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1171A - 핸드폰의 충전아답터 - Google Patents

핸드폰의 충전아답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1171A
KR20120071171A KR1020100132798A KR20100132798A KR20120071171A KR 20120071171 A KR20120071171 A KR 20120071171A KR 1020100132798 A KR1020100132798 A KR 1020100132798A KR 20100132798 A KR20100132798 A KR 20100132798A KR 20120071171 A KR20120071171 A KR 20120071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cover
pad
mobile phone
charging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2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희덕
Original Assignee
윤희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희덕 filed Critical 윤희덕
Priority to KR1020100132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1171A/ko
Publication of KR20120071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11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폰의 충전아답터에 살균기능을 갖도록 하여 특히 유아들이 최근의 유행하는 갤럭시폰이나 아이폰에 의한 동영상 등에 의한 다양한 시각적인 부분을 보게될 경우에 발생되는 세균감염을 방지토록 한 것으로, 충전 아답터의 핸드폰 연결을 위한 플러그나 충전 아답터의 전기연결을 위한 콘센트에 덮개를 구비토록 한 후 상기 덮개에 살균제가 함침되어진 패드를 구현토록 함으로서 간단하게 휴대하면서 핸드폰 표면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핸드폰의 충전아답터{A charging adapter for handphone}
본 발명은 핸드폰의 충전아답터에 살균기능을 갖도록 하여 특히 유아들이 최근의 유행하는 갤럭시폰이나 아이폰에 의한 동영상 등에 의한 다양한 시각적인 부분을 보게될 경우에 발생되는 세균감염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현재 핸드폰의 발달로 인터넷은 물론 다양한 어플에 의한 오락이나 동영상은 물론 음악이나 어린이 또는 유아들에게 취미감을 환기토록 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젊은 부모들은 유아들에게 이러한 동영상을 시청토록 함으로서 유아들에게 교육적인 환경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럴 경우에 어린이 동시에 사용하게 되고 유아들이 동영상을 시청하게 되면서 터치하게 되는 경우에 표시창의 표면에 서식하게 되는 세균들에 의한 감염의 우려가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는 특히 겨울철에 신종 인플루의 발병에 의한 부모들의 걱정과 나아가 부주의에 의하여 유아들의 에게는 치명적인 위험을 유발토록 할 수 있다라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핸드폰에 달고다니게 되는 충전용의 아답터에 신종인플루의 살균이 가능한 살균패드를 형성토록 함으로서 사용후 닦아냄으로서 간단하게 세균의 감염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충전 아답터의 핸드폰 연결을 위하여 전방에 형성되는 플러그나 또는 충전 아답터의 전기연결을 위하여 후방에 형성되는 콘센트에 덮개를 구비토록 한 후 상기 덮개에 살균제가 함침되어진 패드를 구현토록 함으로서 간단하게 휴대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핸드폰을 휴대하거나 사용 후에 간편하게 핸드폰의 액정과 표면을 닦아서 살균할 수 있으므로 각종 미생물이나 세균의 오염 없이 위생적이고도 청결하게 핸드폰을 사용할 수 있고, 특히 핸드폰에 관심이 많은 영유아가 입으로 빨거나 할 경우에도 세균에 의한 감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를 나타낸 조립상태 평면 개략도
도 1a는 도 1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평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는 도 2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는 도 3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는 도 4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b는 도 4의 덮개의 하부구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4c는 도 4의 마개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는 도 5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핸드폰의 충전을 위하여 충전기에 연결하기 위한 충전 아답터로, 충전 아답터의 전방에는 핸드폰과의 연결을 위한 플러그(11)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충전기와의 연결을 위한 콘센트(12)가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11)를 감싸는 덮개(20)에는 살균제가 함침되어진 패드(30)가 장착되어 핸드폰을 사용 후에 패드(30)를 이용하여 문질러서 핸드폰의 표면을 살균할 수 있게 되는 구성이다.
이를 도 1 내지 도 2a에 도시된 제1실시 예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덮개(20)는 아답터(10)가 결합되어지는 타측으로 내입부(21)를 형성하여 그 내입부(21)에 패드(30)가 장착되어진 보조캡(31)을 삽탈시킬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아답터(10)를 덮개(20)로부터 빼서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핸드폰의 표면을 살균하고자 할 경우에는 덮개(20)에서 보조캡(31)을 빼내어 패드(30)를 이용하여 문질러서 살균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보조캡(31)에는 핸드폰의 고리에 연결을 위하여 연결줄(40)을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그 연결줄(40)을 신축성 있는 줄로 형성함으로써 패드(30)의 사용범위를 확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패드(30)는 덮개(20)와 별도로 형성되어진 보조캡(31)에 장착되어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반대로 패드(30)를 덮개(20)에 일체로 형성하면서 보조캡(31)을 이용하여 패드(30)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제작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 경우 패드(30)를 핸드폰에 연결되어 있는 보조캡(31)으로부터 완전히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범위의 제한이 없이 핸드폰 표면의 넓은 면적을 자유롭게 문질러서 살균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아답터(10)와 덮개(20), 그리고 보조캡(31)이 탈착되는 구조는 아답터(10)와 덮개(20)에 각각 락수단(10a,20a)을 형성하고, 또한 내입부(21)와 보조캡(31)에 각각 락수단(21a,31a)을 형성함으로써 원터치로 간단하게 탈착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락수단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에 의하여 걸림 상태를 해제하는 구조로 제작하거나, 또는 삽탈되는 부분의 끼움 형태가 구조적인 변경을 함으로써 강제 끼움 되는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락수단을 형성하는 방법은 아답터(10)의 탈착을 위하여 이미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캡(31)은 패드(30)가 결합되어진 내면측으로 내공간(32)을 형성하면 액상으로 이루어진 살균제를 충진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내공간(32)에 충진되어진 살균제가 계속적으로 패드(30)에 함침되어지면서 장기간 사용시에도 액상의 살균제가 마르지 않고 패드(30)의 살균기능을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3 및 도 3a에 도시된 제2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덮개(20)는 아답터(10)가 결합되어지는 방향으로 내입부(21)를 형성하고, 그 내입부(21)에 패드(30)가 장착되어진 보조캡(31)을 삽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아답터(10)와 패드(30)가 병렬로 삽입되어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덮개(20)에 아답터(10)와 패드(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를 양분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이때에도 상기 내입부(21)와 보조캡(31)에 각각 락수단(21a,31a)을 형성하면 원터치로 탈착함으로써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서는 아답터(10)의 플러그(11)에 덮개(20)가 결합되어지도록 형성하고 그 덮개(20)에 패드(30)가 탈착되는 구조로 형성하였으나, 이러한 구성은 아답터(10)에 형성된 콘센트(12)에 동일하게 적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4 및 도 4a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덮개(20)를 고무체로 제작하면서 삽입공간(20b)을 갖도록 형성하여 덮개(20)가 아답터(10)의 표면을 감싸도록 강제 삽입되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아답터(10)는 덮개(20)를 구성하는 고무체의 신축성에 의하여 덮개(20)와 분리되거나 끼움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덮개(20)를 강제로 벌려서 아답터(10)를 빼내거나 끼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덮개(20)는 테두리벽(22)에 의하여 연장공간(23)을 형성하고, 그 연장공간(23)에 액상의 살균제를 충진하면서 패드(30)를 장착하게 되면 연장공간(23)에 충진되어진 살균제가 계속적으로 패드(30)에 함침되는 것이다.
또한, 연장공간(23)의 단부, 즉 패드(30)가 장착된 부분에 마개(24)를 형성하면 패드(3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필요시마다 마개(24)를 개방하여 패드(30)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상기 마개(24) 또한 고무체로 형성하고 마개(24)를 덮개(20)의 측벽에 절첩띠로 연결하면서 측벽을 감싸도록 형성하면 연장공간(23)의 단부에 마개(24)를 덮어 닫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장공간(23)의 단부와 마개(24)가 맞물리는 부분에 서로 대응되게 걸림수단(25)을 형성하면 마개(24)를 강제끼움으로 끼워서 개폐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아답터(10)와 덮개(20)는 도 5 및 도 5a에 도시된 제4 실시 예와 같이 덮개(20)를 'ㄷ'자 형상으로 형성하면서 아답터(10)와 덮개(20)가 힌지수단(10c,20c)으로 결합고정되어 아답터(10)를 회전작동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상기 덮개(20)는 힌지수단(10c,20c)이 형성되어 아답터(10)가 결합되는 타측으로 살균제의 충진을 위한 충진공간(26)을 형성하고, 그 충진공간(26)의 단부에 패드(30)를 장착함으로써 충진공간(26)에 담겨진 살균제가 함침되는 구조를 갖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패드(30)는 뚜껑(27)에 의하여 패드(30)가 개폐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면서 상기 덮개(20)와 뚜껑(27)에 서로 대응되게 각각 락수단(27a)을 형성하여 원터치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뚜껑(27)에는 연결줄(40)을 형성하여 핸드폰의 고리에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이때 상기 패드(30)는 덮개(2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반대로 패드(30)와 충진공간(26)을 뚜껑(27)에 일체로 형성하도록 제작할 수도 있는 것이다.
10: 아답터 10a: 락수단
10c: 힌지수단 11: 플러그
12: 콘센트
20: 덮개 20a: 락수단
20b: 삽입공간 20c: 힌지수단
21: 내입부 21a: 락수단
22: 테두리벽 23: 연장공간
24: 마개 25: 걸림수단
26: 충진공간 27: 뚜껑
27a: 락수단
30: 패드 31: 보조캡
31a: 락수단 32: 내공간
40: 연결줄

Claims (10)

  1. 충전 아답터(10)의 핸드폰 연결을 위한 플러그(11) 또는 전기연결을 위한 콘센트(12)에 덮개(20)가 구비되고, 상기 덮개(20)에 살균제가 함침되어진 패드(30)가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핸드폰의 충전아답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답터(10)와 덮개(20)에 각각 락수단(10a,20a)이 형성되어 아답터(10)와 덮개(20)가 착탈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의 충전아답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0)는 아답터(10)가 결합되어지는 타측으로 내입부(21)가 형성되어 그 내입부(21)에 패드(30)가 장착되어진 보조캡(31)이 삽탈되고, 상기 내입부(21)와 보조캡(31)은 각각 락수단(21a,31a)이 형성되어 원터치로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의 충전아답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0)는 아답터(10)가 결합되어지는 방향으로 내입부(21)가 형성되어 그 내입부(21)에 패드(30)가 장착되어진 보조캡(31)이 삽탈되고, 상기 내입부(21)와 보조캡(31)은 각각 락수단(21a,31a)이 형성되어 원터치로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의 충전아답터.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보조캡(31)은 액상으로 이루어진 살균제가 패드(30)에 함침될 수 있도록 패드(30)가 장착된 내면측으로 내공간(32)이 형성되어 그 내공간에 살균제가 충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의 충전아답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0)는 고무체로 이루어지면서 삽입공간(20b)이 형성되어 아답터(10)가 강제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의 충전아답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0)는 테두리벽(22)에 의하여 연장공간(23)이 형성되고, 그 연장공간(23)에 액상의 살균제가 충진되면서 연장공간(23)의 단부에 패드(3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의 충전아답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0)는 연장공간(23)의 패드(30)가 장착된 부분에 마개(24)가 형성되고, 상기 마개(24)는 덮개(20)의 측벽에 연결고정되면서 개폐가능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의 충전아답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답터(10)와 덮개(20)는 힌지수단(10c,20c)으로 결합고정되어 아답터(10)가 회전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의 충전아답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0)는 힌지수단이 형성된 타측으로 살균제의 충진을 위한 충진공간(26)이 형성되고, 그 충진공간(26)의 단부에 패드(30)가 장착되어 충진공간(26)에 담겨진 살균제가 함침되는 구조를 갖도록 되면서 뚜껑(27)에 의하여 패드(30)가 개폐되는 구조를 갖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의 충전아답터.
KR1020100132798A 2010-12-22 2010-12-22 핸드폰의 충전아답터 KR201200711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798A KR20120071171A (ko) 2010-12-22 2010-12-22 핸드폰의 충전아답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798A KR20120071171A (ko) 2010-12-22 2010-12-22 핸드폰의 충전아답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1171A true KR20120071171A (ko) 2012-07-02

Family

ID=46706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2798A KR20120071171A (ko) 2010-12-22 2010-12-22 핸드폰의 충전아답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11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711B1 (ko) * 2012-11-22 2013-04-15 김성철 디스플레이 클리너
CN108494927A (zh) * 2018-04-13 2018-09-04 安徽合众智信科技咨询有限公司 一种内置插头的充电式手机壳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711B1 (ko) * 2012-11-22 2013-04-15 김성철 디스플레이 클리너
CN108494927A (zh) * 2018-04-13 2018-09-04 安徽合众智信科技咨询有限公司 一种内置插头的充电式手机壳
CN108494927B (zh) * 2018-04-13 2019-07-16 嵊州市万智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内置插头的充电式手机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15278B (zh) 硅胶奶瓶
KR20130030192A (ko) 교체가능한 실리콘 내피를 구비하는 다중구조 음료병
KR20120071171A (ko) 핸드폰의 충전아답터
CN204606433U (zh) 八字内藏式烟支斜拉式烟盒
KR20100106817A (ko) 프리컵용 빨대 뚜껑
KR20200000328U (ko) 커버층이 있는 입 모양 컵 뚜껑
CN205126028U (zh) 一种全营养破壁料理机杯盖装置
JP2002321755A (ja) 幼児用飲料容器
KR101408244B1 (ko) 사용의 편의성 및 청결성을 증진시킨 유아용 음료병
AU777099B2 (en) A surgical scrub appliance
CN206063478U (zh) 一种多功能可调节式桶盖
JP2012192057A (ja) コンタクトレンズケース
CN209048297U (zh) 耳科诊疗用器械包
EP3059180B1 (en) Weaning clip
KR200475821Y1 (ko) 스트로 삽입이 가능한 텀블러
KR101341897B1 (ko) 플라스틱 앰플
JP2014028650A (ja) 乳幼児用飲料容器
JP2000326985A (ja) へら保持機能付き容器
CN216494673U (zh) 餐碗和餐碗套装
JP2004041543A (ja) 乳首付きキャップ
JP5960653B2 (ja) 射精促進器
JP5953520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保持具
CN215650385U (zh) 一种便于使用的水杯
CN203199305U (zh) 小型罐体构造
JP2004121541A (ja) コンタクトレンズ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