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9388A - 이차전지용 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차전지용 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9388A
KR20120079388A KR1020110000638A KR20110000638A KR20120079388A KR 20120079388 A KR20120079388 A KR 20120079388A KR 1020110000638 A KR1020110000638 A KR 1020110000638A KR 20110000638 A KR20110000638 A KR 20110000638A KR 20120079388 A KR20120079388 A KR 20120079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electrode assembly
negative electrod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0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2345B1 (ko
Inventor
김종훈
하정민
조병규
홍장혁
신병진
진선미
김인철
이주성
윤수진
유보경
김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10000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2345B1/ko
Publication of KR20120079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9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2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2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466U-shaped, bag-shaped or fold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1Poros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 조립체는 제1 세퍼레이터의 일면에 서로 미리 결정된 제1 간격들을 가지도록 각각 부착되는 다수의 양극판들을 포함하는 양극조립체; 및 제2 세퍼레이터 일면에 서로 미리 결정된 제2 간격들을 가지도록 각각 부착되는 다수의 음극판들을 포함하는 음극조립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간격들과 상기 제2 간격들에 각각 상기 음극판과 상기 양극판이 개재되도록 상기 양극조립체와 상기 음극조립체를 겹친 상태에서, 각각의 양극판과 각각의 음극판이 서로 교호되게 적층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세퍼레이터와 상기 제2 세퍼레이터가 지그재그 형태로 연속적으로 접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조립체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이차전지용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이차전지용 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Electrode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차전지용 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으로 구성된 단위 셀이 적층 또는 권취된 구조로 금속 캔 또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케이스에 내장되고, 그 내부에 전해액이 주입 또는 함침됨으로써 구성된다.
이차전지를 구성하는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전극 조립체는 그것의 구조에 따라 크게 젤리-롤형(권취형)과 스택형(적층형)으로 구분된다. 젤리-롤형(권취형)은 국부적으로 응력이 집중되어 전극 활물질이 탈리되는 단점이 있으며, 스택형 전극 조립체는 다수의 양극 및 음극 단위 셀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서, 각형의 형태를 얻기가 용이한 장점이 있지만, 제조 과정이 번잡하고 충격이 가해졌을 때 전극이 밀려서 단락이 유발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젤리-롤형과 스택형의 혼합 형태의 전극 조립체가 개발되었는데, 이는 일정한 단위 크기의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풀셀(full cell) 또는 양극(음극)/분리막/음극(양극)/분리막/양극(음극) 구조의 바이셀(bicell)을 긴 길이의 연속적인 분리필름을 이용하여 폴딩한 구조의 스택/폴딩형 전극 조립체가 그것이다. 이러한 스택/폴딩형 전극 조립체의 예들은 본 출원인에 의해 각각 출원된 한국 특허출원공개 번호 제2001-82058호, 제2001-82059호, 및 제2001-82060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스택/폴딩형 전극 조립체는, 긴 시트형의 분리필름 상에 풀셀 또는 바이셀로 구성된 단위셀들을 소정 패턴으로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기 분리필름이 두루마리 형태로 권취된 구조이다.
그런데,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전극 조립체들에 있어서, 분리막 및 전극들의 적층(라미네이션) 공정 또는 단위셀들을 분리필름 상에 올려 놓는 공정 및 이들을 권취하는 공정에서, 전극 또는 단위셀들이 정위치에 고정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정교한 정위치를 얻거나 유지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들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스택형 전극 조립체에서 전극과 분리필름 사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들이 일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출원공개 제2006-107832호에는 분자내에 광반응성을 가지는 에틸렌성 이중 결합과 에폭시기를 가지는 가교성 폴리머를 상기 에틸렌성 이중 결합의 광반응에 의해 가교시키는 반응성 폴리머로 하고, 여기에 에폭시 수지 경화제를 내포한 미소캡슐을 분산시켜 시트로 만드는 구성의 전지용 분리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출원공개 제2004-143363호에는, 가열에 의해 경화하는 열 가교성 접착제와 겔화제를 다공질 필름에 담지시켜 제조되는 접착제/겔화제 담지 다공질 분리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들에 따르면, 분리막 제조 비용 자체가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특정한 성분들이 분리필름에 포함됨으로써 전지용 분리필름으로서의 물성 저하가 불가피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분리필름과 전지 셀 자체가 접착 방식으로 고정되므로, 적층 및/또는 위치 고정 공정들에서 정렬이 어긋난 전지 셀들의 위치를 보정(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스택/폴딩형 전극 조립체에서는 분리필름 상에 다수의 단위셀들을 올려 놓은 공정에서 이러한 오정렬은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풀셀 또는 바이셀의 각각의 전극과 분리막이 1차적으로 라미네이션되고, 각각의 셀들이 분리필름에 놓여진 후 폴딩을 위해 2차적으로 라미네이션되는 조립 공정을 가진 스택/폴딩형 전극 조립체의 경우, 풀셀 또는 바이셀을 제조하는 과정에서의 1차 라미네이션 강도와 폴딩 과정에서의 2차 라미네이션 강도는 그 차이가 현격하게 존재한다. 이러한 차이는 이차전지의 공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어 그 성능을 저하시키는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종래의 스택/폴딩형 전극 조립체의 경우, 폴딩 공정에 의해 전해액의 함침 특성(함침 속도 및 함침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스택형 및 중첩식 적층 구조가 아닌 수직 단면상으로 지그재그형 중첩 구조로 전극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출원공개 제2001-160393호에는 분리막 시트 상에 양극과 바이셀 또는 풀셀 등의 전극 적층체 유닛들을 부착시킨 상태에서 지그재그형으로 접어 전극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조방법 역시 상기 중첩식 전극조립체에서와 마찬가지로 전극 적층체 유닛들을 제조하는 공정과 이들은 분리막 시트에 정렬시키는 공정이 필요하므로 근본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한국 특허출원공개 제2000-51741호에는 전극 시트와 분리막을 양극/분리막/음극의 적층 구조로 제조한 후 이를 지그재그형으로 접어 전극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은 상기 일본 특허출원공개 제2001-160393호와 비교하여 전반적인 공정이 매우 간단하다는 장점을 가지지만, 양극/분리막/음극의 적층 구조물은 그 자체로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므로 지그재그형으로 접는 과정이 용이하지 않고, 또한 이러한 접는 과정이 가능할 수 있도록 힘을 인가하는 과정에서 집전체 상의 전극 활물질층이 탈리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조가 용이하고 전극 활물질층의 탈리가 방지 가능한 지그재그형으로 접는 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1 세퍼레이터의 일면에 서로 미리 결정된 제1 간격들을 가지도록 각각 부착되는 다수의 양극판들을 포함하는 양극조립체; 및 제2 세퍼레이터 일면에 서로 미리 결정된 제2 간격들을 가지도록 각각 부착되는 다수의 음극판들을 포함하는 음극조립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간격들과 상기 제2 간격들에 각각 상기 음극판과 상기 양극판이 개재되도록 상기 양극조립체와 상기 음극조립체를 겹친 상태에서, 각각의 양극판과 각각의 음극판이 서로 교호되게 적층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세퍼레이터와 상기 제2 세퍼레이터가 지그재그 형태로 연속적으로 접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양극판은 양극집전체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코팅된 양극 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양극 활물질층이 상기 제1 세퍼레이터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음극판은 음극집전체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코팅된 음극 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음극 활물질층이 상기 제2 세퍼레이터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세퍼레이터 및 제2 세퍼레이터는 각각 독립적으로, 미세 다공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또는 이들 필름들의 조합에 의해서 제조되는 다층 필름, 및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또는 폴리비닐리덴 플로오라이드 헥사플로오르프로필렌 공중합체의 고분자 전해질용 고분자 필름 및 이들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유기-무기 다공성 코팅층이 형성된 필름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세퍼레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전극 조립체; 및 전해질과 함께 상기 전극 조립체를 밀봉 수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은 제1 세퍼레이터의 일면에 다수의 양극판들을 서로 미리 결정된 제1 간격들을 가지도록 접착하여 양극조립체를 준비하는 단계; 제2 세퍼레이터의 일면에 다수의 음극판들을 서로 미리 결정된 제2 간격들을 가지도록 접착하여 음극조립체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간격들과 상기 제2 간격들에 각각 상기 음극판과 상기 양극판이 개재되도록 상기 양극조립체와 상기 음극조립체를 겹친 상태에서, 각각의 양극판과 각각의 음극판이 서로 교호되게 적층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세퍼레이터와 상기 제2 세퍼레이터가 지그재그 형태로 연속적으로 접어서 적층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이차전지용 전극 조립체를 제공하며, 또한 이렇게 제조된 전극조립체; 및 전해질과 함께 상기 전극 조립체를 밀봉 수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는 전지의 제조과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을 절감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극 활물질층의 탈리가 방지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적층된 전극 조립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양극 조립체와 음극 조립체가 겹쳐진 전극 조립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극 조립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극 조립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적층된 전극 조립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2는 양극 조립체와 음극 조립체가 겹쳐진 전극 조립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전극조립체(400)는 도 2에 도시된 전극조립체(300)를 양극판(120)과 각각의 음극판(220)이 서로 교호되게 적층될 수 있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연속적으로 접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조립체이다.
전극조립체(300)는 겹쳐진 양극조립체와 음극조립체를 구비하는데, 도 3과 도 4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극 조립체(100)와 음극 조립체(2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극 조립체(100)는, 예를 들어 가늘고 긴 필름 형태의 제1 세퍼레이터(110)의 일면에 서로 소정의 미리 결정된 간격(112)들을 가지도록 접착되고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다수의 양극판들(120)을 포함한다.
이러한 양극판(120)은 양극집전체(122)의 적어도 일면에 양극 활물질 코팅층(124)이 형성된 것으로, 각각의 양극판(120)의 양극 활물질 코팅층(124)은 제1 세퍼레이터(110)의 일면에 접착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극 조립체(200)는, 제2 세퍼레이터(210)의 일면에 서로 소정의 미리 결정된 간격을 가지도록 접착되고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다수의 음극판(220)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음극판(220)은 음극집전체(222)의 적어도 일면에 음극 활물질 코팅층(224)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음극 활물질 코팅층(2242)이 제2 세퍼레이터(210)의 일면에 접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설명된 참조부호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기능을 가진 동일부재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300)는, 양극판들(120)과 음극판들(220)이 서로 미리 결정된 간격을 가지도록 상기 양극조립체(100)와 음극조립체(200)가 마주보며 겹쳐지며, 이들 사이의 간격들(311, 312)는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 조립체(300)가 상기 양극판들(120)과 음극판들(220)이 서로 교호되게 적층될 수 있도록 제1 세퍼레이터(110)와 제2 세퍼레이터(210)의 양극판 또는 음극판이 부착되지 아니한 무지부를 절곡하여 모서리를 형성하고 지그재그 형태로 접어 적층한 것이 도 1의 전극 조립체(400)이다. 적층된 구조에서 이웃하는 양극판들(120)과 음극판들(220)의 사이는 2중으로 겹쳐진 세퍼레이터(110, 210)가 개재된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양극 활물질층(124)은 리튬망간산화물(lithiated magnesium oxide), 리튬코발트산화물(lithiated cobalt oxide), 리튬니켈산화물 (lithiated nickeloxide),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서 형성되는 복합산화물 등과 같이 리튬흡착물질(lithium intercalation material)을 주성분으로 하고, 이것이 양극 집전체(103) 즉, 알루미늄, 니켈,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서 제조되는 호일(foil)과 결착된 형태로 양극을 구성하고, 음극 활물질층(224)은 리튬금속, 또는 리튬합금과 카본(carbon), 석유코크(petroleum coke), 활성화 카본(activated carbon), 그래파이트(graphite), 또는 여타 카본류 등과 같은 리튬흡착물질을 주성분으로 하고 이것이 음극 집전체(203) 즉, 구리, 금, 니켈 혹은 구리 합금 혹은 이들의 조합에 의해서 제조되는 호일과 결착된 형태로 음극을 구성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1 세퍼레이터(110) 및 제2 세퍼레이터(210)는 각각 독립적으로, 미세 다공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또는 이들 필름들의 조합에 의해서 제조되는 다층 필름, 및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또는 폴리비닐리덴 플로오라이드 헥사플로오르프로필렌 공중합체의 고분자 전해질용 고분자 필름 및 이들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유기-무기 다공성 코팅층이 형성된 필름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세퍼레이터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전극 조립체(400)가 제조되면, 이를 사용하여 당 분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해액을 구비하는 리튬 이차전지가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해액에 있어서, 전해질로서 포함될 수 있는 리튬염은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리튬염의 음이온으로는 F-, Cl-, Br-, I-, NO3 -, N(CN)2 -, BF4 -, ClO4 -, PF6 -, (CF3)2PF4 -, (CF3)3PF3 -, (CF3)4PF2 -, (CF3)5PF-, (CF3)6P-, CF3SO3 -, CF3CF2SO3 -, (CF3SO2)2N-, (FSO2)2N- , CF3CF2(CF3)2CO-, (CF3SO2)2CH-, (SF5)3C-, (CF3SO2)3C-, CF3(CF2)7SO3 -, CF3CO2 -, CH3CO2 -, SCN- 및 (CF3CF2SO2)2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해액에 있어서, 전해액에 포함되는 유기 용매로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PC), 에틸렌 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EC), 디에틸 카보네이트(diethyl carbonate, DEC), 디메틸 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DMC), 에틸메틸 카보네이트(EMC), 메틸프로필 카보네이트, 디프로필 카보네이트, 디메틸설퍼옥사이드, 아세토니트릴, 디메톡시에탄, 디에톡시에탄, 비닐렌 카보네이트, 설포란, 감마-부티로락톤, 프로필렌 설파이트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 등이 대표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카보네이트계 유기용매 중 고리형 카보네이트인 에틸렌 카보네이트 및 프로필렌 카보네이트는 고점도의 유기용매로서 유전율이 높아 전해질 내의 리튬염을 잘 해리시키므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리형 카보네이트에 디메틸 카보네이트 및 디에틸 카보네이트와 같은 저점도, 저유전율 선형 카보네이트를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면 높은 전기 전도율을 갖는 전해액을 만들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저장되는 전해액은 통상의 전해액에 포함되는 과충전 방지제 등과 같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지 케이스는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채택될 수 있고, 전지의 용도에 따른 외형에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면, 캔을 사용한 원통형, 각형, 파우치(pouch)형 또는 코인(coin)형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은, (a) 제1 세퍼레이터의 일면에 다수의 양극판들을 서로 미리 결정된 제1 간격들을 가지도록 접착하여 양극조립체를 준비하는 단계; (b) 제2 세퍼레이터의 일면에 다수의 음극판들을 서로 미리 결정된 제2 간격들을 가지도록 접착하여 음극조립체를 준비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간격들과 상기 제2 간격들에 각각 상기 음극판과 상기 양극판이 개재되도록 상기 양극조립체와 상기 음극조립체를 겹친 상태에서, 각각의 양극판과 각각의 음극판이 서로 교호되게 적층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세퍼레이터와 제2 세퍼레이터가 지그재그 형태로 연속적으로 접어서 적층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a) 단계 및 (b) 단계의 순서는 무의미하다. 또한, 상기 양극판들(120)과 음극판들(220)은 집전체에 활물질이 코팅된 것으로 코팅방법은 재료의 특성 등을 감안하여 공지방법 중에서 선택하거나 새로운 적절한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 등을 사용하여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다이캐스팅(die casting), 콤마코팅(comma coating),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 등의 방법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들 양극판 또는 음극판은 별도로 준비하여 세퍼레이터에 접착시키거나, 또는 직접 활물질을 세퍼레이터에 코팅한 후에 집전체를 형성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집전체를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호일 형태의 집전체를 준비하여 활물질층 위에 접착시키거나, 은 페이스트 등을 코팅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각각의 세퍼레이터에 상기 음극판과 양극판을 서로 미리 결정된 간격(112, 212)을 가지도록 접착하여 양극조립체(100)와 음극조립체(200)를 준비한다. 이들 간격(112, 212)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 조립체(300)가 상기 양극판들(120)과 음극판들(220)이 서로 교호되게 적층될 수 있도록 제1 세퍼레이터(110)와 제2 세퍼레이터(210)의 양극판들(120) 또는 음극판들(220)이 부착되지 아니한 무지부를 절곡하여 모서리를 형성하고 지그재그 형태로 접어 적층하여 도 1의 전극 조립체(400)를 제조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과 도면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양극조립체 110 : 제1 세퍼레이터
120 : 양극판 124 : 양극활물질층
122 : 양극 집전체 200 : 음극조립체
210 : 제2 세퍼레이터 220 : 음극판
222 : 음극활물질층 224 : 음극 집전체
300 : 전극 조립체 400 : 전극 조립체

Claims (11)

  1. 제1 세퍼레이터의 일면에 서로 미리 결정된 제1 간격들을 가지도록 각각 부착되는 다수의 양극판들을 포함하는 양극조립체; 및
    제2 세퍼레이터 일면에 서로 미리 결정된 제2 간격들을 가지도록 각각 부착되는 다수의 음극판들을 포함하는 음극조립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간격들과 상기 제2 간격들에 각각 상기 음극판과 상기 양극판이 개재되도록 상기 양극조립체와 상기 음극조립체를 겹친 상태에서,
    각각의 양극판과 각각의 음극판이 서로 교호되게 적층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세퍼레이터와 상기 제2 세퍼레이터가 지그재그 형태로 연속적으로 접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판은 양극집전체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코팅된 양극 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양극 활물질층이 상기 제1 세퍼레이터의 일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판은 음극집전체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코팅된 음극 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음극 활물질층이 상기 제2 세퍼레이터의 일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퍼레이터 및 제2 세퍼레이터는 각각 독립적으로, 미세 다공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또는 이들 필름들의 조합에 의해서 제조되는 다층 필름, 및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또는 폴리비닐리덴 플로오라이드 헥사플로오르프로필렌 공중합체의 고분자 전해질용 고분자 필름 및 이들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유기-무기 다공성 코팅층이 형성된 필름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세퍼레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조립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전극 조립체; 및 전해질과 함께 상기 전극 조립체를 밀봉 수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6. 제1 세퍼레이터의 일면에 다수의 양극판들을 서로 미리 결정된 제1 간격들을 가지도록 접착하여 양극조립체를 준비하는 단계;
    제2 세퍼레이터의 일면에 다수의 음극판들을 서로 미리 결정된 제2 간격들을 가지도록 접착하여 음극조립체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간격들과 상기 제2 간격들에 각각 상기 음극판과 상기 양극판이 개재되도록 상기 양극조립체와 상기 음극조립체를 겹친 상태에서, 각각의 양극판과 각각의 음극판이 서로 교호되게 적층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세퍼레이터와 상기 제2 세퍼레이터가 지그재그 형태로 연속적으로 접어서 적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판은 양극집전체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코팅된 양극 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양극 활물질층이 상기 제1 세퍼레이터의 일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판은 음극집전체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코팅된 음극 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음극 활물질층이 상기 제2 세퍼레이터의 일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퍼레이터 및 제2 세퍼레이터는 각각 독립적으로, 미세 다공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또는 이들 필름들의 조합에 의해서 제조되는 다층 필름, 및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또는 폴리비닐리덴 플로오라이드 헥사플로오르프로필렌 공중합체의 고분자 전해질용 고분자 필름 및 이들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유기-무기 다공성 코팅층이 형성된 필름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세퍼레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이차전지용 전극 조립체.
  11. 제10항의 전극조립체; 및 전해질과 함께 상기 전극 조립체를 밀봉 수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KR1020110000638A 2011-01-04 2011-01-04 이차전지용 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562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638A KR101562345B1 (ko) 2011-01-04 2011-01-04 이차전지용 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638A KR101562345B1 (ko) 2011-01-04 2011-01-04 이차전지용 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388A true KR20120079388A (ko) 2012-07-12
KR101562345B1 KR101562345B1 (ko) 2015-10-21

Family

ID=46712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0638A KR101562345B1 (ko) 2011-01-04 2011-01-04 이차전지용 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23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9892A (ko) * 2013-10-31 2015-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화학소자용 셀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04825A (ko) * 2014-07-04 2016-01-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이차 전지의 제조 장치 및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225B1 (ko) 2016-11-18 2021-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전극 조립체 및 전극 조립체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57244B2 (ja) 2007-05-11 2013-03-06 Tdk株式会社 電気化学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9892A (ko) * 2013-10-31 2015-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화학소자용 셀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04825A (ko) * 2014-07-04 2016-01-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이차 전지의 제조 장치 및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US10897058B2 (en) 2014-07-04 2021-01-19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2345B1 (ko) 2015-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406B1 (ko) 스택-폴딩형 전극 조립체
US7820337B2 (en) Electrochemical device
JP5609893B2 (ja) 電気化学デバイス
US20120196167A1 (en) Electrode assembly for a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684590B1 (ko) 전극 조립체
JP6504158B2 (ja) 積層型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511787B (zh) 锂离子二次电池及其制造方法
KR20070110563A (ko) 신규한 적층 구조의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JP2013048054A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24508A (ko) 세퍼레이터,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KR20040005664A (ko) 고분자 다공성 분리막 및 리튬이온 고분자 전지의 제조방법
JP4737817B2 (ja) 折り畳み型リチウム電池の製造方法
KR101446160B1 (ko) 테이프 처리된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JP2013101829A (ja) 板状二次電池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システム
JP6898850B2 (ja) 積層/折畳み型電極組立体
JP2013140825A (ja) ラミネート型蓄電素子
KR101562345B1 (ko) 이차전지용 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EP3483975A1 (e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710654B1 (ko) 전해액 주액성이 향상된 리튬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28565B1 (ko) 전기화학 커패시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20204A (ko)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CN114944471B (zh) 二次电池的制造方法
KR20160014498A (ko)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731631B1 (ko)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 그에 의해 제조된 전극조립체 및 그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JP2002280071A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