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9807A -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9807A
KR20120079807A KR1020110141910A KR20110141910A KR20120079807A KR 20120079807 A KR20120079807 A KR 20120079807A KR 1020110141910 A KR1020110141910 A KR 1020110141910A KR 20110141910 A KR20110141910 A KR 20110141910A KR 20120079807 A KR20120079807 A KR 20120079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substrate
partition plate
board
diffus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19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77428B1 (en
Inventor
신이치 하야시
코우조우 가나가와
테루타카 야마오카
Original Assignee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47679A external-priority patent/JP5569508B2/en
Application filed by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79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98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4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01L21/027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photoresist layers
    • H01L21/0274Photolithographic proces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691Handling of masks or workpieces
    • G03F7/70733Handling masks and workpieces, e.g. exchange of workpiece or mask, transport of workpiece or mas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18Changing orientation of the substrate, e.g. from a horizontal position to a vertical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substrates to be conveyed not being semiconductor wafers or large planar substrates, e.g. chips, lead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PURPOSE: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is provided to prevent gas from being stayed in a substrate transfer region by separating a partition plate from a partitioned location in maintenance. CONSTITUTION: A clean gas supply part(42) is formed in order to be communicated with a gas diffusion chamber in a partition plate. A gas supply path supplies gas to the clean gas supply part. A filter(37) is installed in the gas supply path. A plurality of outlets(45) is formed on a lower portion of the partition plate. The plurality of outlets discharges the gas diffused within the gas diffusion chamber to a substrate transfer region.

Description

기판 처리 장치{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0001]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0002]

본 발명은 기판 반송 영역을 구비하는 기판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is invention relates to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board | substrate conveyance area | region.

반도체 제조 공정 중 하나인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행하는 도포 현상 장치는 레지스트를 포함하는 도포막을 형성하는 복수의 블록과 현상 처리를 행하는 블록이 적층되어 구성되는 경우가 있다. 도 21은 이와 같이 블록이 적층된 도포 현상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 중 101은 상기 도포막의 형성 모듈, 102는 도포막 형성 후의 반도체 웨이퍼(이하, 웨이퍼라고 함)를 가열하는 모듈이다. 103은 반송 암이며, 도포막 형성 모듈(101)과 가열 모듈(102)의 사이에서 웨이퍼(W)를 반송한다. 도면 중 104는 반송 암(103)에 의한 웨이퍼(W)의 반송 영역이며, 가열 모듈(102)과 그 하방에 설치되는 팬 장치(105)에 의해 반송 영역(104)은 배기된다. The coating and developing apparatus which performs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which is one of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es may be comprised by laminating | stacking the some block which forms the coating film containing a resist, and the block which performs a developing process. 21 show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ating and developing apparatus in which the blocks are stacked in this way. 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101 denotes a module for forming the coating film, and 102 denotes a module for heating a semiconductor waf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wafer) after the coating film is formed. 103 is a conveyance arm and conveys the wafer W between the coating film forming module 101 and the heating module 102. In the figure, 104 is a conveyance area | region of the wafer W by the conveyance arm 103, and the conveyance area | region 104 is exhausted by the heating module 102 and the fan apparatus 105 installed below it.

상기 반송 암(103), 도포막 형성 모듈(101) 및 가열 모듈(102) 등의 메인터넌스를 행하기 위하여, 반송 영역(104)은 작업자가 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각 반송 영역(104)의 천장면을 구성하는 구획판(106)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In order to perform maintenance of the said conveyance arm 103, the coating film formation module 101, the heating module 102, etc., the conveyance area | region 104 needs to be comprised so that an operator can enter. To this end, the partition plate 106 constituting the ceiling surface of each conveyance area 104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그런데, 각 반송 영역(104)을 청정한 분위기로 유지하기 위하여, 반송 영역(104) 전체에 청정한 에어의 하강 기류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각 반송 영역(104)의 천장면 전체에 ULPA 필터를 설치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그렇게 하면 상기한 메인터넌스를 행할 때에 ULPA 필터가 방해가 되어 메인터넌스를 행하는 것이 곤란해지므로,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영역(104)의 천장면의 일부에 ULPA 필터(107)를 설치하고 있다. 도면 중에는 점선의 화살표로 ULPA 필터(107)로부터 공급된 에어의 흐름을 도시하고 있고, ULPA 필터(107)의 하방으로 공급된 에어는 팬 장치(105) 및 가열 모듈(102)을 향해 흐르고, 이들 팬 장치(105) 및 가열 모듈(102)의 벽면을 따라 상승한다. 이러한 흐름이 형성되기 때문에, 도면 중의 반송 영역(104)의 중앙부에서는 에어가 체류하고, 이에 의해 충분한 청정도를 유지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By the way, in order to maintain each conveyance area | region 104 in a clean atmosphere,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descending airflow of clean air in the whole conveyance area | region 104. FIG. For this purpose, it is considered to install a ULPA filter on the entire ceiling surface of each conveyance area 104. However, in doing so, the ULPA filter is disturbed when performing the above-mentioned maintenanc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perform the maintenance. As shown in FIG. 21, the ULPA filter 107 is provided on a part of the ceiling surface of the conveyance area 104. Doing. In the figure, a dashed arrow shows the flow of air supplied from the ULPA filter 107, and the air supplied below the ULPA filter 107 flows toward the fan device 105 and the heating module 102, and these Ascends along the walls of fan device 105 and heating module 102. Since such a flow is formed,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air may stay in the center part of the conveyance area | region 104 in a figure, and, thereby, cannot maintain sufficient cleanliness.

특허 문헌 1에는 기판 이송 유닛을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하여,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하는 처리 장치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에어가 체류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Patent Literature 1 describes a processing apparatus that allows a substrate transfer unit to be detachable from a frame to facilitate maintenance, but does not solve the problem of air staying as described above.

일본특허공개공보 2009-117824호(단락 0046 등)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9-117824 (paragraph 0046, etc.)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 하에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서로 구획되고 적층된 기판 반송 영역에서 기체의 체류를 방지하고 또한 각 기판 반송 영역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under such circumstance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technique capable of preventing gas from remaining in a substrate conveying region which is partitioned and stacked on each other and performing maintenance work on each substrate conveying region.

본 발명의 기판 처리 장치는, 기판을 처리하는 처리부로 기판을 반송하기 위한 기판 반송 영역을 구비한 기판 처리 장치에 있어서, 각각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상하로 적층된 제 1 기판 반송 영역 및 제 2 기판 반송 영역과, 상기 제 1 기판 반송 영역 및 제 2 기판 반송 영역을 서로 구획하기 위한 구획 위치에 설치되고, 내부에 기체 확산실을 형성하는 공동(空洞)의 구획판과, 상기 기판 반송 영역의 폭 방향 중앙부로부터 주연부에 걸친 위치에서, 상기 구획판에 상기 기체 확산실에 연통되도록 형성된 청정 기체 공급구와, 상기 청정 기체 공급구로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 공급로와, 상기 기체 공급로에 설치되고, 상기 청정 기체 공급구로 공급하는 기체를 청정화하기 위한 필터와, 상기 구획판의 하면에 형성되고, 확산실에서 확산된 기체를 기판 반송 영역으로 토출하는 다수의 토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구획판은, 메인터넌스 시에 제 2 기판 반송 영역으로부터 제 1 기판 반송 영역을 들여다볼 수 있는 개방 상태로 하기 위하여, 상기 구획 위치로부터 퇴피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of this invention is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board | substrate conveyance area | region for conveying a board | substrate to the process part which processes a board | substrate, Comprising: The 1st board | substrate conveyance area | region and which mutually extend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laminated | stacked up and down mutually, A cavity partition plate provided at a partition position for partitioning the second substrate conveyance region, the first substrate conveyance region and the second substrate conveyance region from each other, and forming a gas diffusion chamber therein; and the substrate conveyance region. A clean gas supply port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gas diffusion chamber on the partition plate at a position spanning from the center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to the gas diffusion chamber, a gas supply path for supplying gas to the clean gas supply port, and provided in the gas supply path, The substrate conveyance of the filter for purifying the gas supplied to the said clean gas supply port, and the ga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said partition board, and the gas diffused in the diffusion chamber.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for discharging to the area, wherein the partition plate is configured to be evacuated from the partition position so as to be in an open state in which the first substrate transport area can be viewed from the second substrate transport area at the time of maintenance.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한 기판 처리 장치의 구체적인 태양으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한 바와 같다. As a specific aspect of sai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it is as follows, for example.

(a) 상기 기체 확산실에는, 상기 기체 확산실을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보다 상기 청정 기체 공급구로부터 횡방향으로 떨어진 제 2 영역으로 구획하는 구획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구획 부재에는 제 1 영역으로부터 제 2 영역으로 상기 청정 기체를 유통시키는 다수의 기체 유통구가 형성된다.(a) The gas diffusion chamber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member for partitioning the gas diffusion chamber into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laterally separated from the clean gas supply port than the first region. A plurality of gas outlets are formed for circulating the clean gas from the first region to the second region.

(b) 상기 기체 확산실에는, 청정 기체 공급구로부터 멀리 있는 가스를 청정 기체 공급구를 향해 돌아오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b) The gas diffusion chamber is provided with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gas distant from the clean gas supply port toward the clean gas supply port.

(c) 상기 가이드 부재는 평면에서 봤을 때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ㄷ 자 형상이 청정 기체 공급구와 반대 방향으로 개구한다. (c) The guide member is formed in a c-shape when viewed in plan, and the c-shape open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lean gas supply port.

(d) 상기 구획판은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d) The partition plate is rotatable about a horizontal axis.

(e) 기판 반송 영역에는, 기판을 반송하기 위한 기판 반송 기구와, 상기 기판 반송 기구를 기판 반송 영역을 따라 가이드하는 반송 가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반송 가이드는, 기판 반송 영역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e) The board | substrate conveyance mechanism for conveying a board | substrate and the conveyance guide which guides the said board | substrate conveyance mechanism along a board | substrate conveyance area | region are provided in the board | substrate conveyance area | region, and the said conveyance guide is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board | substrate conveyance area | region It is.

(f) 기판 반송 영역의 폭 방향의 양측에는 기판에 처리를 행하는 모듈이 설치된다. (f) Modules for processing the substrate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ubstrate conveyance area in the width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토출구가 형성된 구획판에 기체 확산실이 설치되고, 이 구획판이 메인터넌스 시에 구획 위치로부터 퇴피함으로써, 적층되는 기판 반송 영역을 서로 들여다볼 수 있다. 따라서, 기판 반송 영역에서의 기체의 체류를 억제하고 또한 각 기판 반송 영역으로 진입하여 메인터넌스를 행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gas diffusion chamber is provided in a partition plate on which a discharge port is formed, and the partition plate retracts from the partition position at the time of maintenance, whereby the substrate conveyance regions to be stacked can be viewed. Therefore, it becomes easy to suppress gas retention in a substrate conveyance area | region and to enter into each substrate conveyance area | region and to perform maintenanc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도포 현상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도포 현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포 현상 장치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도포 현상 장치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도포 현상 장치에 설치되는 수평 덕트 및 구획판의 표면측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수평 덕트 및 구획판의 이면측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수평 덕트 및 구획판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8은 상기 구획판에 설치되는 확산실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확산실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확산실에 설치되는 구획판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수평 덕트 및 구획판에 설치되는 고정 부재 및 접속구(接續具)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고정 부재가 서로 계합하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3은 상기 구획판을 젖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각 단위 블록의 구획판을 젖힌 상태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 15는 구획판을 분리하는 순서를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16은 구획판을 분리하는 순서를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17은 구획판을 분리하는 순서를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18은 가이드 부재가 설치된 확산실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확산실에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0은 확산실에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1은 종래의 도포 현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 측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of a coating and developing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ating and developing apparatus.
3 is a longitudinal side view of the coating and developing apparatus.
4 is a vertical front view of the coating and developing apparatus.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rface side of the horizontal duct and the partition plate provided in the coating and developing apparatus.
6 is a rear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horizontal duct and the partition plate.
7 is a longitudinal side view of the horizontal duct and the partition plate.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ffusion chamber provided in the partition plate.
9 is a plan view of the diffusion chamber.
10 is a plan view of a partition plate provided in the diffusion chamber.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member and a connection port provided in the horizontal duct and the partition plate.
12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members engage with each other.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partition plate is folded.
14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partition plate of each unit block is rolled up.
15 is a process chart showing a procedure of separating the partition plate.
16 is a process chart showing a procedure of separating the partition plate.
17 is a process chart showing a procedure of separating the partition plate.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ffusion chamber in which the guide member was provided.
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other structure of the guide member installed in a diffusion chamber.
20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guide member provided in the diffusion chamber.
21 is a longitudinal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coating and developing apparatus.

본 발명의 기판 처리 장치의 일 실시예인 도포 현상 장치(1)에 대하여, 도 1 ~ 도 3을 참조하여 그 구성의 개요 및 반도체 웨이퍼(이하, 웨이퍼라고 기재함)(W)의 반송 경로를 설명한다. 도 1은 도포 현상 장치에, 예를 들면 액침 노광을 행하는 노광 장치가 접속된 시스템의 평면도이며, 도 2는 동일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포 현상 장치(1)의 종단면도이다. 이 도포 현상 장치(1)는 캐리어 블록(S1)과 처리 블록(S2)과 인터페이스 블록(S3)을 직선 형상으로 접속시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블록(S3)에는 노광 장치(S4)가 접속되어 있다. With respect to the coating and developing apparatus 1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ine of the configuration and the transfer path of the semiconductor waf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wafer) W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do. 1 is a plan view of a system in which an exposure apparatus for performing liquid immersion exposure is connected to a coating and developing apparatus, for example,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ame system.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ating and developing apparatus 1. The coating and developing apparatus 1 is configured by connecting the carrier block S1, the processing block S2, and the interface block S3 in a straight line shape. In addition, the exposure apparatus S4 is connected to the interface block S3.

캐리어 블록(S1)은, 예를 들면 동일한 로트의 기판인 웨이퍼(W)를 복수 매 포함하는 캐리어(C)를 도포 현상 장치(1)에 반입출시키는 역할을 가지고, 캐리어(C)의 재치대(載置臺)(11)와, 개폐부(12)와, 개폐부(12)를 통해 캐리어(C)로부터 웨이퍼(W)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기구인 전달 암(13)을 구비하고 있다. The carrier block S1 has a role of carrying in / out the carrier C including a plurality of wafers W, which are substrates of the same lot, to the coating and developing apparatus 1, for example. (Iv) 11, the opening-closing part 12, and the transfer arm 13 which is a conveyance mechanism for conveying the wafer W from the carrier C via the opening-closing part 12 are provided.

처리 블록(S2)은 웨이퍼(W)에 액처리를 행하는 제 1 ~ 제 6 단위 블록(B1 ~ B6)이 아래로부터 차례로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고, 각 단위 블록(B)은 하층측으로부터 2 개씩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단위 블록(B1, B2)이 동일한 구성이며, 단위 블록(B3, B4)이 동일한 구성이며, 단위 블록(B5, B6)이 동일한 구성이다. The processing block S2 is configured by stacking first to sixth unit blocks B1 to B6 that perform liquid processing on the wafer W from below, and each unit block B is identical to each other from the lower layer side. It is composed. That is, the unit blocks B1 and B2 have the same configuration, the unit blocks B3 and B4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nd the unit blocks B5 and B6 have the same configuration.

도 4에 도시한 처리 블록(S2)의 종단 측면도도 참조하여, 각 단위 블록 중 대표로 제 2 단위 블록(B2)에 대하여 설명한다. 캐리어 블록(S1)측으로부터 인터페이스 블록(S3)측을 향해 연장되는 웨이퍼(W)의 반송 영역(R1)이 형성되어 있고, 이 반송 영역(R1)의 폭 방향의 양측에는 액처리 유닛(201)과, 복수의 모듈이 적층되는 선반 유닛(U1 ~ U6)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With reference also to the end side view of the processing block S2 shown in FIG. 4, the 2nd unit block B2 is demonstrated as a representative among each unit block. The conveyance area | region R1 of the wafer W extended from the carrier block S1 side toward the interface block S3 side is formed, and the liquid processing unit 201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width direction of this conveyance area | region R1. And shelf units U1 to U6 on which a plurality of modules are stacked are arranged.

액처리 유닛(201)에는 반사 방지막 형성 모듈(BCT)과 레지스트막 형성 모듈(COT)이 설치되어 있다. 반사 방지막 형성 모듈(BCT)은 스핀 코팅에 의해 반사 방지막 형성용의 약액을 도포하기 위하여, 웨이퍼(W)의 이면을 흡착하여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스핀 척(202)과, 약액 공급 노즐(203)을 구비하고 있다. 도면 중 204는 웨이퍼(W)를 둘러싸, 약액의 비산(飛散)을 억제하는 컵이다. 205는 필터이며, 하방의 컵(204) 내로 청정한 에어를 공급한다. 레지스트막 형성 모듈(COT)은 상기 약액이 레지스트인 것 이외에는 반사 방지막 형성 모듈(BCT)과 동일한 구성이다. The liquid processing unit 201 is provided with an antireflection film forming module BCT and a resist film forming module COT. The antireflection film forming module BCT includes a spin chuck 202 for adsorbing the back surface of the wafer W and rotating it about a vertical axis in order to apply a chemical solution for antireflection film formation by spin coating, and a chemical solution supply nozzle 203. ). In the figure, 204 is a cup surrounding the wafer W and suppressing the scattering of the chemical liquid. 205 is a filter and supplies clean air into the lower cup 204. The resist film forming module COT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antireflection film forming module BCT except that the chemical liquid is a resist.

상기 반송 영역(R1)에는 웨이퍼(W)의 반송 기구인 반송 암(A1)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반송 암(A1)은 단위 블록(B1)의 모든 모듈 사이에서 웨이퍼(W)의 전달을 행할 수 있다. 도 4 중 301은 반송 가이드 부재이며, 선반 유닛(U1 ~ U6)의 하부에 반송 영역(R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도면 중 302는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프레임, 303은 프레임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 기체(基體), 304는 승강 기체 상을 회동하는 회동 기체, 305는 회동 기체 상을 진퇴(進退)하는 웨이퍼 지지부이다. The conveyance arm A1 which is a conveyance mechanism of the wafer W is provided in the said conveyance area | region R1. The transfer arm A1 can transfer the wafer W between all modules of the unit block B1. In FIG. 4, 301 is a conveyance guide member, and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shelf unit U1-U6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conveyance area | region R1. In the figure, 302 is a frame moving along the guide, 303 is a lifting gas that moves up and down along the frame, 304 is a rotating gas that rotates the lifting gas phase, and 305 is a wafer support that moves the rotating gas phase back and forth.

선반 유닛(U1 ~ U5)에서의 상측에는 가열 모듈(401)이 적층되어 설치된다. 도면 중 402는 웨이퍼(W)를 가열하는 열판, 403은 열판(402)과 반송 암(A1)의 사이에서 웨이퍼(W)를 전달하고 또한 웨이퍼(W)를 냉각시키는 플레이트, 404는 정류판(整流板), 405, 406은 반송 영역(R1) 및 가열 모듈(401) 내를 배기하는 배기부이다. 선반 유닛(U6)에서의 상측에는 웨이퍼(W)의 주연부를 노광하는 주연 노광 모듈(WEE1, WEE2)이 설치되어 있다. 선반 유닛(U1 ~ U6)의 하부에는 반송 영역(R1)을 배기하는 팬 장치(407)가 설치되어 있다. The heating modules 401 are stacked and installed above the shelf units U1 to U5. In the figure, 402 denotes a hot plate for heating the wafer W, 403 denotes a plate for transferring the wafer W between the hot plate 402 and the transfer arm A1 and cooling the wafer W, and 404 denotes a rectifying plate ( 405 and 406 are exhaust parts which exhaust | exhaust the conveyance area | region R1 and the inside of the heating module 401. On the upper side of the shelf unit U6, the peripheral exposure modules WEE1 and WEE2 for exposing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wafer W are provided. The fan apparatus 407 which exhausts the conveyance area | region R1 is provided in lower part of the shelf unit U1-U6.

단위 블록(B3 ~ B6)은 액처리 유닛(201)에서 웨이퍼(W)로 공급하는 약액이 상이한 점 및 주연 노광 모듈 대신에 가열 모듈이 설치되는 점을 제외하고, 단위 블록(B1, B2)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단위 블록(B3, B4)은 반사 방지막 형성 모듈(BCT) 및 레지스트 도포 모듈(COT) 대신에 액침 노광용의 보호막 형성 모듈(TCT) 및 웨이퍼(W)의 이면을 세정하는 이면 세정 모듈(BST)을 구비한다. 단위 블록(B5, B6)은 반사 방지막 형성 모듈(BCT) 및 레지스트막 형성 모듈(COT) 대신에 웨이퍼(W)로 현상액을 공급하여 현상을 행하는 현상 모듈(DEV1, DEV2)을 구비한다. The unit blocks B3 to B6 are different from the unit blocks B1 and B2 except that the chemical liquid supplied from the liquid processing unit 201 to the wafer W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 heating module is installed instead of the peripheral exposure module. It is configured identically. The unit blocks B3 and B4 replace the anti-reflection film forming module BCT and the resist coating module COT with a protective film forming module TTC for liquid immersion exposure and a back cleaning module BST for cleaning the back surface of the wafer W. Equipped. The unit blocks B5 and B6 include development modules DEV1 and DEV2 for supplying a developer to the wafer W for development instead of the antireflection film forming module BCT and the resist film forming module COT.

보호막 형성 모듈(TCT)은 액침 노광 시에 웨이퍼(W)의 표면을 보호하는 보호막 형성용의 약액을, 현상 모듈은 현상액을 각각 웨이퍼(W)로 공급한다. 또한, 이면 세정 모듈(BST)은 웨이퍼(W)의 이면측으로부터 당해 이면 세정용의 약액을 공급하고, 브러쉬를 이용하여 당해 이면을 세정한다. 또한, 각 단위 블록(B1 ~ B6)의 반송 암은 A1 ~ A6으로서 각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The protective film forming module TCT supplies the chemical liquid for protecting the film to protect the surface of the wafer W during the liquid immersion exposure, and the developing module supplies the developer to the wafer W, respectively. Moreover, the back surface cleaning module BST supplies the chemical | medical agent for back surface cleaning from the back surface side of the wafer W, and wash | cleans the said back surface using a brush. In addition, the conveyance arms of each unit block B1-B6 are shown by each figure as A1-A6.

반송 영역(R1)의 캐리어 블록(S1)측에는 단위 블록(B1 ~ B6)에 걸쳐 선반 유닛(U7)이 설치되어 있다. 선반 유닛(U7)은 서로 적층된 전달 모듈(CPL), 소수화 처리 모듈(ADH) 및 버퍼 모듈(BU)이 설치되어 있다. 설명 중 CPL이라고 기재한 전달 모듈은 재치(載置)된 웨이퍼(W)를 냉각시키는 냉각 스테이지를 구비하고 있다. 버퍼 모듈은 복수 매의 웨이퍼(W)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소수화 처리 모듈(ADH)은 웨이퍼(W) 표면을 소수화(疎水化)시킨다. 선반 유닛(U7)의 근방에는 승강 가능하고, 선반 유닛(U7)에 대하여 진퇴 가능한 전달 암(14)이 설치되고, 선반 유닛(U7)의 각 모듈 사이에서 웨이퍼(W)를 반송한다. The shelf unit U7 is provided in the carrier block S1 side of the conveyance area | region R1 over the unit blocks B1-B6. The shelf unit U7 is provided with a transfer module CPL, a hydrophobization processing module ADH, and a buffer module BU stacked on each other. The delivery module described as CPL in the description includes a cooling stage for cooling the mounted wafer W. As shown in FIG. The buffer module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storing a plurality of wafers (W). The hydrophobization processing module ADH hydrophobizes the wafer W surface. In the vicinity of the shelf unit U7, the transfer arm 14 which can be elevated and retracted with respect to the shelf unit U7 is provided, and conveys the wafer W between each module of the shelf unit U7.

처리 블록(S2)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처리 블록(S2)은 하우징(31)을 구비하고, 하우징(31) 내에 상기한 각 모듈 및 유닛이 수납되어 있고, 하우징(31) 내는 단위 블록(B)마다 구획되어 있다. 하우징(31) 상에는 팬 필터 유닛(32)이 설치되어 있고, 이 팬 필터 유닛(32)에는 상하로 연장되고, 단위 블록(B1 ~ B6)에 걸쳐서 형성된 수직 덕트(33)가 접속되어 있다. 수직 덕트(33)는 각 반송 영역(R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수평 덕트(34)에 접속되어 있다. 각 수평 덕트(34)는 각 반송 영역(R1)의 액처리 유닛(201)측의 주연부 상에 설치되어 있다. The processing block S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processing block S2 includes a housing 31, the respective modules and units are housed in the housing 31, and the housing 31 is partitioned for each unit block B. The fan filter unit 32 is provided on the housing 31, and the fan filter unit 32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duct 33 which extends up and down and was formed over the unit blocks B1-B6. The vertical duct 33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duct 34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conveyance area | region R1. Each horizontal duct 34 is provided on the periphery of the liquid processing unit 201 side of each conveyance area | region R1.

도 5, 도 6을 참조하여, 제 1 단위 블록(B1)의 반송 영역(R1) 상에 설치된 수평 덕트(34) 및 그 주위의 각 부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평 덕트(34)는 하측이 개방된 사각형의 관벽부(管壁部)(35)를 구비하고 있고, 그 내부에는 에어 공급로(36)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에어 공급로(36)의 하방에는 ULPA 필터인 필터(3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팬 필터 유닛(32)으로부터 송풍된 에어가 수직 덕트(33)를 통하여 수평 덕트(34)로 유입되고, 이 필터(37)를 통과하여 청정화되어, 수평 덕트(34)의 하방으로 공급된다. With reference to FIG. 5, FIG. 6, the structure of the horizontal duct 34 provided on the conveyance area | region R1 of the 1st unit block B1, and each part around it is demonstrated. The horizontal duct 34 is provided with the rectangular pipe wall part 35 with the lower side opened, The air supply path 36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side it. And below the air supply path 36, the filter 37 which is a ULPA filter is provided. The air blown from the fan filter unit 32 flows into the horizontal duct 34 through the vertical duct 33, passes through the filter 37, is cleaned, and is supplied below the horizontal duct 34.

상기 수평 덕트(34)에는 구획판(41)이 설치되어 있다. 이 구획판(41)은 반송 영역(R1)의 길이 방향을 따라 4 매 배열되고, 제 1 단위 블록(B1)의 천장면을 형성한다. 구획판(41)의 두께는, 예를 들면 14 mm이다. 이 구획판(41)의 구성에 대하여, 그 종단 측면도인 도 7도 참조하여 설명한다. 구획판(41)의 표면의 기단(基端)측(수평 덕트(34)측)에는 수평 덕트(34)와 중첩되는 위치에 청정 기체 공급구(4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청정 기체 공급구(42)의 주위는 씰 부재(43)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씰 부재(43)는 수평 덕트(34)의 관벽부(35)에 밀착하여, 관벽부(35)와 구획판(41)의 사이로부터의 에어의 누설을 방지한다. The partition plate 41 is provided in the horizontal duct 34. Four partition plates 41 are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veyance area | region R1, and form the ceiling surface of the 1st unit block B1. The thickness of the partition plate 41 is 14 mm, for example. The structure of this partition plate 41 is demonstrated also with reference to FIG. 7 which is the longitudinal side view. On the base end side (horizontal duct 34 side) of the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41, the clean gas supply port 42 is formed in the position which overlaps with the horizontal duct 34. As shown in FIG. The periphery of this clean gas supply port 42 is surrounded by the seal member 43. The seal member 4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ube wall portion 35 of the horizontal duct 34 to prevent the leakage of air from between the tube wall portion 35 and the partition plate 41.

또한, 청정 기체 공급구(42)의 외연부에는 접촉 센서(38A)가 설치되어 있다. 이는, 관벽부(35)의 하단에 설치되는 접촉 센서(38)와 쌍을 이루고, 구획판(41)이 수평이면 접촉 센서(38, 38A)가 서로 접촉한다.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모니터에 접촉 센서(38, 38A)가 서로 접촉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표시되어, 메인터넌스 후의 구획판(41)의 설치 미스를 방지할 수 있다. Further, a contact sensor 38A is provided at the outer edge of the clean gas supply port 42. This is paired with the contact sensor 38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tube wall part 35, and when the partition plate 41 is horizontal, the contact sensors 38 and 38A contact each other. For example, whether or not the contact sensors 38 and 38A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s displayed on a monitor (not shown), so that installation errors of the partition plate 41 after maintenance can be prevented.

구획판(41)의 내부에는 상기 청정 기체 공급구(42)에 연통되는 에어의 기체 확산실(44)이 형성되어 있고, 이 기체 확산실(44)은 구획판(41)의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기체 확산실(44)의 하방에는 토출구(45)가 구획판(41)의 두께 방향으로 천공(穿孔)되어 형성되어 있다. 당해 토출구(45)는 구획판(41)의 하면에 다수, 분산하여 형성되어 있다. Inside the partition plate 41, a gas diffusion chamber 44 for air communicating with the clean gas supply port 42 is formed, and the gas diffusion chamber 44 is distal from the proximal end of the partition plate 41. It is formed to face side. A discharge port 45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gas diffusion chamber 44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artition plate 41. Many of the said discharge ports 45 are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41, and are disperse | distributed.

도 8은 기체 확산실(44)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 확산실(44)에는 구획판(501)이 설치되어 있다. 구획판(501)은 수평 덕트(34)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기체 확산실(44)을 횡방항으로 인접하는 2 개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있다. 이 2 개의 영역에 대하여, 수평 덕트(34)에 가까운 측을 기단측 영역(502), 수평 덕트(34)로부터 먼 측을 선단측 영역(503)으로 한다. 평면에서 봤을 때, 선단측 영역(503)의 면적에 비해 기단측 영역(502)의 면적은 크고, 본 예에서는 선단측 영역(503)의 면적을 1이라고 하면, 기단측 영역(502)의 면적은 약 2.78이다. 또한, 기체 확산실(44)에는 구획 부재(50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획 부재(504)는 각 영역(502, 503)을 수평 덕트(34)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등분하여 구획하도록 기단측 영역(502)으로부터 선단측 영역(503)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gas diffusion chamber 44. As shown in FIG. 8, a partition plate 501 is provided in the gas diffusion chamber 44. As shown in FIG. The partition plate 501 is forme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rizontal duct 34 extends, and partitions the gas diffusion chamber 44 into two regions adjacen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se two regions, the side close to the horizontal duct 34 is the proximal end region 502 and the side far from the horizontal duct 34 is the distal end region 503. In plan view, the area of the proximal side region 502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proximal side region 503, and in this example, the area of the proximal side region 503 is 1, the area of the proximal side region 502 Is about 2.78. In addition, a partition member 504 is provided in the gas diffusion chamber 44. The partition members 504 are formed from the proximal end region 502 toward the distal end region 503 so as to divide the regions 502 and 503 into equal part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rizontal duct 34 extends.

도 9는 기체 확산실(44)의 평면도이며, 상기한 토출구(45)는 영역(502, 503)에서 구획판(501) 및 구획 부재(504)에 병행하도록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각 영역(502, 503)에서 구획판(501)의 형성 방향으로 인접하는 토출구(45)의 간격(L1), 구획 부재(504)의 형성 방향으로 인접하는 토출구(45)의 간격(L2)은 각각 5 mm이다. 또한, 1 개의 기체 확산실(44)의 기단측 영역(502)에는 각각 7800 개의 토출구(45)가 형성되고, 1 개의 기체 확산실(44)의 선단측 영역(503)에는 2880 개의 토출구(45)가 형성되어 있다. 9 is a plan view of the gas diffusion chamber 44, and the discharge ports 45 are arranged in a matrix so as to be parallel to the partition plate 501 and the partition member 504 in the regions 502 and 503. As shown in FIG. In this example, the interval L1 of the discharge ports 45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partition plate 501 in each of the regions 502 and 503,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discharge holes 45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partition member 504 ( L2) is 5 mm each. In addition, 7800 discharge ports 45 are formed in the proximal end region 502 of one gas diffusion chamber 44, and 2880 discharge ports 45 are provided in the front end side region 503 of one gas diffusion chamber 44. ) Is formed.

상기 구획판(501)에는 그 형성 방향을 따라 기단측 영역(502)과 선단측 영역(503)을 연통시키는 다수의 에어 유통구(505)가 당해 구획판(501)의 두께 방향으로 천공되어 있다. 도 10은 두께 방향에서 본 구획판(501)을 도시하고 있다. 에어 유통구(505)는 구획판(501)의 형성 방향을 따라 2 열로 형성되어 있다. 각 열의 에어 유통구(505)는 서로 어긋나 배치되어 있고, 따라서 에어 유통구(505)는 구획판(501)의 형성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1 개의 에어 유통구(505)에서 봤을 때, 동일한 열에서 인접하는 에어 유통구(505)를 향한 방향과, 상이한 열에서 인접하는 에어 유통구(505)를 향한 방향과의 이루는 각(θ)은 60°이며, 동일한 열에서 인접하는 에어 유통구(505) 간의 거리(L3), 상이한 열에서 인접하는 에어 유통구(505) 간의 거리(L4)는 각각 3.5 mm이다. 에어 유통구(505)의 구경은 2 mm이며, 1 개의 기체 확산실(44)의 구획판(501)에는 약 435 개의 에어 유통구(505)가 형성되어 있다. In the partition plate 501, a plurality of air flow ports 505 are 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artition plate 501 to communicate the proximal end region 502 and the front end side region 503 along the forming direction thereof. . 10 shows the partition plate 501 view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air distribution ports 505 are formed in two rows along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partition plate 501. The air flow ports 505 in each row are arranged to be shif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air flow ports 505 are arranged in a zigzag shape in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partition plate 501. As viewed from one air outlet 505, the angle θ formed between the direction toward the adjacent air outlet 505 in the same row and the direction toward the adjacent air outlet 505 in different rows is 60 ° and the distance L3 between adjacent air outlets 505 in the same row, and the distance L4 between adjacent air outlets 505 in different rows are each 3.5 mm. The diameter of the air flow port 505 is 2 mm, and about 435 air flow ports 505 are formed in the partition plate 501 of one gas diffusion chamber 44.

도 8로 돌아와 설명하면, 수평 덕트(34)의 필터(37)를 통과하여 파티클이 제거되어 청정화된 에어는 청정 기체 공급구(42)로부터 기체 확산실(44)로 유입되어, 상기 기단측 영역(502)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기체 확산실(44)로는 연속하여 에어가 공급되므로, 이 기체 확산실(44) 내의 에어는 청정 기체 공급구(42)로부터 멀어져 압력이 비교적 낮아진 선단측 영역(503)을 향해 떠밀려서 확산되지만, 구획판(501)에 의해 당해 선단측 영역(503)으로 유입되는 양이 제한되어, 기단측 영역(502)과 선단측 영역(503)에서 그 면적당 공급되는 에어의 유량, 압력이 각각 균일화된다. 이에 따라, 에어는 기체 확산실(44) 전체로부터 균일성 높은 유량, 유속, 풍향으로 토출구(45)를 거쳐 하방측으로 토출되고, 반송 영역(R1) 전체에 균일성 높은 하강 기류가 형성된다. 또한, 기단측 영역(502)으로부터 선단측 영역(503)을 향할 때에 에어는 구획 부재(504)에 의해 수평 덕트(34)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확산되는 것이 억제되므로, 상기 방향에서 봤을 때의 압력 손실의 균일성이 높아진다. 이에 의해서도, 상기 하강 기류의 균일성이 높아진다.Returning to FIG. 8, the air, which has been removed through the filter 37 of the horizontal duct 34 and the particles are removed, is introduced into the gas diffusion chamber 44 from the clean gas supply port 42. Supplied to 502. Since ai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gas diffusion chamber 44, the air in the gas diffusion chamber 44 moves away from the clean gas supply port 42 and is pushed toward the front end region 503 where the pressure is relatively low. However, the amount introduced into the tip side region 503 by the partition plate 501 is limited, so that the flow rate and pressure of air supplied per area in the base region 502 and the tip region 503 are equalized, respectively. do. As a result, the air is discharged downward from the gas diffusion chamber 44 through the discharge port 45 at a uniformly high flow rate, flow velocity, and wind direction, and a uniformly flowing downdraft is formed in the entire transport region R1. In addition, when the air is directed from the proximal end region 502 to the distal end region 503, the air is suppressed from being diffus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rizontal duct 34 extends by the partition member 504, so that the pressure when viewed from the direction High uniformity of loss. This also increases the uniformity of the downdraft.

도 5로 돌아와 설명을 계속한다. 구획판(41)에서, 기체 확산실(44)보다 선단측에는 선단부(48)가 설치된다. 이 선단부(48)는 각 층의 선반 유닛(U1 ~ U6)에 설치되는 지지 부재(49)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 부재(49)는 측면에서 봤을 때 L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반송 영역(R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지지 부재(49)에 구획판(41)의 선단부(48)가 지지되어, 구획판(41)이 수평으로 유지된다. 또한, 반송 영역(R1)의 길이 방향의 좌우 양단에는 4 매의 구획판(41)을 사이에 두도록 판(40)이 설치되어 있다. 판(40)은 지지 부재(49) 및 수평 덕트(34)에 대하여 수평으로 장착되어 있고, 이들 지지 부재(49) 및 수평 덕트(34)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Returning to Fig. 5, the description will continue. In the partition plate 41, the front end portion 48 is provide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gas diffusion chamber 44. This tip part 48 is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49 provided in the shelf units U1-U6 of each layer. The supporting member 49 is formed in an L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veyance region R1. The front end portion 48 of the partition plate 41 is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49, so that the partition plate 41 is horizontally maintained. Moreover, the board | substrate 40 is provided in the left and right both ends of the conveyance area | region R1 so that the four partition plates 41 may be interposed. The plate 40 is mount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support member 49 and the horizontal duct 34, and is comprised so that attachment and detachment with respect to these support member 49 and the horizontal duct 34 are possible.

상기 수평 덕트(34)의 관벽부(35)에서의 반송 영역(R1)측의 측면에는 돌기부(50)가 설치되고, 이 돌기부(50)에는 접속구(接續具)(5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구획판(41)의 표면에는 접속구(51)와 쌍을 이루는 접속구(接續具)(52)가 설치되어 있다. 도 11은 이들 접속구(51, 52)를 도시하고 있다. 접속구(51)는 수평인 통부(筒部)(51a)를 구비하고, 접속구(52)는 수평인 봉(52a)을 구비하고 있다. 통부(51a)에 봉(52a)이 끼워짐으로써, 접속구(51, 52)는 힌지(53)를 구성한다. 이 힌지(53)에 의해, 구획판(41)은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당해 힌지(53)가 접속구(51, 52)로 분해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구획판(41)은 수평 덕트(34)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The projection part 50 is provided in the side surface at the conveyance area | region R1 side in the pipe wall part 35 of the said horizontal duct 34, and the connection part 51 is provided in this projection part 50. As shown in FIG. Moreover, the connection port 52 which is paired with the connection port 51 is provided in the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41. As shown in FIG. 11 shows these connection ports 51 and 52. The connection port 51 is provided with the horizontal cylinder part 51a, and the connection port 52 is provided with the horizontal rod 52a. When the rod 52a is fitted in the cylinder part 51a, the connection ports 51 and 52 comprise the hinge 53. As shown in FIG. By this hinge 53, the partition plate 41 is comprised so that rotation is possible about the horizontal axis. Moreover, since the said hinge 53 is comprised so that it can decompose | disassemble into the connection ports 51 and 52, the partition plate 41 is comprised so that attachment and detachment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uct 34 are possible.

수평 덕트(34)에서, 접속구(51)의 상측에는 구획판(41)의 선단측을 향해 연장되어 나온 2 개의 클로부(54a)가 설치되어 있다. 각 클로부(54a)는 돌기(54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구획판(41)의 표면에서, 접속구(52)의 선단측에는 구획판(41)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는 클로부(55a)가 설치되어 있다. 클로부(55a)의 측면에는 오목부(55b)가 형성되어 있다. In the horizontal duct 34, two claws 54a extending toward the distal end side of the partition plate 41 are provided above the connection port 51. Each claw part 54a is provided with the projection 54b. Moreover, the claw part 55a which protrud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artition plate 41 is provided in the front end side of the connection port 52 in the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41. The recessed part 55b is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claw part 55a.

구획판(41)이 수평인 상태에서, 작업자가 구획판(41)의 선단이 위를 향하도록 당해 구획판(41)의 선단을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수평 덕트(34)의 클로부(54a, 54a) 사이로 구획판(41)의 클로부(55a)가 진입하고, 그 탄성에 의해 클로부(54a, 54a)가 서로 외측으로 벌어진다. 구획판(41)을 더욱 회전시키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로부(54a)의 돌기(54b)가 클로부(55a)의 오목부(55b)에 계합(係合)된다. 그리고, 클로부(54a)는 그 복원력에 의해 클로부(55a)를 사이에 두고 압압하여 클로부(55a)를 고정한다. 그 결과로서, 구획판(41)은 선단이 위를 향한 상태로 고정된다. 도 13은 구획판(41) 1 매를 이와 같이 젖혀져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젖혀진 구획판(41)의 선단을 하측을 향해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클로부(54a와 55a)의 계합이 풀려 구획판(41)을 수평으로 되돌릴 수 있다. In the state where the partition plate 41 is horizontal, an operator rotates the front end of the said partition plate 41 about a horizontal axis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partition plate 41 may face upward. Then, the claw part 55a of the partition plate 41 enters between the claw parts 54a and 54a of the horizontal duct 34, and the claw parts 54a and 54a open out from each other by the elasticity. When the partition plate 41 is further rotated, as shown in FIG. 12, the projection 54b of the claw part 54a engages with the recessed part 55b of the claw part 55a. The claw portion 54a is pressed by the restoring force with the claw portion 55a therebetween to fix the claw portion 55a. As a result, the partition plate 41 is fixed with the tip facing upwards. FIG. 13 shows a state in which one partition plate 41 is bent and fixed in this manner. By rotating the tip of the divided partition plate 41 thus flipped downward, the engagement of the claws 54a and 55a can be released and the partition plate 41 can be returned horizontally.

단위 블록(B1)의 반송 영역(R1) 상에 설치되는 수평 덕트(34)와 당해 수평 덕트(34)에 설치되는 구획판(41)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다른 각 단위 블록(B2 ~ B6) 상에 설치되는 수평 덕트(34) 및 당해 수평 덕트(34)에 설치되는 구획판(41)도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고, 각 반송 영역(R1)의 천장면을 형성하고 있다. 단, 제 3 단위 블록(B3)으로 에어를 공급하는 구획판(41)은 작업자의 발판이 되기 때문에, 당해 수평 덕트(34)에 수평 상태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상하로 6 단으로 설치되는 구획판(41)에 의해, 단위 블록(B1 ~ B6)의 각 반송 영역(R1)이 서로 구획되고, 또한 단위 블록(B6)의 반송 영역(R1)과 처리 블록(S2)을 이루는 하우징(31)의 외부 공간이 구획된다. Although the horizontal duct 34 provided on the conveyance area | region R1 of the unit block B1 and the partition plate 41 provided in the said horizontal duct 34 were demonstrated, on each other unit block B2-B6. The horizontal duct 34 provided in the inside and the partition plate 41 provided in the said horizontal duct 34 are comprised in this way, and the ceiling surface of each conveyance area | region R1 is formed. However, since the partition plate 41 for supplying air to the third unit block B3 serves as a foothold for the worker, the partition plate 41 is fixed to the horizontal duct 34 in a horizontal state and is not rotated as described above. . And as mentioned above, the conveyance area | region R1 of the unit blocks B1-B6 is partitioned with each other, and the conveyance area | region of the unit block B6 is divided | segmented by the partition plate 41 provided in 6 steps up and down. The outer space of the housing 31 forming R1) and the processing block S2 is partitioned.

도 1 ~ 도 3으로 돌아와, 인터페이스 블록(S3)에 대하여 설명한다. 인터페이스 블록(S3)은 후술하는 메인터넌스를 행하기 위하여, 처리 블록(S2)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인터페이스 블록(S3)은 선반 유닛(U8, U9, U10)을 구비하고, 선반 유닛(U8)은 전달 모듈(TRS), 전달 모듈(CPL), 버퍼 모듈(BU)이 서로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다. 선반 유닛(U9)은 노광 전에 웨이퍼(W)의 이면을 세정하는 이면 세정 모듈(BST)이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다. 선반 유닛(U10)은 노광 후에 웨이퍼(W)의 표면을 세정하는 노광 후 세정 모듈(PIR)이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다. 각 모듈 사이 및 모듈과 노광 장치(S4)의 사이를 반송하는 인터페이스 암(3A ~ 3C)이 설치되어 있다. Returning to FIGS. 1 to 3, the interface block S3 will be described. The interface block S3 is able to move with respect to the processing block S2 in order to perform maintenance described later. The interface block S3 includes the shelf units U8, U9, and U10, and the shelf unit U8 is configured by stacking the transfer module TRS, the transfer module CPL, and the buffer module BU with each other. The shelf unit U9 is configured by stacking the back surface cleaning module BST for cleaning the back surface of the wafer W before exposure. The shelf unit U10 is configured by stacking the post-exposure cleaning module PIR for cleaning the surface of the wafer W after exposure. The interface arms 3A-3C which convey between each module and between a module and exposure apparatus S4 are provided.

이 도포 현상 장치(1) 및 노광 장치(S4)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의 웨이퍼(W)의 반송 경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웨이퍼(W)는 단위 블록(B1→B3→B5)을 통과하는 경로(1)와, 단위 블록(B2→B4→B6)을 통과하는 경로(2)에 의해 반송되고, 각 경로에서 동일한 처리를 받는다. 웨이퍼(W)는 캐리어(C)→전달 암(13)→버퍼 모듈(BU11)→전달 암(14)→소수화 처리 모듈(ADH)→반송 암(A1)→반사 방지막 형성 모듈(BCT)→반송 암(A1)→가열 모듈→반송 암(A1)→레지스트 도포 모듈(COT)→반송 암(A1)→가열 모듈(HP)→주연 노광 모듈(WEE)→반송 암(A1)→전달 모듈(CPL11)의 순으로 반송되고, 웨이퍼(W)의 표면에 반사 방지막, 레지스트막의 순으로 하층측으로부터 도포막이 적층된다. The conveyance path | route of the wafer W of the system which consists of this application | coating development apparatus 1 and exposure apparatus S4 is demonstrated. For example, the wafer W is conveyed by the path 1 passing through the unit blocks B1-> B3-> B5 and the path 2 passing through the unit blocks B2-> B4-> B6, and each path | route. Receive the same processing. The wafer W is carrier C, transfer arm 13, buffer module BU11, transfer arm 14, hydrophobic treatment module ADH, transfer arm A1, antireflection film forming module, BCT, and transfer. Arm (A1) → heating module → transfer arm (A1) → resist coating module (COT) → transfer arm (A1) → heating module (HP) → peripheral exposure module (WEE) → transfer arm (A1) → transfer module (CPL11) ), And the coating film is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wafer W from the lower layer side in the order of the antireflection film and the resist film.

이 후, 웨이퍼(W)는 전달 암(14)→전달 모듈(CPL12)→반송 암(A3)→보호막 형성 모듈(TCT)→반송 암(A3)→가열 모듈(HP)→반송 암(A3)→이면 세정 모듈(BST)→반송 암(A3)→전달 모듈(TRS1)의 순으로 반송된다. 이에 따라, 레지스트막의 상층에 보호막이 형성되고, 또한 웨이퍼(W)가 인터페이스 블록(S3)으로 반입된다. Thereafter, the wafer W is transferred from the transfer arm 14 to the transfer module CPL12 to the transfer arm A3 to the protective film forming module TCT to the transfer arm A3 to the heating module HP to the transfer arm A3. → back side, it is conveyed in the order of washing module BST → conveying arm A3 → conveying module TRS1. As a result, a protective film is formed over the resist film, and the wafer W is carried into the interface block S3.

상기 웨이퍼(W)는 제 1 인터페이스 암(3A)→버퍼 모듈(BU)→제 2 인터페이스 암(3B)→전달 모듈(CPL)→제 3 인터페이스 암(3C)→노광 장치(S4)의 순으로 반송되고, 액침 노광 처리를 받는다. 노광이 완료된 웨이퍼(W)는 제 3 인터페이스 암(3C)→전달 모듈(TRS)→제 2 인터페이스 암(3B)→노광 후 세정 모듈(PIR)→버퍼 모듈군(3)→제 2 인터페이스 암(3B)→전달 모듈(TRS2)의 순으로 반송된다. 이 후, 반송 암(A5)→가열 모듈(HP)→현상 모듈(DEV)→반송 암(A5)→가열 모듈(HP)→반송 암(A5)→전달 모듈(CPL13)→전달 암(14)→전달 모듈(CPL14)→전달 암(14)→캐리어(C)의 순으로 반송된다. 제 2 경로로 반송되는 웨이퍼(W)는 통과하는 단위 블록이 상이하다는 점 이외에는 이 제 1 경로와 동일하게 반송되어 동일하게 처리를 받는다. The wafer W is arranged in the order of the first interface arm 3A → buffer module BU → second interface arm 3B → transmission module CPL → third interface arm 3C → exposure device S4. It conveys and receives a liquid immersion exposure process. The wafer W having been exposed is exposed to the third interface arm 3C → transfer module TRS → second interface arm 3B → post-exposure cleaning module PIR → buffer module group 3 → second interface arm ( 3B)-> conveyance module TRS2 is conveyed in order. Thereafter, the transfer arm (A5) → the heating module (HP) → the developing module (DEV) → the transfer arm (A5) → the heating module (HP) → the transfer arm (A5) → the transfer module (CPL13) → the transfer arm (14) The transfer module CPL14 is transferred in order from the transfer arm 14 to the carrier C. The wafer W conveyed in the second path is convey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path and subjected to the same treatment except that the unit blocks passing through are different.

이와 같이, 웨이퍼(W)가 반송되어 각 모듈에서 처리되는 동안, 팬 필터 유닛(32)으로부터 각 구획판(41)으로 에어가 공급된다. 그리고, 기술한 바와 같이, 구획판(41)으로부터 에어가 공급되고, 각 단위 블록(B1 ~ B6)의 반송 영역(R1)에 하강 기류가 형성된다. 도 4에서는 점선의 화살표에 의해 처리 블록(S2)에 형성되는 기류를 도시하고 있다. 반송 영역(R1)으로 공급된 에어는 선반 유닛(U1 ~ U6)의 가열 모듈(401)의 배기부(405, 406) 및 팬 장치(407)에 의해 배기된다. In this way, air is supplied from the fan filter unit 32 to each partition plate 41 while the wafer W is conveyed and processed in each module. And as described above, air is supplied from the partition plate 41, and the downdraft is formed in the conveyance area | region R1 of each unit block B1-B6. In FIG. 4, the airflow formed in the process block S2 by the dotted arrow is shown. The air supplied to the conveyance area R1 is exhausted by the exhaust units 405 and 406 and the fan apparatus 407 of the heating module 401 of the shelf units U1 to U6.

처리 블록(S2)의 메인터넌스를 행할 때에는 각 단위 블록(B1 ~ B6)의 반송 암(A1 ~ A6)을 반송 영역(R1)의 임의의 장소, 예를 들면 캐리어 블록(S1)측에 위치시키고, 팬 필터 유닛(32)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인터페이스 블록(S3)을 이동시켜, 처리 블록(S2)과 인터페이스 블록(S3)의 사이에 작업원이 들어가기 위한 스페이스를 형성한다. When maintenance of the processing block S2 is carried out, the transfer arms A1 to A6 of the respective unit blocks B1 to B6 are positioned at any place of the transfer area R1, for example, the carrier block S1 side. The operation of the fan filter unit 32 is stopped. The interface block S3 is moved to form a space for a worker to enter between the processing block S2 and the interface block S3.

이 후, 반송 암(A4 ~ A6)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있는 단위 블록(B4 ~ B6)의 구획판(41)을, 각 단위 블록을 구획하는 수평 위치로부터 기술한 바와 같이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단위 블록(B4 ~ B6)의 반송 영역(R1)이 서로 연통하여, 들여다볼 수 있는 개방 상태가 된다. 마찬가지로, 반송 암(A2 ~ A3)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있는 단위 블록(B2 ~ B3)의 구획판(41)을 회전시킴으로써, 단위 블록(B1 ~ B3)의 반송 영역(R1)이 서로 연통하여, 들여다볼 수 있는 개방 상태가 된다. 도 14는 이와 같이 각 반송 영역(R1)을 연통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작업원이 이와 같이 서로 연통된 반송 영역(R1)에 들어가, 당해 반송 영역(R1)의 반송 암(A), 선반 유닛(U1 ~ U5)을 구성하는 가열 모듈 또는 액처리 유닛(201)을 구성하는 각 모듈의 메인터넌스를 행한다. 단위 블록(B4 ~ B6)의 메인터넌스를 행할 경우에는 단위 블록(B3, B4) 간의 구획판(41)을 발판으로 하여 작업을 행한다. 또한, 이와 같이 단위 블록(B4 ~ B6)의 메인터넌스를 행할 경우, 작업원은 장치(1)의 천장으로부터 단위 블록(B4 ~ B6)으로 진입해도 좋다. Thereafter, the partition plates 41 of the unit blocks B4 to B6 at positions not interfering with the transfer arms A4 to A6 are rotated as described from the horizontal position for partitioning each unit block. Thereby, conveyance area | region R1 of unit blocks B4-B6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it becomes an open state which can be peeked. Similarly, by rotating the partition plates 41 of the unit blocks B2 to B3 at positions not interfering with the transfer arms A2 to A3, the transfer regions R1 of the unit blocks B1 to B3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it becomes an open state that can be viewed. FIG. 14 shows a state in which each conveyance region R1 is in communication. And the worker enters the conveyance area | region R1 which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in this way, and the heating module or liquid processing unit 201 which comprises the conveyance arm A of the said conveyance area | region R1, and shelf units U1-U5. Maintenance of each module constituting the module is performed. In the case of maintenance of the unit blocks B4 to B6, work is performed using the partition plates 41 between the unit blocks B3 and B4 as scaffolds. In addition, when performing maintenance of the unit blocks B4 to B6 in this manner, the worker may enter the unit blocks B4 to B6 from the ceiling of the apparatus 1.

이와 같이 메인터넌스를 행할 경우, 기술한 바와 같이 구획판(41)을 수평 덕트(34)로부터 분리하여 작업을 행해도 좋다. 이 경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블록(S3)을 이동시킨 다음, 도 15,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블록(S3)측의 판(40)을 분리한다. 그리고,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블록(S3)측의 구획판(41)부터 차례로 인터페이스 블록(S3)측으로 당해 구획판(41)을 슬라이드시켜, 힌지(53)의 통부(51a)로부터 봉(52a)을 뺀다. 이에 의해, 구획판(41)을 수평 덕트(34)로부터 분리한다. 또한, 구획판(41)을 수평 덕트(34)에 장착할 때에는 구획판(41)의 상기 봉(52a)을 통부(51a)에 끼움으로써, 캐리어 블록(S1)측의 구획판(41)부터 차례로 수평 덕트(34)에 장착한다. When performing maintenance in this way, you may separate | separate the partition plate 41 from the horizontal duct 34 as mentioned above, and may work. In this case, the interface block S3 is moved as described above, and then the plate 40 on the interface block S3 side is removed as shown in Figs. 15 and 16. As shown in FIG. 17, the partition plate 41 is slid from the partition plate 41 on the interface block S3 side to the interface block S3 in order, and the cylinder portion 51a of the hinge 53 is moved. Pull out the rod 52a. As a result, the partition plate 41 is separated from the horizontal duct 34. In addition, when attaching the partition plate 41 to the horizontal duct 34, the said partition plate 52a of the partition plate 41 is inserted in the cylinder part 51a, and the partition plate 41 of the carrier block S1 side is started from. It is mounted on the horizontal duct 34 in turn.

이 도포 현상 장치(1)에서는 각 단위 블록(B)에 국소적으로 설치된 수평 덕트(34)의 필터(37)로부터 각 단위 블록(B)의 반송 영역(R1)의 천장을 구성하는 구획판(41)으로 에어를 공급하고, 이 구획판(41)의 기체 확산실(44)에서 확산된 에어를 토출시킴으로써, 반송 영역(R1) 전체에 하강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반송 영역(R1)에서 에어가 체류하는 것이 억제되고, 반송 영역(R1)의 분위기의 청정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획판(41)은 수평 덕트(34)에 대하여 착탈 가능 및 회전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작업자가 용이하게 반송 영역(R1)에 들어가 작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체 확산실(44)에는 가이드 부재(46)가 설치되고, 이 가이드 부재(46)에 의해 필터(37)로부터 공급된 에어는 기체 확산실(44)을 균일성 높게 확산되고, 이에 따라 반송 영역(R1) 전체에 균일성 높게 에어가 공급된다. 이러한 점으로부터도, 반송 영역(R1)의 분위기의 청정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coating and developing apparatus 1, a partition plate constituting the ceiling of the conveyance area R1 of each unit block B from the filter 37 of the horizontal duct 34 provided locally in each unit block B ( By supplying air to 41 and discharging the air diffused in the gas diffusion chamber 44 of this partition plate 41, the downdraft can be formed in the whole conveyance area | region R1. Thereby, air stays in the conveyance area | region R1 is suppressed, and the fall of the cleanliness of the atmosphere of the conveyance area | region R1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since the partition plate 41 is detachably and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uct 34, an operator can easily enter the conveyance area | region R1 and can work. On the other hand, the gas diffusion chamber 44 is provided with a guide member 46, the air supplied from the filter 37 by the guide member 46 diffuses the gas diffusion chamber 44 with high uniformity. Therefore, air is supplied uniformly to the whole conveyance area | region R1. Also from this point, the fall of the cleanliness of the atmosphere of the conveyance area | region R1 can be prevented.

그런데, 기체 확산실(44)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면 기체 확산실(44) 내에서의 가스의 유동성이 높아지므로, 구획판(501) 또는 후술하는 가이드 부재(46)를 설치하지 않아도 반송 영역(R1) 전체에 균일성 높게 하강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기체 확산실(44)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도포 현상 장치(1)가 대형화된다. 이와 같이 구획판(501) 또는 가이드 부재(46)를 설치함으로써, 기체 확산실(44)의 대형화를 방지하고, 도포 현상 장치(1)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발명자는 시뮬레이션에 의해 가이드 부재(46)를 설치할 경우와 설치하지 않을 경우에서 반송 영역(R1)에 형성되는 풍속 및 풍향을 조사하여, 가이드 부재(46)를 설치함으로써 반송 영역(R1)의 풍속 및 풍향의 균일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However, if the thickness of the gas diffusion chamber 44 is made thick, the fluidity of the gas in the gas diffusion chamber 44 is increased, so that even if the partition plate 501 or the guide member 46 described later is not provided, the transport area ( The downdraft can be formed highly uniformly throughout R1). However, when the thickness of the gas diffusion chamber 44 is increased in this manner, the coating and developing apparatus 1 is enlarged. By providing the partition plate 501 or the guide member 46 in this manner, the enlargement of the gas diffusion chamber 44 can be prevented and the enlargement of the coating and developing apparatus 1 can be prevented. Moreover, the inventor examines the wind speed and the wind direction formed in the conveyance area | region R1 with and without the guide member 46 by simulation, and arrange | positions the guide member 46 of the conveyance area | region R1. It was confirmed that the uniformity of the wind speed and direction was increased.

또한, 구획판(41)은 수평 덕트(34)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또한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므로, 작업의 내용 및 작업을 행하는 모듈의 장소에 따라, 작업자는 구획판(41)을 분리시킬지 회전시킬지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구획판(41)을 회전시킬 경우에는 반송 영역(R1)을 연통시키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메인터넌스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예에서는 각 반송 암(A)을 구성하는 반송 가이드 부재(301)가 반송 영역(R1)의 주연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반송 가이드 부재(301)에 의해 메인터넌스 작업이 방해되는 것이 방지된다. Further, since the partition plate 41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horizontal duct 34 and rotatable about the horizontal axis, the operator separates the partition plate 41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work and the location of the module performing the work. You can choose to rotate or rotate. And when rotating the partition plate 41, since it is easy to communicate the conveyance area | region R1, maintenance work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In addition, in the above-mentioned example, since the conveyance guide member 301 which comprises each conveyance arm A is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periphery of conveyance area | region R1, maintenance operation by this conveyance guide member 301 is carried out. This is prevented from being disturbed.

그런데, 상기한 구획판(41)에서는 선단부(48)의 무게에 의해 수평 덕트(34)로부터의 풍압으로 당해 선단부(48)가 부상(浮上)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보다 확실히 이러한 부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획판(41)을 수평 덕트(34)에 고정하는 고정 기구를 설치해도 좋다. 고정 기구로서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구획판(41)의 후단측 및 수평 덕트(34)에 각각 자석을 설치하고, 자력에 의해 구획판(41)과 수평 덕트(34)를 결합시키는 기구가 있다. 또한, 구획판(41)의 선단측과 지지 부재(49)의 표면에 각각 자석을 설치하여 고정 기구로 해도 좋다. 이 외에도, 예를 들면 썸-스크류(thumb-screw) 나사를 이용하여 구획판(41)과 수평 덕트(34)를 고정해도 좋고, 지지 부재(49)와 구획판(41)을 고정해도 좋다. By the way, in the said partition board 41, the front end part 48 is prevented from floating by the wind pressure from the horizontal duct 34 by the weight of the front end part 48. As shown in FIG. However, in order to more reliably prevent such injury, a fixing mechanism for fixing the partition plate 41 to the horizontal duct 34 may be provided. Specifically as a fixing mechanism, a magnet is provided in the rear end side and the horizontal duct 34 of the partition plate 41, respectively, and there exists a mechanism which couples the partition plate 41 and the horizontal duct 34 by magnetic force. . In addition, magnets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partition plate 41 and the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49 to form a fixing mechanism. In addition to this, the partition plate 41 and the horizontal duct 34 may be fixed using a thumb-screw screw, for example, or the support member 49 and the partition plate 41 may be fixed.

도 18은 기체 확산실(44)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고, 이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 확산실(44)에는 가이드 부재(46)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46)는 평면에서 봤을 때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ㄷ 자 형상의 개구부(47)는 구획판(41)의 선단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8 중에는 점선의 화살표로 기체 확산실(44) 내의 에어의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필터(37)를 통과하여, 파티클이 제거되어 청정화된 에어는 청정 기체 공급구(42)로부터 기체 확산실(44)로 유입되고, 기체 확산실(44)을 구획판(41)의 선단측을 향해 흘러 가이드 부재(46)와 충돌하여, 가이드 부재(46)의 외주를 따라 더 선단측으로 향한다. 이러한 에어의 흐름에 의해, 가이드 부재(46)의 개구부(47)는 가이드 부재(46)의 외주보다 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가이드 부재(46)의 선단으로 흐른 에어는 당해 개구부(47)를 향해 흐른다. 즉, 에어는 구획판(41)의 기단측으로 돌아오도록 흐른다. 이와 같이 하여, 에어가 기체 확산실(44) 전체에 확산되고, 당해 에어는 토출구(45)로부터 하방으로 토출된다. 이에 따라, 구획판(501)을 설치할 경우와 마찬가지로, 반송 영역(R1) 전체에 균일성 높게 하강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FIG. 18 shows another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gas diffusion chamber 44. As shown in FIG. 18, a guide member 46 is provided in the gas diffusion chamber 44. As shown in FIG. The guide member 46 is formed in a c-shape in plan view, and the c-shaped opening 47 is formed so as to face the front end side of the partition plate 41. In FIG. 18, the flow of air in the gas diffusion chamber 44 is shown by the dotted arrow. Through the filter 37, the particles are removed and cleaned air flows into the gas diffusion chamber 44 from the clean gas supply port 42, and the gas diffusion chamber 44 passes through the front end side of the partition plate 41. It flows toward and collides with the guide member 46, and further goes to the front end side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guide member 46. Due to the flow of air, since the opening 47 of the guide member 46 is lower in pressure than the outer periphery of the guide member 46, the air flowing to the tip of the guide member 46 flows toward the opening 47. . That is, air flows to return to the base end side of the partition plate 41. In this manner, air is diffused through the gas diffusion chamber 44 as a whole, and the air is discharged downward from the discharge port 45. Thereby, the falling airflow can be formed highly uniformly in the whole conveyance area | region R1 similarly to the case where the partition plate 501 is provided.

기체 확산실(44)에 설치하는 가이드 부재로서는 상기한 가이드 부재(46)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9에는 가이드 부재(71, 72)를 도시하고 있다. 가이드 부재(71, 72)는 구획판(41)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절곡되어 구획판(41)의 선단측을 향해 더 연장되어 있다. 도 19 중에 점선의 화살표로 도시한 가이드 부재(71, 72) 사이로 공급된 에어는 기체 확산실(44)을 선단측을 향한 다음, 구획판(41)의 기단측으로 돌아와 기체 확산실(44)의 벽면과 각 가이드 부재(71, 72)의 사이로 유입된다. 또한,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용돌이 형상의 가이드 부재(73)를 설치하여, 선단측을 향한 에어가 기단측으로 돌아오도록 해도 좋다. The guide member provided in the gas diffusion chamber 44 is not limited to the guide member 46 described above. 19, the guide members 71 and 72 are shown. The guide members 71 and 72 extend inwardly of the partition plate 41 and are bent to extend further toward the tip side of the partition plate 41. Air supplied between the guide members 71 and 72 shown by the dotted arrow in FIG. 19 turns the gas diffusion chamber 44 toward the front end side, and then returns to the proximal side of the partition plate 41 of the gas diffusion chamber 44. It flows in between a wall surface and each guide member 71,72.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0, the vortex guide member 73 may be provided so that the air toward the front end side may return to the proximal end side.

R1 : 반송 영역
W : 웨이퍼
1 : 도포 현상 장치
31 : 하우징
32 : 팬 장치
34 : 수평 덕트
37 : 필터
41 : 구획판
42 : 청정 기체 공급구
44 : 기체 확산실
45 : 토출구
46 : 가이드 부재
53 : 힌지
501 : 구획판
505 : 에어 유통
R1: conveyance area
W: Wafer
1: coating and developing apparatus
31: housing
32: fan unit
34: horizontal duct
37: filter
41: partition plate
42: clean gas supply port
44: gas diffusion chamber
45 outlet
46: guide member
53: hinge
501: partition plate
505: Air Distribution

Claims (7)

기판을 처리하는 처리부로 기판을 반송하기 위한 기판 반송 영역을 구비한 기판 처리 장치에 있어서,
각각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상하로 적층된 제 1 기판 반송 영역 및 제 2 기판 반송 영역과,
상기 제 1 기판 반송 영역 및 제 2 기판 반송 영역을 서로 구획하기 위한 구획 위치에 설치되고, 내부에 기체 확산실을 형성하는 공동(空洞)의 구획판과,
상기 기판 반송 영역의 폭 방향 중앙부로부터 주연부에 걸친 위치에서, 상기 구획판에 상기 기체 확산실에 연통되도록 형성된 청정 기체 공급구와,
상기 청정 기체 공급구로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 공급로와,
상기 기체 공급로에 설치되고, 상기 청정 기체 공급구로 공급하는 기체를 청정화하기 위한 필터와,
상기 구획판의 하면에 형성되고, 확산실에서 확산된 기체를 기판 반송 영역으로 토출하는 다수의 토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구획판은, 메인터넌스 시에 제 2 기판 반송 영역으로부터 제 1 기판 반송 영역을 들여다볼 수 있는 개방 상태로 하기 위하여, 상기 구획 위치로부터 퇴피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처리 장치.
In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board | substrate conveyance area | region for conveying a board | substrate to the process part which processes a board | substrate,
A first substrate transfer region and a second substrate transfer region each extending laterally and stacked on top of each other;
A cavity partition plate provided at a partition position for partitioning the first substrate transport region and the second substrate transport region from each other, and forming a gas diffusion chamber therein;
A clean gas supply port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gas diffusion chamber in the partition plate at a position extending from the center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to the peripheral edge portion of the substrate conveyance region;
A gas supply path for supplying gas to the clean gas supply port;
A filter installed in the gas supply passage and configured to clean the gas supplied to the clean gas supply port;
It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for discharging the gas diffused in the diffusion chamber to the substrate transport region,
And the partition plate is configured to be retracted from the partition position so as to be in an open state in which the first substrate transport region can be viewed from the second substrate transport region at the time of maintenan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확산실에는, 상기 기체 확산실을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보다 상기 청정 기체 공급구로부터 횡방으로 떨어진 제 2 영역으로 구획하는 구획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구획 부재에는 제 1 영역으로부터 제 2 영역으로 상기 청정 기체를 유통시키는 다수의 기체 유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gas diffusion chamber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member for partitioning the gas diffusion chamber into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laterally separated from the clean gas supply port than the first region.
The partition process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as distribution ports through which the clean gas flows from the first region to the second reg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확산실에는, 청정 기체 공급구로부터 멀리 있는 가스를 청정 기체 공급구를 향해 돌아오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gas diffusion chamber is provided with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gas distant from the clean gas supply port toward the clean gas supply por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평면에서 봤을 때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ㄷ 자 형상이 청정 기체 공급구와 반대 방향으로 개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guide member is formed in a c-shape when viewed in a plane, the c-shape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lean gas supply port.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the partition plate is rotatable about a horizontal axis.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판 반송 영역에는, 기판을 반송하기 위한 기판 반송 기구와, 상기 기판 반송 기구를 기판 반송 영역을 따라 가이드하는 반송 가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반송 가이드는, 기판 반송 영역의 주연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In the board | substrate conveyance area | region, the board | substrate conveyance mechanism for conveying a board | substrate, and the conveyance guide which guides the said board | substrate conveyance mechanism along a board | substrate conveyance area are provided,
The said conveyance guide is provided in the peripheral part of a board | substrate conveyance area | reg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판 반송 영역의 폭 방향의 양측에는 기판에 처리를 행하는 모듈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module which processes a board | substrate provided in the both sides of the width direction of a board | substrate conveyance area | region.
KR1020110141910A 2011-01-05 2011-12-26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KR10187742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00735 2011-01-05
JPJP-P-2011-000735 2011-01-05
JP2011247679A JP5569508B2 (en) 2011-01-05 2011-11-11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JPJP-P-2011-247679 2011-1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807A true KR20120079807A (en) 2012-07-13
KR101877428B1 KR101877428B1 (en) 2018-07-11

Family

ID=46712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1910A KR101877428B1 (en) 2011-01-05 2011-12-26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42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4473A (en) * 2016-07-04 2018-01-12 세메스 주식회사 Apparatus for treating substrat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7408B2 (en) * 1996-11-26 1999-09-13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Processing equipment
JP4187069B2 (en) * 2003-09-18 2008-11-26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KR100929817B1 (en) * 2007-10-23 2009-12-07 세메스 주식회사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JP5449720B2 (en) * 2008-08-26 2014-03-19 株式会社Sokudo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4473A (en) * 2016-07-04 2018-01-12 세메스 주식회사 Apparatus for treating substr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7428B1 (en) 2018-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74488B (en) Liquid processing system
US8302556B2 (en) Coating and developing apparatus
US11031261B2 (en) Liquid processing apparatus
JP6543534B2 (en)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TWI475630B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US11004706B2 (en) Substrate treating apparatus
JP3416078B2 (en)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JP5569508B2 (en)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JP2013026490A (en) Substrate processor
US20160274469A1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substrat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TW201812876A (en) Substrate cleaning apparatus and substrate cleaning method
JP5503435B2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substrate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11971661B2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JP3818631B2 (en)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JP4620536B2 (en)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JP4790326B2 (en) Processing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KR20120079807A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KR101853376B1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JP3635214B2 (en)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KR102316618B1 (en) Buffer unit, Apparatus for treating a substrate including the unit
KR102534203B1 (en) substrate handling system
JP2004266283A (en) Equipment for processing substrate
KR20240009809A (en) interface module, apparatus for treating substrate comprising the same
KR20230015624A (en) Apparatus for treating substrate the same
JP2001110701A (en) Substrate treatment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