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1795A - 연소시험장치의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연소시험장치의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1795A
KR20120081795A KR1020110003125A KR20110003125A KR20120081795A KR 20120081795 A KR20120081795 A KR 20120081795A KR 1020110003125 A KR1020110003125 A KR 1020110003125A KR 20110003125 A KR20110003125 A KR 20110003125A KR 20120081795 A KR20120081795 A KR 20120081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ace
specimen
cover
auxiliary open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3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7694B1 (ko
Inventor
이동호
Original Assignee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03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7694B1/ko
Publication of KR20120081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1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 G01N25/2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the development of heat, i.e. calorimetry, e.g. by measuring specific heat, by measuring thermal conductivity
    • G01N25/22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the development of heat, i.e. calorimetry, e.g. by measuring specific heat, by measuring thermal conductivity on combustion or catalytic oxidation, e.g. of components of gas mix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2Thermal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6Embedding or analogous mounting of samp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Using Therm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소시험장치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체에 형성되어 열이나 불을 발생시키는 화로의 작동온도를 설정부를 통해 설정하는 설정단계와, 시편을 고정하는 덮개의 보조개폐부에 시편을 고정하는 고정단계와, 화로의 온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에 이르게 되면, 덮개를 이동하는 이동단계와, 화로에 의해 연소되는 시편을 센서가 감지하고 설정부가 제어하며 측정결과를 설정부를 통해 표시하는 시험단계와, 시편의 시험측정이 완료되면 덮개에 형성된 보조개폐부의 위치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복귀단계와, 덮개에서 시편을 제거하고 모든 장치의 작동을 중지하여 시험을 완료하는 완료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임의의 시편의 연소성을 측정할 때, 화로가 작동하면서 화로의 온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상승할 때에는 시편을 화로와 이격시켰다가 화로의 온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완전히 상승한 후에 시편을 화로와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시편의 연소성에 대한 정확한 측정결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연소시험장치의 운용방법{A method for operating for combustion test device}
본 발명은 연소시험장치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임의의 시편에 대한 연소성을 측정할 때 화로의 온도가 완전하게 상승한 후에 화로의 상측으로 시편을 이동시켜 정확한 시편의 측정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연소시험장치의 크기를 줄여 제작단가를 줄이고 사용자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연소시험장치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시편의 연소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화로의 위치에 따라 화로의 상측이나 측면에 시편을 고정시킨 후, 화로에 열을 가하여 화로의 온도를 올리면서 화로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으로 오르게 되면, 시간에 따른 시편의 온도 및 연소상태를 측정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시편의 연소성을 측정할 때, 화로를 작동하기 전에 시편을 화로에 위치시키고 화로를 작동하게 되면 화로의 온도가 올라가는 중에도 시편으로 열기가 전해지게 되어 시편의 내화성능에 대한 정확한 측정결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시편을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화로가 위치한 곳에 시편을 직접 설치해야 했기 때문에, 화로가 작동하는 동안에는 시편을 교체하거나 설치 및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로에서 발생되는 불이나 열기가 시편으로 전부 전달되지 않고, 일부의 불이나 열기가 빠져나가게 되어 화로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화로를 작동시켜 시편의 내화성능을 측정할 때, 화로의 작동상태가 하나의 연소장치마다 개방형태나 밀폐형태 중에서 하나의 환경으로만 시험을 할 수 있도록 정해져 있어 여러 환경에서 시편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다른 시험환경에 따른 연소장치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본체에 형성되어 열이나 불을 발생시키는 화로의 작동온도를 설정부를 통해 설정하는 설정단계와, 시편을 고정하는 덮개의 보조개폐부에 시편을 고정하는 고정단계와, 화로의 온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에 이르게 되면, 덮개를 이동하는 이동단계와, 화로에 의해 연소되는 시편을 센서가 감지하고 설정부가 제어하며 측정결과를 설정부를 통해 표시하는 시험단계와, 시편의 시험측정이 완료되면 덮개에 형성된 보조개폐부의 위치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복귀단계와, 덮개에서 시편을 제거하고 모든 장치의 작동을 중지하여 시험을 완료하는 완료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임의의 시편의 연소성을 측정할 때, 화로가 작동하면서 화로의 온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상승할 때에는 시편을 화로와 이격시켰다가 화로의 온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완전히 상승한 후에 시편을 화로와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시편의 연소성에 대한 정확한 측정결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화로의 상측으로 화로를 덮을 수 있는 덮개를 위치시키고 상기 덮개에 시편을 고정시킨 후, 화로의 온도가 완전히 상승하게 되면 사용자가 덮개를 슬라이드하도록 형성하여, 사용자가 덮개를 이동시키는 동작만으로도 화로의 열기와 상관없이 사용자가 간편하게 시편을 화로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덧붙여, 상기 화로와 덮개를 상, 하로 회전하면서 좌, 우와 같이 양측면으로도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드형태로 제작함으로써, 사용자가 덮개를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화로의 온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상승할 때, 화로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그 공간으로만 열기가 이동되도록 하는 열의 대류현상을 이용하여 화로를 작동시키게 됨으로써, 화로의 열효율성을 우수하게 하고 화로의 불이나 열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고 시편으로만 전달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덧붙여, 화로에 공기를 주입하고 빼낼 수 있도록 형성하여, 화로의 작동환경을 밀폐상태나 개방상태 등으로 사용자가 원활하게 설정할 수 있어, 다양한 사용환경에서 시편을 시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화로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풍기를 설치하고 상기 환풍기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실험실 내부의 공기가 오염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연소시험장치의 운용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연소시험장치를 도시한 사진.
도 3과 4는 본 발명에 의한 본체의 상면과 후면을 도시한 사진.
도 5와 6은 본 발명에 의한 보조개폐부의 개폐상태를 도시한 사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덮개를 도시한 사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덮개의 이동상태를 도시한 사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덮개의 이동시 화로와의 접촉상태를 도시한 사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환풍구를 이동시키기 위한 상태를 도시한 사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설정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덮개의 개폐상태를 도시한 사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연소시험장치의 운용방법은 본체(10)에 형성되어 열이나 불을 발생시키는 화로(12)의 작동온도를 설정부(30)를 통해 설정하는 설정단계(S10)와, 시편을 고정하는 덮개(20)의 보조개폐부(25)에 시편을 고정하는 고정단계(S20)와, 화로(12)의 온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에 이르게 되면, 덮개(20)를 이동하는 이동단계(S30)와, 화로(12)에 의해 연소되는 시편을 센서(22)가 감지하고 설정부(30)가 제어하며 측정결과를 설정부(30)를 통해 표시하는 시험단계(S40)와, 시편의 시험측정이 완료되면 덮개(20)에 형성된 보조개폐부(25)의 위치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복귀단계(S50)와, 덮개(20)에서 시편을 제거하고 모든 장치의 작동을 중지하여 시험을 완료하는 완료단계(S6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설정단계(S10)과 고정단계(S20)의 본체(10)는 내측으로 공간부(11)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11)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공간부(11)를 통해 불이나 열기가 이동되고 불이나 열기를 발생시키는 화로(12)와, 상기 화로(12)의 후방으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3)가 형성되고, 상기 화로(12)의 상부에 형성되는 지지대(14)와 상기 지지대(14)에 연결되는 슬라이드봉(15)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상기 본체(10)의 전방으로 외부의 공기를 화로(12)로 유입할 수 있는 흡입구(16)를 더 포함하여 형성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화로(12)의 연소방식을 밀폐방식이나 개방방식 중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덮개(20)는 내측으로 상기 화로(12)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접촉되며 시편이 고정되는 고정대(21), 상기 고정대(21)에 위치된 시편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22)와, 상기 센서(22)가 고정되도록 다수개의 간격홈(23)을 형성한 거치대(24)가 형성되는 보조개폐부(25)가 형성되되 상기 본체(10)의 상측으로 위치되며 슬라이드봉(15)에 연결되어 상하로 회전되면서 좌, 우측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상기 덮개(20)에는 센서(22)를 고정하는 고정장치(26)와 고정대(21)에 고정되는 시편을 고정하는 볼트(b)를 더 포함하여 형성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와 덮개(20)의 상측으로 화로(12)의 작동시 발생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환풍구(k)와 상기 환풍구(k)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줄(l)과 도르래(d)를 더 포함하여 형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설정부(30)는 상기 본체(10)와 덮개(20)를 전체적으로 제어, 설정하며 센서(22)에 의한 측정결과와 현재상태를 출력하도록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단계(S20)에서는 덮개(20)의 보조개폐부(25)를 열고 상기 보조개폐부(25)의 하측에 형성된 고정대(21)에 시편을 위치시킨 후 상기 보조개폐부(25)를 닫고, 상기 보조개폐부(25)에 형성되는 거치대(24)에 다수개로 형성된 간격홈(23) 중에서 임의의 간격홈(23)에 센서(22)와 센서(22)를 고정하는 고정장치(26)를 결합하고 고정장치(26)에 센서(22)를 고정시키며, 볼트(b)를 다른 간격홈(23)에 고정시켜 고정대(21)에 시편을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덧붙여, 상기 고정단계(S20)에서 시편을 보조개폐부(25)에 고정할 때, 화로(12)를 작동시킨 후에 고정할 수도 있으며 작동시키기 전에 고정할 수도 있고, 화로(12)를 작동하면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이동단계(S30)에서, 상기 설정부(30)에서 화로(12)의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온도를 표시하며,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에 다다르게 되면 화로(12)를 제어하고, 사용자가 본체(10)의 슬라이드봉(15)에 연결된 덮개(20)를 슬라이드봉(15)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보조개폐부(25)를 화로(12)의 상측으로 이동시켜 시편이 화로(12)에 접촉되도록 위치를 조정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상기 복귀단계(S50)에서 시편의 측정이 완료되면, 화로(12)의 상측으로 위치된 덮개(20)의 보조개폐부(25)를 화로(12)와 이격시키기 위해 덮개(20)를 슬라이드봉(15)을 따라 화로(12)의 타측방향으로 이동시켜 덮개(20)를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키고, 덮개(20)에 형성된 보조개폐부(25)의 거치대(24)에 고정된 센서(22)와 볼트(b)를 분리하며 보조개폐부(25)를 연 후, 고정대(21)에서 시편을 제거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체(10)와 덮개(20), 설정부(30)를 사용자고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설치하고, 사용자가 시험하고자 하는 시편을 테스트하면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2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 덮개(20), 설정부(30)는 사용자가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설치하는데, 본체(10)의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공간부(10)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11)를 감싸는 형태로 화로(12)를 형성하며, 본체(10)의 후방으로 배출구(13)를 전방으로 흡입구(16)를 설치한다.
그리고, 화로(12)의 상측으로 슬라이드봉(15)을 설치하는데 상기 슬라이드봉(15)이 본체(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봉(15)의 양측으로 지지대(14)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상측으로 덮개(20)를 결합하는데, 본체(10)에 형성된 슬라이드봉(15)에 덮개(20)가 연결되도록 하고, 덮개(20)의 임의의 지점을 관통시킨 후, 관통된 하측부분에 고정대(21)를 형성하며 관통된 상측부분에 보조개폐부(25)를 결합시킨다.
여기서, 상기 보조개폐부(25)에는 거치대(24)를 형성하는데, 상기 거치대(24)의 임의의 지점에 다수개의 간격홈(23)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간격홈(23)의 간격은 사용자가 시험하고자 하는 시편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본체(10)와 덮개(20)는 설정부(30)에 전기적으로 제어되는데, 본체(10), 덮개(20)와 설정부(3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덮개(20)를 본체(10)에 형성된 슬라이드봉(15)에 의해 결합하도록 하는데, 덮개(20)가 슬라이드봉(15)에 결합되어 상, 하로 회전되고 좌,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덮개(20)에 베어링(도면에 미도시) 등이 고정되는 고정부재(도면에 미도시)가 결합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이다.
그런 후, 사용자가 시편을 시험하기 위해 설정부(30)에서 화로(12)의 온도를 설정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부(30)에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화로(12)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는 스위치(도면에 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자세한 사항은 생략하도록 하며, 화로(12)의 현재상태 및 덮개(20)에 형성된 센서(22)의 측정결과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사용자가 설정부(30)를 통해 화로(12)의 온도를 설정하고, 화로(12)의 작동상태를 설정할 수도 있는데, 본체(10)의 전방으로 외부의 공기를 화로(12)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는 흡입구(16)를 형성하여 흡입구(16)의 작동상태에 따라 화로(12)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하여 화로(12)의 상태를 개방상태로 하거나, 외부의 공기를 차단하여 화로(12)의 상태를 밀폐상태로 하여 시편을 시험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S10)
그런 후, 사용자가 덮개(20)에 형성된 고정대(21)에 시편을 고정하도록 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덮개(20)에 형성된 보조개폐부(25)를 열고, 보조개폐부(25)의 하측에 형성된 고정대(21)에 다양한 크기와 두께의 시편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보조개폐부(25)를 닫고, 보조개폐부(15)의 거치대(24)에 형성된 다수개의 간격홈(23) 중에서 임의의 간격홈(23)에 사용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시편의 임의의 위치에 센서(22)를 고정시키고, 다른 간격홈(23)에는 시편을 고정대(21)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볼트(b)를 삽입하여 고정대(21)에 시편을 견고히 고정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보조개폐부(25)를 개폐하기 위해서는 보조개폐부(25)가 힌지(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되고, 힌지는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문(도면에 미도시) 등에서 사용되는 것이다.
덧붙여, 상기 보조개폐부(25)의 거치대(24)에 고정되는 센서(22)를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하며 센서(22)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도록 센서(22)를 고정하고자 하는 간격홈(23)에 고정장치(26)를 고정시킨 후, 상기 고정장치(26)에 센서(22)를 시편에 맞닿도록 삽입한다.
여기서, 시편을 덮개(20)의 보조개폐부(25)에 고정할 때, 시편을 화로(12)를 먼저 작동한 후에 고정할 수도 있으며, 화로(12)가 작동하기 전에 고정할 수도 있고, 화로(12)를 작동시키면서 고정할 수도 있다.
이는, 시편이 고정되는 보조개폐부(25)가 화로(12)와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화로(12)의 작동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시편을 보조개폐부(25)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S20)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화로(12)를 작동시켜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까지 상승시키고, 시편을 덮개(20)의 보조개폐부(25)에 고정이 되면, 사용자는 덮개(20)를 본체(10)에 형성된 슬라이드봉(15)을 따라 이동시켜 시편이 화로(12)의 상측으로 위치되도록 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사용자가 시편을 덮개(20)에 고정시킬 때, 화로(12)와 시편이 고정되는 보조개폐부(25)가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시편에 화로(12)의 열이나 불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시편을 화로(12)와 접촉되도록 해야한다.
그래서, 상기 덮개(20)에 형성된 보조개폐부(25)를 화로(12)의 상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덮개(20)를 슬라이드봉(15)을 따라 이동시켜 보조개폐부(25)가 화로(12)의 상측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덮개(20)를 움직이도록 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덮개(20)와 덮개(20)에 형성된 보조개폐부(25)를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손잡이(도면에 미도시)가 포함되도록 하며 손잡이는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덧붙여, 상기 화로(12)의 온도가 상승할 때, 화로(12)의 내부로 공간부(11)가 형성되어 있어, 화로(12)의 열기가 공간부(11)를 통해서만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공간부(11)가 시편하고 직접 맞닿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화로(12)에서 발생되는 열이 공간부(11)에서 대류현상을 통해서 시편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화로(12)의 열효율성이 우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간부(11)를 통해 시편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부스럼 등이 공간부(11)에 쌓이게 되면 사용자가 시험을 완료한 후, 공간부(11)에 쌓인 부스럼을 제거하면 된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로(12)가 작동하게 되어 시편이 연소되게 되면서 발생되는 연기가 실내 공간에 머무를 수 있기 때문에, 본체(10)와 덮개(20)의 상측으로 환풍구(k)를 설치하고, 상기 환풍구(k)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환풍구(k)에 줄(l)과 도르래(d)로 연결하여, 시편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환풍구(k)의 높이를 조절하고 해당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리(도면에 미도시)를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환풍이(k)가 공중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거나 본체(10), 덮개(20), 설정부(30)를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도면에 미도시) 등을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다.
덧붙여, 상기 화로(12)에서 발생되는 열과 시편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열이 공간부(11)로 축적되게 되면서 시편으로 전달되는 온도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상기 공간부(11)로 축적되는 공기 등의 양이 늘어나게 되면 시편의 측정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공간부(11)로 축적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출구(13)를 일정하게 작동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 덮개(20)에는 화로(12)의 열기에 의해 본체(10)나 덮개(20) 등이 파손되지 않도록 불연재 등이 설치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이다.(S30)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편이 화로(12)에 의해 연소되면서 시편의 온도가 올라가게 되는데, 시편의 온도를 상기 시편과 맞닿은 센서(22)가 감지하게 되어 상기 센서(22)를 제어하는 설정부(30)가 체크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하게 된다.(S40)
그런 후, 사용자가 시험하고자 하는 시편의 시험이 완료되면, 화로(12)의 상측으로 보조개폐부(25)가 형성된 덮개(20)를 화로(12)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덮개(20)를 최초의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화로(12)의 상측으로 위치된 덮개(20)의 보조개폐부(25)를 화로(12)와 이격시키기 위해 덮개(20)를 본체(10)에 형성된 슬라이드봉(15)을 따라 현재 화로(12)의 상측에 위치된 보조개폐부(25)가 화로(12)에서 이격되도록, 화로(12)의 반대방향으로 덮개(20)를 본체(10)의 슬라이드봉(15)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덮개(20)의 보조개폐부(25)가 화로(12)와 이격되게 되면, 보조개폐부(25)의 거치대(24)에 결합된 센서(22)와 볼트(b)를 분리하고, 보조개폐부(25)를 열어 보조개폐부(25)의 고정대(21)에 고정된 시편을 제거하면 되는 것이다.(S50)
그런 후, 모든 장치의 작동을 중지하고 시험을 완료하면 되는 것이다.(S60)
여기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를 보수하거나 본체(10)에 형성된 화로(12)를 유지보수 및 교체하거나 공간부(11)를 청소하기 위해서 덮개(20)를 슬라이드봉(15)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상기 화로(12)에 열을 가할 때, 덮개(20)를 이용하여 화로(12)를 덮은 후, 화로(12)에 열을 가하게 되면서 화로(12)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발산되지 않게 되어 화로(12)가 빠른 시간에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상승되며, 상기 화로(12)의 온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에 이르게 되면 덮개(20)를 슬라이드봉(15)을 따라 이동시켜 고정대(21)에 고정된 시편이 화로(12)의 상측으로 위치되도록 하여 시편의 정확한 측정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최초에 화로(12)의 상측으로 시편을 위치시키고 화로(12)를 작동시키게 되면, 화로(12)의 일정한 온도로 상승하는 동안에도 그 열기가 시편으로 전달되어 시편의 정확한 측정결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화로의 온도가 올라가는 동안에는 시편을 화로(12)와 이격시키고 화로(12)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 후, 시편을 화로(12)와 접촉하게 함으로써, 시편에 대한 정확한 측정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덧붙여, 상기 본체(10)에 슬라이드봉(15)을 형성하고 슬라이드봉(15)에 덮개(20)를 연결함으로써, 사용자가 간편하게 덮개(20)를 슬라이드봉(15)을 따라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또한, 화로(12)가 작동하는 중에도 덮개(20)를 슬라이드시켜 덮개(20)에 형성된 고정대(21)를 화로(12)의 상측으로 이동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언제라도 고정대(21)에 시편을 고정시키거나 교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20)의 보조개페부(25)에 고정되는 볼트(b)를 통해 시편의 크기와 두께에 상관없이 시편을 고정대(21)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며, 거치대(24)에 형성된 간격홈(23)을 통해 센서(22) 간의 간격이나 볼트(b) 간의 간격 등을 사용자가 원하는 간격대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10 : 본체 11 : 공간부
12 : 화로 13 : 배출구
14 : 지지대 15 : 슬라이드봉
20 : 덮개 21 : 고정대
22 : 센서 23 : 간격홈
24 : 거치대 25 :보조개폐부
30 : 설정부
50 : 연소시험장치

Claims (8)

  1. 본체(10)에 형성되어 열이나 불을 발생시키는 화로(12)의 작동온도를 설정부(30)를 통해 설정하는 설정단계(S10);
    시편을 고정하는 덮개(20)의 보조개폐부(25)에 시편을 고정하는 고정단계(S20);
    화로(12)의 온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에 이르게 되면, 덮개(20)를 이동하는 이동단계(S30);
    화로(12)에 의해 연소되는 시편을 센서(22)가 감지하고 설정부(30)가 제어하며 측정결과를 설정부(30)를 통해 표시하는 시험단계(S40);
    시편의 시험측정이 완료되면 덮개(20)에 형성된 보조개폐부(25)의 위치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복귀단계(S50);
    덮개(20)에서 시편을 제거하고 모든 장치의 작동을 중지하여 시험을 완료하는 완료단계(S6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연소시험장치의 운용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단계(S10)와 고정단계(S20)에서 본체(10)는 내측으로 공간부(11)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11)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공간부(11)를 통해 불이나 열기가 이동되고 불이나 열기를 발생시키는 화로(12)와, 상기 화로(12)의 후방으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3)가 형성되고, 상기 화로(12)의 상부에 형성되는 지지대(14)와 상기 지지대(14)에 연결되는 슬라이드봉(15)이 형성되고, 덮개(20)는 내측으로 상기 화로(12)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접촉되며 시편이 고정되는 고정대(21), 상기 고정대(21)에 위치된 시편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22)와, 상기 센서(22)가 고정되도록 다수개의 간격홈(23)을 형성한 거치대(24)가 형성되는 보조개폐부(25)가 형성되되 상기 본체(10)의 상측으로 위치되며 슬라이드봉(15)에 연결되어 상하로 회전되면서 좌, 우측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형성되며, 설정부(30)는 상기 본체(10)와 덮개(20)를 전체적으로 제어, 설정하며 센서(22)에 의한 측정결과와 현재상태를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연소시험장치의 운용방법.
  3. 제 1 내지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전방으로 흡입구(16)를 더 포함하여 형성하고, 덮개(20)에는 센서(22)를 고정하는 고정장치(26)와 고정대(21)에 고정되는 시편을 고정하는 볼트(b)를 더 포함하여 형성하며, 본체(10)와 덮개(20)의 상측으로 화로(12)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환풍구(k)와 환풍구(k)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도르래(d)와 줄(l)을 더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연소시험장치의 운용방법.
  4.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단계(S10)에서 흡입구(16)의 작동상태를 설정하여 화로(12)의 환경상태를 밀폐상태나 개방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설정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연소시험장치의 운용방법.
  5.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계(S20)에서는 덮개(20)의 보조개폐부(25)를 열고 상기 보조개폐부(25)의 하측에 형성된 고정대(21)에 시편을 위치시킨 후 상기 보조개폐부(25)를 닫고, 상기 보조개폐부(25)에 형성되는 거치대(24)에 다수개로 형성된 간격홈(23) 중에서 임의의 간격홈(23)에 센서(22)와 센서(22)를 고정하는 고정장치(26)를 결합하고 고정장치(26)에 센서(22)를 고정시키며, 볼트(b)를 다른 간격홈(23)에 고정시켜 고정대(21)에 시편을 고정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연소시험장치의 운용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계(S20)에서 시편을 보조개폐부(25)에 고정할 때, 화로(12)를 작동시킨 후에 고정할 수도 있으며 작동시키기 전에 고정할 수도 있고, 화로(12)를 작동하면서 고정시킬 수도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연소시험장치의 운용방법.
  7. 제 1항 내지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계(S30)에서, 상기 설정부(30)에서 화로(12)의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온도를 표시하며,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에 다다르게 되면 화로(12)를 제어하고, 사용자가 본체(10)의 슬라이드봉(15)에 연결된 덮개(20)를 슬라이드봉(15)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보조개폐부(25)를 화로(12)의 상측으로 이동시켜 시편이 화로(12)에 접촉되도록 위치를 조정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연소시험장치의 운용방법.
  8.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단계(S50)에서 시편의 측정이 완료되면, 화로(12)의 상측으로 위치된 덮개(20)의 보조개폐부(25)를 화로(12)와 이격시키기 위해 덮개(20)를 슬라이드봉(15)을 따라 화로(12)의 타측방향으로 이동시켜 덮개(20)를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키고, 덮개(20)에 형성된 보조개폐부(25)의 거치대(24)에 고정된 센서(22)와 볼트(b)를 분리하며 보조개폐부(25)를 연 후, 고정대(21)에서 시편을 제거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연소시험장치의 운용방법.

KR1020110003125A 2011-01-12 2011-01-12 연소시험장치의 운용방법 KR101217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125A KR101217694B1 (ko) 2011-01-12 2011-01-12 연소시험장치의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125A KR101217694B1 (ko) 2011-01-12 2011-01-12 연소시험장치의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795A true KR20120081795A (ko) 2012-07-20
KR101217694B1 KR101217694B1 (ko) 2013-01-02

Family

ID=46713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3125A KR101217694B1 (ko) 2011-01-12 2011-01-12 연소시험장치의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76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41001A (zh) * 2016-12-27 2018-07-03 华润水泥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煤炭溯源方法
CN108398281A (zh) * 2018-03-12 2018-08-14 中国农业大学 一种针对民用炉具的在线性能测试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115B1 (ko) * 2006-02-10 2007-06-1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케이블 시편용 열화시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41001A (zh) * 2016-12-27 2018-07-03 华润水泥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煤炭溯源方法
CN108398281A (zh) * 2018-03-12 2018-08-14 中国农业大学 一种针对民用炉具的在线性能测试系统
CN108398281B (zh) * 2018-03-12 2019-08-30 中国农业大学 一种针对民用炉具的在线性能测试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7694B1 (ko) 201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71901B (zh) 一种消防服热防护性能检测系统及方法
CN203324213U (zh) 一种热辐射反馈作用下热固性材料表面火蔓延实验测试装置
KR101654759B1 (ko) 유해배기가스 배출 장치를 구비한 연소 시험 장치
JP4824412B2 (ja) 燃焼試験機
CN206293081U (zh) 一种火焰蔓延模拟实验台
KR101217694B1 (ko) 연소시험장치의 운용방법
CN104865289B (zh) 一种铺地材料热辐射测试仪
KR20090010551A (ko) 온도조절이 가능한 콘칼로리미터 및 이를 이용한 연소성시험방법
KR101170376B1 (ko) 연소시험장치
KR20060131397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화재 실험용 수평 가열로
JP2010160767A (ja) 煙感知器の試験設備及びそのための装置
CN216594891U (zh) 一种全自动闭口闪点测试仪
CN220603393U (zh) 一种测试防火封堵材料耐火性能的装置
CN201837572U (zh) 一种快速水分测定仪
CN105548239B (zh) 一种热防护性能测试仪
CN206609817U (zh) 一种电弧点火开闭口闪点检测装置
CN204832236U (zh) 一种针尖式阴燃速率仪
CN206057231U (zh) 一种开口闪点、燃点测定加热装置
CN102590547B (zh) 一种卷烟纸阴燃速率的测量方法及装置
CN206627430U (zh) 塑料烟密度测试仪
KR200412679Y1 (ko) 열충격 시험장치
CN201749095U (zh) 一种消防服热防护性能检测仪器
CN205720546U (zh) 一种用于热老化测试的烤箱
CN220709068U (zh) 耐热性能测试装置
CN205301219U (zh) 一种铺地材料热辐射测试仪的热辐射报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