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1472B1 - Water dispensor with detecting means for filter replacement - Google Patents

Water dispensor with detecting means for filter replac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1472B1
KR101141472B1 KR1020090116116A KR20090116116A KR101141472B1 KR 101141472 B1 KR101141472 B1 KR 101141472B1 KR 1020090116116 A KR1020090116116 A KR 1020090116116A KR 20090116116 A KR20090116116 A KR 20090116116A KR 101141472 B1 KR101141472 B1 KR 101141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onductive member
water
mounting por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1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59397A (en
Inventor
김영진
서광하
정경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6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1472B1/en
Publication of KR20110059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93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4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3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3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flow measu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교체 감지 수단을 갖는 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급수될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를 통해 여과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조; 상기 저장조 내에 저장된 물을 취출하는 취출부; 상기 필터부가 장착되는 필터 장착부; 및 상기 필터의 사용기간 또는 사용정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카운터;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장착부에는 상기 필터부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부와 접촉되는 초기화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초기화 수단은 상기 필터부가 상기 초기화 수단으로부터 분리된 경우에 상기 카운터를 초기화시키는 급수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ter supply device having filter change detection means, comprising: a filter portion for filtering water to be supplied; A reservoir for storing the filtered water through the filter unit; A take-out unit for taking out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A filter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filter portion is mounted; And a counter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use period or the degree of use of the filter, wherein the filter mounting portion includes an initializing means for contacting the filter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ilter portion is mounted, Wherein the counter is initialized when the unit is disconnected from the initializing means.

급수 장치, 필터 교체, 정수기, 초기화. Water supply device, filter replacement, water purifier, initialization.

Description

필터교체 감지 수단을 갖는 급수장치{WATER DISPENSOR WITH DETECTING MEANS FOR FILTER REPLACEMENT}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본 발명은 필터교체 감지 수단을 갖는 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급수되는 물을 정화하기 위한 필터가 교체된 경우에 필터 교체 상태를 자동으로 초기화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upply device having filter change detection means,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supply device having means for automatically initializing a filter replacement state when a filter for purifying water to be supplied is replaced.

정수기 또는 냉장고 등에 구비되는 급수장치는 저장조 내부에 저장된 물을 사용자의 조작이 있는 경우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저장된 물을 단순히 공급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이를 정화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로 구비하는 경우가 많다.A water supply device provided in a water purifier or a refrigerator is a device that enables water stored in a storage tank to be supplied when a user operates the water storage device and further includes a function of purifying the stored water There are many.

구체적으로, 이러한 정수 기능을 갖는 급수장치는 크게 오염물질이 포함된 원수(原水)에서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를 지난 정수(淨水)를 저장하는 수조부, 상기 수조부에 저장된 정수를 취출시키는 취출부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부는 사용시간이 늘어날 수록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쌓이게 되므로 적정한 시간에 교체하지 않으면 최적의 정수 성능을 얻기가 곤란하다.Specifically, the water supply device having the water purification function includes a filter unit for filtering out pollutants from raw water containing pollutants, a water collection unit for storing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it, And a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an integer. In this case, as the use time of the filter unit increases,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raw water accumulat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obtain optimal water purification performance unless the filter unit is replaced at a proper time.

따라서, 종래의 급수장치들은 필터의 수명이 다한 경우에 그 교체 시기를 사 용자에게 통보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데, 통상적으로는 플로우 미터 등을 내장하여 필터를 통해 여과된 물의 총량을 측정하고 그 총량이 소정의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필터의 수명이 다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 수단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알리게 된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water supply devices have a function of notifying the user of the replacement time when the filter has reached the end of its life. Normally, a flow meter or the like is built in to measure the total amount of the filtered water through the filter, Exceeds the predetermined criter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lter has reached the end of its life, and it is notified to the user through visual or auditory means.

따라서, 수명이 다한 필터를 교체한 후 정상적인 작동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급수장치 내부에 포함된 급수량 카운터를 초기화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급수장치의 내부에 초기화 버튼을 구비하게 되며, 필터 교체작업이 완료되면 작업기사 또는 사용자가 상기 초기화 버튼을 눌러 급수량 카운터를 초기화시키게 된다.Therefore, in order to perform normal operation after replacing the filter whose lifetime has expired, the water quantity counter included in the water supply device must be initialized. For this purpose, an initialization button is provided inside the water supply device. When the filter replacement operation is completed, the operator or the user presses the initialization button to initialize the water supply amount counter.

그러나, 교체 작업 중 부주의 등으로 인해 상기 초기화 버튼을 누르는 것을 누락하거나 초기화 버튼의 불량이 있는 경우에는 초기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필터를 교체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필터 교체가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기기가 오작동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f the initialization button is not pressed due to carelessness during the replacement operation, or if there is a failure of the initialization button, the initialization is not performed, so that the filter is not replaced even though the filter has been replaced. hav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초기화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필터의 탈부착만으로도 초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급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 technical object to provide a water supply device that can be initialized by only removing and attaching a filter without performing an initialization operation.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급수될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를 통해 여과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조; 상기 저장조 내에 저장된 물을 취출하는 취출부; 상기 필터부가 장착되는 필터 장착부; 및 상기 필터의 사용기간 또는 사용정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카운터;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장착부에는 상기 필터부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부와 접촉되는 초기화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초기화 수단은 상기 필터부가 상기 초기화 수단으로부터 분리된 경우에 상기 카운터를 초기화시키는 급수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ltering apparatus comprising: a filter unit for filtering water to be supplied; A reservoir for storing the filtered water through the filter unit; A take-out unit for taking out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A filter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filter portion is mounted; And a counter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use period or the degree of use of the filter, wherein the filter mounting portion includes an initializing means for contacting the filter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ilter portion is mounted, Wherein the counter is initialized when the unit is disconnected from the initializing means.

본 발명의 상기 측면은 필터부의 탈착과정에서 필터부에 의해 눌려지거나 접촉되는 초기화 수단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별도의 조작없이도 상기 카운터가 초기화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를 통해서 급수장치가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필터 교체를 보다 편리하게 하고 있다.The abov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itializing means that is pressed or contacted by a filter unit during a process of attaching / detaching a filter unit, so that the counter can be initialized without any operation, thereby preventing a water supply device from malfunctioning Making it easier to replace the filter.

여기서, 상기 초기화 수단은 상기 필터 장착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누름 스위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누름 스위치는 필터부가 분리된 경우에는 돌출되고, 필터부가 장착된 경우에는 눌려져서 상기 카운터를 초기화하도 록 한다.Here, the initialization means may include a push switch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ilter mounting portion, and the push switch may protrude when the filter portion is separated, and may be pressed when the filter portion is mounted to initialize the counter Lock.

또한, 상기 초기화 수단은 상기 필터 장착부에 구비되는 단자부 및 상기 필터부에 구비되는 전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가 상기 필터 장착부에 장착되면 상기 전도성 부재가 상기 단자부와 접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단자부는 상기 전도성 부재가 단자부에 접촉되는 경우에 통전되어 상기 카운터를 초기화한다.The initialization means may include a terminal portion provided in the filter mounting portion and a conductive member provided in the filter portion. When the filter portion is mounted on the filter mounting portion, the conductive member may be configured to contact the terminal portion. The terminal portion is energized to initialize the counter when the conductive member contacts the terminal portion.

여기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필터 장착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부재는 상기 필터부에 장착되는 금속성 판재를 포함하도록 하여, 금속성 판재가 두 개의 전극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Here, the terminal portion may include a pair of electrodes protruding from the filter mounting portion, and the conductive member may include a metallic plate to be attached to the filter portion so that the metallic plat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wo electrodes can do.

한편, 상기 필터 장착부에는 상기 전도성 부재와 접하는 걸림부가 추가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필터 장착부에서 상기 필터부를 분리하는 경우에 상기 전도성 부재를 물리적으로 변형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전도성 부재를 물리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필터부가 재장착되더라도 상기 초기화 수단이 작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수명이 다한 필터가 재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lter mount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n engaging portion contacting the conductive member, and the engaging portion may physically deform the conductive member when the filter portion is detached from the filter mounting portion. By physically deforming the conductive member in this manner, the initialization mean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operated even if the filter unit is mounted again, thereby preventing the filter having a shortened life span from being reused.

여기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전도성 부재가 파단되도록 할 수도 있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필터부를 상기 필터 장착부에 재장착한 경우에 상기 단자부와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전도성 부재를 변형시킬 수도 있다.Here, the latching portion may break the conductive member, and the latching portion may deform the conductive member so as not to contact the terminal portion when the filter portion is reattached to the filter mounting portion.

또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필터 장착부의 내부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탄성 지지되며, 상기 필터부가 장착될 때에는 상기 필터 장착부에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필터부가 분리될 때에는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전도성 부재를 변형시킬 수도 있다. 즉, 상기 필터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도성 부재가 상기 걸림부에 걸리지 않지만, 분리하는 경우에 상기 전도성 부재가 상기 걸림부에 걸려서 전도성 부재가 파단 또는 변형되는 것이다.The engaging portion is elastically supported so as to be slidable in the filter mounting portion. When the filter portion is mounted, the engaging portion is accommodated in the filter mounting portion. When the filter portion is separated, the engaging portion is held in a protruded state, It is possible. That is, when the filter is mounted, the conductive member is not caught by the retaining portion. However, when the filter is detached, the conductive member is caught by the retaining portion and the conductive member is broken or deformed.

여기서, 상기 걸림부에는 상기 필터부가 장착되는 과정에서 필터부와 접하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경사면으로 인해서 걸림부가 필터부와의 접촉에 의해 필터 장착부 내부로 보다 용이하게 슬라이드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an inclined surface contacting the filter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may be more easily slid into the filter mounting portion due to the contact with the filter portion due to the inclined surface.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급수될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가 장착되는 필터 장착부; 및 상기 필터의 사용기간 또는 사용정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카운터;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장착부에는 상기 필터부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부와 접촉되는 초기화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초기화 수단은 상기 필터부와 접촉되면서 상기 카운터를 초기화시키는 급수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lter unit for filtering water to be supplied; A filter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filter portion is mounted; And a counter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use period or the degree of use of the filter, wherein the filter mounting portion includes an initializing means for contacting the filter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ilter portion is mounted, A water supply device is provided for initializing the counter in contact with the part.

상기 측면에서 상기 초기화 수단은 필터가 장착되면 필터부에 의해 접촉되면서 카운터를 초기화시키고, 그 때부터 급수량 또는 사용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시작하는 것이다.In this aspect, the initialization means initializes the counter while being contacted by the filter unit when the filter is installed, and starts to stor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water or use time from that time.

여기서, 상기 초기화 수단은 상기 필터 장착부에 구비되는 단자부 및 상기 필터부에 구비되는 전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가 상기 필터 장착부에 장착되면 상기 전도성 부재가 상기 단자부와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initialization means may include a terminal portion provided in the filter mounting portion and a conductive member provided in the filter portion, and when the filter portion is mounted on the filter mounting portion, the conductive member may be configured to contact the terminal portion.

여기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필터 장착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 의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부재는 상기 필터부에 장착되는 금속성 판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terminal portion may include a pair of electrodes protruding from the filter mounting portion, and the conductive member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etallic plate to be mounted on the filter portion.

그리고, 상기 필터 장착부에는 상기 전도성 부재와 접하는 걸림부가 추가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필터 장착부에서 상기 필터부를 분리하는 경우에 상기 전도성 부재를 물리적으로 변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lter mount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n engaging portion contacting the conductive member, and the engaging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physically deform the conductive member when the filter portion is detached from the filter mounting portion.

또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필터 장착부의 내부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탄성지지되며, 상기 필터부가 장착될 때에는 상기 필터 장착부에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필터부가 분리될 때에는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전도성 부재를 변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engaging portion is elastically supported so as to be slidable in the filter mounting portion. When the filter portion is mounted, the engaging portion is accommodated in the filter mounting portion. When the filter portion is separated, the engaging portion is held in a protruded state to deform the conductive member .

그리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전도성 부재를 파단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latching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break the conductive member.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측면들에 의하면, 필터 교체과정에서 별도의 조작이 없이도 필터의 탈부착만으로 카운터가 초기화되므로 필터 교체 과정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기기의 오동작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since the counter is initialized only by detachment and attachment of the filter without any special operation in the filter replacement process, the filter replacement process is facilitated and the malfunction of the device can be minimized to provid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급수장치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급수장치의 일 실시예가 구비되는 정수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수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좌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정수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여 기서, 본 발명은 반드시 정수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터부가 장착되어 이를 통해 여과된 물을 급수할 수 있는 임의의 급수장치, 예를 들어 냉장고의 디스펜서 등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2 is a left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water purifier shown in Fig. 1, Fig. 3 is a view showing the water purifier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right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water purifier, but may be applied to any water supply device, for example, a dispenser of a refrigerator, which is equipped with a filter unit and can supply filtered water through the filter unit.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정수기(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3)에 구비되며, 외부 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 의해 여과된 물을 저장하는 수조부 및 수조부에 저장된 물을 사용자의 요구가 있는 경우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취출부를 포함한다.1 to 3, the water purifier 10 is provided in a case 13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nd includes a filter unit for filtering water supplied from an external water source, a filter unit for storing water filtered by the filter unit, And a take-out part for selectively supplying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receiving part when there is a user's request.

여기서, 상기 케이스(13)는 일반적으로 육면체의 형상으로 마련되나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13)의 전면에는 상기 정수기(10)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버튼(51)과 상기 정수기(10)의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53)이 구비된다. 상기 조작 버튼(51)에는 급수될 물의 종류(예를 들어,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 및 전원 버튼 등을 포함한다.Here, the case 13 is generally formed in a hexahedron shape, but the shape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 operation button 51 for operat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10 and a display unit 53 for displaying the state of the water purifier 10 ar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13. The operation button 51 includes a button for selecting a type of water to be supplied (for example, cold water or hot water), a power button, and the like.

또한, 상기 케이스(13)의 내부 일 측에는 상기 정수기(10)의 내부 각 구성과 신호 전달을 통해 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제어 회로 및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저장 수단에는 상기 필터부를 통해 급수된 총 급수량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고, 이를 통해서 필터부의 수명이 도래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카운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카운터는 반드시 총 급수량에 근거하여 필터부의 수명을 확인하는 것은 아니며, 필터부를 통해 급수가 이루어지는 총 작동시간에 근거하여 수명을 확인할 수도 있고, 이들을 모두 활용하여 수명을 확인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control unit 11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10 through signal transmission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ase 13. The control unit 110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a control circuit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are mounted. Information on the total amount of water supplied through the filter unit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It is possible to perform a function as a counter for checking whether or not the life of the part has arrived. Here, the counter does not necessarily check the lifetime of the filter unit based on the total water supply amount. The life of the filter unit can be checked based on the total operation time of the water supply through the filter unit, and the lifetime can be confirmed by utilizing all of them.

여기서, 상기 필터부는 수돗물 또는 저수조 등과 같은 수원(水原)에서 도입된 물(이하, 원수(原水)라 함)를 정수(淨水)로 정화하는 장치이다.Here, the filter unit is a device for purifying water introduced from a water source such as tap water or a water tank (hereinafter referred to as raw water) by water.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21)와, 상기 필터(21)가 체결되어 고정되는 필터 장착부(23)가 마련된 필터 헤드(2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 헤드(27)에는 상기 필터(21)로 원수가 공급되게 가이드하며 상기 필터(21)로부터 배출되는 정수를 상기 수조부로 가이드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lter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filter 21 and a filter head 27 having a filter mounting unit 23 to which the filter 21 is fastened and fixed. In this case, the filter head 27 may be provided with a channel for guiding the raw water to the filter 21 and guiding the purified water discharged from the filter 21 to the water tub.

여기서, 상기 필터(21)가 복수 개로 마련되는 경우 상기 유로(25)는 상기 복수 개의 필터(21)를 상기 수원과 상기 수조부의 사이에서 직렬로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Here, when the plurality of filters 21 are provided, the flow path 25 may be provided to connect the plurality of filters 21 in series between the water source and the water receiving unit.

이와 다르게,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21)와 상기 필터(21)의 입구를 상기 수원에 연결시키고 상기 필터(21)의 출구를 상기 수조부에 연결시키는 배관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ernatively, the filter unit may be provided as a pipe connecting the inlet of the at least one filter 21 and the filter 21 to the water source and connecting the outlet of the filter 21 to the water receiving unit, to be.

여기서, 상기 필터(21)는, 세디먼트 필터(sediment filter), 프리카본 필터(pre-carbon filter),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reverse omosis membrane filter), 포스트카본 필터(post-carbon filter), 중공사막 필터(ultra filtration filter), 나노필터(nano-filtration filter)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filter 21 may be a sediment filter, a pre-carbon filter, a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a post-carbon filter, An ultrafiltration filter, a nano-filtration filter, and the like.

상기 세디먼트 필터는 부직포가 적용되어 원수에 함유된 이물질과 부유물질 을 여과한다. 상기 프리카본 필터는 계면 활성탄이 적용되어 원수에 함유된 염소 성분이나 냄새 등을 여과한다. 상기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는 0.001㎛ 정도의 미세한 입자를 여과한다. 상기 포스트 카본필터는 프리카본 필터의 계면 활성탄보다 흡착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여 색소와 냄새를 제거한다. 상기 중공사막 필터는 가운데가 비어 있는 실 모양의 막이 적용되어 원수에 함유된 세균을 여과한다.In the sediment filter, a nonwoven fabric is applied to filter foreign matters and suspended matters contained in raw water. The above-mentioned free carbon filter is subjected to filtration of chlorine components and odors contained in raw water by applying surfactant charcoal.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filters fine particles of about 0.001 탆. The post-carbon filter is relatively more excellent in adsorbing force than the surfactant carbon in the pre-carbon filter, thereby removing coloring matter and odor.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filters the bacteria contained in the raw water by applying a thread-like membrane having an empty center.

한편, 상기 수원과 상기 필터부를 연결하는 배관에는, 상기 필터부로 공급되어 상기 필터(21)의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는 오염물질은 미리 제거하는 프리필터(26)와 상기 필터부로의 원수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원수공급밸브(24)와 상기 필터부의 수명 도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필터부로 공급되는 원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 감지부(22)가 구비된다.Meanwhile, a pipe connecting the water source and the filter unit is provided with a pre-filter 26 for removing contaminants which are supplied to the filter unit and can reduce the efficiency of the filter 21, A raw water supply valve 24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raw water and a flow rate sensing unit 22 for measuring the flow rate of the raw water supplied to the filter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filter unit reaches the life of the filter unit.

여기서, 상기 원수공급밸브(24)는, 수동으로 개폐하는 게이트 밸브(gate valve), 콕 밸브(cock valve) 등으로 마련되거나, 자동으로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로 마련될 수 있다.The raw water supply valve 24 may be a gate valve, a cock valve, or the like, which is manually opened or closed, or may be a solenoid valve that is automatically opened or closed.

상기 수조부는, 상기 필터부에 의해 정화된 정수가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된 저장탱크(3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31)에는 저장된 정수가 소정의 양이 되면 부력에 의해 정수의 공급을 차단하는 플로트 밸브(float valve)(3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수조부는 상기 저장탱크(31) 외에 상기 저장탱크(31)와 각각 연통되게 구비되는 냉수조(33)와 온수조(35)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The water tub includes a storage tank 31 in which a space for storing purified water purified by the filter unit is formed. The storage tank 31 is provided with a float valve 34 for blocking the supply of purified water by buoyancy when the stored purified water reaches a predetermined amount. The water tank further includes a cold water tank 33 and a hot water tank 35 which are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31 in addition to the storage tank 31.

상기 냉수조(33)는 상기 저장탱크(31)의 하부에 상기 저장탱크(31)와 일체로 또는 결합되어 서로 연통되게 설치되며, 두 공간을 구획하되 상기 저장탱크(31)에 저장된 정수가 공급되도록 정수공급홀(32a)이 형성된 구획판(32)이 구비된다.The cold water tank 33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tank 31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31 integrally with or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31. The cold water tank 33 is divided into two spaces, A partition plate 32 having a purified water supply hole 32a is provided.

상기 온수조(35)는 상기 저장탱크(31)와 별개로 마련되며, 상기 저장탱크(31)와 연통되게 마련되며 상기 구획판(32)으로부터 연장된 정수 공급관(36)을 통해 정수를 공급받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정수 공급관(36)에는 상기 온수조(35)로 공급되는 정수의 양을 제어하는 온수량 제어밸브(36a)가 설치된다. 이에 의해, 상기 냉수조(33)에 저장되는 냉수의 양은 상기 플로트 밸브(34)플로트 밸브(34) 온수조(35)에 저장되는 온수의 양은 상기 온수량 제어밸브(36a)에 의해 조절되게 된다.The hot water tank 35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storage tank 31 and is supplied with purified water through a purified water supply pipe 36 extending from the partition plate 32 in communication with the storage tank 31 Respectively. The water supply pipe 36 is provided with a water quantity control valve 36a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hot water tank 35. The amount of cold water stored in the cold water tank 33 is controlled by the warm water control valve 36a so that the amount of hot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35 of the float valve 34 float valve 34 .

상기 냉수조(33)의 외부 둘레에는 저장된 정수의 냉각을 위한 열교환기(33b)(예를 들어, 증발기 등)가 감겨져 있고, 상기 온수조(35)의 외부 둘레에는 저장된 정수의 가열을 위한 히터(35b)가 설치된다. 이외에도, 열교환율의 향상을 위해 상기 열교환기(33b)와 상기 히터(35b)가 상기 냉수조(33)와 상기 온수조(35)의 내부에 설치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A heat exchanger 33b (for example, an evaporator or the like) for cooling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outside of the cold water tank 33 is wound around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35. A heater (35b). In addition, the heat exchanger 33b and the heater 35b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old water tank 33 and the hot water tank 35 in order to improve the heat exchange rate.

한편, 상기 냉수조(33)와 온수조(35)에는 각각 그에 저장된 냉수와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33a,35a)가 구비되며, 상기 열교환기(33b) 및 히터(35b)의 동작은 상기 온도센서(33a,35a)에 의해 감지된 온도를 기준으로 제어된다.The cold water tank 33 and the hot water tank 35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temperature sensors 33a and 35a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cold water and hot water stored therein and the operation of the heat exchanger 33b and the heater 35b Is controlled based on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s (33a, 35a).

여기서, 상기 온수조(35)를 상기 저장탱크(31) 및 냉수조(33)와 별개로 마련하는 이유는, 상기 히터(35b)에 의한 열이 상기 냉수조(33) 또는 저장탱크(31)에 영향을 주어 상기 냉수조(33)의 냉각 효율을 저하시키거나, 상기 저장탱크(31)에 저장된 정수에 오염물질의 번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the hot water tank 35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storage tank 31 and the cold water tank 33 is that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er 35b is transmitted to the cold water tank 33 or the storage tank 31, To reduce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cold water tank 33 or to prevent the growth of contaminants in the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31.

특히, 상기 냉수조(33)의 냉각 효율 저하 방지를 위해 상기 저장탱크(31) 및 냉수조(33)와 상기 온수조(35) 사이에 대류에 의한 열교환이 방지되도록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판(32)이 더 구비된다.Particularly, in order to prevent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cold water tank 33 from deteriorating, a partition plate (not shown) for partitioning the space to prevent heat exchange due to convection between the storage tank 31 and the cold water tank 33 and the hot water tank 35 32 are further provided.

상기 취출부는 상기 냉수조(33)와 온수조(35)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13)의 전면으로 노출되게 연장되는 냉수 배관(33c)과 온수 배관(35c), 상기 냉수 배관(33c)과 온수 배관(35c)을 각각 개폐하는 개폐 밸브(43,45), 상기 개폐 밸브(43,45)의 동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레버부(37)를 포함한다.The extrac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cold water tank 33 and the hot water tank 35 and is connected to the cold water pipe 33c and the hot water pipe 35c and the cold water pipe 33c, Off valves 43 and 4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hot water pipe 35c and a lever unit 37 for generating an operation signal of the on-off valves 43 and 45,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개폐 밸브(43,45)는 콕 등과 기구적으로 동작하는 밸브 또는 전기적인 입력을 받아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Here, the on-off valves 43 and 45 may be realized by a valve that operates mechanically with a cock or a solenoid valve that is opened or closed by receiving an electrical input.

도 4는 상기 필터 장착부(23) 및 상기 필터(21)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 장착부(23)의 저면에는 필터(21)의 상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필터 삽입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터 삽입부(23a)는 상기 필터(21)의 상단부 일부분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그 표면에는 돌기 형태를 갖는 누름 스위치(24)가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ilter mounting portion 23 and the filter 21. As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4, a filter insertion portion 23a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ter mounting portion 23, to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21 is inserted and fixed. The filter insertion portion 23a is formed such that a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filter 21 can be inserted therein, and a push switch 24 having a protrusion shape protrudes from the filter insertion portion 23a.

상기 누름 스위치(24)는 상기 필터 장착부(23)의 내부로 슬라이드되면서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누름 스위치(24)는 상기 필터의 상부에 의해 눌려지면서 필터 장착부(23)의 내부로 수납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21)는 필터 몸체부(21a) 및 필터 몸체부(21a)의 상부에 장착되는 캡(21b)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캡(21b)는 얇은 금속 판재로 이루어진다.The push switch 24 is configured to be slid into the filter mounting portion 23 so that the push switch 24 can be accommodated in the filter mounting portion 23 while being pressed by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 Specifically, the filter 21 includes a filter body 21a and a cap 21b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body 21a. The cap 21b is formed of a thin metal plate.

따라서, 상기 필터(21)가 상기 필터 장착부(23)의 필터 삽입부(23a)에 삽입 되면, 상기 캡(21b)에 의해서 상기 누름 스위치(24)가 눌려지게 된다. 도 5는 상기 누름 스위치(24)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누름 스위치(24)는 상기 필터 삽입부(23a)의 내부에 형성되는 설치공(23b)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이때, 상기 누름 스위치(24)의 내측 단부에는 플랜지(24a)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설치공(23b) 외부로 스위치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누름 스위치의 배면에는 코일 스프링(24b)이 개재되어 있어, 외력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누름 스위치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Therefore, when the filter 21 is inserted into the filter insertion portion 23a of the filter mounting portion 23, the push switch 24 is pressed by the cap 21b.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push switch 24. The push switch 24 is accommodated in an installation hole 23b formed in the filter insertion portion 23a. At this time, a flange 24a is formed at an inner end of the push switch 24 so that the switch is not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installation hole 23b. Further, a coil spring 24b is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push switch so that the push switch is held in a protruded state when there is no external force.

따라서, 필터(21)의 장착으로 인해 상기 누름 스위치(24)가 눌려지게 되고, 누름 스위치(24)가 눌려지면 상기 카운터는 초기화된다. 이로 인해서, 필터가 새로이 장착된 경우에 카운터 역시 초기화되므로 별도의 카운터 초기화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여기서, 상기 누름 스위치(24)가 눌려지는 경우에 카운터가 초기화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누름 스위치(24)가 눌린 상태에서 눌림이 해제될 때, 즉, 필터(21)를 분리할 때 카운터가 초기화되도록 할 수도 있다.Therefore, when the filter 21 is attached, the push switch 24 is pressed, and when the push switch 24 is pressed, the counter is initialized. As a result, when the filter is newly installed, the counter is also initialized, so there is no need to perform a separate counter initialization operation. In this case, the counter is initialized when the push switch 24 is press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When the push switch 24 is pressed and released, that is, the filter 21 It is also possible to cause the counter to be initialized when disconnected.

한편, 상기 필터 삽입부(23a)의 내벽면에는 걸림부(23c)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23c)는 저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면은 필터 삽입부(23a)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21)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평행한 면이 상기 캡(21b)의 단부와 접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21)를 삽입하는 경우에는 상기 캡(21b)이 상기 경사면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필터 삽입부(23a)의 내부에 삽입되지만, 필터(21)를 제거하는 경우에는 상기 걸림부(23c)의 평행면에 의해 캡(21b)이 걸리게 된다.On the other hand, an engaging portion 23c is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ilter insertion portion 23a. 5, the engaging portion 23c is formed to have an inclined bottom face and an upper face parallel to the filter inserting portion 23a. In the state where the filter 21 is inserted,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cap 21b. Therefore, when the filter 21 is inserted, the cap 21b is inserted into the filter insertion portion 23a while moving along the inclined surface. However, when the filter 21 is removed, the engagement portion 23c So that the cap 21b is caught by the parallel surface.

이 상태에서 필터(21)를 완전히 분리하면, 상기 캡(21b)의 양단부가 변형되면서 필터(21)가 분리된다. 이렇게, 캡(21b)이 변형되면, 외관상으로도 정상 필터(21)와 구별할 수 있게 되며, 상기 필터 삽입부(23a)의 내부에도 삽입될 수 없다. 이로 인해서 수명이 다한 필터(21)를 실수로 재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캡(21b)을 제거한 실시예도 고려할 수 있다.When the filter 21 is completely separated in this state, both ends of the cap 21b are deformed and the filter 21 is separated. In this way, when the cap 21b is deformed, it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normal filter 21 in appearance, and can not be inserted into the filter insertion portion 23a. This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the filter 21, which has reached the end of its life, from being reused inadvertently. Of course, embodiments in which the cap 21b is removed may also be considered.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급수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필터 장착부(23)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6 to 8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ectional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except for the filter mounting portion 23,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so that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 장착부(23)의 하부에는 필터 삽입부(23a)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 삽입부(23a)의 내부에는 한 쌍의 전극(26)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전극(26)은 상술한 인쇄회로기판 측과 연결되어 두 개의 전극(26)이 도통되는 경우에 상기 카운터가 초기화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두 개의 전극(26)이 도통되었다가 차단된 경우에 카운터가 초기화되도록 구성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 filter insertion portion 23a is formed below the filter mounting portion 23, and a pair of electrodes 26 is provided inside the filter insertion portion 23a. The electrode 26 is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side so that the counter can be initialized when two electrodes 26 are turned on.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consider an example in which the counter is initialized when the two electrodes 26 are turned on and off.

상기 한 쌍의 전극(26)과 인접하여 돌기부 형태의 걸림부(28)가 설치된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필터 장착부(23)의 내부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며 단부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A protrusion-shaped latching portion 28 is provided adjacent to the pair of electrodes 26. The latching portion is slidably mounted inside the filter mounting portion 23, and the end portion is formed to have an inclined surface.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21)는 상단면에 금속 박판(29)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금속 박판(29)의 저면에는 원주 형태로 연장되는 홈부(29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부(29a)는 상기 필터(21)가 상기 필터 장착부(23)에 장착된 경우에 상기 걸림부(28)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21)는 상기 필터 장착부(23)의 내부에 회전되면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홈부(29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원주 형태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걸림부(28)가 상기 홈부(29a)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필터(21)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7, a metal thin plate 29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21, and a groove 29a extending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hin metal plate 29. [ The groove 29a is formed to receive the latching portion 28 when the filter 21 is mounted on the filter mounting portion 23. [ Here, the filter 21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filter mounting part 23 while being rotated. At this time, since the groove 29a extends in a circumferential shape as described above, the filter 21 can be smoothly rotated even when the engaging portion 28 is inserted into the groove 29a.

도 8은 상기 필터(21)가 상기 필터 장착부(23)에 장착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걸림부(28)는 상기 필터 삽입부(23a)의 내부에 형성된 삽입공(23b) 내부에 코일 스프링(28c)을 개재하여 삽입되고, 일단부에 형성된 플랜지(28a)에 의해 상기 삽입공(23b)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28)는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삽입공(23b)의 내부로 슬라이드하면서 수용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lter 21 is mounted on the filter mounting portion 23. As shown in Fig. The engaging portion 28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3b formed in the filter insertion portion 23a through a coil spring 28c a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3a by a flange 28a formed at one end 23b. Therefore,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latching part 28 is slidably received in the insertion hole 23b, and the protruded state is maintaine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이제, 상기 실시예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필터(21)를 장착하는 경우 상기 걸림부(28)는 상기 필터(21)의 상단면에 의해 눌려져서 상기 삽입공(23a)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 있게 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필터(21)를 회전시키면 필터(21)가 상기 필터 장착부(23)의 내부에 고정되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상기 걸림부(28)는 상기 홈부(29a)와 만나서 홈부(29a)의 내부로 돌출되고, 상기 경사면과 접한 상태에서 상기 금속 박판(29)이 상기 걸림부(28)의 우측으로 이동하여 도 8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금속 박판(29)은 상기 한 쌍의 전극(26) 과 각각 접하게 되어 양자를 도통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카운터가 초기화된다.Now, the operation of the abov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hen the filter 21 is mounted, the engaging portion 28 is push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21 and is accommodated in the insertion hole 23a. When the filter 21 is rotated in this state, the filter 21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filter mounting part 23. In this process, the engaging part 28 meets the groove part 29a, And the metal thin plate 29 moves to the right side of the engaging portion 28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to maintain the state of FIG. In this state, the thin metal plate 29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air of electrodes 26, thereby making them conductive. Thus, the counter is initialized.

참고로 도 8에서 상기 홈부(29a)가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필터(21)가 체결되는 경우이고, 좌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필터(21)가 분리되는 경우에 해당된다.In FIG. 8, when the groove 29a moves to the right, the filter 21 is fastened. When the groove 21 moves to the left, the filter 21 is detached.

그 후, 필터(21)의 수명이 다하여 교체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필터(21)를 분리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분리해 내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상기 금속 박판(29)이 상기 걸림부(28)의 측면에 걸리게 되고, 회전이 계속 되면서 파단되게 된다. 이러한 파단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걸림부(28)의 측면을 삼각형 형태로 할 수도 있다.When the filter 21 is to be replaced due to its end of life, the filter 21 is rotated in the separating direction to separate the metal foil 29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28 And is broken as the rotation continues. In order to facilitate this breakage, the side surface of the latching portion 28 may have a triangular shape.

이렇게 금속 박판(29)이 파단되면 재장착하더라도 한 쌍의 전극(26)을 도통시킬 수 없어 상기 카운터의 초기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재차 필터 교체를 통보하게 된다. 이를 통해, 수명이 다한 필터를 재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금속 박판(29)이 파단된 필터는 외관상으로도 수명 도래 여부를 사용자가 손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If the thin metal plate 29 breaks, the pair of electrodes 26 can not be connected even if the thin metal plate 29 is re-mounted, so that the counter is not initialized and the filter replacement is notified agai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reuse of the filter having the end of life, and the filter with the thin metal plate 29 can be easily recognized by the user whether the life of the filter has been reached.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한 쌍의 전극이 서로 도통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급수 장치가 작동하지 않도록 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In some cases, it may be considered that the water supply device is not operated in a state where the pair of electrodes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급수 장치의 일 실시예가 적용된 정수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ater purifier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수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좌측면도이다.Fig. 2 is a left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water purifier shown in Fig. 1. Fig.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정수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우측면도이다.Fig. 3 is a right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water purifier shown in Fig. 1. Fig.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정수기의 필터 장착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lter mounting structure of the water purifier shown in Fig.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정수기의 필터 장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filter mounting structure of the water purifier shown in Fig.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급수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 중 필터 장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er mounting por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필터 장착부에 장착되는 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er mounted on the filter mounting portion shown in Fig.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필터 장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filter mounting structur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Claims (15)

급수될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A filter unit for filtering the water to be supplied; 상기 필터부를 통해 여과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조;A reservoir for storing the filtered water through the filter unit; 상기 저장조 내에 저장된 물을 취출하는 취출부;A take-out unit for taking out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상기 필터부가 장착되는 필터 장착부; 및A filter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filter portion is mounted; And 상기 필터의 사용기간 또는 사용정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카운터;를 포함하며,And a counter for storing information on a use period or use degree of the filter, 상기 필터 장착부에 구비되는 단자부 및 상기 필터부에 구비되는 전도성 부재를 포함하는 초기화 수단이 구비되고,An initializing means including a terminal portion provided in the filter mounting portion and a conductive member provided in the filter portion, 상기 필터부가 상기 필터 장착부에 장착되면 상기 전도성 부재가 상기 단자부와 접촉되고, 상기 초기화 수단은 상기 전도성 부재가 상기 단자부로부터 분리된 경우에 상기 카운터를 초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장치.Wherein the conductive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portion when the filter portion is mounted on the filter mounting portion, and the initializing means initializes the counter when the conductive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terminal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단자부는 상기 필터 장착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부재는 상기 필터부에 장착되는 금속성 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장치.Wherein the terminal portion includes a pair of electrodes protruding from the filter mounting portion, and the conductive member includes a metallic plate mounted on the filter por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필터 장착부에는 상기 전도성 부재와 접하는 걸림부가 추가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필터 장착부에서 상기 필터부를 분리하는 경우에 상기 전도성 부재를 물리적으로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장치.Wherein the filter mount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latching portion that is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member, and the latching portion physically deforms the conductive member when the filter portion is detached from the filter mounting portion. 제5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전도성 부재를 파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장치.And the engaging portion breaks the conductive member. 제5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걸림부는 상기 필터부를 상기 필터 장착부에 재장착한 경우에 상기 단자부와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전도성 부재를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 장치.Wherein the engaging portion deforms the conductive member so as not to contact the terminal portion when the filter portion is reattached to the filter mounting portion. 제5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걸림부는 상기 필터 장착부의 내부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탄성지지되며, 상기 필터부가 장착될 때에는 상기 필터 장착부에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필터부가 분리될 때에는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전도성 부재를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장치.The engaging portion is resiliently supported so as to be slidable in the filter mounting portion. When the filter portion is mounted, the engaging portion is received in the filter mounting portion. When the filter portion is separated, the engaging portion is maintained in a protruded state to deform the conductive member . 제8항에 있어서,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걸림부에는 상기 필터부가 장착되는 과정에서 필터부와 접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장치.Wherein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contacting the filter portion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filter portion. 급수될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A filter unit for filtering the water to be supplied; 상기 필터부가 장착되는 필터 장착부; 및A filter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filter portion is mounted; And 상기 필터의 사용기간 또는 사용정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카운터;를 포함하며,And a counter for storing information on a use period or use degree of the filter, 상기 필터 장착부에 구비되는 단자부 및 상기 필터부에 구비되는 전도성 부재를 포함하는 초기화 수단이 구비되고,An initializing means including a terminal portion provided in the filter mounting portion and a conductive member provided in the filter portion, 상기 필터부가 상기 필터 장착부에 장착되면 상기 전도성 부재가 상기 단자부와 접촉되고, 상기 초기화 수단은 상기 전도성 부재가 상기 단자부와 접촉되면서 상기 카운터를 초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장치.Wherein when the filter unit is mounted on the filter mounting unit, the conductive member contacts the terminal unit, and the initializing unit initializes the counter while the conductive member contacts the terminal unit. 삭제delete 제10항에 있어서,11.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단자부는 상기 필터 장착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부재는 상기 필터부에 장착되는 금속성 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장치.Wherein the terminal portion includes a pair of electrodes protruding from the filter mounting portion, and the conductive member includes a metallic plate mounted on the filter portion. 제12항에 있어서,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필터 장착부에는 상기 전도성 부재와 접하는 걸림부가 추가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필터 장착부에서 상기 필터부를 분리하는 경우에 상기 전도성 부재를 물리적으로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장치.Wherein the filter mount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latching portion that is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member, and the latching portion physically deforms the conductive member when the filter portion is detached from the filter mounting portion. 제13항에 있어서,14.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걸림부는 상기 필터 장착부의 내부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탄성지지되며, 상기 필터부가 장착될 때에는 상기 필터 장착부에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필터 부가 분리될 때에는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전도성 부재를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장치.The engaging portion is resiliently supported so as to be slidable in the filter mounting portion. When the filter portion is mounted, the engaging portion is received in the filter mounting portion. When the filter portion is separated, the engaging portion is maintained in a protruded state to deform the conductive member . 제14항에 있어서,15.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전도성 부재를 파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장치.And the engaging portion breaks the conductive member.
KR1020090116116A 2009-11-27 2009-11-27 Water dispensor with detecting means for filter replacement KR1011414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116A KR101141472B1 (en) 2009-11-27 2009-11-27 Water dispensor with detecting means for filter replac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116A KR101141472B1 (en) 2009-11-27 2009-11-27 Water dispensor with detecting means for filter replac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397A KR20110059397A (en) 2011-06-02
KR101141472B1 true KR101141472B1 (en) 2012-05-07

Family

ID=44394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116A KR101141472B1 (en) 2009-11-27 2009-11-27 Water dispensor with detecting means for filter replac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147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637B1 (en) * 2017-11-24 2019-11-08 주식회사 알카메디 producer recognizible complex filter and prevention of residual wa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9089A (en) * 1996-04-27 1997-11-07 배순훈 Detection method of filter change time of water purifier
KR20060093390A (en) * 2005-02-21 2006-08-2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An alarm device for changing of the filter of a water purifier
KR20100098427A (en) * 2007-12-21 2010-09-06 말레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Filter device
KR20110017040A (en) * 2009-08-13 2011-02-21 바이오닉스(주) Replacable filter type water purifi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9089A (en) * 1996-04-27 1997-11-07 배순훈 Detection method of filter change time of water purifier
KR20060093390A (en) * 2005-02-21 2006-08-2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An alarm device for changing of the filter of a water purifier
KR20100098427A (en) * 2007-12-21 2010-09-06 말레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Filter device
KR20110017040A (en) * 2009-08-13 2011-02-21 바이오닉스(주) Replacable filter type water pur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397A (en) 201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5308B1 (en) Water purifying apparatus
CN100569345C (en) The water treatment system of sealing
KR102030301B1 (en) Point-of-use water treatment system
US7638042B2 (en) System for monitoring the performance of fluid treatment cartridges
CA2237375C (en) Water filter with pressure actuated flow monitor
US8216466B2 (en) Counter top water filtration system
JP2008514427A5 (en)
US20060157391A1 (en) System for monitoring the performance of fluid treatment cartridges
EP1479428B1 (en) Quick-change filter system and a base for such a system
WO2006055295A1 (en) System for monitoring the performance of fluid treatment cartridges
KR101141472B1 (en) Water dispensor with detecting means for filter replacement
KR100533275B1 (en) A display apparatus for filter exchange information of refrigerator
WO2021155815A1 (en) Filter assembly having leakage detection function
CN220684756U (en) Water purifier with directly connected faucet
JP2006007140A (en) Filtering device
KR20060093390A (en) An alarm device for changing of the filter of a water purifier
JP2008119691A (en) Water purifier
KR20120080948A (en) Water purifier with self-examination function
JP4432216B2 (en) Water purifier
JP4432219B2 (en) Water purifier
US20230250003A1 (en) Water Filtra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US9302920B1 (en) Integrated controller and method for a water filtration system
KR20110055883A (en) A water purifier
JP4176008B2 (en) Water purifier
RU2819763C1 (en) Software and hardware system for water treatment process auto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