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4108A - 휴대용 디스플레이 제품의 lcd 보호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휴대용 디스플레이 제품의 lcd 보호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4108A
KR20120074108A KR1020100136067A KR20100136067A KR20120074108A KR 20120074108 A KR20120074108 A KR 20120074108A KR 1020100136067 A KR1020100136067 A KR 1020100136067A KR 20100136067 A KR20100136067 A KR 20100136067A KR 20120074108 A KR20120074108 A KR 20120074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polyamide
portable display
weight
carbon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6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4363B1 (ko
Inventor
김두영
박강열
신찬균
박지권
임윤숙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6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4363B1/ko
Priority to PCT/KR2010/009596 priority patent/WO2012091204A1/ko
Publication of KR20120074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4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4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4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06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10Polyamides derived from aromatically bound amino and carboxyl groups of amino-carboxylic acids or of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제품의 LCD 보호용 브라켓은 (A) 폴리아미드 수지 및 (B) 카본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A) 폴리아미드 수지와 (B) 카본섬유의 중량비는 (A):(B)=20~40 중량%: 60~80 중량%이고, 상기 (A) 폴리아미드 수지는 (a1)탄소수 4~6의 지방족기를 주쇄로 함유하는 지방족 폴리아미드 및 (a2)방향족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디스플레이 제품의 LCD 보호용 브라켓{BRACKET FOR PROTECTING LCD OF PORTA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제품의 LCD 보호용 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기계적 강도와 EMI 차폐성이 우수하여 기존 Mg 소재를 대체하여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고, 유동성이 뛰어나고, 흡습률이 낮은 디스플레이 제품의 LCD 보호용 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파는 정전기 방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노이즈(Noise)현상으로, 주변의 부품 또는 기기에 노이즈와 오작동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인체에도 해로운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고효율, 고소비전력, 고집적화되는 전기/전자 제품을 통해 전자파 발생 가능성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선진 각국은 물론 국내에서도 전자파의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종래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한 방법으로 금속재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예컨대, 휴대폰, 노트북, PDA, 기타 mobile item 과 같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제품에 사용되는 IT용 브라켓(Bracket)의 경우 LCD를 보호하고 전자파를 차폐하며, Frame 역할을 하기 때문에, 높은 강성과 EMI 차폐성이 요구된다. 근래에는 브라켓, 프레임 등의 소재로 마그네슘, 알루미늄, Stainless steel 등과 같은 금속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금속재의 경우 전자기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Die-casting 하는 방식으로 생산되어 생산단가가 높고 불량률이 높은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금속 소재들에 비해, 성형이 용이하고, 성형 정밀도가 우수하며, 경제성이나 생산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대체하는 방법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 개발된 금속 대체수지의 모듈러스는 FM 20GPa 이하, 전자파 차폐효과는 30dB(@1GHz) 정도로 금속에 비해 강성이나 EMI 차폐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모듈러스를 높이기 위해 fiber함량을 높이는 방법이 제기되었으나, fiber함량이 고함량의 경우 충격강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유동성이 낮고, 가공이 어려워 실질적인 적용에 어려움이 있고, 표면저항이 높아 전자기기의 소재로 사용하기에도 전도도가 지나치게 낮은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굴곡모듈러스와 인장강도가 상대적으로 높으며, 탄소수 4~6의 지방족기를 주쇄로 함유하는 폴리아미드를 기초수지로 적용하는 방법이 제기되었으나, 이와 같이 탄소수 4~6의 지방족기를 주쇄로 함유하는 폴리아미드계 수지를 기초수지로 적용할 경우, 치수안정성이 낮고 흡습율이 높아 제품열화가 가속화되고, 또한 저유동 base 에서는 high filler loading이 어렵다.
설사 high filler loading이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가공성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자기기의 소재로 사용하기에는 전도도가 지나치게 낮아 휴대용 디스플레이 제품의 LCD 보호용 브라켓으로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무기질 보강제가 첨가된 복합재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무 등이 첨가될 경우, 유동성이 하락하고 기계적 성질이 나빠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우수한 유동성과 충격강도 및 강성을 가지며, 전도성과 차폐성능이 탁월하여 기존 Mg 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소재의 LCD 보호용 브라켓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듈러스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휴대용 디스플레이 제품의 LCD 보호용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흡습율과 표면저항이 낮아 EMI 차폐에 적합한 휴대용 디스플레이 제품의 LCD 보호용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동성과 성형 정밀성이 우수한 LCD 보호용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후가공이 불필요하고 경제성 및 생산성이 뛰어난 LCD 보호용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LCD 보호용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 Mg 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LCD 보호용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동성, 충격강도, 강성, 전도성, 치수안정성 및 EMI 차폐성 등의 물성 발란스가 뛰어난 LCD 보호용 브라켓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제품의 LCD 보호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상기 LCD 보호용 브라켓은 (A) 폴리아미드 수지 및 (B) 카본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A) 폴리아미드 수지와 (B) 카본섬유의 중량비는 (A):(B)=20~40 중량%: 60~80 중량%이고, 상기 (A) 폴리아미드 수지는 (a1)탄소수 4~6의 지방족기를 주쇄로 함유하는 지방족 폴리아미드 및 (a2)방향족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 폴리아미드 수지는 (a1)지방족 폴리아미드 50 내지 95 중량%; 및 (a2) 방향족 폴리아미드 5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a1)지방족 폴리아미드는 PA 6, PA 66, PA 46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a2)방향족 폴리아미드는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a2)방향족 폴리아미드는 방향족 디아민과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a2)방향족 폴리아미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아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에서 Ar은 방향족기이며, R은 C4 ~20의 알킬렌기이고, n은 50 내지 500의 정수임.
상기 (B) 카본섬유는 길이가 0.01 내지 20 mm 인 카본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 카본섬유는 상기 (A) 폴리아미드 수지에서 서로 접촉점을 가지며 네트워크 형상으로 분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탄소나노튜브를 (A)+(B)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초과 20 중량부 이하의 범위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난연제, 가소제, 커플링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탄소필러, 무기필러, 이형제, 분산제, 적하방지제, 내후안정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브라켓은 300℃에서 1mm 규격에 의한 스파이럴 플로우(spiral flow) 길이가 42 내지 75 mm 이고, ASTM D790에 의한 굴곡모듈러스가 38~50 GPa 이고, ASTM D256에 의한 3.2mm 두께에서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71 내지 90 KJ/m2이고, 100x100mm 규격에 의한 체적저항이 0.01 내지 0.5 Ω?cm 이며, 1 GHz, 2mm 두께에서 EMI D257 규격에 의한 차폐효과가 70 내지 120 dB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제품의 LCD 보호용 브라켓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a1)탄소수 4~6의 지방족기를 주쇄로 함유하는 지방족 폴리아미드 및 (a2)방향족 폴리아미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폴리아미드 수지(A)를 압출기에 투입하고; 상기 압출기에 (B) 카본섬유를 투입하여 상기 (A) 폴리아미드 수지에 (B) 카본섬유를 (A):(B)=20~40 중량%: 60~80 중량%의 중량비로 함침하고; 상기 함침된 혼합물을 압출하여 펠렛화하고; 그리고 상기 펠렛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예에서는, 상기 펠렛은 5.5 내지 25 mm 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듈러스 및 충격강도가 우수하고, 흡습율과 표면저항이 낮아 EMI 차폐에 적합하며, 유동성과 성형 정밀성이 우수하고, 후가공이 불필요하고 경제성 및 생산성이 뛰어나며, 치수안정성이 우수하고, 기존 Mg 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LCD 보호용 브라켓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휴대용 디스플레이 제품의 LCD 보호용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휴대용 디스플레이 제품의 LCD 보호용 브라켓의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LCD 보호용 브라켓은 LCD가 노출되도록 개방부(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부(20)의 둘레에 LCD를 고정할 수 있도록 프레임(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0)은 LCD 모듈의 상면 혹은 하면에 위치하며 LCD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전자파를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LCD 보호용 브라켓은 도시된 형태 외에도 다양한 형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LCD 보호용 브라켓은 (A) 폴리아미드 수지 및 (B) 카본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A) 폴리아미드 수지에 (B) 카본섬유가 함침된 형태를 갖는다. 구체예에서 상기 (B) 카본섬유는 상기 (A) 폴리아미드 수지에서 서로 접촉점을 가지며 네트워크 형상으로 분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A) 폴리아미드 수지와 (B) 카본섬유간 중량비는 (A):(B)=20~40 중량%: 60~80 중량%이다. 만일 (B) 카본섬유가 60 중량% 미만일 경우, 모듈러스 및 굴곡강도가 저하되고, 체적 저항과 흡습율이 높아지며, EMI 차폐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반면, (B) 카본섬유의 함량이 8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유동성이 저하되고 충격강도 및 굴곡강도가 떨어질 수 있다.
이하, 상기 각 성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A) 폴리아미드 수지
본 발명의 (A) 폴리아미드 수지는 융점이 200 내지 300 ℃이고, ASTM D790에 의한 굴곡모듈러스가 2~5.5 GPa인 폴리아미드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굴곡모듈러스가 높은 폴리아미드 수지를 사용함으로서, LCD 보호용 브라켓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A) 폴리아미드 수지는 (a1)탄소수 4~6의 지방족기를 주쇄로 함유하는 지방족 폴리아미드 및 (a2)방향족 폴리아미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 폴리아미드 수지는 (a1)지방족 폴리아미드 50 내지 95 중량%; 및 (a2) 방향족 폴리아미드 5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a1)지방족 폴리아미드 55 내지 90 중량%; 및 (a2) 방향족 폴리아미드 10 내지 4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강성과 유동성의 물성 발란스가 우수하며, 흡습율을 낮출 수 있다.
(a1)지방족 폴리아미드
본 발명에서 상기 (a1)지방족 폴리아미드는 탄소수 4~6의 지방족기를 주쇄로 함유한다.
구체예에서 상기 (a1)지방족 폴리아미드는 유리전이온도(Tg)가 45 내지 75℃일 수 있으며, 용융점이 210 내지 280 ℃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범위인 것을 사용할 경우, 우수한 충격강도를 얻을 수 있다.
상기 (a1)지방족 폴리아미드의 수평균 분자량(Mn)은 10,000 내지 200,000 g/mol, 바람직하게는 20,000 내지 150,000 g/mol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박막성형 및 필러 함침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a1)지방족 폴리아미드로는 PA 6, PA 66, PA 46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이들은 굴곡 모듈러스가 다른 지방족 폴리아미드 높아 LCD 보호용 브라켓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PA 6, PA 66, PA 46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상업적 구입이 용이하다.
(a2)방향족 폴리아미드
상기 (a2)방향족 폴리아미드는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a2)방향족 폴리아미드는 주쇄에 방향족기를 함유하므로 보다 높은 강성(rigidity)과 강도(strength)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전방향족 폴리아미드는 방향족 디아민과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중합체를 의미한다.
상기 반방향족 폴리아미드는 아미드 결합 사이에 최소한 하나의 방향족 단위와 비방향족 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 구체예에서는 상기 반방향족 폴리아미드는 방향족 디아민과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중합체일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는 상기 (a2)방향족 폴리아미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아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에서 Ar은 방향족기이며, R은 C4~20의 알킬렌기이고, n은 50 내지 500의 정수임.
상기 화학식 1에서 Ar은 치환 혹은 비치환된 방향족기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기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R은 C4~20의 선형 혹은 가지형 알킬렌기일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는 상기 반방향족 폴리아미드는 하기 화학식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지방족 디아민과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중합체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3

상기에서 Ar은 방향족기이며, R은 C1 ~20의 알킬렌기이고, n은 50 내지 500의 정수임.
상기 화학식 1에서 Ar은 치환 혹은 비치환된 방향족기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기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R은 C1 ~20의 선형 혹은 가지형 알킬렌기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디아민은 p-자일렌디아민, m-자일렌디아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예로는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나프탈렌-2,6-디카르복실산, 디페닐4,4'-디카르복실산, 1,3-페닐렌디옥시디아세틱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지방족 디아민은 1,2-에틸렌디아민, 1,3-프로필렌디아민, 1,6-헥사메틸렌디아민, 1,12-도데실렌디아민, 피페라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은 아디프산, 세바식산, 숙신산, 글루타릭산, 아젤라익산, 도데칸디오익산, 다이머산, 사이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는 상기 (a2)방향족 폴리아미드는 유리전이온도(Tg)가 80 내지 120 ℃, 바람직하게는 83 내지 100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우수한 유동성과 강성, 낮은 흡습율의 물성 발란스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2)방향족 폴리아미드는 나일론 MXD6, 나일론 6T, 나일론 9T, 나일론 10T, 나일론 6I/6T 등이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나일론 MXD6이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a2)방향족 폴리아미드는 수평균분자량이 10,000?200,000 g/mol, 바람직하게는 30,000?100,000g/mol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박막성형 및 필러 함침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B) 카본섬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카본섬유는 이 분야의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이미 잘 알려져 있는 것으로, 상업적 구입이 용이하며,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는 상기 카본섬유는 PAN계나 피치계로부터 제조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카본섬유의 평균직경은 1 내지 30 ㎛인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 ㎛,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이다. 상기 범위에서 우수한 물성과 전도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브라켓 제조에 사용되는 카본 섬유의 길이는 1 내지 20 mm,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mm이다. 상기 범위에서 전도성과 기계적 강도의 우수한 물성 발란스를 갖는다. 통상 카본 섬유는 성형을 거친 후 대부분이 절단된다. 본 발명의 최종 성형된 브라켓 내의 카본 섬유의 길이는 0.01 내지 20 mm일 수 있다. 예를 들면 8 내지 20 mm 길이의 롱 카본섬유를 적용할 경우 브라켓에서 90 % 이상의 카본섬유 길이는 0.5 내지 6mm일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는 chopped 카본섬유를 적용할 경우 브라켓 내의 90 % 이상의 카본 섬유의 길이는 0.01~ 0.5mm 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카본섬유는 표면처리가 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번들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는 상기 카본섬유는 400~3000TEX의 번들형태의 카본장섬유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00~2400TEX, 더욱 바람직하게는 800~1700TEX이다. 상기 범위에서 함침이 잘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본장섬유를 적용할 경우 보다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EMI 차폐성을 갖는다.
한 구체예에서 번들 형태를 갖는 카본 섬유는 폴리아미드 수지(A)의 용융물에 함침시켜 표면에 폴리아미드 수지(A)를 묻힌 후,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A)가 묻어있는 카본 섬유를 펠렛타이징 과정에서 8 내지 20mm 길이로 절단되어 길이 8-20 mm의 펠렛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펠렛은 사출 등의 성형과정을 통해 성형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최종 성형물에서는 카본 섬유가 서로 분산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브라켓은 상기 구성요소 외에도 탄소나노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단일벽, 이중벽, 다중벽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의 조합도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이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할 경우 표면저항이 현저히 저하되며, 보다 우수한 전자파 차폐성능과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A)+(B)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초과 20 중량부 이하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우수한 유동성 및 강성과 전자파 차폐 성능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브라켓은 금속 필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필러는 전도성을 갖는 필러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철, 크롬, 니켈, 블랙니켈, 구리, 은, 금, 백금, 팔라듐, 주석, 코발트, 이들의 2종 이상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는 철-크롬-니켈의 합금일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는 산화주석, 산화인듐, 실리콘카바이드, 지르코늄카바이드, 티타늄카바이드 등과 같은 금속 산화물이나 금속 탄화물도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는 주석, 납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주성분과, 구리, 알루미늄, 니켈, 은, 게르마늄, 인듐, 아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부성분을 포함하는 저융점 금속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융점 금속을 사용할 경우, 필러간 네트워크 형성을 용이하게 하여 전자파 차폐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저융점 금속은 폴리아미드 수지(A) 의 복합재 프로세스 공정 온도보다 낮은 고상선 온도(Solidus temp.:응고가 종료되는 온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 수지(A) 의 프로세스 공정 온도보다 저융점 금속의 고상선 온도가 20℃ 이상 낮은 것이 복합재 제조 공정 및 필러간의 네트워크 형성면에서 좋고, 복합재 사용 환경보다 100℃ 이상 높은 것이 안정성 면에서 좋다. 바람직하게는 융점 300 ℃ 이하로서 주석/구리(90~99 /1~10 중량비), 주석/구리/은(90~96 /3~8 /1~3중량비)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금속 필러의 형태는 금속분, 금속비드, 금속 섬유, 금속 플레이크, 금속 코팅된 입자 및 금속 코팅된 섬유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금속 필러의 형태를 금속분 혹은 금속 비드 형태로 사용할 경우, 평균입경이 30 내지 300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압출시 feeding이 잘 되는 장점이 있다.
금속 필러의 형태를 금속 섬유 형태로 사용할 경우, 50 내지 500 mm의 길이 및 10 내지 100 ㎛의 직경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섬유는 밀도를 0.7 ? 6.0 g/ml 인 것을 사용할 수 한다. 상기 범위에서 압출가공 중 적정한 feeding을 유지할 수 있다.
금속 필러의 형태를 금속 플레이크 형태로 사용할 경우, 평균 크기가 50 내지 500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압출가공 중 적정한 feeding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금속분, 금속비드, 금속 섬유 등은 단일금속 혹은 2종 이상의 합금일 수도 있으며,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금속 코팅된 입자 및 금속 코팅된 섬유는 수지, 세라믹, 금속, 탄소 등의 성분이 코어를 이루고 상기 코어를 금속이 코팅한 형태이다. 예컨대, 수지 기재의 미립자나 섬유에 니켈, 니켈-구리 등의 금속이 코팅된 형태일 수 있으며, 금속 코팅은 단층이거나 다층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금속 코팅된 입자는 평균입경이 30 내지 300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압출시 feeding이 잘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금속 코팅된 섬유는 평균직경이 10 내지 100 ㎛이며, 50 내지 500 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압출가공 중 적정한 feeding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금속 필러는 (A)+(B)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전도성과 유동성, 충격강도 및 굴곡 모듈러스의 발란스를 얻을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는 상기 카본 섬유와 금속 필러 간 비율은 카본섬유:금속 필러 = 6~20: 1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우수한 물성 발란스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브라켓은 금속코팅된 흑연을 더 포함할 수 있다.상기 금속코팅된 흑연은 입자, 섬유, 플레이크, 무정형 또는 이들의 조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금속코팅된 흑연이 섬유형상을 가질 경우 카본섬유와 함께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금속코팅된 흑연을 함유할 경우 표면저항이 현저히 저하되며, 보다 우수한 전자파 차폐성능과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금속코팅된 흑연은 평균 입경이 10 내지 200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코팅된 흑연이 섬유형상을 가질 경우, 평균 직경은 10 내지 200 ㎛이고, 평균 길이는 15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에서 전기전도성이 우수하면서도 첨가에 의한 기계적 물성의 저하가 적은 장점이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금속은 전도성을 갖는 금속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철, 크롬, 니켈, 블랙니켈, 구리, 은, 금, 백금, 팔라듐, 주석, 코발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의 2종 이상 합금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코팅은 단일층 뿐만 아니라, 2 이상의 복수층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금속코팅된 흑연은 (A)+(B)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이하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7중량부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는 상기 금속코팅된 흑연은 탄소나노튜브와 함께 적용할 수 있으며, 이때 금속코팅된 흑연의 함량은 (A)+(B)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 중량부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우수한 유동성 및 강성과 전자파 차폐 성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브라켓은 난연제, 가소제, 커플링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탄소필러, 무기필러, 이형제, 분산제, 적하방지제, 내후안정제 등의 첨가제를 통상의 범위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탄소 필러로는 상기 카본섬유(B)를 제외한 다양한 탄소 필러들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예로는 흑연, 탄소나노튜브, 카본 블랙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들의 금속 코팅물도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앞서 설명한 금속코팅된 흑연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필러로는 앞서 설명한 금속필러, 금속 산화물 필러, 금속염 필러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중 바람직하게는 금속 필러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브라켓은 300℃에서 1mm 규격에 의한 스파이럴 플로우(spiral flow) 길이가 42 내지 75 mm 이고, ASTM D790에 의한 굴곡모듈러스가 38~50 GPa 이고, ASTM D256에 의한 3.2mm 두께에서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71 내지 90 KJ/m2이고, 100x100mm 규격에 의한 체적저항이 0.01 내지 0.5 Ω?cm 이며, 1 GHz, 2mm 두께에서 EMI D257 규격에 의한 차폐효과가 70 내지 120 dB 일 수 있다.
또한, 성형된 브라켓에 대하여 550℃에서 1시간 후 잔류 섬유길이를 100개 추출하여 길이 방향으로 길이를 측정하여 평균값이 2mm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제품의 LCD 보호용 브라켓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a1)탄소수 4~6의 지방족기를 주쇄로 함유하는 지방족 폴리아미드 및 (a2)방향족 폴리아미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폴리아미드 수지(A)를 압출기에 투입하고; 상기 압출기에 (B) 카본섬유를 투입하여 상기 (A) 폴리아미드 수지에 (B) 카본섬유를 (A):(B)=20~40 중량%: 60~80 중량%의 중량비로 함침하고; 상기 함침된 혼합물을 압출하여 펠렛화하고; 그리고 상기 펠렛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 구체예에서는 폴리아미드 수지(A)와 카본섬유(B)를 함께 압출기에 투입하거나 별개의 투입구를 통해 압출기에 투입하여 혼련한 다음, 펠렛화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는 폴리아미드 수지(A)를 먼저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시킨 후, 카본섬유(B) 투입하여 함침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융된 폴리아미드 수지(A)에 카본섬유(B)를 통과시켜 함침시킬 수 있다. 상기 방법은 5 mm를 초과, 바람직하게는 8 mm이상인 장섬유의 카본섬유를 적용할 경우 혼련과정중 섬유의 단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함침되는 카본섬유는 400~3000TEX의 번들형태의 long 카본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함침된 혼합물은 긴 섬유의 형태로 압출한 후 일정한 크기로 커팅하여 펠렛화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는 5.5 내지 25 mm, 바람직하게는 6 내지 2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 mm의 길이로 커팅하여 펠렛화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장섬유의 카본섬유의 형태가 유지되어 우수한 차폐성과 강도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조된 펠렛은 사출성형, 압축성형, 캐스팅성형 등을 통해 브라켓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성형과정을 통해 번들 형태를 갖는 카본 섬유는 서로 분산되어 최종 브라켓 내에서 섬유들이 네트워크 형상으로 분산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에서 네트워크 형상은 섬유들이 다수의 접촉점을 형성하여 섬유와 섬유간 서로 연결된 형태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브라켓은 우수한 전자파 차폐성과 전도성, 기계적 물성, 성형성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서 사용된 각 성분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열가소성 수지
(a11) : PA6 제품으로 효성사의 1031 BRT을 사용하였다.
(a12) : PA66 제품으로 Dupont사의 ZYTEL 101 F를 사용하였다.
(a2) : PAA(metalxylenediamineadipamide(MXD6, polyarylamide)) 제품으로 Toyobo사의 T-600을 사용하였다.
(B) 카본섬유 : 평균직경이 7 ㎛ 이고 길이가 6 mm인 chopped 카본섬유인 Toray에서 제조된 T008-6을 사용하였다.
(B') 카본장섬유: Toray에서 제조된 Toray TORAYCA T700S 50C, 1650TEX 을 사용하였다.
(C) 탄소나노튜브: Nanocyl사의 NC7000(다중벽 CNT)를 사용하였다.
(D) 금속코팅흑연 :Sulzer사의 2805(Ni : 75 wt%, graphite : 25 wt%)를 사용하였다.
(E) 저융점 300 ℃ 이하인 금속분 : 워튼 메탈사(Warton metals Limited)에서 제조된 97C(97% Sn, 2.5% Cu로서 Powder type 주석-구리 합금류)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8
상기 각 성분을 하기 표 1에 나타난 함량으로 통상의 혼합기에서 혼합하고 L/D=35, Φ=45mm인 이축 압출기에 투입하여 펠렛으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펠렛을 10 oz 사출기를 이용하여 사출하여 브라켓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각 브라켓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평가방법:
(1) 스파이럴 플로우(spiral flow): 300℃에서 1mm규격에 의한 스파이럴 플로우(spiral flow) 길이를 측정하였다(mm).
(2) 굴곡모듈러스 : ASTM D790 에 의해 1.27 mm/min 조건으로 평가하였으며, 단위는 GPa이다.
(3) 굴곡강도: ASTM D790 에 의해 1.27 mm/min 조건으로 평가하였으며, 단위는 MPa이다.
(4) Izod 충격강도(unnotched): 23℃에서 ASTM D256에 의해, 3.2mm 두께에서 평가하였으며, 단위는 J/m이다.
(5) 체적저항: 100x100mm규격에 의해 평가하였다(Ω?cm).
(6) 흡습율(%): 건조된 샘플을 20℃ 물에 24시간 침적시킨 후 중량증가율을 측정하였다.
(7) EMI 차폐성(dB): 샘플을 23℃, 상대 습도 50% 하에 48 시간 동안 방치한 후, EMI D790 에 준하여 1GHz에서 2 mm 두께의 샘플(6X6)에 대한 전자파 차폐 성능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2 3 4 5 6 7 8
(a11) 35 30 20 - - - 35 35
(a12) - - - 35 30 20 - -
(a2) 5 10 20 5 10 20 5 5
(B) 60 60 60 60 60 60 - -
(B') - - - - - - 60 60
(C)CNT - - - - - 0.5 0.5 0.5
(D)금속코팅흑연 - - - - 5 - - 5
(E)금속분 - - - 5 - - 5 -
Spiral mm 61 59 56 42 45 48 43 44
FM(GPa) 39 39.5 41 49 49.8 45 47 48
FS(MPa) 430 465 495 500 503 502 510 515
IZOD(KJ/m2) 74 73 71 79 79 73 79 79
체적저항 0.2 0.2 0.2 0.08 0.09 0.1 0.07 0.06
흡습율% 3.9 3.6 3.1 2.8 2.9 2.7 2.1 2.0
EMI 차폐 75 78 80 82 81 83 85 86
비교예 1-5
상기 각 성분을 하기 표 2에 나타난 함량으로 통상의 혼합기에서 혼합하고 L/D=35, Φ=45mm인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한 후, 압출물을 펠렛 형태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펠렛을 100℃ 4시간 열풍건조기에서 건조 후 사출온도 270℃에서 사출하여 물성 측정 및 EMI?저항성 등 응용 평가를 위한 시편을 제조하였다. 이들 시편은 23℃, 상대습도 50%에서 48시간 방치한 후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2 3 4 5
(a11) 40 - 40 - 10
(a12) - 40 - 40 -
(a2) - - 10 10 5
(B) 60 60 50 50 85
Spiral mm 65 40 68 54 30
FM(GPa) 38 39 33 33 40
FS(MPa) 420 430 380 390 430
IZOD 75 74 80 79 75
체적저항 0.2 0.2 1.2 1.3 0.2
흡습율% 4.1 3.6 4.7 4.1 4.1
EMI 차폐 75 78 56 57 76
상기 표 1 및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a2)방향족 폴리아미드가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 1은 실시예 1-3과 비교하여 흡습율이 현저히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비교예 2와 실시예 4-6에서도 나타났으며, 특히 비교예 2는 실시예 4-6에 비해 유동성도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탄소 섬유 함량이 50 % 함유한 비교예 3 및 4는 실시예 1-6에 비해 굴곡 모듈러스와 굴곡강도 모두 저하되었으며, 저항과 흡습율 역시 상승한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전자파 차폐 효과도 현저히 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0 : 프레임 20: 개방부

Claims (17)

  1. (A) 폴리아미드 수지 및 (B) 카본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A) 폴리아미드 수지와 (B) 카본섬유의 중량비는 (A):(B)=20~40 중량%: 60~80 중량%이고, 상기 (A) 폴리아미드 수지는 (a1)탄소수 4~6의 지방족기를 주쇄로 함유하는 지방족 폴리아미드 및 (a2)방향족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제품의 LCD 보호용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폴리아미드 수지는 (a1)지방족 폴리아미드 50 내지 95 중량%; 및 (a2) 방향족 폴리아미드 5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제품의 LCD 보호용 브라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1)지방족 폴리아미드는 PA 6, PA 66, PA 46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제품의 LCD 보호용 브라켓.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2)방향족 폴리아미드는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제품의 LCD 보호용 브라켓.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2)방향족 폴리아미드는 방향족 디아민과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제품의 LCD 보호용 브라켓.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2)방향족 폴리아미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제품의 LCD 보호용 브라켓:
    <화학식 1>
    Figure pat00004

    상기에서 Ar은 방향족기이며, R은 C4 ~20의 알킬렌기이고, n은 50 내지 500의 정수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카본섬유는 길이가 0.01 내지 20 mm 인 카본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제품의 LCD 보호용 브라켓.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탄소나노튜브를 (A)+(B)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초과 20 중량부 이하의 범위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제품의 LCD 보호용 브라켓.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난연제, 가소제, 커플링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탄소필러, 무기필러, 이형제, 분산제, 적하방지제 및 내후안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제품의 LCD 보호용 브라켓.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필러는 흑연, 탄소나노튜브, 카본 블랙, 이들의 금속 코팅물 또는 이들의 2종 이상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제품의 LCD 보호용 브라켓.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필러는 금속필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제품의 LCD 보호용 브라켓.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300℃에서 1mm규격에 의한 스파이럴 플로우(spiral flow) 길이가 42 내지 75 mm 이고, ASTM D790에 의한 굴곡모듈러스가 38~50 GPa 이고, ASTM D256에 의한 3.2mm 두께에서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71 내지 90 KJ/m2이고, 100x100mm 규격에 의한 체적저항이 0.01 내지 0.5 Ω?cm 이며, 1 GHz, 2mm 두께에서 EMI D257 규격에 의한 차폐효과가 70 내지 120 dB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제품의 LCD 보호용 브라켓.
  13. (a1)탄소수 4~6의 지방족기를 주쇄로 함유하는 지방족 폴리아미드 및 (a2)방향족 폴리아미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폴리아미드 수지(A)를 압출기에 투입하고;
    상기 압출기에 (B) 카본섬유를 투입하여 상기 (A) 폴리아미드 수지에 (B) 카본섬유를 (A):(B)=20~40 중량%: 60~80 중량%의 중량비로 함침하고;
    상기 함침된 혼합물을 압출하여 펠렛화하고; 그리고
    상기 펠렛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제품의 LCD 보호용 브라켓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은 폴리아미드 수지(A)의 용융물에 카본섬유(B)를 통과시켜 함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펠렛은 5.5 내지 25 mm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B) 카본섬유는 길이가 0.01 내지 20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된 혼합물을 압출한 후 커팅하여 펠렛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00136067A 2010-12-27 2010-12-27 휴대용 디스플레이 제품의 lcd 보호용 브라켓 KR101374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067A KR101374363B1 (ko) 2010-12-27 2010-12-27 휴대용 디스플레이 제품의 lcd 보호용 브라켓
PCT/KR2010/009596 WO2012091204A1 (ko) 2010-12-27 2010-12-30 휴대용 디스플레이 제품의 lcd 보호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067A KR101374363B1 (ko) 2010-12-27 2010-12-27 휴대용 디스플레이 제품의 lcd 보호용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108A true KR20120074108A (ko) 2012-07-05
KR101374363B1 KR101374363B1 (ko) 2014-03-17

Family

ID=46383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6067A KR101374363B1 (ko) 2010-12-27 2010-12-27 휴대용 디스플레이 제품의 lcd 보호용 브라켓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74363B1 (ko)
WO (1) WO201209120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793B1 (ko) * 2017-11-10 2019-02-12 주식회사 서연이화 전자파 차폐용 복합체
KR20200103266A (ko) * 2019-02-25 2020-09-02 한화컴파운드 주식회사 접착성이 개선된 폴리아미드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한 적층체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5649B1 (ko) * 1995-12-29 2003-02-07 로디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에스알엘 폴리아마이드및당해폴리아마이드의제조방법및당해폴리아마이드를함유한조성물
JPH10120798A (ja) * 1996-10-18 1998-05-12 Kobe Steel Ltd 電子機器用導電性ケーシング
US6048922A (en) * 1997-08-20 2000-04-11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high strength fiber reinforced composites
JP2004168849A (ja) * 2002-11-19 2004-06-17 Fujitsu Ltd 電子機器筐体
EP1788026B1 (de) * 2005-11-18 2007-07-18 EMS-Chemie AG Verstärkte Polyamidformmassen
CN101313023A (zh) * 2005-11-23 2008-11-26 纳幕尔杜邦公司 碳纤维增强的聚酰胺树脂组合物
US8853324B2 (en) * 2006-11-22 2014-10-0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obile telephone housing comprising polyamide resin composi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793B1 (ko) * 2017-11-10 2019-02-12 주식회사 서연이화 전자파 차폐용 복합체
KR20200103266A (ko) * 2019-02-25 2020-09-02 한화컴파운드 주식회사 접착성이 개선된 폴리아미드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한 적층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91204A1 (ko) 2012-07-05
KR101374363B1 (ko) 2014-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34538A (ko) 고강성 전자파 차폐 조성물 및 그 성형품
KR101397687B1 (ko) 고강성 전자파 차폐 복합재
KR102347760B1 (ko) 전자파 차폐용 열가소성 복합수지 조성물
JP2008528768A (ja) 導電性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74361B1 (ko) 휴대용 디스플레이 제품의 lcd 보호용 브라켓
WO2013085246A1 (ko) 복합재 및 그 성형물
JP2011184681A (ja) 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490682B2 (ja) 炭素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成形材料
KR101247627B1 (ko) 전기절연성 고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KR101192372B1 (ko)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60136146A (ko) 전자파 차폐용 복합수지 조성물
JP2008007753A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JP5310296B2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からなるペレットおよび難燃性樹脂成形品
JP5618039B2 (ja) 熱伝導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体
KR101374363B1 (ko) 휴대용 디스플레이 제품의 lcd 보호용 브라켓
JPH10195311A (ja) 熱可塑性樹脂成形品、および成形品用材料、成形品の製造方法
JP2010116518A (ja) 熱伝導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体
KR102258483B1 (ko)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갖는 복합소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체
KR20100050248A (ko) 전기절연성 고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JP5972721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CN102070824A (zh) 一种抗静电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230167359A (ko) 정전기 소산성 폴리아미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KR101411021B1 (ko) 고강성 전자파 차폐 복합재
JPH11329078A (ja) 導電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WO2012026652A1 (ko) 고강성 전자파 차폐 조성물 및 그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