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4106A -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부재 - Google Patents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4106A
KR20120074106A KR1020100136065A KR20100136065A KR20120074106A KR 20120074106 A KR20120074106 A KR 20120074106A KR 1020100136065 A KR1020100136065 A KR 1020100136065A KR 20100136065 A KR20100136065 A KR 20100136065A KR 20120074106 A KR20120074106 A KR 20120074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dhesive composition
acrylate
fluo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6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1618B1 (ko
Inventor
정철
정우진
이태현
정리라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6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618B1/ko
Publication of KR20120074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4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6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09J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J159/00 - C09J18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불소함유 폴리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내열성과 유연성을 갖는 동시에 저굴절율층의 반사 방지 성능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부재{Adhesive Composition and Optical Memb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부재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불소함유 폴리올을 도입하여 저굴절 특성을 갖는 동시에 내열성과 유연성을 가지며, 반사 방지 성능이 우수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부재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lasma display)(PDP), 유기 EL 장치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FPD)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박막화됨에 따라 내열성과 유연성 및 리웍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시인성 향상을 위한 반사 방지 성능도 보다 높은 수준이 요구되고 있다. 즉, 화상 표시 면은 외부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선에 의한 반사를 적게 하고 그 시인성을 높이는 것이 요구되는데, 이에 대해, 광투과성 기재에 반사방지 층을 이용하여 화상 표시 장치의 화상 표시면 반사를 감소시키고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의 스위칭(switching)에 의한 편광 상태 변화를 가시화시키는 것으로 편광자가 이용되고 있다. 특히 TV 등의 용도에서는 점점 고휘도이면서 콘트라스트가 높은 성질이 요구되고 편광자에도 고투과율과 높은 콘트라스트를 갖는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JP2010-085983에서는 불소 함유 물질을 사용하여 저굴절율층을 형성함하여 시인성을 높이려는 시도를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광투과성 기재 위에 중공상 실리카(silica) 미립자와 분자 중에 불소 원자 함유 모노머(monomer) 및 불소 원자 함유 폴리머(polymer)를 포함하는 유기계 바인더(binder)를 함유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진 점착제의 경우 불소 원자 함유 폴리머와 불소 원자 불함유 다관능 모노머와의 상용성이 상당히 나쁘고 이것들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상 분리가 쉽게 발생하여 백화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내열성과 유연성을 동시에 가지면서 저굴절율층의 반사방지성능이 우수한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소형 크기나 대형크기에서도 빛샘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박리강도, 리워크성이 우수한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우수한 내구신뢰성을 갖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크리프성, 박리강도 , 내구신뢰성, 리워크성 및 절단성 등의 물성 발란스가 탁월한 광학 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최저 반사율이 1.3% 미만인 광학 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불소함유 폴리올을 포함한다. 구체예에서, 상기 불소함유 폴리올은 (메타)아크릴레이트 점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불소함유 폴리올은 굴절율이 1.2 내지 1.3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불소함유 폴리올은 불소함유 알킬디올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불소함유 폴리올은 중량평균분자량이 50 내지 1,000 g/mol 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불소함유 폴리올은 선형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메타)아크릴레이트 점착 수지 100 중량부, 불소함유 폴리올 0.1 내지 10 중량부, 가교제 0.01 내지 0.5 중량부 및 실란 커플링제 0.01 내지 0.3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점착 수지는 카르복실기 및 하이드록시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점착 수지는 C1 -20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와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 및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모노머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점착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0 내지 5,000,000 g/mol 일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불소 미함유 폴리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JIS 2107 규격에 의한 점착제-유리기판(Glass)간 180도 박리강도가 인장속도 300 mm/min에서 200 내지 350 gf/25 mm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광학부재에 관한 것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광학부재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광학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의 점착제 층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예에서는 상기 광학부재는 광반사율 측정기(CM-3600d Spectrophotometer, 한국랩)를 이용하여 380~780㎚의 파장대에서 최저 반사율이 1.3 % 미만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내열성과 유연성을 동시에 가지면서 저귤절율층의 반사방지성능이 우수하고, 중소형 크기나 대형크기에서도 빛샘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박리강도, 리워크성이 우수하고, 우수한 내구신뢰성을 가지는 점착제 조성물 및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크리프성, 박리강도 , 내구신뢰성, 리워크성 및 절단성 등의 물성 발란스가 탁월하고, 최저 반사율이 1.3% 미만인 광학 부재를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 메타 ) 아크릴레이트 점착 수지
본 발명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점착 수지는 통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점착 수지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는 C1 -20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로부터 중합된 것이다.
상기 C1 -20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헵틸(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레이트 모두를 의미한다.
상기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는 히드록시기를 갖는 모노머,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 양의 복굴절을 가지는 단량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점착 수지는 C1 -20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60 내지 99 중량%, 히드록시기를 갖는 단량체 0.01 내지 20 중량%, 카르복실기를 갖는 단량체 0.01 내지 10 중량% 및 양의 복굴절을 가지는 단량체 0 내지 10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드록시기를 갖는 모노머의 예로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알코올 등이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의 예로는 (메타)아크릴산, 2-카르복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3-카르복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카르복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타콘산, 크로톤산, 말레산, 푸마르산 및 무수 말레산 등이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양의 복굴절을 가지는 단량체는 방향족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는 사이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페녹시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티오페닐 (메타)아크릴레이트, 페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 2-페닐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3-페닐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페닐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2-메틸페닐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3-메틸페닐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4-메틸페닐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4-프로필페닐)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4-(1-메틸에틸)페닐)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4-메톡시페닐)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4-사이클로헥실페닐)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2-클로로페닐)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3-클로로페닐)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4-클로로페닐)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4-브로모페닐)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3-페닐페닐)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4-벤질페닐)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메타크릴산 등이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점착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0 내지 5,000,000g/mol 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000,000 내지 1,500,000g/mol 이다.
불소함유 폴리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불소함유 폴리올은 불소를 함유하며, 그 구조에 히드록시기를 2 내지 10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소함유 폴리올은 굴절율이 1.2 내지 1.3로서 선형구조를 갖는 것이 우수한 점착력 및 반사율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구체예에서는 불소함유 알킬디올아크릴레이트, 불소 함유폴리에테르폴리올, 불소 함유 알킬폴리올, 불소 함유 폴리에스테르폴리올, 1,1,5,5-테트라히드로 퍼플루오로 디에틸렌글리콜(diehyleneglcol), 1,1,8,8-테트라 히드로 퍼플루오로 트리에틸렌 글리콜(triethylene glycol), 1,1,1,11-테트라 히드로 퍼플루오로 테트라 에틸렌 글리콜(tetra ethylene glcol), 1,5-디히드로 퍼플루오로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1,8-디히드로 퍼플루오로 트리 트리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중 바람직하게는 불소함유 알킬디올아크릴레이트이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구체 예에서 상기 불소함유 폴리올은 중량평균분자량이 50 내지 1,000 g/mol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불소함유 폴리올은 (메타)아크릴레이트 점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반사율 저하를 얻을 수 있고, 리워크성을 유지하면서 빛샘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미반응 불소함유 폴리올이 잔류하지 않아 공정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최종 제품의 물성을 저하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 중량부이다.
가교제
상기 가교제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에폭시계, 이미드계, 아지리딘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는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름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폴리올(트리메틸올프로판 등) 등이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로는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N,N,N'N'-테트라글리시딜에틸렌디아민, 글리세린 디글리시딜에테르 등이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이미드계 가교제로는 카르보이미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와 에폭시계 가교제를 함께 적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와 에폭시계 가교제의 비율은 1500:1에서 1:1이며, 바람직하게는 100:1에서 10:1이다. 상기 범위에서 보다 우수한 빛샘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교제의 함량은 (메타)아크릴레이트 점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5 중량부 중량부로 적용한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4중량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35 중량부이다. 상기 범위에서 저빛샘과 우수한 박리강도를 얻을 수 있다.
실란커플링제
본 발명에서는 접착안정성과 접착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통상의 실란커플링제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로는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및 γ-아세토아세테이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실란커플링제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점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3 중량부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2 중량부로 적용한다. 상기 범위 내에서 점착안정성 및 점착신뢰성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불소 미함유 폴리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소 미함유 폴리올로는 1,4-부탄디올, 1,2-부탄디올, 1,5-펜탄디올, 2,4-펜탄디올, 1,4-시클로헥산디올, 1,6-헥산디올, 2,5-헥산디올, 2,4-헵탄디올,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이나 중량평균분자량이 100 내지 10000 g/mol 인 폴리에스테르 디올, 폴리에테르 디올, 폴리아크릴 디올, 폴리카보네이트 디올 등도 물성이 저하되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조색제, 보강제, 소포제, 계면활성제, 가소제 등의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점착 수지에 불소함유 폴리올, 가교제, 실란커플링제, 선택적인 첨가제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필요에 따라 용매를 부가하여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혼합 및 희석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우수한 내열성, 유연성 및 박리강도와 리워크성을 가지며, 저빛샘을 달성할 수 있고, 특히 반사방지성능이 우수하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광학 필름 상에 코팅한 후 숙성하여 점착체 층을 형성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JIS 2107 규격에 의한 점착제-유리기판(Glass)간 180도 박리강도가 인장속도 300 mm/min에서 200 내지 350 gf/25 mm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박리강도는 점착시트(두께:25㎛)-유리기판(Glass)간 180도 박리강도는 JIS 2107 규격에 의거하여 측정한 것이다. 박리강도가 너무 낮은 경우 유리기판과의 밀착성이 떨어져서 신뢰성 불량이 발생하기 쉽고 박리강도가 너무 높은 경우 공정 불량에 따른 리워크 진행 시 액정 기판을 손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80도 박리강도가 230 내지 310 gf/25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300 gf/25 mm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광학부재에 관한 것이다. 상기 광학부재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광학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의 점착제 층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광학 필름에 점착제 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상기 광학 필름의 표면에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직접 도포하여 건조시키거나, 박리성 기재 표면에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시킨 후 광학 필름에 전사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1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 ㎛로 형성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조된 광학부재는 광반사율 측정기(CM-3600d Spectrophotometer, 한국랩)를 이용하여 380~780㎚의 파장대에서 최저 반사율이 1.3 % 미만일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으로는 편광판, 칼라필터, 위상차 필름, 타원 편광필름, 반사필름, 반사방지 필름, 보상필름, 휘도 향상필름, 배향막, 광확산 필름, 유리비산 방지 필름, 표면 보호필름, 플라스틱 LCD 기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A)(메타)아크릴레이트 점착 수지: 사용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점착 수지는 n-부틸아크릴레이트 92.5 중량%, 아크릴산 2.5중량% 및 하이드록시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5중량%를 함유하는 것으로 중량평균분자량은 150만 이며 고형분 함량은 20 %이었다.
(B) 불소함유 폴리올: 퍼플루오르옥탄디올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였다.
(B') 불소미함유 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 디올을 사용하였다.
(C) 가교제: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티롤프로판 어덕트체를 사용하였다.
(D) 실란 커플링제: γ-글리시톡시프로필메톡시 실란 (KBM-403:신예츠화학공업사제)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5 및 비교예 1~3
상기 각 성분을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혼합하고 희석제로 메틸에틸케톤 20 중량부를 가하여 20분간 교반하여 점착도공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점착도공액은 을 38μm 두께의 기재필름(TAC)에 도포하고 건조후 점착층이 25㎛가 되도록 점착시트를 제조하여 35℃, 45% 조건에서 48 시간동안 점착제를 숙성한 후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평가를 진행하였다.
물성평가
(1) 박리강도 (gf/25 mm): 점착시트(점착층 두께:25㎛, 기재필름 두께 : 38μm)-유리기판(Glass)간 180도 박리강도는 JIS 2107 규격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시료를 25 mm×100 mm 크기로 절단하고 Glass면에 라미네이션 후 각각을 인장시험 측정기(Texture Analyzer)를 사용하여 30kgf 로드셀(Load cell)에서 점착층과 유리기판(glass)을 상하 지그(zig)에 연결한 후 인장속도 300 mm/min의 속도로 박리하여 박리시 하중을 측정하였다.
(2) 리워크성: 점착제 조성물이 코팅된 편광판 400mmx 250mm을 톰슨카터로 절단, 점착층의 잘려진 단면을 관찰한 후, 유리기판에 합지하고 압력을 4 내지 5kg 가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70oC에서 6시간 방치 후 1시간이상 상온에서 방치하고 리웍(Rework)하여 유리기판 면의 잔사 여부를 확인하였다.
○ : 절단면의 점착제 빠진 정도가 양호.(리웍시 전사없음.)
△ : 절단면의 점착제 빠진 정도가 다소 있음.(리웍시 전사다소 있음.)
× : 절단면의 점착제 빠진 정도가 있음.(리웍시 전사있음.)
(3) 빛샘: 상기와 동일한 시편을 사용하여 편광판의 균일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백라이트를 이용하여 암실에서 빛이 새어나오는 부분이 있는지 관찰하였다. 균일성을 실험하는 방법으로 코팅된 편광판을 100mm x 175mm 로 유리기판에 부착하여 목시 및 휘도측정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편은 건열 조건인 80oC에서 250 시간, 내습열 조건인 60oC/90%에서 250 시간을 방치한 후 1시간 이상 상온방치 하여 측정하였다.
○ : 불균일 현상을 판단하기 어려움
△ : 불균일 현상 다소 있음.
× : 불균일 현상 있음.
(4) 반사율: 상기 제조된 점착제가 코팅된 편광판의 이면 반사를 방지하기 위해 흑색 테이프를 붙이고, 저굴절율층 면의 광반사율 측정기(CM-3600d Spectrophotometer, 한국랩)를 이용하여 380~780㎚의 파장대에서 최저 반사율을 측정하였다.
○ : 최저 반사율이 1.3% 미만
× : 최저 반사율이 1.3% 이상
(5) 내구신뢰성: 점착제 조성물이 코팅된 편광판 100mm x 175mm을 유리기판에 합지 후 압력을 4 내지 5kg 가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시편들의 내습열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60oC/90% 상대습도 조건하에서 500시간을 방치한 후 기포나 박리가 발생했는지 관찰하였다. 내열특성은 80oC에서 500시간을 방치 후 실시하였다. 두 조건 모두 상온에서 1시간 이상 방치 후 목시 또는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 : 기포나 박리현상 없음.
△ : 기포나 박리현상 다소 있음.
× : 기포나 박리현상 있음.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메타)아크릴레이트 점착 수지 100 100 100 100 100 100 100
불소 함유 폴리올 3 3 5 3 4 - 15
불소 미함유 폴리올 0 1 0 2 - 5 -
가교제 0.15 0.2 0.3 0.3 0.2 0.3 0.7
실란커플링제 0.1 0.1 0.1 0.1 0.1 0.1 0.1
박리강도
(gf/25 mm)
296 242.8 213.2 235.2 303.4 226 156.2
리웍크성 ×
빛샘
반사율 ×
신뢰성 건열 신뢰성 (80℃) ×
습열 신뢰성 (60℃, 90%) ×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5의 경우, 박리강도, 리워크성, 빛샘, 반사율, 크리프성, 및 신뢰성 등의 물성 발란스가 모두 우수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비교예 1 및 3의 경우, 반사율이 증가하였고, 빛샘현상이 발생되고 신뢰성이 저하되었다. 비교예 2는 반사율은 개선되었지만 리워크성이 저하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3)

  1. 불소함유 폴리올을 포함하며, JIS 2107 규격에 의한 점착시트-유리기판간 180도 박리강도가 인장속도 300 mm/min에서 200 내지 350 gf/25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함유 폴리올은 (메타)아크릴레이트 점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함유 폴리올은 굴절율이 1.2 내지 1.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함유 폴리올은 불소함유 알킬디올아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함유 폴리올은 중량평균분자량이 50 내지 1,000 g/mol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함유 폴리올은 선형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메타)아크릴레이트 점착 수지 100 중량부, 불소함유 폴리올 0.1 내지 10 중량부, 가교제 0.01 내지 0.5 중량부 및 실란 커플링제 0.01 내지 0.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점착 수지는 카르복실기 및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점착 수지는 C1 -16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와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 및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모노머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점착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0 내지 1,500,000 g/mol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불소 미함유 폴리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중 어느 한 항의 점착제 조성물을 광학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의 점착제 층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재는 광반사율 측정기(CM-3600d Spectrophotometer, 한국랩)를 이용하여 380~780㎚의 파장대에서 최저 반사율이 1.3 %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재.
KR1020100136065A 2010-12-27 2010-12-27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부재 KR101351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065A KR101351618B1 (ko) 2010-12-27 2010-12-27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065A KR101351618B1 (ko) 2010-12-27 2010-12-27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106A true KR20120074106A (ko) 2012-07-05
KR101351618B1 KR101351618B1 (ko) 2014-01-15

Family

ID=46708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6065A KR101351618B1 (ko) 2010-12-27 2010-12-27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16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8278A (ko) * 2013-06-21 2014-12-31 제일모직주식회사 편광판용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92405B2 (en) * 2003-11-21 2009-09-22 Dic Corporation Fluorine-containing photocurable composi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8278A (ko) * 2013-06-21 2014-12-31 제일모직주식회사 편광판용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1618B1 (ko) 201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99695B2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polarizers and liquid crystal displays comprising the same
KR101757962B1 (ko) 점착제 조성물
TWI602895B (zh) Adhesive composition for optical films, Adhesive layer for optical films, Adhesiv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2)
KR101545379B1 (ko) 점착제
US9487680B2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polarizers and liquid crystal displays comprising the same
KR101566061B1 (ko) 점착 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KR100948778B1 (ko) 광학 보상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편광판 및 액정표시소자
CN101495586B (zh) 光学补偿丙烯酸压敏粘合剂组合物、包含该组合物的偏光板及液晶显示器件
TWI531633B (zh) Adhesive composition for optical film, adhesive layer for optical film, adhesive typ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1)
KR101340546B1 (ko) 점착제용 바인더,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및 광학 부재
KR101597851B1 (ko)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과 이것을 이용한 광학 적층체
KR101385042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부재
KR101385038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부재
KR101351621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부재
KR20140085256A (ko) 점착 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US20140370277A1 (en) Adhesive composition for optical applications, adhesive layer for optical applications, optical membe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110068888A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부재
KR101955765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CN112074580A (zh) 粘合剂层、其制造方法、粘合片、带粘合剂层的光学膜和图像显示装置
KR101992002B1 (ko)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566057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 장치
KR101202571B1 (ko) 점착제 조성물, 상기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101707257B1 (ko) 편광판
KR101351618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부재
KR102338420B1 (ko)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