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5065A - 이동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 시스템, 그 방법 및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구매 시스템,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 시스템, 그 방법 및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구매 시스템,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5065A
KR20120075065A KR1020100137090A KR20100137090A KR20120075065A KR 20120075065 A KR20120075065 A KR 20120075065A KR 1020100137090 A KR1020100137090 A KR 1020100137090A KR 20100137090 A KR20100137090 A KR 20100137090A KR 20120075065 A KR20120075065 A KR 20120075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augmented reality
real environment
produc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7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
나한길
Original Assignee
(주)비트러스트
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트러스트, 박준 filed Critical (주)비트러스트
Priority to KR1020100137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5065A/ko
Publication of KR20120075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50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rchitectu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 시스템, 그 방법 및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구매 시스템,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실제환경 내 사용자로부터 지정된 위치에 레이저를 점형태로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포인터를 구비하는 범퍼; 외부로부터 증강현실로 구현하고자 하는 가상물체를 입력받아, 상기 실제환경 내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에 상기 가상물체를 배치한 후, 출력하여 증강현실을 구현하는 단말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이동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 시스템, 그 방법 및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구매 시스템, 그 방법은 단말모듈을 둘러싸고 배치되는 범퍼 내 레이저포인터를 통해 레이저가 점형태로 실제환경에 조사되고, 단말모듈이 상기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를 파악하여, 가상물체를 단말모듈을 통해서 증강현실로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 시스템, 그 방법 및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구매 시스템, 그 방법{Augmented reality realization system, method using the same and e-commerce system,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 시스템, 그 방법 및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구매 시스템,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단말을 통해 마커없이도 증강현실을 구현하는 이동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 시스템, 그 방법 및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구매 시스템,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상품의 온라인 구매를 하기 전, 해당 상품의 실제 크기 등의 정보를 확인하는 이동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 시스템, 그 방법 및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구매 시스템,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기술 및 컴퓨터 그래픽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등장한 증강현실기술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에 가상물체를 겹쳐보여주는 기술을 말하며, 이러한 증강현실 관련 기술을 다양한 분야에 접목하는 기술이 현재 널리 연구되고 있다.
종래의 증강현실기술은 현실 세계에 마커를 표시하고, 상기 마커를 통해 가상물체를 상기 마커와 겹치게 하여, 사용자에게 현실세계 뿐만 아니라 가상물체를 현실세계와 함께 보여줌으로써, 다양한 정보 및 입체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하지만, 이러한 증강현실기술은 실제 세계와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고, 사용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발생했다. 또한, 이러한 증강현실기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소스장치, 센싱장치 등의 여러 주변장치가 갖추어져야 하기 때문에 제반비용이 높고, 및 사용이 복잡하여, 이러한 증강현실기술을 사용하는데 익숙하지 않는 일반 사용자는 그 사용에 많은 어려움을 느끼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마커를 사용하지 않고도, 레이저의 점형태 조사를 통해 이동단말에서 증강현실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 시스템, 그 방법 및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구매 시스템,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온라인을 통해 원하는 상품을 구매하기 전, 해당 상품에 대한 실제 크기 등 각종 정보를 사용자에게 입체감있게 전달하도록 하는 이동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 시스템, 그 방법 및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구매 시스템,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이동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시스템은 실제환경 내 사용자로부터 지정된 위치에 레이저를 점형태로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포인터를 구비하는 범퍼; 외부로부터 증강시키고자 하는 가상물체를 입력받아, 상기 실제환경 내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에 상기 가상물체를 배치한 후, 출력하여 증강현실을 구현하는 단말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단말모듈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범퍼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부로부터 증강시키고자 하는 가상물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실제환경을 촬영하여 실제환경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생성부; 상기 실제환경영상 내 상기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를 확인하는 조사위치확인부; 상기 실제환경영상 내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에 상기 가상물체를 배치하는 가상물체배치부; 상기 가상물체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영상을 외부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단말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이동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방법은 단말모듈이 상기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에 배치하고자 하는 가상물체를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가상물체입력단계; 범퍼에 구비된 레이저포인터가 가상물체를 배치하고자 하는 실제환경 내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레이저를 점형태로 조사하는 레이저조사단계; 상기 단말모듈이 상기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를 포함하도록 상기 실제환경을 촬영하여 실제환경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생성단계; 상기 단말모듈이 상기 실제환경영상 내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를 확인하는 레이저조사위치확인단계; 상기 단말모듈이 상기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에 가상물체를 배치하는 가상물체배치단계; 상기 단말모듈이 상기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에 배치된 상기 가상물체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영상을 외부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구매 시스템은 실제환경에 상품을 배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레이저를 점형태로 조사하고, 상기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를 포함하는 실제환경을 촬영하는 단말모듈; 사용자로부터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받고, 상기 단말모듈이 촬영한 실제환경영상을 입력받아, 상기 실제환경영상 내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에 선택받은 상품을 배치하여 증강현실영상을 생성한 후, 상기 상품에 대한 구매정보 및 상기 증강현실영상을 출력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로부터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받는 상품선택모듈; 상기 단말모듈로부터 실제환경을 촬영한 실제환경영상을 입력받는 영상생성모듈; 상기 실제환경영상에 상기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를 확인하는 배치위치선택모듈; 상기 실제환경영상의 선택된 위치에 상기 상품을 배치하는 상품배치모듈; 상기 실제환경영상의 선택된 위치에 배치되는 상품을 포함하는 증강현실영상 및 상기 상품의 구매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포함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구매 방법은 서버가 사용자로부터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받는 상품선택단계; 단말모듈이 실제환경 내 상기 상품을 배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레이저를 점형태로 조사하는 레이저조사단계; 단말모듈이 상기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를 포함하는 실제환경을 촬영하여 실제환경영상을 생성한 후, 상기 실제환경영상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영상생성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실제환경영상 내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를 확인하는 조사위치확인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실제환경영상 내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에 상기 상품을 배치하는 상품배치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실제환경영상 내 선택된 위치에 배치되는 상품을 포함하는 증강현실영상 및 상기 상품의 구매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동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 시스템, 그 방법 및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구매 시스템, 그 방법은 단말모듈을 둘러싸고 배치되는 범퍼 내 레이저포인터를 통해 레이저가 점형태로 실제환경에 조사되고, 단말모듈이 상기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를 파악하여, 가상물체를 단말모듈을 통해서 증강현실로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 시스템, 그 방법 및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구매 시스템, 그 방법은 마커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레이저를 점형태로 조사함으로써, 가상물체를 정확한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이동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 시스템, 그 방법 및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구매 시스템, 그 방법은 마커를 대신하여, 레이저를 조사하는 방법을 사용하므로, 증강현실의 구현을 위해 필요한 제반비용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증강현실기술에 익숙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단말모듈을 통해 증강현실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이동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 시스템, 그 방법 및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구매 시스템, 그 방법은 전자상거래(E-commerce)와 같은 온라인 구매시스템에 증강현실기술을 접목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상물체를 온라인 구매시스템으로부터 구매하기 전, 상기 가상물체의 실제 크기 등과 같은 구매하기 전에는 알기 어려운 각종 정보를 미리 알도록 하여, 사용자의 정확한 구매를 도와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시스템의 단말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구매 시스템 내 서버(200)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구매 시스템의 구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와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시스템은 레이저포인터를 구비한 범퍼와 단말모듈을 통해,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 (예를 들면, 가정 내 TV 옆 벽면)에 상기 범퍼에 구비된 레이저포인터를 통해 점형태로 레이저를 조사하면, 상기 단말모듈이 증강현실로 구현하고자 하는 가상물체(예를 들면, 자전거)를 외부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인 TV 옆 벽면에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가상물체가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단말모듈이 실제환경과 가상물체를 함께 나타내는 증강현실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증강현실영상을 통해, 가상물체인 현재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실제환경에 잘 어울리는지 또는 실제크기가 적당하는지와 같은 사항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동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시스템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시스템(100)은 범퍼(120) 및 단말모듈(110)을 포함한다.
범퍼(120)는 실제환경 내 사용자로부터 지정된 위치에 레이저를 점형태로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포인터(122)를 구비한다. 이러한 범퍼(120)는 상기 단말모듈(110)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특히, 이러한 범퍼(120)에 구비된 레이저포인터(122)는 가상물체를 배치하고자 하는 위치를 레이저를 통해 패턴형태의 조사가 아닌 점형태로 조사함으로써, 가상물체를 배치하고자 하는 위치를 정확하게 지정하여, 가상물체를 명확하게 배치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단말모듈(110)은 외부로부터 증강현실로 구현하고자 하는 가상물체를 입력받고, 실제환경 내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에 입력받은 상기 가상물체를 배치한 후 출력함으로써, 상기 가상물체에 대한 증강현실을 구현한다.
이하 도 3을 통해, 상기 단말모듈에 대해 보다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시스템의 단말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시스템(100)의 단말모듈(110)은 입력부(111), 영상생성부(113), 조사위치확인부(115), 가상물체배치부(117) 및 디스플레이부(119)를 포함한다.
입력부(111)는 외부로부터 증강현실로 구현하고자 하는 가상물체를 입력받는다. 이 때, 상기 가상물체는 외부의 서버에 기저장된 다수의 물체 중 사용자가 증강현실로 구현하고자 하는 물체를 나타낸다.
영상생성부(113)는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를 포함하도록 사용자가 위치하는 공간의 실제환경을 촬영하여 실제환경영상을 생성한다. 이러한 영상생성부(113)는 상기 단말모듈(110) 내 구비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실제환경은 단말모듈(110)의 사용자가 위치하는 집, 사무실 등이 될 수 있다.
조사위치확인부(115)는 상기 실제환경영상 내 상기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를 확인한다. 이러한 상기 조사위치확인부(115)는 레이저포인터(122)로부터 점형태로 레이저가 조사되기 때문에, 상기 실제환경영상 내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가 픽셀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가상물체배치부(117)는 상기 조사위치확인부(115)가 확인한 상기 실제환경영상 내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 즉, 해당 픽셀에 상기 입력부(111)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가상물체를 배치한다.
디스플레이부(119)는 상기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에 배치된 가상물체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영상을 외부로 출력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이동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이동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방법은 먼저, 단말모듈(110)이 증강현실로 구현하고자 하는 가상물체를 외부로부터 입력받는다. 이 때, 상기 가상물체는 외부의 서버에 기저장되는 물체를 나타내며, 자전거, 소파 등의 형체를 가진 물체가 바람직하다.
이후, 단말모듈(110)의 외부를 둘러싸고 배치되는 범퍼(120)에 구비된 레이저포인터(122)가 가상물체를 배치하고자 하는 실제환경 내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레이저를 점형태로 조사한다. 이 때, 상기 레이저포인터(122)는 상기 가상물체의 실제크기 비교를 위해, 비교대상물체의 옆위치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증강현실로 구현하고자 하는 가상물체가 자전거인 경우, 상기 자전거의 실제크기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레이저포인터(122)가 벽면에 걸려진 TV 옆위치에 레이저를 조사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추후 출력되는 증강현실영상을 통해, 가상물체인 자전거를 TV 크기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자전거에 대한 실제크기를 직접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단말모듈(110)이 상기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를 포함하도록 실제환경을 촬영하여 실제환경영상을 생성한다.
그러면, 상기 단말모듈(110)이 상기 실제환경영상 내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를 확인한다. 특히, 상기 레이저는 실제환경에 점형태로 조사되기 때문에, 상기 실제환경영상에서는 상기 레이저가 조사되는 위치가 픽셀형태로 확인될 수 있다.
결국, 상기 단말모듈(110)이 상기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에 배치된 상기 가상물체를 포함하며, 실제환경 또한 포함하는 증강현실영상을 외부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구매 시스템은 단말모듈(110) 및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모듈(110)은 실제환경 중 상품을 배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레이저를 점형태로 조사하며, 상기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를 포함하도록 실제환경을 촬영하여, 촬영한 실제환경영상을 상기 서버(200)로 전송한다.
서버(200)는 사용자로부터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받고, 상기 단말모듈(110)이 촬영한 실제환경영상을 입력받아 상기 실제환경영상 내 상기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를 확인한 후,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에 상기 상품을 배치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구매정보 및 상기 실제환경영상 내 상품이 배치된 증강현실영상을 출력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구매시스템 내 서버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구매 시스템 내 서버(200)의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구매 시스템의 서버(200)는 상품선택모듈(210), 영상생성모듈(230), 배치위치선택모듈(250), 상품배치모듈(270) 및 디스플레이모듈(290)을 포함한다.
상품선택모듈(210)은 사용자로부터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입력받는다.
영상생성모듈(230)은 상기 단말모듈(110)이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실제환경을 촬영하여 생성한 실제환경영상을 입력받는다.
배치위치선택모듈(250)은 상기 실제환경영상에서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를 확인한다. 이러한 배치위치선택모듈(250)은 상기 단말모듈이 레이저를 점형태로 실제환경에 조사하였기 때문에, 상기 실제환경영상에서는 상기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가 픽셀형태로 확인될 수 있다.
상품배치모듈(270)은 상기 배치위치선택모듈(250)이 확인한 실제환경영상 내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에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상기 상품을 배치한다.
디스플레이모듈(290)은 상기 실제환경영상 내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에 배치된 상품을 포함하는 증강현실영상 및 상기 상품에 대한 구매정보를 출력한다. 이 때, 상기 구매정보는 상기 상품에 대한 가격정보, 크기정보, 색상정보, 상품평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온라인으로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구매하기 전, 해당상품에 대한 증강현실영상을 확인함에 따라, 상기 해당상품을 실제로 배치하고자 하는 곳과 잘 어울리는지, 크기는 적당한지와 같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하고 정확한 쇼핑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구매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서버(200)가 사용자로부터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받는다.
이에 따라, 단말모듈(110)이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실제환경 내 상기 상품을 배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레이저를 조사한다. 이 때, 상기 단말모듈(110)은 상기 상품을 배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레이저를 점형태로 조사하여, 실제환경 내 상품이 배치되는 곳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 후, 상기 단말모듈(110)이 상기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를 포함하도록 상기 실제환경을 촬영하여 실제환경영상을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실제환경영상을 상기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처럼, 상기 실제환경영상을 입력받은 서버(200)는 상기 실제환경영상 내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를 확인한다.
따라서, 상기 서버(200)가 상기 실제환경영상 내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를 확인한 후, 상기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에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상품을 배치한다.
이후, 상기 서버(200)는 상기 실제환경영상 내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에 배치되는 상품을 포함하는 증강현실영상과, 상기 상품에 대한 구매정보를 함께 출력한다. 이러한 상기 구매정보는 상기 상품에 대한 가격정보, 크기정보, 색상정보, 상품평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구매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모듈의 오른쪽에는 해당상품에 대한 가격정보, 크기정보, 색상정보, 상품평정보와 같은 각종 구매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왼쪽부분에는 해당상품을 실제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배치시켰을 때의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온라인 구매 시스템을 통해 상품을 구매하기 전, 해당상품의 실제크기를 알아 보기 위해, 상기 해당상품을 배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증강현실을 통해 배치하게 되어, 상기 해당상품이 주변상황과 잘 어울리는지, 실제크기가 적당한지 등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품의 실물을 보지 못하고 구매한다는 온라인 구매의 단점을 극복하면서도, 해당상품의 각종정보를 구매 전 확인함에 따라, 해당상품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 시스템, 그 방법 및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구매 시스템, 그 방법은 단말모듈을 둘러싸고 배치되는 범퍼 내 레이저포인터를 통해 레이저가 점형태로 실제환경에 조사되고, 단말모듈이 상기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를 파악하여, 가상물체를 단말모듈을 통해서 증강현실로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 시스템, 그 방법 및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구매 시스템, 그 방법은 마커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레이저를 점형태로 조사함으로써, 가상물체를 정확한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이동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 시스템, 그 방법 및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구매 시스템, 그 방법은 마커를 대신하여, 레이저를 조사하는 방법을 사용하므로, 증강현실기술의 구현을 위해 필요한 제반비용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증강현실기술에 익숙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단말모듈을 통해 증강현실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이동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 시스템, 그 방법 및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구매 시스템, 그 방법은 전자상거래(E-commerce)와 같은 온라인 구매시스템에 증강현실기술을 접목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상물체를 온라인 구매시스템으로부터 구매하기 전, 상기 가상물체의 실제 크기 등과 같은 구매하기 전에는 알기 어려운 각종 정보를 미리 알도록 하여, 사용자의 정확한 구매를 도와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10: 단말모듈 120: 범퍼
122: 레이저포인터

Claims (7)

  1. 이동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시스템에 있어서,
    실제환경 내 사용자로부터 지정된 위치에 레이저를 점형태로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포인터를 구비하는 범퍼;
    외부로부터 증강현실로 구현하고자 하는 가상물체를 입력받아, 상기 실제환경 내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에 상기 가상물체를 배치한 후, 출력하여 증강현실을 구현하는 단말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는 상기 단말모듈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모듈은
    외부로부터 증강현실로 구현하고자 하는 가상물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실제환경을 촬영하여 실제환경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생성부;
    상기 실제환경영상 내 상기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를 확인하는 조사위치확인부;
    상기 실제환경영상 내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에 상기 가상물체를 배치하는 가상물체배치부;
    상기 가상물체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영상을 외부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시스템.
  4. 이동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방법에 있어서,
    단말모듈이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에 배치하고자 하는 가상물체를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가상물체입력단계;
    범퍼에 구비된 레이저포인터가 가상물체를 배치하고자 하는 실제환경 내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레이저를 점형태로 조사하는 레이저조사단계;
    상기 단말모듈이 상기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를 포함하도록 상기 실제환경을 촬영하여 실제환경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생성단계;
    상기 단말모듈이 상기 실제환경영상 내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를 확인하는 레이저조사위치확인단계;
    상기 단말모듈이 상기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에 가상물체를 배치하는 가상물체배치단계;
    상기 단말모듈이 상기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에 배치된 상기 가상물체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영상을 외부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방법.
  5.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구매 시스템에 있어서,
    실제환경에 상품을 배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레이저를 점형태로 조사하고, 상기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를 포함하는 실제환경을 촬영하는 단말모듈;
    사용자로부터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받고, 상기 단말모듈이 촬영한 실제환경영상을 입력받아, 상기 실제환경영상 내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에 선택받은 상품을 배치하여 증강현실영상을 생성한 후, 상기 상품에 대한 구매정보 및 상기 증강현실영상을 출력하는 서버;
    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구매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사용자로부터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받는 상품선택모듈;
    상기 단말모듈로부터 실제환경을 촬영한 실제환경영상을 입력받는 영상생성모듈;
    상기 실제환경영상에 상기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를 확인하는 배치위치선택모듈;
    상기 실제환경영상의 선택된 위치에 상기 상품을 배치하는 상품배치모듈;
    상기 실제환경영상의 선택된 위치에 배치되는 상품을 포함하는 증강현실영상 및 상기 상품의 구매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구매 시스템.
  7.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구매 방법에 있어서,
    서버가 사용자로부터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받는 상품선택단계;
    단말모듈이 실제환경 내 상기 상품을 배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레이저를 점형태로 조사하는 레이저조사단계;
    단말모듈이 상기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를 포함하는 실제환경을 촬영하여 실제환경영상을 생성한 후, 상기 실제환경영상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영상생성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실제환경영상 내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를 확인하는 조사위치확인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실제환경영상 내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에 상기 상품을 배치하는 상품배치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실제환경영상 내 선택된 위치에 배치되는 상품을 포함하는 증강현실영상 및 상기 상품의 구매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구매 방법.

KR1020100137090A 2010-12-28 2010-12-28 이동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 시스템, 그 방법 및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구매 시스템, 그 방법 KR201200750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090A KR20120075065A (ko) 2010-12-28 2010-12-28 이동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 시스템, 그 방법 및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구매 시스템,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090A KR20120075065A (ko) 2010-12-28 2010-12-28 이동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 시스템, 그 방법 및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구매 시스템,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065A true KR20120075065A (ko) 2012-07-06

Family

ID=46709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7090A KR20120075065A (ko) 2010-12-28 2010-12-28 이동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 시스템, 그 방법 및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구매 시스템,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50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6121A (ko) * 2015-02-13 2017-10-18 오토이, 인크. 머리 장착형 디스플레이와 실세계 객체 사이의 상호 통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6121A (ko) * 2015-02-13 2017-10-18 오토이, 인크. 머리 장착형 디스플레이와 실세계 객체 사이의 상호 통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53843A1 (en) Method and system of management for switching virtual-reality mode and augmented-reality mode
Daanen et al. 3D whole body scanners revisited
US20150279098A1 (en) Smart device and virtual experience providing server providing virtual experience service method using digitalexperience service method using digital clothes
JP2018515829A (ja) クーリエ情報を相関付け、物流内容情報を提供する方法及びデバイス
CN105229705A (zh) 零件组装作业支持系统及零件组装方法
JP2008521110A (ja) AugmentedRealityResourcesのアプリケーション用に画像取り込み機能を具備した個人用装置とその方法
US20130278636A1 (en) Object display device, object display method, and object display program
JP7005224B2 (ja)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16004564A (ja) 拡張現実を利用した試着支援システム
JP677595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US10796032B2 (en) Method and system for space design
US8803914B2 (en) Machine-implemented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enabling a user to virtually try on a selected garment using augmented reality
CN110570513A (zh) 一种展示车损信息的方法和装置
JPWO2018008182A1 (ja) 花壇受発注システム及び配植計画支援プログラム
TW201310369A (zh) 虛擬試衣系統及方法
JP6364389B2 (ja) 検査方法及び検査システム
KR20120075065A (ko) 이동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 시스템, 그 방법 및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구매 시스템, 그 방법
US20210012042A1 (en) Method and system for space design
KR20200009811A (ko) 증강 현실 이미지 제공 방식의 네일 아트 자동 판매 시스템
JPWO2020009066A1 (ja) 仮想試着装置、仮想試着方法、および仮想試着プログラム
JP2014203250A (ja) 商品又はサービスの購入支援装置、購入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50135707A (ko) 실시간 맞춤형 광고 이미지 제공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광고 이미지 제공장치
CN105590226A (zh) 一种用于电商网站的图像显示方法和装置
CN112860060B (zh) 一种图像识别方法、设备及存储介质
JP3230092U (ja) 試着画像提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