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3561A - 조절고리를 갖는 이어폰 - Google Patents

조절고리를 갖는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3561A
KR20120073561A KR1020100135365A KR20100135365A KR20120073561A KR 20120073561 A KR20120073561 A KR 20120073561A KR 1020100135365 A KR1020100135365 A KR 1020100135365A KR 20100135365 A KR20100135365 A KR 20100135365A KR 20120073561 A KR20120073561 A KR 20120073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control
adjusting
cabl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5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4533B1 (ko
Inventor
배규호
Original Assignee
배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규호 filed Critical 배규호
Priority to KR1020100135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4533B1/ko
Publication of KR20120073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3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디어기기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서, 미디어기기에 결합되는 연결잭과; 오디오 데이타를 출력하는 스피커부와; 상기 연결잭과 상기 스피커부를 연결하는 케이블와; 상기 케이블의 일영역에 결합되며 손가락이 삽입되는 조절고리가 구비되며, 상기 조절고리의 위치변화에 따라 상기 오디오데이타의 출력조건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조절고리를 손가락에 삽입한 상태로 손가락을 이동하는 것에 의해 간편하게 출력조건을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절고리를 갖는 이어폰{EAR PHONE HAVING CONTROL RING}
본 발명은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볼륨 등의 출력조건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고리를 갖는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이어폰은 카세트,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및 MP3 플레이어 등의 다양한 미디어 기기에 연결되어 다양한 형태의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도1은 종래 이어폰(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이어폰(10)은 미디어 기기(A)에 결합되는 연결잭(11)과,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어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15)와, 연결잭(11)과 스피커(15)를 연결하며 오디오 데이타를 전달하는 케이블(13)과, 케이블(13) 사이에 구비되어 출력되는 소리의 크기 및 출력조건 등을 조절하는 조절부(17)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종래 이어폰(10)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청취할 때 귀에 스피커(15)를 착용한 상태로 미디어 기기(A)에 전원을 인가하여 사용한다. 이 때, 미디어 기기(A)를 가방 또는 주머니 등에 보관하는 경우, 청취 중의 출력 조건, 즉, 볼륨 크기, 출력 속도, 음원 선택 등은 조절부(17)의 선택버튼(17a) 또는 조절롤러(17b)를 이용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이어폰(10)의 조절부(17)는 케이블(13)의 일영역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청취중에 조절부(17)의 위치를 쉽게 인식하지 못해 손으로 케이블(13)을 더듬어 조절부(17)를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즉, 무의식 중에 출력조건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 조절부(17)의 위치가 손과 이격되어 있는 경우 조절부(17)를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조절부의 위치를 사용자가 항상 인식할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출력조건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미디어기기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어폰은 미디어기기에 결합되는 연결잭과;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부와; 상기 연결잭과 상기 스피커부를 연결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의 일영역에 결합 또는 부착되며 손가락이 삽입되는 조절고리가 구비되며, 상기 조절고리의 위치변화에 따라 상기 오디오데이터의 출력조건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절부는, 상기 케이블에 결합되는 조절본체와; 상기 조절본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 또는 부착되는 조절고리와; 상기 조절고리와 상기 조절본체의 결합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조절고리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와; 상기 위치감지센서의 위치변화에 따라 출력조건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조건은, 볼륨조절, 출력 데이터 선택, 출력속도 조절, 앞으로 감기, 뒤로 감기, 전원입력 및 반복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절고리는 상기 조절본체에 대해 상하좌우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상하좌우 방향 이동변위에 대해 각각 볼륨조절, 출력 데이터 선택, 출력속도조절, 앞으로 감기, 뒤로 감기, 전원입력 및 반복여부가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절고리는 원형 또는 반원형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블은 무선의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스피커부와 독립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은 조절고리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된 상태로 이어폰을 사용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어떤 상황에 있더라도 조절기의 위치를 빠르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의 움직임을 통해 출력조건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방법이 간편하다. 이에 반복청취가 요구되는 어학학습을 위한 최적화된 학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이어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조절부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 내지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의 조절부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과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100)의 조절부(140)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100)은 오디오 신호가 전달되는 케이블(110)과, 케이블(110)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미디어 기기(A)에 연결되는 연결잭(120)과, 케이블(110)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130)와, 케이블(110)의 일영역에 결합 또는 부착되며 조절고리(142)의 이동변위에 따라 출력조건을 조절하는 조절부(140)를 포함한다.
연결잭(120)은 미디어 기기(A)에 연결되어 미디어 기기(A)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받아 케이블(110)로 전송한다. 케이블(110)은 연결잭(120)으로부터 전송받은 오디오 데이터를 스피커(130)로 전달한다. 케이블(110)을 통해 전달되는 오디오 데이터는 조절부(140)에서 출력조건이 변환되어 스피커(130)로 전달될 수 있다.
스피커(130)는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어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스피커(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이 서로 연결된 헤드폰 타입으로 구비되거나, 서로 별개로 분리된 타입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조절부(140)는 케이블(110)의 일영역에 결합되어 출력조건을 변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부(14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에 결합되어 손가락의 이동변위에 따라 출력조건이 조절되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조절부(140)는 케이블(110)에 결합되는 조절본체(141)와, 조절본체(141) 상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가능하게 형성된 조절고리(142)와, 조절고리(142)가 조절본체(141) 상에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고리지지부재(143)와, 조절고리(142)의 위치변위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144)와, 위치감지센서(144)에서 감지된 위치변위에 따라 출력조건을 변경시키는 제어부(147)를 포함한다.
조절본체(141)는 케이블(110)의 일영역에 결합되며 조절고리(142)가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조절본체(141)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삽입구멍(141b)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사용자는 두 개의 손가락을 각각 삽입구멍(141b)과 조절고리(142)에 삽입하고, 삽입구멍(141b)에 삽입된 손가락을 지지한 상태로 조절고리(142)에 삽입된 손가락을 이동하여 출력조건을 조절할 수 있다.
조절본체(141)의 판면에는 조절고리(142)가 이동될 수 있는 고리이동홈(141a)이 형성된다. 고리이동홈(141a)은 조절고리(142)의 이동변위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리이동홈(141a)은 조절고리(142)가 X축, 또는 Y축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고리이동홈(141a)은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에 따라 조절고리(142)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절고리(142)는 조절본체(141)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사용자로부터 출력조건 변경을 입력받는다. 조절고리(142)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삽입가능한 고리 형태로 구비되어 손가락의 이동을 통해 출력조건 변경을 입력받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절고리(142)는 링 형태로 구비되어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조절고리(142)는 엄지 또는 검지 등이 삽입될 수 있도록 충분한 직경을 갖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조절고리(142)의 직경을 조절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자가 본인의 손가락 굵기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조절고리(142)는 고리지지부재(143)에 의해 상하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조절고리(142)의 형상은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단면형상이 원형, 타원형, 삼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고리지지부재(143)는 조절고리(142)가 손가락의 위치변화에 따라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조절고리(142)를 지지한다. 고리지지부재(143)는 일단부는 조절본체(141)에 되고, 타단부는 조절고리(142)에 결합된다. 고리지지부재(143)는 신축 및 변형이 자유로운 탄성부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이와 유사한 특성을 갖는 다른 부재로 구비될 수도 있다. 고리지지부재(143)는 조절고리(142)가 상하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복수개가 조절본체(141)와 고리지지부재(143) 사이에 구비된다.
고리지지부재(143)와 조절본체(141) 사이의 고리이동홈(141a)은 외부커버(미도시)에 의해 커버되어 고리지지부재(143)가 외부로 드러나는 것을 방지한다. 외부커버(미도시)는 조절고리(142)의 이동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주름관 또는 섬유 또는 이와 유사한 신축가능한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위치감지센서(144)는 조절고리(142)의 위치이동을 감지하여 제어부(147)로 알려준다. 위치감지센서(144)는 조절고리(142)의 좌우방향 위치이동을 감지하는 좌우변위감지센서(144a)와, 상하방향 위치이동을 감지하는 상하변위감지센서(144b)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절본체(141)는 X축, Y축 및 Z축의 3 방향으로 모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각각의 이동변위에 따라 서로 다른 출력조건을 변경할 수 있도록 제어된다.
즉, 각각의 이동변위에 대해 볼륨조절, 출력 데이터 선택, 출력속도 조절, 앞으로 감기, 뒤로 감기, 전원입력 및 반복여부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제어부(147)는 위치감지센서(144)로부터 수신된 조절고리(142)의 위치변화에 따라 출력조건이 변경되도록 볼륨조절부(145)와 미디어재생부(146)를 제어한다.
제어부(147)는 좌우변위감지센서(144a)로부터 좌우방향 이동을 감지받으면 미디어재생부(146)를 제어하여 재생 데이터의 출력 조건을 조절한다. 여기서 출력조건은 출력데이터 선택, 출력속도 조절, 앞으로 감기, 뒤로 감기, 재생의 반복 및 전원입력일 수 있다.
또한, 상하변위감지센서(144b)로부터 상하방향 이동을 감지받으면 볼륨조절부(145)를 제어하여 음량크기가 조절되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서, 제어부(147)는 좌우변위감지센서(144a)로부터 좌우방향 이동을 감지받으면 볼륨조절부(145)를 제어하여 음량크기가 조절되고 상하변위감지센서(144b)로부터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이 감지되면 미디어재생부(146)를 제어하여 재생 데이터의 출력 조건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47)와 볼륨조절부(145) 및 미디어재생부(146)는 PCB 기판 형태로 구비되어 조절본체(141) 내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100)의 사용방법을 도2 내지 도4를 참조로 설명한다.
사용자는 이어폰(100)의 연결잭(120)을 미디어기기(A)에 결합시키고, 스피커(130)를 귀에 착용한다. 그리고, 삽입구멍(141b) 조절고리(142)에 각각 손가락을 삽입한 후 미디어 기기(A)의 전원을 인가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청취한다. 삽입구멍(141b)에 삽입된 손가락이 지지축이 되어 조절고리(142)에 삽입된 손가락이 자유롭게 이동되며 조절고리(142)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오디오 데이터 청취 중 볼륨을 조절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조절고리(142)에 삽입된 손가락을 상으로 가압하여 조절고리(142)가 조절본체(141)로부터 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위치감지센서(144)가 조절고리(142)의 이동을 감지하여 제어부(147)로 알려주고, 제어부(147)는 볼륨조절부(145)가 볼륨을 조절하도록 한다.
이 때, 사용자는 조절고리(142)를 상방향으로 반복적으로 가압하여 볼륨의 강약을 조절하거나, 상방향으로 가압하는 시간을 통해 볼륨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조절고리(142)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반복적으로 가압하여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조건을 변경시킬 수 있다. 여기서 출력조건은 출력데이터 선택, 출력속도 조절, 앞으로 감기, 뒤로 감기, 재생의 반복 및 전원입력일 수 있다.
사용자는 손가락에 조절고리(142)를 착용한 상태로 책을 읽거나, 도보를 하거나, 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오디오 데이터를 청취하다가도 손가락만을 움직여서 간편하게 출력조건 및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은 케이블을 통해 조절부(140)가 미디어기기(A)와 연결되고, 스피커(130)와도 케이블에 의해 연결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140)는 무선으로 구비될 수 있다. 조절부(140)는 블루투스 또는 근거리 이동통신 등에 의해 미디어기기(A) 및 스피커(130)와 통신하며 스피커(130)의 출력조건들을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블이 없으므로 사용자는 활동의 제약 없이 보다 편리하게 이어폰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6 내지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140)가 두 개의 손가락을 삽입하여 출력조건을 변화시킨데 반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140a)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의 조절고리(142)의 위치를 변화시켜 출력조건을 변화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조절고리(142)를 전후좌우 또는 상하로 가압하여 다양한 출력조건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150)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조절고리(152a,152b)가 각각 조절본체(151)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두 개의 조절고리(152a,152b)는 각각 서로 다른 출력조건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거나, 동일한 출력조건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미디어기기의 전원입력 여부, 반복재생 여부, 동일구간 반복 등 다양한 출력조건들이 조절될 수 있도록 각각의 조절고리(152a,152b)의 위치변화에 적용시킬 수 있다.
한편,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16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140)는 조절고리(142)가 원형의 링형상으로 구비되었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160)는 조절고리(162a,162b)가 반원형상으로 구비된다. 이 때, 손가락의 삽입 및 조절고리(162a,162b)의 위치변화가 용이하도록 조절본체(161) 상면에는 손가락 삽입홈(161a)이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은 조절고리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된 상태로 이어폰을 사용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어떤 상황에 있더라도 조절기의 위치를 빠르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의 움직임을 통해 출력조건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방법이 간편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이어폰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이어폰 110 : 케이블
120 : 연결잭 130 : 스피커
140 : 조절부 141 : 조절본체
141a : 고리이동홈 142 : 조절고리
143 : 고리지지부재 144 : 위치감지센서
144a : 좌우변위감지센서 144b : 상하변위감지센서
145 : 볼륨조절부 146 : 미디어재생부
147 : 제어부

Claims (6)

  1. 미디어기기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이어폰에 있어서,
    미디어기기에 결합되는 연결잭과;
    오디오 데이타를 출력하는 스피커부와;
    상기 연결잭과 상기 스피커부를 연결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의 일영역에 결합되며 손가락이 삽입되는 조절고리가 구비되며, 상기 조절고리의 위치변화에 따라 상기 오디오데이타의 출력조건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케이블에 결합되는 조절본체와;
    상기 조절본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고리와;
    상기 조절고리와 상기 조절본체의 결합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조절고리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와;
    상기 위치감지센서의 위치변화에 따라 출력조건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조건은,
    볼륨조절, 출력 데이타 선택, 출력속도 조절, 앞으로 감기, 뒤로 감기, 전원입력 및 반복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고리는 상기 조절본체에 대해 상하좌우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상하좌우 방향 이동변위에 대해 각각 볼륨조절, 앞으로 감기, 뒤로 감기, 출력 데이터 선택 및 출력속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고리는 원형 또는 반원형의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무선의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스피커부와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KR1020100135365A 2010-12-27 2010-12-27 조절고리를 갖는 이어폰 KR101184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365A KR101184533B1 (ko) 2010-12-27 2010-12-27 조절고리를 갖는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365A KR101184533B1 (ko) 2010-12-27 2010-12-27 조절고리를 갖는 이어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561A true KR20120073561A (ko) 2012-07-05
KR101184533B1 KR101184533B1 (ko) 2012-09-19

Family

ID=46707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5365A KR101184533B1 (ko) 2010-12-27 2010-12-27 조절고리를 갖는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45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48029A (zh) * 2016-03-31 2016-08-10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耳机及其控制方法及装置
WO2017081219A1 (de) * 2015-11-11 2017-05-18 Sennheiser Electronic Gmbh & Co. Kg Hörer-kabel und hörer
KR101966586B1 (ko) * 2018-04-24 2019-04-05 이인환 흡반 구조의 소리 전달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1219A1 (de) * 2015-11-11 2017-05-18 Sennheiser Electronic Gmbh & Co. Kg Hörer-kabel und hörer
CN105848029A (zh) * 2016-03-31 2016-08-10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耳机及其控制方法及装置
KR101966586B1 (ko) * 2018-04-24 2019-04-05 이인환 흡반 구조의 소리 전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4533B1 (ko) 201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5482B2 (en) Input device
EP3236638B1 (e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CN214070123U (zh) 入耳式耳机
US20150065090A1 (en) Wearable ring-shaped electronic device and the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80084342A1 (en) Earphone device with optical sensor
US9888309B2 (en) Ear jewelry with wireless audio device
US9445175B2 (en) Bluetooth headset
KR20170119922A (ko) 휴대용 음향기기
JP3192879U (ja) ヘッドホン
US20180007462A1 (en) Bt and bcc communication for wireless earbuds
US8160288B2 (en) In-ear earphone with cushioning member
US20170272561A1 (en) Wireless headse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184533B1 (ko) 조절고리를 갖는 이어폰
US20190327551A1 (en) Wireless headphone system
WO2016179917A1 (zh) 一种耳机、终端以及音频处理方法
EP3096535A1 (en) Wireless audio system
KR101713808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넥밴드 타입 블루투스 헤드셋
WO2015188301A1 (en) Wearable devices and associated control of media devices
KR200468763Y1 (ko) 음향기기 제어 패드가 내장된 이어폰
TW201304562A (zh) 具有觸控筆的無線耳機
US9961482B2 (e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which wirelessly receives a sound signal from a terminal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CN205039982U (zh) 一种带吸盘的耳塞及耳机
JP3171610U (ja) 無線ヘッドセット装置
JP7196840B2 (ja) 音響出力装置
KR102021410B1 (ko) 직경 조절이 가능한 넥밴드형 스피커의 이탈방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