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4169B1 - 액정보호필름 부착방법 - Google Patents

액정보호필름 부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4169B1
KR101634169B1 KR1020150122043A KR20150122043A KR101634169B1 KR 101634169 B1 KR101634169 B1 KR 101634169B1 KR 1020150122043 A KR1020150122043 A KR 1020150122043A KR 20150122043 A KR20150122043 A KR 20150122043A KR 101634169 B1 KR101634169 B1 KR 101634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shape
guide
reference shape
releas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헌
김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슬라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슬라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슬라앤코
Priority to KR1020150122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1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액정보호필름 부착방법은,
기준형상이 인쇄된 상측 이형커버가 상면에 부착되고, 하측 이형커버가 하면에 부착된 액정보호필름을 준비하는 제1단계; 스마트기기의 액정화면에 안내형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단계; 상기 상측 이형커버 및 상기 하측 이형커버가 부착된 액정보호필름을, 상기 액정보호필름이 정확하게 부착될, 상기 액정화면 위에 위치시키는 제3단계; 상기 안내형상을 드래그하여 상기 기준형상에 일치시키는 제4단계; 상기 안내형상이 상기 기준형상에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형상을 캡처하는 제5단계; 상기 하측 이형커버를 떼어내고, 상기 기준형상과 상기 캡처된 안내형상이 일치되게 상기 액정보호필름을 부착하는 제6단계; 및 상기 상측 이형커버를 떼어내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정보호필름 부착방법{METHOD FOR ATTACHING PROTECTIVE FILM ON LIQUID CRYSTAL SCREEN}
본 발명은 액정보호필름 부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보호필름은 스마트기기(스마트폰, 태블릿PC)의 액정화면에 부착되어 액정화면을 보호한다.
액정보호필름은 액정화면에 부착되는 필름, 필름의 하면에 도포된 점착제로 구성된다. 필름의 상면에는 상측 이형커버가 부착되고, 필름의 하면에는 하측 이형커버가 부착된다.
액정보호필름이 액정화면에 부착될 때, 스마트기기의 전면 카메라 렌즈, 스피커, 홈버튼이 노출될 수 있도록, 액정보호필름에는 전면 카메라 렌즈, 스피커, 홈버튼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이 구비된다.
액정보호필름을 액정화면에 부착하려면 하측 이형커버를 먼저 떼어내야 한다.
액정보호필름을 액정화면에 부착할 때, 액정보호필름의 위치가 조금만 틀어져도, 전면 카메라 렌즈, 스피커, 홈버튼이 액정보호필름의 구멍 바깥으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액정화면에서 필름을 다시 떼어내고 부착해야 한다. 이렇게 필름을 떼어내고 부착하는 과정이 반복되면, 액정화면에 점착제가 묻어 액정화면이 지저분해 지고, 액정화면에 이물질이 달라 붙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한국 등록특허 제10-1462266호는, [액정 보호필름의 상측 이형커버에 인쇄된 기준선과 스마트기기에 디스플레이된 안내선을 일치시키는 것만으로, 액정화면에 액정보호필름을 정확하게 부착할 수 있는 액정보호필름 부착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참고로, 본 출원인은 한국 등록특허 제10-1462266호의 전용실시권자이다.
그러나, 한국 등록특허 제10-1462266호 발명은, 기준선과 안내선을 일치시키기 만 하면 액정보호필름이 정확한 부착 위치에 반드시 가 있어야 하므로, 상측 이형커버에 기준선을 오차 없이 정확하게 인쇄해야만 했다. 이렇게 기준선을 오차 없이 정확하게 인쇄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 제10-1462266호 발명은, 스마트기기의 기종마다 기준선 및 안내선을 따로 만들고 있다. 또한, 스마트기기의 기종마다 서로 다른 안내선 정보를 스마트기기에 저장하고 있다. 이러한 작업이 매우 번거롭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46226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전용실시권자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10-1462266호 발명을 사용하면서 격은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측 이형커버에 기준선이 오차 없이 정확하게 인쇄될 필요가 없고, 스마트기기의 기종마다 기준선 및 안내선을 따로 만들 필요가 없고, 스마트기기의 기종마다 서로 다른 안내선 정보가 스마트기기에 저장되어 있을 필요 없이,
액정보호필름을 액정화면에 정확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액정보호필름 부착방법은,
기준형상이 인쇄된 상측 이형커버가 상면에 부착되고, 하측 이형커버가 하면에 부착된 액정보호필름을 준비하는 제1단계;
스마트기기의 액정화면에 안내형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단계;
상기 상측 이형커버 및 상기 하측 이형커버가 부착된 액정보호필름을, 상기 액정보호필름이 정확하게 부착될, 상기 액정화면 위에 위치시키는 제3단계;
상기 안내형상을 드래그하여 상기 기준형상에 일치시키는 제4단계;
상기 안내형상이 상기 기준형상에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형상을 캡처하는 제5단계;
상기 하측 이형커버를 떼어내고, 상기 기준형상과 상기 캡처된 안내형상이 일치되게 상기 액정보호필름을 부착하는 제6단계; 및
상기 상측 이형커버를 떼어내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은,
기준형상이 인쇄된 스티커가 부착된 상측 이형커버가 상면에 부착되고, 하측 이형커버가 하면에 부착된 액정보호필름을 준비하는 제1단계;
스마트기기의 액정화면에 안내형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단계;
상기 상측 이형커버 및 상기 하측 이형커버가 부착된 액정보호필름을, 상기 액정보호필름이 정확하게 부착될, 상기 액정화면 위에 위치시키는 제3단계;
상기 안내형상을 드래그하여 상기 기준형상에 일치시키는 제4단계;
상기 안내형상이 상기 기준형상에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형상을 캡처하는 제5단계;
상기 하측 이형커버를 떼어내고, 상기 기준형상과 상기 캡처된 안내형상이 일치되게 상기 액정보호필름을 부착하는 제6단계; 및
상기 상측 이형커버를 떼어내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보호필름 부착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금속입자가 함유된 기준형상이 인쇄된 상측 이형커버가 상면에 부착되고, 하측 이형커버가 하면에 부착된 액정보호필름을 준비하는 제1단계;
스마트기기의 액정화면에 안내형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단계;
상기 상측 이형커버 및 상기 하측 이형커버가 부착된 액정보호필름을, 상기 액정보호필름이 정확하게 부착될, 상기 액정화면 위에 위치시키는 제3단계;
상기 금속입자가 터치한 위치를 계산하여 상기 기준형상의 위치를 찾은 후, 상기 안내형상을 상기 기준형상으로 이동시켜, 상기 안내형상과 상기 기준형상을 일치시키는 제4단계;
상기 안내형상이 상기 기준형상에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형상을 캡처하는 제5단계;
상기 하측 이형커버를 떼어내고, 상기 기준형상과 상기 캡처된 안내형상이 일치되게 상기 액정보호필름을 부착하는 제6단계; 및
상기 상측 이형커버를 떼어내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보호필름 부착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금속입자가 함유된 기준형상이 인쇄된 스티커가 부착된 상측 이형커버가 상면에 부착되고, 하측 이형커버가 하면에 부착된 액정보호필름을 준비하는 제1단계;
스마트기기의 액정화면에 안내형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단계;
상기 상측 이형커버 및 상기 하측 이형커버가 부착된 액정보호필름을, 상기 액정보호필름이 정확하게 부착될, 상기 액정화면 위에 위치시키는 제3단계;
상기 금속입자가 터치한 위치를 계산하여 상기 기준형상의 위치를 찾은 후, 상기 안내형상을 상기 기준형상으로 이동시켜, 상기 안내형상과 상기 기준형상을 일치시키는 제4단계;
상기 안내형상이 상기 기준형상에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형상을 캡처하는 제5단계;
상기 하측 이형커버를 떼어내고, 상기 기준형상과 상기 캡처된 안내형상이 일치되게 상기 액정보호필름을 부착하는 제6단계; 및
상기 상측 이형커버를 떼어내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보호필름 부착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을 사용하면, 한국 등록특허 제10-1462266호와 달리, 상측 이형커버에 기준선이 오차 없이 정확하게 인쇄될 필요가 없다. 또한, 스마트기기의 기종마다 기준선 및 안내선을 따로 만들 필요가 없다. 또한, 스마트기기의 기종마다 서로 다른 안내선 정보가 스마트기기에 저장되어 있을 필요도 없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액정화면 위에서 액정보호필름을 반복적으로 이동시켜, 액정화면에 액정보호필름이 정확하게 부착될 위치를 찾아낸다. 액정보호필름의 하면에 하측 이형커버가 부착된 상태에서 위치를 찾아내므로, 액정보호필름이 부착될 위치를 찾는 동안에, 액정화면에 점착제가 묻지 않는다. 따라서, 액정화면이 지저분해 지고, 액정화면에 이물질이 달라 붙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액정보호필름이 부착될 정확한 위치를 찾은 후에, 액정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안내형상을 사용자가 드래그하거나, 스마트기기가 안내형상을 자동으로 이동시켜, 안내형상을 액정보호필름에 인쇄된 기준형상과 일치시킨다. 안내형상은 기준형상과 일치된 상태에서 캡처 된다. 그런 다음, 하측 이형커버를 떼어내고, 기준형상을 캡처된 안내형상과 일치시키면서, 액정화면에 액정보호필름을 부착하면, 액정보호필름은 정확한 위치에 부착된다.
본 발명에서, 기준형상이 상측 이형커버가 아닌 스티커에 인쇄되면, 기존에 판매되고 있는 액정보호필름에 부착된 상측 이형커버에, 스티커를 부착하여, 본 발명을 즉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보호필름 부착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액정화면에 안내형상이 디스플레이된 스마트기기와, 기준형상이 인쇄된 상측 이형커버가 상면에 부착된 액정보호필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액정보호필름, 상측 이형커버, 하측 이형커버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상측 이형커버 및 상기 하측 이형커버가 부착된 액정보호필름을, 액정보호필름이 정확하게 부착될, 상기 액정화면 위에 위치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안내형상을 드래그하여 기준형상에 일치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안내형상과 기준형상이 일치된 상태에서, 홈버튼을 눌러서 안내형상을 캡처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하측 이형커버를 떼어낸 후, 안내형상과 기준형상을 일치시키면서, 액정화면에 액정보호필름을 부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액정보호필름이 부착된 상태에서, 상측 이형커버를 떼어내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액정보호필름, 상측 이형커버, 하측 이형커버, 스티커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보호필름 부착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금속입자가 함유된 기준형상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11(a)는 금속입자가 함유된 기준형상이 상측 이형커버에 인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b)는 금속입자가 함유된 기준형상이 스티커에 인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기준형상과 안내형상이 일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2(a)는 안내형상이 기준형상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b)는 안내형상과 기준형상이 일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보호필름 부착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보호필름 부착방법은,
기준형상이 인쇄된 상측 이형커버가 상면에 부착되고, 하측 이형커버가 하면에 부착된 액정보호필름을 준비하는 제1단계(S11);
스마트기기의 액정화면에 안내형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단계(S12);
상기 상측 이형커버 및 상기 하측 이형커버가 부착된 액정보호필름을, 상기 액정보호필름이 정확하게 부착될, 상기 액정화면 위에 위치시키는 제3단계(S13);
상기 안내형상을 드래그하여 상기 기준형상에 일치시키는 제4단계(S14);
상기 안내형상이 상기 기준형상에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형상을 캡처하는 제5단계(S15);
상기 하측 이형커버를 떼어내고, 상기 기준형상과 상기 캡처된 안내형상이 일치되게 상기 액정보호필름을 부착하는 제6단계(S16);
상기 상측 이형커버를 떼어내는 제7단계(S17);로 구성된다.
제1단계(S11)를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기기(10)의 기종에 맞는 액정보호필름(20)을 준비한다. 액정보호필름(20)은 액정화면(11)에 부착되는 필름(21), 필름(21)의 하면에 도포된 점착제(22)로 구성된다. 필름(21)은 PET 필름 또는 강화유리로 만들어진다.
액정보호필름(20)에는 카메라 렌즈(12), 스피커(13), 홈버튼(14)이 노출될 수 있는 구멍(23,24,25)이 구비된다.
액정보호필름(20)의 상면에 상측 이형 커버(30)가 부착된다.
상측 이형커버(30)에는 기준형상(SS)이 인쇄된다.
본 실시예에서 기준형상(SS)은 "LOGO" 라는 글자이다. 물론, 기준형상(SS)으로 글자 외에, 도형, 선 등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기준형상(SS)은 상측 이형커버(30)의 중앙에 인쇄된다.
액정보호필름(20)의 하면에 하측 이형커버(40)가 부착된다.
제2단계(S12)를 설명한다.
스마트기기(10)의 액정화면(11)에 안내형상(GS)을 디스플레이 해주는 앱을 설치한다. 앱을 실행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기기(10)에 안내형상(GS)이 디스플레이 된다.
제3단계(S13)를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기기(10)의 액정화면(11) 위에 하측 이형커버(40)가 부착된 액정보호필름(20)을 위치시킨다.
사용자는 액정화면(11) 위에서 액정보호필름(20)을 반복적으로 이동시켜, 액정화면(11)에 액정보호필름(20)이 정확하게 부착될 위치를 찾아낸다. 이때, 하측 이형커버(40)가 액정보호필름(20)의 하면에 부착된 상태이므로, 액정화면(11)에 점착제(22)가 묻지 않는다.
액정화면(11)에 액정보호필름(20)이 정확하게 부착되는 위치는, 액정보호필름(20)에 뚫려 있는 카메라 렌즈(12), 스피커(13), 홈버튼(14)이 노출될 수 있는 구멍(23,24,25)에, 카메라 렌즈(12), 스피커(13), 홈버튼(14)을 맞춤으로써, 쉽게 찾아낼 수 있다.
액정보호필름(20)이 정확하게 부착될 위치를 찾은 후, 액정화면(11) 위에 액정보호필름(20)을 그대로 올려놓는다.
제4단계(S14)를 설명한다.
액정화면(11) 위에 액정보호필름(20)을 올려놓으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형상(SS)과 안내형상(GS)이 불일치된다. 그 이유는, 스마트기기(10)의 기종에 상관없이, 일괄적으로 액정화면(11)의 중앙에 안내형상(GS)을 출력시키고 상측 이형커버(30)의 중앙에 기준형상(SS)을 일괄적으로 인쇄하였기 때문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안내형상(GS)을 드래그하여, 안내형상(GS)을 기준형상(GS)에 맞춘다.
제5단계(S15)를 설명한다.
안내형상(GS)이 기준형상(SS)과 일치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버튼(14)을 눌러 안내형상(GS)을 캡처한다.
제6단계(S16)를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이형커버(40)를 떼어낸다. 점선 화살표는 하측 이형커버(40)를 떼어내는 방향을 나타낸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형상(SS)이 캡처된 안내형상(GS)과 일치되게, 액정화면(11)에 액정보호필름(20)을 부착한다.
제7단계(S17)를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형상(GS)이 인쇄된 상측 이형커버(30)를 떼어낸다. 점선 화살표는 상측 이형커버(30)를 떼어내는 방향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1단계(S11) 내지 제7단계(S17)를 거쳐, 액정보호필름(20)이 액정화면(11)에 정확하게 부착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이형커버(40)가 아닌 별도의 스티커(50)에 기준형상(SS)을 인쇄할 수도 있다. 스티커(50)는 상측 이형커버(40)의 상면에 부착된다.
스티커(50)에 기준형상(SS)을 인쇄하면, 상측 이형커버(40)에 기준형상(SS)을 인쇄할 필요 없이, 기준형상(SS)이 인쇄된 스티커(50)를 상측 이형커버(40)의 상면에 부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보호필름 부착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보호필름 부착방법은,
금속입자가 함유된 기준형상이 인쇄된 상측 이형커버가 상면에 부착되고, 하측 이형커버가 하면에 부착된 액정보호필름을 준비하는 제1단계(S21);
스마트기기의 액정화면에 안내형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단계(S22);
상기 상측 이형커버 및 상기 하측 이형커버가 부착된 액정보호필름을, 상기 액정보호필름이 정확하게 부착될, 상기 액정화면 위에 위치시키는 제3단계(S23);
상기 금속입자가 터치한 위치를 계산하여 상기 기준형상의 위치를 찾은 후, 상기 안내형상을 상기 기준형상으로 이동시켜, 상기 안내형상과 상기 기준형상을 일치시키는 제4단계(S24);
상기 안내형상이 상기 기준형상에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형상을 캡처하는 제5단계(S25);
상기 하측 이형커버를 떼어내고, 상기 기준형상과 상기 캡처된 안내형상이 일치되게 상기 액정보호필름을 부착하는 제6단계(S26);
상기 상측 이형커버를 떼어내는 제7단계(S27);로 구성된다.
제1단계(S21)를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입자가 함유된 기준형상(SS)이 상측 이형커버(30)에 인쇄된다. 기준형상(SS)에 금속입자 함유되어 있음을 표현하려고, "LOGO"를 진하게 나타내었다.
기준형상(SS)에 금속입자가 함유된 이유는 액정화면(11)에 액정보호필름(20)이 부착될 때, 기준형상(SS)이 액정화면(11)을 터치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입자가 함유된 기준형상(SS)이 스티커(50)에 인쇄될 수도 있다. 스티커(50)에 기준형상(SS)이 인쇄되면 좋은 점은 전술하였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단계(S22) 및 제3단계(S2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보호필름 부착의 제2단계(S12) 및 제3단계(S13)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4단계(S24)를 설명한다.
금속입자가 액정화면(11)을 터치한다. 스마트기기(10)는 금속입자가 터치한 위치를 계산하여, 기준형상(SS)의 위치를 찾는다.
스마트기기(10)는 도 12(a) 및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형상(GS)을 기준형상(SS)으로 이동시켜, 안내형상(GS)과 기준형상(SS)을 일치시킨다. 따라서, 사용자가 안내형상(GS)을 드래그하여 기준형상(SS)과 일치시킬 필요가 없다. 도 12(a)에 도시된 점선 화살표는 안내형상(GS)이 기준형상(SS)으로 이동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제5단계(S25) 내지 제7단계(S27)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보호필름 부착의 제5단계(S15) 내지 제7단계(S17)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1단계(S21) 내지 제7단계(S27)를 거쳐, 액정보호필름(20)이 액정화면(11)에 정확하게 부착된다.
10: 스마트기기 11: 액정화면
20: 액정보호필름 30: 상측 이형필름
40: 하측 이형필름 50: 스티커
SS: 기준형상 GS: 안내형상

Claims (5)

  1. 기준형상이 인쇄된 상측 이형커버가 상면에 부착되고, 하측 이형커버가 하면에 부착된 액정보호필름을 준비하는 제1단계;
    스마트기기의 액정화면에 안내형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단계;
    상기 상측 이형커버 및 상기 하측 이형커버가 부착된 액정보호필름을, 상기 액정보호필름이 정확하게 부착될, 상기 액정화면 위에 위치시키는 제3단계;
    상기 안내형상을 드래그하여 상기 기준형상에 일치시키는 제4단계;
    상기 안내형상이 상기 기준형상에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형상을 캡처하는 제5단계;
    상기 하측 이형커버를 떼어내고, 상기 기준형상과 상기 캡처된 안내형상이 일치되게 상기 액정보호필름을 부착하는 제6단계; 및
    상기 상측 이형커버를 떼어내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보호필름 부착방법.
  2. 기준형상이 인쇄된 스티커가 부착된 상측 이형커버가 상면에 부착되고, 하측 이형커버가 하면에 부착된 액정보호필름을 준비하는 제1단계;
    스마트기기의 액정화면에 안내형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단계;
    상기 상측 이형커버 및 상기 하측 이형커버가 부착된 액정보호필름을, 상기 액정보호필름이 정확하게 부착될, 상기 액정화면 위에 위치시키는 제3단계;
    상기 안내형상을 드래그하여 상기 기준형상에 일치시키는 제4단계;
    상기 안내형상이 상기 기준형상에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형상을 캡처하는 제5단계;
    상기 하측 이형커버를 떼어내고, 상기 기준형상과 상기 캡처된 안내형상이 일치되게 상기 액정보호필름을 부착하는 제6단계; 및
    상기 상측 이형커버를 떼어내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보호필름 부착방법.
  3. 금속입자가 함유된 기준형상이 인쇄된 상측 이형커버가 상면에 부착되고, 하측 이형커버가 하면에 부착된 액정보호필름을 준비하는 제1단계;
    스마트기기의 액정화면에 안내형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단계;
    상기 상측 이형커버 및 상기 하측 이형커버가 부착된 액정보호필름을, 상기 액정보호필름이 정확하게 부착될, 상기 액정화면 위에 위치시키는 제3단계;
    상기 금속입자가 터치한 위치를 계산하여 상기 기준형상의 위치를 찾은 후, 상기 안내형상을 상기 기준형상으로 이동시켜, 상기 안내형상과 상기 기준형상을 일치시키는 제4단계;
    상기 안내형상이 상기 기준형상에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형상을 캡처하는 제5단계;
    상기 하측 이형커버를 떼어내고, 상기 기준형상과 상기 캡처된 안내형상이 일치되게 상기 액정보호필름을 부착하는 제6단계; 및
    상기 상측 이형커버를 떼어내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보호필름 부착방법.
  4. 금속입자가 함유된 기준형상이 인쇄된 스티커가 부착된 상측 이형커버가 상면에 부착되고, 하측 이형커버가 하면에 부착된 액정보호필름을 준비하는 제1단계;
    스마트기기의 액정화면에 안내형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단계;
    상기 상측 이형커버 및 상기 하측 이형커버가 부착된 액정보호필름을, 상기 액정보호필름이 정확하게 부착될, 상기 액정화면 위에 위치시키는 제3단계;
    상기 금속입자가 터치한 위치를 계산하여 상기 기준형상의 위치를 찾은 후, 상기 안내형상을 상기 기준형상으로 이동시켜, 상기 안내형상과 상기 기준형상을 일치시키는 제4단계;
    상기 안내형상이 상기 기준형상에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형상을 캡처하는 제5단계;
    상기 하측 이형커버를 떼어내고, 상기 기준형상과 상기 캡처된 안내형상이 일치되게 상기 액정보호필름을 부착하는 제6단계; 및
    상기 상측 이형커버를 떼어내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보호필름 부착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형상 또는 상기 안내형상은, 글자, 도형, 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보호필름 부착방법.
KR1020150122043A 2015-08-28 2015-08-28 액정보호필름 부착방법 KR101634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043A KR101634169B1 (ko) 2015-08-28 2015-08-28 액정보호필름 부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043A KR101634169B1 (ko) 2015-08-28 2015-08-28 액정보호필름 부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4169B1 true KR101634169B1 (ko) 2016-06-28

Family

ID=56366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043A KR101634169B1 (ko) 2015-08-28 2015-08-28 액정보호필름 부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416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478B1 (ko) 2018-10-18 2019-04-16 주식회사 위너솔루션 휴대폰의 3d 디스플레이 화면 보호용 보호필름의 제조 및 부착방법
KR102224540B1 (ko) 2020-03-11 2021-03-09 여인현 휴대단말기용 보호필름 패키지 및 이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방법
CN112968983A (zh) * 2019-12-13 2021-06-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电子设备保护膜的制备方法
KR102347991B1 (ko) 2021-05-17 2022-01-07 주식회사 샘빌 온라인 플랫폼에서의 마케팅 및 상품 노출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적용한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1701A (ko) * 2011-01-12 2012-07-20 이응석 화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의 부착 방법
JP2013161308A (ja) * 2012-02-06 2013-08-19 Ekushiiru Corporation:Kk 電子機器の表示画面用保護シートの位置決め機構
KR101462266B1 (ko) 2012-02-07 2014-11-20 안재원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한 액정 보호필름 부착 방법
JP2015019239A (ja) * 2013-07-11 2015-01-29 日本電気通信システム株式会社 表示画面保護シートセット、表示画面保護シートセットの製造方法および表示画面保護シートの取り付け方法
JP5733446B1 (ja) * 2014-03-26 2015-06-10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保護フィルムの貼付方法、保護フィルムの位置決めシステム、保護フィルム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1701A (ko) * 2011-01-12 2012-07-20 이응석 화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의 부착 방법
JP2013161308A (ja) * 2012-02-06 2013-08-19 Ekushiiru Corporation:Kk 電子機器の表示画面用保護シートの位置決め機構
KR101462266B1 (ko) 2012-02-07 2014-11-20 안재원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한 액정 보호필름 부착 방법
JP2015019239A (ja) * 2013-07-11 2015-01-29 日本電気通信システム株式会社 表示画面保護シートセット、表示画面保護シートセットの製造方法および表示画面保護シートの取り付け方法
JP5733446B1 (ja) * 2014-03-26 2015-06-10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保護フィルムの貼付方法、保護フィルムの位置決めシステム、保護フィルム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478B1 (ko) 2018-10-18 2019-04-16 주식회사 위너솔루션 휴대폰의 3d 디스플레이 화면 보호용 보호필름의 제조 및 부착방법
CN112968983A (zh) * 2019-12-13 2021-06-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电子设备保护膜的制备方法
KR102224540B1 (ko) 2020-03-11 2021-03-09 여인현 휴대단말기용 보호필름 패키지 및 이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방법
KR102347991B1 (ko) 2021-05-17 2022-01-07 주식회사 샘빌 온라인 플랫폼에서의 마케팅 및 상품 노출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적용한 장치
KR20220157284A (ko) 2021-05-17 2022-11-29 주식회사 샘빌 마케팅 및 상품 노출의 정도를 제어하는 시스템
KR20220157283A (ko) 2021-05-17 2022-11-29 주식회사 샘빌 마케팅 온라인 플랫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4169B1 (ko) 액정보호필름 부착방법
JP5890057B1 (ja) モバイル端末機の液晶保護部材付着ケース
KR20160022755A (ko) 모바일 단말기의 보호부재 부착케이스
TWI482553B (zh) Tablet back cover
TWI684514B (zh) 智慧型設備的液晶顯示器保護部件黏貼裝置和黏貼方法
KR101576002B1 (ko) 유색 점착면 보호필름과 절취선을 이용한 휴대폰 액정 보호필름 및 이를 이용한 액정 보호필름 부착방법
KR101234532B1 (ko)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
US9641209B2 (en) Applicator
US20150298838A1 (en) Film sticking device for tablet electronic equipment
JP6090915B2 (ja) 保護フィルムの貼り付け補助具
US20140364178A1 (en) Rigid frame with protective film
KR101510202B1 (ko) 휴대폰 보호필름 구조체
KR101462266B1 (ko)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한 액정 보호필름 부착 방법
WO2015103413A3 (en) Method and system for verifying printed circuit board designs for fabrication and assembly
JP2017007163A (ja) 保護フィルム貼付用治具
KR101341865B1 (ko) 보호필름 부착용 모듈
KR20160098692A (ko) 스마트폰 액정보호필름 가이드지그
EP3046262A1 (en) Protector attatching case for mobile terminal
KR20160144625A (ko) 핸드폰필름부착기
JP7054941B2 (ja) 保護部材取り付け装置及び保護部材取り付け方法
US20200244299A1 (en) Mobile Phone Screen Protective Film
TWM525274U (zh) 可透視之貼片
KR200488417Y1 (ko) 액정보호필름세트
KR101636059B1 (ko) 전자기기용 액세서리
JP7054940B2 (ja) 保護部材取り付け装置及び保護部材取り付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