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0948A - Water purifier with self-examination function - Google Patents

Water purifier with self-examination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0948A
KR20120080948A KR1020110002433A KR20110002433A KR20120080948A KR 20120080948 A KR20120080948 A KR 20120080948A KR 1020110002433 A KR1020110002433 A KR 1020110002433A KR 20110002433 A KR20110002433 A KR 20110002433A KR 20120080948 A KR20120080948 A KR 20120080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temperature
water tank
heating means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24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12814B1 (en
Inventor
박병탁
박종진
황선웅
이준성
이원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2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2814B1/en
Publication of KR20120080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09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2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2814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PURPOSE: A self diagnostic water purifier is provided to minimize costs increase and design freedom limit by using existing components commonly equipped in a water purifier. CONSTITUTION: A self diagnostic water purifier comprises a heating unit, a hot bath, a temperature sensor, and a control unit. The heating unit heat up the water. The hot bath supplies an insulation room storing the heated water. The temperature sensor measures the temperature of stored heated water.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heating unit and measures the operating period of the heating unit for detecting the fault of the hot bath.

Description

자기 진단 기능을 갖는 정수기{WATER PURIFIER WITH SELF-EXAMINATION FUNCTION}Water purifier with self-diagnosis function {WATER PURIFIER WITH SELF-EXAMINATION FUNCTION}

본 발명은 자기 진단 기능을 갖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기의 온수조의 이상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er having a self-diagnostic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purifier having a function capable of confirming abnormality of a hot water tank of the water purifier.

정수기는 물리적?화학적 방법으로 물에 함유된 이물질이나 중금속 등 유해요소를 여과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정수기와 유사한 물품으로 이온수기 등이 있다.Water purifier is a device that filters harmful substances such as foreign substances or heavy metals in water by physical and chemical methods. Articles similar to such water purifiers include ionizers and the like.

정수기의 구성은, 크게 오염물질이 포함된 원수(原水)에서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를 지난 정수(淨水)를 저장하는 수조부, 상기 수조부에 저장된 정수를 취출시키는 취출부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정수기에 전원이 공급되면, 원수가 상기 필터부로 공급되어 정화되어 상기 수조부에 저장되게 되고, 저장된 정수는 사용자 등의 선택에 따라 상기 취출부를 통해 취출되게 된다.The structure of the water purifier includes a filter unit for filtering contaminants from raw water containing pollutants, a tank unit for storing purified water past the filter unit, and a discharge unit for extracting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tank unit. Can be divided.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water purifier, raw water is supplied to the filter unit, purified, and stored in the water tank unit.

아울러, 단순히 원수를 정화하는 기능 외에도 정화된 정수를 냉각하거나 가열하여 냉수 및 온수를 제공하는 냉온수 기능을 제공하기도 한다. 이러한 냉온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정화된 정수를 냉각 또는 가열하기 위한 수단과 냉각 또는 가열된 냉온수를 보관하기 위한 냉수조 및 온수조를 포함하게 된다.In addition, in addition to simply purifying the raw water, it also provides a cold and hot water function to provide cold water and hot water by cooling or heating the purified water. In order to provide such a hot and cold water function, a means for cooling or heating the purified purified water and a cold water tank and a hot water tank for storing the cooled or heated cold / hot water are included.

냉수조 및 온수조는 공통적으로 단열특성을 갖게 되는데, 온수조의 경우 저장되는 온수의 상온과의 온도차가 냉수의 경우보다 크기 때문에 보다 우수한 단열성능이 요구된다. 아울러, 온수는 일반적인 용도에서는 냉수에 비해서 사용빈도가 낮기 때문에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온수가 상기 온수조 내부에 머무는 시간이 냉수에 비해서 길게 되므로, 온수조의 단열성능이 우수할수록 가열수단의 작동에 소모되는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Cold water tanks and hot water tanks have insulated characteristics in common, and in the case of hot water tanks, since the temperature difference with the room temperature of the stored hot water is larger than that of cold water, excellent heat insulating performance is required. In addition, since hot water has a lower frequency of use compared to cold water in general use, the time for the hot water heated by the heating means to stay inside the hot water tank is longer than that of the cold wat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종래의 냉온 정수기의 온수조로는 스테인레스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온수조의 외부에 단열재를 배치한 것을 사용하고 있었고, 최근에는 보다 높은 단열성능을 얻기 위해서 진공 온수조의 사용도 점차적으로 늘어나고 있다.As a hot water tank of a conventional cold and hot water purifier, a heat insulating material is disposed outside of a hot water tank made of a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In recent years, the use of a vacuum hot water tank is gradually increasing to obtain higher heat insulating performance.

진공 온수조는 내측에 저장공간이 구비되는 이중 벽체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이중 벽체 사이의 공간은 진공으로 유지된다. 이러한 진공 온수조는 기존의 단열재를 이용하는 온수조에 비해서 우수한 단열성능을 제공할 수 있지만, 그 단열성능은 이중 벽체 사이의 진공도에 큰 영향을 받게 되므로 그 취급에 특히 주의를 요하게 된다.The vacuum hot water tank has a double wall having a storage space therein, and the space between the double walls is maintained in a vacuum. Such a vacuum hot water tank can provide excellent heat insulation performance compared to a hot water bath using a conventional heat insulator, but the heat insulation performance is particularly affected by the degree of vacuum between the double walls, which requires special attention.

특히, 상기 온수조에는 가열수단, 드레인관, 급수관 및 출수관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부착되기 때문에, 진공 온수조의 초기 상태에 이상이 없더라도 이들과의 접합 지점에서 누설이 발생하여 진공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누설은 제조, 운반 또는 설치 과정에서 가해지는 충격 등에 의해서 일어날 수도 있고,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접합부의 열화 등에 의해서도 발생될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various components such as a heating means, a drain pipe, a water supply pipe, and an outlet pipe are attached to the hot water tank, even if the initial state of the vacuum hot water tank is not abnormal, leakage may occur at the point of contact with these to reduce the degree of vacuum. There is. Such leakage may occur due to an impact applied during manufacturing, transportation, or installation, or may be caused by deterioration of a joint due to prolonged use.

그러나, 진공 온수조 내의 진공도 변화는 육안으로는 확인될 수 없는 것이므로, 진공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진공 온수조의 벽체 내부에 측정 수단을 삽입하여야 하고, 이는 진공 온수조의 분리 및 천공을 요하는 것이므로 실제로 적용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However, since the change in the degree of vacuum in the vacuum hot water tank cannot be visually confirmed, in order to measure the change in the degree of vacuum, a measuring means must be inserted into the wall of the vacuum hot water tank.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do.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진공 온수조의 진공도 변화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을 갖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problem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having a means that can easily check the change in the degree of vacuum of the vacuum hot water tank.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정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하는 가열수단; 상기 온수를 저장하는 단열 공간을 제공하는 온수조; 상기 온수조 내부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감지수단; 및 상기 온도 감지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가열수단의 작동 주기를 측정하고, 이를 기준 주기와 비교하여 상기 온수조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정수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heating means for generating hot water by heating the purified water; A hot water tank providing an adiabatic space for storing the hot water; Temperature sensing means for measuring a temperature of hot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means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means, wherein the controller measures an operating cycle of the heating means and compares it with a reference period to determine an abnormality of the hot water tank. A water purifier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is provided.

본 발명의 상기 측면에서는 온수조의 단열 성능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데 있어서, 온수조를 직접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단열 성능의 저하로 인해서 발생될 수 있는 특성의 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근거로 온수조의 이상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abov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hecking whether the heat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hot water tank is abnormal, instead of directly checking the hot water tank, it detects a change in characteristics that may occur due to a decrease in the heat insulation performance, and based on this, whether the hot water tank is abnormal. Make it detectable.

예를 들어, 온수를 생성하기 위한 가열수단은 온수의 온도와 연동되어 작동 및 정지되는데, 온수조의 단열 성능이 정상인 경우에 비해서 단열 성능이 저하된 경우에는 온수조의 열손실량이 늘어나므로 가열수단의 작동빈도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가열수단의 작동주기를 측정하고 이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온수조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진공 온수조와 같이 단열 성능의 이상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For example, the heating means for generating hot water is operated and stopped in conjunction with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the heat loss of the hot water tank is increased when the heat insulation performance is lower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heat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hot water tank is normal operation of the heating means. The frequency will also increase. Therefore,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easuring the operating cycle of the heating means, and compared with the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the abnormality of the hot water tank. This is especially useful when it is not easy to check whether the insulation performance is abnormal, such as a vacuum hot water tank.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주기 외에도, 단열 성능이 열화되면 온수조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 저하속도가 늘어나게 되므로 이를 근거로 하여 이상 여부를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온수조 내부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의 변화량과 그 때까지 소요된 시간을 측정하면 온수의 온도 저하속도를 측정할 수 있고 이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온수조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온수조의 내부에는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감지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장치를 추가하지 않더라도 적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to the operation cycle of the heating means, if th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is deteriorated, the temperature decrease rate of the hot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is increased, it may be to check whether or not on the basis of this. That is, by measuring the amount of change in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and the time required up to that time,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rate of temperature drop of the hot water, and to check whether the hot water tank is abnormal by comparing it with a reference value. In general, the inside of the hot water tank is provided with a temperature sensing means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it is possible to apply without adding a separate device.

이외에도, 온수조 외부에 온도 감지수단을 추가적으로 설치하고, 온수조 내부와 외부 사이의 온도차를 이용할 수도 있고, 정수기 본체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온수조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단열 성능에 이상이 생기면 누설되는 열량이 늘어나고, 그만큼 정수기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므로 이를 감안하여 온수조의 이상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mperature sensing means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outside the hot water tank, and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hot water tank may be us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purifier body may be meas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hot water tank is abnormal. That is,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heat insulation performance, the amount of heat leaked increases, and thus the temperature inside the water purifier increases so that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hot water tank is abnormal.

어느 경우이던, 측정된 값을 기준값과 대비하여 판단하게 되는데, 상기 기준값은 제조 시에 다양한 테스트를 거쳐서 정산 범위의 값을 사전에 결정하여 제어부 등에 입력해 둘 수도 있고, 설치 후에 반복적으로 사용하면서 측정된 값들을 근거로 설정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설치 장소의 환경이 반영된 기준값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In any case, the measured value is judged by comparing with the reference value. The reference value may be inputted to the control unit by predetermined value of the settlement range through various tests at the time of manufacture, and repeatedly measured after installation. It can also be set on the basis of these values. In the latter case, it is possible to obtain a reference value that reflects the environment of the installation site.

한편, 각각의 값들을 측정하고 이를 근거로 판단함에 있어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추가적인 사항들을 고려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열수단의 작동 주기를 근거로 할 경우에는 온수의 사용량을 함께 고려할 수 있다. 온수조에 이상이 없는 경우라도 온수의 사용량이 늘어나면 그만큼 작동 빈도도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위 사용량에 대해서 가열수단의 작동주기를 측정하여 활용하거나, 온수가 사용되지 않는 동안에만 가열수단의 작동주기를 측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온수의 온도 저하속도 및 온수조의 내외측에서의 온도차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온수가 사용되지 않는 동안에만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in measuring and determining the respective values, additional matters may be considered to increase accuracy. For example, based on the operating cycle of the heating means may consider the amount of hot water used together. Even if there is no abnormality in the hot water tank, the increase in the use of hot water increases the frequency of operation. Therefore, the operating cycle of the heating means may be measured and utilized for the unit usage amount, or the operating cycle of the heating means may be measured only while the hot water is not used. This can be performed only while the hot water is not used, even when the temperature decrease rate of the hot water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hot water tank are used.

또한, 온수조에서의 온도 저하속도 및 내외측에서의 온도차와 같은 값들은 단열 성능 뿐만 아니라 정수기가 설치되는 장소의 실내 온도 등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실내의 온도를 함께 측정하여 비교할 수도 있다.In addition, values such as the temperature drop rate in the hot water tank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in the inside and the outside may be affected by not only th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but also the room temperature of the place where the water purifier is installed, and thus the temperature of the room may be measured and compared together.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온수조 내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에 따라서 작동 및 정지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정수기의 진단방법으로서, 온수조 내의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온수가 제1 온도에서 제2 온도까지 하강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시간과 기준 시간을 대비하여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진단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agnostic method of a water purifier including a heating means that is operated and stopp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hot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the method comprising: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in the hot water tank; Measuring a time taken for the hot water to fall from the first temperature to the second temperature; And diagnosing abnormality by comparing the measured time with a reference time.

여기서, 상기 제1 온도는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이 정지되는 온도이고, 제2 온도는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이 개시되는 온도일 수 있다.Here, the first temperature may be a temperature at which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means is stopped, and the second temperature may be a temperature at which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means is star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온수조 내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에 따라서 작동 및 정지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정수기의 진단방법으로서, 온수조 내의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온도를 근거로 하여 상기 가열수단을 작동 및 정지시키는 단계; 상기 가열수단이 정지된 후 작동되기까지의 주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주기와 기준 주기를 대비하여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진단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agnostic method of a water purifier including a heating means that is operated and stopp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hot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the method comprising: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in the hot water tank; Starting and stopping the heating means based on the measured temperature; Measuring a period of time after the heating means is stopped and operated; And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comparison with the measured period and the reference period.

여기서도, 상기 기준 시간 또는 기준 주기와 같은 판단의 근거가 되는 기준값들은 사전에 결정되거나 반복 사용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Here too, the reference values on which the judgment, such as the reference time or reference period, can be determined in advance or obtained through repeated us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온수조의 이상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정수기에 일반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장치들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진단 기능 추가로 인한 비용증가나 설계 자유도의 제약 등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quickly check even if the hot water tank does not check whether or not. In particular, since the devices generally provided in the water purifier can be utiliz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cost increase or the limitation of design freedom due to the addition of the diagnostic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 중 진공 온수조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진공 온수조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진공 온수조의 단열 성능 저하로 인한 히터 가열주기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진공 온수조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또 다른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embodiment.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vacuum hot water tank of FIG. 1.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 vacuum hot water tank is abnormal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5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the heater heating cycle due to a decrease in th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vacuum hot water tank.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 vacuum hot water tank is abnormal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기 진단 기능을 갖는 정수기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of a water purifier having a self-diagnostic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3)에 구비되는 필터부(20), 수조부(30), 취출부(40) 및 상기 정수기(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embodiment. 1 and 2, the water purifie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filter unit 20, a water tank unit 30, a blowout unit 40, and the filter unit 20 provided in a case 13 forming an external appearance. It includes a control unit 11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10.

상기 케이스(13)는 일반적으로 육면체의 형상으로 마련되나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The case 13 is generally provided in the shape of a cube, but the shape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케이스(13)는 내부에 필터부(20), 수조부(30) 등이 구비되며, 상기 수조부(30)와 배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13)의 전면으로 노출되게 취출부(40)가 구비된다.The case 13 is provided with a filter unit 20, a water tank unit 30, etc. therein, is connected to the water tank unit 30 by a pipe and the extraction unit 40 to be exposed to the front of the case 13 Is provided.

또한, 상기 케이스(13)의 전면에는 상기 정수기(10)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버튼(51)과 디스플레이부(52)를 구비하는 조작패널(50)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front of the case 13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panel 50 having an operation button 51 and a display unit 52 for operat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10.

상기 조작버튼(51)은 정수기의 기능 조작과 관련된 복수 개의 버튼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52)는 7-세그먼트(segment)형식, LCD(liquid crystal display)형식,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형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operation button 51 includes a plurality of button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and the display unit 52 has a 7-segment type, a liquid crystal display type, and a light emitting diode (LED). It may be provided in a display format.

또한, 상기 케이스(13)의 내부 일 측에는 상기 정수기(10)의 내부 각 구성과 신호 전달을 통해 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0)가 마련된다. 상기 제어부(110)는 제어 회로가 구성된 PCB(printed circuit board)로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side of the case 13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110 for controlling its operation through the internal components and signal transmission of the water purifier 10. The controller 110 may be provided as a printed circuit board (PCB) configured with a control circuit.

상기 필터부(20)는, 수도수, 저장통 등과 같은 수원(水原)(11)에서 도입된 물(이하, 원수(原水)라 함)를 정수(淨水)로 정화하는 장치이다.The filter unit 20 is an apparatus for purifying water introduced from a water source 11 such as tap water, a reservoir, and the like (hereinafter referred to as raw water) with purified water.

상기 필터부(20)는 임의의 필터를 하나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세디먼트 필터(sediment filter), 프리카본 필터(pre-carbon filter),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reverse omosis membrane filter), 포스트카본 필터(post-carbon filter), 중공사막 필터(ultra filtration filter), 나노필터(nano-filtration filter)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lter unit 20 may include one or a plurality of arbitrary filters, and specifically, a sediment filter, a pre-carbon filter, and a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Membrane filter, post-carbon filter, post-carbon filter, ultra filtration filter, nano-filtration filter and the like.

상기 세디먼트 필터는 부직포가 적용되어 원수에 함유된 이물질과 부유물질을 여과한다. 상기 프리카본 필터는 계면 활성탄이 적용되어 원수에 함유된 염소 성분이나 냄새 등을 여과한다. 상기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는 0.001㎛ 정도의 미세한 입자를 여과한다.상기 포스트 카본필터는 프리카본 필터의 계면 활성탄보다 흡착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여 색소와 냄새를 제거한다. 상기 중공사막 필터는 가운데가 비어 있는 실 모양의 막이 적용되어 원수에 함유된 세균을 여과한다. 이외에, 상기 수원(11)과 상기 필터부(20)를 연결하는 배관에 상기 필터부(20)의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는 오염물질을 미리 제거하는 프리필터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The sediment filter is applied to the non-woven fabric to filter foreign matter and suspended matter contained in the raw water. The precarbon filter is applied with surfactant carbon to filter chlorine components, odors, etc. contained in raw water.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filters fine particles on the order of 0.001 μm. The post carbon filter removes pigments and odors because the adsorption power is relatively superior to that of the surface activated carbon of the precarbon filter.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is applied to the hollow membrane in the middle to filter bacteria contained in the raw water. In addition, the pipe connecting the water source 11 and the filter unit 20 may further include a pre-filter for removing contaminants that may reduce the efficiency of the filter unit 20 in advance.

상기 수조부(30)는, 상기 필터부(20)에 의해 정화된 정수가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된 저장탱크(31)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저장탱크(31)는 내측에 설치되는 구획판(32)을 구비하며, 상기 구획판(32)에 의해 필터부를 거친 정수가 저장되는 정수조(31a)와 상기 도시되지 않은 냉각수단에 의해 상기 정수를 냉각하여 보관하는 냉수조(31b)로 구획된다. 여기서, 상기 정수조와 냉수조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저장탱크를 구획하여 형성될 수도 있지만, 물리적으로 분리된 두 개의 탱크로서 구비될 수도 있다.The water tank unit 30 includes a storage tank 31 in which a space for storing purified water purified by the filter unit 20 is formed. The storage tank 31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plate 32 installed inside, by the water purification tank 31a in which the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portion by the partition plate 32 and the cooling means (not shown) It is partitioned into the cold water tank 31b which cools and stores purified water. Here, the purified water tank and the cold water tank may be formed by partitioning one storage tank as shown, but may also be provided as two physically separated tanks.

상기 냉수조에 저장된 냉수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단으로는 냉매압축식사이클 장치나 열전소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수조(31a) 및 냉수조(31b)의 내부에는 저장된 정수 및 냉수의 수위를 파악하기 위한 수위센서(33)가 더 구비된다.As the cooling means for cooling the cold water stored in the cold water tank, a refrigerant compression cycle apparatus or a thermoelectric element may be used. The water level sensor 33 is further provided inside the water purification tank 31a and the cold water tank 31b to grasp the stored water level of the purified water and the cold water.

그리고, 정수조(31a)로부터 공급되는 정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 및 저장하는 온수조(100)가 상기 저장탱크(31)와 별개로 구비된다. 상기 온수조(10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In addition, a hot water tank 100 for generating and storing hot water by heating purified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purification tank 31a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storage tank 31. The hot water tank 100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취출부(40)는 상기 냉수조(31b)와 온수조(100)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13)의 전면에 구비되는 냉수레버(37) 및 온수레버(39)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냉수 및 온수레버(37, 39)가 조작되면, 상기 제어부(110)에 의해 상기 냉수조와 온수조에 각각 연결된 냉수취출밸브(43) 및 온수취출밸브(45)가 동작되어 냉수 또는 온수를 공급하게 된다.The take-out part 40 is connected to the cold water tank 31b and the hot water tank 100, respectively, and includes a cold water lever 37 and a hot water lever 39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13. When the cold water and hot water levers 37 and 39 are operated, the cold water discharge valve 43 and the hot water discharge valve 45 connected to the cold water tank and the hot water tank by the control unit 110 are operated to generate cold water or hot water. Will be supplied.

여기서, 상기 냉수취출밸브(43) 및 온수취출밸브(45)는, 콕 등과 기구적으로 동작하는 밸브 또는 전기적인 입력을 받아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cold water extraction valve 43 and the hot water extraction valve 45 may be provided as a valve operated mechanically, such as a cock, or a solenoid valve opened and closed by receiving an electrical input.

이제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온수조(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온수조(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벽체 구조를 갖고 있고, 외벽(102)과 내벽(104) 사이의 공간은 진공으로 유지되어 단열성능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조(100)의 하부에는 개구부(10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106)를 단열재질로 이루어지는 마개(120)가 밀폐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hot water tank 100 will be described. The hot water tank 100 has a double wall structure as shown, and the space between the outer wall 102 and the inner wall 104 is maintained in a vacuum to obtain a heat insulating performance. In addition, an opening 106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t water tank 100, and a stopper 120 formed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is sealed in the opening 106.

상기 마개(120)는 상기 온수조(100)에 구비되는 각종 배관 또는 센서류 등을 설치할 수 있는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마개를 없애고 전체를 이중 벽체 구조로 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관이나 센서 등은 이중 벽체 구조를 관통하는 관통공을 형성하여 설치할 수 있다.The stopper 120 provides an installation space for installing various pipes or sensors provided in the hot water tank 100, but in some cases, an example in which the stopper is removed and the whole is a double wall structure may be considered. In this case, the pipe or the sensor may be formed by forming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double wall structure.

상기 마개(120)에는 상기 온수조(100) 내부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121), 상기 온수조(100)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으로서의 히터(122), 상기 온수조(100) 내부의 온수의 온도에 따라서 상기 히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서머스텟(123), 상기 온수조(100) 내부에서 온수의 가열로 인해서 생기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에어벤트관(124), 필요시에 상기 온수조 내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관(125) 및 상기 정수조로부터 공급된 물이 유입되는 입수관(130) 등이 각각 설치된다.The stopper 120 has a temperature sensor 121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100, a heater 122 as a heating means for heating the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100, Thermostat 123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eater in accordance with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in the hot water tank 100, the air vent pipe for discharging the steam generated by the heating of the hot water in the hot water tank 100 to the outside 124, a drain pipe 125 for discharging the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to the outside when necessary, and an inlet pipe 130 through which water supplied from the purified water tank is introduced.

여기서, 상기 마개(120)에 설치되는 상기 구성요소들은 반드시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상기 구성요소들이 모두 상기 마개(120)에 설치될 필요는 없으므로, 당업자가 임의로 마개에 배치될 구성요소를 선택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mponents installed on the stopper 120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components do not need to be installed on the stopper 120. You can choose.

한편, 상기 온수조(100)의 상부에는 상기 온수레버(39)가 작동되는 경우에, 저장된 온수가 배출되는 출수관(140)이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hot water tank 100, when the hot water lever 39 is operated, a discharge pipe 140 for discharging the stored hot water is installed.

이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온수조(100)의 이상유무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ow,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of the hot water tank 100 in the water purifier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를 참조하면, 온수조 이상유무의 판단은 주기적으로 또는 사용자의 지시가 있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으며, 수행이 개시되면 상기 온수취출밸브의 개폐여부를 확인한다(S01 단계). 온수취출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온수가 공급되므로 온수조 내부의 온도가 크게 변동되고 이러한 온도의 변화는 단열성능의 변화와 무관한 것이기에 정확한 측정이 어려우므로 온수취출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만 온수조 이상유무를 확인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4, the determination of abnormality of the hot water tank may be performed periodically or when the user instructs the user. When the start of the hot water tank is started, it is checked whether the hot water extraction valve is opened or closed (step S01). Since hot water is supplied when the hot water valve is op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hot water tank is greatly changed, and since the change of temperature is not related to the change of insulation performance, it is difficult to make accurate measurements. Check for presence.

만일, 온수취출밸브가 폐쇄된 상태인 것이 확인되면, 상기 히터의 작동주기를 측정한다(S02 단계). 여기서, 히터의 작동주기란 히터의 작동이 정지된 후 온수조 내부의 온수 온도가 저하되어 히터가 재작동될 때까지의 시간을 의미한다. 이외에도, 히터의 작동시간과 관련된 임의의 값들이 작동주기로서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히터가 작동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이를 작동주기로 할 수도 있다. 다른 조건이 동일한 상태에서는 단열성능이 낮을수록 손실되는 열량이 많으므로 히터의 작동시간이 길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이렇듯 히터의 작동과 관련하여, 단열성능에 변화가 있는 경우에 달라질 수 있는 임의의 파라미터를 상기 작동주기로서 활용할 수 있다.If it is confirmed that the hot water extraction valve is closed, the operating cycle of the heater is measured (step S02). Here, the operating cycle of the heater means a time after the operation of the heater is stopped until the hot water temperature inside the hot water tank is lowered and the heater is restarted. In addition, any value related to the operating time of the heater may be used as the operation period, for example, it may be determined by measuring the time when the heater is operated. This is because, under other conditions, the lower th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the greater the amount of heat lost and the longer the operating time of the heater. As such, with regard to the operation of the heater, any parameter that may vary in case of a change in the insulation performance may be utilized as the operation cycle.

그 후, 측정된 측정주기를 기준주기와 비교한다(S03 단계). 여기서, 기준주기란 온수조가 정상인 상태를 유지할 때, 히터의 작동주기를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5는 온수조의 단열성능 변화에 따른 히터의 작동주기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로서, (a)는 온수조 단열성능이 정상인 경우에 해당되고, (b)는 온수조 단열성능에 이상이 있는 경우, 예를 들어 진공도가 낮아진 경우에 해당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온수조가 정상인 경우에 비해서 비정상인 경우에 히터의 작동주기가 매우 짧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Thereafter, the measured measurement cycle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cycle (step S03). Here, the reference period refers to the operation cycle of the heater when the hot water tank maintains the normal state. In this regard, Figure 5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the operating cycle of the heater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hot water tank, (a) corresponds to the case where the hot water tank insulation performance is normal, (b) is to the hot water tank insulation performance. If there is an abnormality, for example, the vacuum degree is lowered. Referring to Figure 5, it can be seen that the operating cycle of the heater is very short when the hot water tank is abnormal compared to the case.

이러한 작동주기의 변화는 일반적인 단열재를 이용한 온수조에 비해서, 진공온수조를 사용하는 경우에 더욱 두드러지는데, 진공 온수조의 경우 진공도의 변화에 따라서 단열성능이 크게 변화하기 때문에 작동주기의 변화만으로도 충분히 단열성능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e change in the working cycle is more prominent in the case of using a vacuum hot water tank than in a hot water tank using a general heat insulator. In the case of a vacuum hot water tank, the heat insulating performance is greatly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degree of vacuum. You can check whether or not.

따라서, 상기 S03 단계에서 측정주기가 기준주기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진공 온수조의 단열성능에 이상이 있는 경우이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서 이상이 발생했음을 표시한다.Therefore,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03 that the measurement period is lower than the reference period, since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vacuum hot water tank, it indicates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through the display unit.

여기서, 상기 기준 주기는 제품 설계 및 개발 단계에서 상기 히터의 사양이나 온수조의 단열성능 등을 감안하여 결정하거나, 복수 회의 테스트를 실시하여 결정된 값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기준 주기는 상기 정수기가 설치되는 장소의 환경이나 공급되는 수원의 온도 등에 의해 달라질 수 있는 것이므로, 제품을 최초에 설치한 후에 복수 회에 걸쳐서 작동 주기를 측정하고 이렇게 측정된 값들의 평균치를 기준 주기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 주기는 상기 S03 단계에서 측정추기가 정상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평균값을 계산하기 위한 수치의 하나로서 사용하여, 매번 측정시마다 기준 주기가 갱신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Here, the reference period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ation of the heater or th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hot water tank in the product design and development stage, or may use the value determined by performing a plurality of tests. However, since the reference period may vary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of the place where the water purifier is installed or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water source, the operation period is measured a plurality of times after the product is initially installed,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measured values is measured. Can be used as a reference cycle. In addition, the reference period may be used as one of numerical values for calculating an average value when the measurement weight is confirmed to be normal in the step S03, so that the reference period may be updated at every measurement.

한편, 상기 히터의 작동주기 외에도 다양한 특성을 진공온수조의 단열성능 확인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데, 일 예로 상기 온수조 내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저하 속도를 근거로 하여 온수조의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온수의 온도저하 속도를 이용하는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the operating cycle of the heater can be used for checking th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vacuum hot water tank, a variety of characteristics, for example, on the basis of the temperature reduction rate of the hot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can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of the hot water tank. Thus, an example using the temperature drop rate of hot water is shown in FIG.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최초에 온수취출밸브의 개폐상태를 확인한 후(S11 단계), 온수취출밸브가 닫힌 상태에서만 온수조의 이상유무를 확인하도록 한다. 그 후,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서 온수조 내부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t1)를 측정한다(S12 단계). 그리고, 사전에 정해진 소정 시간(△t)이 경과한 후에 다시 한번 온수의 온도(t2)를 측정한다(S13 단계).Referring to Figure 6, after confirming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hot water extraction valve initially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4 (S11 step), only whether the hot water tank is closed to check the abnormality of the hot water tank. Thereafter, the temperature t1 of the hot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is measured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step S12). Then,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T elapses, the temperature t2 of the warm water is measured again (step S13).

그 후, S14 단계에서 온도저하의 속도를 기준 속도와 비교한 후, 기준속도 보다 측정된 온도저하 속도가 큰 경우에는 온수조의 단열성능이 저하된 경우에 해당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서 에러 메세지를 출력한다(S15 단계).Thereafter, after comparing the speed of temperature reduction with the reference speed in step S14, if the measured temperature reduction speed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speed, the heat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hot water tank is deteriorated. Therefore, an error message is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Step S15).

Claims (16)

정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하는 가열수단;
상기 온수를 저장하는 단열 공간을 제공하는 온수조;
상기 온수조 내부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감지수단; 및
상기 온도 감지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가열수단의 작동 주기를 측정하고, 이를 기준 주기와 비교하여 상기 온수조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정수기.
Heating means for heating the purified water to generate hot water;
A hot water tank providing an adiabatic space for storing the hot water;
Temperature sensing means for measuring a temperature of hot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An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means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means.
The control unit measures a working cycle of the heating means, and compares it with a reference period to determine whether the hot water tank is abnorm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주기는 사전에 결정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reference period is a predetermined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주기는 가열수단의 작동 추기를 복수 회에 걸쳐서 측정한 값들로부터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reference period is determined from values measured over a plurality of times of the bleeding of the heating mean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주기는 복수 개의 측정값의 평균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reference period is an average of a plurality of measured values.
정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하는 가열수단;
상기 온수를 저장하는 단열 공간을 제공하는 온수조;
상기 온수조 내부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감지수단; 및
상기 온도 감지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감지수단을 통해서 상기 온수조 내에 저장된 온수가 설정 온도까지 냉각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고, 이를 기준 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온수조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정수기.
Heating means for heating the purified water to generate hot water;
A hot water tank providing an adiabatic space for storing the hot water;
Temperature sensing means for measuring a temperature of hot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An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means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means.
The control unit is a water purifier to determine the abnormality of the hot water tank by measuring the time it takes to cool the hot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to the set temperature through the temperature sensing means, and compares it with a reference tim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온도는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이 개시되는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set temperature is a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means is start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시간은 사전에 결정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reference time is a predetermined valu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시간은 상기 온수의 온도 변화를 복수 회에 걸쳐서 측정한 값들로부터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reference time is a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ed from the values measured over a plurality of times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hot wat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시간은 복수 개의 측정값의 평균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8,
And said reference time is an average of a plurality of measured values.
온수조 내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에 따라서 작동 및 정지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정수기의 진단방법으로서,
온수조 내의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온수가 제1 온도에서 제2 온도까지 하강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시간과 기준 시간을 대비하여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진단방법.
A diagnostic method of a water purifier comprising heating means which are operated and stopp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hot water stored in a hot water tank,
Measuring a temperature of hot water in the hot water tank;
Measuring a time taken for the hot water to fall from the first temperature to the second temperature;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abnormality by comparing the measured time and the reference time; Diagnosis method of a water purifier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는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이 정지되는 온도이고, 제2 온도는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이 개시되는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진단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And wherein the first temperature is a temperature at which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means is stopped, and the second temperature is a temperature at which operation of the heating means is starte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시간은 사전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진단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And the reference time is input in advan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시간은 상기 온수의 온도 변화를 복수 회에 걸쳐서 측정한 값들로부터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진단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reference time is a diagnostic method of the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ed from the values measured over a plurality of times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hot water.
온수조 내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에 따라서 작동 및 정지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정수기의 진단방법으로서,
온수조 내의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온도를 근거로 하여 상기 가열수단을 작동 및 정지시키는 단계;
상기 가열수단이 정지된 후 작동되기까지의 주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주기와 기준 주기를 대비하여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진단방법.
A diagnostic method of a water purifier comprising heating means which are operated and stopp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hot water stored in a hot water tank,
Measuring a temperature of hot water in the hot water tank;
Starting and stopping the heating means based on the measured temperature;
Measuring a period of time after the heating means is stopped and operated; And
And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comparison with the measured period and the reference period.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주기는 사전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진단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the reference period is input in advanc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주기는 복수 회에 걸쳐서 측정한 값들로부터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진단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said reference period is determined from the values measured over a plurality of times.
KR1020110002433A 2011-01-10 2011-01-10 Water purifier with self-examination function KR1016128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433A KR101612814B1 (en) 2011-01-10 2011-01-10 Water purifier with self-examination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433A KR101612814B1 (en) 2011-01-10 2011-01-10 Water purifier with self-examination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948A true KR20120080948A (en) 2012-07-18
KR101612814B1 KR101612814B1 (en) 2016-04-15

Family

ID=46713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2433A KR101612814B1 (en) 2011-01-10 2011-01-10 Water purifier with self-examination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281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2677A (en) * 2012-09-07 2014-03-17 코웨이 주식회사 Water purifier for self-inspecting and method for the same
US10272272B2 (en) 2014-03-18 2019-04-30 Hironic Co., Ltd. High-intensity focused ultrasound operation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5154A (en) * 2005-12-01 2007-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Hot water storage type water hea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2677A (en) * 2012-09-07 2014-03-17 코웨이 주식회사 Water purifier for self-inspecting and method for the same
US10272272B2 (en) 2014-03-18 2019-04-30 Hironic Co., Ltd. High-intensity focused ultrasound operation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2814B1 (en) 2016-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4640B2 (en) Water purifying apparatus
KR20120080948A (en) Water purifier with self-examination function
US10794792B2 (en) Leak detection system
CN207894593U (en) A kind of multi-way valve pressure-resistant test system
US9533894B2 (en) Water filtering system with temperature sensing
KR20140021401A (en) Apparatus for inspecting water purifier and method for inspecting water purifier
KR20020086356A (en) Evaporator
KR20140078520A (en) Water level sensing structure and wataer level sens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515747B1 (en) Water purifiers and cold water supply method thereof
KR20140040455A (en) Filter assembly and a method of control of the same
US11879812B2 (en) Refrigerator appliance water filter with embedded leak sensor
BE1023923B1 (en) METHOD AND DETECTOR FOR DETECTING AIR BUBBLES OR AIR CONCLUSIONS IN A SYSTEM, AS WELL AS AN INSTALLATION CONTAINING SUCH DETECTOR
US11137316B2 (en) Leak detection system
KR101141472B1 (en) Water dispensor with detecting means for filter replacement
JP2014074546A (en) Water heater
KR101114764B1 (en) Water supply apparatus
JP5593145B2 (en) Hot water system
CN109292843B (en) Control method of integrated household appliance system and integrated household appliance system
JP2018111531A (en) Water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the same,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for the same
JP2009168739A (en) Gas meter with self-diagnostic function
JP2010048265A (en) Cutoff system
KR20050121372A (en) Display for working state of water purifier with type of undersink
KR100644949B1 (en) Definite high water level of refrigerants water tank ion purifier and automatic drain method of refrigerants water tank ion purifier and control method of refrigerants water tank ion purifier and definite high water level of purifier and automatic drain method of purifier and control method of purifier
JP4205984B2 (en) Membrane filtration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2017129392A (en) Gas me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