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9618B1 -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시스템, 거기에 이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대금결제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시스템, 거기에 이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대금결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9618B1
KR101429618B1 KR1020090095616A KR20090095616A KR101429618B1 KR 101429618 B1 KR101429618 B1 KR 101429618B1 KR 1020090095616 A KR1020090095616 A KR 1020090095616A KR 20090095616 A KR20090095616 A KR 20090095616A KR 101429618 B1 KR101429618 B1 KR 101429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money
amount
payment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5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8358A (ko
Inventor
이원준
최승진
임동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5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9618B1/ko
Publication of KR20110038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8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시스템, 거기에 이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대금결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시스템은, 전자화폐가 충전되며, 사용자에 대한 신용카드 정보가 저장되고, 충전된 전자화폐의 잔고부족 여부에 따라 신용카드 정보가 전송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품 대금에 대한 전자화폐 결제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충전된 전자화폐의 금액으로부터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을 차감하여 결제하는 대금결제 서버; 및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이 충전된 전자화폐의 잔고금액보다 많은 경우, 대금결제 서버에 의해 결제되지 못한 나머지 금액을 대금결제 서버에 대행하여 지급하며, 사용자에게 후결제 요청하는 신용결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전자상거래 및 오프라인 상거래에서의 결제 수단으로 이용하는 경우에, 충전된 전자화폐의 잔액이 부족하더라도 원하는 상품에 대한 거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동통신 단말기, 대금결제, 전자상거래, 온라인, 오프라인, 전자화폐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시스템, 거기에 이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대금결제 방법{Payment System, Mobile used therein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시스템, 거기에 이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대금결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전자상거래 및 오프라인 상거래에서의 결제 수단으로 이용하는 경우에, 충전된 전자화폐의 잔액이 부족하더라도 원하는 상품에 대한 거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시스템, 거기에 이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대금결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전이나 지폐와 같은 현금은 부피나 무게가 크므로 휴대하기가 불편하며, 분실의 위험성도 있고, 금융 결제 시의 사용이 번거롭다. 따라서, 현금 화폐의 휴대에 따른 불편함과 위험성을 해소하고, 금융 결제를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대한 신용정보를 근거로 일정 금액을 설정하고 그 설정된 금액의 한도 내에서 선사용 후결제 하는 신용카드 결제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화폐의 가치를 전자화하여 저장하고, 현금과 같이 사용할 수 있도 록 하는 새로운 개념의 전자화폐가 등장하였다. 전자화폐는 화폐적 가치가 어디에 저장되어 있는가에 따라서 IC(Integrated Circuit) 카드형 전자화폐와 네트워크형 전자화폐로 구별된다.
여기서, IC 카드는 신용카드 크기의 카드에 전자부호 형태로 화폐가치를 저장하는 IC 칩이 내장되어 있는 카드로서, 스마트카드라고도 한다. IC 카드는 IC 칩을 사용하여 전자화폐를 저장하므로 위조와 변조가 어렵고, CPU(Central Processing Unit)가 내장되어 있어 연산기능도 가지고 있다. 기존의 현금카드가 현금인출기에서 현금을 인출해 사용하는 것처럼, IC 카드는 현금을 인출하는 대신 충전기를 통해 필요한 금액을 전자화폐로 카드에 충전시켜 카드 가맹점에서 현금처럼 사용하며, 상품이나 서비스 거래 시 IC 카드에 저장된 전자화폐를 판매자의 판독기에 지불하면 자동적으로 대금이 판매자의 은행계정으로 이전된다. 이와 같은 IC 카드형 전자화폐를 이용한 거래는 신용카드 거래와 비슷하지만, 신용카드 거래는 대금 지급과정에서 신용카드 발급회사가 먼저 대금을 지급한 후 나중에 구매자가 해당 금액을 신용카드사에 갚는 방식인 반면에, IC 카드형 전자화폐를 이용한 거래는 그러한 중간 과정이 없이 즉각적인 자금이전이 발생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IC 카드형 전자화폐에 대한 자금 충전은 충전기가 부착된 ATM(Automatic Teller Machine), 전화단말기, 은행창구, PC(Personal Computer) 등을 통해 반복적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IC 카드형 전자화폐는 네트워크형과 호환되지 않으면 전자상거래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네트워크형 전자화폐는 PC 통신이나 인터넷 등 컴퓨터 통신망에서 사용되는 전자화폐로서, 전자상거래에 주로 사용된다. 네트워크형 전자화폐의 사용자는 컴퓨터 통신망을 통해 거래 은행에서 자금을 인출하고 상품 구매시 컴퓨터 파일 형태로 구매대금을 지급한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형 전자화폐는 네트워크상에서만 작동하며, 작동 순서는 우선, 네트워크형 전자화폐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전자화폐를 구매한 다음, 전자상거래를 통한 상품구매와 구매대금을 지급하면 된다.
한편, 최근에는 디지털 기술 및 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점차 다양화되면서, 이와 같은 IC 카드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금융 결제의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지갑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지갑 서비스는 지불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자지갑에 미리 저장하여 두고,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및 오프라인상에서 발생하는 상품대금의 결제를 전자지갑에 저장된 정보로 간단히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이 서비스는 사용자 본인만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다단계의 보안장치는 물론, 모든 데이터의 흐름을 철저하게 보호하는 WPKI(Wireless Public Key Infrastructure) 솔루션이 내장되어 정보 유출의 걱정 없이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지갑 서비스는, 탑재된 IC 카드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한 거래 은행에 일정한 금액이 저장되어 있어야만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결제 가능한 금액을 항상 기억하고 있기는 어렵기 때문에, 대금결제시 잔액 부족으로 어 려움을 겪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상품의 대금을 결제하기 이전에, 탑재된 IC 카드 또는 거래 은행에 접속하여 전자화폐의 잔액을 미리 확인한 후 상품의 대금결제를 할 수 있으나, 상품의 대금을 결제할 때마다 매번 탑재된 IC 카드 또는 거래 은행에 접속하는 상당히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전자상거래 및 오프라인 상거래에서의 결제 수단으로 이용하는 경우에, 충전된 전자화폐의 잔액이 부족하더라도 원하는 상품에 대한 거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시스템, 거기에 이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대금결제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시스템은, 전자화폐가 충전되며, 사용자에 대한 신용카드 정보가 저장되고, 충전된 전자화폐의 잔고부족 여부에 따라 신용카드 정보가 전송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품 대금에 대한 전자화폐 결제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충전된 전자화폐의 금액으로부터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을 차감하여 결제하는 대금결제 서버; 및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이 충전된 전자화폐의 잔고금액보다 많은 경우, 대금결제 서 버에 의해 결제되지 못한 나머지 금액을 대금결제 서버에 대행하여 지급하며, 사용자에게 후결제 요청하는 신용결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대금결제 서버는,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이 충전된 전자화폐의 잔고금액보다 많은 경우, 그 차액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잔고부족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대금결제 서버로부터 수신한 잔고부족 신호에 대응하여, 차액이 신용결제 서버에 의해 지급되도록 신용결제 서버에 대행 지급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자화폐가 충전되며, 사용자에 대한 신용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대금결제 서버로부터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정보를 수신하는 결제금액 수신부; 수신된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이 저장부에 저장된 전자화폐의 잔고금액보다 많은 경우, 그 차액을 계산하는 계산부; 및 저장부에 저장된 전자화폐 금액을 대금결제 서버로 전송하여 상품 대금의 일부로 지급하고, 신용카드 정보에 기초하여 신용결제 서버를 연동시키며, 계산된 차액을 대금결제 서버에 대행 지급시키는 대행서버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수신된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이 저장부에 저장된 전자화폐의 잔고금액보다 많은 경우, 신용결제 서버에 신용카드 정보 및 고유 식별번호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자화폐를 충전하며, 사용자에 대한 신용카드 정보가 저장하고, 충전된 전자화폐의 잔고부족 여부에 따라 신용카드 정보가 신용결제 서버로 전송되도록 설정하는 단계; 대금결제 서버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품 대금에 대한 전자화폐 결제 요청신호를 수신하며, 이동통신 단말기에 충전된 전자화폐의 금액으로부터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을 차감하여 결제하는 단계; 및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충전된 전자화폐의 잔고금액보다 많은 경우, 신용결제 서버가 대금결제 서버에 의해 결제되지 못한 나머지 금액을 대금결제 서버에 대행하여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방법의 일 실시예는,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충전된 전자화폐의 잔고금액보다 많은 경우, 대금결제 서버가 그 차액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잔고부족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방법의 일 실시예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대금결제 서버로부터 수신한 잔고부족 신호에 대응하여, 차액이 신용결제 서버에 의해 지급되도록 신용결제 서버에 대행 지급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자화폐를 충전하며, 사용자에 대한 신용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이동통신 단말기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대금결제 서버로부터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신된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이 저장된 전자화폐의 잔고금액보다 많은 경우에 그 차액을 계산하는 단계; 이동통신 단말기가, 저장된 전자화폐 금액을 대금결제 서버로 전송하여 상품 대금의 일부로 지급하는 단계; 및 이동통신 단말기가, 신용카드 정보에 기초하여 신용결제 서버를 연동시키며, 계산된 차액을 대금결제 서버에 대행 지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신된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이 저장된 전자화폐의 잔고금액보다 많은 경우에 신용결제 서버에 신용카드 정보 및 고유 식별번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전자상거래 및 오프라인 상거래에서의 결제 수단으로 이용하는 경우에, 충전된 전자화폐의 잔액이 부족하더라도 원하는 상품에 대한 거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 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이동통신 단말기(110), 대금결제 서버(120) 및 신용결제 서버(130)를 구비한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네트워크(140)에 연결된 쇼핑몰 서버(150)에 접속하여 온라인 상으로 상품을 구매하고 그에 대한 대금결제 청구를 할 수 있으며, 또한 네트워크(140)를 통해 연결된 가맹점의 판독기(160)에 접속하여 오프라인상에서 구매된 상품에 대한 대금결제 청구를 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140)는 블루투스(Bluetooth),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에 의한 근거리 무선망,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등에 의한 이동통신 망, WiBro(Wireless Broadband)와 같은 무선 인터넷 망과 같은 무선망뿐만 아니라, VAN(Value Added Network: 부가가치 통신망)와 같은 유선망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사용된다.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전자화폐가 충전되며, 사용자에 대한 신용카드 정보를 저장하고, 충전된 전자화폐의 잔고부족 여부에 따라 신용카드 정보가 신용결제 서버(130)로 전송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에 대한 신용카드 정보는, 사용자가 등록한 신용카드 번호, 신용카드와 연계된 거래은행 및 계좌정보, 결제일 정보, 인증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고유 식별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자화폐의 충전 및 신용카드 정보의 저장을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IC 카드를 탑재할 수 있으며, 또한 탑재된 IC 카드로의 접근을 인증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자에게 고유 식별번호로서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을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화폐라 함은 전자화된 코드로 저장하고 오프라인상에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T캐쉬, 전자지갑, 가상계좌에 저장하여 두고 온라인 상에서 현금처럼 사용하는 e-머니, 싸이버머니 등의 용어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따라서 오프라인상에서뿐만 아니라, 온라인 상에서도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전자화된 코드를 의미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상에서 상품을 구매하고 그에 대한 대금으로 전자화폐로 결제되도록 요청하는 경우, 대금결제 서버(120)는 이동 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전자화폐 결제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충전된 전자화폐의 금액으로부터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을 차감하여 결제한다. 즉, 대금결제 서버(120)는 사용자가 설정한 일정 금액의 현금을 전자화폐로 교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충전시키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상에서 구매한 상품에 대하여 충전된 전자화폐에서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을 인출하고, 인출된 전자화폐를 판매자에게 전달하여 상품 대금으로 결제한다. 판매자는 대금결제 서버(120)를 통해 전달받은 전자화폐를 현금과 같이 사용하거나, 현금으로 교환할 수 있다.
만일,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이용한 대금 결제시,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이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충전된 전자화폐의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대금결제 서버(120)는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과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충전된 전자화폐의 금액의 차액에 대한 정보와 함께, 결제 대금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리기 위한 잔고부족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잔고부족 신호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부족한 금액을 신용카드로 결제할 것인지 문의하는 문자메시지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신용카드 결제를 선택한 경우에 일차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충전된 전자화폐가 결제대금으로 사용되고 나머지 부족분에 대해 신용카드에 의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만일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신용카드 결제를 거절한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충전된 전자화폐에 의한 일차적인 대금결제도 차단되고, 따라서 해당하는 상품의 거 래는 거절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대금결제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잔고부족 신호에 대응하여,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과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충전된 전자화폐의 금액의 차액이 신용결제 서버(130)에 의해 지급 대행될 수 있도록, 신용결제 서버(130)에 대행 지급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용결제 서버(130)는 신용카드사에 의해 마련되어 운영되는 신용카드 결제신용결제 서버로서, 사용자의 신용에 따라 설정된 금액의 범위 내에서 사용자의 상품 구매대금을 대행하여 판매자에게 선지급하고, 일정한 기간 뒤에 그에 대한 대금을 사용자에게 후결제 요청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용결제 서버(130)는 상품 대금에 대한 전자화폐의 잔고부족 여부에 연동하여 동작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이용한 상품 대금의 결제 요청에 대하여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이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충전된 전자화폐의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대행 지급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일차적으로 대금결제 서버(120)에 의해 결제된 후 나머지 결제되지 못한 금액을 대행하여 대금결제 서버(120)에 지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대금결제 서버(120)에 전자화폐 결제를 요청하며, 대금결제 서버(120)가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충전된 전자화폐의 금액으로부터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을 차감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직접 자신에게 충전되어 있는 전자화폐의 금액으로부터 직접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 을 차감하도록 하며,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이 충전된 전자화폐의 금액보다 많은 경우에는 신용결제 서버(130)로 차액에 대한 결제를 신용카드로 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대금결제 방법인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방법은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시스템에 한정되어 실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된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사용자에 설정된 일정 금액을 전자화폐로 교환하여 충전하고 있으며, 또한 사용자에 대한 신용카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저장되는 신용카드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상품에 대한 대금을 결제시, 충전되어 있는 전자화폐의 잔고부족 여부에 따라 신용카드 정보가 신용결제 서버(130)로 전송되도록 설정된다(S201).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상에서 상품을 구매하고, 상품 대금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충전되어 있는 전자화폐로 결제를 하고자 요청하는 경우, 대금결제 서버(120)는 쇼핑몰 서버(150) 또는 판매자의 판독기(160)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의해 발신된 전자화폐 결제 요청신호를 수신한다(S203). 이때, 대금결제 서버(120)에 의해 수신되는 전자화폐 결 제 요청신호에는 상품 대금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충전된 전자화폐의 금액이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 이상인 경우(S207), 대금결제 서버(12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충전된 전자화폐의 금액으로부터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을 인출하여 차감하고, 그 인출된 전자화폐의 금액을 상품 대금의 결제 금액으로 사용한다(S207).
만일,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이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충전된 전자화폐의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대금결제 서버(120)는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과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충전된 전자화폐의 금액의 차액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잔고부족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S209). 이와 같은 잔고부족 신호는 차액에 대한 신용카드 결제 여부를 문의하는 문자메시지와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대금결제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잔고부족 신호에 대응하여 그 차액이 신용결제 서버(130)에 의해 지급되도록 지시하는 대행 지급 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211).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대행 지급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신용결제 서버(130)는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과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충전된 전자화폐의 금액의 차액을 대행하여 지급한다(S213).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 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시스템은,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다만, 이와 같은 대금결제 시스템은 저장부(210), 결제금액 수신부(220), 계산부(230), 연동부(240) 및 전송부(250)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의해 수행된다.
저장부(21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일정 금액의 현금을 전자화폐로 교환하여 충전하며, 사용자에 대한 신용카드 정보를 함께 저장한다.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상에서 구매한 상품에 대한 대금을 전자화폐로 결제하고자 하는 경우, 결제금액 수신부(22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발신된 전자화폐 결제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네트워크(140)를 통해 연결된 대금결제 서버(120)로부터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정보를 수신한다.
계산부(230)는 대금결제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과 저장부(210)에 충전되어 있는 전자화폐의 금액을 비교하며,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이 충전되어 있는 전자화폐의 잔고금액보다 많은 경우 그 차액을 계산한다. 이때, 전송부(250)는 저장부(21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신용카드 정보와 함께, 사용자의 인증을 위한 고유 식별번호를 신용결제 서버(130)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동부(240)는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이 충전되어 있는 전자화폐의 잔고금액보다 많은 경우, 상품 대금의 일부로 저장부(210)에 충전되어 있는 전자화폐 금액을 대금결제 서버(120)에 지급하고, 저장부(210)에 저장된 신용카드 정보에 기초하여 신용결제 서버(130)를 연동시킨다. 이때, 연동부(240)는 계산부(230)에 의해 계산된 차액이 신용결제 서버(130)에 의해 대금결제 서버(120)로 지급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3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대금결제 방법인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방법은 도 3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시스템에 한정되어 실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된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저장부(21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일정금액의 현금을 전자화폐로 교환하여 충전하고 있으며, 사용자에 대한 신용카드 정보를 저장한다(S401).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상에서 구매한 상품에 대한 대금을 전자화폐로 결제하고자 하는 경우, 결제금액 수신부(22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발신된 전자화폐 결제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네트워크(140)를 통해 연결된 대금결제 서버(120)로부터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정보를 수신한다(S403).
계산부(230)는 대금결제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과 저장부(210)에 충전되어 있는 전자화폐의 금액을 비교하며(S405), 저장부(210)에 충전되어 있는 전자화폐의 금액이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 이상인 경우에는 저장부(210)에 충전된 전자화폐 금액에서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 금액을 인출하여 차감시키고, 인출된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 금액을 대금결제 서버(120)로 전송하여 상품 대금으로 결제시킨다(S407).
그러나,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이 저장부(210)에 충전되어 있는 전자화폐의 잔고금액보다 많은 경우, 전송부(250)는 저장부(21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에 대한 신용카드 정보 및 사용자의 인증을 위한 고유 식별번호를 신용결제 서버(130)로 전송한다(S409). 또한, 계산부(230)는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과 저장부(210)에 충전되어 있는 전자화폐의 금액의 차액을 계산한다(S411).
연동부(240)는 상품 대금의 일부로 저장부(210)에 충전되어 있는 전자화폐 금액을 대금결제 서버(120)에 전송하여 지급하고, 저장부(210)에 저장된 신용카드 정보에 기초하여 신용결제 서버(130)를 연동시킨다(S413). 또한, 연동부(240)는 계산부(230)에 의해 계산된 차액이 신용결제 서버(130)에 의해 대금결제 서버(120)로 지급되도록 한다.
이로써,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상에서 상품을 구매하고 그에 대한 대금을 결제하는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에 충전된 전자화폐의 금액이 부족하더라도 다른 수단을 이용하여 거래를 계속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시스템분야, 이동통신 단말기 분야 등에 적용되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상에서 상품을 구매하고 그에 대한 대금을 결제하는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에 충전된 전자화폐의 금액이 부족하더라도 다른 수단을 이용하여 거래를 계속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발생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대금결제 방법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도 3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대금결제 방법을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200: 이동통신 단말기 120: 대금결제 서버
130: 신용결제 서버 140: 네트워크
150: 쇼핑몰 서버 160: 판독기
210: 저장부 220: 결제금액 수신부
230: 계산부 240: 연동부
250: 전송부

Claims (11)

  1. 전자화폐가 충전되며, 사용자에 대한 신용카드 정보가 저장되고, 충전된 상기 전자화폐의 잔고부족 여부에 따라 상기 신용카드 정보가 전송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품 대금에 대한 전자화폐 결제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충전된 상기 전자화폐의 금액으로부터 상기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을 차감하여 결제하는 대금결제 서버; 및
    상기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이 충전된 상기 전자화폐의 잔고금액보다 많은 경우, 상기 대금결제 서버에 의해 결제되지 못한 나머지 금액을 상기 대금결제 서버에 대행하여 지급하며, 상기 사용자에게 후결제 요청하는 신용결제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대금결제 서버는,
    상기 상품 대금이 충전된 상기 전자화폐의 잔고금액보다 많은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상품 대금과 충전된 전자화폐의 잔고금액과의 차액에 대한 정보와, 상기 신용카드로 상기 차액에 대해 후결제를 진행할지 여부에 대한 잔고부족 신호를 문자메시지 형태로 전송하며,
    상기 후결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신용카드 결제를 거부하는 경우, 전자화폐의 결제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금결제 서버는,
    상기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이 충전된 상기 전자화폐의 잔고금액보다 많은 경우, 그 차액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잔고부족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시 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대금결제 서버로부터 수신한 잔고부족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차액이 상기 신용결제 서버에 의해 지급되도록 상기 신용결제 서버에 대행 지급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시스템.
  4. 전자화폐가 충전되며, 사용자에 대한 신용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대금결제 서버로부터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정보를 수신하는 결제금액 수신부;
    수신된 상기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전자화폐의 잔고금액보다 많은 경우, 그 차액을 계산하는 계산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전자화폐 금액을 상기 대금결제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상품 대금의 일부로 지급하고, 상기 신용카드 정보에 기초하여 신용결제 서버를 연동시키며, 계산된 상기 차액을 상기 대금결제 서버에 대신 지급시키는 대행서버 연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 대금이 상기 저장부에 충전된 전자화폐의 잔고금액보다 많은 경우, 상기 대금결제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 대금과 충전된 전자화폐의 잔고금액과의 차액에 대한 정보와, 상기 신용카드로 상기 차액에 대해 대금결제를 진행할지 여부에 대한 잔고부족 신호를 문자메시지 형태로 전송받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액을 신용카드 결제하는 것을 거절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전자화폐 금액을 상기 상품 대금의 일부로 지급하는 결제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4항에 있어서,
    수신된 상기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전자화폐의 잔고금액보다 많은 경우, 상기 신용결제 서버에 상기 신용카드 정보 및 고유 식별번호를 전송하는 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자화폐를 충전하며, 사용자에 대한 신용카드 정보를 저장하고, 충전된 상기 전자화폐의 잔고부족 여부에 따라 상기 신용카드 정보가 신용결제 서버로 전송되도록 설정하는 단계;
    대금결제 서버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품 대금에 대한 전자화폐 결제 요청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충전된 상기 전자화폐의 금액으로부터 상기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을 차감하여 결제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충전된 상기 전자화폐의 잔고금액보다 많은 경우, 상기 신용결제 서버가 상기 대금결제 서버에 의해 결제되지 못한 나머지 금액을 상기 대금결제 서버에 대행하여 지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 대금이 충전된 상기 전자화폐의 잔고금액보다 많은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대금결제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 대금과 충전된 전자화폐의 잔고금액과의 차액에 대한 정보와, 상기 신용카드로 상기 차액에 대해 대금결제를 진행할지 여부에 대한 잔고부족 신호를 문자메시지 형태로 전송받고,
    상기 사용자가 신용카드 결제를 거절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을 차감하여 결제하는 것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충전된 상기 전자화폐의 잔고금액보다 많은 경우, 상기 대금결제 서버가 그 차액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잔고부족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대금결제 서버로부터 수신한 잔고부족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차액이 상기 신용결제 서버에 의해 지급되도록 상기 신용결제 서버에 대행 지급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방법.
  9.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방법에 있어서,
    전자화폐를 충전하며, 사용자에 대한 신용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대금결제 서버로부터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이 저장된 상기 전자화폐의 잔고금액보다 많은 경우에 그 차액을 계산하는 단계;
    저장된 상기 전자화폐 금액을 상기 대금결제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상품 대금의 일부로 지급하는 단계; 및
    상기 신용카드 정보에 기초하여 신용결제 서버를 연동시키며, 계산된 상기 차액을 상기 대금결제 서버에 대행 지급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 대금이 충전된 상기 전자화폐의 잔고금액보다 많은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대금결제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 대금과 충전된 전자화폐의 잔고금액과의 차액에 대한 정보와, 상기 신용카드로 상기 차액에 대해 대금결제를 진행할지 여부에 대한 잔고부족 신호를 문자메시지 형태로 전송받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신용카드 결제를 거부하는 경우, 상기 전자화폐 금액을 상기 대금결제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상품 대금의 일부로 지급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신된 상기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이 저장된 상기 전자화폐의 잔고금액보다 많은 경우에 상기 신용결제 서버에 상기 신용카드 정보 및 고유 식별번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방법.
  11. 전자화폐가 충전되며, 사용자에 대한 신용카드 정보가 저장되고, 충전된 상기 전자화폐의 잔고부족 여부에 따라 상기 신용카드 정보가 전송되도록 설정되고, 상품 대금에 대해 전자화폐로 결제하는 경우에 충전된 상기 전자화폐의 금액으로부터 상기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을 차감하여 결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이 충전된 상기 전자화폐의 잔고금액보다 많은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결제되지 못한 나머지 금액을 대신하여 지급하며, 상기 사용자에게 후결제 요청하는 신용결제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 대금이 충전된 상기 전자화폐의 잔고금액보다 많은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대금결제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 대금과 충전된 전자화폐의 잔고금액과의 차액에 대한 정보와, 상기 신용카드로 상기 차액에 대해 후결제를 진행할지 여부에 대한 잔고부족 신호를 문자메시지 형태로 전송받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신용카드 결제를 거절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상품 대금에 해당하는 전자화폐의 금액을 차감하여 결제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시스템.
KR1020090095616A 2009-10-08 2009-10-08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시스템, 거기에 이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대금결제 방법 KR101429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616A KR101429618B1 (ko) 2009-10-08 2009-10-08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시스템, 거기에 이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대금결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616A KR101429618B1 (ko) 2009-10-08 2009-10-08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시스템, 거기에 이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대금결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358A KR20110038358A (ko) 2011-04-14
KR101429618B1 true KR101429618B1 (ko) 2014-08-12

Family

ID=44045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616A KR101429618B1 (ko) 2009-10-08 2009-10-08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시스템, 거기에 이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대금결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96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119375D0 (en) 2011-11-10 2011-12-21 Merburn Ltd Financial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CN112712359B (zh) * 2020-12-31 2024-01-12 深圳市证通电子股份有限公司 货币的收款方法、收款装置及可读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1488A (ko) * 2000-09-15 2002-03-21 이경우 직불 겸용 방식의 신용 카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99088A (ko) * 2003-05-16 2004-11-26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선불카드 자동 충전 및 결제 방법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1488A (ko) * 2000-09-15 2002-03-21 이경우 직불 겸용 방식의 신용 카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99088A (ko) * 2003-05-16 2004-11-26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선불카드 자동 충전 및 결제 방법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358A (ko) 201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54579A1 (en) Compact Payment Terminal
US20140372300A1 (en) Smart card electronic wallet system
EP1271435A2 (en) Authentication and access control system
US200500276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tivating or changing the status of an account associated with a prepaid card
KR20170056496A (ko) 전자화폐 충전서비스 시스템, 전자화폐 충전서버 및 그 충전방법
CN102257524A (zh) 用于在移动设备之间进行支付和非支付虚拟卡传送的系统、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KR101404719B1 (ko) 국가별 금융사 식별 번호를 이용하는 국제 선불 카드의 결제 시스템 및 국제 선불 카드의 결제 방법
KR100792959B1 (ko) Ic카드를 이용하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의 충전,지불 및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945415B1 (ko) 해외카드의 결제 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카드단말장치
KR100338483B1 (ko) 전자지갑 자동 충전 및 징수장치와 그 처리방법
KR20070026939A (ko) 한 개의 카드번호를 이용한 마일리지 포인트, 전자화폐,전자상품권, 선불카드, 직불카드 및 타 신용카드의통합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85495A (ko) 상거래상에서의 거스름돈 적립 및 활용 방법
KR101891805B1 (ko)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카드 월렛 어플리케이션, 카드 서비스 시스템과 서비스 방법
KR20090129385A (ko) 신용카드 결제 기능과 선불카드 결제 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카드의 결제 방법
KR101681002B1 (ko) 멀티전자지갑 선불카드와 허브코드 기반 전자지갑 간의 간편 결제 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00447A (ko) 결제 정보를 가지는 무선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버추얼카드 발급 방법
KR101709438B1 (ko) 신용카드 선승인 충전을 이용한 선불 모바일 전자화폐 사용금액의 신용결제 방법
KR101429618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시스템, 거기에 이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대금결제 방법
JP2001034691A (ja) 携帯端末による代金支払システム
KR101188890B1 (ko) 가상계좌를 이용한 거래 수행 방법 및 거래 수행 시스템
KR20010094889A (ko) 카드매체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거래실적 통합 관리시스템
KR20170073566A (ko) 신용카드 선승인 충전을 이용한 선불 모바일 전자화폐 사용금액의 신용결제 방법
KR101803075B1 (ko) 모바일 카드의 클론 카드 저장장치, 카드 월렛 어플리케이션, 클론 카드 발급 시스템 및 방법
US20140201014A1 (en) Process for payment by cell phone to a merchant object of the invention
KR20110080960A (ko) 선불형 카드의 전자화폐 충전 시스템, 충전장치 및 그 충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