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1727A - 바닥장식재 - Google Patents

바닥장식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1727A
KR20120081727A KR1020110003009A KR20110003009A KR20120081727A KR 20120081727 A KR20120081727 A KR 20120081727A KR 1020110003009 A KR1020110003009 A KR 1020110003009A KR 20110003009 A KR20110003009 A KR 20110003009A KR 20120081727 A KR20120081727 A KR 20120081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layer
layer unit
insertion groove
fasten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3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8673B1 (ko
Inventor
남승백
정정호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10003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8673B1/ko
Publication of KR20120081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1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05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장식재에 관한 것으로서, 저면에 삽입홈이 형성된 코어층 단위패널; 및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한쌍의 체결돌기가 연결부재 양단부에 형성된 연결코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의 높이는 상기 코어층 단위패널의 두께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공 후 단차가 발생하지도 않고, 추가 접착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코어층 단위패널 상호간에 체결강도가 우수하다.

Description

바닥장식재{Flooring with connecting parts of its own}
본 발명은 바닥장식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코어층으로 사용되는 코어층 단위패널을 사출 또는 프레스 성형으로 제작한 후,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별도의 체결부재로써 인접하는 코어층 단위패널끼리 체결시킴으로써, 시공 후 단차가 발생하지도 않고, 추가 접착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코어층 단위패널 상호간에 체결강도가 우수한 바닥장식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닥장식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실내 마루바닥에 시공된 콘크리트면 등을 커버하거나, 또는 장식하여 고급스러운 실내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우드(wood) 바닥재 등 다양한 종류의 바닥장식재를 시공하고 있다.
여기서, 바닥장식재라 함은 그라비아 인쇄 또는 전사 방식에 의해 디자인을 부여한 칼라 염화비닐수지 인쇄층 위에 투명층을 적층 또는 합판 한 후, 열을 이용한 물리적 또는 화학적 처리에 의한 요철을 부여함으로써, 질감 및 표면 입체감 등을 부가하고, 특수 유브이(UV) 도장제 또는 특수 표면 처리제로 코팅함으로써, 내오염성 및 청소용이성, 내마모성, 내습성, 내마모성 등을 부여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마루와 같은 종래의 바닥재는 길이방향 및 폭방향 테두리부에 혀홈구조(Tongue & Groove)의 결합체결부위를 구비하여서, 상기의 혀홈을 상호간에 끼워맞추어 제품을 시공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혀홈구조의 체결부위는 다수의 회전톱날을 사용한 테노나를 사용하여 가공하기도 하거나, 압출,사출성형을 통하여 가공하여 생산함에 따라, 시공후 제품간 체결상태가 느슨할 뿐만 아니라,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서는 시공바닥에 별도로 접착제를 바른 후, 안착시켜 고정해야 하는 등 시공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 후 단차가 발생하지 않아, 외관 마무리 상태가 수려한 바닥장식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추가 접착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아, 시공이 간편하여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에 소요되는 전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바닥장식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어층 단위패널 상호간에 체결강도가 우수하여 시공이 간편한 바닥장식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저면에 삽입홈이 형성된 코어층 단위패널; 및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한쌍의 체결돌기가 연결부재 양단부에 형성된 연결코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의 높이는 상기 코어층 단위패널의 두께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홈은, 코어층 단위패널의 저면 테두리부를 따라 길이방향 및 폭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돌기의 폭은 연결부재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체결돌기는 연결부재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돌기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코넥터의 두께는 삽입홈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어층 단위패널의 상부에는 치장층 패널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치장층 패널은, 합성수지, 대리석, 인조석, 또는 페놀멜라민 화장판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개의 코어층 단위패널 각각의 단면을 기준으로 하방 테두리부에 일정 높이의 삽입홈을 형성시키고, 상기 형성된 삽입홈 내측에 각각 연결코넥터를 체결시킴으로써, 시공 후 체결된 연결코넥터에 의하여 다수개의 코어층 단위패널 각각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아, 외관 마무리 상태가 수려한 바닥장식재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개의 코어층 단위패널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에 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인접하는 한쌍의 삽입홈에 각각 연결코넥터를 체결시킴으로써, 접착공정이 필요치 않아, 시공이 간편하여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에 소요되는 전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바닥장식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개의 코어층 단위패널이 맞대어진 상태에서 길이방향은 물론 폭방향으로도 연결코넥터로써 인접하는 코어층 단위패널 상호간에 체결시킴으로써, 길이방향과 폭방향 모두의 체결강도가 우수하면서도 시공이 간편한 바닥장식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수평방향으로 절단된 상태에 있어서, 다수개의 코어층 단위패널과 각각의 연결코넥터간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길이방향으로 절단된 상태에서의 코어층 단위패널과 치장층 패널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폭방향으로 절단된 상태에서의 코어층 단위패널과 치장층 패널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연결코넥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다수개의 코어층 단위패널과 각각의 연결코넥터간의 체결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연결코넥터를 가진 바닥장식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코넥터를 가진 바닥장식재를 살펴본다.
도 1은 수평방향으로 절단된 상태에 있어서, 다수개의 코어층 단위패널과 각각의 연결코넥터간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다수개의 코어층 단위패널과 각각의 연결코넥터간의 체결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장식재(300)는 상하관계를 기준으로, 시공된 상태에서 최상부층을 형성하는 치장층 패널(210)로 이루어지는 치장층(200); 및 상기 치장층(200)의 하방에 밀착된 상태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코어층 단위패널(110)이 각각 다수개의 연결코넥터(120)에 의하여 체결되어 격자형태로 이루어지는 코어층(10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장식재(300)의 코어층(100)은 수평방향으로 절단된 상태를 기준으로, 저면 테두리부를 따라 길이방향 삽입홈(111) 및 폭방향 삽입홈(112)이 형성되어 있는 코어층 단위패널(110); 및 한쌍의 체결돌기(121)가 연결부재(122) 양단부에 형성되며, 길이방향 삽입홈(111) 또는 폭방향 삽입홈(112)에 상기 체결돌기(121)가 각각 체결되는 연결코넥터(1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장식재(300)는, 시공면에 밀착될 수 있으며 저면 테두리부를 따라 길이방향 삽입홈(111) 및 폭방향 삽입홈(112)이 형성되는 코어층 단위패널(110)과 한쌍의 체결돌기(121)가 연결부재(122) 양단부에 형성되며, 마주하는 한쌍의 길이방향 삽입홈(111) 또는 폭방향 삽입홈(112)에 상기 체결돌기(121)가 각각 체결되는 연결코넥터(120)로 이루어지는 코어층(100); 및 상기 코어층(100)의 상방에 밀착되게 적층되는 치장층 패널(210)로 이루어지는 치장층(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대향하는 한쌍의 코어층 단위패널(110)간에 연결코넥터(120)를 끼움으로써, 각각의 타일형상의 제품들을 연결하여 바닥재로서의 기능이 가능하게 하였다.
이때, 상기 연결코넥터(120)의 형태는 길이방향 삽입홈(111) 및 폭방향 삽입홈(112)에 삽입된 후, 수평방향으로 힘을 가할 때에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다각형 등의 기하학적 형상을 취하며, 각각의 코어층 단위패널(110)에 끼우는 연결코넥터(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층 단위패널(110)의 길이방향 테두리부에는 4개의 길이방향 삽입홈(111)을 구비하고, 코어층 단위패널(110)의 폭방향 테두리부에는 2개의 폭방향 삽입홈(112)을 구비하였다.
따라서, 각각 이웃하는 각각의 코어층 단위패널(110)들과 상기 연결코넥터(120)를 공유하도록 연결 한 후, 상호간에 체결력이 발생되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연결코넥터(120)를 삽입하는 각각의 코어층 단위패널(110) 저면의 길이방향 삽입홈(111) 및 폭방향 삽입홈(11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에 삽입홈을 구비함으로써, 코어층 단위패널(110) 상방에 위치하는 치장층(200)은 제품간 연결시공 후에는 상호간에 단차이가 발생하지 않아서, 매끄러운 시공면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우선, 상기 치장층(200)은, 건축물의 실내 마루바닥에 시공된 콘크리트면 등을 커버하거나, 또는 장식하여 고급스러운 실내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우드(wood) 질감 등의 다양한 외관적 기능을 발휘하거나, 미끄럼 방지 또는 표면 내구성 강화 등의 특별한 성능적 기능을 발휘하도록 최외곽의 표면층을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그 최상층 면에는 치장보호층(도시하지 않음)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치장층(200)을 구성하는 각각의 치장층 패널(210)의 재질은, 외관적 기능을 발휘할 것인지 또는 특별한 성능적 기능을 발휘할 것인가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서, 이에 따라 합당한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합성수지, 대리석, 인조석, 또는 페놀멜라민 화장판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어층(100)은, 건축물의 실내 마루바닥에 시공된 콘크리트면 등에 밀착 적층되도록 시공되는 구성요소로서, 물론 그 상면에는 상기 치장층(200)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코어층(100)은 저면 테두리부를 따라 길이방향 삽입홈(111) 및 폭방향 삽입홈(112)이 형성되며, 폭방향과 길이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코어층 단위패널(110); 및 양단부에 한쌍의 체결돌기(121)를 가지며, 마주하는 한쌍의 길이방향 삽입홈(111) 또는 폭방향 삽입홈(112)에 상기 체결돌기(121)가 각각 체결되는 다수개의 연결코넥터(120);로 이루어진다.
한편, 코어층(100)을 구성하는 코어층 단위패널(110) 또는 연결코넥터(120)의 재질은,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의 인장력 등의 하중에도 견딜 수 있는 정도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시공된 상태를 기준으로, 격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다수개 코어층 단위패널(110)의 각각에 수평방향의 인장력 등이 가해지더라도, 체결수단인 상기 연결코넥터(120)에 의하여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 체결돌기(121)의 폭은 연결부재(122)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연결부재(122)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며, 형상은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코넥터(120)의 두께는 삽입홈(111,112)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 및 도 5참고)
그리고, 상기 코어층 단위패널(110) 또는 연결코넥터(120)은 각각 압출성형(押出成形, extruding) 또는 사출성형(射出成形, injection molding)에 의하여 각각 제조될 수도 있고, 프레스성형(press 成形)에 의하여 각각 제조될 수도 있으나, 가능한 시공 후 실제 사용환경에서 수축과 팽창 등의 치수변화율이 최소화되는 합성수지(合成樹脂 , synthetic resin)를 선정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다수개의 코어층 단위패널(110)은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는 타일(tile)과 같이 격자 형상(格子 形象)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며, 마주하는 코어층 단위패널(110) 사이에 배치되며, 이들을 결합시켜주는 다수개의 연결코넥터(120)에 의하여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구성됨에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있다.
즉, 인접하는 한쌍의 코어층 단위패널(110)의 테두리부 저면을 따라 구비되어 있는 길이방향 삽입홈(111) 및 폭방향 삽입홈(112)에 각각 연결코넥터(120)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한쌍의 체결돌기(121)가 각각 삽입 결합됨으로써, 기존의 혀홈구조(Tongue & Groove)의 결합체결 방식과는 달리, 다수개의 코어층 단위패널(110)은 우수한 체결강도를 발휘하게 됨으로써, 사용상의 하자 발생률이 저감된다.
이때, 상기 연결코넥터(120)는 코어층 단위패널(110)의 두께를 고려할 때, 저면에서부터 상층면까지 생성되는 것보다는, 저면에서부터 형성되어 상층면의 하방에 여유를 두고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치장층(200)이 형성되어야 할 상부층끼리 단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인접하는 상기 코어층 단위패널(110)의 길이방향 삽입홈(111) 및 폭방향 삽입홈(112)은, 대향하는 상기 코어층 단위패널(110)의 경계면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각각의 길이방향 삽입홈(111) 또는 폭방향 삽입홈(112)에 상기 다수개의 연결코넥터(120)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연결코넥터(120)는 길이방향 삽입홈(111) 또는 폭방향 삽입홈(112)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시공 후 단차이가 발생하지 않음에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특징이 있다.(도 3 및 도 4 참고)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코어층 단위패널(110)은, 길이방향 삽입홈(111)이 4개가 구비되고, 폭방향 삽입홈(112)이 2개가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연결코넥터(120)가 삽입되는 각각의 길이방향 삽입홈(111) 또는 폭방향 삽입홈(112)의 형태, 위치 및 개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적용되는 제품의 요구에 따라 효과적이고도 경제적인 최적형태의 구조로서 설계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코어층 110 : 코어층 단위패널
111 : 길이방향 삽입홈 112 : 폭방향 삽입홈
120 : 연결코넥터 121 : 체결돌기
200 : 치장층 210 : 치장층 패널
300 : 바닥장식재

Claims (8)

  1. 저면에 삽입홈이 형성된 코어층 단위패널; 및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한쌍의 체결돌기가 연결부재 양단부에 형성된 연결코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의 높이는 상기 코어층 단위패널의 두께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장식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코어층 단위패널의 저면 테두리부를 따라 길이방향 및 폭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장식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의 폭은 연결부재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장식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는 연결부재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장식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장식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코넥터의 두께는 삽입홈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장식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 단위패널의 상부에는 치장층 패널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장식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치장층 패널은, 합성수지, 대리석, 인조석, 또는 페놀멜라민화장판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연결코넥터를 가진 바닥장식재.
KR1020110003009A 2011-01-12 2011-01-12 바닥장식재 KR101338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009A KR101338673B1 (ko) 2011-01-12 2011-01-12 바닥장식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009A KR101338673B1 (ko) 2011-01-12 2011-01-12 바닥장식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727A true KR20120081727A (ko) 2012-07-20
KR101338673B1 KR101338673B1 (ko) 2013-12-06

Family

ID=46713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3009A KR101338673B1 (ko) 2011-01-12 2011-01-12 바닥장식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86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5134A (zh) * 2018-08-23 2018-12-18 福建南平市元乔木业有限公司 一种竹木复合贴pvc装饰板及加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300U (ko) 2017-11-25 2019-06-04 우드타일코리아(주) 다양한 패턴 구현이 가능한 장식용 판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908Y1 (ko) 2003-08-27 2003-12-01 고덕기 쿠션용 바닥재
JP2006022559A (ja) * 2004-07-08 2006-01-26 Asahi Kasei Chemicals Corp 合成樹脂枠、床材支持フレーム及び床材
KR100980140B1 (ko) * 2008-02-14 2010-09-03 박연준 지지부재를 이용한 건물 바닥용 완충층 연결구조
KR101095541B1 (ko) * 2008-10-30 2011-12-19 박종진 천연석 마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5134A (zh) * 2018-08-23 2018-12-18 福建南平市元乔木业有限公司 一种竹木复合贴pvc装饰板及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8673B1 (ko) 201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80491B2 (ja) フロアパネル用機械式係止システム
KR102069909B1 (ko) 플로어 커버링을 형성하기 위한 플로어 패널, 그러한 플로어 패널들로부터 형성된 플로어 커버링 및 그러한 플로어 패널들의 제작 방법
KR20190085007A (ko) 플로어 패널 및 플로어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US8037648B2 (en) Interlocking tile
EP3521529B1 (en) Panel for forming a floor covering
US8590252B2 (en) Groutless tile system
CN201460097U (zh) 拼装式墙地板及由此拼装成的墙地板结构
WO2014033628A1 (en) Panel
CN104968873A (zh) 用于形成地板覆层的地板镶板,由这种地板镶板形成的地板覆层以及制造这种地板镶板的方法
DE502005009261D1 (de) Paneel, insbesondere Fussbodenpaneel
KR100996878B1 (ko) 조립식 타일 결합체
EP2839094A1 (en) Prefabricated element for floors or floor baseboards
WO2013030686A2 (en) Panel and covering assembled from such panels
KR101338673B1 (ko) 바닥장식재
KR20230002570A (ko) 타일 패널, 바닥, 천장 또는 벽 표면을 위한 다수의 타일 패널의 표면 커버링
EP2948303B1 (en) Laminated cork-based panel without wood layers, the panel comprising a cork-based coupling member
JP2007224523A (ja) 連結組立用化粧材
JP3145265U (ja) 壁面パネル
JP2003326507A (ja) 化粧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19548225U (zh) 一种饰板结构及集合式饰板
KR200438216Y1 (ko) 마루 또는 우드 카페트용 화장편재
JP5975432B2 (ja) 面材
EP2644802B1 (en) Substrate-free surface covering having coupling means
WO2018020843A1 (ja) 化粧面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54839B1 (ko) 제품 이면에 바닥 홈부를 가지는 멜라민시트 적층바닥장식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