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4076A - 탑다운 공법용 h형강 선기초 기둥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탑다운 공법용 h형강 선기초 기둥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4076A
KR20120074076A KR1020100136028A KR20100136028A KR20120074076A KR 20120074076 A KR20120074076 A KR 20120074076A KR 1020100136028 A KR1020100136028 A KR 1020100136028A KR 20100136028 A KR20100136028 A KR 20100136028A KR 20120074076 A KR20120074076 A KR 20120074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d steel
steel
shear
web
lowe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6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3653B1 (ko
Inventor
김진원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20100136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3653B1/ko
Publication of KR20120074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4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2Columns; Pillars; Strut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무량판 슬래브 접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강축과 약축의 방향성을 상쇄시킨 탑다운 공법용 H형강 선기초 기둥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이 소개된다. 이러한 탑다운 공법용 H형강 선기초 기둥은,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플랜지(12) 및 상기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플랜지(12)를 연결하는 웨브(13)로 구성된 H형강(10)과, 상기 H형강(10)의 웨브(13)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플랜지(12)에 용접되어 상기 H형강(10)의 둘레가 폐단면을 이루도록 하는 보강 플레이트(300)와, 상기 폐단면을 이루는 H형강(10)의 둘레 부착되는 전단 지압띠(100)와, 무량판 슬래브 접합을 위해 상기 전단 지압띠(100)의 상측에 안착되고 볼트 결합에 의해 폐단면을 이루는 상기 H형강(10)의 둘레를 가압하며 체결되는 한 쌍의 철골 자켓(20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Description

탑다운 공법용 H형강 선기초 기둥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PRE-FOUNDED H SHAPE STEEL COLUMN FOR TOPDOWN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량판 슬래브 접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강축과 약축의 방향성을 상쇄시킨 탑다운 공법용 H형강 선기초 기둥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선기초 기둥 부재로 사용되어온 H형강의 경우, 강축과 약축이 존재하여 방향성이 생기게 되었고, 이러한 방향성을 상쇄시키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H형강(10)에 전단스터드(20)를 용접으로 부착하여 사용하였다.
하지만,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H형강(10)에 전단스터드(20)를 부착함으로 인하여 당초 천공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천공 홀(H)을 천공해야 했기에 공사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트래미관(30)을 설치할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였으나 전단스터드(20)의 부착으로 인하여 트래미관(30)을 설치할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웠다.
또한, 선기초 기둥의 매립시 전단스터드(20)가 손상되거나 훼손될 수 있었고, 선기초 기둥을 매립한 후 케이싱 인발시 H형강(10)에 존재하는 방향성으로 인하여 선기초 기둥에 비틀림이 발생하여 시공오차가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사기간의 단축과 공사비용의 절감을 위해 보가 필요없는 무량판 슬래브 접합이 가능한 H형강 선기초 기둥의 개발이 요구되는 시공상황에 맞추어 무량판 슬래브 접합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 H형강 선기초 기둥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H형강의 웨브와 평행한 보강 플레이트를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에 용접하여 H형강의 둘레가 폐단면을 이루도록 하고, 이 폐단면의 둘레에 전단 지압띠를 부착하며, 이 전단 지압띠의 상측에 전단머리부가 부착된 철골 자켓을 결합시킴으로써, H형강의 방향성을 상쇄시킬 수 있고, 트래미관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 요구되지 않으며, 천공 홀의 직경을 줄일 수 있고, 케이싱 인발시에도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시공시 무량판 슬래브 접합이 가능한 탑다운 공법용 H형강 선기초 기둥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탑다운 공법용 H형강 선기초 기둥은,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플랜지(12) 및 상기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플랜지(12)를 연결하는 웨브(13)로 구성된 H형강(10)과, 상기 H형강(10)의 웨브(13)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플랜지(12)에 용접되어 상기 H형강(10)의 둘레가 폐단면을 이루도록 하는 보강 플레이트(300)와, 상기 폐단면을 이루는 H형강(10)의 둘레 부착되는 전단 지압띠(100)와, 무량판 슬래브 접합을 위해 상기 전단 지압띠(100)의 상측에 안착되고 볼트 결합에 의해 폐단면을 이루는 상기 H형강(10)의 둘레를 가압하며 체결되는 한 쌍의 철골 자켓(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철골 자켓(200)은 폐단면을 이루는 상기 H형강(10)의 둘레 중 두 면에 접촉되도록 절곡 형성된 몸체부(210)와, 이 몸체부(210)에 부착되어 상기 H형강(10)의 둘레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빔 형상의 전단머리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210)의 양측에는 볼트 결합을 위한 결합 플레이트(21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 플레이트(300)에는 상기 상부 플랜지(11) 및 하부 플랜지(12)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웨브(13)에 부착되는 보강편(310)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H형강 선기초 기둥 시공 방법은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플랜지(12) 및 상기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플랜지(12)를 연결하는 웨브(13)로 구성된 H형강(10)과, 상기 H형강(10)의 웨브(13)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플랜지(12)에 용접되어 상기 H형강(10)의 둘레가 폐단면을 이루도록 하는 보강 플레이트(300)와, 상기 폐단면의 둘레에 부착되는 전단 지압띠(100)를 포함하는 H형강 선기초 기둥을 매립한 후, H형강 선기초 기둥의 매립되지 않은 부분의 해당 요소마다 빔 형상의 전단머리부(220)가 형성된 한 쌍의 철골 자켓(200)을 볼트 결합에 의해 가압하여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탑다운 공법용 H형강 선기초 기둥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따르면, H형강의 웨브와 평행한 보강 플레이트를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에 용접하여 H형강의 둘레가 폐단면을 이루도록 하고, 이 폐단면의 둘레에 전단 지압띠를 부착하며, 이 전단 지압띠의 상측에 전단머리부가 부착된 철골 자켓을 결합시킴으로써, H형강의 방향성이 상쇄될 수 있게 되고, 트래미관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치 않게 되며, 천공 홀의 직경이 줄어들 수 있게 되고, 케이싱 인발시에도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시공시 무량판 슬래브 접합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H형강 선기초 기둥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H형강 선기초 기둥 및 천공 홀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탑다운 공법용 H형강 선기초 기둥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탑다운 공법용 H형강 선기초 기둥에 적용된 보강 플레이트의 일례와 전단 지압띠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탑다운 공법용 H형강 선기초 기둥에 적용된 보강 플레이트의 다른 예와 전단 지압띠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싱예에 따른 탑다운 공법용 H형강 선기초 기둥을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되, 앞서 설명된 도 2를 부분적으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탑다운 공법용 H형강 선기초 기둥은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플랜지(12) 및 상기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플랜지(12)를 연결하는 웨브(13)로 구성된 H형강(10)과, 상기 H형강(10)의 웨브(13)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플랜지(12)에 용접되어 상기 H형강(10)의 둘레가 폐단면을 이루도록 하는 보강 플레이트(300)와, 상기 폐단면을 이루는 H형강(10)의 둘레에 부착되는 전단 지압띠(100)와, 무량판 슬래브 접합을 위해 상기 전단 지압띠(100)의 상측에 안착되고 볼트 결합에 의해 폐단면을 이루는 상기 H형강(10)의 둘레를 가압하며 체결되는 한 쌍의 철골 자켓(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단 지압띠(100)는 상기 폐단면을 이루는 H형강(10)의 둘레에 부착됨에 있어서, 용접에 의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전단 지압띠(100)는 상기 철골 자켓(200)에 가해지는 하중의 일부를 지지하는 것을 고려할 때 그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철골 자켓(200)은 폐단면을 이루는 상기 H형강(10)의 둘레 중 두 면에 접촉되도록 절곡 형성된 'ㄴ'자 형사의 몸체부(210)와, 이 몸체부(210)에 부착되어 상기 H형강(10)의 둘레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I빔 형상의 전단머리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210)의 양측에는 볼트 결합을 위한 결합 플레이트(211)가 상기 몸체부(210)로부터 연장되어 절곡 형성되고, 이러한 결합 플레이트(211)에는 볼트(B)가 체결될 수 있는 다수의 볼트 공(211a)이 형성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보강 플레이트(300)는 상기 H형강(10)의 웨브(13)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플랜지(12)에 용접되어 상기 H형강(10)의 둘레가 폐단면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H형강(10)의 방향성을 상쇄시킨다. 또한, 상기 보강 플레이트(300)에 의해 H형강(10)의 둘레가 폐단면이 형성됨으로써, 트래미관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치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보강 플레이트(300)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단순히 평판 형상으로 형성도어도 무방하나,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H형강(10)의 방향성을 보다 확실히 상쇄시키기 위해 상기 보강 플레이트(300)의 중심부에 H형강(10)의 상부 플랜지(11) 및 하부 플랜지(12)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일측이 H형강(10)의 웨브(13)에 용접에 의해 부착되는 보강편(310)을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보강편(310)이 구비된 보강 플레이트(300)는 평판 형상의 보강 플레이트(300)에 보강편(310)을 용접시키는 방법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으나, 제작의 편의성 및 강도의 향상을 위해 완성된 다른 H형강(10)의 웨브(13)를 잘라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형강 선기초 기둥의 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형강 선기초 기둥의 시공 방법은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탑다운 공법용 H형강 선기초 기둥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플랜지(12) 및 상기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플랜지(12)를 연결하는 웨브(13)로 구성된 H형강(10)과, 상기 H형강(10)의 웨브(13)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플랜지(12)에 용접되어 상기 H형강(10)의 둘레가 폐단면을 이루도록 하는 보강 플레이트(300)와, 상기 폐단면의 둘레에 부착되는 전단 지압띠(100)를 포함하는 H형강 선기초 기둥을 매립한 후, H형강 선기초 기둥의 매립되지 않은 부분의 해당 요소마다 빔 형상의 전단머리부(220)가 형성된 한 쌍의 철골 자켓(200)을 볼트 결합에 의해 가압하여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철골 자켓(200)이 체결되는 해당 요소는 무량판 접합부가 형성되어야할 위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형강 선기초 기둥의 시공 방법을 적용할 경우 공장에서는 전단머리부(220)가 형성된 철골 자켓(200)이 부착되지 않은 상태까지만 제조하고, 상기 전단머리부(220)가 형성된 철골 자켓(200)은 굴토후에 시공 현장에서 장착되기 때문에 매립시 철골 자켓(200)에 형성된 전단머리부(220)가 손상되거나 훼손될 염려가 없게 되고, 철골 자켓(200)이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매립되기에 청공 홀의 직경이 감소되어 공사 기간 및 공사 비용이 절감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탑다운 공법용 H형강 선기초 기둥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따르면, H형강의 웨브와 평행한 보강 플레이트를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에 용접하여 H형강의 둘레가 폐단면을 이루도록 하고, 이 폐단면의 둘레에 전단 지압띠를 부착하며, 이 전단 지압띠의 상측에 전단머리부가 부착된 철골 자켓을 결합시킴으로써, H형강의 방향성이 상쇄될 수 있게 되고, 트래미관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치 않게 되며, 천공 홀의 직경이 줄어들 수 있게 되고, 케이싱 인발시에도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시공시 무량판 슬래브 접합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
10 : H형강 11 : 상부 플랜지
12 : 하부 플랜지 13 : 웨브
100 : 전단 지압띠 200 : 철골 자켓
210 : 몸체부 211 : 결합 플레이트
220 : 전단머리 300 : 보강 플레이트
310 : 보강편

Claims (4)

  1.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플랜지(12) 및 상기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플랜지(12)를 연결하는 웨브(13)로 구성된 H형강(10);
    상기 H형강(10)의 웨브(13)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플랜지(12)에 용접되어 상기 H형강(10)의 둘레가 폐단면을 이루도록 하는 보강 플레이트(300);
    상기 폐단면을 이루는 H형강(10)의 둘레 부착되는 전단 지압띠(100); 및
    무량판 슬래브 접합을 위해 상기 전단 지압띠(100)의 상측에 안착되고 볼트 결합에 의해 폐단면을 이루는 상기 H형강(10)의 둘레를 가압하며 체결되는 한 쌍의 철골 자켓(2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다운 공법용 H형강 선기초 기둥.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철골 자켓(200)은 폐단면을 이루는 상기 H형강(10)의 둘레 중 두 면에 접촉되도록 절곡 형성된 몸체부(210)와, 이 몸체부(210)에 부착되어 상기 H형강(10)의 둘레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빔 형상의 전단머리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210)의 양측에는 볼트 결합을 위한 결합 플레이트(2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다운 공법용 H형강 선기초 기둥.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300)에는 상기 상부 플랜지(11) 및 하부 플랜지(12)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웨브(13)에 부착되는 보강편(310)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다운 공법용 H형강 선기초 기둥.
  4.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플랜지(12) 및 상기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플랜지(12)를 연결하는 웨브(13)로 구성된 H형강(10)과, 상기 H형강(10)의 웨브(13)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플랜지(12)에 용접되어 상기 H형강(10)의 둘레가 폐단면을 이루도록 하는 보강 플레이트(300)와, 상기 폐단면의 둘레에 부착되는 전단 지압띠(100)를 포함하는 H형강 선기초 기둥을 매립한 후, H형강 선기초 기둥의 매립되지 않은 부분의 해당 요소마다 빔 형상의 전단머리부(220)가 형성된 한 쌍의 철골 자켓(200)을 볼트 결합에 의해 가압하여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강 선기초 기둥의 시공 방법.
KR20100136028A 2010-12-27 2010-12-27 탑다운 공법용 h형강 선기초 기둥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1203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36028A KR101203653B1 (ko) 2010-12-27 2010-12-27 탑다운 공법용 h형강 선기초 기둥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36028A KR101203653B1 (ko) 2010-12-27 2010-12-27 탑다운 공법용 h형강 선기초 기둥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076A true KR20120074076A (ko) 2012-07-05
KR101203653B1 KR101203653B1 (ko) 2012-11-23

Family

ID=46708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36028A KR101203653B1 (ko) 2010-12-27 2010-12-27 탑다운 공법용 h형강 선기초 기둥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36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1925A (ko) * 2015-10-07 2017-04-1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c기둥 및 pc보의 src 결합구조, 상하부 pc기둥 상호간 플레이트 결합구조
KR102475046B1 (ko) * 2021-08-23 2022-12-06 윤현승 강관 파일을 이용한 자립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0097A (ja) 2001-09-18 2003-03-28 Penta Ocean Constr Co Ltd 鋼管柱とフラットスラブの接合構造およびその接合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1925A (ko) * 2015-10-07 2017-04-1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c기둥 및 pc보의 src 결합구조, 상하부 pc기둥 상호간 플레이트 결합구조
KR101864198B1 (ko) * 2015-10-07 2018-07-1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c기둥 및 pc보의 src 결합구조, 상하부 pc기둥 상호간 플레이트 결합구조
KR102475046B1 (ko) * 2021-08-23 2022-12-06 윤현승 강관 파일을 이용한 자립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3653B1 (ko) 2012-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7147B1 (ko) 콘크리트 복합 기둥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101159041B1 (ko) 조립강관박스기둥과 철골보의 접합부구조
KR100652896B1 (ko) 헤드철근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보-기둥의 접합부 연결시스템
KR102004419B1 (ko) V형 띠철근을 이용한 기둥 보강 구조
JP5946041B2 (ja) 柱梁接合構造、柱梁接合方法、およ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の柱頭部材
KR20130105249A (ko) 입체 다이아프램을 가진 콘크리트 충전 원형 강관기둥 및 철골보와의 접합구조
KR20130109447A (ko) 철골기둥 접합용 철골 일체형 합성pc기둥과 이를 이용한 복합기둥 시공방법
KR101187666B1 (ko) 기둥과 보의 접합구조 및 접합방법
JP2009197559A (ja) 接続構造
KR100648376B1 (ko) 조립 철골 철근콘크리트기둥과 수평부재의 접합구조 및이의 시공방법
KR101203653B1 (ko) 탑다운 공법용 h형강 선기초 기둥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0631363B1 (ko) 고력 인장볼트로 보강한 y형띠기둥 패널존 공법
JP6429652B2 (ja) コンクリート製柱梁架構における耐震壁と下方梁との応力伝達構造
KR101496413B1 (ko) 강관 연결 구조체
JP4447632B2 (ja) 梁、および梁と柱の接合構造ならびにその接合方法
JP2009155850A (ja) プレキャスト床版と梁との接合構造
JP7070890B2 (ja) 仕口部構造
KR101254983B1 (ko) 콘크리트 충전강관과 보의 접합구조
JP2016205054A (ja) 鉄骨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柱、及びこれを用いた建物
JP3776330B2 (ja) 既存建物の耐震壁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20110108511A (ko) 기둥과 보 골조 내진보강공법
JP4936172B2 (ja) 柱梁接合構造及び建物の躯体構造
JP4452518B2 (ja) 複合部材の接合構造
JP6050094B2 (ja) 柱・梁接合部の補強工法
JP6429653B2 (ja) コンクリート製柱梁架構の耐震補強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