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9341A - 맵데이터갱신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맵데이터갱신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9341A
KR20120079341A KR1020110000575A KR20110000575A KR20120079341A KR 20120079341 A KR20120079341 A KR 20120079341A KR 1020110000575 A KR1020110000575 A KR 1020110000575A KR 20110000575 A KR20110000575 A KR 20110000575A KR 20120079341 A KR20120079341 A KR 20120079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p data
information
image
map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0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승완
조창빈
이해일
김진영
Original Assignee
팅크웨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팅크웨어(주) filed Critical 팅크웨어(주)
Priority to KR1020110000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9341A/ko
Publication of KR20120079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93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7Output of additional, non-guidance related information, e.g. low fuel lev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영상을 촬영하여, 촬영된 주행영상을 이용하여 맵데이터를 갱신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맵데이터갱신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기록매체{METHOD, ELECTRONIC DEVICE AND RECORDED MEDIUM FOR UPDATING MAP DATA}
본 발명은, 주행영상을 촬영하여, 촬영된 주행영상을 이용하여 맵데이터를 갱신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기록매체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가 일반에 널리 보급됨에 따라 이러한 차량의 이용을 보조하기 위한 다양한 장비가 개발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차량의 운행을 돕기 위한 내비게이션과 차량의 사건사고를 대비하기 위한 블랙박스를 들 수 있다.
내비게이션은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는 위치기반서비스(LSB: location based service)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거나 목적지까지의 이동경로를 안내해주는 경로안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블랙박스는 주행영상을 비롯하여 차량에 관련하여 발생한 사고의 책임소재를 판단하기 위한 다양한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내비게이션은 저장된 맵데이터를 이용하여 경로안내를 수행하는데, 이러한 맵데이터에는 새로 생긴 도로와 같이 새롭게 변경된 사항이 미처 기록되지 못한 경우가 있어, 이로 인해 내비게이션이 경로안내를 올바로 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촬영된 주행영상을 이용하여 맵데이터가 신속하게 현실을 반영할 수 있도록 맵데이터를 갱신하는 발명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서버가 맵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도록 맵갱신정보를 송신하는 맵데이터갱신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주행영상을 분석하여 맵데이터가 현실에 부합하지 아니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맵데이터갱신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전자기기는, 맵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영상에 포함되는 객체정보와, 객체정보와 대응되는 맵데이터의 객체정보를 비교하여 상이한 경우, 영상에 대응되는 특정영역에 대한 맵갱신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전자기기는, 맵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차량용 블랙박스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에 포함되는 객체정보와, 객체정보와 대응되는 맵데이터의 객체정보를 비교하여 상이한 경우, 영상에 대응되는 특정영역에 대한 맵갱신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전자기기는, 맵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영상에 포함되는 객체정보에 포함된 시설물이 영상에 포함된 객체정보와 대응되는 맵데이터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영상에 대응되는 특정영역에 대한 맵갱신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전자기기는, 맵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영상에 포함되는 객체정보에, 영상에 포함된 객체정보와 대응되는 맵데이터에 포함된 시설물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영상에 대응되는 특정영역에 대한 맵갱신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전자기기는, 맵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영상에 포함되는 객체정보에 포함된 시설물의 속성이, 객체정보와 대응되는 맵데이터의 시설물의 속성과 상이한 경우, 영상에 대응되는 특정영역에 대한 맵갱신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전자기기는, 통신부, 맵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영상에 포함되는 객체정보와, 객체정보와 대응되는 맵데이터의 객체정보를 비교하여 상이한 경우, 영상에 대응되는 특정영역에 대한 맵갱신정보를 생성하고, 통신부를 통해 외부기기로 맵갱신정보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전자기기는, 통신부, 맵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영상에 포함되는 객체정보와, 객체정보와 대응되는 맵데이터의 객체정보를 비교하여 상이한 경우, 영상에 대응되는 특정영역에 대한 맵갱신정보를 생성하고, 통신부를 통해 외부기기로 맵갱신정보를 송신하고, 통신부를 통해 외부기기로부터 맵갱신정보가 반영된 맵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부에 기 저장된 맵데이터를 갱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전자기기는,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획득부, 맵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영상에 포함되는 객체정보와, 객체정보와 대응되는 맵데이터의 객체정보를 비교하여 상이한 경우, 영상에 대응되는 특정영역에 대한 맵갱신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영역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은, 맵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영상에 포함되는 객체정보와, 영상에 포함된 객체정보와 대응되는 맵데이터의 객체정보를 비교하여 상이한 경우, 영상에 대응되는 특정영역에 대한 맵갱신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은, 맵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영상에 포함되는 객체정보에 포함된 시설물이, 영상에 포함된 객체정보와 대응되는 맵데이터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영상에 대응되는 특정영역에 대한 맵갱신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은, 맵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영상에 포함되는 객체정보에, 영상에 포함된 객체정보와 대응되는 맵데이터에 포함된 시설물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영상에 대응되는 특정영역에 대한 맵갱신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은, 맵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영상에 포함된 객체정보에 포함된 시설물의 속성이, 영상에 포함된 객체정보와 대응되는 맵데이터의 시설물의 속성과 상이한 경우, 맵갱신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은, 맵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영상에 포함되는 객체정보와, 영상에 포함된 객체정보와 대응되는 맵데이터의 객체정보를 비교하여 상이한 경우, 영상에 대응되는 특정영역에 대한 맵갱신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맵갱신정보를 외부기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맵갱신정보가 반영된 맵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은, 맵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영상에 포함되는 객체정보와, 영상에 포함된 객체정보와 대응되는 맵데이터의 객체정보를 비교하여 상이한 경우, 영상에 대응되는 특정영역에 대한 맵갱신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비게이션이 맵갱신정보를 서버로 송신하고 이에 따라 서버가 맵데이터를 갱신하여 맵데이터가 현실에 부합하도록 갱신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비게이션이 주행영상을 분석하여 맵데이터가 현실에 부합하지 아니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맵데이터의 갱신이 자동적으로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버를 운영하는 측이 아닌 사용자 측인 내비게이션을 활용하여 맵데이터의 갱신할 사항을 찾아냄으로써, 맵데이터의 갱신에 소모되는 시간과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비게이션이 일차적으로 맵데이터가 현실에 부합하지 아니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차적으로 사용자의 확인을 받음으로써 보다 정확한 판단이 이루어지고, 서버에서는 보다 정확한 맵갱신정보를 수신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비게이션이 서버로부터 맵갱신정보를 반영하여 갱신된 맵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내비게이션이 보다 효과적이고 정확한 경로안내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맵갱신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에게 보상을 함으로써, 내비게이션을 통한 맵데이터갱신방법이 보다 활발히 이용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 및 블랙박스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의 일 실시예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의 일 실시예에 관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시스템의 통신환경의 일 실시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의 일 실시예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의 일 실시예에 관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의 카메라의 일 실시예에 관한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의 복수의 카메라의 일 실시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의 제1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맵데이터에 관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맵데이터에 따른 지도에 관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주행영상으로부터 도로를 인식하는 방법에 관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교통 시설물을 인식하는 방법에 관한 제1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교통 시설물을 인식하는 방법에 관한 제2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건물을 인식하는 방법에 관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시설물의 좌표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관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차량과 시설물의 상대위치를 획득하는 방법에 관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도로의 속성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관한 제1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도로의 속성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관한 제2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촬영된 주행영상에 해당하는 지역에 관한 맵데이터를 선택하는 방법에 관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시설물정보 및 맵데이터를 비교하는 방법에 관한 제1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시설물정보 및 맵데이터를 비교하는 방법에 관한 제2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시설물정보 및 맵데이터를 비교하는 방법에 관한 제3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의 제2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고 수정 또는 변형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 또는 변형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후술할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상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시스템에 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관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100) 및 블랙박스(200)에 관한 사시도이다.
내비게이션시스템은 차량의 운행을 위한 경로안내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시스템은 차량의 위치, 지도, 이동경로 및 그 외의 차량의 운행에 유용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100), 블랙박스(200) 및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내비게이션(100) 및 블랙박스(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별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 물리적으로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내비게이션(100)은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100)은 맵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도를 표시하고, 지도 상에 차량의 위치 및 목적지까지의 이동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또 내비게이션(100)은 차량의 위치에 따라 운행에 유용한 정보, 예를 들어, 제한속도나 단속카메라의 설치여부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블랙박스(200)는 차량의 주행영상을 비롯한 차량의 주행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주행정보란 사고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집되는 정보로써, 차량의 주행에 관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서버(300)는 맵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맵데이터는, 도로, 교통 시설물 및 건물 등의 시설물이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300)는 이러한 맵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다양한 방법으로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맵데이터를 작성 및 갱신하여, 이를 내비게이션(100) 등의 외부기기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내비게이션(100)에 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100)의 일 실시예에 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100)의 일 실시예에 관한 구성도이다.
내비게이션(100)은 위치정보 및 맵데이터를 이용하여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100)은 맵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도를 표시하고, 인공위성으로부터 전파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전파신호에 기초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지도 상에 위치정보에 따른 현재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100)은 목적지를 입력받아 현재위치 또는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여 경로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내비게이션(100)은 도 3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을 받는 제1입력부(110), 정보를 출력하는 제1출력부(115), 통신을 수행하는 제1통신부(120),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는 제1감지부(130), 정보를 저장하는 제1저장부(140) 및 내비게이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1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100)에 있어서, 상술한 구성요소는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며, 따라서 내비게이션(100)은 상술한 구성요소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내비게이션(100)의 각 구성요소에 관하여 다시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1입력부(110), 제1출력부(115), 제1통신부(120), 제1감지부(130), 제1저장부(140) 및 제1제어부(150)의 순서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시스템의 통신환경의 일 실시예에 관한 도면이다.
제1입력부(110)는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제1입력부(110)를 통해 내비게이션(100)의 동작을 직접 조작할 수 있다. 제1입력부(110)는 자판, 터치스크린, 마이크 및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다른 입력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출력부(115)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출력부(115)를 통해 내비게이션(100)으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제1출력부(115)는 시각적 신호, 청각적 신호 및 촉각적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출력부(115)는 맵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도를 표시하거나, 음성을 통해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출력부(115)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진동기(vibrator) 및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다른 입력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내비게이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 적어도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1입력부(110) 및 제1출력부(115)는 하나의 장치로써 일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입력부(110) 및 제1출력부(115)는 터치스크린으로써 영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터치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1통신부(120)는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통신부(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통신망을 통해 다양한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통신부(120)는 반드시 외부기기와만 통신을 수행하는 것은 아니며 내비게이션(1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정보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1통신부(120)는 제어국(ACR) 및 기지국(RAS) 등을 통해 네트워크에 무선으로 접속하여 그 네트워크에 연결된 외부기기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또는 제1통신부(120)는 통신기능을 가진 외부기기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100)은 근거리통신을 통해 가까운 거리에 있는 무선인터넷통신 기능을 가진 외부기기에 접속하여, 이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이러한 제1통신부(120)는 제1위치정보모듈(121), 제1무선인터넷모듈(122), 제1근거리통신모듈(123), 제1유선통신모듈(124) 및 방송송수신모듈(12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위치정보모듈(121)은 통신을 수행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위치정보모듈(121)은 글로벌내비게이션새틀라이트시스템(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을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GNSS는 기본적으로 수신기와 인공위성으로 구성되어 수신기가 인공위성으로부터 전파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에 따라 수신기의 위치를 산출하는 항법시스템을 의미한다. 여기서, 각각의 인공위성은 주파수 대역이 상이한 L밴드 주파수를 송신할 수 있다. 제1위치정보모듈(121)은 인공위성으로부터 송신된 L밴드 주파수가 내비게이션에 도달하는데 소요된 시간에 기초하여 현재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GNSS의 예로는, 그 운영 주체에 따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alileo, GLONASS(global orbiting navigational satellite system), COMPASS, IRNSS(Indian regional navigational satellite system), QZSS(Quasi-Zenith satellite system)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100)의 제1위치정보모듈(121)은 내비게이션(100)이 사용되는 지역에서 서비스하는 GNSS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무선인터넷모듈(122)은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무선인터넷모듈(122)은 WLAN(wireless LAN),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및 그 밖의 통신규격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근거리통신모듈(123)은 근거리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근거리통신모듈(123)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직비(ZigBee) 및 그 밖의 근거리통신규격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유선통신모듈(124)은 내비게이션(100)을 외부기기와 유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1유선통신모듈(124)은,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는 USB 모듈이나 RS-232 규격의 포트 등을 비롯한 다양한 유선통신규격에 따른 인터페이스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방송송수신모듈(125)은 각종 방송시스템을 통해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송수신모듈(125)을 통해 수신할 수 있는 방송시스템은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 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 terrestrial) 및 그 밖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방송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송수신모듈(125)은 이러한 방송시스템으로부터 방송정보, 교통정보, 생활정보 및 그 밖의 차량의 운행에 직간접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통신부(120)의 구성 및 제1통신부(120)가 통신하는 방법은 상술한 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통신부(120)는 상술한 통신모듈 및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다른 통신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그에 따른 다양한 통신규격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법으로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1통신부(120)는 반드시 하나의 통신모듈만으로 통신을 수행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동시에 복수의 통신모듈을 통해 복수의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감지부(130)는 차량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제1감지부(130)는 제1운동감지모듈(131) 및 광센싱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운동감지모듈은 차량의 운동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운동감지모듈은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 방향, 속도, 가속도 등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는 가속도센서, 지자기센서 및 자이로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속도센서, 지자기센서 및 자이로센서는 3축센서일 수 있다. 가속도센서는 기울기 및 가속도를 측정하고, 지자기센서는 방위를 측정하고, 자이로센서는 각속도를 이용하여 각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이다.
광센싱모듈(132)은 내비게이션 주변의 조도(illuminance)를 측정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은 광센싱모듈(132)이 감지한 조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로 구현된 제1출력부(115)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1저장부(140)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저장부(140)는 내비게이션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 및 내비게이션의 동작에 의하여 생성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내비게이션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경로탐색어플리케이션, 맵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내비게이션의 동작에 의하여 생성된 정보는 탐색된 경로정보, 수신한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저장부(140)는 다양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저장부(140)는 플래쉬메모리(flash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에스램(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 only memory), 이이피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자기메모리, 자기디스크(magnetic disc), 씨디나 블루레이 등의 광디스크(optical disc), 에스디카드(SD card) 등의 카드타입메모리 및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다른 저장매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저장부(140)는 내비게이션(100)의 내부에 내장된 형태, 장탈착이 가능한 형태 및 외부에 별도로 위치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로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제1제어부(150)는 내비게이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내비게이션(100)의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제어부(150)는 각종 정보를 연계시키고, 그 정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제어부(150)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제어부(150)는, 하드웨어적으로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s) 및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제어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기적인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제어부(150)는, 소프트웨어적으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코드 또는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제1저장부(140)에 저장되고 제1제어부(150)의 하드웨어적인 구성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또 소프트웨어는 외부기기, 예를 들어 서버(300) 등으로부터 내비게이션(100)으로 송신됨으로써 내비게이션(100)에 설치될 수 있다.
제1제어부(150)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의 설명에서 후술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블랙박스(200)에 관하여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200)의 일 실시예에 관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200)의 일 실시예에 관한 구성도이다.
블랙박스(200)는 주행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저장할 수 있다. 블랙박스(200)는 차량에 장착되어, 주행 또는 정차 중에 주행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고가 발생한 때 블랙박스(200)에 저장된 사고영상을 비롯한 주행정보를 분석하여 사고의 경위 및 과실의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블랙박스(200)는 다양한 방법으로 차량의 주행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랙박스(200)는 주행 중 영상을 촬영하거나 음성을 녹음하여 주행영상 및 음성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블랙박스(200)는 가속도센서 등의 차량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각종 센서로부터 차량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블랙박스(200)는 차량의 핸들, 엑셀, 브레이크 등의 조작장치로부터 운전자의 차량조작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블랙박스(200)는 내비게이션(100) 및 기타 외부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활용하여 주행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랙박스(200)는 내비게이션(100)으로부터 위치정보, 이동경로 및 맵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블랙박스(200)는 이러한 정보를 주행영상 등의 주행정보에 대응시킬 수 있다. 이처럼, 주행정보가 위치정보, 이동경로 및 맵데이터 등과 결합됨으로써, 주행정보를 통한 사고분석이 용이해질 수 있다.
블랙박스(200)는 이처럼 수집한 주행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랙박스(200)는 촬영한 주행영상을 일정한 화질로 저장하거나 또는 다양한 조건에 따라 적절한 화질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랙박스(200)는 통상적인 주행 중에는 영상을 낮은 화질로 저장하되, 사고가 발생한 시점 또는 그 전후의 시간 동안의 영상은 고화질로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이로써, 블랙박스(200)는 저장공간을 낭비하지 아니하고도 사고를 분석하기 위해 핵심적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블랙박스(2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랙박스(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210), 블랙박스(200)가 차량에 장착되도록 하는 장착부(215), 주행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220), 소리를 획득하는 마이크(225), 입력을 받는 제2입력부(230), 정보를 출력하는 제2출력부(235), 통신을 수행하는 제2통신부(240),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는 제2감지부(250), 정보를 저장하는 제2저장부(260) 및 블랙박스(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27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200)에 있어서, 상술한 구성요소는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며, 따라서 블랙박스(200)는 상술한 구성요소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블랙박스(200)의 각 구성요소에 관하여 다시 도 6, 도 7,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하우징(210), 장착부(215), 카메라(220), 마이크(225), 제2입력부(230), 제2출력부(235), 제2감지부(250), 제2통신부(240), 제2저장부(260) 및 제2제어부(270)의 순서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200)의 카메라(220)의 일 실시예에 관한 구성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200)의 복수의 카메라(220)의 일 실시예에 관한 도면이다.
하우징(210)은 블랙박스(2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210)은 블랙박스(20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목적을 가질 수 있다.
또 하우징(210)은 그 내부의 블랙박스(200)의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할 수 있다. 블랙박스(200)는 계절적인 요인 등에 의한 고온 또는 저온에 노출되거나, 차량의 주행 및 사고 등에 의해 직간접적인 외부충격을 받는 등 다양한 조건의 환경에 노출될 수 있다. 하우징(210)은 이러한 외부환경의 변화로부터 블랙박스(200) 내부의 각종 전자부품을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우징(210)은 ABS수지(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PC(polycarbonate copolymer) 또는 강화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의 소재를 사출성형 하는 방법으로 가공될 수 있다.
장착부(215)는 블랙박스(200)가 차량에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장착부(215)는 블랙박스(200)가 차량의 외부 또는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착부(215)는 차량의 윈도우, 차량의 룸미러(room mirror), 차량의 지붕 등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부(215)는 유리나 거울 등에 흡착되어 흡착판,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물체에 접착되는 접착판 및 그 외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다른 장착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220)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차량의 외부 또는 내부를 촬영하여 주행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주행영상은 정지영상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2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빛을 수광하는 렌즈(221), 수광한 빛에 따라 아날로그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이미지센서(222) 및 아날로그 전기신호를 디지털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컨버터(22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카메라(220)는 영상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이미지센서(222)는 CCD(charge coupled device)소자 또는 COM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소자일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220)는 단수로 또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220)가 단수인 때에는, 카메라(220)는 차량의 전방을 촬영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카메라(220)가 복수인 때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카메라(220)는 블랙박스(200) 본체에 일체로 결합되어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고, 나머지는 차량의 각 부분에 설치되어 다양한 각도에서 주행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차량의 각 부분에 설치된 카메라(220)는 촬영한 주행영상을 유무선으로 블랙박스(200) 본체로 송신할 수 있다.
마이크(225)는 소리(sound)를 획득할 수 있다. 마이크(225)는 음성과 음향을 포함하는 다양한 소리를 수신하여 이에 따른 전기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마이크(225)는 차량의 외부 또는 내부의 소리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225)는 주행 중 차량이나 주변의 음향 또는 운전자나 동승자의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블랙박스(200)는 이러한 소리를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블랙박스(200)는 통상적인 상황에서 카메라(220)를 통해 비교적 낮은 화질의 영상을 촬영하고, 일정한 크기 이상의 음량이 수신된 때에 보다 높은 화질의 영상을 촬영하거나 정지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제2입력부(230)는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제2입력부(230)는 상술한 내비게이션(100)의 제1입력부(110)와 유사할 수 있다.
제2출력부(235)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제2출력부(235)는 상술한 내비게이션(100)의 제1출력부(115)와 유사할 수 있다.
제2통신부(240)는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통신부(240)는 제2위치정보모듈(241), 제2무선인터넷모듈(242), 제2근거리통신모듈(243) 및 제2유선통신모듈(24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통신부(240)의 제2위치정보모듈(241), 제2무선인터넷모듈(242), 제2근거리통신모듈(243) 및 제2유선통신모듈(244)은 상술한 내비게이션(100)의 제1통신부(120)의 제1위치정보모듈(121), 제1무선인터넷모듈(122), 제1근거리통신모듈(123) 및 제1유선통신모듈(124)과 유사할 수 있다.
제2감지부(250)는 차량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제2감지부(250)는 제2운동감지모듈(251) 및 조작감지모듈(2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감지부(250)의 제2운동감지모듈(251)은 상술한 내비게이션(100)의 제1감지부(130)의 제1운동감지모듈(131)과 유사할 수 있다.
조작감지모듈(252)은, 차량의 조작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조작감지모듈(252)은 차량의 조작장치 및 구동부위 등에 설치된 각종 센서를 포함하여, 이러한 센서를 통해 차량의 조작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스티어링휠, 엑셀, 브레이크, 기어, 방향지시등조작기 및 그 외의 차량운행과 관련된 조작장치 또는 차량의 엔진, 바퀴, 미션 및 그 외의 구동부위에 센서가 설치되고, 이러한 센서는 차량의 속도, 방향, 가속도 및 그 외의 조작상태에 관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블랙박스(200)는 이러한 제2감지부(250)를 통해 차량의 운동상태 및 조작상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나아가 블랙박스(200)는 내비게이션으로부터 위치정보, 맵데이터 및 이동경로 등을 획득하여 이를 차량의 상태에 관한 정보와 취합하여 차량의 상태를 보다 효과적이고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제2저장부(260)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저장부(260)는 상술한 내비게이션(100)의 저장부와 유사할 수 있다.
제2저장부(260)는 정보를 임시적으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저장부(260)는 카메라(220)가 촬영한 주행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저장부(140)는 카메라(220)가 촬영한 주행영상을 임시로 저장하고 사고 등의 이벤트가 발생한 때 이를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제2제어부(270)는 블랙박스(2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블랙박스(200)의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제어부(270)는 상술한 내비게이션(100)의 제1제어부(150)와 유사할 수 있다.
제2제어부(270)는 통신을 통해 내비게이션(100)을 제어하거나 반대로 통신을 통해 내비게이션(100)의 제1제어부(150)로부터 제어를 받을 수 있다.
제2제어부(270)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의 설명에서 후술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100)과 블랙박스(200)는 물리적으로 별개로 구현되거나 또는 일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100)과 블랙박스(200)는 차량에 매설되어 설치되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100)과 블랙박스(200)는 상술한 내비게이션(100)과 블랙박스(200)의 구성요소를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220)는 블랙박스(200)의 구성요소로 상술된 카메라(220)는 반드시 블랙박스(200)에 마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내비게이션(100)에 마련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100)과 블랙박스(200)에 있어서, 공통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는 어느 하나의 장치에만 구현되고, 다른 하나의 장치에는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100)이 제1통신부(120)를 통해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경우에는 블랙박스(200)에는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하는 제2통신부(240), 구체적으로 제2위치정보모듈(241)이 생략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블랙박스(200)는 위성으로부터 직접 전파신호를 수신하는 대신 내비게이션(100)으로부터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100)과 블랙박스(200) 양 장치에 있어서, 공통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가 양 장치에 각각 구현된 경우에는, 그러한 구성요소 중 하나가 다른 하나에 종속되거나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장치는 통신을 통해 다른 장치의 구성요소를 이용함으로써 그 구성요소가 수행하는 기능을 간접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100) 및 블랙박스(200)에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150)와 제2제어부(270)가 구현될 수 있는데, 이때, 제1제어부(150)와 제2제어부(270)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에 제1입력부(110)가 마련되고, 블랙박스(200)는 내비게이션과 통신을 통해 제1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100) 및 블랙박스(200) 중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제1저장부(140) 및 제2저장부(260) 중 적어도 하나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시스템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내비게이션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시스템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시스템에 포함되는 내비게이션(100), 블랙박스(200) 및 서버(300)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장치는 스마트폰(smart phone)을 비롯한 이동통신단말기, 태블릿컴퓨터(tablet computer), PMP(po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및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의 제1실시예에 관하여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의 제1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맵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S110), 주행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120), 주행영상을 분석하여 객체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30), 객체정보 및 맵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S140), 비교결과에 따라 객체정보 및 맵데이터가 상이한 경우, 맵갱신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50) 및 맵갱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16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의 제1실시예의 각 단계에 관하여 설명한다.
내비게이션(100)은 맵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S110). 이하에서는 본 단계에 관하여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맵데이터에 관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맵데이터에 따른 지도에 관한 도면이다.
제1저장부(140)는 맵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100)은 제1저장부(140)에 맵데이터가 저장된 상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제조 후 제1통신부(120)를 통해 서버(300)로부터 맵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제1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맵데이터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맵데이터의 객체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객체정보란 맵데이터에 따른 시설물의 식별정보, 시설물의 좌표정보 및 시설물의 속성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시설물은 도로, 교통 시설물 및 건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여기서, 신호등, 횡단보도, 단속카메라, 표지판, 과속방지턱 및 그 외의 교통과 관련된 시설물을 포함할 수 있다.
시설물의 식별정보는 이러한 시설물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써, 시설물의 명칭 또는 시설물의 종류를 반영하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설물의 식별정보는 시설물이 도로인지, 단속카메라인지, 건물인지와 같이 그 시설물의 종류를 반영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시설물의 식별정보는 도로인 시설물이 1번 국도인지, 46번 국도인지 또는 건물인 시설물이 서울시청인지 경기도청인지와 같이 그 시설물의 명칭을 반영할 수 있다.
시설물의 좌표정보는 시설물의 좌표를 반영할 수 있다. 좌표정보는 2차원 좌표정보 또는 3차원 좌표정보일 수 있다. 시설물의 좌표정보는 시설물의 종류에 따라 점, 선 또는 면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속카메라와 같이 작은 크기의 시설물의 경우에는, 시설물의 좌표정보는 점 좌표일 수 있다. 이때, 점 좌표는 하나의 경도 및 하나의 위도로 표현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운동장과 같이 비교적 크기가 큰 시설물의 경우에는, 시설물의 좌표정보는 면 좌표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도로의 경우에는, 선 좌표로 표현될 수 있다. 구도로가 제1지점에서 제2지점까지 연결되고 제2지점에서 방향을 바꾸어 제3지점으로 연결되는 경우라면, 도로에 대한 좌표정보는 제1지점, 제2지점 및 제3지점의 경도 및 위도로써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
시설물의 속성정보는 시설물의 다양한 속성을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의 경우에는, 시설물의 속성정보는 도로의 폭, 차선의 수, 좌회전차선인지 여부, 우회전차선인지 여부, 유턴의 가부, 제한속도, 버스전용차선여부 및 일방통행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100)은 이러한 맵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도를 표시하거나 차량의 운행에 유용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100)의 제1출력부(115)는 시설물의 식별정보 및 시설물의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 상에는 1번 국도가 경도 및 위도가 각각 X1 및 Y1인 제1지점으로부터 경도 및 위도가 각각 X2 및 Y2인 제2지점까지 표시되고, 46번 국도도 이와 유사하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단속카메라는 경도 및 위도가 X5, Y5인 지점에 표시될 수 있고, 혹은 이러한 단속카메라는 시각적으로 표시가 되지 않더라도 차량이 해당기간을 지날 때 내비게이션(100)이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단속카메라의 존재를 알려줄 수 있다. 유사하게 서울시청은 경도와 위도가 X6, Y6인 지점에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100)은 시설물의 속성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중 제한속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운행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100)은 주행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120).
제1제어부(150)는 주행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제1제어부(150)는 제1통신부(120)를 통해 블랙박스(200)의 카메라(220)가 촬영한 주행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는 내비게이션(100)에 카메라가 마련되어 그 카메라가 촬영한 주행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주행영상은 전방, 측방, 후방의 주행영상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내비게이션(100)은 주행영상을 분석하여 객체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30).
제1제어부(150)는 획득된 주행영상을 분석하여 객체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주행영상은 객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객체정보는 주행영상에 포함된 다양한 객체들에 관한 정보로써, 이러한 객체정보에는 시설물의 유무에 관한 정보, 시설물의 식별정보, 시설물의 좌표정보 및 시설물의 속성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제어부(150)는 주행영상을 전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의 전처리는 영상에 대한 각도보정, 색조보정, 명암보정, 음영보정 및 노이즈제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색조보정은 영상의 그레이화, 흑백의 이진화 및 특정 색상의 강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음영보정은 영상에 나타나는 경계선의 굵기를 조절하는 것일 수 있으며, 노이즈제거는 영상 내의 불필요한 잡티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전처리된 영상은 원본영상에 비하여 선명도가 향상되거나 경계선이 보다 명확해지거나 노이즈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제어부(150)가 영상분석을 수행함에 있어서 전처리된 영상을 이용하면, 영상분석을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제어부(150)는 주행영상을 분석하여 시설물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제어부(150)는 주행영상을 분석하여 주행영상이 시설물을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시설물의 유무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시설물에 유무에 관한 정보는 객체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제1제어부(150)는 주행영상에 포함된 도로, 교통 시설물 및 건물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할 수 있다.
제1제어부(150)는 도로를 인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로를 인식하는 방법에 관하여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주행영상으로부터 도로를 인식하는 방법에 관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는 양쪽 가장자리가 평행하게 직선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취하고, 무채색 계열의 일정한 색상이다. 제1제어부(150)는 상술한 도로의 특징을 이용하여 주행영상으로부터 도로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제어부(150)는 영상 내의 도로의 색상을 검출하여 도로로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어부(150)는 주행영상의 경계선추출(edge detection)을 추출하여 미리 정해진 각도로 일정한 길이 이상의 경계선이 추출된 경우에 이를 도로로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제1제어부(150)는 도로 대신 차선을 인식하여 이에 따라 도로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대개의 경우 도로에는 차선이 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차선은 도로의 색상인 검정색 또는 명도가 낮은 회색과 대비되는 흰색, 황색 또는 주황색 등의 색상으로, 미리 정해진 규격에 따라 차량의 주행방향에 수평한 실선, 이중실선 또는 점선으로 그려진다. 제1제어부(150)는 상술한 차선의 특징을 이용하여 주행영상으로부터 차선을 인식하고 이에 따라 도로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제어부(150)는 영상 내의 차선의 색상을 검출하여 차선을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선과 도로의 경계선 상에서 명도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급격히 변하는 것을 감지하여 이에 따라 차선을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각도의 실선, 이중실선 또는 점선인 경계선을 추출하여 이에 따라 차선을 인식하고 도로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제1제어부(150)는 다양한 교통 시설물을 인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교통 시설물을 인식하는 방법에 관하여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교통 시설물을 인식하는 방법에 관한 제1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교통 시설물을 인식하는 방법에 관한 제2도면이다.
교통 시설물은 신호등, 횡단보도, 단속카메라, 표지판, 과속방지턱 및 그 외의 교통과 관련된 시설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교통 시설물은 일반적으로 규격화된 형상으로 마련되므로, 주행영상 내에서 규격화된 이미지를 검출함으로써 교통 시설물을 인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제어부(150)는 주행영상으로부터 경계선을 추출하여 교통 시설물의 규격화된 형상과 일치하는 객체를 교통 시설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등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적어도 2개 이상의 원형 형상의 라이트가 포함된 형상으로 마련되며, 신호에 따라 녹색, 황색 및 적색의 빛을 발한다. 제1제어부(150)는, 상술한 직사각형의 형상을 검출하거나, 연속적으로 배치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원형형상을 검출하거나 또는 녹색, 황색, 적색의 색상을 검출하여 신호등을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단속카메라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해진 규격에 따른 형상을 취하고 있으므로 제1제어부(150)는 이러한 형상을 주행영상으로부터 검출하여 단속카메라를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표지판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또는 원형의 형상으로 마련되고, 표지판에는 문자, 숫자 및 그림 등의 시각적 기호들이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표지판은 운전자의 시인성 향상을 위해 바탕색과 기호의 색이 서로 명도, 채도, 색상의 차이가 크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표지판에는 청색이나 녹색의 바탕에 흰색 문자가 표시되거나 황색의 바탕에 검정색 또는 적색의 기호가 마련된다. 따라서, 제1제어부(150)는, 상술한 표지판의 직사각형 또는 원형의 형상을 검출하거나, 명도, 채도, 색상이 급격하게 반복적으로 변하는 영역을 검출하여 표지판을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보도나 과속방지턱은 역시 운전자의 시인성을 돕기 위하여 일정한 패턴의 형상 및 색상을 취한다. 구체적으로 횡단보도는 도로의 검정색 또는 명도가 낮은 회색바탕에 흰색의 사다리형상을 취하며, 과속방지턱에는 일반적으로 주행방향과 예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검정색과 황색이 반복되어 사선으로 그려진다. 제1제어부(150)는 역시 경계선을 검출하거나 명도, 채도, 색상이 반복적으로 변화하는 영역을 검출하여 이를 횡단보도, 과속방지턱 등으로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신호등, 단속카메라, 표지판 등은 도로 변에 마련된 기둥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제1제어부(150)는 기둥에 설치되는 교통 시설물에 관해서는 기둥을 먼저 인식하고, 그 기둥 주변의 영역에서 교통 시설물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둥은 일반적으로 도로 변의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일정한 높이에서 다시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도로의 상부를 향하여 연장된다. 신호등, 단속카메라 및 표지판은 이러한 기둥의 도로의 상부로 연장된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1제어부(15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길이 이상 연장된 경계선을 찾아 이를 기둥으로 인식하고, 그 수직한 방향의 경계선으로부터 다시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된 경계선을 검출하고 그 경계선의 주변 영역에서 교통 시설물을 검출할 수 있다.
또는 제1제어부(150)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의 경계선을 찾는 과정을 생략하고, 바로 지면에 수평한 방향의 미리 정해진 길이 이상인 경계선을 검출하고 그 수평한 방향의 경계선의 주변영역에서 교통 시설물을 검색할 수 있다.
이처럼 제1제어부(150)가 기둥이 지면에 수평한 영역의 주변영역을 결정하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주변영역에서 상술한 방법에 따라 신호등, 단속카메라, 표지판 등의 특징을 활용하여 이러한 교통 시설물을 인식할 수 있다.
제1제어부(150)는 건물을 인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건물을 인식하는 방법에 관하여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건물을 인식하는 방법에 관한 도면이다.
건물은 일반적으로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지므로, 제1제어부(15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길이 이상의 경계선을 검출하여 건물을 인식할 수 있다.
제1제어부(150)는 이처럼 도로, 교통 시설물 및 건물을 인식하고, 주행영상에서 이러한 시설물이 인식된 때에는 시설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제1제어부(150)는 주행영상에서 시설물이 인식되지 아니한 때 시설물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로써, 제1제어부(150)는 주행영상을 분석하여 시설물의 유무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 제1제어부(150)는 시설물이 있는 경우에, 주행영상에서 인식된 시설물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시설물의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 시설물의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규격에 따른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제1제어부(150)는 주행영상 내의 교통 시설물의 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교통 시설물의 종류가 신호등인지, 표지판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제어부(150)는 시설물의 좌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시설물의 좌표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관하여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시설물의 좌표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관한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차량과 시설물의 상대위치를 획득하는 방법에 관한 도면이다.
제1제어부(150)가 시설물의 좌표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제1제어부(150)는 차량의 현재위치에 관한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정보에 따라 좌표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이 현재 주행하고 있는 도로의 경우에는 차량의 현재위치와 실질적으로 거의 동일한 좌표상에 위치하므로, 제1제어부(150)는 차량의 현재위치에 따라 도로의 좌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제1제어부(150)는 위치정보 및 주행영상을 분석하여 시설물의 좌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 차량이 주행 중인 도로의 예와 달리 촬영된 주행영상 상에 차량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는 시설물의 경우에는 차량의 현재위치와 시설물의 위치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제어부(15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현재위치와 차량과 시설물의 상대위치에 근거하여 시설물의 좌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제어부(150)가 차량과 시설물의 상대위치를 산출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제어부(150)는 깊이 값(depth value)이 포함된 3차원 주행영상을 획득하여 이에 따라 차량과 시설물의 상대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3차원 깊이 값에 따라 차량으로부터 시설물의 거리를 산출하고, 차량의 주행방향과 주행영상 상의 시설물이 위치한 방향으로부터 시설물이 위치한 방향을 산출함으로써, 제1제어부(150)는 차량과 시설물의 상대위치를 알 수 있다.
이러한 3차원 주행영상은 3차원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카메라를 활용하여 복수의 영상을 획득하고 제1제어부(150)는 이러한 복수의 영상을 분석하여 3차원 깊이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는 적외선 카메라를 활용하여 주행영상에 적외선 카메라의 신호에 따라 3차원 깊이 값을 대응시킬 수 있다. 또는 카메라로부터 조사된 빛이 반사되어 수광되는 시간간격을 이용하여 깊이 값을 산출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3차원 영상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다른 방법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제어부(15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원 주행영상을 분석하여 거리를 획득할 수 있다. 지면에 해당하는 부분은 주행영상 상의 어느 위치에 있느냐에 따라 차량으로부터의 거리가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제어부(150)는 인식된 시설물이 지면과 만나는 부위를 결정하고, 그 부위가 주행영상 상의 어느 위치에 해당하느냐에 따라 차량으로부터 거리를 파악할 수 있다. 여기에 제1제어부(150)는 이러한 거리에 차량의 주행방향을 더 고려하여 차량과 시설물의 상대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로써, 제1제어부(150)는 시설물의 좌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제어부(150)는 주행영상을 분석하여 시설물의 속성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시설물의 속성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관하여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도로의 속성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관한 제1도면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도로의 속성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관한 제2도면이다.
여기서 시설물의 속성정보는 시설물의 다양한 속성을 반영할 수 있다. 시설물의 속성정보는 객체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제1제어부(150)는 주행영상으로부터 도로의 속성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로의 속성정보는 도로의 폭, 차선의 수, 좌회전가부, 우회전가부, 유턴가부, 제한속도, 버스전용차선여부 및 일방통행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제어부(150)는 주행영상으로부터 도로의 폭을 판단할 수 있다. 도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행영상과 수평인 방향의 직선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제1제어부(150)는 이러한 도로의 특성을 이용하여 도로의 양쪽 가장자리를 측정하고, 그 가장자리 사이의 폭을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제어부(150)는 주행영상으로부터 차선의 수를 판단할 수 있다. 차선은 상술한 바와 같이 주행영상에 수평인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규격에 따라 실선, 이중실선 또는 점선의 형태로 미리 정해진 규격에 따른 흰색, 황색, 주황색 등으로 표시된다. 제1제어부(15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영상을 분석하여 이러한 차선을 인식하여 인식된 차선의 수에 따라 도로의 차선 수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1제어부(150)는 주행영상으로부터 차선의 형태를 판단하여 도로의 속성을 판단할 수 있다. 차선은 도로의 속성에 따라 법규에 의해 정해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버스전용차선의 경우에는 청색의 차선으로 마련되거나, 실선의 경우에는 차선의 변경이 불가능하고, 점선의 경우에는 차선이 가능함을 의미할 수 있다. 제1제어부(150)는 주행영상으로부터 이러한 차선의 형태를 인식하여 도로의 속성을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1제어부(150)는 주행영상을 분석하여 도로의 좌회전, 우회전가부, 유턴가부, 제한속도, 버스전용차선여부 및 일방통행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도로의 속성을 반영하는 문자, 숫자 또는 기호 등이 표시되어 있다. 제1제어부(150)는 주행영상으로부터 이러한 도로의 속성을 반영하는 문자, 숫자 또는 기호를 인식하여 그 도로의 속성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제어부(15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상의 문자, 숫자, 기호 등이 있는 영역을 추출하고,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된 영역의 문자, 숫자, 기호 등의 패턴을 인식하고, 인식한 결과에 따라 그 도로의 속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도로의 속성을 반영하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은 도로의 색상과 대비되는 흰색, 황색, 주황색으로 표시되므로, 제1제어부(150)는 그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색상, 명도, 채도가 급격히 변하는 영역을 추출하고, 그 추출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도로의 속성을 획득할 수 있다.
또는 도로 상의 표식은 법규에 따라 미리 정해진 규격에 따라 표시되므로 제1제어부(150)는 주행영상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규격에 따른 형상을 경계선 추출하고 그 추출된 경계선의 형상을 분석하여 도로의 속성을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1제어부(150)는 주행영상으로부터 표지판을 분석하여 도로의 속성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제어부(150)는 주행영상으로부터 상술한 바와 같이 표지판을 인식하여 표지판의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표지판이미지를 분석하여 도로의 속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이로써, 제1제어부(150)는 시설물의 속성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100)은 객체정보 및 맵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S140). 이하에서는 본 단계에 관하여 도 21, 도 22,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촬영된 주행영상에 해당하는 지역에 관한 맵데이터를 선택하는 방법에 관한 도면이고,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객체정보 및 맵데이터를 비교하는 방법에 관한 제1도면이고,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객체정보 및 맵데이터를 비교하는 방법에 관한 제2도면이고,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객체정보 및 맵데이터를 비교하는 방법에 관한 제3도면이고,
제1제어부(150)는 주행영상을 분석하여 획득된 객체정보 및 맵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제1제어부(150)는 객체정보를 맵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와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제어부(150)는 촬영한 주행영상을 주행영상이 반영하는 지역에 해당하는 맵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다. 이로써, 제1제어부(150)는 불필요한 지역에 관한 맵데이터에 관한 연산을 생략할 수 있어 보다 신속하게 객체정보와 맵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이처럼 제1제어부(150)가 주행영상에 포함된 객체정보와 맵데이터를 비교할 때, 제1제어부(150)는 주행영상에 포함된 객체정보와 맵데이터에 포함된 객체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객체정보는 시설물의 유무에 관한 정보, 시설물의 식별정보, 시설물의 좌표정보, 시설물의 속성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제어부(150)가 객체정보와 비교할 맵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제어부(150)는 차량의 현재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차량의 현재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범위의 맵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어부(150)는 차량의 현재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반경 내의 맵데이터를 선택하거나, 차량의 현재위치를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의 전방지역의 맵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예를 들어, 제1제어부(150)는 주행영상이 깊이 값을 가지는 3차원 영상인 경우에, 차량의 현재위치로부터 주행영상에 포함된 시설물까지의 상대위치까지의 지역에 관한 맵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1제어부(150)는 주행영상에 포함된 객체정보에 대응되는 맵데이터의 객체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제1제어부(150)는 주행영상에 포함된 객체정보가 어느 지역 또는 어느 위치의 객체정보인지에 따라 그 지역에 대응되는 맵데이터의 객체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이처럼 제1제어부(150)는 주행영상을 분석하여 획득한 객체정보를 주행영상이 반영하는 지역에 해당하는 맵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제1제어부(150)는 다양한 측면에서 객체정보 및 맵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제1제어부(150)는 각각 객체정보 및 맵데이터에 따른 시설물의 유무 및 시설물의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여 객체정보 및 맵데이터의 상이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객체정보 및 맵데이터가 상이한 경우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제어부(150)는 객체정보에 포함된 시설물이 맵데이터에 포함되지 아니한 경우, 객체정보 및 맵데이터가 상이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제1제어부(150)는 주행영상에 포함된 시설물이 그 주행영상이 반영하는 지역에 관한 맵데이터에 포함되지 아니한 때 객체정보 및 맵데이터가 상이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영상에 단속카메라가 촬영되고, 제1제어부(150)가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단속카메라를 인식한 때, 촬영한 지역에 관한 맵데이터가 그 단속카메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아니한 때 제1제어부(150)는 객체정보 및 맵데이터가 상이한 것으로 판단할 것이다.
다른 예를 들어, 제1제어부(150)는 맵데이터에 포함된 시설물이 객체정보에 포함되지 아니한 경우, 객체정보 및 맵데이터가 상이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달리 마래, 제1제어부(150)는 주행영상이 반영하는 지역에 관한 맵데이터에 포함된 시설물이 주행영상에 포함되지 아니한 때 객체정보 및 맵데이터가 상이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한 지역에 관한 맵데이터 상에 그 단속카메라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만, 주행영상에는 단속카메라가 포함되지 아니하고 따라서 주행영상을 분석한 객체정보에 그 단속카메라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지 아니한 때 제1제어부(150)는 객체정보 및 맵데이터가 상이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1제어부(150)는 객체정보 및 맵데이터 양쪽에 포함된 시설물에 대하여 객체정보에 따른 그 시설물의 속성과 맵데이터에 따른 그 시설물의 속성이 서로 상이한 때 객체정보 및 맵데이터가 상이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맵데이터에 따르면 도로의 제한속도가 60km/h이지만, 촬영영상을 분석한 객체정보에 따르면 도로의 제한속도는 80km/h인 경우, 제1제어부(150)는 객체정보 및 맵데이터가 상이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100)은 비교결과에 따라 객체정보 및 맵데이터가 상이한 경우, 맵갱신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50).
객체정보 및 맵데이터가 상이한 경우, 제1제어부(150)는 맵갱신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맵갱신정보는 맵데이터가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부분을 수정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맵갱신정보는 시설물의 위치, 주행영상의 적어도 일부, 주행영상의 촬영위치, 주행영상의 촬영시간 및 주행영상을 분석하여 획득한 객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제어부(150)는 주행영상에 포함된 객체정보가 포함되는 특정지역에 대한 맵갱신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제어부(150)가 생성하는 맵갱신정보는 주행영상에 포함된 객체정보가 위치하는 지역에 관한 맵갱신정보일 수 있다.
한편 내비게이션(100)은 비교결과에 따라 객체정보 및 맵데이터가 상이한 경우, 주행영상 및 맵갱신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맵데이터를 스스로 갱신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100)이 자체적으로 맵데이터를 갱신하는 것은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맵데이터 갱신 전에 제1제어부(150)는 제1출력부(115)를 통하여 맵데이터의 갱신여부를 사용자에게 묻고, 제1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가 맵데이터의 갱신을 허락한 경우에만 이를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내비게이션(100)이 자체적으로 맵데이터를 갱신할 때에는, 맵갱신정보를 이용하거나 주행영상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 내비게이션(100)은 주행영상에 포함된 객체정보에 대응되는 지역에 관한 맵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제어부(150)는 기 저장된 맵데이터 중에서 주행영상을 촬영한 지역 또는 영상으로부터 획득한 객체정보에 대응되는 지역에 관한 맵데이터를 부분적으로 수정할 수 있는 것이다.
제1제어부(150)는 객체정보에 포함된 시설물의 식별정보, 좌표정보 및 속성정보에 따라 맵데이터가 이러한 객체정보를 반영하도록 맵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단 후술할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100)은 서버(300)로 맵갱신정보를 송신하고, 서버(300)는 이에 따라 맵데이터를 갱신하고, 갱신된 맵데이터를 내비게이션(100)으로 송신하고, 내비게이션(100)은 갱신된 맵데이터를 수신하여 기존의 맵데이터를 대신하여 저장할 수 있으므로, 내비게이션(100)이 반드시 자체적으로 맵데이터를 갱신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내비게이션(100)은 맵갱신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S160).
제1제어부(150)는 제1통신부(120)를 통해 맵갱신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1통신부(120)는 생성한 맵갱신정보를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서버(300)는 이러한 맵갱신정보를 이용하여 맵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한편, 내비게이션(100)은 주행영상을 분석하여 맵데이터가 현실에 부합하지 못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주행영상의 분석에 오류가 발생하여 실제로 맵데이터가 현실과 일치하는 경우에도 맵갱신정보를 송신할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1제어부(150)는 제1출력부(115)를 통해 사용자에게 맵갱신정보의 송신여부를 묻는 정보를 출력하고, 제1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맵갱신정보의 송신을 지시하는 신호를 입력받은 때 맵갱신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출력부(115)는 촬영되어 분석된 주행영상의 적어도 일부, 촬영된 지역의 맵데이터 및 맵갱신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출력부(115)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참고하여 맵갱신정보의 송신여부를 판단하고, 제1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맵갱신정보의 송신을 지시하는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내비게이션(100)이 맵데이터가 현실에 부합하지 아니하는 경우 맵갱신정보를 서버(300)로 송신하고 이에 따라 서버(300)가 맵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제1실시예에 따르면, 내비게이션(100)이 주행영상을 분석하여 맵데이터가 현실에 부합하지 아니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자동적으로 맵데이터의 갱신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1실시예에 따르면, 서버(300)를 운영하는 측이 아닌 사용자 측인 내비게이션(100)을 활용하여 맵데이터의 갱신사항을 찾아냄으로써, 맵데이터의 갱신에 소모되는 시간과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재1 실시예에 따르면, 내비게이션(100)이 일차적으로 맵데이터가 현실에 부합하지 아니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차적으로 사용자의 확인을 받음으로써 보다 정확한 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고, 서버(300)에서는 보다 정확한 맵갱신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의 제2실시예에 관하여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의 제2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맵갱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10), 맵데이터가 맵갱신정보를 반영하도록 갱신하는 단계(S220) 및 갱신된 맵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S2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300)는 맵갱신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210).
서버(300)는 내비게이션(100)으로부터 맵갱신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맵갱신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시설물의 위치, 주행영상의 적어도 일부, 주행영상의 촬영위치, 주행영상의 촬영시간 및 주행영상을 분석하여 획득한 객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맵갱신정보는 맵갱신정보를 송신한 내비게이션(100) 또는 그 내비게이션(100)의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및 송신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300)는 내비게이션(100)의 사용자에 관한 목록과 각 사용자의 포인트 및 등급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서버(300)는 이러한 맵갱신정보가 송신되면 맵갱신정보에 포함된 내비게이션(100) 또는 사용자에 관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포인트 및 등급을 변경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이러한 포인트를 소모하거나 등급에 따라 서버(300)를 운영하는 측으로부터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서버(300)는 맵데이터가 맵갱신정보를 반영하도록 갱신할 수 있다(S220).
서버(300)는 맵갱신정보가 수신되면 그 맵갱신정보를 반영하도록 맵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다.
서버(300)는 맵갱신정보에 근거하여 맵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맵갱신정보에는, 식별물의 식별정보 및 좌표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때에 서버(300)는 이러한 맵갱신정보에 근거하여 맵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맵갱신정보는 위치정보 및 주행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서버(300)는 이러한 주행영상을 분석하여 시설물과 차량의 상대위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대위치 및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시설물의 좌표정보를 산출하여, 산출된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맵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다.
한편, 서버(3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아 맵갱신정보를 편집할 수 있다. 서버(300)는 맵갱신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는 수신된 맵갱신정보에 따라 맵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다. 맵갱신정보만으로 정밀한 맵데이터의 갱신이 이루어지기 힘든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해당지역의 맵데이터를 입력하고, 이에 따라 기존의 맵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서버(300)는 갱신된 맵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S230).
서버(300)는 갱신된 맵데이터를 내비게이션(1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100)의 제1제어부(150)는 제1통신부(120)를 통하여 서버(300)로부터 갱신된 맵데이터를 수신하여 이에 따라 맵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제어부(150)는 제1저장부(140)에 수신한 맵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1제어부(150)는 기 저장된 과거의 맵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100)은 서버로부터 맵데이터를 수신하여 이에 따라 기 저장된 과거의 맵데이터의 일부를 수정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한 맵데이터는 전체 지역에 관한 맵데이터가 아니라 수정이 요구되는 지역에 관한 맵데이터일 수 있다.
즉 다시 말해서, 제1제어부(150)는 서버(300)부터 전체 지역에 관한 갱신된 맵데이터를 모두 수신하여 이에 따라 기존의 맵데이터를 교체할 수도 있고, 또는 일부 갱신된 지역에 대한 맵데이터를 수신하여 과거의 맵데이터를 패치하여 수정하는 방식으로 맵데이터를 갱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내비게이션(100)이 서버(300)로부터 맵갱신정보를 반영하여 갱신된 맵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내비게이션(100)이 보다 효과적이고 정확한 경로안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에 따르면, 맵갱신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에게 보상을 함으로써, 내비게이션(100)을 통한 맵데이터갱신방법이 보다 활발히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은, 서로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이용할 수 있다. 또 각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계들은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계들과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맵데이터갱신방법은, 이를 수행하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의 형태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내비게이션
110: 제1입력부 115: 제1출력부
120: 제1통신부 121: 제1위치정보모듈 122: 제1무선인터넷모듈
123: 제1근거리통신모듈 124: 제1유선통신모듈 125: 방송송수신모듈
130: 제1감지부 131: 제1운동감지모듈 132: 광센싱모듈
140: 제1저장부 150: 제1제어부
200: 블랙박스
210: 하우징 215: 장착부 220: 카메라
221: 렌즈 222: 이미지센서 223: 컨버터
225: 마이크 230: 제2입력부 235: 제2출력부
240: 제2통신부 241: 제2위치정보모듈
242: 제2무선인터넷모듈 243: 제2근거리통신모듈 244: 제2유선통신모듈
250: 제2감지부 251: 제2운동감지모듈 252: 조작감지모듈
260: 제2저장부 270: 제2제어부
300: 서버

Claims (19)

  1. 맵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영상에 포함되는 객체정보와, 상기 객체정보와 대응되는 맵데이터의 객체정보를 비교하여 상이한 경우, 상기 영상에 대응되는 특정영역에 대한 맵갱신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은, 차량용 블랙박스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전자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에 포함된 객체정보에 포함된 시설물이 상기 맵데이터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맵갱신정보를 생성하는
    전자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맵데이터에 포함된 시설물이 상기 영상에 포함된 객체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맵갱신정보를 생성하는
    전자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에 포함된 객체정보에 포함된 상기 시설물의 속성이, 상기 맵데이터의 시설물의 속성과 상이한 경우, 상기 맵갱신정보를 생성하는
    전자기기.
  6. 제3 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은, 도로, 교통 시설물 및 건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기기로 상기 맵갱신정보를 송신하는
    전자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맵갱신정보는, 상기 영상, 상기 영상을 촬영한 위치, 상기 영상을 촬영한 시간, 상기 영상에 포함된 객체정보 및 상기 시설물의 좌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및 상기 특정영역을 포함하는 맵데이터에 따른 지도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맵갱신정보의 송신을 지시하는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맵갱신정보의 송신을 수행하는
    전자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맵갱신정보가 반영된 맵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기 저장된 상기 맵데이터를 갱신하는
    전자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영역을 결정하는
    전자기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정보는, 상기 시설물의 식별정보, 상기 시설물의 속성정보 및 상기 시설물의 좌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시설물의 좌표정보를 획득하는
    전자기기.
  14. 맵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영상에 포함되는 객체정보와, 상기 영상에 포함된 객체정보와 대응되는 맵데이터의 객체정보를 비교하여 상이한 경우, 상기 영상에 대응되는 특정영역에 대한 맵갱신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맵데이터갱신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에 포함된 객체정보에 포함된 시설물이 상기 맵데이터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맵갱신정보를 생성하는
    맵데이터갱신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맵데이터에 포함된 시설물이 상기 영상에 포함된 객체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맵갱신정보를 생성하는
    맵데이터갱신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에 포함된 객체정보에 포함된 시설물의 속성이, 상기 맵데이터의 시설물의 속성과 상이한 경우, 상기 맵갱신정보를 생성하는
    맵데이터갱신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맵갱신정보를 외부기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맵갱신정보가 반영된 맵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맵데이터갱신방법.
  19.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110000575A 2011-01-04 2011-01-04 맵데이터갱신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기록매체 KR201200793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575A KR20120079341A (ko) 2011-01-04 2011-01-04 맵데이터갱신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575A KR20120079341A (ko) 2011-01-04 2011-01-04 맵데이터갱신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341A true KR20120079341A (ko) 2012-07-12

Family

ID=46712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0575A KR20120079341A (ko) 2011-01-04 2011-01-04 맵데이터갱신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9341A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8830A (ko) * 2013-04-29 2014-11-06 팅크웨어(주)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661163B1 (ko) * 2015-05-27 2016-09-29 일마일 주식회사 영상 분석을 통한 운전자 안전 운전 보조와 지도 db의 실시간 갱신을 처리하기 위한 안전 운전 시스템
KR20180059723A (ko) * 2016-11-26 2018-06-05 팅크웨어(주) 이미지 처리 장치, 이미지 처리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90003884A (ko) * 2017-06-30 2019-01-10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지도 정보 갱신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33975A (ko) * 2017-09-22 2019-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의 운행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KR102052114B1 (ko) * 2018-12-13 2019-12-04 한국도로공사 고정밀 전자지도 갱신을 위한 객체 변화 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103834B1 (ko) * 2019-11-12 2020-04-23 한국도로공사 고정밀 전자지도 갱신을 위한 객체 변화 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64413A (ko) * 2018-11-29 2020-06-08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정밀지도 구축 장치 및 방법
KR20200142315A (ko) * 2019-06-12 2020-12-22 주식회사 카카오 도로 네트워크를 갱신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1002504A1 (ko) * 2019-07-03 2021-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전자 장치 및 차량용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206834B1 (ko) * 2020-04-28 2021-01-25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도로정보 변화 감지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34102A (ko) * 2020-04-29 2021-11-09 주식회사 만도모빌리티솔루션즈 운전자 보조 장치 및 운전자 보조 방법
KR20220001274A (ko) * 2020-06-29 2022-01-05 (주)뉴빌리티 3d 맵의 변경 구역 업데이트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38432A (ko) * 2016-11-26 2023-03-20 팅크웨어(주) 이미지 처리 장치, 이미지 처리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8830A (ko) * 2013-04-29 2014-11-06 팅크웨어(주)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661163B1 (ko) * 2015-05-27 2016-09-29 일마일 주식회사 영상 분석을 통한 운전자 안전 운전 보조와 지도 db의 실시간 갱신을 처리하기 위한 안전 운전 시스템
KR20180059723A (ko) * 2016-11-26 2018-06-05 팅크웨어(주) 이미지 처리 장치, 이미지 처리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30038432A (ko) * 2016-11-26 2023-03-20 팅크웨어(주) 이미지 처리 장치, 이미지 처리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90003884A (ko) * 2017-06-30 2019-01-10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지도 정보 갱신 장치, 방법 및 시스템
US10705522B2 (en) 2017-09-22 2020-07-0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system of a vehicle
KR20190033975A (ko) * 2017-09-22 2019-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의 운행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KR20200064413A (ko) * 2018-11-29 2020-06-08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정밀지도 구축 장치 및 방법
KR102052114B1 (ko) * 2018-12-13 2019-12-04 한국도로공사 고정밀 전자지도 갱신을 위한 객체 변화 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42315A (ko) * 2019-06-12 2020-12-22 주식회사 카카오 도로 네트워크를 갱신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1002504A1 (ko) * 2019-07-03 2021-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전자 장치 및 차량용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103834B1 (ko) * 2019-11-12 2020-04-23 한국도로공사 고정밀 전자지도 갱신을 위한 객체 변화 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206834B1 (ko) * 2020-04-28 2021-01-25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도로정보 변화 감지 방법 및 시스템
US11193790B2 (en) 2020-04-28 2021-12-07 Naver Lab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changes in road-layout information
KR20210134102A (ko) * 2020-04-29 2021-11-09 주식회사 만도모빌리티솔루션즈 운전자 보조 장치 및 운전자 보조 방법
US11842547B2 (en) 2020-04-29 2023-12-12 Hl Klemove Corp. Apparatus for assisting driving of host vehicle and method for assisting driving of host vehicle
KR20220001274A (ko) * 2020-06-29 2022-01-05 (주)뉴빌리티 3d 맵의 변경 구역 업데이트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79341A (ko) 맵데이터갱신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기록매체
US11543256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604076B2 (en) Vision augmented navigation
US10145703B2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108680173B (zh) 电子装置、电子装置的控制方法及计算机可读记录介质
WO2014115563A1 (ja) 運転支援装置、運転支援方法、および運転支援プログラムを記憶する記録媒体
CN111801636A (zh) 提供详细地图数据的方法及其系统
JP5795278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自律航法支援方法および自律航法支援プログラム
CN110260877B (zh) 驾驶相关引导提供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记录介质
WO2011053335A1 (en)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populating and/or verifying condition, attributions, and/or objects along a navigable street network
US11677930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ligning a vehicle-mounted device
CN111710189B (zh) 电子装置的控制方法、电子装置以及记录介质
JP6106495B2 (ja) 検出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102233391B1 (ko)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2101730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location by correcting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ased loc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JP2007071539A (ja) 車載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120070886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차선 안내 방법
KR101818956B1 (ko) 차선 변경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기기 방법 및 기록매체
KR20120071857A (ko) 전자 기기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영상 촬영 방법
CN110263688B (zh) 驾驶相关引导提供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记录介质
KR20170089797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차선 안내 방법
KR102091017B1 (ko) 전자 기기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영상 촬영 방법
CN113419257A (zh) 定位校准方法、装置、终端设备、存储介质及程序产品
CN117809463A (zh) 车辆定位方法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