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3967A - 비가시 잉크의 코드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보안 인쇄물 - Google Patents

비가시 잉크의 코드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보안 인쇄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3967A
KR20120073967A KR1020100135902A KR20100135902A KR20120073967A KR 20120073967 A KR20120073967 A KR 20120073967A KR 1020100135902 A KR1020100135902 A KR 1020100135902A KR 20100135902 A KR20100135902 A KR 20100135902A KR 20120073967 A KR20120073967 A KR 20120073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wavelength
invisible
light
irradi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5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근
윤준희
서범준
임지운
Original Assignee
한국조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폐공사 filed Critical 한국조폐공사
Priority to KR1020100135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3967A/ko
Publication of KR20120073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39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14Security printing
    • B41M3/144Security printing using fluorescent, luminescent or iridescent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6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comprising special materials
    • B42D25/378Special inks
    • B42D25/382Special inks absorbing or reflecting infrared light

Landscapes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가시 잉크의 코드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보안 인쇄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비가시 파장 영역을 흡수하는 잉크를 배열하여, 조사되는 광의 파장에 따라 상이한 파장 패턴이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를 위한 비가시 잉크 코드화 방법 및 코드 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가시 잉크의 코드화 방법은 종래의 단일 파장대역을 흡수하는 잉크를 이용한 인쇄패턴 인식 방식 또는 흡수 잉크와 반사 잉크를 함께 사용하는 단순한 방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흡수 파장대역을 가지는 잉크를 코드화 함으로써, 비가시 영역의 한정된 파장을 이용하여 다양한 인쇄패턴을 표현할 수 있고, 겉보기에는 코드가 인쇄된 것을 전혀 알 수 없도록 구성되나 조사되는 광의 파장이 변화함에 따라 코드화된 잉크의 흡수되는 패턴이 상이하게 나타나므로 화폐나 유가 증권 등의 위조 및 변조 방지에 효과적이다.

Description

비가시 잉크의 코드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보안 인쇄물 {Method for Encoding of Invisible Ink and Security Document Adapt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가시 잉크의 코드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보안 인쇄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비가시 파장 영역을 흡수하는 잉크를 배열하여, 조사되는 광의 파장에 따라 상이한 파장 패턴이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를 위한 비가시 잉크 코드화 방법 및 코드 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인쇄기술은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한 가시광 영역의 도료나 잉크를 사용하여 물체나 화상을 표현해 왔기 때문에, 보안문서 등의 특수인쇄물에 적용하는 경우 매우 정밀한 공정을 통한 세밀한 화상의 표현이나 인쇄물 자체의 특성을 이용하여 위조 및 변조의 가능성을 배제시키기 위한 노력을 해왔다.
이후 비가시광 영역을 흡수하거나 반사시키는 물질을 이용한 염료나 안료가 개발되면서, 가시광선 영역은 반사하고 비가시광 영역은 일부분 흡수하는 등의 구성을 통하여 보안문서의 진위 여부를 식별하도록 함으로써, 보안 문서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세계 각국의 화폐나 유가증권 등은 위변조 방지, 진위식별, 금융자동화기기 감응성에 대응하기 위하여 자성, 적외선 흡수, 적외선 반사, 형광 등의 특성을 갖는 여러가지 물질을 비공개적으로 용지나 잉크에 첨가하여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적외선을 이용한 방법으로서는, 적외선 램프에 의한 육안 식별방법 및 적외선 흡수 잉크 또는 반사 잉크를 각각 단독 또는 쌍으로 적용하는 방법이 사용된 바 있으나 이들 방법은 유가증권 등의 보안문서의 위조, 변조 및 권종의 구별 등에 적합하지 못하였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312790호에는 기기감지요소에 의하여 인지되는 적외선 흡수잉크 및 반사잉크를 소정의 패턴으로 인쇄하여 위조 및 변조를 막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으나, 위조 및 변조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신뢰성이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더욱 개량된 근적외선 흡수물질들이 많이 개발되어 화폐나 유가증권등에 적용되고 있으나, 다양한 흡수 파장이나 패턴을 표현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더욱 향상된 위조 및 변조 방지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서로 다른 비가시 파장 영역을 흡수하는 잉크를 배열하여 코드화하는 경우, 겉보기에는 코드가 인쇄된 것을 알 수 없지만 특정 파장에 반응하여 서로 다른 파장의 배열이 나타나기 때문에, 한정된 흡수 파장을 이용하여 무수히 많은 패턴을 표현할 수 있어 위조 및 변조 방지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조방지를 위한 비가시 잉크의 코드화 방법 및 코드화 된 잉크의 분석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비가시 잉크의 코드화 방법이 적용된 보안 인쇄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사하는 파장에 따라 상이한 파장 패턴을 나타내도록 서로 다른 비가시 파장 영역을 흡수하는 잉크들을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를 위한 비가시 잉크의 코드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비가시 잉크 코드화 방법에 의해 코드화 된 잉크의 파장 범위 내의 광을 조사하는 단계; 및 조사되는 광의 파장에 따라 배열된 잉크의 흡수 파장 패턴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여 해당 코드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조 방지를 위한 비가시 잉크 코드의 분석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비가시 잉크 코드화 방법이 적용된 보안 인쇄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가시 잉크의 코드화 방법은 종래의 단일 파장대역을 흡수하는 잉크를 이용한 인쇄패턴 인식 방식 또는 흡수 잉크와 반사 잉크를 함께 사용하는 단순한 방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흡수 파장대역을 가지는 잉크를 코드화 함으로써, 비가시 영역의 한정된 파장을 이용하여 다양한 인쇄패턴을 표현할 수 있고, 겉보기에는 코드가 인쇄된 것을 전혀 알 수 없도록 구성되나 조사되는 광의 파장이 변화함에 따라 코드화된 잉크의 흡수되는 패턴이 상이하게 나타나므로 화폐나 유가 증권 등의 위조 및 변조 방지에 효과적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비가시 파장 흡수 잉크를 이용한 인쇄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비가시 파장 흡수 잉크의 코드화에 따른 다양한 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비가시 파장 영역을 흡수하는 잉크를 배열하여, 육안으로 보기에는 코드가 인쇄된 것을 알 수 없지만, 조사하는 광의 파장에 따라 상이한 파장 패턴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를 위한 비가시 잉크 코드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조사하는 광의 파장에 따라 상이한 파장 패턴을 나타내도록 서로 다른 비가시 파장 영역을 흡수하는 잉크들을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를 위한 비가시 잉크의 코드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가시 파장 영역을 흡수하는 잉크는 근적외선 흡수 잉크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근적외선 흡수 잉크로는 기존의 공지된 안료를 포함하는 잉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프탈로시아닌 타입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프탈로시아닌(phthalocyanine) 타입 안료는 투명한 색조 및 색 강도를 가지며 내화학성이 우수하여 광범위한 용도에 사용된다. 특히, 프탈로시아닌, 프탈로시아닌블루(동(Ⅱ)프탈로시아닌) 및 그 염소치환체(프탈로시아닌그린) 등은 선명한 색조를 지니며, 열이나 햇빛, 알카리 및 산에 안정하고 보통의 용매에는 잘 녹지 않아 주로 안료로서 인쇄잉크, 페인트, 니스, 에나멜, 플라스틱, 고무 등의 착색에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카본 블랙 기반의 흑색 잉크를 사용하던 기술에서 벗어나 다양한 색조의 잉크로 사용할 수 있는 적외선 흡수 안료를 사용함으로써, 보안 인쇄물에 인쇄된 문양과 동일한 문양을 가지도록 본 발명의 비가시 코드를 인쇄하는 경우 육안으로 보기에는 코드가 인쇄된 것을 전혀 알 수 없도록 하였으며, 흑색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색상으로 표현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투명하거나 옅은 푸른색을 가지는 프탈로시아닌 타입 안료를 근적외선 흡수제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프탈로시아닌 타입 안료를 다양한 색상의 잉크와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겉보기에 코드가 인쇄된 것을 인식할 수 없으면서 겉보기 색상에 한정되지 않는 코드를 제조할 수 있다. 즉, 보안 인쇄물의 인쇄될 부분과 동일한 색을 가지도록 하는 잉크와 혼합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사용되는 근적외선 흡수제가 투명한 경우, 보안 인쇄물의 인쇄될 부분과 동일한 색을 가지는 잉크와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옅은 색상을 가지는 경우 혼합되는 잉크의 색을 조절하여 혼합된 잉크가 보안 인쇄물의 인쇄될 부분과 동일한 색상이 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잉크는 830 내지 850nm, 880 내지 900nm, 950 내지 980nm 및 1020 내지 1060nm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둘 이상의 흡수 파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830 내지 850nm 의 흡수 파장을 가지는 흡수 물질은 한국공개특허 제10-1994-0000369호에 예시된 프탈로시아닌계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880 내지 900nm의 흡수 파장을 가지는 흡수 물질은 일본공개특허 제2007-056105호에 예시된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950 내지 980nm의 흡수 파장을 가지는 흡수 물질은 일본공개특허 제2008-268267호에 예시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1020 내지 1060nm 의 흡수 파장 범위를 가지는 흡수물질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06597호에 예시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다른 공지의 근적외선 흡수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850nm 흡수 잉크, 880nm 흡수 잉크 및 970nm 흡수 잉크를 배열하여 인쇄함으로써, 육안으로 보기에는 코드가 인쇄된 것을 알 수 없지만, 850 내지 970nm 범위의 적외선 파장을 반응시켰을 경우 흡수 정도에 따른 코드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로 다른 3가지 파장을 가지는 잉크를 한번씩 사용하여 총 6가지의 서로 다른 코드화가 가능하며, 이 중 두 가지 잉크만 사용하거나 3가지 잉크를 일부 중복하여 사용하는 경우 가능한 코드의 개수는 더욱 많아질 수 있다. 또한, 선형으로 인쇄하지 않고 도식화하여 인쇄하면서 코드화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근적외선 흡수 잉크는 근적외선 흡수 물질을 사용하여 종래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잉크로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적외선 흡수 잉크는 요판인쇄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잉크의 조성은 바니시 35~45%, 유색안료 5~15%, 체질안료(Filler) 20~35%, 근적외선 흡수물질 1~3%, 용제 4~7%, 분산유화제 2~6% 및 건조제 1~3%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요판인쇄가 아닌 평판인쇄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 잉크의 조성은 바니시 60~80%, 유색안료 5~25%, 용제 5~15%, 분산제 2~5%, 건조제 0.2~1.5% 및 근적외선 흡수물질 1.5~2.5%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근적외선 흡수물질로는, 프탈로시아닌계 근적외선 흡수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코드화 방법으로 코드화 된 잉크의 파장 범위 내의 광을 조사하는 단계; 및 조사되는 광의 파장에 따라 배열된 잉크의 흡수 파장 패턴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여 해당 코드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조 방지를 위한 비가시 잉크 코드의 분석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가시 잉크의 코드화 방법은 서로 다른 흡수 파장을 가지는 비가시 잉크를 배열하였기 때문에, 조사되는 광의 파장에 따라 서로 다른 흡수 파장 패턴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조사되는 광의 흡수 여부만을 판단하여 위조 가능성을 조사하였던 종래의 방법과는 달리, 조사되는 광의 파장을 달리하였을 때마다 달라지는 흡수 파장 패턴을 확인하여 코드를 분석하기 때문에 더욱 정밀한 방법으로 위조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비가시 잉크가 830 내지 850nm, 880 내지 900nm 및 950 내지 980nm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둘 이상의 흡수 파장을 갖는 경우에, 830 내지 980nm 파장의 광을 조사하여 코드화 된 잉크를 분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830nm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경우, 830 내지 850nm의 흡수 파장을 가지는 잉크가 인쇄된 부분은 어둡게 나타나며, 880 내지 900nm의 흡수 파장을 가지는 잉크가 인쇄된 부분은 중간 밝기로 나타나며, 950 내지 980nm의 흡수 파장을 가지는 잉크는 밝게 나타난다. 상기 비가시 잉크들은 지정된 순서에 의해 지정된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패턴으로 코드화된 인쇄물에 대하여, 880 또는 970nm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경우, 각각 830nm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경우와는 상이한 패턴이 나타나기 때문에 보안 인쇄물의 위조 및 변조 여부를 더욱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비가시 잉크를 인쇄하여 나타낼 수 있는 인쇄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에서는 서로 다른 3가지 파장을 가지는 잉크를 이용하여 만들 수 있는 다양한 코드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서로 다른 3가지 파장을 가지는 잉크를 서로 다른 순서로 조합하거나 개수를 조절하여 다양한 코드를 만들 수 있으며, 만들어진 각 코드마다 조사되는 광원의 파장에 따라 다양한 패턴을 나타내므로, 단 3가지의 잉크를 이용하여 무수히 많은 코드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비가시 잉크 코드가 보안 인쇄물에 인쇄되는 경우, 각 코드별로 조사광의 파장에 따라 달라지는 패턴을 확인하여 더욱 정밀하게 위조 및 변조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을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조사하는 광의 파장에 따라 상이한 파장 패턴을 나타내도록 서로 다른 비가시 파장 영역을 흡수하는 잉크들을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를 위한 비가시 잉크의 코드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는 830 내지 850nm, 880 내지 900nm, 950 내지 980nm 및 1020 내지 1060nm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둘 이상의 흡수 파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가시 잉크 코드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는 프탈로시아닌계 근적외선 흡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가시 잉크 코드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는 보안 인쇄물의 인쇄 부분과 동일한 겉보기 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가시 잉크 코드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코드화 된 잉크의 파장 범위 내의 광을 조사하는 단계; 및
    조사되는 광의 파장에 따라 배열된 잉크의 흡수 파장 패턴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여 해당 코드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조 방지를 위한 비가시 잉크 코드의 분석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는 830 내지 850nm, 880 내지 900nm, 950 내지 980nm 및 1020 내지 1060nm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둘 이상의 흡수 파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가시 잉크 코드의 분석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는 프탈로시아닌계 근적외선 흡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가시 잉크 코드의 분석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코드화 방법이 적용된 보안 인쇄물.
KR1020100135902A 2010-12-27 2010-12-27 비가시 잉크의 코드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보안 인쇄물 KR201200739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902A KR20120073967A (ko) 2010-12-27 2010-12-27 비가시 잉크의 코드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보안 인쇄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902A KR20120073967A (ko) 2010-12-27 2010-12-27 비가시 잉크의 코드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보안 인쇄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967A true KR20120073967A (ko) 2012-07-05

Family

ID=46708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5902A KR20120073967A (ko) 2010-12-27 2010-12-27 비가시 잉크의 코드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보안 인쇄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39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7612A (ko) * 2014-12-24 2016-07-04 한국조폐공사 자외선 차단 무기물질을 이용한 보안패턴시트 및 이에 대한 제조방법
CN113265176A (zh) * 2021-04-29 2021-08-17 广州生命码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商品防伪追溯的隐形光谱油墨及制备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7612A (ko) * 2014-12-24 2016-07-04 한국조폐공사 자외선 차단 무기물질을 이용한 보안패턴시트 및 이에 대한 제조방법
CN113265176A (zh) * 2021-04-29 2021-08-17 广州生命码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商品防伪追溯的隐形光谱油墨及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04084A (en) Documents containing information invisible to the naked eye
AU2011100778B4 (en) Improvements in security devices incorporating colour shifting inks
CN100465236C (zh) 油墨组、印刷制品、印刷方法和着色剂的应用
US20050052519A1 (en) Valuable document and security mark using a marking substance
CN105026168B (zh) 标记组合物
JP4487090B2 (ja) 真偽判別可能な発光印刷物
DE102016201709A1 (de) Wert- oder Sicherheitsprodukt,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Vorproduktes und Verifikationsverfahren
JP4552052B2 (ja) 多色発光混合物及び多色発光インキ組成物、並びに画像形成物
US6379779B1 (en) Printing ink for safe marking on a data carrier
US20090166427A1 (en) Authentication/security labels and associated method containing photochromic inks
JPH0834946A (ja) 赤外線透過インキ組成物
KR20120073967A (ko) 비가시 잉크의 코드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보안 인쇄물
DE102019006315A1 (de) Optisch variables Sicherheitselement
JP4649613B2 (ja) 真偽判別印刷物
JP2012144614A (ja) 偽造防止インキ及びそれを用いた偽造防止媒体、並びに偽造防止媒体の検証方法
JPH03154187A (ja) 近赤外線による識別ができる記録物
DE112014004635T5 (de) Sicherheitsdokument, umfassend eine Folie mit Interferenzeffekten,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Echtheit eines solchen Dokuments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eines solchen Verfahrens
JP2019188756A (ja) 偽造防止用印刷物
JP5051437B2 (ja) 印刷物及び照合用インキセット並びにその製造方法
EP3083257B1 (de) Identifikationsdokument mit einem druckmuster
JP5817210B2 (ja) 真正性識別媒体および真正性識別媒体の識別方法
RU2639807C1 (ru) Защит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полиграф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и защищенное от подделки полиграфическое изделие
EP4129707A1 (en) Printed matter, booklet, combination of light source and printed matter, and method for determining authenticity of printed matter
JPS6340677B2 (ko)
JP2014026414A (ja) 情報記録媒体の読取方法、情報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