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3393A - 전기밥솥 - Google Patents

전기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3393A
KR20120073393A KR1020100135145A KR20100135145A KR20120073393A KR 20120073393 A KR20120073393 A KR 20120073393A KR 1020100135145 A KR1020100135145 A KR 1020100135145A KR 20100135145 A KR20100135145 A KR 20100135145A KR 20120073393 A KR20120073393 A KR 20120073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rice cooker
inner pot
electric rice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5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3578B1 (ko
Inventor
윤성훈
Original Assignee
윤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훈 filed Critical 윤성훈
Priority to KR1020100135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578B1/ko
Publication of KR20120073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3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2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serts for cooking different foods separately at the same time; Inser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83Warming device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솥을 듀얼로 구성한 전기밥솥에 관한 것으로, 본체(30)에 복수로 형성된 내솥안착부(32)(34)와, 내솥안착부(32)(34)를 개폐하는 복수의 외부뚜껑(36)(38)과, 내솥안착부(32)(34)로 각각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복수의 내솥(40)(42)과, 내열패킹(S1)(S2)을 사이에 두고 내솥(40)(42)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내솥뚜껑(44)(46)과, 내솥(40)(42)을 가열하기 위한 조리히터(H1)(H2)로 구성되어 동시에 다양한 조리가 가능하고, 보온에 소비되는 전기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밥솥{Electric rice cooker}
본 발명은 전기밥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내솥에 각각 개별적으로 조리패턴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동시에 다양한 조리가 가능하고, 남은 밥양에 따라 보온히터의 발열량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 전기밥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전기밥솥은 보온모드에서 뚜껑과 본체에 각각 설치된 보온히터가 남은 밥의 양에 관계없이 일정한 열량으로 발열되도록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밥이 점점 줄어들수록 보온에 필요로 하는 열량이 줄어드는 것에 비해 보온히터로부터의 발열량은 일정량 그대로 유지되어 전기에너지가 과다하게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전기밥솥은 탕요리, 찜요리, 발효기, 약탕기, 슬로우쿠커, 튀김기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내솥이 한 개만 구비되어 있으므로, 그 내솥에 밥이 남아 있는 동안에는 다른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기밥솥은 주된 용도가 밥짓기인데, 취사할 때 진밥, 된밥, 현미밥, 잡곡밥 등 가족구성원의 입맛에 따라 서로 다른 밥을 동시에 짓지 못하고 어느 한 가지 종류의 밥만 취사하여야만 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전기밥솥 외에 만능조리기와 같은 별도의 전기밥솥을 구입하게 되면 해결이 가능하나 추가 비용이 들게 될 뿐만 아니라 주방 수납공간이 부족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종래에는 첨부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솥(12)의 내부에 분리형격판(14)을 끼워 넣어 내솥(12)의 내측을 양분한 상태로 조리할 수 있는 전기밥솥(10)이 제안되었으나 거의 동일한 조리패턴을 갖는 백미나 콩밥 정도의 간단한 조리를 동시에 가능하게 할 뿐 상이한 조리패턴에는 부적합하여 조리기능에 한계점을 드러내었으며, 보온시 남은 밥의 양에 따라 히터의 발열량을 조절하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보온시 소비되는 전기에너지 낭비를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조리시 분리형격판(14)이 대류현상을 차단하여 열이 고르게 전달되지 못하므로, 밥맛이 균일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서로 상이한 조리패턴을 갖는 2가지 이상의 조리를 동시에 할 수 있으며, 보온시 밥의 양에 따라 히터의 발열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전기밥솥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체에 복수로 형성된 내솥안착부와, 내솥안착부의 상단을 개폐하는 복수의 외부뚜껑과, 내솥안착부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내솥과, 내열패킹을 사이에 두고 내솥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내솥뚜껑과, 내솥안착부 하단부에 복수로 설치되는 조리히터와, 내솥안착부 외주면과 외부뚜껑에 각각 복수로 설치되는 보온히터와, 조리히터로 공급되는 전류를 각각 개별 제어하는 제1,2 조리히터구동부와, 보온히터로 공급되는 전류를 각각 개별 제어하는 제1,2 보온히터구동부와, 조리패턴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조리패턴 중 각 내솥에 대응하는 조리패턴을 설정하기 위한 취사모드선택부와, 취사모드선택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제1,2 조리히터구동부를 통해 각각의 조리히터를 개별로 제어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콘트롤러로 구성된 전기밥솥이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마이크로콘트롤러의 입력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취사모드선택부에 의해 서로 상이한 조리패턴을 각각의 내솥에 할당할 수 있기 때문에 동시에 2가지 이상의 조리를 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조리를 동시에 취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마이크로콘트롤러의 입력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보온모드선택부를 조작하여 내솥에 남아 있는 밥의 양에 따라 보온히터의 발열량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보온히터로부터 소비되는 전기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전기밥솥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밥솥을 보인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밥솥을 보인 블록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밥솥을 보인 정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에 복수로 형성된 내솥안착부(32)(34)와, 내솥안착부(32)(34)를 개폐하는 복수의 외부뚜껑(36)(38)과, 내솥안착부(32)(34)로 각각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복수의 내솥(40)(42)과, 내열패킹(S1)(S2)을 사이에 두고 내솥(40)(42)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내솥뚜껑(44)(46)과, 내솥(40)(42)을 가열하기 위한 조리히터(H1)(H2)로 구성된다.
상기 조리히터(H1)(H2)는 도시예에서와 같이 내솥안착부(32)(34)의 하단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로서 조리히터(H1)(H2)를 내솥안착부(32)(34)의 외주면과 바닥면에 걸쳐 동시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조리히터(H1)(H2)는 알루미늄이나 다른 금속으로 몰딩된 시즈히터, 고주파 유도가열코일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조리히터(H1)(H2)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가변하여 조리모드 또는 보온모드로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조리히터(H1)(H2)만으로 보온히터를 겸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내솥안착부(32)(34) 외주면에 복수의 보온히터(H3)(H4)를 설치하고, 외부뚜껑(36)(38)에 또 다른 보온히터(H5)(H6)를 설치한다.
한편, 내솥(40)(42)과 내솥뚜껑(44)(46)은 상호 나사결합되며, 내솥(40)(42)의 상단부와 내솥뚜껑(44)(46)의 밑면 가장자리에 개재되는 내열패킹(S1)(S2)은 예컨대, 내구성이 양호하고 열에 강한 실리콘고무로 성형될 수 있으며, 이것은 취사 중 내솥(40)(42)에서 발생되는 증기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외부뚜껑(36)(38)에는 통상의 경우에서와 같이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80)(82)가 설치되며, 내솥안착부(32)(34)의 외주면에 설치된 보온히터(H3)(H4)로부터 발열되는 열을 보존하기 위해 석면과 같은 단열재(90)(92)로 보온히터(H3)(H4)(H5)(H6)를 감싼다.
또, 내솥뚜껑(44)(46)과 외부뚜껑(36)(38)에는 내솥(40)(42)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스팀배출밸브(84)(86)가 각각 설치된다.
첨부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밥솥을 보인 블록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조리패턴을 저장하여 두는 조리패턴저장부(20)와, 모드 선택과 조리 및 보온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2)와, 조리히터(H1)(H2)로 공급되는 전류를 각각 개별 제어하는 제1,2 조리히터구동부(52)(54)와, 보온히터(H3)(H4)(H5)(H6)로 공급되는 전류를 각각 개별 제어하는 제1,2 보온히터구동부(56)(58)와, 조리패턴저장부(20)에 저장된 복수의 조리패턴 중 각 내솥(40)(42)에 대응하는 조리패턴을 설정하기 위한 취사모드선택부(60)와, 취사모드선택부(6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제1,2 조리히터구동부(52)(54)를 통해 각각의 조리히터(H1)(H2)를 개별로 제어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콘트롤러(50)로 구성된다.
상기 조리패턴저장부(20)에는 다양한 조리패턴이 저장되며, 예를 들어 비휘발성메모리의 한 종류인 ROM, EEPROM, EPROM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플래시메모리 등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또, 내솥(40)(42)에 남은 밥의 양에 따라 보온히터(H3)(H4)(H5)(H6)로 공급되는 전력을 단계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보온모드선택부(70)가 마이크로콘트롤러(50)의 입력포트에 접속되며, 이러한 보온모드선택부(70)는 택트스위치, 터치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R1,R2는 내솥(40)(42)에서 조리 중인 쌀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에 구비된 복수의 내솥(40)(42)을 이용 서로 상이한 조리패턴으로 취사하는 경우 우선 본체(30)에 형성된 내솥안착부(32)(34)에 내솥(40)(42)을 삽입한 상태에서 내솥(40)(42)에 요리하고자 하는 재료를 각각 담은 다음 내솥뚜껑(44)(46)으로 각각의 내솥(40)(42)을 폐쇄한 상태에서 외부뚜껑(36)(38)을 닫게 되면, 취사할 준비가 완료된다.
이후 마이크로콘트롤러(50)는 조리패턴저장부(20)에 저장되어 있는 조리패턴정보를 액세스하여 디스플레이부(22)를 통해 출력하게 되며, 이때 사용자는 마이크로콘트롤러(50)의 입력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취사모드선택부(60)를 이용 디스플레이부(22)를 통해 표시되고 있는 조리모드를 각각의 내솥(40)(42)에 대응하도록 선택하게 되면, 마이크로콘트롤러(50)는 선택된 조리패턴에 따라 제1조리히터구동부(52)와 제2조리히터구동부(54)를 통해 조리히터(H1)(H2)를 각각 구동하게 된다.
또한, 복수의 내솥(40)(42)을 이용 동일한 조리를 하는 경우에는 취사모드선택부(60)를 통해 동일한 조리패턴을 선택하면 가능하다.
한편, 내솥(40)(42)에 밥(R1)(R2)을 담고 취사를 마치게 되면 통상의 경우에서와 같이 전기밥솥는 마이크로콘트롤러(50)에 의해 보온모드로 자동전환된다. 이때 사용자는 내솥(40)(42)에 담긴 밥(R1)(R2)의 양이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중간중간에 마이크로콘트롤러(50)의 입력포트에 접속된 보온모드선택부(70)를 조작하여 적절한 발열량을 선정하게 되면, 마이크로콘트롤러(50)는 제1보온히터구동부(56)와 제2보온히터구동부(58)를 통해 보온히터(H3)(H4)(H5)(H6)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여 전기에너지를 절감하게 된다.
즉, 보온히터(H3)(H4)(H5)(H6)로 공급되는 전류는 제1보온히터구동부(56)와 제2보온히터구동부(58)에 의한 펄스 폭 변조(PWM, pulse width modulation)에 의해 공급되는 전류를 적절한 양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온히터(H3)(H4)(H5)(H6)의 발열량도 가변된다.
20 : 조리패턴저장부 22 : 디스플레이부
30 : 본체 32,34 : 내솥안착부
36,38 : 외부뚜껑 40,42 : 내솥
44,46 : 내솥뚜껑 50 : 마이크로콘트롤러
52 : 제1조리히터구동부 54 : 제2조리히터구동부
56 : 제1보온히터구동부 58 : 제2보온히터구동부
60 : 취사모드선택부 70 : 보온모드선택부
H1,H2 : 조리히터 H3,H4,H5,H6 : 보온히터
S1,S2 : 내열패킹

Claims (17)

  1. 본체(30)에 복수로 형성된 내솥안착부(32)(34)와;
    내솥안착부(32)(34)를 개폐하는 복수의 외부뚜껑(36)(38)과;
    내솥안착부(32)(34)로 각각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복수의 내솥(40)(42)과;
    내열패킹(S1)(S2)을 사이에 두고 내솥(40)(42)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내솥뚜껑(44)(46)과;
    내솥(40)(42)을 가열하기 위한 조리히터(H1)(H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히터(H1)(H2)는 내솥안착부(32)(34)의 하단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히터(H1)(H2)는 내솥안착부(32)(34)의 외주면과 바닥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히터(H1)(H2)는 금속몰딩된 시즈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몰딩은 알루미늄몰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히터(H1)(H2)는 고주파 유도가열코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히터(H1)(H2)로 공급되는 전력에 따라 조리모드와 보온모드를 겸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히터(H1)(H2)로 공급되는 전류를 각각 개별 제어하는 제1,2 조리히터구동부(52)(54)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안착부(32)(34) 외주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보온히터(H3)(H4)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뚜껑(36)(38)에 설치되는 보온히터(H5)(H6)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내솥(40)(42)에 남은 밥의 양에 따라 상기 보온히터(H3)(H4)(H5)(H6)로 공급되는 전력을 단계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보온모드선택부(70)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12.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히터(H3)(H4)(H5)(H6)로 공급되는 전류를 각각 개별 제어하는 제1,2 보온히터구동부(56)(58)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13.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조리패턴을 저장하여 두는 조리패턴저장부(20)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패턴저장부(20)에 저장된 복수의 조리패턴 중 각 내솥(40)(42)에 대응하는 조리패턴을 설정하기 위한 취사모드선택부(60)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취사모드선택부(6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각각의 조리히터(H1)(H2)를 개별제어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콘트롤러(50)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16. 제 1 항에 있어서, 모드 선택과 조리 및 보온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2)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40)(42)과 내솥뚜껑(44)(46)은 상호 나사결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KR1020100135145A 2010-12-27 2010-12-27 전기밥솥 KR101253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145A KR101253578B1 (ko) 2010-12-27 2010-12-27 전기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145A KR101253578B1 (ko) 2010-12-27 2010-12-27 전기밥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393A true KR20120073393A (ko) 2012-07-05
KR101253578B1 KR101253578B1 (ko) 2013-04-10

Family

ID=46707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5145A KR101253578B1 (ko) 2010-12-27 2010-12-27 전기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35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532B1 (ko) * 2013-11-28 2015-04-08 신해수 분할 전기밥솥
EP2895009A4 (en) * 2012-09-13 2016-05-11 Javid Vahid MULTI-SECTION COOKER
KR20190013310A (ko) * 2017-08-01 2019-02-11 김성우 업소용 취반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235Y1 (ko) 2001-09-12 2001-12-24 이영기 복수조리가 가능한 전기밥솥
KR200270663Y1 (ko) 2001-12-26 2002-04-03 오인석 전기밥솥의 이중 취사 및 보온 장치
KR200287789Y1 (ko) * 2002-05-17 2002-09-05 정현수 다중 취사 전기 밥솥
KR20040017146A (ko) * 2002-08-20 2004-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잠금 및 패킹 감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95009A4 (en) * 2012-09-13 2016-05-11 Javid Vahid MULTI-SECTION COOKER
KR101508532B1 (ko) * 2013-11-28 2015-04-08 신해수 분할 전기밥솥
KR20190013310A (ko) * 2017-08-01 2019-02-11 김성우 업소용 취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3578B1 (ko) 2013-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67312B (zh) 用于烹饪器具的煮粥控制方法及烹饪器具
US7943888B2 (en) Slow cooker with nestable containers
KR100793797B1 (ko) 히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JP2006280441A (ja) 加熱調理器
KR101253578B1 (ko) 전기밥솥
EP2577172B1 (en) Heat storage cooker
KR101015788B1 (ko) 전기밥솥
CN201328691Y (zh) 具有分控结构的组合锅
EP2963994B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electric ovens
KR20050116268A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취사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100868998B1 (ko) 조리 기기
CN103349498A (zh) 一种带电脑控制板的慢炖锅
KR101945979B1 (ko) 가열식 조리기
CN203369760U (zh) 一种带电脑控制板的慢炖锅
KR200209671Y1 (ko) 조리용 전기오븐
KR101221889B1 (ko) 살균 보관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3828757U (zh) 烤箱
CN214433623U (zh) 多胆式电饭煲
JP7225023B2 (ja) 加熱調理器
JP2012000383A (ja) 炊飯器
KR200459006Y1 (ko) 조리용기용 파티션 기구
KR100635636B1 (ko) 전자렌지 겸용 전기밥솥
JP2005185389A (ja) 炊飯器
CN101444393A (zh) 具有分控结构的组合锅
GB2518480A (en) Hob assembly for range cook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