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4469A - 물류 운송차량 자동 조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물류 운송차량 자동 조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4469A
KR20120074469A KR1020100136309A KR20100136309A KR20120074469A KR 20120074469 A KR20120074469 A KR 20120074469A KR 1020100136309 A KR1020100136309 A KR 1020100136309A KR 20100136309 A KR20100136309 A KR 20100136309A KR 20120074469 A KR20120074469 A KR 20120074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 vehicle
logistics
tractor
transportation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6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1441B1 (ko
Inventor
권태수
문형석
오석문
서승일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36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441B1/ko
Publication of KR20120074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4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3/00Tractor-trailer combinations; Road trains
    • B62D53/02Tractor-trailer combinations; Road trains comprising a uniaxle tractor unit and a uniaxle trail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parallel up-and-down movement of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nsportation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Robo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류 운송차량 자동 조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랙터와 자동운반차량들이 자동으로 서로 연결 및 분리되도록 하여 물류를 이송하기 위한 운송차량의 조성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물류 운송차량 자동 조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하에 다수의 트랜스듀서가 매설된 전용도로와, 양측 단부에 제1연결기가 구비되고, 상기 전용도로 상을 주행하며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자동운반차량과, 후부에 상기 제1연결기에 연결 설치되는 제2연결기가 구비되고, 상기 자동운반차량에 연결 설치되어 물류거점 사이를 주행하는 트랙터 및 상기 자동운반차량 및 기관차의 주행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타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류 운송차량 자동 조성 시스템 {Automatic construction system for the vehicles to deliver the goods}
본 발명은 물류 운송차량 자동 조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랙터와 자동운반차량들이 자동으로 서로 연결 및 분리되도록 하여 물류를 이송하기 위한 운송차량의 조성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물류 운송차량 자동 조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류는 물적유통(Physical Distribution)을 줄인 말로 생산자로부터 소비자까지의 물(物)의 흐름을 가리킨다.
최근들어 물류정책에 따른 물류가 국가 경제의 중요한 원동력임을 알고, 신속?정확하면서도 편리하고 안전한 물류활동을 촉진하며, 정부의 물류 관련 정책이 서로 조화롭게 연계되도록 하여 물류산업이 체계적으로 발전하게 하여야 한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2007년도에 물류체계의 효율화, 물류산업의 경쟁력 강화 및 물류의 선진화?국제화를 이루어 국민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물류정책기본법을 제정하여 시행하는 등 물류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물류의 운송방법에는 육상운송, 해상운송, 항공운송, 복합운송 등이 있는데, 국내에서의 물류 운송은 주로 육상운송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육상운송은 육로 또는 호수, 강, 항만 등에서 행하여지는 화물 및 여객의 운송을 뜻하는 것으로, 주로 화물차량을 이용하여 도로를 통해 물류를 운송하는 공로운송과, 철도차량을 이용한 철도운송으로 구분되는데, 먼저 공로운송은 기동성과 신속성이 뛰어나고, 다양한 화물 특성에 대응이 용이하며, 배차가 유연하여 근거리 소량운송에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사고의 위험성이 높고 교통체증과 매연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유발하며 장거리 운송시의 높은 운임으로 인해 장거리 대량 운송에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철도운송은 공로운송과는 반대로 사고의 위험이 적고, 전천후 수송이 가능하며, 낮은 운임으로 인해 중,장거리 대량 운송에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도어 투 도어(Door to door)의 일관수송이 불가능하고, 환적작업이 필요하며, 배차의 탄력성이 낮으므로 긴급 수송 및 단거리 수송에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공로운송에 과도하게 의존하고 있는 국내의 물류 운송시스템의 문제점 즉, 교통체증의 유발과 차량에 의한 환경오염의 유발과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시되는 전환수송(Modal shift) 정책(트럭을 이용하여 도로를 통해 운송하던 화물을 철도나 선박으로 전환하여 운송하는 정책)에 부합하면서도, 철도운송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물류 운송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랙터와 자동운반차량들이 자동으로 서로 연결 및 분리되도록 하여 물류를 이송하기 위한 운송차량의 조성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물류 운송차량 자동 조성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물차의 수송분담율을 줄여 도로의 혼잡율을 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철도운송의 접근성 문제를 보완할 수 있는 물류 운송차량 자동 조성 시스템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하에 다수의 트랜스듀서가 매설된 전용도로와, 양측 단부에 제1연결기가 구비되고, 상기 전용도로 상을 주행하며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자동운반차량과, 후부에 상기 제1연결기에 연결 설치되는 제2연결기가 구비되고, 상기 자동운반차량에 연결 설치되어 물류거점 사이를 주행하는 트랙터 및 상기 자동운반차량 및 기관차의 주행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타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자동운반차량은 그 상부에 컨테이너가 하역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바퀴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구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리프터 및 외부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연결기는, 이웃하는 차체를 연결하여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너클 결합부와, 상기 너클결합부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너클 결합부는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회동하여 이웃하는 차체를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의 외측에 설치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체결부재에 연결 설치되어 체결부재의 회동을 제한하기 위한 체결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트랙터는 수소연료전지 또는 압축천연가스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랙터는 수소연료전지 생성에 사용되는 수소를 저장하는 수소 저장부와, 상기 수소 저장부로부터 수소를 공급받아 전기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발전부 및 상기 연료전지발전부에서 생성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주행에 필요한 동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랙터와 자동운반차량들이 자동으로 서로 연결 및 분리되도록 하여 물류를 이송하기 위한 운송차량의 조성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류운송을 간편화하고, 운송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물차의 수송분담율을 줄여 도로의 혼잡율을 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철도운송의 접근성 문제를 보완할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운송차량 자동 조성 시스템 중 자동운반차량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컨테이너를 적재한 자동운반차량이 전용도로 상을 주행하는 모습 및 컨트롤 타워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컨테이너를 적재한 자동운반차량이 트랙터가 연결되기 위해 모여드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운송차량 자동 조성 시스템 중 트랙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운송차량 자동 조성 시스템 중 제1 및 제2연결기가 결합되기 직전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운송차량 자동 조성 시스템 중 제1 및 제2연결기가 결합된 후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운송차량 자동 조성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운송차량 자동 조성 시스템 중 자동운반차량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컨테이너를 적재한 자동운반차량이 전용도로 상을 주행하는 모습 및 컨트롤 타워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컨테이너를 적재한 자동운반차량이 트랙터가 연결되기 위해 모여드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운송차량 자동 조성 시스템 중 트랙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운송차량 자동 조성 시스템 중 제1 및 제2연결기가 결합되기 직전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운송차량 자동 조성 시스템 중 제1 및 제2연결기가 결합된 후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트랙터(30)와 자동운반차량(20)들이 자동으로 서로 연결 및 분리되도록 하여 물류를 이송하기 위한 운송차량의 조성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물류 운송차량 자동 조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크게 전용도로(10), 자동운반차량(20), 트랙터(30) 및 컨트롤 타워(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전용도로(10)는 물류거점의 내부 및 각 물류거점들의 사이에 설치되어 그 상부로 자동운반차량(20) 및 트랙터(3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전용도로(10)의 지하에는 다수의 트랜스듀서(Transducer)(12)가 매설되어 자동운반차량(20) 및 트랙터(30)의 이동이 무인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전용도로(10)의 지하에 다수의 트랜스듀서(12)가 매설되어 가상 레일(Virtual rail)을 형성하도록 하고, 후술할 컨트롤 타워(40)로부터 발생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트랜스듀서(12)에서 수신 및 변환하여 자동운반차량(20) 및 트랙터(30)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자동운반차량(20) 및 트랙터(30)가 전용도로(100) 상을 무인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자동운반차량(20)(AGV; Automated Guided Vehicle)은 물류거점 내에서 그 상부에 컨테이너(50)를 적재한 상태로 이동하여 물류가 수용된 컨테이너(50)를 트랙터(30)가 정차되어 있는 주차장 또는 원하는 곳으로 이송하는 역할 및 트랙터(30)에 결합되어 컨테이너(50)를 배송 목적지까지 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물류를 운송해야 할 물류거점 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근거리인 경우에 주로 사용하게 된다.
즉, 상기 자동운반차량(2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에 컨테이너(50)가 하역되는 몸체부(21)와, 상기 몸체부(21)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바퀴(2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21)의 상부에는 고정구(23)가 돌출 형성되어, 탑 리프터(미도시)에 의해 몸체부(21) 상에 안치되는 컨테이너(50)가 상기 고정구(23)에 의해 흔들림 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21)의 상부에는 리프터(24)가 설치되어 몸체부(21) 상에 안치되는 컨테이너(50)를 일정 높이까지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부(21)의 전,후에는 제1연결기(25)가 설치되어 자동운반차량(20)끼리 혹은 트랙터(30)에 자동으로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자동운반차량(20)에는 외부, 즉 컨트롤 타워(40) 또는 트랜스듀서(12)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26)가 구비되어 있다.
다음, 상기 트랙터(30)는 후부에 구비된 제2연결기(35)를 통해 컨테이너(50)를 적재한 자동운반차량(20)들에 연결 설치되어 물류거점의 사이를 주행하면서 물류거점 간에 물류가 수용된 컨테이너(50)를 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트랙터(30)는 배기가스의 배출을 없애기 위해 수소연료전지 또는 압축천연가스를 동력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물류거점의 사이에 지하에 트랜스듀서(12)가 매설된 전용도로(10)가 설치된 경우에는 후술할 제어부(35b)를 통해 트랜스듀서(12)의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무인 운전을 통해 자동으로 목적지까지 물류를 운송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트랙터(3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소저장부(31)와, 연료전지발전부(32) 및 배터리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수소저장부(31는 수소연료전지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소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연료전지발전부(32)는 수소저장부(31)로부터 수소를 공급받아 트랙터(30)의 동력으로 사용되는 전기를 생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상기 배터리부(33)는 연료전지발전부(32)에서 생성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트랙터(30)의 주행에 필요한 동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자동운반차량(20)과 트랙터(30)의 연결은 제1 및 제2연결기(25)(35)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1 및 제2연결기(25)(35)는 각각 너클 결합부(25a,35a)와 제어부(25b,35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너클 결합부(25a,35a)는 이웃하는 차체 즉, 트랙터(30)와 자동운반차량(20) 또는 이웃하는 자동운반차량(20)들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구성은 다시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결부재(252,352)와 고정부재(254,354) 및 체결핀(256,35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체결부재(252,352)는 제어부(25b,35b)의 신호에 의해 회동하여 이웃하는 차체를 연결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고정부재(254,354)는 체결부재(252,352)의 일측 단부에 핀 결합되어 체결부재(252,352)를 회동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상기 체결핀(256,356)은 체결부재(252,352)가 이웃하는 차체의 체결부재(252,352)와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컨트롤 타워(40)의 제어에 의해 전용도로(10)의 지하에 매설된 트랜스듀서(12)로부터 보내지는 신호를 제어부(25b,35b)에서 수신하여 트랙터(30)와 자동운반차량(20) 또는 이웃하는 자동운반차량(20)이 서로 근접한 상태로 접근하게 되면 접근 속도를 서서히 줄이게 되고(도 5 참조), 체결부재(252,352)가 이웃하는 차량의 고정부재(254,354)에 닿게 되면 제어부(25b,35b)의 신호에 의해 두 차량의 체결부재(252,352)가 동시에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서로 맞물림으로써 두 개의 차량이 서로 연결되고(도 6 참조), 체결부재(252,352)들 사이의 결합이 완료되면 고정부재(254,354)의 내측에 삽입 설치된 체결핀(256,356)이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체결부재(252,352)에 형성된 관통홀(미도시)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더 이상의 회동을 방지하게 되어 두 개의 차량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254,354)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 차량의 체결부재(252,352)가 서로 결합된 경우 체결부재(252,352)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주행 중에 발생하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체결부재(252,352)를 보호하게 되어 차량 이탈 등의 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한편, 차량의 연결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제어부(25b,35b)의 신호에 의해 체결핀(256,356)을 관통홀로부터 이탈시킨 후 차량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서서히 이동시키면 고정부재(254,354)에 핀 결합된 체결부재(252,35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자동적으로 결합이 풀리게 되어 차량을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핀(256,356)을 관통홀로부터 이탈시키는 작업은 운전석에 체결핀(256,356)과 연결되는 레버(미도시)를 설치한 후 사용자가 레버의 조작에 의해 체결핀(256,356)을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상기 컨트롤 타워(4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류거점 등에 설치되어 자동운반차량(20) 및 트랙터(30)의 주행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용도로(10)의 지하에 매설된 트랜스듀서(12)로 주행신호를 보냄으로써 자동운반차량(20) 및 트랙터(30)가 트랜스듀서(12)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에 의해 운전자가 없이도 자동으로 목적지까지 주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운송차량 자동 조성 시스템에 의하면, 트랙터(30)와 자동운반차량(20)들이 자동으로 서로 연결 및 분리되도록 하여 물류를 이송하기 위한 운송차량의 조성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류운송을 간편화하고, 운송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한꺼번에 다수의 자동운반차량(20)을 트랙터(30)에 연결하여 물류가 수용된 컨테이너(50)를 운송함으로써 화물차의 수송분담율을 줄여 도로의 혼잡율을 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철도운송의 접근성 문제를 보완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물류 운송차량 자동 조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랙터와 자동운반차량들이 자동으로 서로 연결 및 분리되도록 하여 물류를 이송하기 위한 운송차량의 조성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물류 운송차량 자동 조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10 : 전용도로 12 : 트랜스듀서
20 : 자동운반차량 21 : 몸체부
22 : 바퀴 23 : 고정구
24 : 리프터 25 : 제1연결기
25a, 35a : 너클 결합부 25b, 35b : 제어부
26 : 신호수신부 30 : 트랙터
31 : 수소저장부 32 : 연료전지 발전부
33 : 배터리부 35 : 제2연결기
40 : 컨트롤 타워 50 : 컨테이너
252, 352 : 체결부재 254, 354 : 고정부재
256, 356 : 체결핀

Claims (6)

  1. 지하에 다수의 트랜스듀서가 매설된 전용도로와,
    양측 단부에 제1연결기가 구비되고, 상기 전용도로 상을 주행하며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자동운반차량과,
    후부에 상기 제1연결기에 연결 설치되는 제2연결기가 구비되고, 상기 자동운반차량에 연결 설치되어 물류거점 사이를 주행하는 트랙터 및
    상기 자동운반차량 및 기관차의 주행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타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운송차량 자동 조성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운반차량은 그 상부에 컨테이너가 하역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바퀴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구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리프터 및 외부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운송차량 자동 조성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연결기는,
    이웃하는 차체를 연결하여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너클 결합부와,
    상기 너클결합부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운송차량 자동 조성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너클 결합부는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회동하여 이웃하는 차체를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의 외측에 설치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체결부재에 연결 설치되어 체결부재의 회동을 제한하기 위한 체결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운송차량 자동 조성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터는 수소연료전지 또는 압축천연가스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운송차량 자동 조성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터는 수소연료전지 생성에 사용되는 수소를 저장하는 수소 저장부와, 상기 수소 저장부로부터 수소를 공급받아 전기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발전부 및 상기 연료전지발전부에서 생성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주행에 필요한 동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운송차량 자동 조성 시스템.
KR1020100136309A 2010-12-28 2010-12-28 물류 운송차량 자동 조성 시스템 KR101241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309A KR101241441B1 (ko) 2010-12-28 2010-12-28 물류 운송차량 자동 조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309A KR101241441B1 (ko) 2010-12-28 2010-12-28 물류 운송차량 자동 조성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469A true KR20120074469A (ko) 2012-07-06
KR101241441B1 KR101241441B1 (ko) 2013-03-11

Family

ID=46708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6309A KR101241441B1 (ko) 2010-12-28 2010-12-28 물류 운송차량 자동 조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4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3884A (ko) 2017-10-19 2019-04-29 (주)대창양회 기능성 립밤
WO2021080235A1 (ko) * 2019-10-22 2021-04-29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로봇의 주행을 위해 설정된 전용 도로를 사용하여 로봇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13772350A (zh) * 2021-09-07 2021-12-10 太仓中科信息技术研究院 一种电力轨道式无线长距离物流输送装备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2353A (ja) 2000-03-31 2001-10-12 Tcm Corp 無人搬送車
JP2005239315A (ja) 2004-02-24 2005-09-08 Mitsubishi Heavy Ind Ltd 搬送車監視制御装置、無人搬送車、搬送システム、及び搬送車監視制御方法
KR100858926B1 (ko) 2007-01-31 2008-09-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태그 리드 시스템을 이용한 주행 안내 장치
KR101282942B1 (ko) * 2010-11-04 2013-07-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물류거점간 자동 운송 시스템
KR101209283B1 (ko) * 2010-11-04 2012-12-0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물류운송용 트레일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3884A (ko) 2017-10-19 2019-04-29 (주)대창양회 기능성 립밤
WO2021080235A1 (ko) * 2019-10-22 2021-04-29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로봇의 주행을 위해 설정된 전용 도로를 사용하여 로봇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13772350A (zh) * 2021-09-07 2021-12-10 太仓中科信息技术研究院 一种电力轨道式无线长距离物流输送装备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1441B1 (ko) 2013-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27399T3 (es) Sistema y procedimiento de transporte de mercancías
CN109466569B (zh) 用于联运的集装箱轨道动力平车及运输集装箱的方法
WO2020107086A1 (pt) Sistema de acoplamento inteligente entre implemento rodoviário e veículo trator, sistema e processo de gerenciamento para atuação de tração auxiliar em implementos rodoviários
KR101200441B1 (ko) 물류 운송용 차량 연결기
KR101241441B1 (ko) 물류 운송차량 자동 조성 시스템
CN104417634A (zh) 纯电动牵引车及适用于场内运输的车辆
KR101282942B1 (ko) 물류거점간 자동 운송 시스템
JP2016020131A (ja) 無人搬送車の搬送システム
CN206955217U (zh) 一种物流系统
Birky et al. Transportation electrification beyond light duty: technology and market assessment
KR101209283B1 (ko) 물류운송용 트레일러
KR101266477B1 (ko) 물류 배송 및 집하 방법
KR101250442B1 (ko)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한 물류운송 방법
CA3035952A1 (en) Motorized trailer with swappable batteries
CN109551978A (zh) 一种灵活共轨交通系统
IT201800010270A1 (it) Veicolo del tipo di un rimorchio, di un semirimorchio e simili
CN102806924A (zh) 一种大功率重载货运机车组
KR101241442B1 (ko) 물류 배송 및 집하 방법
KR101208738B1 (ko) 그라운드 리프터
CN117755062A (zh) 一种部署在挂车的电能传输控制系统
WO2023201121A1 (en) Attachable hybrid platform for wheeled vehicles
CN202448810U (zh) 快速轮胎式运梁车
CN111891052A (zh) 公铁两用车运行监控系统及其监控方法
WO2013170324A1 (pt) "combinação de equipamentos e método para transporte ferroviáro de containers".
WO2015136324A1 (en) Autonomous rapid on-craned new-rail-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