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1634A - 이동통신방법 및 교환국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방법 및 교환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1634A
KR20120081634A KR1020127016003A KR20127016003A KR20120081634A KR 20120081634 A KR20120081634 A KR 20120081634A KR 1020127016003 A KR1020127016003 A KR 1020127016003A KR 20127016003 A KR20127016003 A KR 20127016003A KR 20120081634 A KR20120081634 A KR 20120081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ocol
signal
bearer
switching station
sgs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6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3815B1 (ko
Inventor
타카시 모리타
이츠마 타나카
카즈키 타키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20081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1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2Manipulation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2Reselecting a serving backbone network switching or routing n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04W80/045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involving different protocol versions, e.g. MIPv4 and MIPv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4Backbone network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구 SGSN의 관리 에어리어로부터 신 SGSN의 관리 에어리어로 이동한 단말(1)로부터, 신 SGSN이 위치 갱신 메시지를 수신하고, 위치 갱신 메시지를 수신한 신 SGSN이, GTPv2에 대응한 통신로 정보를 인계하기 위한 GTPv2 신호를 구 SGSN으로 송신한다. 구 SGSN은, GTPv2 신호 수신시에, 상기 단말(1)용으로 확립한 논리적인 통신로로서 GTPv1의 통신로 정보를 보유하고 있던 경우, GTPv1에 따른 통신로 정보를 설정한 추가 파라미터(24)가 부가된 GTPv2 신호를 신 SGSN에 대해 응답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방법 및 교환국{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EXCHANGE STATION}
본 발명은, 이동 후의 단말을 배하로 하는 신(新)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이 이동 전의 단말을 배하로 하는 구(舊) SGSN으로부터 베어러 정보의 인계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방법 및 패킷 액세스 제어용 교환국에 관한 것이다.
현재 상태의 3GPP 사양에서는, 단말이 Idle시의 SGSN에 걸친 위치 등록 처리에 있어서, Preservation 상태에 있는 베어러를 구 SGSN으로부터 신 SGSN으로 인계하는 처리가 규정되어 있다(비특허문헌 1). 베어러의 종별로서 GPRS 유저용 PDP 컨텍스트와 EPS 유저용 EPS 컨텍스트가 있으며, 각각 GTPv1(GTP 프로토콜, 버전 1) 신호 및 GTPv2(GTP 프로토콜, 버전 2) 신호로만 인계하는 것이 현재 상태의 3GPP 사양으로서 규정되어 있다(비특허문헌 2, 3).
도 8(A) (B)는 구 SGSN으로부터 신 SGSN으로 베어러 정보를 인계하기 위한 수순을 나타내고 있으며, 동일 도 (A)는 제2 프로토콜 신호가 되는 GTPv1 신호를 이용하여 논리적인 통신로 정보인 베어러 정보(PDP 컨텍스트)를 인계하는 경우, 동일 도 (B)는 제1 프로토콜 신호인 GTPv2 신호를 이용하여 베어러 정보(EPS 컨텍스트)를 인계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8(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말(UE)이 Idle시의 SGSN에 걸친 이동으로 인해, 단말(UE)이 신 SGSN으로 위치 갱신 메시지를 송신하면, 신 SGSN이 구 SGSN에 대해 구(舊)측에서 확립하고 있는 GPRS 베어러 정보의 인계를 수행한다. 그 때문에, 신 SGSN은 구 SGSN에 GTPv1 신호를 이용하여 베어러 정보를 요구한다. 구 SGSN은 신 SGSN으로부터 GTPv1 신호 수신시에 현재 확립하고 있는 GPRS 베어러의 베어러 정보를 응답신호로 설정하여 회신한다. 신 SGSN은 구 SGSN으로부터의 응답신호로 설정된 베어러 정보를 기초로 베어러 정보를 인계하고, 베어러 정보(PDP 컨텍스트)를 기초로 하여 신 SGSN과 GGSN과의 사이에 GPRS 베어러를 확립한다.
또, 도 8(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구 SGSN이 S?GW와의 사이에 확립하고 있는 EPS 베어러를 인계하는 경우, 신 SGSN은 구 SGSN에 GTPv2 신호를 이용하여 베어러 정보를 요구한다. 구 SGSN은 신 SGSN으로부터 GTPv2 신호 수신시에 현재 확립하고 있는 EPS 베어러의 베어러 정보(EPS 컨텍스트)를 응답신호로 설정하여 회신한다. 신 SGSN은 응답신호로 설정된 베어러 정보를 기초로 신 SGSN과 S?GW와의 사이에 새로운 EPS 베어러를 확립한다.
그런데, UMTS와 EPS의 상호 운용을 실현하기 위해, UTRAN(W?CDMA/HSPA) 대응 단말을 EPC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SGSN은, GTPv1 신호 및 GTPv2 신호의 양방에 대응하고 있다. 그 때문에, 구 SGSN으로부터 베어러 정보를 인계하는 경우는, 미리 결정된 GTPv1 신호 또는 GTPv2 신호의 어느 것을 이용하여 베어러 정보를 요구한다.
비특허문헌 1:3GPP TS23.060 (version8.7.0) 비특허문헌 2:3GPP TS29.060 (version8.10.0) 비특허문헌 3:3GPP TS29.274 (version8.4.0)
그런데, 현재의 사양에서는, GTPv2 신호에는 EPS 베어러 정보밖에 설정할 수 없으며, GPRS 베어러 정보는 설정할 수 없다. 또, 반대로 GTPv1 신호에는 GPRS 베어러 정보밖에 설정할 수 없으며, EPS 베어러 정보는 설정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구 SGSN이 양방의 프로토콜(GTPv1 및 GTPv2)을 서포트하고 있으며, 구 SGSN에서 보유하는 베어러 정보와 신 SGSN으로부터 수신한 GTP 신호의 버전이 적합하지 않은 경우는, 베어러 정보의 인계를 할 수 없는 사태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면, 도 8(A)에 있어서, 구 SGSN이 GTPv1 및 GTPv2를 서포트하고 있으며, GPRS 유저에 대해 GPRS 베어러를 확립하고 있었던 상황에, 신 SGSN으로부터 GTPv2 신호로 베어러 정보 인계 요구를 수신하면, 구 SGSN은 인계해야 하는 GPRS 베어러 정보를 신호로 설정할 수 없기 때문에 에러를 되돌리고, GPRS 유저에 대한 서비스가 중단되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비특허문헌 3의 7.10장에,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GTPv1만을 서포트하는 구 SGSN이, 신 SGSN으로부터 GTPv2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GTPv1로 폴백(Fallback)하여 다시 트라이하는 규정이 있으나, 구 SGSN이 GTPv1 및 GTPv2의 양방에 대응 가능한 경우에는, 상술한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구 SGSN과 신 SGSN과의 사이에서 확실히 베어러 인계 처리가 수행되고, 서비스 중단 등의 사태를 초래하는 일이 없는 이동통신방법 및 교환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서는, 제1 교환국의 관리 에어리어로부터 제2 교환국의 관리 에어리어로 이동한 단말로부터, 상기 제2 교환국이 위치 갱신 메시지를 수신하는 공정과, 상기 위치 갱신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2 교환국이, 통신로 정보를 인계하기 위한 제1 프로토콜 신호를, 상기 제1 교환국에 대해 송신하는 공정과, 상기 단말용 베어러로서, 상기 제1 교환국 및 외부 IP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GGSN과 상기 제1 교환국과의 사이에 베어러가 확립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 교환국에 대해 상기 제1 프로토콜 신호로 제2 프로토콜로 폴백시키기 위한 에러를 통지하는 공정과, 상기 제1 교환국으로부터 제1 프로토콜 신호로 에러 통지를 받은 상기 제2 교환국이, 프로토콜 종별을 상기 제2 프로토콜로 변경하고, 다시 변경 후의 프로토콜 종별에서 제1 교환국에 대해 통신로 정보를 인계하기 위한 프로토콜 신호를 송신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제1 교환국은 단말용으로 현시점에서 확립하고 있는 논리적인 통신로 프로토콜 종별을 파악하기 때문에, 제2 교환국에 대해 스무스하게 폴백을 촉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 SGSN과 신 SGSN과의 사이에서 확실히 베어러 인계 처리가 수행되고, 서비스 중단 등의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이용되는 GTPv2 신호의 파라미터 구성의 개념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신 SGSN이 구 SGSN으로부터 베어러 인계 수순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베어러 인계에 대응한 시퀀스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 2에 있어서 베어러 인계를 수행하는 수순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의 (A)는 도 5에 도시하는 베어러 인계에 대응한 시퀀스도이며, (B)는 비특허문헌 3에 규정된 베어러 인계 과정에서의 폴백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 2의 베어러 인계 수순의 일부를 변형한 시퀀스도이다.
도 8은 구 SGSN으로부터 신 SGSN으로 베어러 정보를 인계하기 위한 수순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비(非) 서포트 프로토콜 신호에 대한 폴백 기능을 설명하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며, 코어 네트워크부는 주로 패킷 코어부를 도시하고 있다. 이동통신 네트워크는, 이동단말(1)과 무선파를 통해 통신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2)와, 접속 처리나 유저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는 코어 네트워크(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는, 이동단말(1)로서 UMTS/GPRS 대응의 단말 및 LTE 대응의 단말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2)는, 이동단말(1)과 무선통신 가능한 UTRAN(UMTS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또는 GERAN(GSM/EDG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으로 구성되어 있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2)는, 셀마다 설치된 무선기지국(11)과, 복수의 무선기지국(11)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장치(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선기지국(11)은, UMTS에서는 노드 B라 불리지만, BTS(Base Transceiver Station)라 불러도 좋다. 기지국 제어장치(12)는, 복수의 무선기지국(11)을 제어하고, 무선채널의 단말(1)로의 할당이나 전환의 제어를 수행한다. 기지국 제어장치(12)는, 무선 제어 장치(RNC:Radio Network Controller) 또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라고도 불린다.
코어 네트워크(3)는, SGSN(13A?13C), GGSN(14), S?GW(15), P?GW(16), HSS(17)의 기능 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SGSN(13A?13C)은, 패킷 교환 도메인으로 액세스하고 있는 단말(1)의 위치를 파악하고, GGSN(14)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2)와의 사이에서 유저 트래픽의 전송을 제어한다. 또, 패킷 전송 프로토콜에 의해 IP 패킷을 루틴?전송함과 함께, 이동통신에 필요한 모빌리티 관리 및 세션 관리(베어러 제어)를 수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SGSN(13A, 13B)은, S3/S4 인터페이스(GTP 프로토콜, 버전 2)를 구비하고 있다. S3/S4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SGSN은, UMTS와 EPS의 상호 운용을 실현하기 위해 기능 확장된 기능 요소이다. SGSN(13A, 13B)에 구비한 S4 인터페이스가 GTPv2 신호를 이용한 S?GW(15)와의 사이의 세션 관리(EPS 베어러 제어), 유저 패킷의 전송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도 1에서는, GTP 프로토콜, 버전 2를 서포트하고 있는 SGSN(13A, 13B)에 대해 S4?SGSN이라 표기하고 있다. SGSN(13A, 13B)은, Gn/Gp 인터페이스(GTP 프로토콜, 버전 1)도 구비하고 있다. SGSN(13A, 13B)은, UMTS/GPRS 패킷 코어의 GGSN(14)은 GTPv1 신호를 이용하여 접속하고, GPRS 베어러를 확립할 수 있다. SGSN(13C)은, S3/S4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지 않고, Gn/Gp 인터페이스(GTP 프로토콜, 버전 1)만을 구비하는 기능 요소이다. 도 1에서는, GTP 프로토콜, 버전 1만을 서포트하고 있는 SGSN(13C)에 대해 Gn/Gp?SGSN이라 표기하고 있다.
GGSN(14)은, 단말(1)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따라, UMTS/GPRS 패킷 코어와 외부 IP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제어하는 기능 요소이다. GGSN(14)은, SGSN(13C)과 함께 UMTS/GPRS 패킷 코어를 구성하고 있다.
S?GW(15)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2)와 EPC와의 사이의 U 플레인을 접속하고, 유저 패킷의 루틴?전송 기능을 제공한다. 단말(1)은 SGSN(13A, 13B)이 S?GW(15)와의 사이에 확립한 EPS 베어러를 경유하여 IP 패킷을 전송한다. P?GW(16)는, 외부 IP 네트워크와의 접속점의 역할을 수행하고, 유저 패킷을 외부 IP 네트워크와의 사이에서 전송한다. EPC 네트워크는, S4?SGSN(13A, 13B), S?GW(15), P?GW(16) 및 도시하고 있지 않은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등의 기능 요소로 구성된다. HSS(17)는,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는 가입자 서버이다. HSS(17)에 등록되는 가입자 정보는 유저 ID로 검색 가능하고, 베어러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용되는 GTPv2 신호의 파라미터 구성의 개념도이다. 동일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 ID(20), 프로토콜 종별(21), 신호명(22), 기존 파라미터(23) 및 추가 파라미터(2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유저 ID(20)는 위치 갱신 메시지를 통지해 온 단말(1)의 유저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프로토콜 종별(21)에는 'GTPv1' 또는 'GTPv2'가 설정된다. 신호명(22)에는 베어러 정보를 요구하는 경우에 'Context Request'가 설정되고, 베어러 정보를 되돌리는 경우에는 'Context Response'가 설정된다. 기존 파라미터(23)는, 프로토콜 종별(21)로 설정된 'GTPv2'로서 현재의 사양에서 규정되어 있는 각종 파라미터 A, B, …가 설정된다. 기존 파라미터(23)에는, GTPv2의 파라미터로서 EPS 베어러 정보(23a)를 설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추가 파라미터(24)에는 GTPv2 이외의 프로토콜인 GTPv1로 취급되는 GPRS 베어러 정보(PDP Context)가 설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GTPv2 신호의 파라미터 구성은, 신호명(22)='Context Response'이기 때문에, 프로토콜 종별이 다른 베어러 정보를 설정하는 추가 파라미터(24)가 부가되어 있으나, 베어러 정보를 요구하는 'Context Request'에는 추가 파라미터(24)에 부가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GTPv2의 파라미터 구성에, 프로토콜 버전이 다른 GTPv1로 취급되는 GPRS 베어러 정보(PDP Context)를 추가 파라미터(24)로서 마련하고 있다. 이로 인해, GTPv2 신호에 대해 프로토콜 버전이 다른 베어러 정보(GPRS 베어러 정보)를 설정 가능하게 되었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신 SGSN이 구 SGSN으로부터 베어러 인계를 수행하는 수순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베어러 인계에 대응한 시퀀스이다. 도 3에 있어서의 신 SGSN은 도 1에 도시하는 일방의 S4?SGSN(13A)이며, 구 SGSN은 도 1에 도시하는 또 다른 일방의 S4?SGSN(13B)인 것으로 설명한다. 즉, 구 SGSN(13B)과 신 SGSN(13A)은, 모두 GTPv1에도 GTPv2에도 대응하고 있는 SGSN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미 제1 교환국이 되는 구 SGSN(13B)은 패킷 교환 도메인으로 액세스하고 있는 단말(1)의 유저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 상에서 패킷 전송하기 위한 베어러로서 GGSN(14)과의 사이에 GPRS 베어러를 확립하고 있다. 단말(1)이 Idle 상태에서 유저 데이터가 발생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GPRS 베어러를 유지한 채 무선 리소스를 해방한 Preservation 상태에 있는 것으로 한다(S1).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reservation 상태에 있어서, 단말(1)이 구 SGSN(13B)의 관리 에어리어로부터 제2 교환국이 되는 신 SGSN(13A)의 관리 에어리어로 이동했을 때에(S2), 단말(1)은 이동처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2)의 경유로 신 SGSN(13A)으로 위치 갱신 메시지를 통지한다(S3). 신 SGSN(13A)은 단말(1)로부터 위치 갱신 메시지를 수취하면, 구 SGSN(13B)에 대해 베어러 정보 요구를 GTPv2 신호로 송신한다(S11). 이때, 신 SGSN(13A)은, 베어러 정보 요구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토콜로서 일률적으로 GTPv2 신호를 이용하게 된다.
구 SGSN(13B)은, 베어러 정보 요구(GTPv2)를 수취한 시점에서, GPRS 베어러가 확립하고 있다. 즉, 구 SGSN(13B)에서 보유하는 베어러 정보가 GTPv1에 따른 GPRS 베어러인 것에 반해, 베어러 정보 요구의 프로토콜이 GTPv2이며 적합하지 않다. 상술한 비특허문헌 2의 사양 그대로는, GTPv2 신호의 EPS 베어러 정보(23a)에 다른 프로토콜의 GPRS 베어러 정보를 설정할 수 없기 때문에 에러를 되돌리고 있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GTPv2 신호의 파라미터 구성(도 2) 중에 다른 프로토콜의 GPRS 베어러 정보를 설정 가능한 추가 파라미터(24)를 마련하고 있으며, 이 시점에서 에러는 되돌리지 않는 것으로 하고 있다. 즉, 구 SGSN(13B)은, 신 SGSN(13A)으로부터 GTPv2 신호를 이용하여 베어러 정보 요구를 수취하면, GTPv2 신호의 프로토콜 종별(21)로부터 프로토콜 종별을 판단한다(S12). 프로토콜 종별이 GTPv2라면, 상기한 전제조건으로부터 구 SGSN(13B)은 GTPv2를 서포트하고 있기 때문에, 처리 계속이라고 판단한다(S13).
처리 계속이라고 판단한 구 SGSN(13B)은, GTPv2 신호의 유저 ID(20)로부터 단말 유저를 식별하고, 해당 SGSN(13B)의 데이터베이스에 보유하고 있는 가입자 정보로부터 해당 단말 유저에 대해 현재 확립하고 있는 베어러 정보를 검색하여 베어러 정보를 취득하고(S14), 베어러 정보 종별을 판정한다(S15). 즉, 해당 유저의 단말(1)에 대해 현재 확립하고 있는 베어러가 GPRS 베어러인지 EPS 베어러인지 판단한다. 상기 전제로부터, GPRS 베어러라고 판단할 수 있다. 검색된 현재 확립중인 베어러 정보가 다른 프로토콜의 GPRS 베어러 정보라면, 에러를 되돌리지 않고 해당 GPRS 베어러 정보를, GTPv2 신호의 파라미터 구성중의 추가 파라미터(24)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추가 파라미터(24)에 GPRS 베어러 정보가 설정된 GTPv2 신호가 응답으로서 신 SGSN(13A)으로 송신된다(S16).
신 SGSN(13A)은, 구 SGSN(13B)으로부터 통지된 GTPv2 신호로부터 베어러 정보를 취출한다. 이때,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GTPv2 신호의 추가 파라미터(24)에 PDP Context가 설정되어 있으면, 해당 PDP Context에 따라서 GTPv1에 의해 GGSN(14)과의 사이에 단말(1)을 위한 GPRS 베어러를 확립한다(S17). 그리고, 단말(1)에 대해 OK를 되돌린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는, GTPv2 신호에 다른 프로토콜의 GPRS 베어러의 파라미터를 추가 가능하게 구성하고, GTPv2 신호에서 베어러 정보의 인계 요구를 받은 구 SGSN이 GTP 신호 수신시에 확립하고 있는 베어러와 GTP 신호가 적합하지 않은 경우는 GTPv2 신호의 추가 파라미터(24)에 보유하고 있는 베어러 정보를 설정하도록 했다. 그 결과, 구 SGSN에 있어서 GTP 신호 수신시에 확립하고 있는 베어러와 GTP 신호가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 다른 프로토콜로 폴백하는 기능이 기동하기 않아도, 구 SGSN과 신 SGSN과의 사이에서 확실히 베어러 인계 처리가 수행되고, 서비스 중단 등의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동일 구성의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전제로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GTPv2 신호의 파라미터 구성중의 추가 파라미터(24)는 필수가 아니다.
본 실시형태는, 구 SGSN이 GTPv2에 의해 베어러 인계 요구하는 GTPv2 신호 수신시에, 해당 단말 유저에 관해 구 SGSN 내에 보유하고 있는 현재 확립중인 베어러 정보 종별을 판정하고, GTPv2 신호로 베어러 인계 요구를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베어러 종별이 GPRS라면, GTPv2 에러로서 프로토콜을 지정한 'Fallback to GTPv1'을 되돌린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신 SGSN이 구 SGSN으로부터 베어러 인계를 수행하는 수순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6(A)는 도 5에 도시하는 베어러 인계에 대응한 시퀀스이다. 도 5에 있어서의 신 SGSN은 도 1에 도시하는 일방의 S4?SGSN(13A)이며, 구 SGSN은 도 1에 도시하는 또 다른 일방의 S4?SGSN(13B)인 것으로 설명한다. 즉, 구 SGSN(13B)과 신 SGSN(13A)은, 모두 GTPv1에도 GTPv2에도 대응하고 있다.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 신 SGSN(13A)은 단말(1)로부터 위치 갱신 메시지를 수취하면, 구 SGSN(13B)에 대해 GTPv2 신호에서 베어러 정보 요구를 송신한다(S11). 신 SGSN(13A)은, 베어러 정보 요구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토콜로서 일률적으로 GTPv2 신호를 이용한다.
도 6(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말(1)로부터 위치 갱신 메시지를 받은 신 SGSN(13A)이 베어러 정보 요구를 송신하는 상태(S11)로부터, 구 SGSN(13B)이 베어러 정보 종별 판정하는 상태(S15)까지는, 상술한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주로 S15 이후의 수순에 대해 설명한다. 구 SGSN(13B)은, 베어러 정보를 취득하고(S14), 베어러 정보 종별을 판정한 결과(S15), 상기 전제로부터, GPRS 베어러라고 판단할 수 있다. 구 SGSN(13B)은, GTPv1로 폴백하는 것을 명시한 GTPv2 에러 'Fallback to GTPv1'을 신 SGSN(13A)으로 송신한다(S21).
신 SGSN(13A)은, 구 SGSN(13B)으로부터 GTPv2 에러를 수신하면, GTPv2 에러 판정을 실시하고, 에러 내용을 판정한다(S22). 'Fallback to GTPv1'이 에러 내용이기 때문에, 프로토콜을 GTPv2로부터 GTPv1로 폴백하고, GTPv1 신호를 이용하여 베어러 정보 요구를 구 SGSN(13B)으로 송신한다(S23).
이 결과, 구 SGSN(13B)은 GTPv1 신호에 현재 확립하고 있는 GPRS 베어러 정보(PDP Context)를 설정하여 신 SGSN(13A)으로 응답할 수 있게 된다(S24).
도 6(B)에, 비특허문헌 3(3GPP TS29.274 (version8.4.0)의 7.10장)에 규정된 폴백 기능의 시퀀스를 비교예로서 나타낸다. 동일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 SGSN이 베어러 정보 요구를 받고 프로토콜 판정하는 단계까지는 동일하지만, 사양서의 규정에서는, 구 SGSN이 GTPv2에 대응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그 시점에서 에러 송신이라 판단하고, 구 SGSN의 서포트하고 있는 GTPv1 신호로 에러를 되돌리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유연한 대응이 어렵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 2는, 베어러 정보 요구를 받은 구 SGSN이 현재 확립하고 있는 베어러 정보 종별까지 판정하고, 적절한 폴백이 이루어지도록 GTPv2 에러를 되돌리기 때문에, GTPv2 에러를 받은 신 SGSN은 확실히 베어러 정보를 수취할 수 있는 프로토콜로 전환할 수 있으며, 구 SGSN과 신 SGSN과의 사이에서 확실히 베어러 인계 처리가 이루어지고, 서비스 중단 등의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2에서는, 구 SGSN이 베어러 정보 종별을 판정하여 GTPv2 에러에 폴백처의 프로토콜 종별을 설정하고 있으나, GTPv2 에러의 에러 내용을 어떻게 결정하는지는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어러 정보 종별 판정까지(S11?S15)는, 도 6(A)에 도시하는 시퀀스와 동일하나, 에러 내용은 지정하지 않는 GTPv2 에러를 신 SGSN으로 응답하도록 해도 좋다(S31). 신 SGSN은 GTPv2 에러가 되돌아오면, 베어러 정보 요구에 이용하는 프로토콜을 다른 프로토콜인 GTPv1 신호로 폴백하고(S32), GTPv1 신호에서 베어러 정보 요구를 다시 보낸다(S33).
이와 같이 하면, 신 SGSN으로부터 GTPv2 에러를 수신했을 때에 에러 내용을 판정하는 처리를 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 가능하다.
본 출원은, 2009년 12월 24일 출원의 특원 2009?293016에 기초한다. 이 내용은, 전부 여기에 포함시켜 둔다.

Claims (5)

  1. 제1 교환국의 관리 에어리어로부터 제2 교환국의 관리 에어리어로 이동한 단말로부터, 상기 제2 교환국이 위치 갱신 메시지를 수신하는 공정;
    상기 위치 갱신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2 교환국이, 통신로 정보를 인계하기 위한 제1 프로토콜 신호를, 상기 제1 교환국에 대해 송신하는 공정;
    상기 단말용 베어러로서, 상기 제1 교환국 및 외부 IP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GGSN과 상기 제1 교환국과의 사이에 베어러가 확립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 교환국에 대해 상기 제1 프로토콜 신호로 제2 프로토콜로 폴백시키기 위한 에러를 통지하는 공정;
    상기 제1 교환국으로부터 제1 프로토콜 신호로 에러 통지를 받은 상기 제2 교환국이, 프로토콜 종별을 상기 제2 프로토콜로 변경하고, 다시 변경 후의 프로토콜 종별에서 제1 교환국에 대해 통신로 정보를 인계하기 위한 프로토콜 신호를 송신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교환국은, 상기 에러를 통지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GGSN과 상기 제1 교환국과의 사이에 상기 베어러가 확립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 프로토콜로의 폴백을 촉진시키는 것을 에러 내용으로 한 제1 프로토콜 신호를 상기 제2 교환국에 대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교환국은, 상기 에러를 통지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GGSN과 상기 제1 교환국과의 사이에 상기 베어러가 확립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 프로토콜로의 폴백을 촉진시키는 것을 에러 내용으로 한 제1 프로토콜 신호를 상기 제2 교환국에 대해 송신하고,
    상기 제2 교환국은, 상기 제1 교환국으로부터 상기 제2 프로토콜로의 폴백을 촉진시키는 것을 에러 내용으로 한 제1 프로토콜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프로토콜에 대응한 통신로 정보를 인계하기 위한 제2 프로토콜 신호를, 상기 제1 교환국에 대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방법.
  4. 단말이 자국의 관리 에어리어로부터 다른 교환국의 관리 에어리어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다른 교환국에 대해 해당 단말에 관한 통신로 정보의 인계를 수행하는 교환국에 있어서,
    상기 다른 교환국으로부터, 통신로 정보를 인계하기 위한 제1 프로토콜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단말용 베어러로서, 상기 제1 교환국 및 외부 IP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GGSN과 상기 제1 교환국과의 사이에 베어러가 확립되어 있는 경우, 제2 프로토콜로의 폴백을 촉진시키는 것을 에러 내용으로 한 제1 프로토콜 신호를 상기 제2 교환국에 대해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국.
  5. 단말이 다른 교환국의 관리 에어리어로부터 자국의 관리 에어리어로 이동하여 오면, 상기 다른 교환국으로부터 해당 단말에 관한 통신로 정보의 인계를 수행하는 교환국에 있어서,
    통신로 정보를 인계하기 위한 제1 프로토콜 신호를 상기 다른 교환국에 대해 송신하는 공정;
    상기 다른 교환국으로부터 제1 프로토콜 신호로 제2 프로토콜로 폴백시키기 위한 에러가 통지되면, 상기 제2 프로토콜에 대응한 통신로 정보를 인계하기 위한 제2 프로토콜 신호를 상기 다른 교환국에 대해 송신하는 수단;
    상기 다른 교환국으로부터 수신한 제1 또는 제2 프로토콜 신호에, 제1 또는 제2 프로토콜에 의한 통신로 정보가 각각 설정되어 있으면, 해당 프로토콜에 의한 통신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단말의 통신로를 인계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국.
KR1020127016003A 2009-12-24 2010-12-24 이동통신방법 및 교환국 KR1012338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93016A JP4740368B2 (ja) 2009-12-24 2009-12-24 移動通信方法及び交換局
JPJP-P-2009-293016 2009-12-24
PCT/JP2010/073432 WO2011078363A1 (ja) 2009-12-24 2010-12-24 移動通信方法及び交換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634A true KR20120081634A (ko) 2012-07-19
KR101233815B1 KR101233815B1 (ko) 2013-02-18

Family

ID=44195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6003A KR101233815B1 (ko) 2009-12-24 2010-12-24 이동통신방법 및 교환국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867489B2 (ko)
EP (1) EP2519051B1 (ko)
JP (1) JP4740368B2 (ko)
KR (1) KR101233815B1 (ko)
CN (1) CN102668634B (ko)
AU (1) AU2010336217B2 (ko)
BR (1) BR112012017770A2 (ko)
MX (1) MX2012007398A (ko)
PL (1) PL2519051T3 (ko)
RU (1) RU2524176C2 (ko)
SG (1) SG181943A1 (ko)
WO (1) WO2011078363A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72725A (fi) * 1997-06-24 1998-12-2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Uudelleenreititys
WO2001089232A2 (de) * 2000-05-16 2001-11-22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umlegen eines tunnels zwischen knoten eines gprs-systems
CA2462701A1 (en) * 2001-10-05 2003-04-17 Nokia Corporation Address transition and message correlation between network nodes
US7490152B2 (en) * 2003-04-11 2009-02-10 Alcatel-Lucent Usa Inc. Version caching mechanism
US7440459B2 (en) * 2004-02-02 2008-10-21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s of detecting protocol suppor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EP1938545B1 (en) * 2005-09-27 2009-08-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network architecture and a method relating to access of user stations
US9049629B2 (en) * 2007-06-18 2015-06-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inter-system handover
US20090016334A1 (en) * 2007-07-09 2009-01-15 Nokia Corporation Secured transmission with low overhead
CN101557646B (zh) * 2008-04-10 2011-05-04 华为技术有限公司 创建承载方法、服务网关和移动性管理实体
JP5602387B2 (ja) 2008-05-02 2014-10-08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インクカートリッジ、記録ユニット、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5277154B2 (ja) * 2009-12-24 2013-08-2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及び交換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2017770A2 (pt) 2016-04-19
MX2012007398A (es) 2012-07-30
AU2010336217A1 (en) 2012-07-26
US20120282917A1 (en) 2012-11-08
RU2012129367A (ru) 2014-01-27
KR101233815B1 (ko) 2013-02-18
JP2011135332A (ja) 2011-07-07
US8867489B2 (en) 2014-10-21
CN102668634B (zh) 2013-10-23
WO2011078363A1 (ja) 2011-06-30
AU2010336217B2 (en) 2014-11-06
EP2519051A1 (en) 2012-10-31
CN102668634A (zh) 2012-09-12
SG181943A1 (en) 2012-08-30
PL2519051T3 (pl) 2015-07-31
EP2519051B1 (en) 2015-02-18
RU2524176C2 (ru) 2014-07-27
EP2519051A4 (en) 2013-08-21
JP4740368B2 (ja)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2907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user equipmen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0492116B2 (en) Traffic offload via local network
US9392626B2 (en) Method and system to support single radio video call continuity during handover
RU2488230C1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выделением идентификаторов туннелей
EP2371152B1 (en) Emergency call support during roaming
EP2713640B1 (en) Method, user equipment and system for processing paging
US20110045834A1 (en) Server for control plane a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for controlling sipto based session
US9055553B2 (en) Method for guaranteeing establishment of local IP access correctly
US20150215822A1 (en) Efficient session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guaranteeing terminal mobility
WO2009121237A1 (zh) 一种激活状态下用户设备跨接入网切换的实现方法
US10264548B2 (en) Mobile evolve packet core (EPC) and paging method using the same
EP2637449A1 (en) Mobile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nd handover control method
KR101233815B1 (ko) 이동통신방법 및 교환국
EP2469925B1 (en) Base station device, base station control device,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base station device control method
EP2875692B1 (en) Methods and devices for radio access bearer establishment
CN116390270A (zh) 多接入协议数据单元会话处理方法
WO2016112774A1 (zh) 一种实现位置更新的方法及移动管理单元
JP2011172267A (ja) 移動通信方法
KR20120046382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음성 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