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1487A - 스크롤 압축기 - Google Patents
스크롤 압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81487A KR20120081487A KR1020110002845A KR20110002845A KR20120081487A KR 20120081487 A KR20120081487 A KR 20120081487A KR 1020110002845 A KR1020110002845 A KR 1020110002845A KR 20110002845 A KR20110002845 A KR 20110002845A KR 20120081487 A KR20120081487 A KR 2012008148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ed
- scroll
- wrap
- main frame
- c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Rotary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의해 선회운동하는 선회스크롤; 및 상기 선회스크롤과 맞물려서 압축실을 형성하며, 상기 케이스의 내벽면에 고정되는 고정스크롤;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에서는 상기 고정스크롤의 저면과 접촉되는 고정스크롤 지지부가 형성되는 스크롤 압축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정스크롤에 대해서 선회스크롤이 선회운동을 하면서 압축이 이루어지는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크롤 압축기는 대향하는 한 쌍의 스크롤에 의해 형성되는 압축실의 체적을 변화시켜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이다. 스크롤 압축기는 왕복동식 압축기 또는 로타리 압축기에 비해 효율이 높고, 진동 및 소음이 낮으며, 소형 및 경량화가 가능하여 특히 공기조화기에 넓게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스크롤 압축기는 냉매가 압축실로 공급되는 유형에 따라 저압식과 고압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저압식 스크롤 압축기는 냉매가 케이싱의 내부공간을 통해 압축실로 간접 흡입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이 흡입공간과 토출공간으로 나뉘어져 있다. 반면,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는 냉매가 케이싱의 내부공간을 거치지 않고 직접 압축실로 공급되었다가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으로 토출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 전체가 토출공간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스크롤 압축기는 압축실의 실링방식에 의해서도 팁실방식과 배압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상기 팁실방식은 각 스크롤의 랩 선단에 팁실을 설치하여 압축기의 운전시 팁실이 부상하면서 맞은편 스크롤의 경판부에 밀착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반면, 배압방식은 한 쪽 스크롤의 배면에 배압실을 형성하고 그 배압실에 중간압의 오일이나 냉매를 유도하여 상기 스크롤이 배압실의 압력에 밀려 맞은 편 스크롤에 밀착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통상, 팁실방식은 저압식 스크롤 압축기에 적용되는 반면 배압방식은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에 적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 고정스크롤은 일측면에 상기 선회스크롤의 선회랩과 맞물리는 고정랩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랩과 일체로 형성되는 경판부가 상기 선회스크롤을 지지하는 메인프레임에 체결되어 고정스크롤이 메인프레임에 대해서 결합되게 된다.
도 1은 이러한 고정스크롤과 메인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스크롤(10)은 메인프레임(12)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볼트체결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12)은 케이스(1)에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프레임과 고정스크롤에는 상기 볼트 체결을 위한 여유공간이 필요하게 되고, 이로 인해 케이스(1)의 내부 공간 중 상기 여유공간만큼 압축공간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에 비해서 동일한 외경을 갖는 케이스 내에서 보다 큰 압축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스크롤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의해 선회운동하는 선회스크롤; 및 상기 선회스크롤과 맞물려서 압축실을 형성하며, 상기 케이스의 내벽면에 고정되는 고정스크롤;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에서는 상기 고정스크롤의 저면과 접촉되는 고정스크롤 지지부가 형성되는 스크롤 압축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측면에서는 상기 고정스크롤을 메인프레임이 아닌 케이스의 내벽면에 고정함으로써 볼트 체결부를 생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압축공간이 감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스크롤 지지부에 의해서 고정스크롤과 메인프레임 사이의 간격이 사전에 결정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스크롤은 케이스의 내벽면에 대해서 용접 또는 열박음과 같은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스크롤 지지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경판부측으로 연장되는 컬럼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가공 공차 및 조립 공차에 의해서 고정랩과 선회랩 사이의 간격이 불균일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스크롤 또는 선회스크롤이 이러한 공차를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고정스크롤 및 선회스크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구동축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스크롤은 상기 컬럼의 상단부와 접촉되는 고정랩 지지부; 및 상기 고정랩 지지부에 상기 구동축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랩;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고정랩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가공 공차를 흡수할 수 있으면서도 고정랩의 배면에 인가되는 토출압으로 인해서 고정랩과 선회랩은 압축과정에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랩과 고정랩 지지부는 임의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는데, 키 결합 또는 고정핀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키 또는 고정핀은 상기 고정랩 또는 고정랩 지지부 중 어느 하나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고정랩과 고정랩 지지부에 과도한 압력이나 체결력을 가하지 않아도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랩 지지부와 고정랩에는 압축된 작동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게 되는데, 양자가 서로 분리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이들 사이의 간격을 통해서 압축된 작동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랩 지지부와 상기 고정랩 사이에 실을 개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은 상기 고정랩에 형성되는 토출구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컬럼에 상기 고정랩을 지지하는 단턱부를 형성하여 고정랩 지지부 및 고정랩이 컬럼에 의해 모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컬럼의 상단면에 고정랩 지지부가 접촉되고, 상기 단턱부에 고정랩이 접촉된 경우에 상기 고정랩 지지부와 고정랩의 대향면이 서로 이격되도록 하여 양자가 컬럼에 지지된 상태에서도 고정랩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회스크롤도 고정스크롤과 같이 두 개의 부분으로 분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회스크롤을 상기 고정랩과 맞물리는 선회랩; 및 상기 선회랩을 상기 고정랩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에 지지되는 선회랩 지지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고정랩과 선회랩이 모두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하고, 이를 통해서 가공 또는 조립 공차가 큰 경우에도 이를 원활하게 흡수할 수 있게 되며, 서로 다른 종류의 압축기 사이에서 공용화할 수 있는 부품의 수가 늘어나게 된다.
한편, 상기 선회랩과 선회랩 지지부의 사이에 상기 압축실과 연통되는 배압실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배압실은 랩부와 베이스부 사이에 형성되며, 압축기 내부의 다른 공간과 차단되는 별도의 공간으로서, 상측면은 상기 랩부에 의해 정의되고, 하측면은 상기 베이스부에 의해 정의된다. 배압실의 압력은 상기 랩부 및 베이스부에 각각 인가되지만, 베이스부는 메인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므로 랩부만이 배압실의 배압력에 의해 고정스크롤 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압실은 상기 랩부와 베이스부 사이에 상기 배압실을 밀폐시키는 실링수단이 개재될 수 있으며, 상기 실링수단으로는 오링(O-ring)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압실과 압축실을 연통시키는 배압홀이 상기 랩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배압홀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배압력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압홀의 가공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측면들에 의하면, 고정스크롤이 케이스의 내벽면에 직접 지지됨으로써 볼트체결부를 생략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서 볼트체결부가 차지하던 공간만큼 압축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스크롤 압축기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의 제1 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 중 압축기구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절개도이다.
도 4는 도 1 중 선회스크롤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 중 선회스크롤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가 작동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 중 선회스크롤에 형성되는 배압홀의 위치에 따른 축방향 힘의 크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의 제1 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 중 압축기구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절개도이다.
도 4는 도 1 중 선회스크롤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 중 선회스크롤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가 작동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 중 선회스크롤에 형성되는 배압홀의 위치에 따른 축방향 힘의 크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의 제1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에서 압축기구부의 조립상태를 보인 부분 절개도이며, 도 4는 선회스크롤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선회스크롤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는, 케이스(1)의 내부공간이 저압부인 흡입공간(11)과 고압부인 토출공간(12)으로 구분되고, 상기 케이스(1)의 흡입공간(11)에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2)가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1)의 흡입공간(11)과 토출공간(12) 사이에는 메인프레임(3)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 메인프레임(3)의 상면에는 고정스크롤(4)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메인프레임(3)과 고정스크롤(4) 사이에는 상기 구동모터(2)의 크랭크축(23)에 편심 결합되어 상기 고정스크롤(4)과 함께 연속으로 이동하는 두 개 한 쌍의 압축실(P)을 형성하는 선회스크롤(5)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스크롤(4)과 선회스크롤(5) 사이에는 상기 선회스크롤(5)의 자전운동을 방지하기 위한 올담링(6)이 설치된다.
상기 케이스(1)의 상기 흡입공간(11)에는 흡입관(13)이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반면 상기 토출공간(12)에는 토출관(14)이 연통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케이스는 밀봉된 소정의 토출공간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스크롤(4)에 고정 결합되는 토출플레넘에 의해 저압부인 흡입공간과 고압부인 토출공간이 구획되거나, 또는 상기 고정스크롤의 상면에 고정되고 케이스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고저압분리판(미도시)에 의해서도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이 흡입공간과 토출공간으로 구획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스크롤(4)은 상기 케이스(1)의 내벽면에 용접 또는 열박음되어 고정되는 경판부(41)와 상기 경판부(41)의 저면에 결합되는 고정랩(42)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랩(42)은 후술할 선회스크롤(5)의 선회랩(52)과 함께 압축실(P)을 이루도록 인볼류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스크롤(4)의 경판부(41) 외주면에는 상기 케이스(1)의 흡입공간(11)과 압축실(P)이 연통되도록 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스크롤(4)의 경판부(41) 중심에는 압축실(P)과 상기 케이스(1)의 토출공간(12)이 연통되도록 토출구(44)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면 중 미설명 부호인 7은 서브프레임, 8은 토출밸브, 21은 고정자, 22는 회전자이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서는 외부로부터 냉매가 상기 흡입관(13)을 통하여 케이스(1)의 저압부인 흡입공간(11)으로 유입되고, 상기 흡입공간(11)의 저압냉매는 고정스크롤(4)의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선회스크롤(5)에 의해 선회스크롤과 고정스크롤의 중앙으로 이동하면서 압축되었다가 상기 고정스크롤(4)의 토출구(44)를 통해서 상기 케이스(1)의 토출공간(12)으로 토출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3)은 상기 선회스크롤의 배면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스크롤의 경판부(41) 측으로 연장되는 3개의 컬럼(3a)을 갖는다. 상기 컬럼(3a)의 개수는 반드시 도시된 것에 한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컬럼(3a)의 상측 단부에는 상기 경판부(41)의 저면이 올려지고, 상측 단부와 인접하게 형성되는 단턱부(3b)에 상기 고정랩(42)이 안착된다. 여기서, 상기 단턱부(3b)와 상기 컬럼(3a)의 상측 단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고정랩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랩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여유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경판부(4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컬럼(3a)의 상단부에 올려져 있을 뿐이고, 상기 케이스(1)에 대해서 용접고정된다. 즉, 상기 컬럼(3a)은 상기 압축기의 조립 과정 및 작동 과정에서 상기 경판부(41)가 정위치에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를 통해 별도의 지그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상기 경판부를 정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컬럼의 높이가 불균일하거나 용접과정에서 경판부의 위치에 오차가 생기더라도 상기 고정랩 또는 랩부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오차를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조립 과정에서 상기 경판부와 메인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정밀하게 관리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컬럼(3a)이 단순히 경판부의 하향 이동을 저지하는 역할을 하고, 경판부는 케이스에 대해서 고정되므로, 상기 컬럼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케이스의 외경이 동일한 경우라도, 볼트체결방식을 이용하는 종래의 스크롤 압축기에 비해서 압축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에는 상기 레그부가 볼트 체결되므로 볼트 체결공을 위한 가공공간을 확보하고 체결력을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볼트 체결부의 두께를 소정 이상으로 하여야 하므로, 그만큼 압축공간이 줄어들게 되지만, 상기 실시예에서는 컬럼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그만큼 압축공간이 확장되게 된다.
또한, 상기 컬럼의 외측면과 상기 경판부의 외측면이 서로 일치하므로, 경판부를 컬럼의 상부에 올려둔 상태에서 양자를 케이스에 동시에 열박음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면, 메인프레임과 경판부가 한번의 공정으로 케이스에 대해서 결합될 수 있으므로 조립 공정을 더욱 단순화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고정스크롤 또는 상기 선회스크롤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종래와 같이 일체형으로 하고, 컬럼에 의해 고정스크롤이 지지되도록 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 고정스크롤과 선회스크롤 중 어느 하나만을 일체형으로 하는 경우에는 다른 하나가 이동하면서 가공공차를 흡수할 수 있게 되고, 양자 모두가 일체형인 경우에도 배압방식을 이용하면 선회스크롤이 배압으로 인해 상승 및 하강하게 되므로 가공공차를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경판부(41)와 고정랩(42)은 슬리브 볼트(45)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고정랩(42)이 상기 선회스크롤측으로 이동가능하지만, 반경 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는 이동이 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외에도, 상기 경판부와 고정랩은 키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랩(42)에서 상기 토출구(44)의 외주부에는 실링수단으로서의 오링(O-ring, 43)이 삽입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랩이 경판부(41)로부터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압축된 냉매는 상기 토출구(44) 뿐만 아니라 상기 경판부와 고정랩 사이의 경계면으로도 토출될 수 있지만, 상기 오링(43)을 상술한 바와 같이 설치함으로써 압축된 냉매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링(43)의 폭을 조절하여 흡입측에 진공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냉매압축사이클장치에서 증발기나 응축기 등에 오일이 다량으로 존재하여 상기 압축기 내의 오일이 부족한 경우에는 냉매 유로를 밸브를 이용하여 막은 상태에서 압축기를 운전하여 유로나 증발기 또는 응축기에 잔류하는 오일을 압축기로 다시 회수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흡입측으로 충분한 정도의 냉매가 유입되지 못하여, 흡입측 압력이 과도하게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오링(43)의 폭을 적절하게 조절하면, 흡입측과 토출측의 압력차가 사전에 결정된 수준 이하인 경우, 즉 정상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오링(43)이 상기 경판부와 고정랩 사이를 밀폐하여 고압의 냉매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흡입측과 토출측의 압력차가 사전에 결정된 수준 이상인 경우, 즉 흡입측의 압력이 지나치게 낮은 경우에는 상기 고정랩의 저면(도 2 기준)에 인가되는 압력이 낮으므로 상기 고정랩이 메인프레임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서 오링의 상단면과 경판부(41)가 서로 분리되면서 고압의 냉매가 양자의 경계면을 따라서 흡입측으로 유입된다. 이를 통해, 토출압을 흡입측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별도의 유로를 형성하지 않아도, 흡입측의 압력이 지나치게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선회스크롤(5)은 종래의 선회스크롤과 같이 랩부와 경판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지만,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부분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각각 상기 고정랩(42)과 맞물리는 랩부(50)와 상기 랩부(50)와 결합되는 베이스부(60)로 구성된다. 상기 랩부(50)는 상기 고정랩(42)과 맞물려 압축실을 형성하는 선회랩(52)과 상기 선회랩(52)과 일체로 형성되는 랩 플랜지(5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랩 플랜지(54)는 원판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저면의 양측에 상기 베이스부(60)와 결합되기 위한 각각 키홀(56)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부(60)는 상기 랩 플랜지(54)의 저면과 대향한 상태로 랩부(50)와 결합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랩 플랜지(54)와 유사하게 원판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는 베이스 플랜지(64) 및 상기 베이스 플랜지(64)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술한 크랭크축(23)과 결합되기 위한 보스부(68)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랜지(64)의 상면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키홀(56)와 체결되기 위한 키 형상부(66)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키 형상부가 키홀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랩부(50)는 베이스부(60)에 대해서 상기 크랭크축의 축방향으로는 이동가능하지만, 베이스부의 반경방향 또는 원주방향에 대해서는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결합되게 된다. 다만, 상기 랩부(50)의 축방향 이동은 상기 고정스크롤과 상기 메인프레임(3) 사이의 간격에 의해 제한되므로, 상기 키 형상부(66)는 상기 키홀(56)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볼트체결이나 용접과 같은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키 형상부를 키홀에 삽입하는 것만으로도 양자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부(60)의 저면에 상술한 자전방지기구로서의 올담링(6)이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올담링(6)은 상기 베이스 플랜지(64)의 저면과 접하는 링 형상부(6a)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링 형상부(6a)의 저면 양측에는 180도의 위상차를 갖는 상태에서 두 개의 제1 돌기부(6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돌기부(6b)는 상기 메인프레임(3)에 형성된 제1 돌기부 홈(3a)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링 형상부(6b)의 상면 양측에는 역시 180도의 위상차를 갖는 상태에서 두 개의 제2 돌기부(6c)가 형성된다. 상기 제2 돌기부(6c)는 상기 베이스 플랜지(64)의 저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2 돌기부 홈(64a)에 삽입된다.
이를 통해, 상기 크랭크 축(23)이 회전력이 상기 베이스부(60)에 전달되어도 상기 올담링(6)에 의해 베이스부(60)는 자전이 방지된 상태에서 선회운동을 하게 되고, 상기 베이스부(60)에 반경방향이동이 제한되도록 결합된 랩부(50)도 상기 베이스부(60)와 함께 선회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플랜지(64)의 상면 중앙에는 오링(62a)에 의해 구획되는 배압실(62)이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배압실(62)은 상기 랩 플랜지((54)의 저면과 상기 베이스 플랜지(64)의 상면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베이스 플랜지(64)에 삽입고정되는 오링(62a)에 의해서 상기 배압실(62) 내부공간이 상기 저압공간(11)으로부터 차단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압실(62)의 내부공간과 상기 압축실 사이를 연통시키는 배압홀(54a)이 상기 베이스 플랜지(64)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하는 과정에서 상기 압축실 내에 존재하는 압축된 냉매의 일부가 상기 배압홀(54a)을 통해서 상기 배압실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이렇게 배압실의 내부압력이 상기 베이스 플랜지(64) 주위의 압력보다 높아지므로 상기 베이스부(60)가 상기 랩부(50)로부터 축방향을 따라서 상승하게 되고, 이를 통해서 상기 고정스크롤의 저면과 상기 선회랩(52) 사이에서 실링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압홀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배압실 내부 압력이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압홀이 상기 선회스크롤의 선회랩(52)의 중심에 가깝게 이동할 수록 상기 배압실 내부의 압력은 증가하게 되며, 외측으로 이동할수록 배압실 내부의 압력은 감소하게 된다.
도 6a 내지 도 6c는 선회랩과 고정랩에 의해 냉매가 압축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로서, 실선은 고정랩(42)의 중심선에, 점선은 선회랩(52)의 중심선에 각각 해당된다. 그리고, 도 6c는 압축실 내의 압력이 토출압에 도달하여 토출이 이루어지기 시작한 경우에 해당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크롤 압축기의 작동 원리상, 선회랩과 고정랩에 의해 형성되는 압축실 내의 압력은 압축과정에서 연속적으로 변하게 된다. 따라서, 선회랩의 임의의 지점에서의 압력 또한 하나의 압축 사이클 내에서 연속적으로 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배압홀이 지점 a에 있는 경우, 상기 지점 a는 상기 압축과정에서 토출압으로 유지되는 위치에 있으므로 상기 배압실에는 토출압과 동일한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 경우, 과도한 배압으로 인해 고정스크롤의 저면과 선회랩 사이의 thrust force가 높게 발생하므로 마찰로 인한 손실이 커지게 된다. 또한, 토출압의 경우 상기 압축기에 가해지는 압축부하량에 따라서 달라지기 때문에, 배압홀을 지점 a와 같이 토출압이 지속적으로 인가되는 지점에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thrust force가 부하에 따라 달라지므로 압축기의 성능에 영향을 주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점 a는 토출개시각 이내의 범위에 해당된다.
한편, 지점 b는 압축 과정에서 소정 시간 동안에는 토출압이, 그 외의 시간에는 흡입압과 토출압 사이의 중간압이 인가되는 지점이다. 따라서, 배압홀을 지점 b에 인가하는 경우 적정 정도의 배압력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토출압이 부하 변동 등의 이유로 인해서 변화하는 경우에도 중간압으로 인해 어느 정도 완충되므로 부하 변동으로 인한 영향이 어느 정도 상쇄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자의 연구 결과 상기 지점 b는 상기 선회랩의 토출개시각으로부터 인볼류트 위상차 180도 이내의 범위에 해당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점 c의 경우에는 압축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중간압 만이 인가되는 지점으로서, 지점 c에 배압홀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배압력이 지나치게 낮아 충분한 정도의 실링을 얻기가 힘들고, 그로 인해서 냉매 누설이 야기될 우려가 높다.
도 7은 배압홀이 각각 a 및 b 지점에 위치한 경우에, 저부하, 과부하, 고차압 및 고압력비 조건 하에서 발생되는 thrust force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배압홀이 a에 위치한 경우 저부하 조건에서 thrust force가 과도하게 발생될 뿐만 아니라 각각의 경우에서 thrust force의 편차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배압홀이 b에 위치한 경우, 저부하 조건에서 상대적으로 thrust force가 적게 발생되고,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thrust force의 편차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3)
-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의해 선회운동하는 선회스크롤; 및
상기 선회스크롤과 맞물려서 압축실을 형성하며, 상기 케이스의 내벽면에 고정되는 고정스크롤;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에서는 상기 고정스크롤의 저면과 접촉되는 고정스크롤 지지부가 형성되는 스크롤 압축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스크롤 지지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경판부측으로 연장되는 컬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스크롤 및 선회스크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구동축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스크롤은
상기 컬럼의 상단부와 접촉되는 고정랩 지지부; 및
상기 고정랩 지지부에 상기 구동축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랩과 고정랩 지지부는 키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랩 지지부와 상기 고정랩 사이에 실이 개재되고, 상기 실은 상기 고정랩에 형성되는 토출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에는 상기 고정랩을 지지하는 단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의 상단면에 고정랩 지지부가 접촉되고, 상기 단턱부에 고정랩이 접촉된 경우에 상기 고정랩 지지부와 고정랩의 대향면이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스크롤은
상기 고정스크롤과 맞물리는 선회랩; 및
상기 선회랩을 상기 고정스크롤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에 지지되는 선회랩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랩과 선회랩 지지부의 사이에 상기 압축실과 연통되는 배압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압실과 압축실을 연통시키는 배압홀이 상기 랩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랩 지지부는 그 외주부가 상기 케이스의 내벽면에 용접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랩 지지부는 그 외주부가 상기 케이스의 내벽면에 열박음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2845A KR101727497B1 (ko) | 2011-01-11 | 2011-01-11 | 스크롤 압축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2845A KR101727497B1 (ko) | 2011-01-11 | 2011-01-11 | 스크롤 압축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81487A true KR20120081487A (ko) | 2012-07-19 |
KR101727497B1 KR101727497B1 (ko) | 2017-04-17 |
Family
ID=46713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02845A KR101727497B1 (ko) | 2011-01-11 | 2011-01-11 | 스크롤 압축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27497B1 (ko)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23819A (ja) | 2005-07-13 | 2007-02-0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スクロール圧縮機 |
-
2011
- 2011-01-11 KR KR1020110002845A patent/KR101727497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27497B1 (ko) | 2017-04-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00261B1 (ko) | 스크롤 압축기 | |
KR101368396B1 (ko) | 스크롤 압축기 | |
KR20120006398A (ko) | 스크롤 압축기 | |
KR102549777B1 (ko) | 스크롤 압축기 | |
KR20130037115A (ko) | 축방향 지지부재를 갖는 스크롤 압축기 | |
KR101335427B1 (ko) | 스크롤 압축기 | |
US9523361B2 (en) | Scroll compressor having back pressure chamber that operatively contains a discharge pressure and an intermediate pressure during different periods of time within a single compression cycle | |
KR20100042168A (ko) | 스크롤 압축기 및 이를 적용한 냉동기기 | |
KR20120081486A (ko) | 분리식 고정스크롤을 갖는 스크롤 압축기 | |
JP2006177227A (ja) | ロータリ式2段圧縮機 | |
US11359629B2 (en) | Motor operated compressor | |
KR101300258B1 (ko) | 스크롤 압축기 | |
KR20120081487A (ko) | 스크롤 압축기 | |
KR102004353B1 (ko) | 배압실을 구비한 스크롤 압축기 | |
KR101727498B1 (ko) | 분리식 선회스크롤을 갖는 스크롤 압축기 | |
KR20120081489A (ko) | 분리식 선회스크롤을 갖는 스크롤 압축기 | |
KR20100096794A (ko) | 스크롤 압축기 및 이를 적용한 냉동기기 | |
KR101751345B1 (ko) | 분리식 선회스크롤을 갖는 스크롤 압축기 | |
KR20100017006A (ko) | 스크롤 압축기 | |
JP4961178B2 (ja) | 密閉型スクロール圧縮機 | |
KR0173581B1 (ko) | 스크롤형 유체 기계 | |
KR101731449B1 (ko) | 스크롤 압축기 | |
KR102040626B1 (ko) | 압축기 및 압축기의 제조방법 | |
KR102677306B1 (ko) | 스크롤 압축기 | |
KR101587165B1 (ko) | 스크롤 압축기 및 이를 적용한 냉동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