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4870B1 - 복수 개의 오디오 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 개의 오디오 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4870B1
KR102534870B1 KR1020220120327A KR20220120327A KR102534870B1 KR 102534870 B1 KR102534870 B1 KR 102534870B1 KR 1020220120327 A KR1020220120327 A KR 1020220120327A KR 20220120327 A KR20220120327 A KR 20220120327A KR 102534870 B1 KR102534870 B1 KR 102534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block
screen
user
s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0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4870B9 (ko
Inventor
김태형
김근형
이종필
금상은
Original Assignee
뉴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튠(주) filed Critical 뉴튠(주)
Priority to KR1020220120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870B1/ko
Priority to KR1020230061643A priority patent/KR1026430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870B1/ko
Publication of KR102534870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870B9/ko
Priority to US18/470,736 priority patent/US2024010379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2Interface to dedicated audio devices, e.g. audio drivers, interface to CODE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2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04H60/04Studio equipment; Interconnection of studi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오디오 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믹싱될 오디오가 실행된 경우, 프로세스가 상기 오디오에 대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디오 버전에 대해 각각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템(stem) 항목에 대응되는 오디오 블록(block)이 표시되는 오디오 블록 화면을 포함하는 오디오 믹싱 화면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오디오 믹싱 화면 표시 단계, 상기 오디오 믹싱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오디오 블록 중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선택 블록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스가 상기 선택 블록을 상기 오디오 블록들과 다른 음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오디오 블록 선택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오디오 블록의 선택이 완료된 경우, 상기 프로세스가 상기 선택 블록에 포함되어 있는 오디오 정보를 결합하여 하나의 세션(session) 오디오로 생성하는 오디오 세션 생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 개의 오디오 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audio mixing interface using a plurality of audio stems}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오디오 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일한 오디오의 다양한 버전 및 각각의 오디오가 가지고 있는 복수 개의 스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맞춰 오디오를 자유롭게 믹싱할 수 있는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발명이다.
미디어로 변환할 수 있게 되어, 오늘날에는 사용자는 휴대가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에 다양한 종류의 미디어를 저장하여 이동중에도 원하는 미디어를 선별하여 간편하게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디지털 압축 기술을 통해 디지털화된 미디어는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자간 미디어 공유를 가능하게 하여 온라인 미디어 서비스를 폭발적으로 활성화시키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많은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다.
이렇게 방대하게 제공되는 미디어 중에서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음악으로서, 다른 미디어 종류에 비해 저용량이며 통신 부하가 낮아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원하는데 무리가 없어 서비스 제공자나 사용자 모두에게 만족도가 높다. 이에 따라, 현재는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온라인 음악을 제공하는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
기존의 온라인 음악 서비스는 음원을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제공하거나,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의 방식으로 온라인에 연결된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음원을 단순하게 제공하는데 그쳤으나, 최근에는 빅데이터를 활용하거나 인공지능 기술을 사용하여 선호도가 높은 미디어를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온라인 음악 서비스에서의 추천 방식은 사용자가 구매하거나 청취 또는 검색한 음원의 수를 단순 집계하여 음악 차트를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추천하는 방식으로서, 이러한 추천 방식은 단순 액세스 회수에 기반한 통계적인 기준에 의해서 음악을 추천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선호도가 가지는 다양성 및 변동성을 무시한 방식이다. 또한, 이러한 추천 방식은 누적된 액세스 회수를 기반으로 음악을 추천하므로 음악 차트의 변동성이 낮아, 기존에 추천된 음악들과 현재 추천되는 음악들이 대부분 중복되어 실효성이 크게 떨어진다.
또한, 동일한 음악이라 하더라도,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버전으로 듣고 싶어하는 경우도 존재하는데, 현재는 음원을 배포하는 업체에서 다른 버전으로 음원을 배포하지 않는 이상, 사용자는 다른 느낌을 가지는 버전의 음악을 듣지 못하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84133호 (2015.07.22. 공개) - '음의 간섭현상을 이용한 음정인식 및 이를 이용한 음계채보 방법' 한국등록특허 제 10-1696555호 (2019.06.05.) - '영상 또는 지리 정보에서 음성 인식을 통한 텍스트 위치 탐색 시스템 및 그 방법'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오디오 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는 상기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발명으로서, 사용자가 오디오를 자신의 취향에 맞춰 자유롭게 믹싱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동일한 오디오에 대한 다양한 버전의 오디오 데이터 및 각각의 오디오가 가지고 있는 복수 개의 스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맞춰 오디오를 자유롭게 믹싱할 수 있는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오디오 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믹싱될 오디오가 실행된 경우, 프로세스가 상기 오디오에 대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디오 버전에 대해 각각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템(stem) 항목에 대응되는 오디오 블록(block)이 표시되는 오디오 블록 화면을 포함하는 오디오 믹싱 화면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오디오 믹싱 화면 표시 단계, 상기 오디오 믹싱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오디오 블록 중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선택 블록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스가 상기 선택 블록을 상기 오디오 블록들과 다른 음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오디오 블록 선택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오디오 블록의 선택이 완료된 경우, 상기 프로세스가 상기 선택 블록에 포함되어 있는 오디오 정보를 결합하여 하나의 세션(session) 오디오로 생성하는 오디오 세션 생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템 항목은, 상기 오디오의 리듬(Rhythm) 스템, 베이스(Bass) 스템, 미드(Mid) 스템, 하이(High) 스템, FX 스템 및 멜로디(Melody) 스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믹싱 화면 표시 단계는, 상기 오디오 블록 중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선택 블록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선택 블록에 대응되는 오디오 정보를 파형 정보로 생성한 후, 상기 파형 정보를 상기 오디오 믹싱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믹싱 화면 표시 단계는,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오디오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복수 개의 세션으로 나눈 후, 상기 복수 개의 세션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세션 블록을 포함하는 세션 블록 화면을 상기 오디오 믹싱 화면에 표시하는 세션 블록 화면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복수 개의 세션 블록 중 현재 선택되어 있는 세션 블록을 제외한 다른 세션 블록을 선택한 경우, 선택한 다른 세션 블록에 대응되는 오디오 블록 화면을 상기 오디오 믹싱 화면에 새롭게 표시하는 믹싱 화면 변경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션 블록 화면 표시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세션의 길이, 종류 및 배열 순서가 변경되어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션 블록 화면 표시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랜덤 믹스 아이콘을 선택한 경우, 상기 오디오 믹싱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오디오 블록 중 랜덤으로 오디오 블록들을 선택하여 선택 블록을 생성한 후, 상기 선택 블록이 상기 오디오 블록들과 다른 음영으로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오디오 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믹싱될 오디오가 실행된 경우, 상기 오디오에 대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디오 버전에 대해 각각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템(stem) 항목에 대응되는 오디오 블록(block)이 표시되는 오디오 블록 화면을 포함하는 오디오 믹싱 화면을 사용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오디오 믹싱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오디오 블록 중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선택 블록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선택 블록을 상기 오디오 블록들과 다른 음영으로 표시하는 오디오 믹싱 화면 생성 모듈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오디오 블록의 선택이 완료된 경우, 상기 선택 블록에 포함되어 있는 오디오 정보를 결합하여 하나의 세션(session) 오디오로 생성하는 믹싱 오디오 생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오디오 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에 의해 믹싱될 오디오가 실행된 경우, 상기 오디오에 대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디오 버전에 대해 각각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템(stem) 항목에 대응되는 오디오 블록(block)이 표시되는 오디오 블록 화면을 포함하는 오디오 믹싱 화면을 사용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오디오 믹싱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오디오 블록 중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선택 블록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선택 블록을 상기 오디오 블록들과 다른 음영으로 표시하는 오디오 믹싱 화면 생성 모듈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오디오 블록의 선택이 완료된 경우, 상기 선택 블록에 포함되어 있는 오디오 정보를 결합하여 하나의 세션(session) 오디오로 생성하는 믹싱 오디오 생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오디오 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는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취향의 오디오를 능동적으로 믹싱하고 제작할 수 있어, 보다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오디오 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는 현재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의 스템을 분석하여 이와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스템을 포함하는 오디오를 자연스럽게 플레이 리스트에 추가함으로써, 보다 사용자의 취향에 어울리는 다양한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오디오 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오디오 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에 표시될 수 있는 여러 형태의 화면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레이 리스트 생성 모듈이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여 플레이 리스트를 생성하는 2가지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된 자동 믹싱 방법에 의해 다양한 스타일의 오디오가 생성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되어 오디오가 재생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공지능 플레이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이 적용되어 구현된 실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이 적용되어 구현된 믹싱 오디오 재생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며,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칭은 '복수 개의 오디오 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로 기재하였으나, 이하 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 개의 오디오 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로 축약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오디오 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은,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디바이스(300)로 제공하는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200)와,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디바이스(3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사용자 디바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디바이스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사용자 디바이스(300A, 300B, 300C)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가 사용자 디바이스(300)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300)와 연계되어 있는 외부 서버(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를 사용자의 취향에 맞춰 믹싱하고 편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디바이스(3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작동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200)는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디바이스(300)로 송신할 수 있도록 서버(server)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서버(server)는 통상적인 서버를 의미하는 바, 서버는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컴퓨터 하드웨어로서, 프린터 제어나 파일 관리 등 네트워크 전체를 감시하거나, 제어하거나, 메인프레임이나 공중망을 통한 다른 네트워크와의 연결, 데이터, 프로그램, 파일 같은 소프트웨어 자원이나 모뎀, 팩스, 프린터 공유. 기타 장비 등 하드웨어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사용자 디바이스(300)에 설치되어 있는 특정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200)가 제공하는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디바이스(3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200)가 서버로 구현되어 사용자가 서버로부터 오디오를 믹싱하고 편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수신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200)가 서버로 구현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 디바이스(300)로 구현될 수 있다.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200)가 사용자 디바이스(300)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디바이스(300)에 포함되어 있는 프로세서가 직접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고, 생성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사용자 디바이스(3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도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할 수 있는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고 있어, 프로세서는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고, 생성된 화면을 사용자 디바이스(3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해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를 통해 믹싱 하고자 하는 오디오를 본인의 취향에 맞춰 편집하고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이러한 알고리즘이 실현될 수 있도록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여러 단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personal computer, 300A), 스마트 패드(300B) 또는 노트 북(note book, 300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 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단말,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스마트 글라스(smart glass),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오디오 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200)는 통신 모듈(210), 오디오 믹싱 화면 생성 모듈(220), 믹싱 오디오 생성 모듈(230), 플레이 리스트 생성 모듈(240) 및 메모리 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통신 모듈(210), 오디오 믹싱 화면 생성 모듈(220), 믹싱 오디오 생성 모듈(230) 및 플레이 리스트 생성 모듈(240)을 각각 구분하여 표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러한 독립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신 모듈(210), 오디오 믹싱 화면 생성 모듈(220) 모듈(230), 믹싱 화면 생성 모듈(230) 및 플레이 리스트 생성 모듈(240)은 프로세서(processor) 역할을 하는 하나의 처리 모듈로 구성되어 구현될 수 있다.
통신 모듈(210)은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200)가 서버와 같은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디바이스(300) 및 오디오 데이터 등이 저장되어 있는 외부 서버(미도시)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 디바이스(300) 및 외부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를 기초로 오디오 믹싱 화면 생성 모듈(220) 및 믹싱 오디오 생성 모듈(230)이 생성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디바이스(300)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200)가 사용자 디바이스(300)로 구현되는 경우,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200)의 통신 모듈(210)은 사용자가 외부 서버에 미리 저장해 놓은 오디오 데이터 또는 외부 서버를 운영하는 업체에서 미리 저장해 놓은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는 메모리 모듈(250)에 저장될 수 있다.
오디오 믹싱 화면 생성 모듈(220)은 사용자 디바이스(300)의 디스플레이 표시하는 각종 화면(패널)을 생성하고, 생성된 화면을 사용자 디바이스(3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패널(panel)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 중에서 그 내용의 성격에 따라 구분된 인터페이스의 일 부분을 의미한다. 따라서, 패널을 그 내용의 성격에 따라 복수 개 생성될 수 있으며, 생성된 복수 개의 패널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동시에 표시 될 수 있다. 또한, 패널의 크기는 생성된 패널의 개수에 따라 자동적으로 그 크기가 조절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작아지거나 커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믹싱 화면 생성 모듈(220)은 서로 다른 성격을 가지는 화면을 생성하고 생성된 화면을 사용자 디바이스(3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디오 믹싱 화면 생성 모듈(220)은 사용자에 의해 믹싱될 오디오가 실행된 경우, 실행된 오디오에 대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디오 버전을 불러오고, 불러온 오디오 버전에 대해 각각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템(stem) 항목에 대응되는 오디오 블록(block)을 생성하고, 생성된 오디오 블록을 포함하는 오디오 블록 화면을 사용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의미하는 오디오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청취하는 노래와 반주 등이 모두 포함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를 의미하며, 스템(stem)은 하나의 음악을 구성하는 각각의 오디오 트랙들을 음역대와 기능을 고려하여 분류한 뒤, 하나의 오디오 트랙으로 구성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오디오를 구성하는 음원은 사람의 보컬 및 여러 악기들의 소리들이 어울려서 하나의 결과물로 구성이 되는데, 스템은 여기서 음원을 구성하는 단일 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일 예로, 스템의 종류로는 리듬(Rhythm) 스템, 베이스(Bass) 스템, 미드(Mid) 스템, 하이(High) 스템, FX 스템 및 멜로디(Melody) 스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믹싱 화면 생성 모듈(220)은 오디오 믹싱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오디오 블록 중 사용자가 선택한 선택 블록이 존재하는 경우, 선택 블록을 오디오 블록들과 다른 음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선택 블록에 대응되는 오디오 정보를 파형 정보로 생성한 후, 생성된 파형 정보를 상기 오디오 믹싱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믹싱 오디오 생성 모듈(230)은 사용자의 오디오 믹싱이 완료된 경우(즉 사용자의 오디오 블록의 선택이 완료된 경우) 선택 블록에 포함되어 있는 오디오 정보를 결합하여 하나의 세션(session) 오디오로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세션은 하나의 오디오에 대해 일정한 시간 단위로 구분한 하나의 파트(part)를 의미한다. 세션을 나누는 기준은 균등한 시간 단위로 나눌 수 있으나, 오디오의 전체적인 흐름을 고려하여, 오디오의 특성이 변화는 구간을 기준으로 나눠질 수 도 있다. 이렇게 섹션을 나누는 기준은 음악 제작자가 사전에 미리 설정하여 저장되어 있거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설정된 섹션 사이에는 섹션과 섹션 사이에 음악의 연결이 자연스러워지도록 잔향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믹싱 오디오 생성 모듈(230)은 이렇게 생성한 복수 개의 세션을 통합하여 하나의 믹싱 오디오로 생성할 수 있으며, 이렇게 생성된 믹싱 오디오 또는 세션 오디오에 관한 데이터는 메모리 모듈(250)에 저장될 수 있다.
플레이 리스트 생성 모듈(240)은 사용자가 믹싱한 오디오들을 리스트로 생성한 후, 리스트에 존재하는 오디오들을 재생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플레이 리스트 생성 모듈(240)이 생성한 플레이 리스트는, 사용자가 믹싱한 오디오들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지만, 플레이 리스트 생성 모듈(240)이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여 임의로 믹싱하여 생성한 믹싱 오디오들도 포함될 수 있다. 플레이 리스트 생성 모듈(240)이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여 플레이 리스트를 생성하는 경우, 플레이 리스트 생성 모듈(240)의 이름은 그 특성을 반영하여 인공지능 기반 자동 믹싱 모듈, AI 자동 믹싱 모듈 등으로 지칭될 수 도 있다.
구체적으로, 플레이 리스트 생성 모듈(240)은 사용자가 믹싱한 오디오들과 유사한 오디오들을 플레이 리스트에 포함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믹싱한 오디오에서 특정 스템만 유사한 오디오들을 검색해서 플레이 리스트에 포함시킬 수도 있고, 사용자가 믹싱한 오디오를 랜덤하게 다시 믹싱하여 생성한 오디오를 플레이 리스트에도 포함시킬 수 도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1 내지 도 14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메모리 모듈(250)은 사용자가 기 저장한 오디오 및 믹싱한 오디오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모듈을 의미한다.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200)가 사용자 디바이스(300)로 구현되는 경우 메모리 모듈(250)은 사용자 디바이스(300)에서 포함되어 있지 않고, 메모리 모듈(250)에 저장될 수 있는 각종 데이터들을 외부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통신 모듈(210)을 이용하여 외부 서버로부터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표시할 각종 오디오에 대한 데이터들을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의 전반적인 작동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현재까지 기존 Web 2.0 기반의 주요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의 경우 이미 완성되어 있는 단일 음원에 대해 재생을 하는 서비스만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보니 사용자들마다 가지고 있는 오디오에 대한 개별적인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한 단점이 존재한다. 즉, 같은 노래라 하더라도 사용자에 따라 다른 느낌으로 변환된 오디오를 듣고 싶은 욕구가 존재하는데, 종래의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는 일방적으로 완성된 음원만을 제공하다 보니 다양한 버전의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한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사용자의 니즈에 최적화 된 유동적인 적응형 오디오 감상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여러 오디오로 조합 가능한 Web 3.0 기반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성되어 있는 하나의 음원을 여러 버전 별로 나누어 생성한 후, 버전 별로 여러 스템 항목을 블록(block) 형식으로 나누어져 결합되어 있는 팩(pack) 형태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자가 본인의 취향에 맞춰 블록을 재조합하는 방향으로 새로운 음원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데 특징이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팩(pack)은 하나의 오디오에 대해 생성된 여러 버전의 오디오에 대해, 각각의 오디오를 구성하는 여러 스템 데이터를 모아 놓은 형태의 데이터를 의미한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도 4를 통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완성되어 있는 하나의 음원은, 처음부터 블록 형식으로 제작된 오디오일 수 도 있고, 기 공개되어 있지만, 작곡가의 동의를 얻어 블록 형식으로 제작된 오디오일 수 도 있다. 이하 도면을 통해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의 특징들을 구체적으로 알아본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에 표시될 수 있는 여러 형태의 화면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4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오디오 믹싱 화면(100)에는 오디오 블록 화면(10), 세션 블록 화면(20) 및 파형 정보 화면(30)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블록 화면(10)은 도 3에서 설명한 실행된 오디오에 대한 팩(pack) 데이터가 표시된 화면으로서, 구체적으로 오디오 블록 화면(10)에는 도3에 표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사용자에 의해 믹싱될 오디오가 실행된 경우, 실행된 오디오에 대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디오 버전(도면에서는 SONG1 내지 SONG6)에 대해 각각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템 항목(도면에서는 Rhythm, Bass, Mid, High, FX, 및 Melody)에 대응되는 오디오 블록(block)이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실행된 오디오의 여러 버전이 가지고 있는 스템 항목에 대응되는 오디오 정보를 블록(Block)이라는 아이콘으로 추상화하여 표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표현 방식이 블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의 아이콘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오디오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스템에 따른 각각의 오디오가 결합된 오디오를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에, 오디오 버전이 다를 경우 스템에 따른 오디오 또한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도면 부호 11은 실행된 오디오의 제1버전이 가지고 있는 복수 개의 스템들에 대한 정보가 오디오 블록들로 표현된 것을 의미하고, 도면 부호 12는 실행된 오디오의 제4버전이 가지고 있는 복수 개의 스템들에 대한 정보가 오디오 블록들을 표현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특정 오디오 블록을 클릭한 경우 그 에 따른 오디오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버전(SONG 1)의 베이스(BASS)에 해당하는 오디오 블록(13)을 클릭하는 경우, 실행된 오디오의 제2버전을 기준으로 베이스만 추출된 오디오가 출력되며, 제6버전(SONG 2)의 베이스(MELODY)에 해당하는 오디오 블록(14)을 클릭하는 경우, 실행된 오디오의 제6버전을 기준으로 멜로디만 추출된 오디오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실행된 오디오의 버전을 6개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실행된 오디오의 특성에 따라 오디오 블록 화면(10)에 표시되는 오디오 버전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으며, 오디오 블록 화면(10)에 표시되는 스템의 종류 또한 도면에 표시된 바와 다른 개수로 화면에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특정 오디오 블록들을 클릭한 경우, 클릭된 오디오 블록들은 클릭되지 않은 다른 오디오 블록들과 구분될 수 있도록 음영 처리가 될 수 있으며, 오디오 믹싱 화면(100)에는 클릭된 오디오 블록이 가지고 있는 오디오에 대한 특성이 표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와 도 6의 왼쪽 아래에 표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블록들이 가지고 있는 블록들의 파형 정보 화면(30) 또는 음량 정보 화면(30)이 시각적으로 생성되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현재 클릭한 오디오 블록이 가지고 있는 오디오 파형에 대한 정보 및 음량 정보를 알 수 있어, 보다 사용자의 기호에 맞춘 오디오 믹싱이 가능하다.
한편, 오디오는 일반적으로 시간의 순서에 따라 진행되기 때문에, 구간별 특징에 따라 여러 구간으로 나누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구간을 세션(session)으로 정의하고, 이렇게 복수 개로 구분된 세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세션 블록 화면(20)이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믹싱 화면(100)의 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나의 오디오가 4개의 세션으로 구분된 경우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세션 구간 이름이 A, B, C, D 4개로 나뉘어 표시될 수 있고(도면부호 23참고), 각각의 세션은 오디오의 특성상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무늬를 가지고 있는 4개의 직육면체로 표시될 수 있다.(도면부호 22참고).
한편, 도면에서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현재 사용자가 믹싱하고 있는 오디오의 특정 세션은 도면 부호 23에 음영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현재 오디오가 재생 중이라면, 재생 바(bar,21)가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오디오 전체 중 어느 세션의 어느 부분에 대해 믹싱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또한, 사용자는 세션 블록 화면(20)에 표시되어 있는 세션 블록 추가(25) 아이콘을 클릭하여 새로운 세션을 추가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세션 블록 추가(25) 아이콘을 클릭하면 세션의 정보들이 요약되어 표시되는 세션 정보 화면(24)이 표시될 수 있다. 세션 정보 화면(24)에는 현재 재생되는 세션의 종류와, 각각의 세션의 재생 시간을 알 수 있는 재생 시간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실행되는 오디오는 버전의 특징에 따라 도면에 도시된 6개의 스템 중 일부 스템만 가지고 있는 오디오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특정 오디오를 실행하였는데, 실행된 오디오의 여러 버전들이 특정 스템들에 대한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도 7에 표시된 바와 같이 해당 버전이 가지고 있는 스템에 대응되는 오디오 블록만이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행된 오디오의 다양한 버전들이 가지고 있는 스템 정보에 대해 한 눈에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사용자는 지금까지 설명한, 오디오 블록 화면(10), 세션 블록 화면(20) 및 파형 정보 화면(30) 등을 이용하여 본인의 취향에 맞게 오디오를 믹싱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여러 오디오 블록들을 클릭을 통해ON/OFF를 하면서 본인에게 맞는 오디오 블록만을 ON 시켜 놓는 방식으로 믹싱된 오디오를 생성할 수 있다. 믹싱된 오디오는 전체 오디오에서 특정 세션에 대해서만 믹싱된 세션 오디오로 생성될 수 있고, 오디오 전체 세션에 대해 믹싱된 믹싱 오디오로 생성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는 세션 블록 화면(20)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세션의 재생 시간, 종류 및 배열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8에 표시된 바와 같이 세션 블록 화면(20)에 표시되어 있는 세션의 구간 이름(도면 부호 23참조, 도 7에서는A, B, C, D)을 클릭한 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세션의 성질이 표시되는 직육면체를 클릭한 후 원하는 세션의 위치로 이동하는 방법으로 세션의 재생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도 5과 도 8을 비교하면, 도 8에서는 세션 C와 세션 D의 순서를 변경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커스텀 오디오를 직접 업로드 한 후, 업로드한 오디오를 믹싱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의 목소리나 악기를 녹음한 후, 업로드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직접 블록을 선택하고, 선택된 블록들에 기초한 음악을 들을 수 있지만,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100)가 랜덤하게 선택한 블록들을 기초로 생성된 오디오를 들을 수 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랜덤 믹싱 아이콘(40)을 클릭하면, 오디오 블록 화면(10)에서 블록들이 랜덤하게 선택되고, 랜덤하게 선택된 블록들에 기초하여 생성된 오디오가 출력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블록이 선택되든, 랜덤적으로 블록이 선택되든, 최종적으로 블록들의 선택이 완료되었으면, 선택된 블록들에 기초하여 오디오가 생성되고, 이렇게 생성된 오디오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터페이스로 재생이 될 수 있다. 도 10에서의 왼쪽 화면은 현재 재생중인 믹싱 오디오에 대한 시간 정보 등이 표시되는 화면이다.
도 10에서는 18초 구간에서의 오디오 블록 화면이 표시된 것이기 때문에, 만약 1분 10초 구간이 현재 18초 구간과 다른 세션인 구간이라면, 오디오 블록 화면에 표시되는 선택된 오디오 블록들은 도 10에 표시된 경우와 다르게 선택되어 표시될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현재 전체 오디오에서 어느 부분이 재생되고 있으며, 그 부분은 어떠한 오디오 블록들이 결합되어 있는지에 대해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믹싱이 완료된 오디오 파일은, NFT(Non Fungible Token)로 발행된 후,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에 제공되어, 스트리밍 서비스에 활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레이 리스트 생성 모듈이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여 플레이 리스트를 생성하는 2가지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된 자동 믹싱 방법에 의해 다양한 스타일의 오디오가 생성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 리스트 생성 모듈(240)은 최종적으로 선택된 최종 블록을 기준으로 이와 유사한 블록 및 팩/섹션을 선택하여 플레이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는데, 최종 블록이 생성되는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방법과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되어 자동으로 선택되는 방법 2가지가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최종 블록이 선택되는 방법은 도 11의 S110, S120 및 S130에 따른 방법으로, 사용자가 직접 블록을 선택 한 후(S110), 선택된 블록에 따른 오디오를 청취하여 재생되는 오디오의 느낌이나 스타일을 파악한 후(S120),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선택한 블록들이 최종 블록으로 선택될 수 있다.(S130)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도 4 내지 도9에서 설명하였던 방법에 기초하여 특정 블록들을 선택하면, 사용자는 선택된 블록에 기초한 오디오를 청취한 후, 블록을 재선택할지 현재 선택된 블록을 최종 블록으로 선택할지 결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에 의해 블록들이 최종 선택 되면 플레이 리스트 생성 모듈(240)은 블록 선택 단계(S100)를 종료하고 다음 단계인 블록 유사도 선택 단계(S200)을 진행하게 된다.
만약,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된 자동 믹싱 방법을 선택하였다면, 플레이 리스트 생성 모듈(240)은 사용자로부터 오디오의 느낌이나 스타일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태그 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한 태그 정보를 기초로 자동적으로 최종 블록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비가 오고 있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비 오는 분위기를 태그로 선택하였다면, 플레이 리스트 생성 모듈(240)은 비 오는 분위기와 어울리는 스타일의 오디오가 출력될 수 있도록 최종 블록을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드라이브에 관한 태그 정보를 수신 받았다면, 드라이브 분위기와 어울리는 스타일의 오디오가 출력될 수 있도록 최종 블록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파티와 관련된 태그 정보를 수신한 경우, 플레이 리스트 생성 모듈(240)은 파티 분위기와 어울리는 스타일의 오디오가 출력될 수 있도록 최종 블록을 선택할 수 있고. 이렇게 선택된 최종 블록에 기초하여 플레이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2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태그 정보를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200)로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와 반대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200)가 현재 사용자의 위치 정보,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 사용자의 인적 정보 및 날씨 정보 등을 기초로 현재 상황에 적합한 태그 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최종 블록을 자동적으로 선택할 수 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 사용자가 특정 블록들을 선택한 후, 도 13에 도시되어 AI DJ 바(60)를 ON으로 활성화 시키면, 플레이 리스트 생성 모듈(240)은 사용자가 선택한 블록들을 기초로 하여 이와 유사한 느낌을 가지는 오디오들을 플레이 리스트로 생성할 수 있다. 플레이 리스트 생성 모듈(240)은 플레이 리스트를 생성함에 있어서, 선택된 블록들을 기초로 유사 블록 및 유사 팩/섹션을 선택하고(S200 및 S300) 이를 기초로 하여 플레이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통해 플레이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한다.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공지능 플레이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구체적으로 도 14는 스템을 기준으로 한 인공지능 플레이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팩을 기준으로 한 인공지능 플레이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플레이 리스트 생성 모듈(240)은 인공지능 플레이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는데, 인공지능 플레이 리스트가 생성되면 오디오가 끊기지 않고 계속해서 다른 버전으로 재구성되거나 다른 곡으로 자연스럽게 계속 재생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플레이 리스트 생성 모듈(240)은 오디오 특징 추출 및 오토 태킹(auto tagging) 기술을 활용하여 현재 재생되는 오디오의 스템 및 특징 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스템 또는 팩을 구체적으로 분석한 후, 다음에 연주될 스템 또는 팩 선택하고, 선택된 스템 또는 팩을 기초로 다음으로 재생될 오디오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플레이 리스트 생성 모듈(240)은 플레이 리스트를 생성함에 있어서 노래와 노래 사이 연결 부분에서 노래가 자연스럽게 연결 될 수 있도록, 다양한 디제잉 기법(Fader, EQ, reverb, echo)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여, 스템을 기준으로 한 플레이 리스트 생성 방법을 설명하면, 현재 PACK 1의 세션 A가 재생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플레이 리스트 생성 모듈(240)은 세션 A의 여러 스템 중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하나의 스템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기준은 여러 기준으로 정해질 수 있는데, 일 예로 재생되는 오디오에서 가장 큰 특징이 발현되는 스템일 수 도 있고, 사용자가 여러 스템 중에서 평소에 가장 관심있어 하는 스템일 수 도 있으며, 랜덤하게 선택된 스템일 수 도 있으며, 유사한 스템을 선택하는 방법은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여 스템 별로 임베딩 벡터를 생성한 후, 생성된 임베딩 벡터를 기준으로 유사 스템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예로, 플레이 리스트 생성 모듈(240)이 제2스템(S2)을 선택하였다고 하면, 플레이 리스트 생성 모듈(240)은 세션 B에서는 세션 A의 제2스템(S2)과 비슷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스템을 세션 B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세션에서는 제5스템(S5)을 선택하였다면, 제5스템(S5)을 기준으로 계속해서 세션 C의 스템을 비교 및 분석하여 다음 세션을 구성할 스템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계속 플레이 리스트를 생성해 내갈 수 있다.
만약, 스템을 비교 분석해가는데, 특정 오디오 블록이 선택되지 않은 스템의 경우에는 계속해서 선택되지 않을 수 있으며, 플레이 리스트를 생성함에 있어서, 반복적인 스템 선택으로 발생할 수 있는 오디오 구성의 단조로움을 피할 수 있도록 어느 정도 무작위적인 선택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도 15를 참조하여, 팩(PACK) 기준으로 한 플레이 리스트 생성 방법을 설명하면, 현재 PACK 1이 재생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플레이 리스트 생성 모듈(240)은 PACK 1에서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와 특징이 비슷한 팩을 선택하고, 선택된 팩 내에서도 현재 PACK 1에서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와 특징이 비슷한 팩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PACK 1과 유사한 팩으로 PACK 1의 다음 팩인 PACK 2가 아닌 PACK 3이 선택될 수 있으며, PACK 3의 다음 팩으로 PACK 6이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유사한 팩을 선택하는 기준은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되어 선택될 수 있는데, 일 예로 현재 재생 중인 팩의 섹션들의 모든 블록들의 평균 임베딩을 산출한 후, 산출된 평균 임베딩을 기초로 다른 팩의 평균 임베딩과 비교하여 유사한 팩을 선택할 수 있다. 팩이 선택되면, 팩 내에서의 블록은 S200 단계에서 선택된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 선택될 수 있다.
팩이 전환될 때에는 현재 재생되고 있는 팩이 모두 종료된 후에 다음 연결될 팩의 첫 섹션부터 시작될 수 있으나, 다음 연결된 팩의 중간 세션부터 시작될 수 도 있다.
한편, 팩의 전환은 항상 재생이 모두 완료된 후에 이어지는 것은 아니고 현재 재생중인 팩의 클라이막스 부분에서 고조된 뒤, 다음 재생될 팩의 클라이막스 부분으로 바로 연결되는 방법으로 팩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팩이 전환될 때 팩 사이 전환 부분에서는 자연스러운 연결을 위해 다양한 디제잉 기법(Fader, EQ, reverb, echo)등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사용자가 직접 오디오를 믹싱하지 않아도 랜덤하게 믹싱된 여러 버전에 대한 오디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는 보다 손쉽게 자신이 원하는 스타일의 오디오를 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도 16은 본 발명이 적용되어 구현된 실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이 적용되어 구현된 믹싱 오디오 재생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고하면, 믹싱된 오디오가 스트리밍 서비스에 의해 재생되는 경우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도 16의 왼쪽 화면처럼 해당 오디오의 커버 이미지만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오디오 커버를 클릭한 경우 재생되는 오디오의 현재 구간에서의 오디오 블록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오디오 블록 화면이 도 16의 오른쪽 화면과 같이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현재 재생되는 오디오의 블록 정보를 직관적으로 한번에 알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오디오 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오디오 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는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취향의 오디오를 능동적으로 믹싱하고 제작할 수 있어, 보다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오디오 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는 현재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의 스템을 분석하여 이와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스템을 포함하는 오디오를 자연스럽게 플레이 리스트에 추가함으로써, 보다 사용자의 취향에 어울리는 다양한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200: 프로세서
210: 통신 모듈
220: 오디오 믹싱 화면 생성 모듈
230: 믹싱 오디오 생성 모듈
240: 플레이 리스트 생성 모듈
300: 메모리 모듈

Claims (9)

  1. 프로세서를 통한 사용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오디오 믹싱(mixing)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믹싱될 오디오가 실행된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오디오에 대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디오 버전에 대해 각각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템(stem) 항목에 대응되는 오디오 블록(block)이 표시되는 오디오 블록 화면을 포함하는 오디오 믹싱 화면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오디오 믹싱 화면 표시 단계;
    상기 오디오 믹싱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오디오 블록 중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선택 블록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선택 블록을 상기 오디오 블록들과 다른 음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오디오 블록 선택 단계;
    상기 사용자의 상기 오디오 블록의 선택이 완료된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선택 블록에 포함되어 있는 오디오 정보를 결합하여 하나의 세션(session) 오디오로 생성하는 오디오 세션 생성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믹싱 화면 표시 단계는,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오디오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복수 개의 세션으로 나눈 후, 상기 복수 개의 세션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세션 블록을 포함하는 세션 블록 화면을 상기 오디오 믹싱 화면에 표시하는 세션 블록 화면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오디오 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 항목은,
    상기 오디오의 리듬(Rhythm) 스템, 베이스(Bass) 스템, 미드(Mid) 스템, 하이(High) 스템, FX 스템 및 멜로디(Melody) 스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오디오 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믹싱 화면 표시 단계는,
    상기 오디오 블록 중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선택 블록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선택 블록에 대응되는 오디오 정보를 파형 정보로 생성한 후, 상기 파형 정보를 상기 오디오 믹싱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수 개의 오디오 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복수 개의 세션 블록 중 현재 선택되어 있는 세션 블록을 제외한 다른 세션 블록을 선택한 경우, 선택한 다른 세션 블록에 대응되는 오디오 블록 화면을 상기 오디오 믹싱 화면에 새롭게 표시하는 믹싱 화면 변경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수 개의 오디오 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블록 화면 표시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세션의 길이, 종류 및 배열 순서가 변경되어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수 개의 오디오 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블록 화면 표시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랜덤 믹스 아이콘을 클릭한 경우, 상기 오디오 믹싱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오디오 블록 중 랜덤으로 오디오 블록들을 선택하여 선택 블록을 생성한 후, 상기 선택 블록이 상기 오디오 블록들과 다른 음영으로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오디오 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8. 사용자에 의해 믹싱될 오디오가 실행된 경우, 상기 오디오에 대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디오 버전에 대해 각각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템(stem) 항목에 대응되는 오디오 블록(block)이 표시되는 오디오 블록 화면을 포함하는 오디오 믹싱 화면을 사용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오디오 믹싱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오디오 블록 중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선택 블록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선택 블록을 상기 오디오 블록들과 다른 음영으로 표시하는 오디오 믹싱 화면 생성 모듈;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오디오 블록의 선택이 완료된 경우, 상기 선택 블록에 포함되어 있는 오디오 정보를 결합하여 하나의 세션(session) 오디오로 생성하는 믹싱 오디오 생성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믹싱 화면 생성 모듈은,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오디오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복수 개의 세션으로 나눈 후, 상기 복수 개의 세션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세션 블록을 포함하는 세션 블록 화면을 상기 오디오 믹싱 화면에 표시하는,
    복수 개의 오디오 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9. 사용자에 의해 믹싱될 오디오가 실행된 경우, 상기 오디오에 대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디오 버전에 대해 각각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템(stem) 항목에 대응되는 오디오 블록(block)이 표시되는 오디오 블록 화면을 포함하는 오디오 믹싱 화면을 사용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오디오 믹싱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오디오 블록 중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선택 블록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선택 블록을 상기 오디오 블록들과 다른 음영으로 표시하는 오디오 믹싱 화면 생성 모듈;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오디오 블록의 선택이 완료된 경우, 상기 선택 블록에 포함되어 있는 오디오 정보를 결합하여 하나의 세션(session) 오디오로 생성하는 믹싱 오디오 생성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믹싱 화면 생성 모듈은,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오디오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복수 개의 세션으로 나눈 후, 상기 복수 개의 세션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세션 블록을 포함하는 세션 블록 화면을 상기 오디오 믹싱 화면에 표시하는,
    복수 개의 오디오 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서버.
KR1020220120327A 2022-09-22 2022-09-22 복수 개의 오디오 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34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327A KR102534870B1 (ko) 2022-09-22 2022-09-22 복수 개의 오디오 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230061643A KR102643081B1 (ko) 2022-09-22 2023-05-12 실시간 통신을 이용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및 플레이리스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8/470,736 US20240103796A1 (en) 2022-09-22 2023-09-20 Method and audio mixing interface providing device using a plurality of audio ste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327A KR102534870B1 (ko) 2022-09-22 2022-09-22 복수 개의 오디오 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1643A Division KR102643081B1 (ko) 2022-09-22 2023-05-12 실시간 통신을 이용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및 플레이리스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4870B1 true KR102534870B1 (ko) 2023-05-26
KR102534870B9 KR102534870B9 (ko) 2023-08-04

Family

ID=865367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0327A KR102534870B1 (ko) 2022-09-22 2022-09-22 복수 개의 오디오 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230061643A KR102643081B1 (ko) 2022-09-22 2023-05-12 실시간 통신을 이용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및 플레이리스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1643A KR102643081B1 (ko) 2022-09-22 2023-05-12 실시간 통신을 이용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및 플레이리스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40103796A1 (ko)
KR (2) KR10253487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2821A (ja) * 1993-09-13 1997-03-18 タリジェ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オブジェクト指向オーディオ・システム
JP2005269492A (ja) * 2004-03-22 2005-09-29 Yamaha Corp ミキシング装置
KR20100121994A (ko) * 2009-05-11 2010-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악기 연주 방법 및 장치
JP2011516907A (ja) * 2008-02-20 2011-05-26 オーイーエム インコーポレーティッド 音楽の学習及びミキシングシステム
KR20150084133A (ko) 2014-01-13 2015-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96555B1 (ko) 2015-10-06 2017-02-02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또는 지리 정보에서 음성 인식을 통한 텍스트 위치 탐색 시스템 및 그 방법
JP6693569B2 (ja) * 2016-09-28 2020-05-13 ヤマハ株式会社 ミキサ、ミキサ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38819A1 (en) * 2000-04-21 2005-02-17 Hicken Wendell T. Music Recommendation system and method
KR20080082022A (ko) * 2006-12-27 2008-09-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음악 특성 기반 유사도 측정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이용한 음악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0027509A1 (en) * 2008-09-05 2010-03-11 Sourcetone, Llc Music classification system and method
WO2012019637A1 (en) * 2010-08-09 2012-02-16 Jadhav, Shubhangi Mahadeo Visual music playlist creation and visual music track exploration
EP2485213A1 (en) * 2011-02-03 2012-08-0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Semantic audio track mixer
KR101142244B1 (ko) * 2011-08-02 2012-05-21 주식회사 제이디사운드 사용자 취향에 따른 자동선곡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2821A (ja) * 1993-09-13 1997-03-18 タリジェ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オブジェクト指向オーディオ・システム
JP2005269492A (ja) * 2004-03-22 2005-09-29 Yamaha Corp ミキシング装置
JP2011516907A (ja) * 2008-02-20 2011-05-26 オーイーエム インコーポレーティッド 音楽の学習及びミキシングシステム
KR20100121994A (ko) * 2009-05-11 2010-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악기 연주 방법 및 장치
KR20150084133A (ko) 2014-01-13 2015-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96555B1 (ko) 2015-10-06 2017-02-02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또는 지리 정보에서 음성 인식을 통한 텍스트 위치 탐색 시스템 및 그 방법
JP6693569B2 (ja) * 2016-09-28 2020-05-13 ヤマハ株式会社 ミキサ、ミキサ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emixlive for Mac/PC FAQ. Mixvibes. 2017.* *
Remixlive USER’S GUIDE. Mixvibes. 202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3081B1 (ko) 2024-03-04
US20240103796A1 (en) 2024-03-28
KR102534870B9 (ko) 2023-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56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bining a song and non-song musical content
EP086565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vely creating new arrangements for musical compositions
US7956276B2 (en) Method of distributing mashup data, mashup method, server apparatus for mashup data, and mashup apparatus
US9459828B2 (en) Musically contextual audio advertisements
US20140157970A1 (en) Mobile Music Remixing
JP2019133181A (ja) オーディオ・ファイルを生成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7241652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CA2722584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distributing alternate versions of content
US11169767B2 (en) Automatically generated media preview
CN102163220B (zh) 歌曲过渡元数据
US2014012260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534870B1 (ko) 복수 개의 오디오 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03255956A (ja) 音楽提供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音楽制作システム
KR102608935B1 (ko) 사용자 정보에 기초한 실시간 오디오 믹싱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Turner et al. Is Binaural Spatialization the Future of Hip-Hop?
Mason et al. Music information retrieval in broadcasting: Some visual applications
KR20180034718A (ko) 마인드맵을 활용한 뮤직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JP583451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3276279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CN117075772A (zh) 多媒体内容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230159364A (ko) 오디오 편곡 생성 및 믹싱
KR20180036687A (ko) 마인드맵을 활용한 뮤직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KR20240011006A (ko) 플랫폼을 활용한 온택 버스킹 프로그램개발
CN117524179A (zh) 歌曲节拍数据的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Mason et al. Research White Pa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