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1897B1 - 플라스틱 앰플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앰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1897B1
KR101341897B1 KR1020120074834A KR20120074834A KR101341897B1 KR 101341897 B1 KR101341897 B1 KR 101341897B1 KR 1020120074834 A KR1020120074834 A KR 1020120074834A KR 20120074834 A KR20120074834 A KR 20120074834A KR 101341897 B1 KR101341897 B1 KR 101341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ampoule
stopper
ampul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4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신
김종대
Original Assignee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김종대
김동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김종대, 김동신 filed Critical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4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8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06Ampoules or carp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61J1/1425Snap-fit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래 등의 제거에 이용되어 오염된 카테터를 플라스틱 앰플 속의 액체에 담가 세척할 때, 손으로 플라스틱 앰플을 붙잡지 않아도 앰플이 넘어지는 일이 없으며, 카테터의 세척 후에는 플라스틱 앰플의 개봉된 입구를 폐쇄하여 오염된 액체가 유출되지 않게 한 플라스틱 앰플 및 앰플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플라스틱 앰플은, 액체(9)가 저장되는 내부공간과,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떨어져서 둘레면에 형성되는 고정홈(3)과, 앰플 개봉시에 상단 개구(11)가 나타나는 용기(1); 및 용기(1)와 일체를 이루는 마개(6)로서, 용기(1)의 상단 개구(11)와 연통하는 하단 개구(12)가 앰플 개봉시에 나타나고, 용기(1)의 상단 개구(11)의 둘레를 따라 하단 개구(12)의 둘레가 접합되어 절취선(4)이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손잡이(2)가 둘레면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고, 상하방향에서 보아 손잡이(2)의 상단(上端)보다 위쪽에 위치되도록 둘레면에 형성된 걸림턱(10)으로 이루어진 마개(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플라스틱 앰플{Plastic ampul}
본 발명은, 주사액, 물약, 수액 등과 같은 액체를 담는 플라스틱 앰플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가래 등의 제거에 이용되어 오염된 카테터를 플라스틱 앰플 속의 액체에 담가 세척할 때, 손으로 플라스틱 앰플을 붙잡지 않아도 앰플이 넘어지는 일이 없으며, 카테터의 세척 후에는 플라스틱 앰플의 개봉된 입구를 폐쇄하여 오염된 액체가 유출되지 않게 한 플라스틱 앰플 및 앰플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종래기술로서, 예를 들면, 등록실용신안 제20-0213551호(플라스틱 앰플 및 그것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와 등록특허 제10-0744160호(앰플 및 그 제조방법)가 공지되어 있다.
이들 선행기술에 따른 플라스틱 앰플은, 병목 형상으로 된 주입구 근처의 절단라인을 따라, 앰플의 상부 캡 부분을 분리시켜, 앰플의 하부 몸체 부분을 개봉함으로써, 앰플 속의 액체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대개는 이 액체를 주사기로 뽑아 환자에게 투여하지만, 가래 제거 등에 이용되는 실리콘 재질의 호스, 즉, 카테터를 세척하는 데에도 이용된다.
그러나 이들 종래 구성의 플라스틱 앰플은, 바닥 면적에 비해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상부 캡 부분을 분리시켜 개봉한 앰플의 하부 몸체 부분을 테이블 위에 세워놓은 채, 이 하부 몸체 부분 안으로 세척하려고 하는 카테터의 오염된 끝 부분을 집어넣고 이리저리 흔들어대면, 테이블 위에 세워 둔 하부 몸체 부분이 넘어져 액체가 엎질러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카테터를 세척하는 경우, 사용자는 앰플의 하부 몸체 부분을 손으로 쥐고 있어야 했다.
또한, 카테터의 세척 완료 후, 오염된 액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부 몸체 부분의 개봉된 상부를 잘 틀어막아야 하지만, 종래에는 이러한 용도에 적합한 밀봉수단이 갖추어져 있지 않았다. 따라서 위생 관리에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앰플 개봉시에 형성되는 용기의 상단 개구가 비교적 크게 되어 있어 카테터를 쉽게 삽입할 수 있고, 용기의 바닥보다 면적이 넓은 받침대로 용기의 하부를 지지함으로써 카테터의 세척시 용기가 넘어지는 일이 없으며, 앰플 개봉시에 용기로부터 떼어낸 마개를 이용하여 용기의 상단 개구를 틀어막을 수 있는, 플라스틱 앰플 및 앰플 받침대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법으로서, 본 발명의 각 청구항이 채택하고 있는 발명특정사항은 다음과 같다.
[1]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9)가 저장되는 내부공간과,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떨어져서 둘레면에 형성되는 고정홈(3)과, 앰플 개봉시에 상단 개구(11)가 나타나는 용기(1); 및
용기(1)와 일체를 이루는 마개(6)로서, 용기(1)의 상단 개구(11)와 연통하는 하단 개구(12)가 앰플 개봉시에 나타나고, 용기(1)의 상단 개구(11)의 둘레를 따라 하단 개구(12)의 둘레가 접합되어 절취선(4)이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손잡이(2)가 둘레면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고, 상하방향에서 보아 손잡이(2)의 상단(上端)보다 위쪽에 위치되도록 둘레면에 형성된 걸림턱(10)으로 이루어진 마개(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플라스틱 앰플.
[2] 상기 [1]에서, 용기(1)의 형상은, 원기둥 형상, 다각기둥 형상, 타원 기둥 형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
[3]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 또는 [2]에서, 용기(1)로부터 분리된 마개(6)의 상하방향을 거꾸로 뒤집어서 이 마개(6)로 용기(1)의 상단 개구(11)를 밀봉할 때, 용기(1)의 상단 개구(11)의 내주면(內周面)이 마개(6)의 둘레면에 형성된 걸림턱(10)을 타고 넘어감으로써, 마개(6)가 용기(1)의 상단 개구(11)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
[4] 도 2∼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3]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앰플 받침대(5)(5')로서,
용기(1)의 하부가 끼워져 지지되는 중앙 공동(13)(13')의 내측 둘레벽에, 용기(1)의 고정홈(3)에 결합되는 고정돌기(7)(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플 받침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플라스틱 앰플과 앰플 받침대에 의하면, 카테터의 세척시 앰플 용기가 넘어져 그 속의 액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앰플 개봉시에 떼어낸 마개로 용기의 상단 개구를 밀봉할 수 있으므로 병원폐기물의 수거 및 위생관리가 용이하면서도 철저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플라스틱 앰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앰플 받침대의 예시도로, (a)는 단면도이고, (b)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플라스틱 앰플과 앰플 받침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로, (a)는 플라스틱 앰플의 마개가 용기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b)는 오염된 카테터가 세척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오염된 카테터의 세척 후, 용기 속의 오염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로, (a)는 플라스틱 앰플의 마개를 뒤집어 용기의 상단 개구에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b)는 용기의 상단 개구가 마개로 틀어막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앰플 받침대의 예시도로, (a)는 단면도이고, (b)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플라스틱 앰플 및 앰플 받침대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플라스틱 앰플의 구성 개요》
도 1,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플라스틱 앰플은, 용기(1)와 마개(6)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절취선(4)을 따라 일체로 접합되어 있다. 전형적으로, 이 플라스틱 앰플은,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작된다.
용기(1)는, 수액 등의 액체(9)가 일정량 저장되는 내부공간과, 용기(1)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떨어져서 용기(1)의 둘레면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홈(3)과, 앰플을 개봉하기 위해 마개(6)를 제거했을 때 나타나는 상단 개구(11)를 구비한다.
이 상단 개구(11)는 넓이가 다소 좁아도 되지만, 카테터(8)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절취선(4)을 따라 용기(1)의 상단 개구(11)에 일체로 접합되어 있는 마개(6)는, 용기(1)의 상단 개구(11)와 연통하는 하단 개구(12)가 앰플의 개봉시에 나타나며, 마개(6)의 좌우측에는 일정 높이의 손잡이(2)가 서로 마주하는 형태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마개(6)의 상하방향에서 보아, 손잡이(2)의 상단(上端)보다 위쪽에 위치되도록, 마개(6)의 둘레면에는 걸림턱(1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3 및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앰플 개봉시 용기(1)로부터 분리시킨 마개(6)의 상하방향을 거꾸로 뒤집어 이 마개(6)로 용기(1)의 상단 개구(11)를 밀봉할 때, 용기(1)의 상단 개구(11)의 내주면이 마개(6)의 걸림턱(10)을 타고 넘어가, 마개(6)가 용기(1)의 상단 개구(11)에 탄력적으로 결합된다.
《앰플 받침대의 구성 개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앰플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앰플 받침대(5)(5')는 용기(1)의 하부가 끼워져 지지되는 중앙 공동(13)(13')의 내측 둘레벽에 고정돌기(7)(7')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돌기(7)(7')는 용기(1)의 고정홈(3)에 결합된다.
중앙 공동(13)(13')의 평면 형상은, 용기(1) 형상에 따라, 즉, 용기(1)가 원기둥 형상일 때에는 원형을 이루고, 용기(1)가 다각기둥일 때에는 다각형, 용기(1)가 타원기둥일 때에는 타원형을 이룬다.
1...용기(container) 2...손잡이(handle)
3...고정홈(fixing groove) 4...절취선(tear line)
5, 5'...앰플 받침대(ampul support) 6...마개(plug)
7, 7'...고정돌기(fixing protrusion) 8...카테터(catheter)
9...액체(liquid) 10...걸림턱(engaging protrusion)
11...상단 개구(upper opening) 12...하단 개구(lower opening)
13, 13'...중앙 공동(central void)

Claims (4)

  1. 액체(9)가 저장되는 내부공간과,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떨어져서 둘레면에 형성되는 고정홈(3)과, 앰플 개봉시에 상단 개구(11)가 나타나는 용기(1); 및
    용기(1)와 일체를 이루는 마개(6)로서, 용기(1)의 상단 개구(11)와 연통하는 하단 개구(12)가 앰플 개봉시에 나타나고, 용기(1)의 상단 개구(11)의 둘레를 따라 하단 개구(12)의 둘레가 접합되어 절취선(4)이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손잡이(2)가 둘레면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고, 상하방향에서 보아 손잡이(2)의 상단(上端)보다 위쪽에 위치되도록 둘레면에 형성된 걸림턱(10)으로 이루어진 마개(6);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용기(1)로부터 분리된 마개(6)의 상하방향을 거꾸로 뒤집어 이 마개(6)로 용기(1)의 상단 개구(11)를 밀봉할 때, 용기(1)의 상단 개구(11)의 내주면(內周面)이 마개(6)의 둘레면에 형성된 걸림턱(10)을 타고 넘어감으로써, 마개(6)가 용기(1)의 상단 개구(11)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
  2. 제1항에 있어서,
    용기(1)의 형상은, 원기둥 형상, 다각기둥 형상, 타원 기둥 형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
  3. 삭제
  4. 삭제
KR1020120074834A 2012-07-10 2012-07-10 플라스틱 앰플 KR101341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834A KR101341897B1 (ko) 2012-07-10 2012-07-10 플라스틱 앰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834A KR101341897B1 (ko) 2012-07-10 2012-07-10 플라스틱 앰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1897B1 true KR101341897B1 (ko) 2013-12-16

Family

ID=49988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834A KR101341897B1 (ko) 2012-07-10 2012-07-10 플라스틱 앰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8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978B1 (ko) * 2019-05-16 2019-11-11 이기수 사출식 비융착 결합구조의 안전 앰플 용기
KR20200121418A (ko) * 2019-04-15 2020-10-26 주식회사 삼화 앰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15096A1 (en) 1997-09-22 1999-04-01 Teva Pharmaceutical Industries Ltd. Ampoules holding an injectable liquid
KR200312496Y1 (ko) 2003-02-20 2003-05-12 이재준 재떨이 기능이 겸비된 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15096A1 (en) 1997-09-22 1999-04-01 Teva Pharmaceutical Industries Ltd. Ampoules holding an injectable liquid
KR200312496Y1 (ko) 2003-02-20 2003-05-12 이재준 재떨이 기능이 겸비된 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1418A (ko) * 2019-04-15 2020-10-26 주식회사 삼화 앰플
KR102170997B1 (ko) * 2019-04-15 2020-10-30 주식회사 삼화 앰플
KR102042978B1 (ko) * 2019-05-16 2019-11-11 이기수 사출식 비융착 결합구조의 안전 앰플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89697B (fi) Foerslutning foer en laekemedelsflaska samt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foerslutningen
US10029087B2 (en) Disinfection device for connectors
US2685319A (en) Bottle protector
KR100639171B1 (ko) 아기용 공급 병
JP7155434B2 (ja) 月経カップを洗浄及び滅菌するための容器
GB2561542A (en) Ampoule closure
JP3226672U (ja) 吸収部材保管装置
KR101341897B1 (ko) 플라스틱 앰플
US10098818B2 (en) Cuspidor funnels attachable to empty drink containers
KR102544850B1 (ko) 액체를 담는 의료 패키지용 커넥터
KR100803765B1 (ko) 수액백 포트 및 수액백 포트 제조방법
ES2950344T3 (es) Colador flexible
TWI605429B (zh) 注射模擬件
KR20180003252U (ko) 화장료 보관용기
CN209984521U (zh) 医用输液瓶余液处理装置
CN205707805U (zh) 一种防挂壁的包装瓶口
JP4474057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ケース
CN209996764U (zh) 一种便携式药盒
CN204352239U (zh) 体温计消毒装置
JP4406209B2 (ja) 消毒用容器
RU153619U1 (ru) Флакон для раздельного хранения компонентов и нанесения жидкого средства
CN204260419U (zh) 一种沙拉碗
CN211271887U (zh) 一种临床医用托盘
JP3219672U (ja) ドリンクホルダー付きベッドサイドテーブル
CN219645938U (zh) 一种牙科钻针清洗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