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2244B1 - 사용자 취향에 따른 자동선곡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취향에 따른 자동선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2244B1
KR101142244B1 KR1020110076818A KR20110076818A KR101142244B1 KR 101142244 B1 KR101142244 B1 KR 101142244B1 KR 1020110076818 A KR1020110076818 A KR 1020110076818A KR 20110076818 A KR20110076818 A KR 20110076818A KR 101142244 B1 KR101142244 B1 KR 101142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usic
music file
information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6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디사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디사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디사운드
Priority to KR1020110076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2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244B1/ko
Priority to PCT/KR2012/006087 priority patent/WO2013019057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8Cross-fader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취향정보를 통해 이와 유사한 패턴 정보를 가지는 곡으로 리스트를 생성하는 자동선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펙트럼 분석기를 통해 음악파일을 취향 또는 느낌을 기준으로 분석하여 패턴정보를 생성함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음악파일과 유사한 곡을 추출하여 리스트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음악 청취시 편의성과 충족감을 극대화하며, 리스트 생성시 유사도 순위를 적절하게 혼합하여 링 타입형태로 생성함에 따라 반복 재생시 전체 곡 간의 취향 또는 느낌 등의 패턴 변화 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사용자 취향에 따른 자동선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음악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음악파일을 스펙트럼 분석하여 설정 조건에 따라 취향 또는 느낌을 기준으로 패턴 분류를 수행하는 스펙트럼 분석기와,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에 의해 상기 취향 또는 느낌을 기준으로 분류된 음악파일별로 하나 이상의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여 이를 저장하는 리스트 분류기와, 사용자의 취향 또는 느낌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자가 특정하는 음악파일정보를 입력받거나 사용자의 취향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입력부와,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 특정 음악파일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스펙트럼 분석기를 통해 패턴정보를 생성하여 리스트 분류기의 재생 리스트 중 이와 가장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는 리스트를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선택된 리스트 정보를 출력하여 재생여부를 입력받거나 상기 생성된 패턴정보에 따라 메모리부에 저장된 음악파일 중 스펙트럼 분석기를 통해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는 하나 이상의 음악파일을 추출하여 리스트를 생성한 후 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재생여부를 입력받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사용자 취향에 따른 자동선곡장치{Automatic Song Selection Device According to User Preferences}
본 발명은 사용자의 취향정보를 통해 이와 유사한 패턴 정보를 가지는 곡으로 리스트를 생성하는 자동선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펙트럼 분석기를 통해 음악파일을 취향 또는 느낌을 기준으로 분석하여 패턴정보를 생성함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음악파일과 유사한 곡을 추출하여 리스트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음악 청취시 편의성과 충족감을 극대화하며, 리스트 생성시 유사도 순위를 적절하게 혼합하여 링 타입형태로 생성함에 따라 반복 재생시 전체 곡 간의 취향 또는 느낌 등의 패턴 변화 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사용자 취향에 따른 자동선곡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종류가 많아지고 멀티미디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어떤 음악을 어떻게 골라 들을 것인가의 문제가 이슈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분류하기 위한 Description방법이 MPEG-7 표준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휴대용 음악 재생기, MP3 플레이어 또는 PC(Personal Computer)등과 같은 단말기의 경우, 상기 단말기들을 이용하여 음악을 청취하는 사용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단말기의 저장 용량이 많아지면서 수많은 컨텐츠들 중에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을 선택하여 듣는 것이 중요해 지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을 그 취향에 따라 선곡하여 리스트를 제공하여 주는 다양한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음악 선곡 서비스는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제공된다. 하나는 사용자의 취향을 입력받아 그 기준에 맞는 음악들을 자동으로 선곡하여 재생 리스트를 만드는 방법이다. 단말기의 저장부에 저장된 음악에 대한 자료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취향 기준을 단말기의 입력부에 입력하여 그 기준에 맞는 음악들을 자동으로 선곡할 수 있다.
단말기는 저장되어 있는 음악 중 사용자의 취향 기준에 맞는 음악들을 자동으로 선곡한다. 이때 입력부에 입력하는 사용자의 취향 기준은 곡의 곡명, 작곡자, 음반명이 될 수 있으며, 해당 곡에 이러한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빠르기, 분위기 또는 장르 등이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으로 선곡된 음악들을 리스트로 작성하고, 작성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게 하여 음악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방법으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음악의 취향을 단말기의 입력부에 명확하게 입력할 경우, 취향에 맞는 음악을 자동으로 선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음악 샘플을 선택하면 이를 통해 사용자의 취향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음악을 자동으로 선곡하여 재생 리스트를 만드는 방법이다.
이 경우 단말기는 사용자의 취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수의 음악 샘플을 생성한다. 음악 샘플은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음악 중 임의로 선택하여 샘플로 사용되어 질 수 있고, 장르나 빠르기 별로 구분되어 샘플로 사용되어 질 수도 있다.
사용자는 음악 샘플을 청취면서 현재 듣고 있는 음악이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취향이라는 판단이 들면, 곡이 출력되고 있는 동안에 단말기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곡임을 선택한다.
이에 따라 단말기는 사용자가 선택한 곡을 통해 사용자의 취향 정보를 분석한 후, 분석한 취향 기준에 맞는 음악들을 자동으로 선곡하고, 선곡된 음악들을 리스트로 작성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다. 상기의 방법으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음악의 취향을 단말기의 입력부에 명확하게 입력하지 않고, 샘플의 선택만으로 취향에 맞는 음악을 자동으로 선곡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의 두 가지 음악 자동선곡장치는 단순히 사용자의 취향 정보와 유사한 음악을 선곡하여 재생 리스트로 사용자에게 제공, 출력되도록 함에 따라 패턴 분석 정확도가 담보되지 않는 상황하에서는 곡 간의 연속성은 물론 유사순위 중 가장 유사한 곡과 가장 유사함이 낮은 곡 간에 패턴 편차가 심해 리스트의 반복 재생시 사용자의 만족감을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재생 리스트 생성시 선곡된 음악파일 간의 전체적인 패턴 연속성을 향상시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은 물론 만족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자동선곡장치의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취향정보 또는 음악파일정보를 통해 메모리부에 저장된 전체 곡 중 취향 또는 느낌이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는 특정 수의 음악파일을 추출하여 반복 재생을 위한 링 타입의 재생리스트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적합한 음악파일을 자동 선곡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과 충족감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링 타입의 재생리스트 생성시 곡 배치 순서를 적절하게 혼합 배치함으로써 반복 재생시 전체 곡 간의 취향 또는 느낌 등의 패턴 변화 폭을 최소화하며, 연속적으로 재생되는 곡 간에 크로스페이더, 비트박스 및 서라운드이펙터를 통해 크로스페이딩, 비트리프, 효과음이 믹싱되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두 곡 간의 자연스러운 연결성 및 연속성을 증대시키는 사용자 취향에 따른 자동선곡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다수의 음악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음악파일을 스펙트럼 분석하여 설정 조건에 따라 취향 또는 느낌을 기준으로 따라 패턴 분류를 수행하는 스펙트럼 분석기와,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에 의해 상기 취향 또는 느낌을 기준으로 분류된 음악파일별로 하나 이상의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여 이를 저장하는 리스트 분류기와, 사용자의 취향 또는 느낌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자가 특정하는 음악파일정보를 입력받거나 사용자의 취향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입력부와,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 특정 음악파일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스펙트럼 분석기를 통해 패턴정보를 생성하여 리스트 분류기의 재생 리스트 중 이와 가장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는 리스트를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선택된 리스트 정보를 출력하여 재생여부를 입력받거나 상기 생성된 패턴정보에 따라 메모리부에 저장된 음악파일 중 스펙트럼 분석기를 통해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는 하나 이상의 음악파일을 추출하여 리스트를 생성한 후 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재생여부를 입력받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리스트를 반복 재생이 가능한 링타입의 재생 리스트로 변환하되 상기 링타입의 재생 리스트의 배치 순서는 사용자의 패턴 정보에 따른 유사도 순위를 생성한 다음 반복 재생시 유사도 순위의 처음 음악파일과 최종 음악파일 간의 패턴 격차를 감소시키기 위해 전체 음악파일이 2n개의 곡으로 구성될 경우 링타입의 재생 리스트 배치 순서는 1, 3, ..., 2n-1, 2n, 2n-2, ...., 4, 2의 순서로 배치되고, 2n-1개의 곡으로 구성될 경우 1, 3, ..., 2n-1, 2n-2, 2n-4, ...., 4, 2의 순서로 배치하는 링리스트 생성기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자동선곡장치는 상기 제어부의 링리스트 생성기에 의해 재생이 이루어지는 경우 이웃하는 음악파일 간에 크로스 페이딩을 수행하는 크로스페이더가 더 포함되며, 상기 크로스페이더는 재생할 음악파일을 연속적으로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음악파일을 전달받아 음악파일의 초당 샘플링 데이터 개수를 특정 비율로 확장하는 타임스트레쳐부와, 상기 타임스트레쳐부로부터 샘플링 데이터를 전달받아 이를 일시 저장하는 피시엠버퍼와, 상기 피시엠버퍼로부터 샘플링 데이터를 전달받는 믹서와, 상기 믹서로부터 전달받은 샘플링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타임스트레쳐부로 전달되는 음악파일의 종료신호를 감지하는 종료디텍터와, 상기 입력부와 타임스트레쳐부 사이에 설치되어 종료디텍터로부터 종료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이후 입력되는 음악파일을 특정 시간동안 믹서로 바이패스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입력부, 타임스트레쳐부, 피시엠버퍼, 종료디텍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어느 하나의 음악파일의 종료시점에 해당 음악파일과 이에 연속되어 입력되는 음악파일이 믹서를 통해 특정 시간동안 크로스 페이딩되도록 하며 특정 시간이 경과되어 상기 해당 음원데이터가 종료되면 스위칭부에 의해 바이패스시킨 음악파일을 타임스트레쳐부로 전달하여 음악파일이 출력되도록 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자동선곡장치는 상기 크로스 페이더를 통한 크로스 페이딩 수행시에 연속되는 두 음악파일 간에 연결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크로스 페이딩 수행 구간 동안 미리 저장된 다수의 비트 리프 중 곡과 곡 사이에, 상기 두 곡과 가장 패턴 정보가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는 비트 리프를 선택하여 크로스 페이딩 수행 구간에 믹싱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비트박스와, 크로스 페이딩 수행 구간 동안 미리 저장된 배경 효과음 중 곡과 곡 사이에, 상기 두 곡과 가장 패턴 정보가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는 배경 효과음을 선택하여 크로스 페이딩 수행 구간에 믹싱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서라운드이펙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는 패턴 분류를 위한 패턴 정보 생성시 분해된 주파수 정보를 통해 비트 성분, 코드 성분, 악기 성분, 보컬 성분별로 특성을 분석하되, 상기 각 특성정보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가중치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는 상기 가중치에 따른 특성 정보를 취합하여 패턴 정보의 유사도 판단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취향정보 또는 음악파일정보를 스펙트럼 분석기로 패턴분석하여 이와 유사한 일정 개수의 음악파일을 자동선곡함에 따라 재생 리스트 사용자가 별도로 지정하지 않아도 되는 편의성을 부여하고, 링 타입의 재생 리스트 생성시 곡 배치 순서를 적절하게 혼합 배치함으로써 반복 재생시 전체 곡 간의 취향 또는 느낌 등의 패턴 변화 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크로스페이더, 비트박스 및 서라운드이펙터를 통해 연속적으로 재생되는 두 곡 간의 자연스러운 연결성 및 연속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선곡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페이더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링타입의 재생 리스트 생성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선곡장치에 대해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선곡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페이더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선곡장치는 메모리부(10), 스펙트럼 분석기(20), 리스트 분류기(30), 사용자입력부(40), 크로스페이더(50), 비트박스(60), 서라운드이펙터(70), 제어부(8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부(10)에는 사용자가 재생을 위해 음악파일을 저장하기 위해 마련되며, 이러한 메모리부(10)에는 음악파일은 물론 후술할 비트박스(60), 서라운드이펙트(70)에 전송하여 곡 재생시 크로스 페이딩 구간 내에 믹싱되는 비트 리프 또는 효과음 데이터 또한 함께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20)는 상기 메모리부(10)에 저장된 음악파일을 스펙트럼 분석하여 취향 또는 느낌을 기준으로 설정 조건에 따라 패턴 분류를 수행하도록 구비되는데, 이러한 스펙트럼 분석기(20)는 패턴 분류를 위한 패턴 정보 생성시 분해된 주파수 정보를 통해 비트 성분, 코드 성분, 악기 성분, 보컬 성분별로 특성을 분석하여 패턴 정보의 유사도 판단을 수행한다.
이러한 스펙트럼 분석기(20)에는 각각 비트 성분, 코드 성분, 악기 성분, 보컬 성분별로 특성 정보를 분석하기 위해 비트수계산기(BPM Calculator; 21), 코드추출기(Chord Extractor; 22), 악기정보추출기(Instrument Extractor; 23), 보이스추출기(Vocal Extractor; 24)가 구비된다.
상기 비트수계산기(21)는 스펙트럼 분석기(20)를 통해 주파수 분해정보가 생성되면 주파수 진폭 변화 패턴으로 분당 비트수를 추출하여 곡의 빠르기 또는 곡의 비트 패턴을 통한 장르 분석에 이용될 수 있으며, 코드추출기(22)는 주파수 분해정보를 통해 음악파일의 음계, 화음 정보를 추출하여 어느 구간이 어느 코드를 가지는지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악기정보추출기(23)는 악기별 특정 주파수 패턴 정보를 미리 저장한 후 스펙트럼 분석기(20)에 의해 주파수 분해정보가 생성되면 어느 악기의 주파수 패턴 정보인지 판단하여 최종적으로 악기 성분을 생성하며, 보이스추출기(24)는 음악파일을 부르는 가수의 음색의 특성을 분석하여 가성, 진성, 허스키, 미성 등의 형태로 분류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각 성분별로 분석된 특성 정보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설정 조건 등에 따라 성분별 가중치를 부여하여 전체적으로 유사도를 판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사용자가 곡의 빠르기를 가중치 70%로 설정하고 코드, 악기, 보컬 성분을 각각 10%로 설정하였다면, 스펙트럼 분석기(20)에서는 곡의 빠르기를 위주로 코드 성분이나 악기 성분 및 보컬 성분이 유사하지 않더라도 전체적으로 유사한 곡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가중치는 후술할 사용자입력부(40)를 통해 입력받아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설정 조건은 제어부(80) 또는 스펙트럼 분석기(20)에 저장되어 유사도 판단시 활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스트 분류기(30)는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20)에 의해 취향 또는 느낌별로 하나 이상의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여 이를 저장하도록 마련되는데, 예를 들면 곡 빠르기가 느린 곡, 보통 곡, 빠른 곡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재생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으며, 빠르기 외에 코드, 악기, 보컬 특성을 취합하여 특정 느낌을 기준으로 재생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분류된 재생 리스트들은 추후 사용자가 특정한 음악파일정보 또는 취향정보를 분석한 후 이와 가장 유사한 재생 리스트를 검색하여 선택하면 별도로 메모리부(10)에 저장된 전체 음악파일을 사용자의 특정 음악파일 또는 취향정보 입력이 있을 때마다 분석하여 리스트를 생성하는 시간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사용자입력부(40)는 사용자의 취향 또는 느낌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자가 특정하는 음악파일정보를 입력받거나 사용자의 취향정보를 입력받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음악파일정보의 경우 사용자가 메모리부(10)에 저장된 전체 음악파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으로 특정되어 입력되는 것이며, 상기 취향정보의 경우 사용자가 "슬픈 발라드", "경쾌한 댄스곡" 등 취향이나 느낌을 알 수 있는 텍스트 형태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으로 특정된다.
이때 음악파일정보는 스펙트럼 분석기(20)를 통해 사용자의 취향 패턴 정보를 생성하며, 취향정보의 경우 후술할 제어부(80)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인식하여 미리 저장된 다수의 취향정보 예시항목들 중 가장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는 항목을 선택하여 해당 항목에 대응되는 재생 리스트를 리스트 분류기(3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입력부(40)를 통해 터치스크린 방식 또는 키패드 방식 등을 통해 사용자의 입력정보를 전달받으며, 이외에도 유사도 판단시 빠르기, 코드, 악기, 보컬 성분 중 특정 성분만을 기준으로 한다든가, 가중치를 별도로 특정하여 유사도 판단을 수행하는 등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판단 기준을 설정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재생 리스트에 대한 출력 여부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80)는 상기 사용자입력부(40)로부터 특정 음악파일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스펙트럼 분석기(20)를 통해 패턴정보를 생성하여 리스트 분류기(30)의 재생 리스트 중 이와 가장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는 리스트를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선택된 리스트 정보를 출력하여 재생여부를 입력받거나 상기 생성된 패턴정보에 따라 메모리부(10)에 저장된 음악파일 중 스펙트럼 분석기(200를 통해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는 하나 이상의 음악파일을 추출하여 리스트를 생성한 후 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재생여부를 입력받도록 구비된다.
전술하였듯이 사용자입력부(40)로부터 텍스트 데이터 형태의 취향정보가 입력된 경우 미리 저장된 다수의 취향정보 예시항목들 중 가장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는 항목을 선택하여 해당 항목에 대응되는 재생 리스트를 리스트 분류기(3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80)에는 리스트 분류기(30)에서 생성한 재생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전 링타입의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는 링리스트 생성기(90)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링리스트 생성기(90)는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리스트를 반복 재생이 가능한 링타입의 재생 리스트로 변환하되 재생 리스트의 배치 순서를 유사도 순위가 가장 높은 처음 음악파일과 순위가 가장 낮은 최종 음악파일 간의 패턴 격차를 감소시키기 위해 전체 음악파일이 2n개의 곡으로 구성될 경우 링타입의 재생 리스트 배치 순서는 1, 3, ..., 2n-1, 2n, 2n-2, ...., 4, 2의 순서로 배치되고, 2n-1개의 곡으로 구성될 경우 1, 3, ..., 2n-1, 2n-2, 2n-4, ...., 4, 2의 순서로 배치하게 된다.
물론 링리스트 생성기(90)를 통한 재생 리스트 배치 순서는 유사도 순위상 순위차가 큰 두 곡이 이웃하여 배치되지 않는다면 이외에도 다른 형태 배치방식도 무방할 것이다.
한편 상기 크로스페이더(50)는 재생 리스트를 통한 재생시 이웃하는 음악파일 간에 크로스 페이딩을 수행하도록 마련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페이더(50)는 재생할 음악파일을 연속적으로 입력받는 입력부(51)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음악파일을 전달받아 음악파일의 초당 샘플링 데이터 개수를 미리 설정된 비율로 확장하는 타임스트레쳐부(52)와, 상기 타임스트레쳐부(52)로부터 상기 초당 샘플링 데이터를 전달받아 이를 일시 저장하는 피시엠버퍼(53)와, 상기 피시엠버퍼(53)로부터 상기 초당 샘플링 데이터를 전달받는 믹싱기(54)와, 상기 믹싱기(54)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초당 샘플링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55)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타임스트레쳐부(52)로 전달되는 음악파일의 종료신호를 감지하는 종료디텍터(56)와, 상기 입력부와 타임스트레쳐부(52) 사이에 설치되어 종료디텍터(56)로부터 종료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음악파일에 연속되어 입력되는 음악파일을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믹서로 바이패스하는 스위칭부(57)와, 상기 입력부, 타임스트레쳐부, 피시엠버퍼, 종료디텍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어느 하나의 음악파일의 종료시점에 상기 음악파일과 상기 음악파일에 연속되어 입력되는 음악파일이 믹서를 통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크로스 페이딩되도록 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어 상기 음악파일의 음원데이터가 종료되면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바이패스시킨 음악파일을 타임스트레쳐부로 전달하여 상기 음악파일에 연속되어 입력되는 음악파일이 출력되도록 하는 컨트롤러(58)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51)로 음악파일이 입력되면 컨트롤러(58)는 이를 스위칭부(57)를 통해 타임스트레쳐부(52)로 전달하며 타임스트레쳐부(52)는 일정 비율로 해당 음악파일의 샘플링 개수를 증대시킨다. 이러한 일정 비율로는 2 ~ 3% 정도가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확장된 샘플링 개수만큼 음악파일의 재생 시간이 길어지며 길어진 해당 시간 동안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음악파일과 크로스 페이딩 구간이 발생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종료디텍터(56)는 입력되는 음악파일의 종료신호를 엔드비트감지부(56a), 무음감지부(56b), 코드패턴감지부(56c)를 통해 감지하게 되는데, MP3와 같은 디지털 음원일 경우 음원데이터의 종료 시점에 엔드비트가 내재되어 이를 엔드비트감지부(56a)에서 감지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엔드비트가 없는 음원데이터의 경우 곡의 종료시에 발생되는 무음부를 무음감지부(56b)에서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코드패턴감지부(56c)는 음원데이터의 특징에 따라 종종 곡의 중간에도 무음부가 존재할 수 있어 음원데이터의 종료시점 검출 신뢰도가 저하될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음감지부(56b)에 의해 무음구간이 감지되고 음악파일의 화음 즉, 코드패턴이 일반적으로 종료시점에 자주 사용되는 코드패턴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종료시점으로 인식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종료시점 감지 후에는 이후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음악파일을 스위칭부(57)를 통해 믹싱기(54)로 바로 바이패스시켜 이전 음악파일의 샘플링 확장 구간 만큼 이전 음악파일과 이후 음악파일이 믹싱되어 크로스 페이딩이 수행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제 1볼륨조절부(59a)와 제 2볼륨조절부(59b)를 각각 피시엠버퍼(53) 후단과 스위칭부(57)의 바이패스 경로 상에 설치하여 크로스 페이딩 수행시 이전곡은 점차적으로 볼륨을 낮게 조정하고 이후 음악파일은 점차적으로 높게 조정함으로써 자연스러운 음악파일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믹싱기(54)를 통해 믹싱된 음악파일은 D/A 컨버터(55a)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부(55)로 전달함에 따라 음악파일이 출력되게 된다.
또한 입력부(51)에는 입력되는 음악파일이 아날로그 형태인 경우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기 위한 A/D 컨버터(51a)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페이더(50)는 복수의 입력부가 필요없이 하나의 입력부만으로 크로스 페이딩이 가능해짐에 따라 구성이 간단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비트박스(60)는 상기 크로스페이더(50)를 통한 크로스 페이딩 수행시에 연속되는 두 음악파일 간에 연결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크로스 페이딩 수행 구간 동안 미리 저장된 다수의 비트 리프 중 곡과 곡 사이에, 상기 두 곡과 가장 패턴 정보가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는 비트 리프를 선택하여 크로스 페이딩 수행 구간에 믹싱되어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서라운드이펙터(70)는 크로스 페이딩 수행 구간 동안 미리 저장된 배경 효과음 중 곡과 곡 사이에, 상기 두 곡과 가장 패턴 정보가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는 배경 효과음을 선택하여 크로스 페이딩 수행 구간에 믹싱되어 출력되도록 하는데, 이러한 크로스페이더(50), 비트박스(60), 서라운드이펙터(70)는 연속적으로 재생되는 두 음악파일 간의 연속성 및 연결성을 극대화하여 자연스러운 순차 재생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크로스페이터(50), 비트박스(60) 및 서라운드이펙터(70)는 재생 리스트를 통한 오디오 출력 전에 마련되는 믹서(91)에 의해 재생 리스트의 음악파일과 믹싱되어 크로스 페이딩, 비트리프, 효과음 등이 출력되도록 구성됨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링타입의 재생 리스트 생성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링타입의 재생 리스트 생성과정은 우선 사용자의 취향 패턴 정보를 통해 메모리부(10)에 저장된 전체 곡을 스펙트럼 분석기(20)를 통해 분석하여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는 음악파일들을 유사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하고, 배열된 순차리스트(List order)는 링리스트 생성기(90)에 의해 유사도가 적절하게 혼합 배치된 링타입의 재생 리스트로 생성된다.
도 2에서는 BPM을 기준으로 링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으로 메모리부(10)에 song A 부터 song O 까지 각각의 14곡이 있다고 가정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음악파일 정보 또는 취향 정보가 느린 곡을 선택하였다면 BPM 정보가 작은 순서로 느린 곡을 일정 갯수로 순차리스트(List order)를 생성한다.
생성된 순차리스트를 살펴보면 song G, song L, song F,.....song H 순으로 9곡이 배치되는데, 링리스트 생성기(90)는 이를 적절하게 혼합 배치하여 song G, song L, song A, ..., song F 순으로 배치하였다.
이에 따라 반복 재생시 첫 곡인 song G와 끝 곡인 song F는 유사도 격차가 작으므로 사용자가 패턴 변화를 크게 느끼지 못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혼합 배치 방식은 전술한 링리스트 생성기(90)의 배치방식 이외에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메모리부 20 : 스펙트럼 분석기
30 : 리스트 분류기 40 : 사용자입력부
50 : 크로스페이더 60 : 비트박스
70 : 서라운드이펙터 80 : 제어부
90 : 링리스트 생성기

Claims (6)

  1. 다수의 음악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음악파일을 스펙트럼 분석하여 설정 조건에 따라 취향 또는 느낌을 기준으로 패턴 분류를 수행하는 스펙트럼 분석기와,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에 의해 상기 취향 또는 느낌을 기준으로 분류된 음악파일별로 하나 이상의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여 이를 저장하는 리스트 분류기와,
    사용자의 취향 또는 느낌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자가 특정하는 음악파일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입력부와,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 특정 음악파일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스펙트럼 분석기를 통해 패턴정보를 생성하여 리스트 분류기의 재생 리스트 중 이와 가장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는 리스트를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선택된 리스트 정보를 출력하여 재생여부를 입력받거나 상기 생성된 패턴정보에 따라 메모리부에 저장된 음악파일 중 스펙트럼 분석기를 통해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는 하나 이상의 음악파일을 추출하여 리스트를 생성한 후 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재생여부를 입력받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취향에 따른 자동선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리스트를 반복 재생이 가능한 링타입의 재생 리스트로 변환하되 상기 링타입의 재생 리스트의 배치 순서는 사용자의 패턴 정보에 따른 유사도 순위를 생성한 다음 반복 재생시 유사도 순위가 가장 높은 처음 음악파일과 유사도 순위가 가장 낮은 최종 음악파일 간의 패턴 격차를 감소시키기 위해 전체 음악파일이 2n개의 곡으로 구성될 경우 링타입의 재생 리스트 배치 순서는 1, 3, ..., 2n-1, 2n, 2n-2, ...., 4, 2의 순서로 배치되고, 2n-1개의 곡으로 구성될 경우 1, 3, ..., 2n-1, 2n-2, 2n-4, ...., 4, 2의 순서로 배치하는 링리스트 생성기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취향에 따른 자동선곡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선곡장치는
    상기 제어부의 링리스트 생성기에 의해 재생이 이루어지는 경우 이웃하는 음악파일 간에 크로스 페이딩을 수행하는 크로스페이더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취향에 따른 자동선곡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페이더는
    재생할 음악파일을 연속적으로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음악파일을 전달받아 음악파일의 초당 샘플링 데이터 개수를 미리 설정된 비율로 확장하는 타임스트레쳐부와,
    상기 타임스트레쳐부로부터 상기 초당 샘플링 데이터를 전달받아 이를 일시 저장하는 피시엠버퍼와,
    상기 피시엠버퍼로부터 상기 초당 샘플링 데이터를 전달받는 믹서와,
    상기 믹서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초당 샘플링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타임스트레쳐부로 전달되는 음악파일의 종료신호를 감지하는 종료디텍터와,
    상기 입력부와 타임스트레쳐부 사이에 설치되어 종료디텍터로부터 종료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음악파일에 연속되어 입력되는 음악파일을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믹서로 바이패스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입력부, 타임스트레쳐부, 피시엠버퍼, 종료디텍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어느 하나의 음악파일의 종료시점에 상기 음악파일과 상기 음악파일에 연속되어 입력되는 음악파일이 믹서를 통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크로스 페이딩되도록 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어 상기 음악파일의 음원데이터가 종료되면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바이패스시킨 음악파일을 타임스트레쳐부로 전달하여 상기 음악파일에 연속되어 입력되는 음악파일이 출력되도록 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취향에 따른 자동선곡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선곡장치는
    상기 크로스 페이더를 통한 크로스 페이딩 수행시에 연속되는 두 음악파일 간에 연결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크로스 페이딩 수행 구간 동안 미리 저장된 다수의 비트 리프 중 곡과 곡 사이에, 상기 두 곡과 가장 패턴 정보가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는 비트 리프를 선택하여 크로스 페이딩 수행 구간에 믹싱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비트박스와, 크로스 페이딩 수행 구간 동안 미리 저장된 배경 효과음 중 곡과 곡 사이에, 상기 두 곡과 가장 패턴 정보가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는 배경 효과음을 선택하여 크로스 페이딩 수행 구간에 믹싱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서라운드이펙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취향에 따른 자동선곡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는 패턴 분류를 위한 패턴 정보 생성시 분해된 주파수 정보를 통해 비트 성분, 코드 성분, 악기 성분, 보컬 성분별로 특성을 분석하되, 상기 각 특성정보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가중치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는 상기 가중치에 따른 특성 정보를 취합하여 패턴 정보의 유사도 판단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취향에 따른 자동선곡장치.
KR1020110076818A 2011-08-02 2011-08-02 사용자 취향에 따른 자동선곡장치 KR101142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818A KR101142244B1 (ko) 2011-08-02 2011-08-02 사용자 취향에 따른 자동선곡장치
PCT/KR2012/006087 WO2013019057A2 (ko) 2011-08-02 2012-07-31 사용자 취향에 따른 자동선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818A KR101142244B1 (ko) 2011-08-02 2011-08-02 사용자 취향에 따른 자동선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2244B1 true KR101142244B1 (ko) 2012-05-21

Family

ID=46271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6818A KR101142244B1 (ko) 2011-08-02 2011-08-02 사용자 취향에 따른 자동선곡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42244B1 (ko)
WO (1) WO2013019057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5173A1 (en) * 2018-09-11 2020-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audio content-based recommendations
KR102643081B1 (ko) * 2022-09-22 2024-03-04 뉴튠(주) 실시간 통신을 이용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및 플레이리스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009B1 (ko) 2005-09-13 2007-07-2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정보 기억 매체, 정보 기록 방법, 정보 재생 방법, 정보기록 장치 및 정보 재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973B1 (ko) * 2005-03-24 2007-05-25 김재천 분류알고리즘을 이용한 음악장르 분류 방법
KR100671505B1 (ko) * 2005-04-21 2007-02-2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베이즈법을 적용한 악기신호의 인식 및 장르분류 방법
KR100749045B1 (ko) * 2006-01-26 2007-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악 내용 요약본을 이용한 유사곡 검색 방법 및 그 장치
KR101316627B1 (ko) * 2006-02-07 2013-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의도 자동 해석 기반의 음악 추천 방법 및 그 장치
US20110029108A1 (en) * 2009-08-03 2011-02-03 Jeehyong Lee Music genre class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009B1 (ko) 2005-09-13 2007-07-2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정보 기억 매체, 정보 기록 방법, 정보 재생 방법, 정보기록 장치 및 정보 재생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5173A1 (en) * 2018-09-11 2020-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audio content-based recommendations
KR102643081B1 (ko) * 2022-09-22 2024-03-04 뉴튠(주) 실시간 통신을 이용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및 플레이리스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19057A2 (ko) 2013-02-07
WO2013019057A3 (ko) 2013-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7491B1 (ko) 음악 작곡 장치 및 그 운용방법
CN105810190B (zh) 音乐内容和实时音乐伴奏的自动转录
Goto et al. Music interfaces based on automatic music signal analysis: new ways to create and listen to music
KR100658869B1 (ko) 음악생성장치 및 그 운용방법
Goto et al. Songle: A Web Service for Active Music Listening Improved by User Contributions.
Lidy et al. On the suitability of state-of-the-art music information retrieval methods for analyzing, categorizing and accessing non-western and ethnic music collections
EP3843083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reating song mashups
KR20070116853A (ko) 플레이리스트를 작성하기 위한 스캔 셔플
US11521585B2 (en) Method of combining audio signals
CN106708894B (zh) 电子书配置背景音乐的方法和装置
US20130030557A1 (en) Audio player and operating method automatically selecting music type mode according to environment noise
JP2010521021A (ja) 楽曲ベースの検索エンジン
US10623480B2 (en) Music categorization using rhythm, texture and pitch
US11271993B2 (en) Streaming music categorization using rhythm, texture and pitch
KR20120051343A (ko) 음악 시각화 방법을 이용한 음악 재생 시스템 및 방법
Paulus Signal processing methods for drum transcription and music structure analysis
Pant et al. A melody detection user interface for polyphonic music
KR101142244B1 (ko) 사용자 취향에 따른 자동선곡장치
Van De Laar Emotion detection in music, a survey
Herrera et al. SIMAC: Semantic interaction with music audio contents
Boland et al. Finding my beat: personalised rhythmic filtering for mobile music interaction
KR20070048484A (ko) 음악파일 자동 분류를 위한 특징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재생 목록 자동 생성 장치 및그 방법
Goto et al. PodCastle and Songle: Crowdsourcing-Based Web Services for Retrieval and Browsing of Speech and Music Content.
McLachlan et al. The sound of musicons: Investigating the design of musically derived audio cues
Ramires Automatic Transcription of Drums and Vocalised percu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