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7627A - 펌프 타워 - Google Patents

펌프 타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7627A
KR20120077627A KR1020100139658A KR20100139658A KR20120077627A KR 20120077627 A KR20120077627 A KR 20120077627A KR 1020100139658 A KR1020100139658 A KR 1020100139658A KR 20100139658 A KR20100139658 A KR 20100139658A KR 20120077627 A KR20120077627 A KR 20120077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argo tank
natural gas
liquefied natur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9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4276B1 (ko
Inventor
이승주
박유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9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4276B1/ko
Publication of KR20120077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7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4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4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4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for large storage vessels not under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펌프 타워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타워는, 액화천연가스(LNG)를 저장하는 카고탱크(Cargo Tank) 내부로 액화천연가스를 로딩(Loading)하는 로딩 파이프(Loading Pipe); 로딩 파이프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카고탱크 내부에 저장된 액화천연가스를 카고탱크 외부로 배출하는 한 쌍의 배출 파이프; 배출 파이프에 각각 연결되어 배출 파이프로 액화천연가스를 공급하는 한 쌍의 메인 펌프; 메인 펌프의 고장 시에 카고탱크 내부에 저장된 액화천연가스를 카고탱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응급 펌프 웰(Emergency Pump Well); 및 응급 펌프 웰에 결합되어, 카고탱크 내에 잔존하는 가스의 성분을 체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샘플링 파이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펌프 타워{Pump Tower}
본 발명은, 펌프 타워(Pump Towe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를 운반하는 가스 운반선(Gas Carrier), 부유식 해상 구조물(LNG-FPSO, LNG-FSRU) 및 LNG 재기화 선박(LNG-RV) 등의 카고탱크(Cargo Tank)에 액화천연가스(LNG)를 로딩(Loading) 또는 언로딩(Unloading)시키기 위한 펌프 타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가스(Natural Gas, NG)는 기체상태보다 액화된 상태에서 훨씬 적은 용적을 차지하므로, 이들을 운반 또는 저장하도록 설계된 가스 운반선(Gas Carrier), 부유식 해상 구조물(LNG-FPSO, LNG-FSRU) 및 LNG 재기화 선박(LNG-RV) 등의 카고탱크(Cargo Tank)는 액화된 가스의 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압과 저온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고압, 저온 상태의 카고탱크에는 액화천연가스를 로딩(Loading) 또는 언로딩(Unloading)시키는 펌프 타워(Pump Tower)가 설치된다.
이러한 펌프 타워는 일반적으로 배출 파이프(Discharge Pipe)와, 로딩 파이프(Loading Pipe)와, 응급 펌프 웰(Emergency Pump Well)을 포함하며, 액화천연가스의 로딩(Loading)은 로딩 파이프를 통해, 액화천연가스의 언로딩(Unloading)은 배출 파이프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카고탱크에는 펌프 타워의 로딩 파이프(Loading Pipe)와 배출 파이프(Discharge Pipe) 등을 통하여 액화천연가스의 로딩(Loading)과 언로딩(Unloading)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액화천연가스의 언로딩 후에 카고탱크 내부에 잔존하는 기화천연가스(Gasified Natural Gas, GNG)를 질소(N2)가스로 치환하기 위하여 질소(N2)가스가 주입되기도 한다.
그런데 이러한 카고탱크 내의 가스 성분의 변화를 파악하지 못하면 안전이나 관리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카고탱크의 안전이나 관리를 위해서는 카고탱크 내의 가스 성분을 체크하여 치환하고자 하는 가스로 치환이 잘 이루어졌는지 등 카고탱크 내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카고탱크 내에 존재하는 가스 성분을 체크하기 위하여 카고탱크 내의 가스의 일부를 추출하는 샘플링 파이프가 카고탱크에 설치된다. 이러한 샘플링 파이프를 통하여 카고탱크 내의 각각의 샘플링 위치로부터 가스 샘플이 추출되고 추출된 가스 샘플은 이를 분석하는 분석장치에서 분석됨으로써 카고탱크 내의 각 샘플링 위치에 존재하고 있는 가스 성분이 파악됨으로써 카고탱크 내에서 가스 치환이 잘 이루어졌는지 등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샘플링 파이프를 설치하는 종래 펌프 타워에 있어서는, 샘플링 파이프를 효율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쉽지 않고 또한 샘플링 파이프를 구조적으로 안정하게 지지하기 위해서는 다소 과도한 자재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카고탱크(Cargo Tank) 내에 잔존하는 가스를 추출하여 카고탱크 내의 가스 성분을 체크할 수 있는 샘플링 파이프를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샘플링 파이프를 구조적으로 안정하게 지지하면서도 필요한 자재를 절감할 수 있는 펌프 타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액화천연가스(LNG)를 저장하는 카고탱크(Cargo Tank) 내부로 액화천연가스를 로딩(Loading)하는 로딩 파이프(Loading Pipe); 상기 로딩 파이프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카고탱크 내부에 저장된 액화천연가스를 상기 카고탱크 외부로 배출하는 한 쌍의 배출 파이프; 상기 배출 파이프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배출 파이프로 액화천연가스를 공급하는 한 쌍의 메인 펌프; 상기 메인 펌프의 고장 시에 상기 카고탱크 내부에 저장된 액화천연가스를 상기 카고탱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응급 펌프 웰(Emergency Pump Well); 및 상기 응급 펌프 웰에 결합되어, 상기 카고탱크 내에 잔존하는 가스의 성분을 체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샘플링 파이프를 포함하는 펌프 타워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응급 펌프 웰에 미리 결정된 이격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샘플링 파이프를 상기 응급 펌프 웰에 결합시키는 다수의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는, 상기 응급 펌프 웰에 고정되는 서포팅부; 상기 샘플링 파이프를 지지하는 파이프 지지부; 및 상기 파이프 지지부를 상기 서포팅부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지지부에는 상기 샘플링 파이프가 삽입되어 관통되는 파이프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파이프 지지부는 복수 개의 단위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지지부재는 다단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서포팅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서포팅부는, 상기 파이프 지지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서포팅몸체; 및 상기 서포팅몸체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응급 펌프 웰의 외부 곡면에 대응되는 외면을 갖는 서포팅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클램프 중 최상단의 클램프 상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응급 펌프 웰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상기 샘플링 파이프를 지지하는 트레이형 서포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급 펌프 웰과 상기 한 쌍의 로딩 파이프는 삼각 구도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샘플링 파이프는, 상기 카고탱크의 바닥과 상단 사이에서 상호 이격된 복수 개의 샘플링 위치에 흡입구가 각각 위치하는 복수 개의 샘플링 파이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카고탱크(Cargo Tank) 내에 잔존하는 가스를 추출하여 카고탱크 내의 가스 성분을 체크할 수 있는 샘플링 파이프를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샘플링 파이프를 구조적으로 안정하게 지지하면서도 필요한 자재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타워가 설치된 카고탱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펌프 타워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펌프 타워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펌프 타워의 샘플링 파이프가 응급 펌프 웰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펌프 타워의 샘플링 파이프가 응급 펌프 웰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 부분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타워가 설치된 카고탱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펌프 타워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타워(20)는,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를 운반 또는 저장하는 가스 운반선(Gas Carrier), 부유식 해상 구조물(LNG-FPSO, LNG-FSRU) 및 LNG 재기화 선박(LNG-RV) 등의,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하는 카고탱크(Cargo Tank)에 액화천연가스를 로딩(Loading) 또는 언로딩(Unloading)시키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타워(20)는, 카고탱크(10, Cargo Tank) 내부로 액화천연가스를 로딩(Loading)하는 로딩 파이프(24, Loading Pipe)와, 카고탱크(10) 내부에 저장된 액화천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한 쌍의 배출 파이프(21, 22, Discharge Pipe)와, 배출 파이프(21, 22)에 각각 연결되어 배출 파이프(21, 22)로 액화천연가스를 공급하는 한 쌍의 메인 펌프(미도시)와, 메인 펌프의 고장 시에 카고탱크(10) 내부에 저장된 액화천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응급 펌프 웰(23, Emergency Pump Well)과, 응급 펌프 웰(23)에 결합되어 카고탱크(10) 내의 가스 성분을 체크하기 위한 샘플링 파이프(5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펌프 타워(20)는, 안정적인 구조를 갖도록 한 쌍의 배출 파이프(21, 22, Discharge Pipe)와 응급 펌프 웰(23, Emergency Pump Well)이 각각 하나의 모서리를 차지하는 삼각 구도로 배치된다. 그리고 로딩 파이프(24, Loading Pipe)는 응급 펌프 웰(23)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로딩 파이프(24)는 외부의 로딩장치(미도시)에 연결되어 카고탱크(10) 내부로 액화천연가스를 로딩시킨다.
한 쌍의 배출 파이프(21, 22)는 외부의 언로딩장치(미도시)에 연결되어 카고탱크(10) 내부에 저장된 액화천연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그리고 한 쌍의 메인 펌프(미도시)는 한 쌍의 배출 파이프(21, 22)의 하부에 설치되어 배출 파이프(21, 22)로 액화천연가스를 공급하게 되며, 이렇게 배출 파이프(21, 22)로 공급된 액화천연가스는 배출 파이프(21, 2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응급 펌프 웰(23)은 메인 펌프 고장 시에 배출 파이프(21, 22)를 대체하기 위한 용도로 설치된다. 응급 펌프 웰(23)의 하부에는 응급 펌프(미도시)가 설치되는데, 메인 펌프가 고장난 경우에 응급 펌프가 작동하여 카고탱크(10) 내부에 저장된 액화천연가스를 응급 펌프 웰(23)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샘플링 파이프(50, Sampling Pipe, 도 3 참조)는 카고탱크(10) 내에 잔존하는 가스의 일부를 추출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펌프 타워(20)에서는 카고탱크(10) 내에 잔존하는 가스의 샘플을 직접 추출하여 가스 성분을 체크하는데, 이를 위하여 샘플링 파이프(50)가 설치되는 것이다.
그런데 펌프 타워(20)에는, 유지보수를 위한 사다리(25), 발판(26), 파이프 지지대(27), 그리고 각종 전장용 케이블 웨이(미도시, Cable Way) 등이 설치되며, 이러한 구조물들로 인하여 펌프 타워(20) 내부에 샘플링 파이프(50)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파이프 웨이(Pipe Way)를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파이프 웨이를 설치하게 되면 자재가 과다하게 소요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펌프 타워(20)에서는 샘플링 파이프(50, 도 3 참조)가 응급 펌프 웰(23)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직선 구간에서 응급 펌프 웰(23)에 클램프(40, Clamp, 도 3 참조)에 의하여 결합된다.
도 3은 도 1의 펌프 타워의 평면도이다. 이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응급 펌프 웰(23)의 펌프 타워(20) 내측 부위는, 발판(26)과의 사이에 일정한 빈 공간이 형성되고, 응급 펌프 웰(23)은 여타 파이프에 비하여 그 직경이 큰 것이 일반적이므로 베이스(Base) 역할을 하기에 좋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샘플링 파이프(50)를 응급 펌프 웰(23)에 결합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샘플링 파이프(50)를 응급 펌프 웰(23)에 결합시키게 되면, 효율적으로 샘플링 파이프(50)를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펌프 타워(20)의 응급 펌프 웰(23)이라는 안정적인 구조물을 이용하게 되므로 안정적인 지지 구조를 갖게 된다. 안정적인 지지 구조와 관련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샘플링 파이프(50)는 카고탱크(10) 내부에 저장된 액화천연가스에 접촉하게 되며 따라서 액체 상태의 액화천연가스가 출렁이며 충격을 주는 슬로싱(Sloshing) 충격을 받을 수 있는데, 샘플링 파이프(50)가 펌프 타워(20)의 응급 펌프 웰(23)에 부착되면 응급 펌프 웰(23)이 방벽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슬로싱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어 안정적인 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샘플링 파이프(50)는 카고탱크(10)를 관통하게 되지만, 펌프 타워(20)의 실링판(28, 도 2 참조)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카고탱크(10)와의 실링 및 단열을 위한 별도의 구조가 필요치 않다.
도 4는 도 1의 펌프 타워의 샘플링 파이프가 응급 펌프 웰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펌프 타워의 샘플링 파이프가 응급 펌프 웰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A-A 부분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펌프 타워(20)에서는, 또한 샘플링 파이프(50)가 다수의 클램프(40, Clamp)에 의하여 응급 펌프 웰(23)에 결합된다.
다수의 클램프(40)는 응급 펌프 웰(23)에 미리 결정된 이격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샘플링 파이프(50)를 응급 펌프 웰(23)에 결합시키는데, 다수의 클램프(40)가 응급 펌프 웰(23)에 설치되는 간격은 지지하기 위한 샘플링 파이프(50)의 진동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클램프(40)는, 응급 펌프 웰(23)에 고정되는 서포팅부(41)와, 샘플링 파이프(50)를 지지하는 파이프 지지부(44)와, 파이프 지지부(44)를 서포팅부(41)에 결합시키는 결합부(42, 4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부(42, 43)로 스터드 볼트(42)와 너트(43)가 적용된다.
서포팅부(41)는, 파이프 지지부(44)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서포팅몸체(41a)와, 서포팅몸체(41a)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되 응급 펌프 웰(23)의 외부 곡면에 대응되는 외면을 갖는 서포팅베이스(41b)를 포함한다.
서포팅몸체(41a)는 대략 'ㄷ'자 형상으로 개구부가 응급 펌프 웰(23)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서포팅베이스(41b)의 외면은 응급 펌프 웰(23)과의 접촉이 용이하도록 응급 펌프 웰(23)의 외면 곡률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마련된다. 서포팅베이스(41b)와 응급 펌프 웰(23)과의 결합은 용접 또는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서포팅부(41)의 형태는 설치하고자 하는 샘플링 파이프(50)가 응급 펌프 웰(23)에 맞대어 질 수 있는 구간, 즉 샘플링 파이프(50)의 직선구간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샘플링 파이프(50)의 방향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서포팅부(41)를 응급 펌프 웰(23)에 부착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펌프 타워(20)는, 서포팅부(41)를 응급 펌프 웰(23)에 부착할 수 없는 응급 펌프 웰(23)의 상단부에서 샘플링 파이프(50)를 지지하는 트레이형 서포팅부(47)를 더 포함한다.
즉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형 서포팅부(47)는 최상단의 클램프(40) 상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응급 펌프 웰(23)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샘플링 파이프(50)를 지지한다.
응급 펌프 웰(23)에 부착할 수 없는 응급 펌프 웰(23)의 상단부에서 샘플링 파이프(50)를 지지할 경우에는 응급 펌프 웰(23)을 방벽으로 이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슬로싱 충격으로부터 샘플링 파이프(50)를 보호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의 경우 응급 펌프 웰(23)에 부착할 수 없는 응급 펌프 웰(23)의 상단부에서는 트레이형 서포팅부(47)가 샘플링 파이프(50)를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파이프 지지부(44)는 복수 개의 단위 지지부재(44a, 44b, 44c)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단위 지지부재(44a, 44b, 44c)는 다단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결합부(42, 43)에 의해 서포팅부(41)에 결합된다.
파이프 지지부(44)에는 샘플링 파이프(50)가 삽입되어 유동하지 않도록 샘플링 파이프(50)의 직경에 대응하는 파이프 홈(44d)이 형성되는데, 예를 들어 가장 하단의 단위 지지부재(44a)에는 상면에 소정 간격으로 두 개의 파이프 홈(44d)이 형성되고, 중간에 삽입되는 단위 지지부재(44b)에는 양면에 각각 두 개의 파이프 홈(44d)이 형성되며, 마지막으로 상단에 삽입되는 단위 지지부재(44c)에는 하면에 두 개의 파이프 홈(44d)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세 개의 단위 지지부재(44a, 44b, 44c)를 적층시키면, 파이프 지지부(44)에는 네 개의 샘플링 파이프(5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에 더하여, 각 단위 지지부재(44a, 44b, 44c) 사이에는 각 단위 지지부재(44a, 44b, 44c)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키기 위한 이격부재(46)가 삽입될 수 있다. 이격부재(46)는 단위 지지부재(44a, 44b, 44c)가 샘플링 파이프(50)를 클램핑할 때 평형을 유지하는 역할도 한다.
한편, 샘플링 파이프(50)는 스테인리스 재질로서 온도 변화에 따라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게 되고, 이와 접촉하고 있는 파이프 지지부(44)와의 마찰이 발생할 수 있다. 마찰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스파크(Spark)를 방지하기 위하여 파이프 지지부(44)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아울러, 파이프 지지부(44)는 샘플링 파이프(50)를 견고하게 클램핑 할 수 있는 충분한 강도가 필요하므로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density polyethylene, HDPE)으로 제작될 수 있다.
서포팅부(41)에는 한 쌍의 스터드 볼트(42)가 미리 결정된 이격 간격을 두고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스터드 볼트(42)는 파이프 지지부(44)의 두께에 따라 적당한 길이가 선택될 수 있다.
샘플링 파이프(50)가 파이프 지지부(44)에 삽입된 후에는 스터드 볼트(42)에 너트(43)가 체결된다. 너트(43) 체결 시 너트(43)와 플라스틱 재질의 파이프 지지부(44)와의 마찰에 의해 파이프 지지부(44)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너트(43)의 체결력이 파이프 지지부(44)에 균등하게 전달시킬 필요가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파이프 지지부(44)와 동일한 넓이의 와셔판(45)이 너트(43) 체결에 앞서 스터드 볼트(42)에 삽입된다. 와셔판(45)은 너트(43) 체결 후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도 하게 된다.
한편 클램프(40)에 의해 체결되는 샘플링 파이프(50)는 측정하고자 하는 카고탱크(10)의 상태에 따라 그 수를 달리하여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샘플링 파이프(50)가 5개 설치되는데, 카고탱크(10) 바닥으로부터 카고탱크(10) 전체 부피의 0%, 25%, 50%, 75% 및 100% 되는 지점에 흡입구(미도시)를 각각 위치시키고 가스 샘플을 추출한다. 도 3 내지 도 5에서 샘플링 파이프(50)가 4개 도시되어 있는 것은 카고탱크(10)의 최상단에 위치한 샘플링 파이프(50)의 도시가 생략되었기 때문이다.
5개의 샘플링 파이프(50)의 흡입구로부터 추출된 가스는 분석장치에서 그 성분이 분석됨으로써, 카고탱크 내의 각 샘플링 위치 즉 카고탱크(10) 바닥으로부터 카고탱크(10) 전체 부피의 0%, 25%, 50%, 75% 및 100% 되는 지점에 존재하고 있는 가스 성분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각 샘플링 위치에서의 가스 성분이 파악되면 각 샘플링 위치에 어떠한 가스가 존재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가스 치환이 잘 이루어졌는지 등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액화천연가스의 언로딩 후에 카고탱크(10) 바닥으로부터 카고탱크(10) 전체 부피의 25%에서 질소(N2)가스가 추출되고 카고탱크(10) 전체 부피의 0%에서 기화천연가스(Gasified Natural Gas, GNG)가 추출되면 카고탱크(10) 바닥으로부터 카고탱크(10) 전체 부피의 0%-25% 사이의 어느 지점까지 현재 질소(N2)가스로 치환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결합부(42, 43)로 스터드 볼트(42)와 너트(43)가 적용된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결합부로 다양한 체결부재들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 예의 펌프 타워(20)에서는, 카고탱크(10) 바닥으로부터 카고탱크(10) 전체 부피의 0%, 25%, 50%, 75% 및 100% 되는 지점에 흡입구를 각각 위치시키고 가스 샘플을 추출하는 5개의 샘플링 파이프(50)가 구비된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카고탱크(10) 바닥으로부터 카고탱크(10) 전체 부피의 0%, 50% 및 100% 되는 지점에 흡입구를 각각 위치시키고 가스 샘플을 추출하는 3개의 샘플링 파이프(50)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카고탱크 20 : 펌프 타워
40 : 클램프 41 : 서포팅부
42 : 스터드 볼트 43 : 너트
44 : 파이프 지지부 50 : 샘플링 파이프

Claims (9)

  1. 액화천연가스(LNG)를 저장하는 카고탱크(Cargo Tank) 내부로 액화천연가스를 로딩(Loading)하는 로딩 파이프(Loading Pipe);
    상기 로딩 파이프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카고탱크 내부에 저장된 액화천연가스를 상기 카고탱크 외부로 배출하는 한 쌍의 배출 파이프;
    상기 배출 파이프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배출 파이프로 액화천연가스를 공급하는 한 쌍의 메인 펌프;
    상기 메인 펌프의 고장 시에 상기 카고탱크 내부에 저장된 액화천연가스를 상기 카고탱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응급 펌프 웰(Emergency Pump Well); 및
    상기 응급 펌프 웰에 결합되어, 상기 카고탱크 내에 잔존하는 가스의 성분을 체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샘플링 파이프를 포함하는 펌프 타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펌프 웰에 미리 결정된 이격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샘플링 파이프를 상기 응급 펌프 웰에 결합시키는 다수의 클램프를 포함하는 펌프 타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응급 펌프 웰에 고정되는 서포팅부;
    상기 샘플링 파이프를 지지하는 파이프 지지부; 및
    상기 파이프 지지부를 상기 서포팅부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펌프 타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지지부에는 상기 샘플링 파이프가 삽입되어 관통되는 파이프 홈이 형성되어 있는 펌프 타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지지부는 복수 개의 단위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지지부재는 다단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서포팅부에 결합되는 펌프 타워.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팅부는,
    상기 파이프 지지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서포팅몸체; 및
    상기 서포팅몸체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응급 펌프 웰의 외부 곡면에 대응되는 외면을 갖는 서포팅베이스를 포함하는 펌프 타워.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클램프 중 최상단의 클램프 상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응급 펌프 웰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상기 샘플링 파이프를 지지하는 트레이형 서포팅부를 더 포함하는 펌프 타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펌프 웰과 상기 한 쌍의 로딩 파이프는 삼각 구도로 배치되는 펌프 타워.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샘플링 파이프는, 상기 카고탱크의 바닥과 상단 사이에서 상호 이격된 복수 개의 샘플링 위치에 흡입구가 각각 위치하는 복수 개의 샘플링 파이프인 펌프 타워.
KR1020100139658A 2010-12-30 2010-12-30 펌프 타워 KR101294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658A KR101294276B1 (ko) 2010-12-30 2010-12-30 펌프 타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658A KR101294276B1 (ko) 2010-12-30 2010-12-30 펌프 타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627A true KR20120077627A (ko) 2012-07-10
KR101294276B1 KR101294276B1 (ko) 2013-08-07

Family

ID=46711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9658A KR101294276B1 (ko) 2010-12-30 2010-12-30 펌프 타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4276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616B1 (ko) * 2012-11-02 2014-10-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펌프타워 설치구조
KR101523902B1 (ko) * 2013-08-01 2015-06-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펌프타워 파이프구조물
KR20160146185A (ko) 2015-06-12 2016-12-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펌프타워
KR20170036178A (ko) 2015-09-23 2017-04-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펌프타워 및 이를 포함하는 화물창
CN107107996A (zh) * 2014-12-26 2017-08-29 川崎重工业株式会社 液化气搬运船
KR20200055516A (ko) 2018-11-13 2020-05-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진동저감장치를 구비하는 펌프타워
KR20200065532A (ko) 2018-11-30 2020-06-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펌프타워 진동계측 공진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CN111301616A (zh) * 2018-12-11 2020-06-19 气体运输技术公司 将马达固定在船舶油箱的装载和/或卸载塔的盖的支撑件
KR20210020888A (ko) * 2018-05-11 2021-02-24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밀폐 및 단열 탱크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JP2021530651A (ja) * 2018-07-06 2021-11-11 ギャズトランスポルト エ テクニギャズ 液化ガスを噴霧するための装置を備えたロード及び/又はアンロードタワ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43518A (zh) * 2019-11-05 2020-04-21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薄膜型lng陆用储罐泵管的柔性支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835B1 (ko) * 2005-11-23 2007-04-23 주식회사 경도공업 파이프 고정용 클램핑 장치
KR200413790Y1 (ko) * 2006-01-17 2006-04-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엘엔지 선박의 액체화물 양하역을 위한 카고탱크의펌프타워
JP4946669B2 (ja) * 2007-07-03 2012-06-06 株式会社Ihi 低温液化ガスタンクの窒素ガスパージ方法及び装置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616B1 (ko) * 2012-11-02 2014-10-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펌프타워 설치구조
KR101523902B1 (ko) * 2013-08-01 2015-06-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펌프타워 파이프구조물
CN107107996A (zh) * 2014-12-26 2017-08-29 川崎重工业株式会社 液化气搬运船
CN107107996B (zh) * 2014-12-26 2019-10-25 川崎重工业株式会社 液化气搬运船
KR20160146185A (ko) 2015-06-12 2016-12-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펌프타워
KR20170036178A (ko) 2015-09-23 2017-04-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펌프타워 및 이를 포함하는 화물창
KR20210020888A (ko) * 2018-05-11 2021-02-24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밀폐 및 단열 탱크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JP2021523070A (ja) * 2018-05-11 2021-09-02 ギャズトランスポルト エ テクニギャズ 密閉断熱タンクを組み立てる方法
JP2021530651A (ja) * 2018-07-06 2021-11-11 ギャズトランスポルト エ テクニギャズ 液化ガスを噴霧するための装置を備えたロード及び/又はアンロードタワー
KR20200055516A (ko) 2018-11-13 2020-05-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진동저감장치를 구비하는 펌프타워
KR20200065532A (ko) 2018-11-30 2020-06-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펌프타워 진동계측 공진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CN111301616A (zh) * 2018-12-11 2020-06-19 气体运输技术公司 将马达固定在船舶油箱的装载和/或卸载塔的盖的支撑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4276B1 (ko) 201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4276B1 (ko) 펌프 타워
US10400953B2 (en) Pump tower of liquefied gas storage tank
US8235242B2 (en) Anti-sloshing structure for LNG cargo tank
KR101408356B1 (ko) 화물창의 단열박스 고정장치
KR100761219B1 (ko) Lng 운반선 단열탱크의 단열구조
KR101571427B1 (ko) 화물창 슬로싱 저감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액화가스 화물창
KR101618697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펌프타워
KR101751837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고정장치
KR102306109B1 (ko) 단열 밀봉 탱크
KR20130017704A (ko) 펌프 타워
KR101814452B1 (ko) 액화가스 화물창
KR20100099907A (ko) 탱크돔 보호용 이중상갑판 및 그것을 구비한 선박
CN104094042A (zh) 用于压缩天然气的海上运输的、备有用于进出内部的人孔的可检验的容器
KR101554896B1 (ko) Lng 저장탱크용 드립 트레이 구조체
KR20160004756A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및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단열벽 고정장치
KR20160004754A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및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단열벽 고정장치
KR20210071316A (ko) 이중배관 구조의 충전용 파이프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쿨다운 방법
KR20210070757A (ko) 이중배관 구조의 충전용 파이프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펌프타워
KR20180029132A (ko) 펌프타워
KR20120132952A (ko) 저온액체화물용 저장탱크의 단열박스
KR20110004497A (ko) 독립형 저장탱크의 누출위치 확인방법 및 장치
KR20100107218A (ko) 밸러스팅 시스템 및 상기 밸러스팅 시스템을 갖춘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102379511B1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파우더 단열재 충진 방법
KR20130076338A (ko)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설비의 이상압력 보호장치
JP7473375B2 (ja) 可搬式ガス製造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