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1375A - 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 - Google Patents

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1375A
KR20120071375A KR1020120062665A KR20120062665A KR20120071375A KR 20120071375 A KR20120071375 A KR 20120071375A KR 1020120062665 A KR1020120062665 A KR 1020120062665A KR 20120062665 A KR20120062665 A KR 20120062665A KR 20120071375 A KR20120071375 A KR 20120071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wall
retaining wall
inclined plate
plat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6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88590B1 (en
Inventor
김광숙
Original Assignee
김광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숙 filed Critical 김광숙
Priority to KR1020120062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8590B1/en
Publication of KR20120071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13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8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85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2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corrug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PURPOSE: A 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 having an inclined plate protruded rearward is provided to improve construction quality by previously manufacturing the retaining wall using precast concrete and installing the manufactured retaining wall on a construction site. CONSTITUTION: A 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1) having an inclined plate protruded rearward comprises a concrete vertical wall(2) and multiple inclined plate restriction members(3). The concrete vertical wall supports horizontal force. The inclined plate restriction members are assemb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ncrete vertical wall. Each inclined plate restriction member comprises a connection plate(31) and an inclined plate(32). The connection plates are integrally coupled to installation plates integrally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ncrete vertical wall. The inclined plates are coupled to the connection plates and are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a cut slope.

Description

후방 돌출 경사판을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 with Rear Extruded Slope Plates

본 발명은 성토부 또는 절토부의 배면 토사를 지지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배면 토사의 토압력을 지지하는 수직 벽체와, 상기 수직 벽체의 후방에서 배면 토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연결판과, 상기 각각의 연결판 단부에서 경사지게 연결되는 토압 지지용 경사판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연결판과 경사판에 의하여 배면의 뒷채움 토사를 블록 형태로 구속하여 전도에 대한 옹벽의 저항력을 증가시키고, 그에 따라 옹벽의 저판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는 신규한 구성의 후방 돌출 경사판을 구비한 옹벽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 for supporting the back soil of the fill portion or the cut portion, and more specifically, a vertical wall supporting the earth pressure of the back soil, and extending in the rear soil direction from the rear of the vertical wall. By providing a plurality of connecting plates and the inclined plate for supporting the earth pressure inclined at each end of the connecting plate by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lates and the inclined plate to restrain the back-filled soil in the form of a block to increase the resistance of the retaining wall against falling And a retaining wall having a rear projecting inclined plate of a novel configuration, which makes it possible to omit the bottom plate of the retaining wall.

콘크리트 옹벽으로는 일반적으로 역T형 옹벽(L형 옹벽이라고도 부름)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역T형 콘크리트 옹벽의 횡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의 역T형 옹벽(100)은, 수직 벽체(101)와 수평 바닥판(10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 바닥판(102)은 시공될 설치경계선을 따라 정리된 지반에 놓이도록 소정 길이와 폭을 가지고 있으며, 그 상부의 토사에 의해 수직 토압력(PV)이 수평 바닥판(102)으로 가해지게 된다. As a concrete retaining wall, an inverted T retaining wall (also called an L retaining wall) is generally used.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inverted T-shaped concrete retaining wall. As shown in the figure, the conventional inverted T-shaped retaining wall 100 is composed of a vertical wall 101 and a horizontal bottom plate 102. The horizontal bottom plate 102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so as to lie on the ground arranged along the installation boundary line to be constructed, and the vertical earth pressure P V is applied to the horizontal bottom plate 102 by the soil of the upper part. You lose.

이러한 역T형 옹벽(100)의 경우, 전도(overturn)와 활동(sliding)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수직 벽체(101)의 후방으로 즉, 사면 방향으로 수직 토압력(PV)을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를 확보하여야 한다. 즉, 수평 바닥판(102)이 충분한 길이로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사면의 굴착면이 수평 바닥판(102)의 길이 외측에 위치하여야 한다. 따라서 사면의 굴착 및 절토량이 많아지고, 그에 따라 절토공 및 성토공을 위한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장시간의 공기도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절토 사면의 경사가 급할 경우에는 별도의 사면 보호공을 수행하여야 하며, 이는 공기 및 공사비 증가의 원인이 된다. In the case of such an inverted T-shaped retaining wall 100, in order to secure stability against overturning and sliding, the vertical earth pressure P V is supported to the rear of the vertical wall 101, that is, in the direction of the slope. Sufficient length should be ensured. That is, a space in which the horizontal bottom plate 102 may be installed with a sufficient length should be secured. For this purpose, an excavation surface of the slope should be located outside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bottom plate 102. Therefore, the amount of excavation and cutting of the slope increases, thereby increasing the costs for cutting and filling the hole, as well as a long time of air consumption. In addition, if the slope of the cut slope is urgent, a separate slope protector should be carried out, which causes an increase in air and construction costs.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003376호(2001.01.09.공개)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003376 (January 9, 200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로 사전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 설치함으로써 공사기간을 줄이고 공사 품질을 향상시킴은 물론이고, 구조적인 안정성을 위하여 수직 벽체의 후방으로 확보하여야 하는 수직 토압력(PV)을 지지하여야 하는 길이를 축소함으로써, 사면의 절토량 및 성토량을 줄여서 공사비 및 공사기간을 감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specifically, by pre-fabricated precast concrete member to be assembled and installed in the field to reduce construction period and improve construction quality, as well as structural stability In order to reduce the cost and construction period by reducing the amount of cut and fill of the slope by reducing the length to support the vertical earth pressure (P V ) to be secured to the rear of the vertical wall.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 판 부재로 이루어져 배면 토사에 의한 수평력을 지지하는 수직 벽체와; 상기 수직 벽체의 배면에서 후방으로는 상기 수직 벽체와 결합되는 복수개의 경사판 구속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경사판 구속부재는, 상기 수직 벽체의 배면과 연결되는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의 배면토사 방향 단부에서 상기 연결판과 직교하게 결합되어 있되 절토 사면 방향으로 기울어져서 결합되는 경사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이웃하는 연결판 사이와 경사판의 내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담기도록 수직 벽체의 배면으로 채워지는 뒷채움 토사를 구속하여 전도 및 활동에 대한 저항력을 발휘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이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wall made of a concrete plate member to support the horizontal force by the back soil; A plurality of inclined plate restraint members coupled to the vertical wall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The inclined plate restraint member includes a connecting plate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and an inclined plate coupled to the connecting plate at right angles in the rear soi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late and inclined in the cut slope direction. Retaining walls are provided that have a structure that exerts resistance to conduction and activity by restraining the backfill soil filled with the back of the vertical wall to be contained between the adjacent connecting plates and the space form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inclined plate. .

이러한 본 발명의 옹벽에서, 상기 연결판은 파형 강판으로 이루어질 수 잇는데, 이 경우, 상기 수직 벽체의 배면에는, 상기 연결판과 일체 결합되는 파형 강판으로 이루어진 설치판이 미리 일체로 구비되어 있어; 상기 설치판과 상기 연결판이 서로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경사판 구속부재가 수직 벽체의 배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In the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plate may be made of a corrugated steel sheet, in which case, a mounting plate made of a corrugated steel sheet integrally coupled with the connecting plate is previously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Since the mounting plate and the connecting plate are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the inclined plate restraint member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또한 본 발명의 옹벽에서, 상기 수직 벽체의 배면에는, 절토 사면 방향으로 연장된 강봉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판은, 상기 강봉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 되어 있는 콘크리트 패널부재로 제작되고; 상기 연결판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경사판에도 상기 강봉의 단부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강봉이 상기 연결판 내의 관통공과 상기 경사판의 관통공에 관통 삽입되도록 한 후, 강봉의 단부를 경사판에서 고정 정착하여, 경사판 구속부재가 수직 벽체의 배면에 일체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e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is provided with a steel bar extending in the cut slope direction; The connecting plate is made of a concrete panel member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teel bar is formed; The inclined plate coupled to the end of the connecting plate is also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end of the steel bar; After the steel rod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in the connecting plate and the through hole of the inclined plate, the end of the steel rod may be fixed and fixed at the inclined plate so that the inclined plate restraint member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이러한 본 발명의 옹벽에서, 상기 수직 벽체의 하단에는 옹벽 기초가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옹벽 기초는 콘크리트 부재로 만들어지고 상면에 돌출단턱이 형성되어 있어, 수직 벽체의 하부 전면이 상기 돌출단턱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수직 벽체가 옹벽 기초 위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In such a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taining wall foundation may b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vertical wall; The retaining wall foundation is made of a concrete member and has a protrusion stepp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so that the vertical wall may be installed on the retaining wall base so that the lower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is supported by the protrusion step. In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constructing such a retaining wall is provided.

본 발명에 의하면, 필요한 옹벽의 폭에 맞추어 상기 수직 벽체를 설치하고, 수직 벽체의 배면 후방에 복수개의 경사판 구속부재를 간격을 두고 조립 결합한 후, 수직 벽체의 배면에는 뒷채움 토사를 채우는 방법에 의하여 옹벽을 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경사판 구속부재 사이에 토사가 채워지게 되는데, 경사판 구속부재 사이에 채워진 뒷채움 토사는 측면으로는 연결판에 의하여 구속되고 절토 사면 방향으로는 경사판에 의해 구속되어 있으므로, 뒷채움 토사가 옹벽과 함께 폐합된 블록처럼 거동하게 되어 중력식 옹벽의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경사판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수직 벽체에 작용하게 되는 토압을 줄일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wall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retaining wall, and the plurality of inclined plate restraint members are assembled to the rear of the vertical wall at intervals, and then the rear wall of the vertical wall is filled with backfill soil by the method of filling the backfill soil. Will be constructed. Thu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oil is filled between the inclined plate restraint member, the backfill soil filled between the inclined plate restraint member is constrained by the connecting plate on the side and the inclined plate in the cut slope direction, so It acts like a closed block with the effect of a gravity retaining wall.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clined plate is inclined, the earth pressure acting on the vertical wall can be reduced.

따라서 종래의 역T형 옹벽에 구비되던 수평 바닥판이 필요 없게 되며, 수직 벽체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경사판 구속부재의 길이도 기존 역T형 옹벽에서의 수평 바닥판 길이 보다 짧아지게 된다. 그에 따라 옹벽의 전도 및 활동 방지를 위하여 수직 벽체의 후방으로 확보하여야 하는 수직 토압력(PV) 지지 길이를 축소할 수 있고, 사면의 절토량 및 성토량이 절감되어 공사비 및 공사기간을 현저하게 감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Therefore, the horizontal bottom plate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inverted T-shaped retaining wall is not necessary, and the length of the inclined plate restraining member protruding to the rear of the vertical wall is also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bottom plate in the existing inverted T-shaped retaining wall. Accordingly, the length of vertical soil pressure (P V ), which must be secured to the rear of the vertical wall, can be reduced in order to prevent the fall of the retaining wall and the activity, and the amount of cut and fill of the slope is reduced,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and construction period. The effect that becomes possible is exhibited.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프리캐스트 부재로 사전에 제작한 후 이를 현장에서 조립하여 옹벽을 형성하게 되므로,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각 부재의 품질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신뢰성있는 옹벽 시공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ecast member is manufactured in advance and then assembled in the field to form the retaining wall,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shortened, and the quality of each member can also be improved, thus enabling reliabl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Effect is exerted.

도 1은 종래의 역T형 콘크리트 옹벽의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방 돌출 경사판을 구비한 옹벽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옹벽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옹벽을 시공하는 각 단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방 돌출 경사판을 구비한 옹벽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옹벽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옹벽을 시공하기 위하여 수직 벽체를 설치하고 경사판 구속부재를 조립 결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inverted T-shaped concrete retaining wall.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retaining wall having a rear projecting slop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retaining wall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is installed.
4 to 6 are schematic views showing each step of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retaining wall with a rear protruding inclined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chematic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retaining wall of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7 is installed.
FIG. 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ertical wall is installed and an inclined plate restraint member is assembled in order to construct the retaining wall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옹벽과 그 시공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Hereinafter, a retaining wall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described as one embodiment, where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r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re not limited.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방 돌출 경사판을 구비한 옹벽(1)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옹벽(1)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에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옹벽(1)을 시공하는 각 단계를 보여주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retaining wall 1 having a rear projecting inclined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retaining wall 1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is installed. A schematic side view is shown. 4 to 6 are schematic views showing each step of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1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후방 돌출 경사판을 구비한 옹벽(1)은, 콘크리트 수직 벽체(2)와, 상기 수직 벽체(2)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즉, 배면 토사 방향으로 상기 수직 벽체(2)에 조립되는 경사판 구속부재(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경사판 구속부재(3)는 복수개가 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수직 벽체(2)의 배면에 구비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retaining wall 1 with the rear projecting inclined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crete vertical wall 2 and the vertical wall rear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2, i. It comprises a slant plate restraint member (3) assembled to (2), the plurality of slant plate restraint member (3)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2) at intervals laterally.

구체적으로, 상기 수직 벽체(2)는 소정 넓이와 두께를 가지는 콘크리트 판 부재로 이루어지는데, 현장에서 제작될 수도 있지만 공장에서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되어 현장으로 이송되어 사용되는 프리캐스트 부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 벽체(2)는 배면 토사에 의한 수평력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수직 벽체(2)의 하단에는 옹벽 기초(4)가 설치될 수 있는데, 옹벽 기초(4)를 설치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옹벽 기초(4)는 콘크리트 부재로 만들어지고 상면에 돌출단턱(41)이 형성되어 있다. 옹벽 기초(4)가 지반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옹벽 기초(4)의 상부에 수직 벽체(2)가 설치되는데, 도 4에 후속하여 수직 벽체(2)가 설치되는 단계를 보여주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수직 벽체(2)의 하부 전면이 상기 돌출단턱(41)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수직 벽체(2)가 옹벽 기초(4) 위에 설치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옹벽 기초(4)의 상면에 결합철근을 돌출시키고, 상기 결합철근이 수직 벽체(2)의 하면에 끼워지도록 하거나 또는 그 반대로 하거나, 또는 접착제나 모르타르 등으로 옹벽 기초(4)의 상면과 수직 벽체(2)의 하면을 인위적으로 결합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단순히 수직 벽체(2)의 하부 전면이 상기 돌출단턱(41)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수직 벽체(2)를 옹벽 기초(4) 위에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Specifically, the vertical wall (2) is made of a concrete plate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thickness, which may be manufactured in the field, but is made of a precast member that is manufactured by a precast method in the factory and transported to the site desirable. The vertical wall 2 supports the horizontal force by the back soil. A retaining wall foundation 4 may b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vertical wall 2, as shown in FIG. 4 showing the step of installing the retaining wall foundation 4, the retaining wall foundation 4 is made of a concrete member and has a top surface. Protruding step 41 is formed in the. With the retaining wall foundation 4 installed in the ground, a vertical wall 2 is installed on top of the retaining wall foundation 4, which is shown in FIG. 5 which shows the step of installing the vertical wall 2 subsequent to FIG. 4. As described above, the vertical wall 2 is installed on the retaining wall base 4 so that the lower front face of the vertical wall 2 is supported by the protruding step 41. If necessary, the reinforcing bar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foundation 4 and the retaining bar is fit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2 or vice versa, or the retaining wall foundation 4 is made of adhesive or mortar. Alth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2) may be artificially comb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wall (2) is simply retained wall foundation so that the lower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2) is supported by the protruding step (41). (4) It is enough just to install on.

상기 수직 벽체(2)의 배면에서 후방으로는 경사판 구속부재(3)가 조립 결합된다. 상기 경사판 구속부재(3)는, 상기 수직 벽체(2)의 배면과 연결되는 연결판(31)과, 상기 연결판(31)의 절토 사면 방향 단부에서 상기 연결판(31)과 직교하게 결합되어 있되 절토 사면 방향으로 기울어져서 결합되는 경사판(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경사판 구속부재(3)가 수직 벽체(2)의 배면에서 복수개로 측방향 간격을 두고 결합되어, 복수개의 경사판 구속부재(3)의 이웃하는 연결판(31) 사이와 경사판(32)의 내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수직 벽체(2)의 배면으로 채워지는 뒷채움 토사가 담기게 되면, 상기 뒷채움 토사를 상기 연결판(31)과 경사판(32)으로 구속하여 전도 및 활동에 대한 저항력을 발휘하게 된다. On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2, the inclined plate restraint member 3 is assembled. The inclined plate restraining member 3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plate 31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2 and orthogonally to the connecting plate 31 at the cut slope direction end of the connecting plate 31.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inclined plate 32 is inclined in the cut slope direction. The inclined plate restraint member 3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coupled to the plurality of lateral intervals on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2, so that the inclined plate 32 between the adjacent connecting plates 31 of the plurality of inclined plate restraint members 3. In the space form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when the backfilled soil filled with the back of the vertical wall (2) is contained, the backfilled soil is constrained by the connecting plate 31 and the inclined plate 32 to resist the fall and activity Will be used.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판(31)이 파형 강판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파형 강판으로 이루어진 연결판(31)이 수직 벽체(2)의 배면에 일체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벽체(2)의 배면에는 상기 연결판(31)과 일체 결합되는 설치판(21)이 미리 수직 벽체(2)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연결판(31)이 파형 강판으로 이루어진 경우, 이와 결합되는 설치판(21) 역시 파형 강판으로 제작되어, 상기 설치판(21)과 연결판(31)은 용접, 볼트 결합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일체로 결합된다. 위의 실시예에서 연결판(31)이 파형 강판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재질은 위와 같은 파형 강판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것처럼 경사판(32)과 일체로 되는 콘크리트 부재로 연결판(31)이 제작될 수 있으며, 연결판(31)의 재질에는 특별한 한정이 없다. 다만, 후술하는 것처럼 경사판 결합부재(3)에 의한 뒷채움 토사의 구속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연결판(31)과 그 내측의 뒷채움 토사 간의 마찰력이 커지도록 위와 같이 연결판(31)이 파형 강판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연결판(31)이 단순한 강판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면에 스터드 등과 같은 부재를 설치하여 마찰력 증대시킬 수도 있다. 부재번호 22는 필요에 따라 구비될 수 있는 보강리브(22)로서 상기 설치판(21)이 수직 벽체(2)에 결합되는 부분을 보강하고, 수직 벽체(2)의 강성을 증진시키는 기능을 한다. 2 to 6, the connecting plate 31 is illustrated as being made of corrugated steel sheet, so that the connecting plate 31 made of corrugated steel sheet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2. To this en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2 to 6, the mounting plate 21 integrally coupled with the connecting plate 31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2 in advance in the vertical wall 2. . When the connecting plate 31 is made of corrugated steel sheet, the mounting plate 21 coupled thereto is also made of corrugated steel sheet, and the mounting plate 21 and the connecting plate 31 may be welded, bolted, or the like. Are combined integrally. Although the connecting plate 31 has been described as being made of corrugated steel sheet in the above embodiment, the material is not limited to the corrugated steel sheet as described above, and the connecting plate 31 is formed of a concrete member integral with the inclined plate 32 as described below. Can be manufactured, the material of the connecting plate 3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However, the connecting plate 31 is made of a corrugated steel plate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connecting plate 31 and the inside of the backfilling soil is increased in order to enhance the restraining effect of the backfilling soil by the inclined plate coupling member 3 as described below. It is preferable to be. Of course, the connecting plate 31 may be made of a simple steel plate, and the friction force may be increased by installing a member such as a stud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Reference numeral 22 is a reinforcing rib 22 that may be provided as necessary to reinforce the portion where the mounting plate 21 is coupled to the vertical wall 2, and serves to enhance the rigidity of the vertical wall (2) .

상기 경사판(32)은 연결판(31)과 직교하게 결합되어 있되 절토 사면(10) 방향으로 각도(θ)를 가지고 기울어져서 연결판(31)에 결합되어 있다. 즉, 도 3의 옹벽 측면도에 도시된 것처럼, 연직선(C)에 대하여, 경사판(32)은 예각을 가지고 절토 사면(10) 방향으로 기울어져 연결판(31)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경사판(32)의 기울어진 각도 즉, 경사각(θ) 0 초과 90도 미만의 예각으로 이루어지는데, 바람직한 각도는 30도이다. 상기 경사판(32)은 그 사면 방향의 면이 절토 사면(10)에 접할 수 있는데, 이 때 경사판(32)의 경사각(θ)은 절토 사면(10)의 경사진 각도와 대응될 수 있다. The inclined plate 32 is orthogonally coupled to the connecting plate 31, but is inclined at an angle θ in the cut slope 10 to be coupled to the connecting plate 31. That is, as shown in the retaining wall side view of FIG. 3,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C, the inclined plate 32 is inclined toward the cut slope 10 at an acute angle and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plate 31. An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ation plate 32, that is, an acute angle of more than 90 degrees of inclination angle θ is less than 90 degrees, and the preferred angle is 30 degrees. The inclined plate 32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plane 10 in a slope direction thereof, and the inclination angle θ of the inclined plate 32 may correspond to the inclined angle of the cut slope 10.

도 5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수직 벽체(2)의 배면 후방에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미리 제작되어 현장으로 이송된 복수개의 경사판 구속부재(3)를 간격을 두고 조립 결합한다. 즉, 파형 강판으로 이루어진 상기 연결판(31)을, 파형 강판으로 제작되어 수직 벽체(2)의 배면에 돌출되어 있는 설치판(21)과 용접, 볼트 결합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일체로 결합하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수직 벽체(2)의 배면에 2개의 경사판 구속부재(3)가 한 쌍을 이루어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2개 이상의 경사판 구속부재(3)가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경사판 구속부재(3)의 높이 즉, 연결판(31)의 높이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정할 수 있는데, 수직 벽체(2)의 높이의 약 1/3정도의 높이를 가지는 것이 구조적 안정성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Following the state shown in FIG. 5, as shown in FIG. 6, a plurality of inclined plate restraint members 3, which are prefabricated and transferred to the site in the precast manner, are assembled to the rear of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2 at intervals. do. That is, the connecting plate 31 made of corrugated steel sheet is made of corrugated steel sheet to be integrally combined with the mounting plate 21 protruding on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2 using a welding or bolting method. do.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figure is shown that two inclined plate restraint member 3 is installed in a pair on the back of one vertical wall (2), two or more inclined plate restraint member (3) may be installed ha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inclined plate restraint member 3, that is, the height of the connecting plate 31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as necessary, but having a height of about one third of the height of the vertical wall 2 is structurally stable. Most preferred.

이와 같이, 필요한 옹벽의 폭에 맞추어 상기 수직 벽체(2)를 설치하고, 수직 벽체(2)의 배면 후방에 복수개의 경사판 구속부재(3)를 간격을 두고 조립 결합한 후, 수직 벽체(2)의 배면에는 뒷채움 토사를 채우게 된다. 경사판 구속부재(3) 사이에도 토사가 채워지게 되는데, 경사판 구속부재(3) 사이에 채워진 뒷채움 토사는 측면으로는 연결판(31)에 의하여 구속되고 절토 사면 방향으로는 경사판(32)에 의해 구속되어 있으므로, 뒷채움 토사가 옹벽(1)과 함께 폐합된 블록처럼 거동하게 되어 중력식 옹벽의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특히, 경사판(32)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수직 벽체(2)에 작용하게 되는 토압을 줄일 수 있게 된다. In this manner, the vertical wall 2 is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width of the retaining wall, and the plurality of inclined plate restraint members 3 are assembled to the rear of the rear wall of the vertical wall 2 at intervals. The back is filled with backfill soil. Soil is also filled between the inclined plate restraint member 3, and the backfilled soil filled between the inclined plate restraint member 3 is constrained by the connecting plate 31 to the side and restrained by the inclined plate 32 in the cut slope direction. Since the backfilled soil is behaving like a block closed together with the retaining wall 1, the gravitational retaining wall is exerted. In particular, since the inclined plate 32 is inclined, the earth pressure acting on the vertical wall 2 can be reduced.

따라서 종래의 역T형 옹벽에 구비되던 수평 바닥판이 필요 없게 되며, 수직 벽체(2)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경사판 구속부재(3)의 길이도 기존 역T형 옹벽에서의 수평 바닥판 길이 보다 짧아지게 된다. 그에 따라 옹벽의 전도 및 활동 방지를 위하여 수직 벽체의 후방으로 확보하여야 하는 수직 토압력(PV) 지지 길이를 축소할 수 있고, 사면의 절토량 및 성토량이 절감되어 공사비 및 공사기간을 현저하게 감축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앞서 설명한 실시예는 물론이고 후술하는 도 7 내지 도 9의 실시예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서는 프리캐스트 부재로 사전에 제작한 후 이를 현장에서 조립하여 옹벽(1)을 형성하게 되므로,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각 부재의 품질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신뢰성있는 옹벽 시공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Therefore, the horizontal bottom plate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inverted T-shaped retaining wall is not necessary, and the length of the inclined plate restraint member 3 protruding to the rear of the vertical wall 2 is also shorter than that of the existing inverted T-shaped retaining wall. do. Accordingly, the length of vertical soil pressure (P V ), which must be secured to the rear of the vertical wall, can be reduced in order to prevent the fall of the retaining wall and the activity, and the amount of cut and fill of the slope is reduced,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and construction period. It becomes possible.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as well as the embodiment of Figures 7 to 9 to be described later, the precast member is manufactured in advance and then assembled in the field to form the retaining wall (1), construction period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size of the member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each member, thereby achieving the effect of enabling a reliabl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방 돌출 경사판을 구비한 옹벽(1)에 대한 도면으로서, 도 7은 도 2에 대응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방 돌출 경사판을 구비한 옹벽(1)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3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옹벽(1)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옹벽(1)을 시공하기 위하여 수직 벽체(2)를 설치하고 경사판 구속부재(3)를 조립 결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7 to 9 are views of the retaining wall 1 having a rear projecting inclined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rear projecting inclined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ing to FIG. FIG. 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retaining wall 1 provided, and FIG. 8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taining wall 1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is installed a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3. FIG. 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ertical wall 2 is installed and the inclined plate restraint member 3 is assembled to construct the retaining wall 1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가, 앞서 살펴본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다른 점은, 경사판 구속부재(3)를 이루는 연결판(31)이 콘크리트 패널부재로 이루어졌다는 점과, 그에 따라 경사판 구속부재(3)를 수직 벽체(2)와 결합하는 방식이 달라졌다는 점이다. 7 to 9 are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2 to 6, in which the connecting plate 31 constituting the inclined plate restraint member 3 is made of a concrete panel member. Therefore, the manner in which the inclined plate restraint member 3 is coupled with the vertical wall 2 is different.

구체적으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경사판 구속부재(3)를 이루는 연결판(31)은, 경사판(32)과 일체를 이루고 있는 콘크리트 패널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콘크리트 패널부재로 이루어진 연결판(31)을 구비한 경사판 구속부재(3)를 수직 벽체(2)의 배면에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 벽체(2)의 배면에는 절토 사면 방향으로 연장된 강봉(23)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판(31)의 콘크리트 패널부재 내에는 상기 강봉(23)이 관통되는 관통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판(32)에도 상기 강봉(23)의 단부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Specifically,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s 7 to 9, the connecting plate 31 constituting the inclined plate restraint member 3 is made of a concrete panel member integral with the inclined plate 32. In order to couple the inclined plate restraining member 3 having the connecting plate 31 made of the concrete panel member to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2, a steel rod extending in the cut slope direction on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2; 23 is provided, a through hole (not shown) is formed in the concrete panel member of the connecting plate 31 through which the steel bar 23 passes. The inclined plate 32 also h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n end of the steel bar 23 is formed.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옹벽 기초(4)를 설치한 후에는, 강봉(23)이 구비되어 있는 수직 벽체(2)를 옹벽 기초(4) 위에 설치한다. 수직 벽체(2)를 옹벽 기초(4) 위에 설치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앞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Looking at the construction method, after the retaining wall foundation 4 is installed as shown in FIG. 4, the vertical wall 2 provided with the steel bar 23 is installed on the retaining wall foundation 4. The specific method of installing the vertical wall 2 on the retaining wall foundation 4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수직 벽체(2)의 설치 후에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경사판(32)과 콘크리트 패널부재로 이루어진 연결판(31)으로 이루어진 경사판 구속부재(3)를 수직 벽체(2)의 배면에 일체로 조립 결합하는데, 상기 수직 벽체(2)의 배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강봉(23)이 상기 연결판(31) 내의 관통공과 상기 경사판(32)의 관통공에 관통 삽입되도록 한 후, 강봉(23)의 단부를 경사판(32)에서 고정 정착하게 된다. 이 때, 강봉(23)의 단부가 경사판(32)의 외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경사판(32)의 외면에 오목부(33)를 형성하여 상기 오목부(33) 내에서 강봉(23)의 단부를 정착할 수도 있다. 상기 강봉(23)은 그 일단이 수직 벽체(2)에 미리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수직 벽체(2)에 강봉(23)이 관통되는 구멍을 형성하여 수직 벽체(2)의 전면으로부터 강봉(23)을 연결판(31) 방향으로 삽입할 수도 있다. After installation of the vertical wall 2, as shown in FIG. 9, the inclined plate restraint member 3 made up of the connecting plate 31 made of the inclined plate 32 and the concrete panel member is integr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2; The steel bar 23 extend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2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in the connecting plate 31 and the through hole of the inclined plate 32, and then the steel bar 23. The end portion of the inclined plate 32 is fixed and fixed. At this time, the concave portion 33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clined plate 32 so that the end of the steel bar 23 is not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clined plate 32. You can also settle down. One end of the steel bar 23 may be fixed to the vertical wall 2 in advance, and the steel bar 23 is formed in the vertical wall 2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2 by forming a hole through which the steel bar 23 penetrates. ) May be inserted in the connecting plate 31 direction.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옹벽(1)이 조립되고 수직 벽체(2)의 후방으로 뒷채움 토사가 채워지게 된다. 한 쌍의 경사판 구속부재(3)에 의한 그 내측의 뒷채움 토사 구속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연결판(31)의 내면 즉, 마주하게 되는 면은 그 표면에 마찰력 증진 가능한 구성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연결판(31)을 이루는 콘크리트 패널부재의 면에 돌기를 형성하거나, 또는 스터드와 같은 돌출된 철물을 일체로 부착하여 콘크리트 패널부재의 표면에서 뒷채움 토사와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는 구성을 더할 수도 있는 것이다. 기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옹벽(1)이 가지는 기능과 효과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Through this process,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retaining wall 1 is assembled and the backfill soil is filled to the rear of the vertical wall 2.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 of restraining the backfilling soil inside the pair of inclined plate restraint members 3,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late 31, that is, the face facing each other, may further include a configuration capable of improving frictional force on the surface thereof. . For example, the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ncrete panel member constituting the connecting plate 31, or the protrusions such as studs may be integrally attached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of the backfill soil on the surface of the concrete panel member. You can also add. Other functions and effects of the retaining wall 1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7 to 9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us a repeat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1 : 옹벽, 2 : 수직 벽체, 3 : 경사판 구속부재 4 : 기초1: retaining wall, 2: vertical wall, 3: inclined plate restraint member 4: foundation

Claims (2)

콘크리트 판 부재로 이루어져 배면 토사에 의한 수평력을 지지하는 수직 벽체(2)와;
상기 수직 벽체(2)의 배면에서 후방으로는 상기 수직 벽체(2)와 결합되는 복수개의 경사판 구속부재(3)로 이루어지며;
상기 경사판 구속부재(3)는, 상기 수직 벽체(2)의 배면과 연결되는 연결판(31)과, 상기 연결판(31)의 배면토사 방향 단부에서 상기 연결판(31)과 직교하게 결합되어 있되 절토 사면 방향으로 기울어져서 결합되는 경사판(32)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판(31)은 파형 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 벽체(2)의 배면에는, 상기 연결판(31)과 일체 결합되는 파형 강판으로 이루어진 설치판(21)이 미리 일체로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설치판(21)과 상기 연결판(31)이 서로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경사판 구속부재(3)가 상기 수직 벽체(2)의 배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이웃하는 연결판(31) 사이와 경사판(32)의 내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담기도록 상기 수직 벽체(2)의 배면에 채워지는 뒷채움 토사를, 상기 경사판 구속부재(3)가 구속하여 전도 및 활동에 대한 저항력을 발휘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A vertical wall (2) made of a concrete plate member to support a horizontal force by rear soil;
A plurality of inclined plate restraining members (3) coupled to the vertical wall (2) from the rear of the vertical wall (2) to the rear;
The inclined plate restraining member 3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plate 31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2 and the connecting plate 31 orthogonally at an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plate 31 in the rear soil direction. And inclined in the cut slope direction includes an inclined plate 32 coupled;
The connecting plate 31 is made of corrugated steel;
On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2, a mounting plate 21 made of corrugated steel sheet which is integrally coupled with the connecting plate 31 is provided in advance, so that the mounting plate 21 and the connecting plate 31 are provided. By being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the inclined plate restraining member 3 is configured to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2, and thus, between the neighboring connecting plates 3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inclined plate 32.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plate restraint member (3) restrains the back-filled soil filled in the back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2) so as to be contained in the space to be formed to exert resistance to conduction and activ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벽체(2)의 하단에는 옹벽 기초(4)가 설치되는데;
상기 옹벽 기초(4)는 콘크리트 부재로 만들어지고 상면에 돌출단턱(41)이 형성되어 있어, 수직 벽체(2)의 하부 전면이 상기 돌출단턱(41)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수직 벽체(2)가 옹벽 기초(4) 위에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The method of claim 1,
A retaining wall foundation 4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wall 2;
The retaining wall foundation 4 is made of a concrete member and has a protruding step 41 formed thereon, so that the vertical wall 2 is supported so that the lower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2 is supported by the protruding step 41.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ructure installed on the retaining wall base (4).
KR1020120062665A 2012-06-12 2012-06-12 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 KR1011885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665A KR101188590B1 (en) 2012-06-12 2012-06-12 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665A KR101188590B1 (en) 2012-06-12 2012-06-12 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749A Division KR101188537B1 (en) 2010-04-07 2010-04-07 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1375A true KR20120071375A (en) 2012-07-02
KR101188590B1 KR101188590B1 (en) 2012-10-08

Family

ID=46706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665A KR101188590B1 (en) 2012-06-12 2012-06-12 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859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87784A (en) * 2016-06-30 2016-11-09 重庆交通大学 Slope protecting device
CN106120851A (en) * 2016-06-30 2016-11-16 重庆交通大学 Landslide defenc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3376A (en) 1999-06-18 2001-01-09 Sanyu Create:Kk L-shaped retaining wall block and its execution method
KR100799358B1 (en) 2007-04-10 2008-01-30 주식회사 다우컨설턴트 Combined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87784A (en) * 2016-06-30 2016-11-09 重庆交通大学 Slope protecting device
CN106120851A (en) * 2016-06-30 2016-11-16 重庆交通大学 Landslide defence system
CN106120851B (en) * 2016-06-30 2018-06-22 重庆交通大学 Landslide defence system
CN106087784B (en) * 2016-06-30 2018-07-27 重庆交通大学 Slope protec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8590B1 (en) 2012-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2163B1 (en) Concrerte pannel for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KR101103142B1 (en)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JP2015025271A (en) Boundary wall structure
US20050069389A1 (en) Interlocking and securable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JP6207949B2 (en) Retaining wall structure
AU2003210567A1 (en) Interlocking and securable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KR101188590B1 (en) 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
KR101188537B1 (en) 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
KR101138915B1 (en) Retaining wall
CN102144065B (en) Retaining wall
KR101005351B1 (en)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220613B1 (en) Freestanding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KR101999798B1 (en) Buttress retaining wall witt rear-casing and the c0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1015610B1 (en) Tunnel having inclined plate
JP6302288B2 (en) Formwork installation method, formwork and underwater structure
KR101282770B1 (en) Precast straight wall found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JP2017172248A (en) Subsurface structure skeleton construction method
KR20050027625A (en) Segmental block-faced retaining wall system
KR102273710B1 (en) Block Assembly for Retaining Wall with Improved Construction and Support
KR101159097B1 (en) Precast abutment for longitudinal continuous conne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1349299B1 (en) Temporary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0971199B1 (en) Precast box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anchor and nut
JP5770155B2 (en) Wall structure
JP6329824B2 (en) Yamato member and road surface lining method
KR100716504B1 (en) Breast Wall having Bent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