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6664A - 음악 정보 개인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음악 정보 개인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6664A
KR20120076664A KR1020100125862A KR20100125862A KR20120076664A KR 20120076664 A KR20120076664 A KR 20120076664A KR 1020100125862 A KR1020100125862 A KR 1020100125862A KR 20100125862 A KR20100125862 A KR 20100125862A KR 20120076664 A KR20120076664 A KR 20120076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user
propensity
coordinates
ex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민
김정현
이승재
서영호
서용석
박지현
이상광
이정호
윤영석
유원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25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6664A/ko
Publication of KR20120076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66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음악을 청취하는 사용자의 음악 취향을 반영하여 음악 정보를 개인화하는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사용자로부터 현재 재생 중인 음악에 대한 사용자의 음악 성향 평가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음악 성향 평가를 이용하여 이전의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와 현재 재생 중인 곡의 음악 표현 좌표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를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로 추적하고, 상기 추적된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에이징하여 최종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추적하는 추적부 및 상기 최종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 음악 성향에 해당하는 재생 목록을 검색하는 검색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개인의 주관적 음악 취향을 활용한 추천 서비스는 추천 검색어나 검색 추천의 기반이 되는 노래가 동일하게 선택되더라도 사용자 별로 다른 추천 목록을 제공하여 사용자 별로 만족도를 극대화한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악 정보 개인화 방법 및 그 장치{METHOD OF PERSONALIZING MUSIC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음악 정보 개인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악을 청취하는 사용자의 음악 취향을 반영하여 음악 정보를 개인화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악시장은 디지털 산업의 발달과 함께 일반인들이 쉽게 음악을 접하고 구매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화되어 왔다. 방대한 음악 DB를 제공하는 음악 서비스 업체들이 등장함에 따라 일반인들이 음악을 쉽게 접하고 이용할 수 있게 되었지만, 음악에 대한 정보부족은 사용자들에게 선곡의 어려움을 제공하는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은 상황으로 인하여, 청취자가 좋아하는 스타일의 음악임에도 불구하고, 새로 생겨난 음악에 대한 정보부족으로 인하여 청취자가 좋아하는 스타일의 음악을 듣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을 검색 추천해 주는 시스템이 등장해,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을 부족한 정보에도 불구하고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때, 사용자가 원하는 곡은 가수, 노래 제목, 노래 분위기, 가사 등과 같은 음악의 정보들을 통한 추천 검색어나 특정한 곡과 유사한 음악 정보를 통해서 추천한다. 따라서 동일한 추천조건에서는 사용자 성향과 상관없이 동일한 추천목록이 제공되어 개인별로 차별화된 서비스가 아닌 획일적인 추천 서비스가 제공되었다. 추가적으로 주변환경, 날씨, 나이, 성별 등을 고려한 개인화 서비스가 존재하지만, 개인의 주관적 음악 성향을 고려하기 보다는 프로필화된 개인정보와 주변의 환경정보만을 고려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만족도를 충족시키기는 어려운 단점을 지닌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음악을 청취하는 사용자의 음악 취향을 반영하여 음악 정보를 개인화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음악을 청취하는 사용자의 음악 취향을 반영하여 음악 정보를 개인화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정보 개인화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현재 재생 중인 음악에 대한 사용자의 음악 성향 평가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음악 성향 평가를 이용하여 이전의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와 현재 재생 중인 곡의 음악 표현 좌표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를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로 추적하고, 상기 추적된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에이징하여 최종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추적하는 추적부 및 상기 최종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 음악 성향에 해당하는 재생 목록을 검색하는 검색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정보 개인화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현재 재생 중인 음악에 대한 사용자의 음악 성향 평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음악 성향 평가를 이용하여 이전의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와 현재 재생 중인 곡의 음악 표현 좌표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를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로 추적하고, 상기 추적된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에이징하여 최종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추적하는 단계 및 상기 최종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 음악 성향에 해당하는 재생 목록을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악을 청취하는 사용자의 음악 취향을 반영하여 음악 정보를 개인화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이용할 경우, 개인의 주관적 음악 취향을 활용한 추천 서비스는 추천 검색어나 검색 추천의 기반이 되는 노래가 동일하게 선택되더라도 사용자 별로 다른 추천 목록을 제공하여 사용자 별로 만족도를 극대화한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청취한 음악들이나 음악에 대한 사용자 감성 판단 결과들을 통해서 사용자 음악취향을 반영한 음악 정보들을 시각화 처리함으로써 추천 음악 검색 요청이나 음악 정보를 취득할 때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음악 추천이 가능한 시스템에서 획일화된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 스스로 적응하여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주관적 감성이 잘 반영된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가 쉽게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음악 시장의 다양한 서비스들을 활성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정보 개인화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정보 개인화 장치의 제 1 추적 유닛(112)이 이진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현재 재생 중인 음악에 대한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추적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정보 개인화 장치의 제 1 추적 유닛(112)이 다단계 선택 방법을 이용하여 현재 재생 중인 음악에 대한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추적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정보 개인화 장치의 제 2 추적 유닛(122)이 제 1 추척 유닛(112)으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에이징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정보 개인화 장치의 검색부(104)가 추적부(102)로부터 수신된 최종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재생 목록을 검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정보 개인화 장치의 디스플레이부(105)가 검색부(104)로부터 검색된 사용자 음악 성향에 해당하는 재생 목록이 현재 사용자 음악 성향의 좌표 지역을 확대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정보 개인화 장치의 디스플레이부(105)가 사용자의 음악 성향의 변화에 따른 위치 변화 및 변화 곡선을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정보 개인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정보 개인화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정보 개인화 장치는 수신부(101), 음악 성향 추적부(102), 제어부(103) 및 검색부(104)룰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음악 성향 추적부(102)는 제 1 추적 유닛(112) 및 제 2 추적 유닛(1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신부(101)는 제어부(103)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음악 성향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악 성향 정보는 자동 선택 정보, 수동 선택 정보 및 실시간 선택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자동 선택 정보는 사용자가 과거에 사용한 재생 목록, 과거에 실제 들었던 곡의 목록을 포함하고, 수동 선택 정보는 사용자 프로필에 적혀있는 사용자 음악 성향을 포함하고, 실시간 선택 정보는 노래가 재생 중일 때 사용자로부터 긍정적 반응 또는 부정적 반응을 음악 성향의 단계 중 사용자 음악 성향에 해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수신부(101)는 제어부(103)가 음악 성향 정보를 실시간 선택 정보라고 판별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현재 재생 중인 음악에 대한 사용자의 음악 성향 평가를 수신한다.
제 1 추적 유닛(112)은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음악 성향 정보가 실시간 선택 정보일 경우 현재 재생 중인 곡에 대한 사용자의 음악 성향 평가를 이용하여 현재 재생 중인 음악에 대한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추적한다. 먼저, 제 1 추적 유닛(112)이 제어부(103)의 제어에 의해 이진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현재 재생 중인 음악에 대한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추적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추적 유닛(112)은 제어부(103)가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음악 성향 정보가 실시간 선택 정보라고 판별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현재 재생 중인 음악에 대한 사용자의 음악 성향 평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악 성향 평가가 긍정적 평가라고 판단한 경우, 이전의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와 현재 재생 중인 곡의 음악 표현 좌표를 가운데 위치로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이동시킨다. 반면, 제 1 추적 유닛(112)은 제어부(103)가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음악 성향 정보가 실시간 선택 정보라고 판별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현재 재생 중인 음악에 대한 사용자의 음악 성향 평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악 성향 평가가 부정적 평가라고 판단한 경우는, 현재 재생 중인 곡은 사용자의 음악 성향과 다른 경우이기 때문에 이전의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현재의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로 유지한다.
둘째, 제 1 추적 유닛(112)이 제어부(103)의 제어에 의해 다단계 선택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추적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추적 유닛(112)은 제어부(103)가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음악 성향 정보가 실시간 선택 정보라고 판별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현재 재생 중인 음악에 대한 음악 성향이 해당하는 단계를 수신하고, 수신된 단계가 전체 5 단계 중 2단계로 판단한 경우, 이전의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와 현재 재생 중인 곡의 음악 표현 좌표의 2/5 지점으로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이동시킨다. 반면, 제 1 추적 유닛(112)은 제어부(103)가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음악 성향 정보가 실시간 선택 정보라고 판별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현재 재생 중인 음악에 대한 음악 성향이 해당하는 단계를 수신하고, 수신된 단계가 5 단계 중 0단계로 판단한 경우, 현재 재생 중인 곡은 사용자의 음악 성향과 다른 경우이기 때문에 이전의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현재의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로 유지한다.
제 2 추적 유닛(122)은 제 1 추적 유닛(112)으로부터 갱신되어 수신된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에이징하여 최종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추적한다. 먼저, 제 2 추적 유닛(122)은 제어부(103)가 제 1 추적 유닛(112)이 이진 선택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추적했다고 판단함에 따라, 이진 선택 방법을 이용하여 추적된 수신된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에이징하여 최종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추적한다. 둘째, 제 2 추적 유닛(122)은 제어부(103)가 제 1 추적 유닛(112)이 다단계 선택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추적했다고 판단함에 따라, 다단계 선택 방법을 이용하여 추적된 수신된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에이징하여 최종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추적한다.
이와 같이 제 2 추적 유닛(122)이 으로부터 갱신되어 수신된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수신하여 에이징을 하는 이유는 특정 음악 성향을 가진 사용자도 주변의 환경이나 개인의 심리상태 따라서 평소의 음악 성향과는 먼 음악성향의 음악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일 수 있고, 이는 일시적인 가능성이 높으므로 급격하게 개인의 음악 성향이 이동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제어부(103)는 수신부(101)를 통해서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음악 성향 정보가 실시간 선택 정보라고 판별함에 따라 수신부(101)로부터 현재 재생 중인 곡에 대한 사용자의 음악 성향 평가를 수신하여 긍정적 평가라고 판단한 경우, 제 1 추적 유닛(112)가 이진 선택 방법을 이용하여 이전의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와 현재 재생 중인 곡의 음악 표현 좌표를 가운데 위치로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한다. 반면, 제어부(103)는 수신부(101)를 통해서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음악 성향 정보가 수동 선택 정보라고 판별함에 따라 현재 재생 중인 곡에 대한 사용자의 음악 성향 평가가 부정적 평가라고 판단한 경우, 현재 재생 중인 곡은 사용자의 음악 성향과 다른 경우이기 때문에 제 1 추적 유닛(112)가 이전의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현재의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로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3)는 수신부(101)를 통해서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음악 성향 정보가 수동 선택 정보라고 판별함에 따라 수신부(101)로부터 현재 재생 중인 곡에 대한 사용자의 음악 성향 평가를 수신하여 음악 성향 평가가 전체 5단계 중 2단계로 판단한 경우, 제 1 추적 유닛(112)이 다단계 선택 방법을 이용하여 이전의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와 현재 재생 중인 곡의 음악 표현 좌표의 2/5 지점으로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한다. 반면, 제어부(103)는 수신부(101)를 통해서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음악 성향 정보가 수동 선택 정보라고 판별함에 따라 현재 재생 중인 곡에 대한 사용자의 음악 성향 평가가 전체 5단계 중 0단계로 판단한 경우, 현재 재생 중인 곡은 사용자의 음악 성향과 다른 경우이기 때문에 제 1 추적 유닛(112)가 이전의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현재의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로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검색부(104)는 추적부(102)의 제 2 추적 유닛(122)으로부터 최종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수신하고, 수신된 최종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 음악 성향에 해당하는 재생 목록을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5)는 검색부(104)로부터 검색된 사용자 음악 성향에 해당하는 재생 목록이 표현 좌표가 밀집되어 있는 곳을 확대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정보 개인화 장치의 제 1 추적 유닛(112)이 이진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현재 재생 중인 음악에 대한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추적하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정보 개인화 장치의 제 1 추적 유닛(112)이 이진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현재 재생 중인 음악에 대한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추적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1 추적 유닛(112)은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음악 성향 정보가 실시간 선택 정보일 경우 현재 재생 중인 곡에 대한 사용자의 음악 성향 평가를 이용하여 현재 재생 중인 음악에 대한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추적한다. 그러면, 제 1 추적 유닛(112)이 제어부(103)의 제어에 의해 이진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현재 재생 중인 음악에 대한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추적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추적 유닛(112)은 제어부(103)가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음악 성향 정보가 실시간 선택 정보라고 판별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현재 재생 중인 음악에 대한 사용자의 음악 성향 평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악 성향 평가가 긍정적 평가라고 판단한 경우, 이전의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201)와 현재 재생 중인 곡의 음악 표현 좌표(202)의 가운데 위치(203)로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301)를 이동시킨다. 반면, 제 1 추적 유닛(112)은 제어부(103)가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음악 성향 정보가 실시간 선택 정보라고 판별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현재 재생 중인 음악에 대한 사용자의 음악 성향 평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악 성향 평가가 부정적 평가라고 판단한 경우는, 현재 재생 중인 곡은 사용자의 음악 성향과 다른 경우이기 때문에 이전의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201)를 현재의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201)로 유지한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정보 개인화 장치의 제 1 추적 유닛(112)이 다단계 선택 방법을 이용하여 현재 재생 중인 음악에 대한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추적하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정보 개인화 장치의 제 1 추적 유닛(112)이 다단계 선택 방법을 이용하여 현재 재생 중인 음악에 대한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추적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음악 정보 개인화 장치가 현재 재생 중인 곡에 대한 사용자 음악 성향을 측정하기 위해서 음악 성향이 전체 5단계로 설정된 경우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추적 유닛(112)은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음악 성향 정보가 실시간 선택 정보일 경우 현재 재생 중인 곡에 대한 사용자의 음악 성향 평가를 이용하여 현재 재생 중인 음악에 대한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추적한다. 그러면, 제 1 추적 유닛(112)이 제어부(103)의 제어에 의해 다단계 선택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추적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추적 유닛(112)은 제어부(103)가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음악 성향 정보가 실시간 선택 정보라고 판별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현재 재생 중인 음악에 대한 음악 성향이 해당하는 단계를 수신하고, 수신된 단계가 전체 5 단계 중 1단계로 판단한 경우, 이전의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301)와 현재 재생 중인 곡의 음악 표현 좌표(302)의 1/5 지점(303)으로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301)를 이동시킨다. 반면, 제 1 추적 유닛(112)은 제어부(103)가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음악 성향 정보가 실시간 선택 정보라고 판별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현재 재생 중인 음악에 대한 음악 성향이 해당하는 단계를 수신하고, 수신된 단계가 5 단계 중 0단계로 판단한 경우, 현재 재생 중인 곡은 사용자의 음악 성향과 다른 경우이기 때문에 이전의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301)를 현재의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301)로 유지한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정보 개인화 장치의 제 2 추적 유닛(122)이 제 1 추척 유닛(112)으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에이징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정보 개인화 장치의 제 2 추적 유닛(122)이 제 1 추척 유닛(112)으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에이징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제어부(103)가 제 1 추적 유닛(112)이 이진 선택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추적했다고 판단함에 따라, 이진 선택 방법을 이용하여 추적된 수신된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에이징하여 최종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추적하는 경우이다.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 제 2 추적 유닛(122)은 현재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401)를 이용하여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401)가 현재 위치에 도착할 때까지의 사용자 성향의 이동 경로를 이용하여 사분면에 따른 에이징을 추적하여 1사분면의 에이징이 5라고 판단한다.
제 2 추적 유닛(122)은 제 1 추적 유닛(112)에 의해 이진 선택 방법이 적용되어 이전의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401)와 현재 재생 중인 곡의 음악 표현 좌표(402)의 가운데 위치(403)로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401)를 이동시켜 갱신된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403)을 수신하고, 이진 선택에 의해 갱신된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403)를 사분면에 따른 에이징을 고려하여 현재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401)와 이진 선택에 의해 갱신된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403)의 1/5지점(404)으로 최종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로 추적하고, 1사분면 에이징은 4로 갱신한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정보 개인화 장치의 검색부(104)가 최종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재생 목록을 검색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정보 개인화 장치의 검색부(104)가 추적부(102)로부터 수신된 최종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재생 목록을 검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검색부(104)는 추적부(102)로부터 추적된 최종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501)를 수신하고, 수신된 최종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501)를 기준으로 하여 사용자 음악 성향에 해당하는 음악의 표현 좌표를 포함하는 영역(502)을 검색하고, 검색된 영역(502)에 포함된 음악의 표현 좌표에 해당하는 음악을 모아 사용자에게 추천할 재생 목록을 생성한다. 이때, 검색부(104)는 추천할 재생 목록에 포함되는 음악의 개수에 따라 사용자 음악 성향에 해당하는 음악의 표현 좌표를 포함하는 영역(502)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정보 개인화 장치의 디스플레이부(105)가 검색부(104)로부터 검색된 사용자 음악 성향에 해당하는 재생 목록이 사용자 음악 성향의 좌표 지역을 확대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정보 개인화 장치의 디스플레이부(105)가 검색부(104)로부터 검색된 사용자 음악 성향에 해당하는 재생 목록이 사용자 음악 성향의 좌표 지역을 확대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가 1 사분면에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05)가 1 사분면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한 경우의 예시도이며, 사용자 음악 성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05)가 확대하는 사분면은 달라질 수 있으며, 축의 확대나 축소의 비율은 시스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서 가변적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서도 가변적인 비율을 가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추적부(102)에 의해 추적된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가 1사분면에 있고, 검색부(104)는 추적부(102)로부터 수신된 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기준으로 사용자 음악 성향에 해당하는 음악의 표현 좌표를 포함하는 영역(502)를 1 사분면에서 검색하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04)는 1사분면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04)가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포함하는 사분면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의 음악 성향 위치에 따라 확대된 시각정보는 시각화 창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을 검색 추천하거나 사용자 성향의 다양한 음악에 대한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정보 개인화 장치의 디스플레이부(105)가 사용자의 음악 성향의 변화에 따른 위치 변화 및 변화 곡선을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정보 개인화 장치의 디스플레이부(105)가 사용자의 음악 성향의 변화에 따른 위치 변화 및 변화 곡선을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의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05)는 현재 재생 중인 음악이 변경될 때마다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추적부(102)에 의해 추적된 사용자의 음악 성향 위치의 변화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05)는 디스플레이부(105)는 현재 재생 중인 음악의 변경될 때마다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추적부(102)에 의해 추적된 사용자의 음악 성향 위치의 변화를 곡선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05)가 현재 재생 중인 음악이 변경될 때마다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추적부(102)에 의해 추적된 사용자의 음악 성향 위치의 변화 및 변화 곡선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 본인의 음악 성향에 대한 변화나 히스토리를 확인할 수 있어, 시각적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정보 개인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정보 개인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음악 정보 개인화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현재 재생 중인 음악에 대한 사용자의 음악 성향 평가를 수신한다(S801).
음악 정보 개인화 장치는 수신된 음악 성향 평가를 이용하여 이전의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와 현재 재생 중인 곡의 음악 표현 좌표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를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로 추적하고, 추적된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에이징하여 최종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추적한다(S80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악 정보 개인화 장치가 이진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추적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음악 정보 개인화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음악 성향 정보가 실시간 선택 정보라고 판별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현재 재생 중인 음악에 대한 사용자의 음악 성향 평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악 성향 평가가 긍정적 평가라고 판단한 경우, 이전의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와 현재 재생 중인 곡의 음악 표현 좌표를 가운데 위치로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이동시킨다. 반면, 음악 정보 개인화 장치는 수신된 음악 성향 정보가 실시간 선택 정보라고 판별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현재 재생 중인 음악에 대한 사용자의 음악 성향 평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악 성향 평가가 부정적 평가라고 판단한 경우는, 현재 재생 중인 곡은 사용자의 음악 성향과 다른 경우이기 때문에 이전의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현재의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로 유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악 정보 개인화 장치가 다단계 선택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추적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음악 정보 개인화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음악 성향 정보가 실시간 선택 정보라고 판별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현재 재생 중인 음악에 대한 음악 성향이 해당하는 단계를 수신하고, 수신된 단계가 전체 5 단계 중 2단계로 판단한 경우, 이전의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와 현재 재생 중인 곡의 음악 표현 좌표의 2/5 지점으로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이동시킨다. 반면, 음악 정보 개인화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음악 성향 정보가 실시간 선택 정보라고 판별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현재 재생 중인 음악에 대한 음악 성향이 해당하는 단계를 수신하고, 수신된 단계가 5 단계 중 0단계로 판단한 경우, 현재 재생 중인 곡은 사용자의 음악 성향과 다른 경우이기 때문에 이전의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현재의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로 유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악 정보 개인화 장치는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에이징하여 최종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추적한다. 이와 같이 음악 정보 개인화 장치는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수신하여 에이징을 하는 이유는 특정 음악 성향을 가진 사용자도 주변의 환경이나 개인의 심리상태 따라서 평소의 음악 성향과는 먼 음악성향의 음악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일 수 있고, 이는 일시적인 가능성이 높으므로 급격하게 개인의 음악 성향이 이동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음악 정보 개인화 장치는 최종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 음악 성향에 해당하는 재생 목록을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803).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1: 수신부 102: 추적부
112: 제 1 추적 유닛 122: 제 2 추적 유닛
103: 제어부 104: 검색부
105: 디스플레이부

Claims (1)

  1. 사용자로부터 현재 재생 중인 음악에 대한 사용자의 음악 성향 평가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음악 성향 평가를 이용하여 이전의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와 현재 재생 중인 곡의 음악 표현 좌표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를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로 추적하고, 상기 추적된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에이징하여 최종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추적하는 추적부; 및
    상기 최종 사용자 음악 성향의 표현 좌표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 음악 성향에 해당하는 재생 목록을 검색하는 검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정보 개인화 장치.
KR1020100125862A 2010-12-09 2010-12-09 음악 정보 개인화 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766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862A KR20120076664A (ko) 2010-12-09 2010-12-09 음악 정보 개인화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862A KR20120076664A (ko) 2010-12-09 2010-12-09 음악 정보 개인화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664A true KR20120076664A (ko) 2012-07-09

Family

ID=46710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862A KR20120076664A (ko) 2010-12-09 2010-12-09 음악 정보 개인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666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8978B2 (en) Country-specific content recommendations in view of sparse country data
US10417278B2 (en) Systems and methods to facilitate media search
US9442626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acilitating content consumption and sharing through geographic and incentive based virtual networks
US9459828B2 (en) Musically contextual audio advertisements
US11709583B2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navigating digital media content
US8185445B1 (en) Method for providing background music
KR20070068452A (ko) 재생리스트를 시각적으로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US11169767B2 (en) Automatically generated media preview
US20140081682A1 (en) Method for providing background music
US20150334204A1 (en) Intelligent auto-caching of media
KR20070007290A (ko) 지침서 생성 유닛
US2009004375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CN110619673B (zh) 有声动图生成、播放方法、数据处理方法、系统及设备
US2014012260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00008945A (ko) 사용자의 입력을 반영한 자동 음악 선곡 장치 및 방법
US20100174695A1 (en) One-click selection of music or other content
KR20120076664A (ko) 음악 정보 개인화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34718A (ko) 마인드맵을 활용한 뮤직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KR102534870B1 (ko) 복수 개의 오디오 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07241941A (ja) コンテンツ検索装置及びコンテンツ検索プログラム
US10368114B2 (en) Media channel creation based on free-form media input seeds
CN105280208A (zh) 一种调整歌词的显示格式的方法及装置
CN117156173A (zh) Vlog生成方法及相关装置
KR20180036687A (ko) 마인드맵을 활용한 뮤직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JP201300368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