 족하며, 급수 보틀(10)과 급수 접속구(120a)와의 접속 작업에 대해서는 직접 작업할 필요는 없다.
한편, 새로운 급수 보틀(10)의 플랜지(14)를 급수 보틀 지지부(110a)의 감합형상(112a)에 감합시킬 필요가 있지만, 이 구성 예에서는 말굽형의 감합형상(112a)의 개방 방향으로부터 올려 넣는 것만으로 급수 보틀(10)의 자중에 의해 감합형상(112a)에 끼워진다 (도22스텝S5).
교환한 급수 보틀(10)은 전방으로 경사진 상태가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21은 교환한 급수 보틀(10)을 급수 보틀 지지부(110a)에 재치시킨채, 교환한 급수 보틀(10)을 장치케이스(190)의 내부에 되미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18에서 도시한 운동의 반대의 운동이 된다.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환한 급수 보틀(10)을 장치케이스(190)의 내부에 되미는 것에 의해 (도22스텝S6), 급수 보틀(10)이 기울어진 상태로부터 뒤집힌 상태가 되도록 회전하면서, 그 중량이 급수 보틀 지지부(110a)에 인가되고, 급수 보틀(10)의 회전 모멘트(moment)에 의해 급수 보틀 지지부(110a)가 회전하면서, 더욱이 유니트 회전 기구(160)을 통해서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도 연동하여, 회전의 종단으로부터 기단까지 회전운동을 하는 것이 된다. 또한, 동시에 급수 보틀 지지부(110a)의 운동은, 비회전 경사 이동 기구(180)에 따른 운동이 합쳐지는 것이 되고, 유니트 회전 기구(160)의 움직임에 연동한 급수 보틀 지지부(110a)의 움직임과 비회전 경사 이동 기구(180)에 따른 급수 보틀 지지부(110a)의 운동의 차이가, 탈착 슬라이드 기구(170)에 따른 양자의 접근ㆍ이격 운동으로 변환되는 것이 된다.
더욱이, 도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 보틀(10)이 장치의 안 쪽에 뒤집힌 상태가 되는 위치에 이르면, 급수 보틀 지지부(110a)와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의 거리가 가장 가깝게 되는 결과, 급수 보틀(10)의 관구(11)의 소공(12)이 급수 접속구(120a)의 접속관(121)에 끼워져 정상적으로 결합된 상태가 된다. 한편, 만수 상태에 있는 급수 보틀(10)은 중량은 커서, 위치 관계가 정확하게 제어되는 경우, 급수 보틀(10)의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급수 보틀(10)의 관구(11)의 소공(12)이 급수 접속구(120a)의 접속관(121)에 끼워진다. (도22스텝S7).
만수의 급수 보틀(10)은 중량은 커서, 자연히 급수 접속구(120a)에 대하여 정상적으로 장착된 뒤집힌 상태로 안정되어 있다.
이상이, 급수 보틀(bottle) 교환 기구의 동작이다. 즉, 급수 보틀(10)이 뒤집힌 상태의 기본자세에서, 유니트 회전 기구(170)의 회전운동의 기단에 있고, 급수 보틀 지지부(110a)에 지지된 급수 보틀(10)의 관구(11)와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에 지지된 급수 접속구(120a)와의 거리가, 급수 보틀(10)의 관구(11)에 대하여 급수 접속구(120a)가 정상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상태의 거리이며, 유니트 회전 기구(160)의 회전운동의 기단에서 종단을 향함에 따라, 급수 보틀 지지부(110a)에 지지된 급수 보틀(10)의 관구(11)와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에 지지된 급수 접속구(120a)와의 거리가 점차로 커지고, 그 중 급수 보틀(10)의 관구(11)로부터 급수 접속구(120a)가 정상적으로 분리된 상태의 거리에까지 이르고, 유니트 회전 기구(160)에 따른 급수 접속구 지지부의 회전운동(160)과 비회전 경사 이동 기구(180)에 따른 급수 보틀(bottle) 지지부의 운동에 부수하여, 급수 보틀(bottle)의 관구(11)에 대한 급수 접속구(120a)의 분리 작업이 완료된다.
이렇게, 제2 급수 접속구 탈착 기구에 의해, 급수 보틀 지지부(110a)와 급수 접속구 지지부(130a)와의 상대 거리의 제어 동작과 연동시켜, 급수 접속구(120a)의 급수 보틀(10)의 관구(11)에의 결합 ㆍ 분리가 자동적으로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워터 서버는, 급수 보틀(bottle)을 장치 하방 부분에 배치 하는 것에 의해, 급수 보틀(bottle)을 올리고 내리는 작업이 불필해지는 메리트와, 급수 보틀(bottle)을 뒤집힌 자세에서 급수 접속구에 직접 접속하는 것에 의해 위생면에서의 메리트를 얻으며, 더욱이, 급수 보틀(bottle)의 교환 작업이 지극히 용이하여, 급수 보틀(bottle)의 교환 작업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즉, 급수 보틀(bottle)의 교환 작업에 있어서, 사용이 끝난 보틀(bottle)을 전방으로 인출하는 인출동작에 의해 자동적으로 급수 보틀(bottle)의 관구로부터 급수 접속구가 정상적으로 분리되어, 사용이 끝난 보틀(bottle)의 교환 상태가 되고, 교환한 새로운 급수 보틀(bottle)을 안 쪽으로 되미는 동작에 의해 자동적으로 급수 보틀(bottle)의 관구를 급수 접속구에 대하여 정상적으로 결합시킨 상태가 되어, 급수 보틀(bottle)의 교환 작업이 지극히 편안하고 간단하게 되며, 힘이 약한 여성이나 허리가 아픈 노인도, 편안하고 간단하게 급수 보틀(bottle)의 교환 작업을 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워터 서버의 구성 예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여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며,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워터 서버는, 급수 보틀(bottle)을 바꾸어서 교환하는 것에 의해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타입의 워터 서버에 대하여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업무용의 급수에 한하지 않고 일반가정이나 회사 등에 설치되는 일반용의 급수용의 워터 서버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워터 서버가 공급할 수 있는 것은 액체라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며, 음료수의 이외, 끓인 물, 각종 드링크류, 커피, 홍차, 차, 스프ㆍ우려낸 국물류 등이어도 좋다.

Claims (19)

  1. 교환 자유롭게 지시된 급수 보틀(bottle)에서 음료수를 빼내어 저장하고,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음료수를 공급하는 워터 서버에 있어서,
    상기 급수 보틀을 뒤집힌 상태로 지지하는 급수 보틀 지지부와,
    상기 급수 보틀의 관구를 통하여 상기 급수 보틀 내측과 도통(導通)하여 상기 음료수를 취출하는 급수 접속구를 지지하는 급수 접속구 지지부와,
    상기 급수 보틀 지지부에 지지되는 상기 급수 보틀의 관구와 상기 급수 접속구 지지부에 지지되는 상기 급수 접속구의 상대 거리를 제어하고 양자의 탈착을 제어하는 급수 접속구 탈착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급수 보틀을 전방으로 인출하는 인출 동작 및 후방으로 되미는 되밀기 동작과, 상기 급수 접속구 탈착 기구에 의한 상기 급수 보틀 지지부와 상기 급수 접속구 지지부와의 탈착 제어를 연동시켜, 상기 인출 동작 및 상기 퇴밀기 동작에 연동한 상기 급수 접속구의 상기 급수 보틀의 관구에의 결합ㆍ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워터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동작 및 상기 되밀기 동작은, 상기 급수 보틀을 전방 및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동작이며, 상기 급수 접속구 탈착 기구가, 상기 급수 보틀 지지부와 상기 급수 접속구 지지부를 포함하는 유니트를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유니트 슬라이드 기구와, 상기 급수 보틀과 상기 급수 접속구가 서로 마주보며 접근ㆍ이격하도록 양자를 상대 이동시키는 탈착 슬라이드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유니트 슬라이드 기구에 의한 슬라이드 이동과 상기 탈착 슬라이드 기구에 의한 상기 급수 접속구와 상기 급수 보틀의 탈착을 연동시켜, 상기 급수 보틀의 전후에의 슬라이드 이동에 맞추어 상기 급수 접속구의 상기 급수 보틀의 관구에의 결합ㆍ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워터 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슬라이드 기구가, 상기 급수 접속구 또는 상기 급수 접속구 지지부에 설치된 제1 연결 형상과 상기 제1 연결 형상에 대향하는 장치 케이스 측에 설치된 제2 연결 형상과의 연결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유니트 슬라이드 기구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제1 연결 형상 또는 상기 제2 연결 형상의 전후의 슬라이드 이동의 궤적에 있어서의 수직성분의 이동이 강제적으로 발생하게 되어, 상기 유니트 슬라이드 기구에 의한 전후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급수 접속구와 상기 급수 보틀의 상대이동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형상이 돌기체이고, 상기 제2 연결 형상이 구(溝) 형상의 가이드이며, 상기 제2 연결 형상의 구 형상의 가이드의 일부가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이동의 궤적에 있어서, 상기 급수 접속구의 수직성분의 이동이 강제적으로 발생하는 워터 서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접속구 지지부가, 상기 급수 접속구의 수평성분의 이동을 제한하면서 수직성분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급수 접속구의 이동 공간과, 상기 제2 연결 형상인 상기 구 형상의 가이드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돌기체의 수직성분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돌기체의 이동 공간이 확보되는 워터 서버.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형상이 돌기체이고, 상기 제1 연결 형상이 구(溝) 형상의 가이드이며, 상기 제1 연결 형상의 구 형상의 가이드의 일부가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이동의 궤적에 있어서, 상기 급수 보틀의 상기 수직성분의 이동이 강제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되는 워터 서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동작 및 상기 되밀기 동작이, 상기 급수 보틀을 전방으로 회전 경사시켜 인출하고, 후방으로 회전 경사시켜 되미는 회전 경사 동작이며, 상기 급수 접속구 탈착 기구가, 상기 급수 보틀 지지부와 상기 급수 접속구 지지부를 포함하는 유니트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유니트 회전 기구와, 상기 유니트 회전 기구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급수 보틀과 상기 급수 접속구가 서로 마주보며 접근ㆍ이격하게 양자를 상대 이동시키는 탈착 슬라이드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유니트 회전 기구에 의한 회전 경사 이동과 상기 탈착 슬라이드 기구에 의한 상기 급수 접속구와 상기 급수 보틀의 탈착을 연동시켜, 상기 급수 보틀의 전후에의 회전 경사 이동에 맞추어 상기 급수 접속구의 상기 급수 보틀의 관구에의 설치ㆍ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워터 서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접속구 탈착 기구가, 상기 유니트 회전 기구에 의해 회전 경사 이동하는 상기 급수 보틀 지지부 또는 상기 급수 접속구 지지부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유니트 회전 기구에 의한 회전 궤적보다 외측으로 벗어난 궤적을 따라 이동시키는 비회전 경사 이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비회전 경사 이동 기구를 통해 상기 유니트 회전 기구와 상기 탈착 슬라이드 기구를 연동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보틀 교환시의 상기 회전 경사 동작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회전 기구에 따른 상기 급수 접속구 또는 상기 급수 접속구 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회전 경사 이동과, 상기 비회전 경사 이동 기구에 따른 다른 하나의 상기 비회전 경사 이동의 차이에 의해, 상기 탈착 슬라이드 기구에 따른 양자의 접근ㆍ이격 운동이 야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서버.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회전 기구의 상기 회전 운동의 기단(起端)에서, 상기 급수 보틀이 장치 내에서 뒤집힌 상태이고 또한 상기 급수 보틀 지지부와 상기 급수 접속구 지지부의 상대적 거리가 가장 작게 상기 급수 보틀과 상기 급수 접속구가 접속된 상태에 있고, 상기 유니트 회전 기구의 상기 회전 운동의 종단(終端)을 향할 수록, 상기 급수 보틀이 전방으로 경사지게 인출되고, 또한 상기 급수 보틀 지지부와 상기 급수 접속구 지지부의 상대적 거리가 커져 상기 급수 보틀과 상기 급수 접속구의 접속이 개방되는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서버.
  11. 제8항 내지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회전 경사 이동 기구가, 장치 케이스 벽면에 설치된 습동구와 상기 습동구를 습동하는 습동 바퀴와, 상기 습동 바퀴와 상기 급수 보틀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자를 구비하고,
    상기 습동구의 기단에서, 상기 회전축과 상기 습동 기구와의 거리가 가장 가깝고, 상기 습동구의 종단에 향할수록 회전축과 상기 습동 기구와의 거리가 커져 가도록, 상기 회전축의 위치와 상기 습동구의 형상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습동구의 형상이나 상기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각도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급수 보틀의 회전 운동에 대한 급수 보틀의 관구와, 급수 접속구 지지부에 지지된 급수 접속구와의 접근ㆍ이격의 속도를 조정하는 워터 서버.
  13. 제7항 내지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위치가, 상기 급수 보틀의 관구가 고정되어 있는 위치보다도, 상기 유니트 회전 기구에 의한 회전운동의 종단측에 편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서버.
  14. 제7항 내지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 서버의 케이스의 개폐 문이 정면에 설치되어, 상기 유니트 회전 기구에 의한 회전운동의 상기 기단이 상기 워터 서버의 케이스의 내측, 상기 유니트 회전 기구에 의한 회전운동의 상기 종단이 상기 워터 서버의 케이스의 정면측이 되도록 설치되는 워터 서버.
  15. 제1항 내지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보틀의 관구가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급수 보틀 지지부가 상기 급수 보틀의 관구의 상기 플랜지와 서로 감합하는 감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급수 보틀의 관구의 플랜지와 상기 급수 보틀 지지부의 감합부재가 서로 감합하는 것에 의해 상기 급수 보틀의 수직 성분의 이동이 제지되는 상태가 되는 워터 서버.
  16. 제1항 내지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보틀 지지부 및 상기 급수 접속구 지지부가, 상기 워터 서버의 케이스 내의 하방 부근에 배치되어, 상기 급수 보틀의 장착 위치가 상기 워터 서버의 케이스 내의 하방 부근으로 되는 워터 서버.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 서버의 케이스의 개폐 문을 열고, 상기 기본상태에 있는 상기 급수 보틀을 인출 동작에 의해 인출하는 것에 의해, 상기 급수 보틀의 관구로부터 상기 급수 접속구의 분리 작업이 완료되고, 상기 급수 보틀이 교환 상태가 되며, 상기 급수 보틀을 새로운 상기 급수 보틀로 교환한 후, 상기 기본상태에 있는 상기 급수 보틀을 상기 되밀기 동작에 의해 상기 장치 내부에 되미는 것에 의해, 상기 급수 보틀의 관구에 대한 상기 급수 접속구의 결합 작업이 완료되고, 상기 급수 보틀이 상기 기본 상태로 되돌아 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서버.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 서버의 케이스내의 상기 급수 보틀의 기본상태는, 상기 급수 보틀이 상기 급수 보틀 지지부 상에 거의 연직방향으로 도립하고, 상기 급수 보틀의 관구에 대하여 상기 급수 접속구가 결합된 상태이고, 상기 급수 보틀의 교환 상태는, 상기 급수 보틀이 상기 급수 보틀 지지부에 뒤집힌 상태에서 장치 케이스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되어 교환하기 쉬운 상태가 되는 워터 서버.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 서버의 케이스내의 상기 급수 보틀의 기본상태는, 상기 급수 보틀이 상기 급수 보틀 지지부 상에 거의 연직방향으로 도립하고, 상기 급수 보틀의 관구에 대하여 상기 급수 접속구가 결합된 상태이고, 상기 급수 보틀의 교환 상태는, 상기 급수 보틀이 상기 급수 보틀 지지부와 함께 정면 앞쪽 경사 방향으로 기울어져 교환하기 쉬운 상태가 되는 워터 서버.
KR1020117009714A 2010-12-17 2010-12-17 급수 보틀의 교환이 용이한 워터 서버 KR201200819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73480 WO2012081134A1 (ja) 2010-12-17 2010-12-17 給水ボトルの交換容易なウォーターサーバ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937A true KR20120081937A (ko) 2012-07-20

Family

ID=45475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9714A KR20120081937A (ko) 2010-12-17 2010-12-17 급수 보틀의 교환이 용이한 워터 서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465815A1 (ko)
JP (1) JP4843748B1 (ko)
KR (1) KR20120081937A (ko)
CN (1) CN102892703A (ko)
TW (1) TW201225892A (ko)
WO (1) WO20120811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875B1 (ko) * 2018-01-18 2019-07-04 (주)원봉 슬라이드 방식 냉온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19461A (zh) * 2013-01-15 2014-07-16 邵源 一种易换桶装水的饮水机
CN108883924B (zh) * 2016-05-30 2020-07-28 目的株式会社 饮水机
US11840441B2 (en) 2016-12-22 2023-12-12 Basf Se Container coupling and opening device with probe
CN110475801B (zh) 2017-03-31 2022-04-19 日油株式会社 在末端具有多个羟基的聚氧乙烯衍生物的制造方法
CN107319937B (zh) * 2017-06-22 2019-08-30 日照科林诗尔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能够自动换水的饮水机
CN108392074A (zh) * 2018-04-30 2018-08-14 中山市翔实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方便更换桶装水的饮水机
CN108726085A (zh) * 2018-04-30 2018-11-02 中山市慧捷企业管理有限公司 一种桶装水更换机构
JP2020158119A (ja) * 2019-03-25 2020-10-01 有限会社nendo ウオーターサーバー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5404A (en) * 1993-04-20 1995-06-2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Gravity feed fluid dispensing system
JP4547731B2 (ja) 1999-07-01 2010-09-22 株式会社Ihi ヘリウム循環冷却装置
JP2001153523A (ja) 1999-11-19 2001-06-08 Kyushu Kaihatsu Kikaku:Kk 飲料用温水器及び飲料用冷水器及び飲料用温水・冷水器
MXPA05001201A (es) * 2002-07-30 2005-09-12 Nestec Sa Sistema para dispensar una sustancia liquida.
JP2005104486A (ja) * 2003-09-29 2005-04-21 Toshiba Electric Appliance Co Ltd バッグインボックス装着装置
KR100692221B1 (ko) * 2005-09-28 200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용 물통
JP2007238144A (ja) * 2006-03-09 2007-09-20 Toshiba Electric Appliance Co Ltd 給水装置および飲料機器
US7434603B2 (en) * 2006-08-30 2008-10-14 Mtn Products, Inc. Bottom load water cooler
US20090242585A1 (en) * 2008-03-26 2009-10-01 Mtn Products, Inc. Bottom load water cooler
JP5336795B2 (ja) 2008-09-12 2013-11-06 タニカ電器販売株式会社 飲料供給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875B1 (ko) * 2018-01-18 2019-07-04 (주)원봉 슬라이드 방식 냉온수기
WO2019143183A1 (ko) * 2018-01-18 2019-07-25 (주)원봉 슬라이드 방식 냉온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2081134A1 (ja) 2014-05-22
JP4843748B1 (ja) 2011-12-21
EP2465815A1 (en) 2012-06-20
WO2012081134A1 (ja) 2012-06-21
CN102892703A (zh) 2013-01-23
TW201225892A (en) 2012-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1937A (ko) 급수 보틀의 교환이 용이한 워터 서버
JP4802299B1 (ja) 給水ボトルの交換容易な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4854820B1 (ja) 給水ボトルの交換容易なウォーターサーバー
US8875617B2 (en) Apparatus and capsule for preparing a drink
US9486106B2 (en) Device and method for retrieving a capsule from a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US7617763B2 (en) Motorized and remote-controlled cabinet design of filter holder for pressurized espresso machines
MXPA06000390A (es) Dispositivo para la extraccion de una capsula.
CN103260483A (zh) 用包囊制备适于消费的饮料的装置、系统和方法
US20200129002A1 (en) Beverage machine with a storable dispensing head
PT2189088E (pt) Dispositivo de distribuição de bebidas com sistema de suporte e de recuperação de gotas para recipientes de diferentes dimensões
CN108471899A (zh) 具有人体工程学储水器的饮料机器
US20070034086A1 (en) Beverage brewing devices having moveable reservoirs
CN102160756A (zh) 压力咖啡机的咖啡包冲泡装置
US20070034087A1 (en) Beverage brewing devices having movable spouts
JP2007238144A (ja) 給水装置および飲料機器
US11744397B2 (en) Beverage machines with modularity
US11344149B2 (en) Beverage machine with ergonomic power switch
CA2912723C (en) Capsule housing
US11700969B2 (en) Beverage machine with a collapsible interface
US20120152982A1 (en) Water server employing improved mechanism for exchanging water bottle
US20200107669A1 (en) Beverage machine with a stabilizing foot
CN202908273U (zh) 座椅扶手的快拆结构
JP2007236685A (ja) 給水装置
EP3687347A1 (en) Beverage machines with a removable module
WO2015166593A1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