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6554A - 가상계좌를 이용한 거래 수행 방법 및 거래 수행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계좌를 이용한 거래 수행 방법 및 거래 수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6554A
KR20120076554A KR1020100121207A KR20100121207A KR20120076554A KR 20120076554 A KR20120076554 A KR 20120076554A KR 1020100121207 A KR1020100121207 A KR 1020100121207A KR 20100121207 A KR20100121207 A KR 20100121207A KR 20120076554 A KR20120076554 A KR 20120076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user terminal
virtual account
information
accou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1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8890B1 (ko
Inventor
정규홍
김봉석
전효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스마트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스마트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스마트카드
Priority to KR1020100121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8890B1/ko
Publication of KR20120076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6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8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8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2Verifyin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s [PI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6Debit schemes, e.g. "pay no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2Billing, invoicing, buying or selling transactions or other related activities, e.g. cost or usage evalu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계좌를 이용한 거래 수행 방법 및 거래 수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이 간편하며 다양한 형태의 결제가 가능한 가상계좌를 이용한 거래 수행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가상계좌 서버에서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결제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 수단으로 결제 정보의 전송을 요청받는 단계, 요청받은 상기 결제 수단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계좌 정보가 포함된 결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가맹점으로부터 요청받은 거래 대금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계좌에서 정산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계좌를 이용한 거래 수행 방법 및 거래 수행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ayment used virtual account}
본 발명은 가상계좌를 이용한 거래 수행 방법 및 거래 수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이 간편하며 다양한 형태의 결제가 가능한 가상계좌를 이용한 거래 수행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상거래의 개념이 도입되면서 다양한 종류의 결제 방식이 등장하여 실용화되고 있다. 이 중에서 후불식 결제방식으로 사용자의 신용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는 신용카드와 선불식 결제방식으로 사용자가 충전된 금액 내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선불카드는 현금을 대체하는 대표적 신규 결제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선불카드의 경우 기본적으로 비금융권에서 발급되는 것으로 일정 금액에 대한 결제가 가능하지만 해당 금액을 소진 한 후에는 다시 충전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를 고려하여 전자지갑 혹은 전자화폐라고 불리는 새로운 충전식 결제 방식이 등장하였다. 이는 반도체칩 등의 전자적인 방식으로 일정한 금액의 가치를 저장하여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방식과 단순히 교통요금이나 식대 등의 결제에 사용되는 방식, 혹은 이들을 혼용하는 방식이 있다.
이러한 전자화폐는 1995년 한국정보통신에 의해 개발되어 상용화가 되기 시작하였으나, 현재에 이르러서는 화폐가 가지는 성질을 전자적인 정보로 변환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결제방식을 통칭하는 용어로 확대 해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현재 전자화폐라 칭해지는 것은 현금의 가치를 표현하는 수단을 디지털정보로 한 것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화폐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상거래 활동이 가능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전자화폐는 다양한 분류와 종류가 있으나, 최근에는 입출금이 자유로운 은행 계좌의 잔고에 대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은행에서 발급하는 직불카드나 이를 개량하여 은행업무 시간 외에도 신용카드 가맹점이나 온라인상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한 체크카드가 실시간 결제를 위해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실시간 결제 특성 때문에 체크카드를 대표적인 전자화폐로 간주하기도 한다.
한편, 자유롭게 충전이 가능한 전자화폐로는 현재 교통카드로 널리 이용되는 비접촉식 무선 주파수 인식 카드("RFID 카드"라 칭함)가 있다. RFID 카드는 내부에 안테나와 RFID 칩을 내장하고, 안테나는 리더기에서 발생한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전력을 발생시켜 RFID 칩으로 공급하고, RFID 칩은 그 내부에 화폐 정보를 저장한다. RFID 카드에 저장된 화폐 정보는 리더기를 이용하여 읽고 기록할 수 있다. 이외에도 바코드를 이용한 결제 방식 등 다양한 결제 방식이 존재한다.
이와 같이 온라인 가맹점 또는 오프라인 가맹점은 바코드 결제 방식 또는 RFID 결제 방식 등 특정 결제 수단에 의해 결제를 수행한다. 따라서 해당 결제 수단을 구비하지 않은 사용자는 결제를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가맹점에서 원하는 결제 방식에 결제를 수행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가맹점에서 원하는 결제 방식을 구비하지 않은 사용자 단말에서도 가맹점에서 원하는 결제 방식으로 결제를 수행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가상 계좌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가상계좌를 충전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가상 계좌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함에 있어 거래의 안전을 위해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가상계좌 서버에서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결제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 수단으로 결제 정보의 전송을 요청받는 단계, 요청받은 상기 결제 수단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계좌 정보가 포함된 결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가맹점으로부터 요청받은 거래 대금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계좌에서 정산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가상 계좌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결제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 수단으로 결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생성한 결제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요청받은 결제 수단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계좌 정보가 포함된 상기 결제 정보를 생성하는 결제 수단 생성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계좌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은 복수의 결제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 수단을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받은 상기 결제 수단으로 결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데이터를 가상계좌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결제 수단으로 계좌 정보가 포함된 결제 정보를 상기 가상계좌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가상계좌 서버와 사용자 단말의 고유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인증부, 수신한 상기 결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거래 수행 시스템은 입력받은 상기 결제 수단으로 결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데이터를 가상계좌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결제 수단으로 계좌 정보가 포함된 결제 정보를 상기 가상계좌 서버로부터 수신하며, 수신한 상기 결제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결제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 수단으로 결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요청받은 결제 수단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계좌 정보가 포함된 상기 결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가상계좌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맹점에서 원하는 결제 방식에 결제를 수행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은 가맹점에서 원하는 결제 방식을 구비하지 않은 사용자 단말에서도 가맹점에서 원하는 결제 방식으로 결제를 수행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바코드 방식으로 결제를 진행하는 가맹점에서는 가상계좌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바코드를 이용하여 결제를 진행하며, 핀코드 방식으로 결제를 진행하는 가맹점에서는 가상계좌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핀코드를 이용하여 결제를 진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가맹점에 따라 다양한 결제 방식으로 결제를 진행함으로서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결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모바일 뱅킹을 이용하여 언제든지 가상계좌에 금액을 충전할 수 있으므로, 모바일과 결합된 선불카드 사용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결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가맹점에서 결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상계좌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도 1에 의하면,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은 가상 계좌 서버(100), 사용자 단말(110), 가맹점 단말(120)을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추가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가상계좌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10)과 대응되는 가상계좌를 할당받아 저장하고 있다. 일예로 가상계좌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A에 대응되는 가상계좌A를 할당받아 저장하며, 사용자 단말B에 대응되는 가상계좌B를 할당받아 저장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가상계좌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10)별로 고유한 가상계좌를 할당받아 저장하고 있다.
가상계좌 서버(100)는 할당받은 가상계좌별로 결제 가능한 금액을 충전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는 할당받은 가상계좌에 결제 가능한 금액을 충전할 수 있다. 결제 가능한 금액은 제휴 마일리지, 티머니, 신용카드(체크카드) 결제, 계좌 이체, 상품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방법이외에 다른 다양한 방법으로 결제 가능한 금액을 충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상계좌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10)별로 할당받은 가상계좌에 사용자가 충전한 금액을 저장하고 있다. 물론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는 가상계좌 서버(100)에 일정 주기 단위로 일정 금액을 충전하도록 사용자 단말을 설정할 수 있으며,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필요한 경우 실시간으로 가상계좌 서버(100)에 충전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휴대 단말, 노트북, PDA 등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은 이에 포함되며, 가상계좌 서버(100)로부터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된다. 사용자 단말(110)은 물품을 구매한 가맹점의 결제 수단을 확인하고, 확인한 결제 수단으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가상계좌 서버(100)에 요청한다. 일예로 물품을 구매한 가맹점의 결제 가능한 수단이 바코드라면, 사용자 단말(110)은 가상계좌 서버(100)에 할당받은 가상계좌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바코드를 생성하여 전송하도록 요청한다. 사용자 단말(110)은 가상계좌 서버(100)로부터 전송받은 바코드를 이용하여 물품을 구매한 가맹점에서 결제를 수행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결제 가능한 방식은 바코드, 핀 코드, 모바일 상품권 등 다양한 수단으로 결제가 가능하다.
가맹점은 오프라인 가맹점 이외에 온라인 가맹점도 포함되며, 온라인 가맹점인 경우 가맹점 단말(120)은 온라인 가맹점 서버가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오프라인 가맹점은 다양한 결제 수단으로 결제가 가능하다. 일예로 오프라인 가맹점은 바코드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하거나, RFID의 태그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오프라인 가맹점은 결제 수단이 상품권인 경우, 상품권에 포함되어 있는 바코드를 이용하여 결제를 진행하거나, 상품권 번호를 이용하여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프라인 가맹점은 다양한 수단으로 결제를 진행할 수 있으며, 온라인 가맹점 역시 다양한 수단으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가맹점 단말(120)은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제공받은 결제 수단에 포함되어 있는 가상계좌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계좌로부터 거래 금액을 지불받는다.
상술한 바와 의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가상계좌 서버(100)로부터 가상계좌 번호 정보가 포함된 바코드를 수신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가상계좌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결제 요청 정보를 수신하면, 거래 금액에 해당하는 금액을 차감한 후, 해당 거래 금액 정보가 포함된 바코드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제공받은 바코드를 이용하여 가맹점 단말(120)과 실시간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2에 의하면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은 사용자 가상계좌 서버(100), 사용자 단말(110), 가맹점 단말(120)을 포함한다.
S200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가상계좌 서버(100)와 인증을 수행한다. 사용자 단말(110)은 가맹점에서 물품을 구매한 후 결제를 위해 가상계좌 서버(100)와 인증을 수행한다. 사용자 단말(110)은 가상계좌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110)의 고유 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하는 사용자의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계좌 서버(100)와 인증 절차를 수행하거나, 기타 다양한 방식으로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인증절차를 수행한 사용자 단말(110)은 S202단계에서 가상계좌 서버(100)로 지정한 결제 수단으로 결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한다. 사용자 단말(110)은 가맹점의 결제 수단을 확인한 후 해당 결제 수단으로 결제가 가능하도록 특정 결제 수단으로 결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한다. 일예로 가맹점의 결제 수단이 바코드라면, 사용자 단말(110)은 바코드를 이용하여 결제가 가능하도록 가상계좌 정보가 포함된 바코드를 요청한다. 사용자 단말(110)은 가맹점의 결제 수단이 핀 코드라면, 핀 코드를 이용하여 결제가 가능하도록 가상계좌 정보가 포함된 핀 코드를 요청한다.
가상계좌 서버(100)는 S204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10)의 요청에 따라 지정된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가상계좌 정보가 포함된 결제 정보를 전송한다. 즉, 가상계좌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바코드를 요청받은 경우, 가상계좌 정보가 포함된 바코드를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한다. 가상계좌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핀 코드를 요청받은 경우, 가상계좌 정보가 포함된 핀 코드를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한다.
가상계좌 서버(100)로부터 결제 정보를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110)은 S206단계에서 가맹점 단말(120)로부터 결제를 요청받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가맹점이 온라인 가맹점인 경우, 가맹점 단말(120)은 온라인 가맹점의 서버가 될 수 있다.
가맹점 단말(120)로부터 결제를 요청받은 사용자 단말(110)은 S208단계에서 가상계좌 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은 결제 정보를 제공한다. 즉, 가맹점의 결제 수단이 바코드라면, 사용자 단말(110)은 가상계좌 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은 바코드를 제공한다. 가맹점 단말(120)은 바코드 스캐너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10)이 제공한 바코드를 스캔한다. 가맹점 단말(120)은 스캔한 바코드로부터 사용자 단말(110)과 대응되는 가상계좌 정보를 추출한다. 가맹점 단말(120)은 추출한 가상계좌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계좌 서버(100)로 접속한다.
가상계좌 서버(100)와 접속한 가맹점 단말(120)은 S210단계에서 가상계좌 서버(100)와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 가맹점 단말(120)과 가상계좌 서버(100)와의 인증은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제공받은 바코드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110)의 고유 정보 또는 가상계좌 정보를 이용하여 가맹점 단말(120)과 가상계좌 서버(100)는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인증 절차를 수행한 가맹점 단말(120)은 S212단계에서 가상계좌 서버(100)에 대해 거래 금액에 대한 결제를 요청한다.
가맹점 단말(120)로부터 거래 금액에 대한 결제를 요청받은 가상계좌 서버(100)는 S214단계에서 해당 거래 금액에 대한 결제를 승인한다. 물론 가상계좌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10)과 대응되는 가상계좌에 충전되어 있는 금액이 거래 금액보다 부족한 경우에는 결제 승인이 불가능함을 통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가맹점의 결제 수단에 따라 가상계좌 서버(100)로부터 해당 결제 수단으로 결제 정보를 제공받아 결제를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결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결제를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도록 한다.
S300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물품을 구매한다.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물품을 구매한 사용자 단말(110)은 오프라인 가맹점의 결제 수단을 확인한다. 일예로 오프라인 가맹점의 결제 수단이 바코드라고 가정한다.
오프라인 가맹점의 결제 수단을 확인한 사용자 단말(110)은 S302단계에서 가상계좌 서버(100)에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인증 절차에 사용되는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10)의 고유 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11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고유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인증 절차를 수행한 사용자 단말(110)은 특정 결제 수단으로 결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한다. 상술한 바와 오프라인 가맹점의 결제 수단이 바코드라면 사용자 단말(110)은 가상계좌 서버(100)로 가상계좌 정보를 바코드 형태로 제공하도록 요청한다.
결제 정보 전송을 요청받은 가상계좌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10)로 S304단계에서 요청한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결제 정보를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상계좌 서버(100)는 가상계좌 정보가 포함된 바코드를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한다.
S306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가상계좌 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은 바코드를 오프라인 가맹점 단말(120)로 제공하며, 오프라인 가맹점 단말(120)은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제공받은 바코드를 스캔한다.
오프라인 가맹점 단말(120)은 S308단계에서 스캔한 바코드에 포함되어 있는 가상계좌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계좌 서버(100)에 거래 금액의 결제를 요청한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오프라인 가맹점 단말(120)과 가상계좌 서버(100)는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S310단계에서 가상계좌 서버(100)는 요청받은 거래 금액에 대한 결제를 승인 또는 거래 대금을 정산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10)은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물품 구매 및 결제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가맹점에서 결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가맹점에서 결제를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도록 한다.
S400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온라인 가맹점에서 물품을 구매한다. 온라인 가맹점에서 물품을 구매한 사용자 단말(110)은 온라인 가맹점의 결제 수단을 확인한다. 일예로 온라인 가맹점의 결제 수단이 핀 코드라고 가정한다.
온라인 가맹점의 결제 수단을 확인한 사용자 단말(110)은 S402단계에서 가상계좌 서버(100)에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인증 절차에 사용되는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10)의 고유 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11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고유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인증 절차를 수행한 사용자 단말(110)은 특정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결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한다. 상술한 바와 온라인 가맹점의 결제 수단이 핀 코드라면 사용자 단말(110)은 가상계좌 서버(100)로 가상계좌 정보를 핀 코드 형태로 제공하도록 요청한다.
결제 정보 전송을 요청받은 가상계좌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10)로 S404단계에서 결제 정보를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상계좌 서버(100)는 가상계좌 정보가 포함된 핀 코드를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한다.
S406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가상계좌 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은 핀 코드를 온라인 가맹점 단말(서버)로 제공하며, 온라인 가맹점 단말은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제공받은 핀 코드를 입력받는다.
온라인 가맹점 단말은 S408단계에서 입력받은 핀 코드에 포함되어 있는 가상계좌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계좌 서버(100)에 거래 금액의 결제를 요청한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온라인 가맹점 단말과 가상계좌 서버(100)는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S410단계에서 가상계좌 서버(100)는 요청받은 거래 금액에 대한 결제를 승인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10)은 온라인 가맹점에서 물품 구매 및 결제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결제 수단이 핀 코드인 온라인 가맹점에 대해 기술하였으나, 온라인 가맹점의 결제수단은 핀 코드 이외에 모바일 상품권 등 다양한 결제 수단에 의해 결제가 진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상계좌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상계좌 서버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도록 한다.
도 5에 의하면 가상계좌 서버는 저장부(500), 인증부(502), 통신부(504), 결제수단 생성부(506), 결제 수행부(508), 제어부(510)를 포함한다. 물론 가상계좌 서버는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저장부(500)는 사용자 단말별로 할당받은 가상계좌 정보와 각 가상계좌 별로 충전한 충전 금액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500)는 가상계좌 서버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인증부(502)는 사용자 단말 또는 가맹점 단말과의 인증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증부(502)는 사용자 단말의 고유 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또는 인증부(502)는 가상계좌 서버에서 제공한 핀 코드 또는 모바일 상품권 번호를 이용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통신부(504)는 사용자 단말 또는 가맹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504)는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또는 가맹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결제수단 생성부(506)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결제 정보 전송을 요청받으면, 가상계좌 정보가 포함된 결제 정보를 생성한다. 일예로 결제수단 생성부(506)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바코드의 전송을 요청받으면 가상계좌 정보가 포함된 바코드를 생성한다. 결제수단 생성부(506)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모바일 상품권의 전송을 요청받으면, 가상계좌 정보가 포함된 모바일 상품권을 생성한다. 생성한 결제 정보는 통신부(504)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은 모바일 상품권 전송 요청과 동시에 모바일 상품권의 금액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결제 수행부(508)는 가맹점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결제 요청에 따라 해당 결제의 승인한다. 물론 결제 수행부(508)는 저장부(500)에 저장되어 있는 충전 금액이 거래 금액보다 작은 경우에는 요청한 결제를 승인하지 않는다. 결제 수행부(508)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모바일 상품권 전송을 요청받으면, 요청한 상품권의 금액과 충전되어 있는 충전 금액을 비교하여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
제어부(510)는 가상계좌 서버를 구성하는 각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제어부(51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결제 정보 전송 요청에 따라 결제 정보를 생성하도록 결제수단 생성부(506)를 제어한다. 제어부(510)는 결제 수행부(508)에서 결제를 승인하면, 저장부(500)에 저장되어 있는 충전 금액에서 거래 금액을 차감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도록 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통신부(600), 오디오처리부(602), 입력부(604), 저장부(606), 표시부(608), 인증부(610) 및 제어부(612) 등을 포함한다.
통신부(600)는 가상계좌 서버와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600)는 가상계좌 서버와 인증절차를 수행하거나, 가상계좌 서버로 결제 정보 전송을 요청한다.
오디오처리부(602)는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 Microphone)로부터 발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제어부(56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오디오처리부(602)는 오디오신호를 스피커(SPK, Speaker)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출력한다.
입력부(604)는 다양한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사용자 단말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키 신호를 제어부(612)로 전달한다. 입력부(604)는 사용자 단말의 제공 형태에 따라 터치패드, 일반적인 키 배열의 키패드 및 쿼티 방식의 키패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입력부(604)는 버턴을 이용하여 가맹점의 결제 수단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입력부(604)는 복수 개의 결제 수단 중 해당 가맹점의 결제 수단을 선택하거나, 직접 해당 가맹점의 결제 수단을 입력할 수 있다.
저장부(60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사용자데이터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저장부(606)는 가맹점에서 결제 가능한 결제 수단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표시부(608)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수행 중에 발생하는 화면 데이터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키 조작 상태 및 기능 설정정보 등을 표시한다. 특히, 표시부(608)는 가상계좌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결제 수단인 바코드 또는 핀 코드, 모바일 상품권 등을 표시한다. 표시부(608)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 칭함)로 구현할 수 있으며, LCD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LCD가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입력부(608)로 동작될 수도 있다.
인증부(610)는 가상계좌 서버와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증부(610)는 사용자 단말의 고유 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의 사용하는 사용자의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계좌 서버와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제어부(612)는 모바일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 및 모바일 단말의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제어부(612)는 통신부(600), 오디오처리부(602), 입력부(604), 저장부(606), 표시부(608), 인증부(610) 등과 같은 각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가상계좌 서버 110: 사용자 단말
120: 가맹점 단말 500: 저장부
502: 인증부 504: 통신부
506: 결제수단 생성부 508: 결제수행부
510: 제어부

Claims (10)

  1. 가상계좌 서버에서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결제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 수단으로 결제 정보의 전송을 요청받는 단계;
    요청받은 상기 결제 수단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계좌 정보가 포함된 결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가맹점으로부터 요청받은 거래 대금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계좌에서 정산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래 수행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정보의 전송을 요청받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과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래 수행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절차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고유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하는 사용자의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래 수행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수단은,
    바코드, 핀 코드, 모바일 상품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래 수행 방법.
  5.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결제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 수단으로 결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생성한 결제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요청받은 결제 수단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계좌 정보가 포함된 상기 결제 정보를 생성하는 결제 수단 생성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계좌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계좌 서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수단은,
    바코드, 핀 코드, 모바일 상품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계좌 서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인증부;
    가맹점으로부터 요청받은 거래 대금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계좌에서 정산 처리하는 결제 처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계좌 서버.
  8. 복수의 결제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 수단을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받은 상기 결제 수단으로 결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데이터를 가상계좌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결제 수단으로 계좌 정보가 포함된 결제 정보를 상기 가상계좌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가상계좌 서버와 사용자 단말의 고유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인증부;
    수신한 상기 결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수단은,
    바코드, 핀 코드, 모바일 상품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0. 입력받은 상기 결제 수단으로 결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데이터를 가상계좌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결제 수단으로 계좌 정보가 포함된 결제 정보를 상기 가상계좌 서버로부터 수신하며, 수신한 상기 결제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결제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 수단으로 결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요청받은 결제 수단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계좌 정보가 포함된 상기 결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가상계좌 서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래 수행 시스템.
KR1020100121207A 2010-12-01 2010-12-01 가상계좌를 이용한 거래 수행 방법 및 거래 수행 시스템 KR101188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207A KR101188890B1 (ko) 2010-12-01 2010-12-01 가상계좌를 이용한 거래 수행 방법 및 거래 수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207A KR101188890B1 (ko) 2010-12-01 2010-12-01 가상계좌를 이용한 거래 수행 방법 및 거래 수행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554A true KR20120076554A (ko) 2012-07-09
KR101188890B1 KR101188890B1 (ko) 2012-10-08

Family

ID=46710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1207A KR101188890B1 (ko) 2010-12-01 2010-12-01 가상계좌를 이용한 거래 수행 방법 및 거래 수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88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8605A (ko) * 2015-12-29 2018-09-04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바코드 기반 모바일-단말 결제 및 비지니스 처리 방법 및 장치
WO2019160188A1 (ko) * 2018-02-13 2019-08-22 (주)드림니다 블록체인 기반의 간편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2349B1 (ko) * 2022-08-25 2023-08-29 한국피엠오 주식회사 가상계좌 관리서버 및 그 관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244B1 (ko) * 2001-07-03 2005-03-16 정홍석 신용결제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8605A (ko) * 2015-12-29 2018-09-04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바코드 기반 모바일-단말 결제 및 비지니스 처리 방법 및 장치
US11282063B2 (en) 2015-12-29 2022-03-22 Advanced New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of barcode-based mobile processing
WO2019160188A1 (ko) * 2018-02-13 2019-08-22 (주)드림니다 블록체인 기반의 간편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8890B1 (ko) 2012-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4540B2 (ja) 仮想現金システムおよび仮想現金システムを操作するための方法
AU2008299100B2 (en) Host capture
US20150154579A1 (en) Compact Payment Terminal
US20140372300A1 (en) Smart card electronic wallet system
US20100274688A1 (en) System and method including indirect approval
US20140081785A1 (en) Telematic payment card
US20090104888A1 (en) Onetime Passwords For Mobile Wallets
CN102257524A (zh) 用于在移动设备之间进行支付和非支付虚拟卡传送的系统、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JP2013229879A (ja) 携帯型決済デバイス
US8523060B2 (en) Portable consumer device for use in currency conversion process
CN104054098A (zh) 与emv卡读取器合作提供支付的系统、方法及计算机程序产品
KR20120108965A (ko) 전자 지갑용 자산 저장 및 이체 시스템
US20110276417A1 (en) System for personalized payments via mobile and internet connected devices
US2014016422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value transfers using a reader device
KR101740121B1 (ko) 해외 선불화폐로 결제한 자금에 대한 실시간 정산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50262166A1 (en) Real-Time Portable Device Update
KR20200041290A (ko) 고객 개시 지불 결제 시스템 및 방법
CN110326015A (zh) 非接触式交互系统、装置及方法
KR20110021491A (ko) 휴대폰을 이용한 선불 가상계좌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061719B1 (ko) 단골 고객 확인을 통한 쿠폰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188890B1 (ko) 가상계좌를 이용한 거래 수행 방법 및 거래 수행 시스템
TW201828179A (zh) 利用行動裝置進行感應式金融卡支付之方法
KR101429618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시스템, 거기에 이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대금결제 방법
TW201629865A (zh) 用以與近接付款裝置實施安全的磁條卡交易的方法與裝置
KR20090056708A (ko) 이중 조합 식별 코드를 이용한 개인 인식 결제 서비스 방법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