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5373A - 기기 개폐 기구 및 정보 기기 - Google Patents

기기 개폐 기구 및 정보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5373A
KR20120075373A KR1020110138601A KR20110138601A KR20120075373A KR 20120075373 A KR20120075373 A KR 20120075373A KR 1020110138601 A KR1020110138601 A KR 1020110138601A KR 20110138601 A KR20110138601 A KR 20110138601A KR 20120075373 A KR20120075373 A KR 20120075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older
slide
fixed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8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까히로 도쯔까
아끼라 하나쯔까
신고 하라다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75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53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슬라이드 기구 및 힌지 기구를 병용하고, 조작성을 높인 기기 개폐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기 개폐 기구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속하고, 폐쇄 상태와 개방 상태 사이에서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위치 상태를 천이시키는 슬라이드 기구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는 힌지 기구를 구비한다. 슬라이드 기구는, 제1 하우징에 고정된 제1 홀더와, 제2 하우징에 고정되며, 제1 홀더를 슬라이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홀더와, 일단부가 제1 홀더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제2 홀더에 고정되고, 슬라이드시의 움직임에 따라 신축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는,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슬라이드 도중 상태에서 가장 수축하고, 폐쇄 상태에서의 신장량이 개방 상태에서의 신장량보다 작아진다. 힌지 기구는,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이 개방 상태로 되었을 때 기능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기기 개폐 기구 및 정보 기기{APPARATUS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AND INFORM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기기 개폐 기구 및 정보 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을 구비하는 정보 기기의 개폐 기구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휴대 전화기나 PDA 등의 휴대 정보 단말기나, 모바일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기기에 있어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제1 하우징과, 입력 키나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키보드를 구비하는 제2 하우징을 연결한 구성의 기기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 기기에서는, 사용 형태에 따라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슬라이드시키거나 회전시키거나 함으로써, 표시부에 표시된 정보를 보기 쉽게 하거나, 입력 키 등으로부터의 정보의 입력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는, 디스플레이를 갖는 제1 컴포넌트와, 키보드를 갖는 제2 컴포넌트와, 제1 및 제2 전자 컴포넌트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또한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는 커플링으로 이루어지는 전자 디바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개폐할 수 있고, 개방 상태에서 제2 하우징을 제1 하우징에 대하여 들어올리게 하는 것이 가능한 개폐 장치를 구비한 휴대 정보 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13067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10-87991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정보 기기에 있어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속하는 슬라이드 기구를 유저에게 보이지 않도록 하면,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최대한 어긋나게 한 최대 슬라이드량을 크게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을 제2 하우징에 대하여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노출되는 제2 하우징의 일부에 키보드를 설치한 경우, 당해 키보드의 크기는 최대 슬라이드량에 의해 제약된다. 이 때문에, 키의 입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키보드의 크기를 크게 하려고 해도 최대 슬라이드량의 제약을 받게 되어, 키보드의 크기를 작게 해야만 하였다.
또한, 책상 위에 정보 기기를 두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종래의 클램쉘(clamshell)형의 퍼스널 컴퓨터와 같이, 제1 하우징에 설치된 표시부와 제2 하우징에 설치된 키보드에 각도를 부여할 수 있으면 사용하기 쉬워진다. 그러나,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하는 힌지 기구를 상기의 슬라이드 기구와 함께 설치한 경우에는, 힌지 기구의 설치 위치에 의한 문제가 발생한다.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슬라이드시켜, 각각의 단부(세트 단부)가 겹친 위치에서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이 회전 가능하게 되는 위치에 힌지 기구를 설치하면, 슬라이드 기구를 숨길 수 없게 된다. 한편, 세트 단부 이외의 위치에 힌지 기구를 설치하면, 힌지 기구를 설치하기 위해서 하우징의 일부를 절결할 필요가 있어, 정보 기기의 디자인을 손상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바는, 슬라이드 기구 및 힌지 기구를 병용하고, 또한 조작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한, 신규이면서도 개량된 기기 개폐 기구 및 정보 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어느 한 관점에 의하면,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속하고,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겹치는 영역이 최대로 되는 폐쇄 상태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겹치는 영역이 최소로 되는 개방 상태 사이에서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위치 상태를 천이시키는 슬라이드 기구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는 힌지 기구를 구비하고, 슬라이드 기구는, 제1 하우징에 고정된 제1 홀더와, 제2 하우징에 고정되며, 제1 홀더를 슬라이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홀더와, 일단부가 제1 홀더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제2 홀더에 고정되어 있고,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슬라이드시의 움직임에 따라 신축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탄성 부재는,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슬라이드 도중 상태에서 가장 수축되고, 폐쇄 상태에서의 신장량이 개방 상태에서의 신장량보다 작아지도록 설치되고, 힌지 기구는,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이 개방 상태로 되었을 때 기능 가능하게 되는 기기 개폐 기구가 제공된다.
여기서, 제1 홀더와 제2 홀더의 슬라이드 방향에서의 폭의 차분은, 1/3보다 작게 해도 된다.
또한, 힌지 기구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회전 중심으로 되는 회전축과, 한쪽이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다른 쪽이 회전축에 고정되는, 제1 홀더에 고정된 제1 고정부 및 제2 홀더에 고정된 제2 고정부와, 일단부가 제1 고정부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제2 고정부에 고정되어 있고,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회전 방향으로 토크를 발생하는 토크 부재와,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회전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해하는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마찰 부재를 포함하고, 마찰 부재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이루는 각인 개폐각이 소정 각도 이하는 토크 부재에 의해 발생되는 토크 이하이고, 개폐각이 소정 각도보다 커졌을 때, 토크 부재에 의해 발생되는 토크보다 커지도록 해도 된다.
이때, 토크 부재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고, 마찰 부재는, 회전축 방향으로 병설하여 설치된 2개의 캠과, 2개의 캠을 가압하는 마찰 탄성 부재를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개방 상태에서는,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천이시킬 때 압입되어 제1 하우징 상을 슬라이드하는 제1 하우징의 단부인 후단부를, 슬라이드 방향에서의 힌지 기구의 회전축의 위치보다, 압입 방향에 위치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1 홀더는,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슬라이드 시에, 제1 하우징과 대향하는 제2 하우징의 면 상을 회전하는 롤러를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롤러는, 예를 들어 탄성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힌지 기구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회전 중심으로 되는 회전축과, 한쪽이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다른 쪽이 회전축에 고정되는, 제1 홀더에 고정된 제1 고정부 및 제2 홀더에 고정된 제2 고정부와,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회전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해하는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마찰 부재를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제1 하우징과, 제1 하우징과 중첩하여 설치되며, 조작 입력이 행해지는 입력부를 구비하는 제2 하우징과,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속하고,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겹치는 영역이 최대로 되는 폐쇄 상태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겹치는 영역이 최소로 되는 개방 상태 사이에서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위치 상태를 천이시키는 슬라이드 기구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는 힌지 기구를 포함하는 기기 개폐 기구를 구비하고, 기기 개폐 기구의 슬라이드 기구는, 제1 하우징에 고정된 제1 홀더와, 제2 하우징에 고정되며, 제1 홀더를 슬라이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홀더와, 일단부가 제1 홀더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제2 홀더에 고정되어 있고,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슬라이드시의 움직임에 따라 신축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탄성 부재는,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슬라이드 도중 상태에서 가장 수축되고, 폐쇄 상태에서의 신장량이 개방 상태에서의 신장량보다 작아지도록 설치되고, 힌지 기구는,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이 개방 상태로 되었을 때 기능 가능하게 되는 정보 기기가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드 기구 및 힌지 기구를 병용하고, 또한 조작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한 기기 개폐 기구 및 정보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기기의 디폴트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기기의 슬라이드 도중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3은 동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기기의 슬라이드 완료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4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기기의 틸트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정보 기기의 제1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로서, 디폴트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6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정보 기기의 제1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로서, 슬라이드 도중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7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정보 기기의 제1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로서, 슬라이드 완료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8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정보 기기의 제1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로서, 틸트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9는 디스플레이 홀더와 베이스 홀더의 크기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0은 베이스 홀더에 대한 디스플레이 홀더의 가동 범위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1은 디폴트 상태, 슬라이드 도중 상태 및 슬라이드 완료 상태에서의 롤러의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2는 디폴트 상태, 슬라이드 완료 상태 및 틸트 상태에서의 힌지 기구의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3은 힌지 기구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측면도.
도 14는 디폴트 상태, 슬라이드 완료 상태, 팝업 상태 및 틸트 상태에서의 힌지 기구의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하는 것으로 한다.
1. 정보 기기의 개략 구성
2. 슬라이드 기구
3. 힌지 기구
<1. 정보 기기의 개략 구성>
우선,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기기(100)의 개략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기기(100)의 디폴트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기기(100)의 슬라이드 도중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기기(100)의 슬라이드 완료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기기(100)의 틸트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기기(100)는, 표시부(112)를 구비하는 제1 하우징(110)과, 키보드(122)를 구비하는 제2 하우징(120)이 이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은, 예를 들어 각각 평판 형상으로 되어 있고, 동일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은, 정보 기기(100)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120) 상에 제1 하우징(110)이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즉,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은 z 방향으로 적층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때, 제1 하우징(110)에 설치된 표시부(112)가 기기 외부측에 있도록(즉, 제2 하우징(120)과 대향하는 면과 반대측의 면에 있도록), 제1 하우징(110)은 제2 하우징에 대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유저는, 정보 기기(100)가 폐쇄되어 있는 디폴트 상태에서도, 표시면(112)에 표시되는 콘텐츠 등의 정보를 시인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은, 슬라이드 기구[도 6의 부호 160 참조]에 의해 소정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하우징(110)은, 슬라이드 기구에 의해, 제2 하우징(120)에 대하여 슬라이드 방향인 y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을 y축 정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제2 하우징(120)의 일부가 노출된다. 제1 하우징(110)이 슬라이드함으로써 노출되는 제2 하우징(120)의 영역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보드(122)가 설치되어 있다. 제1 하우징(110)을 최대한으로 이동 가능한 위치까지 슬라이드시키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120)에 설치된 키보드(122)가 모두 나타나, 키보드(122)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기기(100)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을 회전 가능하게 하는 힌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힌지 기구는, 도 3에 도시한 슬라이드 완료 상태로 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 기구에 의해 제1 하우징(110)을 제2 하우징(120)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유저는, 제1 하우징(110)을 회전시켜 표시부(112)가 보기 쉬워지도록 조정하여, 클램쉘형의 퍼스널 컴퓨터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기기(100)는, 제1 하우징(110)의 표시부(112)와 대응하는 영역에 터치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한 디폴트 상태에서 손가락 등의 조작체를 표시부(112)에 접촉시킴으로써 조작 입력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 입력 등과 같이 키보드(122)를 사용한 쪽이 정보를 입력하기 쉬운 경우에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0)을 제2 하우징(120)에 대하여 슬라이드시킴으로써 키보드(122)로부터 조작 입력을 행할 수 있다. 이때, 제1 하우징(110)을 회전시킴으로써, 보다 조작 입력을 행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기기(100)는 슬라이드 기구 및 힌지 기구에 의해 그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지만, 이들 기구는, 용이하게 형태 변경할 수 있음과 함께, 기기의 사용감이나 조작성을 높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기기(100)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2. 슬라이드 기구>
우선, 도 5 내지 도 10에 기초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기기(100)의 슬라이드 기구(160)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5 내지 도 8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정보 기기(100)의 제1 하우징(110)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로서, 도 5는 디폴트 상태, 도 6은 슬라이드 도중 상태, 도 7은 슬라이드 완료 상태, 도 8은 틸트 상태를 도시한다. 도 9는 디스플레이 홀더(130)와 베이스 홀더(140)의 크기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베이스 홀더(140)에 대한 디스플레이 홀더(130)의 가동 범위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에 도시한 정보 기기(100)의 디폴트 상태에서 제1 하우징(110)을 제거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0)에 고정되어 있는 제1 홀더인 디스플레이 홀더(130)와, 제2 하우징(120)에 고정되어 있는 제2 홀더인 베이스 홀더(140)를 확인할 수 있다. 슬라이드 기구(160)는, 디스플레이 홀더(130)와, 베이스 홀더(140)와, 이들에 연결된 액추에이터 스프링(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홀더(130)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 사이에 설치된 판 형상 부재로서, 제1 하우징(110)과 일체로 되어 제2 하우징(120)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디스플레이 홀더(130)의 슬라이드 방향(y방향)에 평행한 2변은, 제2 하우징(120)에 고정된 베이스 홀더(140)의 지지부(14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베이스 홀더(140)는, 제2 하우징(120)의 제1 하우징(110)과 대향하는 면의 일부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홀더(140)는, 슬라이드 방향에 있어서 키보드(122)의 설치 영역과 반대측의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홀더(140)에는, 디스플레이 홀더(130)의 슬라이드 방향의 2변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142)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142)는 베이스 홀더(14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이며, 베이스 홀더(14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베이스 홀더(140)와 별개로 설치해도 된다.
디스플레이 홀더(130)와 베이스 홀더(14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부가 디스플레이 홀더(13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베이스 홀더(140)에 고정된 액추에이터 스프링(150)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디폴트 상태로부터, 제1 하우징(110)에 대하여 y축 정방향으로 압출하는 힘이 가해지면, 제1 하우징(11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y축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홀더(140)의 키보드(122)측의 단부에 제1 하우징(110)의 y축 부방향측의 단부가 위치하였을 때에 정지한다. 이 제1 하우징(110)의 정지 위치를 최대 슬라이드 위치라고도 한다. 도 7에 도시한 최대 슬라이드 위치까지 제1 하우징(110)이 슬라이드되면, 힌지 기구를 기능시킬 수 있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홀더(130)를 회전함으로써 제1 하우징(1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기기(100)는, 제1 하우징(110)을 적은 압입량으로 최대 슬라이드 위치까지 슬라이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정보 기기(100)는, 기기 전체의 크기를 크게 하지 않고 키보드(122)의 설치 영역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 제1 하우징(110)의 디폴트 상태로부터 최대 슬라이드 위치까지의 슬라이드량을 크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량에 대하여]
제2 하우징(120)에 대하여 제1 하우징(110)이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량(「최대 슬라이드량」이라고도 함)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방향에서의 디스플레이 홀더(130)의 폭 W1과 베이스 홀더(140)의 폭 W2의 차분이다. 여기서, 베이스 홀더(140)는, 디스플레이 홀더(130)를 포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베이스 홀더(140)가 커질수록 슬라이드 시에 디스플레이 홀더(130)에 고정된 제1 하우징(110)을 압입하는 힘이 증대하여, 슬라이드시의 회전 방향에서의 덜걱거림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홀더(140)의 폭 W2가 증가함으로써, 후술하는 힌지 기구의 억제부가 증가되어, 틸트 방향에서의 토크(비틀림 토크)에 대한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통상, 상술한 특성으로부터, 슬라이드 방향에서의 베이스 홀더(140)의 폭 W2는, 디스플레이 홀더(130)의 폭 W1의 약 1/3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기기 전체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없다고 하는 제약이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베이스 홀더(140)와 디스플레이 홀더(130)의 폭 관계를 유지하고자 하면, 조작하기 쉬운 크기의 키보드(122)를 설치할 수 있을 만큼의 영역을 확보할 수 없다. 또한, 슬라이드시의 정보 기기(100)의 덜걱거림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기기(100)는, 슬라이드 방향에서의 베이스 홀더(140)의 폭 W2를 디스플레이 홀더(130)의 폭 W1의 약 1/3보다 작게 하여, 최대 슬라이드량을 크게 하고 있다. 이때, 슬라이드시의 덜걱거림을 방지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제1 하우징(110)의 슬라이드 방향에 평행한 2변에, 제2 하우징(120)을 따라서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한다. 가이드 부재는, 예를 들어 제1 하우징(110)으로부터 제2 하우징(120)측으로 돌출되는 벽부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 스프링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기기(100)의 슬라이드 기구(160)는, 제1 하우징(110)을 적은 압입량으로 최대 슬라이드 위치까지 슬라이드시킬 수 있도록, 액추에이터 스프링(150)을 설치하고 있다. 액추에이터 스프링(1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제1 고정부(144)에 의해 디스플레이 홀더(13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제2 고정부(132)에 의해 베이스 홀더(140)에 고정되어 있다. 정보 기기(100)에는, 2개의 액추에이터 스프링(150)이, 정보 기기(100)의 x방향의 중심을 통과하는 y방향에 평행한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액추에이터 스프링(150)의 설치의 방법에 대하여,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폐쇄 상태인 디폴트 상태(실선), 슬라이드 도중 상태이며 또한 액추에이터 스프링(150)이 가장 수축되어 있을 때의 상태(이점쇄선), 개방 상태인 슬라이드 완료 상태(세선)에서의 디스플레이 홀더(130)의 베이스 홀더(140)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서는, 디폴트 상태에 있는 구성 요소의 부호에는 「A」를, 슬라이드 도중 상태이며 또한 액추에이터 스프링(150)이 가장 수축되어 있을 때의 상태에 있는 구성 요소의 부호에는 「B」를, 슬라이드 완료 상태에 있는 구성 요소의 부호에는 「C」를 붙이고 있다. 또한, 도 10의 디폴트 상태는 도 5에 대응하고, 슬라이드 도중 상태이며 또한 액추에이터 스프링(150)이 가장 수축되어 있을 때의 상태는 도 6에 대응하고, 슬라이드 완료 상태는 도 7에 대응한다.
액추에이터 스프링(150)은, 슬라이드 도중 상태의 소정의 위치에서 가장 수축되도록 설치된다(부호 150B). 따라서, 디폴트 상태 및 슬라이드 완료 상태에서는, 액추에이터 스프링은 신장되어 있게 된다(부호 150A, 150C). 디폴트 상태에서 신장되어 있는 액추에이터 스프링(150)은, 제1 하우징(110)이 y축 정방향측으로 압출되면, 서서히 수축되어 가서, 가장 수축된 상태로 된다. 이 위치를 「반전 포인트」라고도 한다. 반전 포인트를 통과하면, 액추에이터 스프링(150)은 그 신장하는 특성으로부터, 외부로부터 y축 정방향측으로 제1 하우징(110)을 압출하는 힘을 더 가하는 일 없이 y축 정방향측으로 신장한다. 그리고, 액추에이터 스프링(150)이 최대로 신장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홀더(130)의 이동은 정지하고, 슬라이드 완료 상태로 된다.
반전 포인트를 경계로, 디폴트 상태와 슬라이드 완료 상태에서의 액추에이터 스프링(150)의 신장이 동일하게 되도록 액추에이터 스프링(150)을 설치하면, 최대 슬라이드량을 가장 크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제1 하우징(110)의 y방향의 중심 위치에 반전 포인트가 존재하게 되어, 제1 하우징(110)을 디폴트 상태로부터 자동으로 슬라이드하게 되는 반전 포인트까지 이동시킬 때까지의 압입량도 커져, 조작감이 악화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폴트 상태에서의 액추에이터 스프링(150A)의 신장을 슬라이드 완료 상태에서의 액추에이터 스프링(150C)의 신장보다도 작게 한다. 이에 의해, 액추에이터 스프링(150)의 반전 포인트를 y방향의 중심 위치보다도 y축 정방향측으로 할 수 있어, 디폴트 상태로부터 반전 포인트까지의 제1 하우징(110)의 이동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하우징(110)을 적은 압입량으로 최대 슬라이드 위치까지 슬라이드할 수 있게 되어, 쾌적한 조작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액추에이터 스프링(150)은, 슬라이드 완료 상태에서 필요한 당해 스프링의 길이와, FPC(Flexible Printed Circuits)의 간섭의 회피를 고려하여, 정보 기기(100)에 배치된다.
[롤러에 대하여]
제1 하우징(110)이 제2 하우징(120)에 대하여 슬라이드하는 과정에 있어서, 제1 하우징(110)에 고정된 디스플레이 홀더(130)는, 제2 하우징(120)에 설치된 키보드(122) 및 팜 레스트(palm rest; 126)와 대향하면서 슬라이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1 하우징(110)이 제2 하우징(120)을 향하여 밀어지면, 디스플레이 홀더(130)가 키보드(122)나 팜 레스트(126)와 간섭하여, 이들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기기(100)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0)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회전하는 롤러(170)를 제2 하우징(120)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하고 있다. 롤러(170)는, 예를 들어 제1 하우징(110)의 y축 부방향측의 단부에 설치할 수 있다. 롤러(170)는, 탄성이 있는 재질, 예를 들어 고무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롤러(170)는, 적어도 1개 설치되고,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x방향으로 2개 배열하여 설치해도 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폴트 상태에서는, 롤러(170)는 제2 하우징(120) 상에 적재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홀더(130)와, 키보드(122) 및 팜 레스트(126)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한다. 제1 하우징(110)이 디폴트 상태로부터 y축 정방향으로 압출되면, 롤러(170)가 제2 하우징(120)의 키보드(122) 및 팜 레스트(126) 상을 구르면서, 제1 하우징(110)은 y축 정방향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드 완료 상태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롤러(170)를 설치함으로써, 슬라이드시에서의 키보드(122) 및 팜 레스트(126)와, 디스플레이 홀더(130)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어, 키보드(122) 및 팜 레스트(126)를 보호할 수 있다.
<3. 힌지 기구>
제1 하우징(110)이 디폴트 상태로부터 슬라이드되어, 슬라이드 완료 상태로 되면, 제1 하우징(110)을 제2 하우징(120)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힌지 기구가 기능할 수 있게 된다. 힌지 기구에 의해 제1 하우징(110)을 회전시킴으로써, 정보 기기(100)를 클램쉘형의 퍼스널 컴퓨터와 같이 사용할 수 있어, 조작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4에 기초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기기(100)의 힌지 기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 12는 디폴트 상태, 슬라이드 완료 상태 및 틸트 상태에서의 힌지 기구(190)의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힌지 기구(190)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4는 디폴트 상태, 슬라이드 완료 상태, 팝업 상태 및 틸트 상태에서의 힌지 기구(190)의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힌지 기구의 개략 구성]
힌지 기구(190)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폴트 상태에서, y축 정방향측 단부의,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 사이에 설치된다. 힌지 기구(190)는, 정보 기기(100)가 슬라이드 완료 상태로 될 때까지는 기능할 수 없고, 슬라이드 완료 상태로 되어 제1 하우징(110)의 표시면(112)을 키보드(122)측에 근접시키도록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제1 하우징(110)을 회전 가능한 상태를 틸트 상태라고도 한다.
힌지 기구(190)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0)측의 디스플레이 홀더(130)에 고정되는 제1 힌지 브래킷(191)과, 제2 하우징(120)측의 베이스 홀더(140)에 고정되는 제2 힌지 브래킷(195)을 구비한다.
제1 힌지 브래킷(191) 및 제2 힌지 브래킷(195) 중 어느 한쪽은 회전축(19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다른 쪽은 회전축(193)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힌지 브래킷(191)이 회전축(19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제2 힌지 브래킷(195)이 회전축(193)에 고정되어 있다. 물론, 제1 힌지 브래킷(191)을 회전축(193)에 고정하고, 제2 힌지 브래킷(195)을 회전축(19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해도 된다. 또한, 회전축(193)에는, 제2 힌지 브래킷(195)보다 더 x축 정방향측으로 제1 캠(196)과 제2 캠(197)이 접시 스프링(198)에 의해 압박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2개의 캠(196, 197) 사이에는 마찰력이 발생하고 있다. 이 마찰력에 의해, 회전시킨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을 소정의 틸트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한 힌지 기구(190)는, 회전축(193)의, 제1 힌지 브래킷(191)과 제2 힌지 브래킷(195)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토션 스프링(194)을 구비하고 있다. 토션 스프링(194)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힌지 기구(190)에 팝업 기능을 갖게 하기 위해서 필요한 구성 요소이다. 따라서,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을 회전 가능하게 하고, 소정의 회전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토션 스프링(194)을 설치할 필요는 없다.
유저는,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의 상태가 슬라이드 완료 상태로 되었을 때, 힌지 기구(190)의 회전축(193)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제1 하우징(110)을 제2 하우징(120)에 대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유저가 제1 하우징(110)의 표시부(112)를 제2 하우징(120)의 키보드(122)에 근접시키도록 회전시키는 힘이, 접시 스프링(198)에 의해 2개의 캠(196, 197)의 사이에 발생하고 있는 마찰력보다 클 때, 제1 하우징(110)은 회전한다. 그리고,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이 원하는 각도로 되었을 때, 유저가 제1 하우징(110)을 회전시키는 것을 멈추면[즉, 제1 하우징(110)을 회전시키는 힘이 없어지면], 접시 스프링(198)에 의해 2개의 캠(196, 197)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한다. 이에 의해,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이 원하는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완료 상태로 되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193)과 제1 하우징(110) 사이에 간극 d1이 생겨, 표시부(112)가 키보드(122)에 근접하도록 제1 하우징(110)을 회전시켜도,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이 간섭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 됨으로써, 유저는, 손으로 제1 하우징(110)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간극 d1을 조정함으로써, 틸트 상태에서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의 팜 레스트(126)와의 간극 d2를 조절할 수 있어, 제1 하우징(110)과 팜 레스트(126)의 간섭을 회피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하우징을 절결하지 않고 제1 하우징(110)에 설치된 표시부(112)를 구동할 수 있어, 기기의 디자인성을 유지할 수 있다.
[팝업 기능을 구비하는 힌지 기구]
통상, 정보 기기(100)를 클램쉘형의 퍼스널 컴퓨터의 형태로서 사용하기 위해서 제1 하우징(110)을 슬라이드시키는 경우에는, 제1 하우징(110)의 슬라이드가 완료되었을 때에, 자동으로 제1 하우징(110)이 회전하면 유저의 조작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따라서, 힌지 기구(190)에 토션 스프링(194)을 설치하여, 슬라이드 완료 상태로 되었을 때에 제1 하우징(110)이 자동으로 회전하는 팝업 기능을 실현해도 된다. 팝업 기능은, 예를 들어 힌지 기구(190)의 캠(196, 197) 사이의 마찰력과 토션 스프링(194)의 비틀림 토크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힌지 기구(190)에 토션 스프링(194)을 설치하는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193)의, 제1 힌지 브래킷(191)과 제2 힌지 브래킷(195)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토션 스프링(194)을 권회시키는 것이 생각된다. 토션 스프링(194)의 일단부는 제1 힌지 브래킷(191)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2 힌지 브래킷(195)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힌지 브래킷(191)과 제2 힌지 브래킷(195)의 각도, 즉,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각도에 따라서, 토션 스프링(194)의 비틀림 토크의 크기가 변화한다.
토션 스프링(194)은, 90° 개방된 상태를 기준 상태로 하고, 제1 하우징(110)의 표시부(112)와 제2 하우징(120)의 키보드(122)가 이루는 각이 90°일 때, 토션 스프링(194)은 기준 상태로 되도록 정보 기기(100)에 설치된다. 즉, 정보 기기(100)가 슬라이드 완료 상태에 있을 때, 토션 스프링(194)의 비틀림 토크는 최대로 되고, 표시부(112)와 키보드(122)가 이루는 각이 90°로 되었을 때, 토션 스프링(194)의 비틀림 토크는 제로로 된다. 따라서, 제1 하우징(110)이 제2 하우징(120)에 대하여 회전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토션 스프링(194)은, 제1 하우징(110)의 표시부(112)가 제2 하우징(120)의 키보드(122)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비틀림 토크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토션 스프링(194)을 사용하여 팝업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 본 실시 형태의 힌지 기구(190)는, 개폐각이 0° 내지 소정 각도(팝업 각도) θ 사이는 캠(196, 197) 사이의 마찰력보다 토션 스프링(194)의 비틀림 토크가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개폐각이란,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이 이루는 각을 말하고, 슬라이드 완료 상태의 개폐각을 0°로 한다. 예를 들어, θ=10°로 하였을 때, 개폐각이 0°∼10°까지의 사이는, 캠(196, 197) 사이의 마찰력이 토션 스프링(194)의 비틀림 토크보다 작기 때문에, 제1 하우징(110)은 비틀림 토크의 작용을 받아 자동으로 회전한다.
한편, 개폐각이 10°를 초과하면, 캠(196, 197) 사이의 마찰력이 토션 스프링(194)의 비틀림 토크보다 커지도록 한다. 이 때문에, 제1 하우징(110)이 제2 하우징(120)에 대하여 10° 이상 회전하면, 캠(196, 197)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제1 하우징(110)의 회전은 정지하고, 그 개폐각을 유지한다. 개폐각을 더욱 크게 하는 경우에는, 유저는, 손으로 표시부(112)가 키보드(122)에 근접하도록 제1 하우징(110)을 회전시키면 된다. 또한, 토션 스프링(194)의 비틀림 토크는, 개폐각이 90°에 근접함에 따라서 서서히 약해진다. 즉, 소정 각도 θ 이후는 개폐각이 90°에 근접함에 따라서, 캠(196, 197)의 마찰력만으로 제1 하우징(110)을 움직이는 통상의 힌지 기구에 비틀림 토크가 근접하기 때문에, 유저가 수동으로 제1 하우징(110)을 회전하여 자유롭게 스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힌지 기구(190)의 캠(196, 197) 사이의 마찰력과 토션 스프링(194)의 비틀림 토크의 크기를 조정하여, 슬라이드 완료 상태로 되었을 때에 제1 하우징(110)을 팝업시킬 수 있다. 또한, 정보 기기(100)가 디폴트 상태로부터 슬라이드 완료 상태로 될 때까지의 동안은, 토션 스프링(194)의 비틀림 토크에 의해 표시부(112)가 키보드(122)에 근접하도록 제1 하우징(110)을 이동 사용하게 한다. 그러나, 제1 하우징(110)의 y축 부방향측의 단부가 제2 하우징(120)에 접촉하기 때문에, 제1 하우징(110)은 회전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제1 하우징(110)의 단부가 제2 하우징(120)을 누르고 있지만, 캠(196, 197) 사이의 마찰력을 조정하거나, 롤러(170)의 탄성을 강하게 하거나 하여, 키보드(122) 및 팜 레스트(126)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기기(100)의 슬라이드 기구(160) 및 힌지 기구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기기(100)의 구성에 의하면, 제1 하우징(110)을 적은 압입량으로 최대 슬라이드 위치까지 슬라이드할 수 있게 되어, 쾌적한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110)의 슬라이드가 완료되었을 때에 힌지 기구를 기능시켜, 제1 하우징(110)의 표시부(112)를 제2 하우징(120)의 키보드(122)에 근접시키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힌지 기구(190)의 캠(196, 197) 사이의 마찰력과 토션 스프링(194)의 비틀림 토크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제1 하우징(110)을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기기(100)는, 이와 같은 슬라이드 기구(160) 및 힌지 기구를 병용함으로써, 높은 조작성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이면,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는 것은 명확하고,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토션 스프링(194)의 기준 상태를 90°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힌지 기구(190)의 구성에 의해 토션 스프링(194)의 기준 상태로 하는 각도는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또한, 힌지 기구(190)가 팝업 기구를 구비하는 경우의 팝업 각도 θ도,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10°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팝업 각도 θ는, 예를 들어 표시부(112)를 키보드(122)에 근접시켜 사용할 때에 유저에게 있어서 표시부(112)를 보기 쉬운 각도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완료 상태로부터 설정된 각도 θ로 제1 하우징(110)을 팝업시키기 위해서는, 토션 스프링(194)의 직경이나 2개의 캠(196, 197) 및 접시 스프링(198)으로 이루어지는 마찰 부재의 특성을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100 : 정보 기기
110 : 제1 하우징
112 : 표시부
120 : 제2 하우징
122 : 키보드
126 : 팜 레스트
130 : 디스플레이 홀더
140 : 베이스 홀더
150 : 액추에이터 스프링
160 : 슬라이드 기구
170 : 롤러
180 : 배터리
190 : 힌지 기구
191 : 제1 힌지 브래킷
193 : 회전축
194 : 토션 스프링
195 ; 제2 힌지 브래킷
196 : 제1 캠
197 : 제2 캠
198 : 접시 스프링

Claims (9)

  1. 기기 개폐 기구로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속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겹치는 영역이 최대로 되는 폐쇄 상태와,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겹치는 영역이 최소로 되는 개방 상태 사이에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위치 상태를 천이시키는 슬라이드 기구와,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는 힌지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 기구는,
    상기 제1 하우징에 고정된 제1 홀더와,
    상기 제2 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제1 홀더를 슬라이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홀더와,
    일단부가 상기 제1 홀더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2 홀더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슬라이드시의 움직임에 따라 신축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슬라이드 도중 상태에서 가장 수축되고, 상기 폐쇄 상태에서의 신장량이 상기 개방 상태에서의 신장량보다 작아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힌지 기구는,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이 개방 상태로 되었을 때 기능 가능하게 되는, 기기 개폐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와 상기 제2 홀더의 슬라이드 방향에서의 폭의 차분은, 1/3보다 작은, 기기 개폐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기구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회전 중심으로 되는 회전축과,
    한쪽이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다른 쪽이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상기 제1 홀더에 고정된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홀더에 고정된 제2 고정부와,
    일단부가 상기 제1 고정부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2 고정부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회전 방향으로 토크를 발생하는 토크 부재와,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회전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해하는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마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 부재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은,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이루는 각인 개폐각이 소정 각도 이하인 경우는 상기 토크 부재에 의해 발생되는 토크 이하이고,
    상기 개폐각이 소정 각도보다 커졌을 때, 상기 토크 부재에 의해 발생되는 토크보다 커지게 되는, 기기 개폐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 부재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마찰 부재는,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병설하여 설치된 2개의 캠과, 상기 2개의 캠을 가압하는 마찰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기기 개폐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상태에서는, 상기 폐쇄 상태로부터 상기 개방 상태로 천이시킬 때 압입되어 상기 제1 하우징 상을 슬라이드하는 상기 제1 하우징의 단부인 후단부를, 슬라이드 방향에서의 상기 힌지 기구의 회전축의 위치보다, 압입 방향에 위치시키는, 기기 개폐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는,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슬라이드 시에, 상기 제1 하우징과 대향하는 상기 제2 하우징의 면 상을 회전하는 롤러를 구비하는, 기기 개폐 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기기 개폐 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기구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회전 중심으로 되는 회전축과,
    한쪽이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다른 쪽이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상기 제1 홀더에 고정된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홀더에 고정된 제2 고정부와,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회전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해하는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마찰 부재를 포함하는, 기기 개폐 기구.
  9. 정보 기기로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과 중첩하여 설치되며, 조작 입력이 행해지는 입력부를 구비하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속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겹치는 영역이 최대로 되는 폐쇄 상태와,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겹치는 영역이 최소로 되는 개방 상태 사이에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위치 상태를 천이시키는 슬라이드 기구와,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는 힌지 기구를 포함하는 기기 개폐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기기 개폐 기구의 슬라이드 기구는,
    상기 제1 하우징에 고정된 제1 홀더와,
    상기 제2 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제1 홀더를 슬라이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홀더와,
    일단부가 상기 제1 홀더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2 홀더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슬라이드 시의 움직임에 따라 신축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슬라이드 도중 상태에서 가장 수축하고, 상기 폐쇄 상태에서의 신장량이 상기 개방 상태에서의 신장량보다 작아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힌지 기구는,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이 개방 상태로 되었을 때 기능 가능하게 되는, 정보 기기.
KR1020110138601A 2010-12-28 2011-12-20 기기 개폐 기구 및 정보 기기 KR201200753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93306A JP5673096B2 (ja) 2010-12-28 2010-12-28 機器開閉機構および情報機器
JPJP-P-2010-293306 2010-1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373A true KR20120075373A (ko) 2012-07-06

Family

ID=45406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8601A KR20120075373A (ko) 2010-12-28 2011-12-20 기기 개폐 기구 및 정보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82548B2 (ko)
EP (1) EP2472347A2 (ko)
JP (1) JP5673096B2 (ko)
KR (1) KR20120075373A (ko)
CN (2) CN10256667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92048B2 (en) * 2012-03-14 2016-03-22 Constin Gmbh Slide housing for a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TWI558153B (zh) * 2012-07-30 2016-11-1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滑蓋式電子裝置及其線性移動機構
WO2014050280A1 (ja) * 2012-09-28 2014-04-03 日立アロカメディカル株式会社 携帯型超音波撮像装置
TWI489250B (zh) * 2012-10-18 2015-06-21 Wistron Corp 易於拆裝之組裝機構及其電子裝置
JP2014204202A (ja) * 2013-04-02 2014-10-27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情報機器の開閉装置並びに情報機器
JP2014232385A (ja) * 2013-05-28 2014-12-11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JP2014232387A (ja) * 2013-05-28 2014-12-11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JP6146138B2 (ja) * 2013-05-28 2017-06-14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TW201508795A (zh) * 2013-08-16 2015-03-01 Bungbungame Inc 可支撐可攜式電子裝置之鍵盤模組
US9706675B2 (en) * 2014-09-02 2017-07-11 Dell Products L.P. Systems and methods for insertion of an information handling resource in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US10066429B2 (en) * 2016-10-26 2018-09-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 with minimized free play
US10324500B2 (en) * 2017-01-06 2019-06-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gh strength hinge mechanism
TWI660662B (zh) * 2017-05-23 2019-05-2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PL3407444T3 (pl) * 2017-05-23 2021-01-11 Simon, S.A.U. Mechanizm otwierania i zamykania pokrywy obudowy
US11216030B2 (en) * 2019-09-09 2022-01-04 Compal Electronics,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210082026A (ko) * 2019-12-24 2021-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094813A (ko) * 2020-01-22 2021-07-30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CN116820191B (zh) * 2023-08-30 2023-12-01 荣耀终端有限公司 铰链机构及折叠屏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690B1 (ko) * 2003-11-10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ATE418184T1 (de) * 2004-09-15 2009-01-15 M2Sys Co Ltd Schiebemechanismus zum öffnen und schliessen eines mobiltelefons
US7184263B1 (en) * 2005-08-04 2007-02-27 Acer Inc. Portable computer
JP4378333B2 (ja) * 2005-09-07 2009-12-02 株式会社ストロベリーコーポレーション スライド装置並びにスライド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KR101232951B1 (ko) * 2005-11-07 2013-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청이 편리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슬라이딩 거치 장치
JP4845558B2 (ja) * 2006-03-29 2011-12-28 加藤電機株式会社 携帯機器
KR100833241B1 (ko) * 2006-04-28 2008-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틸트장치 및 이를 채용한 모바일 기기
JP4845029B2 (ja) 2006-10-27 2011-12-28 エイチティーシ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スライド機構及びチルト機構を有する電子デバイス、並びに関連する方法
JP2008144791A (ja) * 2006-12-07 2008-06-26 Strawberry Corporation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KR100873091B1 (ko) * 2007-04-06 2008-12-09 (주)하이텍파츠 복수의 스프링을 구비한 신축가능한 링크 조립체 및 이를구비한 슬라이더 조립체
JP4898584B2 (ja) * 2007-07-20 2012-03-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端末
KR101529913B1 (ko) * 2008-03-25 2015-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063028B1 (ko) * 2008-04-23 2011-09-07 한 상 이 슬라이드식 개폐장치 및 슬라이드 개폐식 휴대형 전자기기
JP2010011149A (ja) * 2008-06-27 2010-01-14 Panasonic Corp スライド式携帯端末
KR101495173B1 (ko) * 2008-08-06 2015-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JP5153554B2 (ja) 2008-10-01 2013-02-27 加藤電機株式会社 携帯情報機器の開閉装置並びに携帯情報機器
US20100099467A1 (en) * 2008-10-22 2010-04-22 Hanbit Precision Co., Ltd. Slide hinge module for mobile phone with built-in keypad
TWI344813B (en) * 2008-11-12 2011-07-01 Htc Corp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1825138A (zh) * 2009-03-07 2010-09-0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结构及采用该铰链结构的电子装置
US20100285852A1 (en) * 2009-05-08 2010-11-1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lideable hinge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KR101554187B1 (ko) * 2009-05-11 2015-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힌지 유닛 및 그를 채용한 휴대용 단말기
CN102036524B (zh) * 2009-09-25 2013-07-0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滑盖结构及应用该滑盖结构的便携式电子装置
CN102045417B (zh) * 2009-10-22 2013-11-20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滑盖结构及应用该滑盖结构的便携式电子装置
KR101728387B1 (ko) * 2010-09-27 2017-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US20120154999A1 (en) * 2010-12-15 2012-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73096B2 (ja) 2015-02-18
US20120162879A1 (en) 2012-06-28
CN202904430U (zh) 2013-04-24
CN102566678A (zh) 2012-07-11
JP2012142746A (ja) 2012-07-26
US8982548B2 (en) 2015-03-17
EP2472347A2 (en) 201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75373A (ko) 기기 개폐 기구 및 정보 기기
EP3206379B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EP2325717B1 (en) Electronic device
US8605430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JP5599226B2 (ja) 開閉装置
US8537542B2 (en) Electronic device
EP2475152B1 (en) Slidable handheld electronic device
EP1579587B1 (en) Self operating opening mechanism for use i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20100188806A1 (en) Configurable electronic device
EP2148494B1 (en) Electronic device with rotatable module
EP2285074B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rising mechanism
JP2011515929A (ja) スライダ兼フリップヒンジ組み立て体を有する携帯通信装置
US20110092254A1 (e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with two Input Devices
EP3137963B1 (en) Hinge assembly for a computing device
GB2417851A (en) Mobile phone with sliding and rotating hinge
CN201440768U (zh) 折叠式手持装置
EP2299664B1 (en) Electronic device
KR101054368B1 (ko) 힌지 유닛 및 이를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개폐장치
KR101351488B1 (ko) 이동통신단말기
WO2011114589A1 (ja) スライド装置並びにスライド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EP2498480B1 (en) Clamshell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put device in hinge
KR20060099130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작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