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5730A - 저장탱크 - Google Patents

저장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5730A
KR20120075730A KR1020100137522A KR20100137522A KR20120075730A KR 20120075730 A KR20120075730 A KR 20120075730A KR 1020100137522 A KR1020100137522 A KR 1020100137522A KR 20100137522 A KR20100137522 A KR 20100137522A KR 20120075730 A KR20120075730 A KR 20120075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fluid
sensor
stored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7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규섭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7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5730A/ko
Publication of KR20120075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57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외부의 오염원으로부터 저장탱크의 오염을 방지하고 저장탱크의 세척이 용이하도록 하여 위생성이 향상된 저장탱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저장탱크는 제1탱크(200); 상기 제1탱크(20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유체가 유입되어 저장되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제2탱크(300); 및 상기 제1탱크(2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탱크(300)에 소정 양의 유체가 저장되어 상기 제2탱크(300)가 하강되면 접촉되어 동작하도록 구성된 센서(400);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물 등의 유체가 저장되는 제2탱크가 외부의 오염원으로부터 오염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제2탱크에 저장되는 유체의 양에 따라 제2탱크가 하강되면 접촉되어 작동되는 센서가 제1탱크에 구비되도록 하여 물 등의 유체가 저장되는 제2탱크가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저장탱크의 세척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고, 저장탱크의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저장탱크{STORAGE TANK}
본 발명은 물 등의 유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의 오염원으로부터 저장탱크의 오염을 방지하고 저장탱크의 세척이 용이하도록 하여 위생성이 향상된 저장탱크에 관한 것이다.
저장탱크는 물 등의 유체가 유입되어 저장되고 저장된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저장탱크는 정수기 등의 제품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다. 정수기 등의 내부에 저장탱크가 구비되면 외부의 오염원으로부터 저장탱크가 오염되는 것이 어느 정도 방지되나, 외부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외부의 오염원으로부터 저장탱크가 오염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저장탱크에는 저장탱크에 저장된 유체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 등이 저장탱크에 연결된다. 따라서, 예컨대 저장탱크의 세척을 위해서 저장탱크를 정수기 등의 제품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전술한 센서 등을 저장탱크로부터 분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저장탱크의 분리가 용이하지 못하거나 분리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저장탱크의 세척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고, 이에 따라 저장탱크의 위생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물 등의 유체가 저장되는 제2탱크가 제1탱크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물 등의 유체가 저장되는 제2탱크가 외부의 오염원으로부터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제2탱크에 저장되는 유체의 양에 따라 제2탱크가 하강되면 접촉되어 작동되는 센서가 제1탱크에 구비되도록 하여 물 등의 유체가 저장되는 제2탱크가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저장탱크의 세척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저장탱크의 위생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저장탱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유체가 저장되는 제2탱크가 제1탱크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제2탱크에 저장된 유체의 양에 따라 제2탱크가 하강되면 접촉되어 작동된는 센서가 제1탱크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는 제1탱크; 제1탱크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유체가 유입되어 저장되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제2탱크; 및 제1탱크의 하부에 구비되며 제2탱크에 소정 양의 유체가 저장되어 제2탱크가 하강되면 접촉되어 동작하는 센서;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탱크의 하부에는 제2탱크를 탄성지지하도록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탱크와 제2탱크 사이의 하부에는 누수감지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는 제1탱크; 제1탱크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유체가 유입되어 저장되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하부가 다단부로 이루어진 제2탱크; 및 제2탱크에 저장된 유체의 양에 따라 제2탱크가 하강되면 제2탱크의 다단부에 순차로 접촉되어 작동되도록 제1탱크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센서;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탱크에는 제2탱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복수개의 센서 중 일부의 센서가 구비되는 지지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 등의 유체가 저장되는 제2탱크가 제1탱크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 등의 유체가 저장되는 제2탱크가 외부의 오염원으로부터 오염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탱크에 저장되는 유체의 양에 따라 제2탱크가 하강되면 접촉되어 작동되는 센서가 제1탱크에 구비되도록 하여 물 등의 유체가 저장되는 제2탱크가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저장탱크의 세척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탱크의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탱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탱크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탱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4와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탱크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저장탱크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유체가 저장되는 제2탱크가 제1탱크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제2탱크에 저장된 유체의 양에 따라 제2탱크가 하강되면 접촉되어 작동되는 센서가 제1탱크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장탱크(100)는 제1탱크(200), 제2탱크(300) 및, 센서(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탱크(200)는 도1과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제1탱크본체(200a)와, 제1탱크본체(200a)의 개방된 일측을 덮는 제1탱크커버(200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1탱크(20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할 제2탱크(30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제1탱크본체(200a)에는 후술할 제2탱크(300)에 연결되는 유입관(310)과 배출관(320)이 이동가능하도록 이동구멍(210,220)이 형성될 수 있다.
도1과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탱크(300)는 제1탱크(200), 즉 제1탱크(200)의 제1탱크본체(200a)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1탱크(200)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동가이드(G)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동가이드(G)에도 배출관(320)이 이동가능하도록 이동구멍(H)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 등의 유체가 저장되는 제2탱크(300)가 제1탱크(20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기 때문에, 저장탱크(100)가 정수기 등의 제품(도시되지 않음)의 외부에 구비된다고 하더라도 외부의 오염원으로부터 제2탱크(300)가 오염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물 등의 유체가 저장되는 제2탱크(300)의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2탱크(300)는 도1과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제2탱크본체(300a)와, 제2탱크본체(300a)의 개방된 일측을 덮는 제1탱크커버(300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2탱크(30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할 바와 같이 물 등의 유체가 유입되어 저장되고 외부로 배출되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2탱크(300)는 물 등의 유체가 유입되어 저장되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1과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탱크(300)에는 유체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유입관(310)과, 콕크나 파우셋 등의 배출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는 배출관(320)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체공급원에 저장된 물 등의 유체가 유입관(310)을 통해 제2탱크(300)의 제2탱크본체(300a)에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탱크(300)의 제2탱크본체(300a)에 저장된 물 등의 유체는 배출관(3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제1탱크(200)의 제1탱크커버(200b)와 제2탱크(300)의 제2탱크커버(300b)에는 필터부재(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 공기구멍(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관(310)을 통해 제2탱크(300)로 물 등의 유체가 유입되는 경우 제2탱크(300) 내의 공기가 공기구멍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어서, 유입관(310)을 통한 제2탱크(300) 내로의 물 등의 유체의 유입이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배출관(320)을 통해 제2탱크(300)에 저장된 물 등의 유체가 배출되는 경우 외부의 공기가 공기구멍을 통해 제2탱크(300) 내로 유입될 수 있어서, 제2탱크(300)에 저장된 물 등의 유체가 배출관(3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센서(400)는 도1과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탱크(20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310)을 통해 제2탱크(300)에 소정 양의 유체가 유입되고 저장되어 제2탱크(300)가 하강되면 접촉되어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탱크(300)에 소정 양의 물 등의 유체가 유입되어 저장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탱크(300)에 저장된 물 등의 유체의 양을 측정하는 센서(400)가 제2탱크(300)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제2탱크(300)의 외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물 등의 유체가 저장되는 제2탱크(30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즉, 제1탱크(200)의 제1탱크커버(200b)를 분리한 후 제2탱크(300)에서 유입관(310)과 배출관(320)을 분리하면 제2탱크(300)를 제1탱크(20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탱크(30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제2탱크(300)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따라서, 물 등의 유체가 저장되는 제2탱크(300)의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1과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센서(400)는 센서본체(410), 센서본체(410)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되는 선회부재(420), 선회부재(420)의 선회에 의해서 작동되는 스위치(430), 및 센서본체(410)와 선회부재(420)에 연결되는 탄성부재(4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센서(400)의 구성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2탱크(300)에 소정 양의 유체가 유입되고 저장되어 제2탱크(300)가 하강되면 접촉되어 동작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1탱크(200)의 하부에는 도1과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탄성부재(5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탱크(300)가 탄성부재(500)에 의해서 탄성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도1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탱크(300)에 물 등의 유체가 유입되어 저장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탄성부재(500)의 탄성력에 의해서 제2탱크(300)가 상승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도1과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탱크(200)와 제2탱크(300) 사이의 하부에는 누수감지센서(6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탱크(300)에 저장된 물 등의 유체가 누수되면, 이를 누수감지센서(600)가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탱크(300), 즉 제2탱크(300)의 탱크본체(300a)의 하부는 다단부(300c,300d)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2탱크(300)의 하부가 2단부로 이루어져 있지만, 제2탱크(300)의 하부는 3단부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제1탱크(200)의 하부에는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복수개의 센서(400,40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탱크(300)에 저장된 유체의 양에 따라 제2탱크(300)가 하강되면, 제2탱크(300)의 다단부(300c,300d)에 순차로 접촉되어 작동될 수 있다.
센서(400') 또한 전술한 센서(400)와 같이 센서본체(410'), 선회부재(420'), 스위치(430') 및, 탄성부재(4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복수개의 센서(400,400') 중 일부의 센서(400')는 지지부재(700)에 구비될 수 있고, 지지부재(700)는 탄성부재(500')에 의해서 탄성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탱크(300)의 일부에 물 등의 유체가 저장되어 제2탱크(300)가 하강되면, 제2탱크(300)의 다단부(300c)가 센서(400')에 접촉되어 작동된다. 이에 따라, 제2탱크(300)의 일부에 물 등의 유체가 저장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탱크(300)에 소정 양의 물이 저장되어 제2탱크(300)가 더 하강되면, 제2탱크(300)의 다단부(300d)가 센서(400)에 접촉되어 작동된다. 이에 따라, 제2탱크(300)에 소정 양의 물 등의 유체가 저장된 것을 알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다단부(300c,300d)가 2단이기 때문에, 센서(400,400')가 2개 구비되어 있지만, 다단부(300c,300d)가 3단 이상이면, 센서(400,400')는 3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장탱크(100)를 사용하면, 물 등의 유체가 저장되는 제2탱크가 외부의 오염원으로부터 오염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제2탱크에 저장되는 유체의 양에 따라 제2탱크가 하강되면 접촉되어 작동되는 센서가 제1탱크에 구비되도록 하여 물 등의 유체가 저장되는 제2탱크가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저장탱크의 세척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고, 저장탱크의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저장탱크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저장탱크 200 : 제1탱크
200a : 제1탱크본체 200b : 제1탱크커버
210,220,H : 이동구멍 300 : 제2탱크
300a : 제2탱크본체 300b : 제2탱크커버
300c,300d : 다단부 310 : 유입관
320 : 배출관 400,400' : 센서
410,410' : 센서본체 420,420' : 선회부재
430,430' : 스위치 440,440',500,500' : 탄성부재
600 : 누수감지센서 700 : 지지부재
G : 이동가이드

Claims (5)

  1. 제1탱크(200);
    상기 제1탱크(20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유체가 유입되어 저장되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제2탱크(300); 및
    상기 제1탱크(2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탱크(300)에 소정 양의 유체가 저장되어 상기 제2탱크(300)가 하강되면 접촉되어 동작하는 센서(4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저장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탱크(200)의 하부에는 상기 제2탱크(300)를 탄성지지하도록 탄성부재(5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탱크(200)와 제2탱크(300) 사이의 하부에는 누수감지센서(6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4. 제1탱크(200);
    상기 제1탱크(20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유체가 유입되어 저장되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하부가 다단부(300c,300d)로 이루어진 제2탱크(300); 및
    상기 제2탱크(300)에 저장된 유체의 양에 따라 상기 제2탱크(300)가 하강되면 상기 제2탱크(300)의 다단부(300c,300d)에 순차로 접촉되어 작동되도록 상기 제1탱크(200)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센서(400,4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저장탱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탱크(200)에는 상기 제2탱크(300)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500)와, 상기 복수개의 센서(400,400') 중 일부의 센서(400')가 구비되는 지지부재(700)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5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KR1020100137522A 2010-12-29 2010-12-29 저장탱크 KR201200757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522A KR20120075730A (ko) 2010-12-29 2010-12-29 저장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522A KR20120075730A (ko) 2010-12-29 2010-12-29 저장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730A true KR20120075730A (ko) 2012-07-09

Family

ID=46709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7522A KR20120075730A (ko) 2010-12-29 2010-12-29 저장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57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3653A (ko) * 2013-12-23 2015-07-01 코웨이 주식회사 물저장탱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3653A (ko) * 2013-12-23 2015-07-01 코웨이 주식회사 물저장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56270B (zh) 一种具有活动式净水箱的净水器
KR20130040039A (ko) 컴팩트하고 운용성을 높이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JP2005046309A (ja) 洗浄剤供給装置
CN205894189U (zh) 一种过滤排渣组件及具有其的清洗水槽
KR20120075730A (ko) 저장탱크
KR101335309B1 (ko) 역세척라인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CN105833588B (zh) 一种过滤器的反冲洗装置
CN108261833A (zh) 一种自动弹出滤芯且自动切换水路的水机
KR20120063881A (ko) 벽걸이형 공기청정기
ATE544501T1 (de) Filtersystem mit abreinigungsvorrichtung
JP2012096172A (ja) 浄水器
CN208493838U (zh) 一种膜接触器装置
CN208348963U (zh) 一种用于煤气管道的排水器
JP6449130B2 (ja) 浸漬型検出器の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KR20170060637A (ko) 필터의 누수방지구조
JP2009119343A (ja) タンク収納装置
CA2681513A1 (en) Easily-drainable dehumidifier
JP2013230217A (ja) 小型電気機器の洗浄装置
CN104275025B (zh) 净水器集水容器与机座的锁定装置
KR101702671B1 (ko) 정수기
KR101106580B1 (ko) 유로어댑터
KR20140096422A (ko) 응축수 배출기
CN209583786U (zh) 一种厨房污水回收装置
JP6685507B2 (ja) 機能水生成機
JP5456595B2 (ja) レバーフロート式ドレントラ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