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1701A - 화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의 부착 방법 - Google Patents
화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의 부착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81701A KR20120081701A KR1020110002960A KR20110002960A KR20120081701A KR 20120081701 A KR20120081701 A KR 20120081701A KR 1020110002960 A KR1020110002960 A KR 1020110002960A KR 20110002960 A KR20110002960 A KR 20110002960A KR 20120081701 A KR20120081701 A KR 201200817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m
- screen
- display device
- pattern
- sub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장치의 화면에 부착되는 화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의 부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보호 필름은 표시 장치의 화면에 특정 패턴이 표시될 때 부착된다. 상기 화면 보호 필름은 메인 필름 및 서브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필름은 상기 표시 장치의 화면에 부착된다. 상기 서브 필름은 상기 메인 필름의 점착면과 다른 면에 임시 부착되고, 상기 특정 패턴과 같은 안내 패턴이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의 부착 방법에 의하면, 서브 필름에 표시되는 안내 패턴을 이용하여 메인 필름을 표시 장치의 화면에 정확하고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의 부착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표시 장치의 화면에 부착되는 화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의 부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PDA 등과 같은 터치스크린 방식의 휴대 기기의 데이터 입출력은 액정화면을 통해 수행된다. 따라서, 액정화면을 흠집,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고, 액정화면의 투명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화면 보호 필름이 액정화면에 부착되어 사용된다. 그리고, 이러한 화면 보호 필름은 터치스크린 방식의 휴대 기기뿐만 아니라 TV, 모니터, 노트북, 전자책, 전자사전 등에도 널리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화면 보호 필름의 부착 과정 중에 액정화면에 기포 및 이물질이 삽입되거나 지문이 묻어있게 될 경우, 화질, 터치 감도 등과 같은 액정화면의 성능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화면 보호 필름을 액정화면의 가장자리 부위부터 부착할 때, 부착 시작점에서 방향성이 조금만 어긋나더라도 화면 보호 필름과 액정화면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즉, 화면 보호 필름을 액정화면에 부착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숙련된 기술을 요구한다. 그러므로, 숙련되지 않은 사용자가 화면 보호 필름을 액정화면에 정확하게 부착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화면 보호 필름이 낭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비교적 고가인 화면 보호 필름을 부착하는데 있어서의 시행착오는 사용자에게 많은 경제적 부담을 가져다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장치의 화면에 정확하고 용이하게 부착하기 위한 화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의 부착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보호 필름은 표시 장치의 화면에 특정 패턴이 표시될 때 부착된다. 상기 화면 보호 필름은 메인 필름 및 서브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필름은 상기 표시 장치의 화면에 부착된다. 상기 서브 필름은 상기 메인 필름의 점착면과 다른 면에 임시 부착되고, 상기 특정 패턴과 같은 안내 패턴이 표시되어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안내 패턴이 상기 서브 필름에 표시되는 위치는 상기 특정 패턴이 상기 표시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위치에 대응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안내 패턴은 적어도 하나의 점 또는 선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화면은 베젤 영역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필름은 상기 베젤 영역을 커버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서브 필름은 상기 메인 필름이 상기 표시 장치의 화면에 부착된 후에 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보호 필름의 부착 방법은 안내 패턴을 서브 필름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서브 필름을 메인 필름의 점착면과 다른 면에 임시 부착하는 단계, 상기 안내 패턴과 같은 패턴을 표시 장치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안내 패턴과 상기 표시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패턴이 일치하도록 상기 메인 필름을 상기 표시 장치의 화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의 부착 방법에 의하면, 서브 필름에 표시되는 안내 패턴을 이용하여 메인 필름을 표시 장치의 화면에 정확하고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의 적용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보호 필름의 부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보호 필름의 부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의 적용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화면 보호 필름(100)은 메인 필름(110) 및 서브 필름(120)을 포함한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화면 보호 필름(100)은 메인 필름(110)의 점착면을 보호하기 위한 이형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형지는 메인 필름(110)이 표시 장치(200)의 화면(210, 220)에 부착되기 전에 메인 필름(110)의 점착면으로부터 탈착될 것이다.
메인 필름(110)은 표시 장치(200)의 화면(210, 220)에 부착되고, 투명 또는 반투명 필름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메인 필름(110)은 PE(Poly-Ethylene),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P(Poly-Prophylene), PVC(Poly Vinyl Chloride) 등의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메인 필름(110)은 점착층,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 코팅층들 등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필름(110)은 표시 장치(200)의 화면(210, 220)과 일치하는 크기 및 모양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메인 필름(110)은 표시 장치(200)의 화면(210, 220) 중 표시 영역(210)뿐만 아니라 베젤 영역(220)까지 커버한다.
서브 필름(120)은 메인 필름(110)을 부착하기 위한 보조 수단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서브 필름(120)은 메인 필름(110)의 점착면과 다른 면에 임시 부착된다. 즉, 메인 필름(110)이 표시 장치(200)의 화면(210, 220)에 부착된 후에, 서브 필름(120)은 메인 필름(110)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서브 필름(120)도 메인 필름(110)과 같이 투명 또는 반투명 필름으로 구성된다. 서브 필름(120)은 메인 필름(110) 부착시에 손잡이 부분을 제공하기 위해 메인 필름(110)보다 더 큰 면적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서브 필름(120)은 안내 패턴(121)을 포함한다. 안내 패턴(121)은 서브 필름(120)의 표면 또는 내부 코팅층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안내 패턴(121)은 메인 필름(120) 부착시에 기준을 제공한다. 이때, 안내 패턴(121)과 같은 패턴(이하, “화면 표시 패턴”이라고 칭함, 211)이 메인 필름(120)이 부착되는 표시 장치(200)의 화면(210, 220) 중 표시 영역(210)에 표시되는 것을 전제한다.
화면 표시 패턴(211)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는 인터넷, 무선랜 등과 같은 유무선 통신 수단, USB, CD-ROM 등과 같은 이동형 저장매체 등을 통해 표시 장치(200)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직접 표시 장치(200)에서 제공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화면 표시 패턴(211)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안내 패턴(121)과 화면 표시 패턴(211)을 이용하는 경우, 즉, 안내 패턴(121)과 화면 표시 패턴(211)이 일치하도록 메인 필름(110)을 표시 장치(200)의 화면(210, 220)에 부착하는 경우, 메인 필름(110)을 표시 장치(200)의 화면(210, 220) 중앙부터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필름(110)을 표시 장치(200)의 화면(210, 220) 가장자리 부위부터 부착할 때에 비해 안내 패턴(121)이 제공하는 기준에 따라 표시 장치(200)의 화면(210, 220) 중앙부터 부착할 때에, 부착의 정확도 및 용이성을 높일 수 있다.
비록 도면에는 안내 패턴(121)과 화면 표시 패턴(211)으로서 서로 교차하는 두 개의 직선이 도시되었으나, 안내 패턴(121)과 화면 표시 패턴(211)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 패턴(121)과 화면 표시 패턴(211)은 격자무늬, 여러 가지 도형, 로고(logo), 문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안내 패턴(121)이 서브 필름(120)에 표시되는 위치는 화면 표시 패턴(211)이 표시 장치(200)의 화면(210, 220) 중 표시 영역(210)에 표시되는 위치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안내 패턴(121)이 서브 필름(120)의 중앙에 표시되면, 화면 표시 패턴(211)이 표시 장치(200)의 화면(210, 220) 중 표시 영역(210)의 중앙에 표시된다.
도면에는 표시 장치(200)로서 스마트폰이 도시되나, 표시 장치(2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PDA 등과 같은 터치스크린 방식의 휴대 기기뿐만 아니라 TV, 모니터, 노트북, 전자책, 전자사전 등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보호 필름의 부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S110에서, 안내 패턴(121)이 서브 필름(120)에 표시된다.
단계 S120에서, 서브 필름(120)이 메인 필름(110)의 점착면과 다른 면에 임시 부착된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필름(110)이 표시 장치(200)의 화면(210, 220)에 부착된 후에, 서브 필름(120)은 메인 필름(110)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단계 S110과 단계 S120의 시간적 선후 관계는 서로 바뀔 수 있다.
단계 S130에서, 안내 패턴(121)과 같은 화면 표시 패턴(211)이 표시 장치(200)의 화면(210, 220) 중 표시 영역(210)에 표시된다.
단계 S140에서, 안내 패턴(121)과 화면 표시 패턴(211)이 일치하도록 메인 필름(110)이 표시 장치(200)의 화면(210, 220)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범위 또는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구조가 다양하게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음은 이 분야에 숙련된 자들에게 자명하다. 상술한 내용을 고려하여 볼 때, 만약 본 발명의 수정 및 변경이 아래의 청구항들 및 동등물의 범주 내에 속한다면, 본 발명이 이 발명의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100: 화면 보호 필름 110: 메인 필름
120: 서브 필름 121: 안내 패턴
200: 표시 장치 210: 표시 영역
211: 화면 표시 패턴 220: 배젤 영역
120: 서브 필름 121: 안내 패턴
200: 표시 장치 210: 표시 영역
211: 화면 표시 패턴 220: 배젤 영역
Claims (6)
- 표시 장치의 화면에 특정 패턴이 표시될 때 부착하기 위한 화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화면에 부착되는 메인 필름; 및
상기 메인 필름의 점착면과 다른 면에 임시 부착되고, 상기 특정 패턴과 같은 안내 패턴이 표시되어 있는 서브 필름을 포함하는 화면 보호 필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패턴이 상기 서브 필름에 표시되는 위치는 상기 특정 패턴이 상기 표시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화면 보호 필름.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패턴은 적어도 하나의 점 또는 선을 포함하는 화면 보호 필름.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화면은 베젤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필름은 상기 베젤 영역을 커버하는 화면 보호 필름.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필름은 상기 메인 필름이 상기 표시 장치의 화면에 부착된 후에 탈착되는 화면 보호 필름. - 화면 보호 필름의 부착 방법에 있어서:
안내 패턴을 서브 필름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서브 필름을 메인 필름의 점착면과 다른 면에 임시 부착하는 단계;
상기 안내 패턴과 같은 패턴을 표시 장치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안내 패턴과 상기 표시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패턴이 일치하도록 상기 메인 필름을 상기 표시 장치의 화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면 보호 필름의 부착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2960A KR20120081701A (ko) | 2011-01-12 | 2011-01-12 | 화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의 부착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2960A KR20120081701A (ko) | 2011-01-12 | 2011-01-12 | 화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의 부착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81701A true KR20120081701A (ko) | 2012-07-20 |
Family
ID=46713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02960A KR20120081701A (ko) | 2011-01-12 | 2011-01-12 | 화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의 부착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81701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032058A1 (ko) * | 2014-08-25 | 2016-03-03 | (주)제니엘맥 | 표시장치용 보호필름 구조체 |
KR101634169B1 (ko) * | 2015-08-28 | 2016-06-28 | 주식회사 테슬라앤코 | 액정보호필름 부착방법 |
KR102224540B1 (ko) | 2020-03-11 | 2021-03-09 | 여인현 | 휴대단말기용 보호필름 패키지 및 이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방법 |
-
2011
- 2011-01-12 KR KR1020110002960A patent/KR2012008170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032058A1 (ko) * | 2014-08-25 | 2016-03-03 | (주)제니엘맥 | 표시장치용 보호필름 구조체 |
KR101634169B1 (ko) * | 2015-08-28 | 2016-06-28 | 주식회사 테슬라앤코 | 액정보호필름 부착방법 |
KR102224540B1 (ko) | 2020-03-11 | 2021-03-09 | 여인현 | 휴대단말기용 보호필름 패키지 및 이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16766B1 (ko) | 곡면 표시 영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CN105551383B (zh) | 曲面显示器以及包括该曲面显示器的可移动电子设备 | |
CN105679189B (zh) | 可折叠显示装置 | |
US9874967B2 (en) | Touch-panel display device | |
EP2993874B1 (en) | Curved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150001663U (ko) | 모바일 기기용 화면 보호판 | |
KR101635197B1 (ko) | 곡면 표시 영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전자 장치 | |
US8960982B2 (en) |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display unit | |
KR102133261B1 (ko) | 곡면 표시 영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US8907231B2 (en) | Display arrangement | |
US10120472B2 (en) | Touch display panel | |
KR102049909B1 (ko) | 영상 표시 장치 | |
CN104025170A (zh) | 耐碰撞的交互式设备结构 | |
US20150234434A1 (en) | Touch display device | |
JP6862554B2 (ja) | 表示装置アセンブリ、電子機器、およびそれらの組み立て方法 | |
CN203854878U (zh) | 平板电子设备贴膜装置及平板电子设备的保护贴膜 | |
KR20120081701A (ko) | 화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의 부착 방법 | |
US20150234511A1 (en) | Touch display device | |
CN103345316A (zh) | 具有触控功能的电子装置 | |
KR20120101763A (ko) |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 | |
KR101656429B1 (ko) | 디스플레이 패널 보호용 윈도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패널 | |
KR20160027944A (ko) | 곡면 표시 영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US10061451B2 (en) | Touch panel assembly for a communication device | |
US20170108896A1 (en) | Screen cover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 |
KR20140137939A (ko) | 터치 패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