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0888A - 제보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제보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0888A
KR20120070888A KR1020100132406A KR20100132406A KR20120070888A KR 20120070888 A KR20120070888 A KR 20120070888A KR 1020100132406 A KR1020100132406 A KR 1020100132406A KR 20100132406 A KR20100132406 A KR 20100132406A KR 20120070888 A KR20120070888 A KR 20120070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mage
report
identification information
wa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2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승완
이해일
조창빈
김진영
Original Assignee
팅크웨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팅크웨어(주) filed Critical 팅크웨어(주)
Priority to KR1020100132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0888A/ko
Priority to PCT/KR2011/009729 priority patent/WO2012086965A2/ko
Publication of KR20120070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08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94Hardware or software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image or video understanding
    • G06V10/95Hardware or software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image or video understanding structured as a network, e.g. client-server archite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5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5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 H04H60/59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of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1Arrangements for services using the result of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1Arrangements for services using the result of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 H04H60/64Arrangements for services using the result of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for providing detai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1Arrangements for services using the result of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 H04H60/65Arrangements for services using the result of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for using the result on users'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0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e.g. maps, charts or atla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90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을 촬상하여 그 영상에 포함된 객체의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수배대상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촬상한 영상에 포함된 객체의 식별정보 및 수배대상의 식별정보를 토대로 제보를 수행하는 제보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보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기록매체{METHOD, ELECTRONIC DEVICE AND RECORD MEDIUM FOR PROVODING INFORMATION ON WANTED TARGET}
본 발명은 영상을 촬상하여 그 영상에 포함된 객체의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수배대상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그 객체의 식별정보 및 수배대상의 식별정보를 토대로 제보를 수행하는 제보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가 일반에 널리 보급됨에 따라 이러한 차량의 이용을 보조하기 위한 장비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차량의 운행을 돕기 위한 내비게이션과 차량의 사건사고를 대비하기 위한 블랙박스를 들 수 있다.
내비게이션은 최근 활성화되고 있는 위치기반서비스(LSB: location based service)를 이용하여 차량의 현재위치를 측위하거나 목적지까지의 이동경로를 안내해주는 경로안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블랙박스는 주행영상을 비롯하여 차량에 관련하여 발생한 사고의 책임소재를 판단하기 위한 다양한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블랙박스를 이용하여 획득한 주행영상을 이용하여 수배차량이나 범죄자, 미아 등의 수배대상을 발견하고, 더 나아가 이와 관련된 정보를 경찰 등의 유관기관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촬상한 영상을 이용하여 수배대상을 찾아 이를 제보하는 제보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통신망을 통해 수배대상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촬상한 영상에 포함된 객체가 수배대상의 식별정보에 따른 수배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스스로 판단하는 제보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수배대상에 관하여 제보하는 때 수배대상이 발견된 시각이나 위치와 같이 수배대상의 수색을 위한 다양한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제보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수배대상의 발견을 위해 수배대상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에 따라 그 지역에 대응되는 수배대상의 식별정보를 이용하는 제보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제보자에게 다양한 보상을 하여 제보를 유도하는 제보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전자기기는, 통신부, 카메라 및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객체의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통신부를 통해 수배대상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객체의 식별정보 및 수배대상의 식별정보를 토대로 통신부를 통해 제보정보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전자기기는, 수배대상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통신부 및 통신부를 통해 외부기기로부터 제보대상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보정보를 수신하고, 제보대상의 식별정보 및 수배대상의 식별정보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경우, 통신부를 통해 제보정보를 유관기관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제보방법은, 수배대상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영상에 포함된 객체의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객체의 식별정보 및 수배대상의 식별정보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경우, 제보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제보방법은, 외부기기로 수배대상의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외부기기로부터 제보대상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보대상의 식별정보 및 수배대상의 식별정보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경우, 제보정보를 유관기관에 제공하거나 제보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는, 수배대상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영상에 포함된 객체의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객체의 식별정보 및 수배대상의 식별정보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경우, 제보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는, 외부기기로 수배대상의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외부기기로부터 제보대상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보대상의 식별정보 및 수배대상의 식별정보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경우, 제보정보를 유관기관에 제공하거나 제보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촬상된 영상을 이용하여 수배대상을 찾아 이를 제보함으로써 수배대상을 찾는데 드는 시간과 노력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배대상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전자기기가 자체적으로 수배대상을 판단함으로써 서버 등에 걸리는 부하를 줄이고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제보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배대상을 수색하기 위한 필요한 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수배대상을 찾기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배지역에 따라 효과적인 수배정보를 활용하여 수배대상을 찾음으로써, 수배대상을 보다 정확히 수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보자에게 적절한 보상을 줌으로써, 제보가 활발히 유도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보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 및 내비게이션의 일 실시예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의 일 실시예에 관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의 일 실시예에 관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이 작동하는 내비게이션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보방법의 제1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보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를 통해 촬상된 차량을 포함하는 영상에 관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보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번호판이미지에 관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보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를 통해 촬상된 사람을 포함하는 영상에 관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보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안면이미지에 관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보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번호판이미지의 분석에 관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보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안면이미지의 분석에 관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보방법의 제2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보방법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수배지역에 따른 수배정보의 송신에 관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고 수정 또는 변형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 또는 변형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후술할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상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보시스템에 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보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관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100) 및 내비게이션(200)의 일 실시예에 관한 사시도이다.
제보시스템은 수배대상을 찾아 수배대상에 관련된 제보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유관기관 등이 제공하는 수배정보를 관리하고, 수배정보에 따른 수배대상을 찾고, 발견된 수배대상에 관련된 각종 제보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유관기관 등으로 제공하여 수배대상을 찾는 것을 돕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제보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랙박스(100), 내비게이션(200) 및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블랙박스(100)와 내비게이션(200)은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용 블랙박스(100) 및 차량용 내비게이션(200)일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랙박스(100)와 내비게이션(200)은 각각 별개의 장치로 구현되는 것은 물론 물리적으로 하나의 장치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서버(300)는 수배정보를 관리하고, 제보정보를 접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유관기관 등이 제공하는 수배정보를 수집하고, 수배정보를 블랙박스(100) 및 내비게이션(200)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하고, 블랙박스(100) 및 내비게이션(2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보정보를 수신하여 접수하고, 접수된 제보정보를 유관기관 등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수배정보는 수배대상의 식별정보, 수배시간, 수배지역 및 그 외의 수배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여기서 제보정보는 제보된 객체의 식별정보, 제보시간, 제보위치, 제보자 및 그 외의 제보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블랙박스(100)에 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100)의 일 실시예에 관한 구성도이다.
블랙박스(100)는 사고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고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랙박스(100)는 차량의 운행 중에 주행영상을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고가 발생한 때 블랙박스(100)로부터 주행영상 중 포함된 사고영상을 분석하여 사고의 경위 및 과실의 정도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블랙박스(100)는 내비게이션(200) 및 기타 외부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랙박스(100)는 내비게이션(200)으로부터 지리정보 또는 지도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획득한 영상에 대응시킬 수 있다. 이로써, 보다 효율적인 영상분석이 가능하므로 영상을 활용한 사고의 분석에 이점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블랙박스(100)는 주행 및 정차 중 차량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차량의 주행 중의 영상의 촬상하는 것은 물론, 차량이 정차하여 있는 때에도 영상을 촬상할 수 있다.
블랙박스(100)는 촬상한 영상을 일정한 화질로 저장하거나 또는 다양한 조건에 따라 적절한 화질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랙박스(100)는 일반적인 주행 중에는 영상을 낮은 화질로 저장하지만 사고가 발생한 시점 또는 그 전후의 시간 동안의 영상은 고화질로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이로써, 블랙박스(100)는 저장공간을 낭비하지 아니하고도 사고의 분석에 필요한 핵심적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블랙박스(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랙박스(100)가 차량에 설치되도록 하는 부착부(110), 영상을 촬상하는 카메라(120), 소리를 획득하는 마이크(130),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는 제1입력부(140),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제1출력부(150),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1통신부(160), 블랙박스(100)의 상태를 감지하는 제1감지부(170), 정보를 저장하는 제1저장부(180) 및 블랙박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19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100)에 있어서, 상술한 구성요소는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며, 따라서 블랙박스(100)는 상술한 구성요소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블랙박스(100)의 각 구성요소에 관하여 다시 도3을 참조하여 부착부(110), 카메라(120), 마이크(130), 제1입력부(140), 제1출력부(150), 제1통신부(160), 제1감지부(170), 제1저장부(180) 및 제1제어부(190)의 순서로 설명한다.
부착부(110)는 블랙박스(100)가 차량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부착부(110)는 블랙박스(100)가 차량의 전면유리에 부착되도록 하는 흡착판 또는 차량의 룸미러(room mirror)나 지붕 등에 결합할 수 있는 고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20)는 차량의 외부 또는 내부를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120)는 광학적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영상은 정지영상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0)가 단수인 때에는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카메라(120)가 복수인 때에는, 하나의 카메라(120)는 블랙박스(100) 본체에 일체로 결합되어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고, 나머지는 차량의 각 부분에 설치되어 다양한 각도에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차량의 각 부분에 설치된 카메라(120)는 촬영한 영상을 유무선으로 블랙박스(100) 본체로 송신할 수 있다.
마이크(130)는 차량의 외부 또는 내부의 소리를 획득할 수 있다. 마이크(130)는 음성과 음향을 포함하는 다양한 소리(sound)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130)는 주행 중 발생하는 소리를 수신하고 블랙박스(100)는 이러한 주행 중 차량 및 주변의 상황에 관한 소리를 저장할 수 있다.
블랙박스(100)는 이러한 소리를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블랙박스(100)는 통상적인 상황에서 카메라(120)를 통해 비교적 낮은 화질의 영상을 촬상하고, 일정한 크기 이상의 음량이 수신된 때 보다 높은 화질의 영상을 촬영하거나 정지영상을 촬상할 수 있다.
제1입력부(14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제1입력부(140)를 통해 블랙박스(100)의 동작을 직접 조작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입력부(140)는 자판, 터치스크린, 마이크(130) 및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다른 입력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출력부(150)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출력부(150)를 통해 블랙박스(100)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제1출력부(150)는 시각적 신호, 청각적 신호 및 촉각적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출력부(150)는 카메라(120)가 촬상한 영상을 표시하거나 마이크(130)가 획득한 소리를 재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진동기(vibrator) 및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다른 입력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블랙박스(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 적어도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제1통신부(160)는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1통신부(160)는 제1위치정보모듈(161), 제1무선인터넷모듈(162), 제1근거리통신모듈(163) 및 제1유선통신모듈(16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위치정보모듈(161)은 글로벌내비게이션새틀라이트시스템(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을 통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장치이다. GNSS는 기본적으로 수신기와 인공위성으로 구성되어 수신기가 인공위성으로부터 전파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에 따라 수신기의 위치를 산출하는 항법시스템을 의미한다. GNSS의 예로는, 그 운영 주체에 따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alileo, GLONASS(global orbiting navigational satellite system), COMPASS, IRNSS(Indian regional navigational satellite system), QZSS(Quasi-Zenith satellite system)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100)의 제1위치정보모듈(161)은 블랙박스(100)가 사용되는 지역에서 서비스하는 GNSS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무선인터넷모듈(162)은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이다. 제1무선인터넷모듈(162)은 WLAN(wireless LAN),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및 그 밖의 통신규격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근거리통신모듈(163)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근거리통신모듈(163)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및 직비(ZigBee) 및 그 밖의 근거리통신규격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유선통신모듈(164)은 블랙박스(100)를 외부기기와 유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장치이다. 제1유선통신모듈(164)은,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는 USB 모듈이나 RS-232 규격의 포트 등을 비롯한 다양한 유선통신규격에 따른 인터페이스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제1통신부(160)의 구성 및 제1통신부(160)가 통신하는 방법은 상술한 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통신부(160)는 상술한 통신모듈 및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다른 통신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그에 따른 다양한 통신규격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법으로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1통신부(160)는 반드시 하나의 통신모듈만으로 통신을 수행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동시에 복수의 통신모듈을 통해 복수의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감지부(170)는 블랙박스(100)의 현재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제1감지부(170)는 가속도센서, 지자기센서 및 자이로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속도센서, 지자기센서 및 자이로센서는 3축센서일 수 있다. 가속도센서는 기울기 및 가속도를 측정하고, 지자기센서는 방위를 측정하고, 자이로센서는 각속도를 이용하여 각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이다.
제1감지부(170)는 이러한 센서를 이용하여 블랙박스(100)의 운동상태에 관한 운동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나아가 블랙박스(100)는 이러한 운동정보를 제1통신부(160)를 통해 획득한 위치정보와 취합하여 차량의 움직임을 보다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제1저장부(180)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저장부(180)는 정보를 임시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저장부(180)는 카메라(120)가 촬영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저장부(180)는 카메라(120)가 촬상한 영상을 임시로 저장하고 사고 등의 이벤트가 발생한 때 이를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저장부(180)는 다양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저장부(180)는 플래쉬메모리(flash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에스램(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 only memory), 이이피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자기메모리, 자기디스크(magnetic disc), 씨디나 블루레이 등의 광디스크(optical disc), 에스디카드(SD card) 등의 카드타입메모리 및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다른 저장매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저장부(180)는 블랙박스(100)의 내부에 내장된 형태, 장탈착이 가능한 형태 및 외부에 별도로 위치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로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제1제어부(190)는 블랙박스(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블랙박스(100)의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제어부(190)는 각종 정보를 연계시키고, 그 정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제어부(190)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제어부(190)는, 하드웨어적으로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s) 및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제어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기적인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제어부(190)는, 소프트웨어적으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코드 또는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제1저장부(180)에 저장되고 제1제어부(190)의 하드웨어적인 구성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또 소프트웨어는 외부기기, 예를 들어 서버(300) 등으로부터 블랙박스(100)로 송신됨으로써 블랙박스(100)에 설치될 수 있다.
제1제어부(190)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본 발명에 따른 제보방법의 설명에서 후술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내비게이션(200)에 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200)의 일 실시예에 관한 구성도이다.
내비게이션(200)은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얘를 들어, 내비게이션(200)은 지리정보에 따라 지도를 표시하고, 위성으로부터 전파를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현재위치를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200)은 목적지를 입력받아 현재위치 또는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여 경로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내비게이션(20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는 제2입력부(210),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제2출력부(220),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통신부(230), 내비게이션(200)의 상태를 감지하는 제2감지부(240), 정보를 저장하는 제2저장부(250) 및 내비게이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26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200)에 있어서, 상술한 구성요소는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며, 따라서 내비게이션(200)은 상술한 구성요소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내비게이션(200)과 블랙박스(100)는 물리적으로 별개로 구현되거나 또는 일체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내비게이션(200)과 블랙박스(100)에 있어서 공통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는 어느 하나의 장치에만 구현되고, 다른 하나의 장치에는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200)이 제1통신부(160)를 통해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때에는 블랙박스(100)에는 위치정보를 통신하는 기능을 하는 제1통신부(160), 구체적으로 제1위치정보모듈(161)이 생략될 수 있다. 이때 블랙박스(100)는 위성으로부터 직접 전파를 받는 것이 아니라 내비게이션(200)으로부터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양 장치에 있어서 공통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가 양 장치에 각각 구현된 경우에는 그러한 구성요소 중 하나가 다른 하나에 종속되거나 비활성화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장치는 통신을 통해 다른 장치에 있는 구성요소를 이용함으로써 그 구성요소가 수행하는 기능을 간접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200) 및 블랙박스(100)에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260)와 제1제어부(190)가 존재할 수 있는데 이때 제2제어부(260)와 제1제어부(190)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200)에 제2입력부(210)가 마련되고, 블랙박스(100)는 내비게이션(200)과 통신을 통해 제2입력부(210)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200) 및 블랙박스(100) 중 하나만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때에는 다른 하나는 통신을 통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내비게이션(200)의 각 구성요소에 관하여 다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2입력부(210), 제2출력부(220), 제2통신부(230), 제2감지부(240), 제2저장부(250) 및 제2제어부(260)의 순서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200)이 작동하는 내비게이션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관한 도면이다.
제2입력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제2입력부(210)는 상술한 블랙박스(100)의 제1입력부(140)와 유사할 수 있다.
제2출력부(220)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출력부(220)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2출력부(220) 시각적 신호, 청각적 신호 및 촉각적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출력부(220)는 상술한 블랙박스(100)의 제1출력부(150)와 유사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제2출력부(220)가 터치스크린인 때에는 제2입력부(210)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제2통신부(230)는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통신부(2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통신망을 통해 다양한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통신부(230)는 제어국(ACR) 및 기지국(RAS) 등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무선으로 접속하여 그 네트워크에 연결된 외부기기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또는 제2통신부(230)는 통신기능을 가진 외부기기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200)은 근거리에 위치하고 무선인터넷통신 기능을 가진 외부기기에 접속하여 이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이러한 제2통신부(230)는 제2위치정보모듈(231), 제2무선인터넷모듈(232), 제2근거리통신모듈(233), 제2유선통신모듈(234) 및 방송송수신모듈(23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위치정보모듈(231), 제2무선인터넷모듈(232), 제2근거리통신모듈(233) 및 제2유선통신모듈(234)은 상술한 블랙박스(100)의 제1통신부(160)의 제1위치정보모듈(161), 제1무선인터넷모듈(162), 제1근거리통신모듈(163) 및 제1유선통신모듈(164)과 유사할 수 있다.
제2위치정보모듈(231)은 통신을 수행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2위치정보모듈(231)은 인공위성으로부터 전파신호를 수신하여 현재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각각의 인공위성은 주파수 대역이 상이한 L밴드 주파수를 송신할 수 있다. 제2위치정보모듈(231)은 인공위성으로부터 송신된 L밴드 주파수가 내비게이션(200)에 도달하는데 소요된 시간에 기초하여 현재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방송송수신모듈(235)은 각종 방송시스템을 통해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송수신모듈(235)을 통해 수신할 수 있는 방송시스템은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 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 terrestrial) 및 그 밖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방송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송수신모듈(235)은 이러한 방송시스템으로부터 방송정보, 교통정보, 생활정보 및 그 밖의 차량의 운행에 직간접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2감지부(240)는 내비게이션(200)의 현재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제2감지부(240)는 운동감지모듈(241) 및 광센싱모듈(24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운동감지모듈(241)은 상술한 블랙박스(100)의 제1감지부(170)와 유사할 수 있다.
광센싱모듈(242)은 내비게이션(200)의 주변의 조도(illuminance)를 측정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200)은 광센싱모듈(242)이 감지한 조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로 구현된 제1출력부(150)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2저장부(250)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저장부(250)는 상술한 블랙박스(100)의 제1저장부(180)와 유사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저장부(250)는 내비게이션(2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 및 내비게이션(200)의 동작에 의하여 생성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내비게이션(2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경로탐색어플리케이션, 지도, 지리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내비게이션(200)의 동작에 의하여 생성된 정보는 탐색된 경로정보, 수신한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내비게이션(200)은 블랙박스(100)로부터 주행영상 등의 정보를 전달받고, 제2저장부(250)는 이를 저장할 수 있다.
제2제어부(260)는 내비게이션(2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내비게이션(200)의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제어부(260)는 상술한 블랙박스(100)의 제1제어부(190)와 유사할 수 있다. 제2제어부(260)는 통신을 통해 블랙박스(100)를 제어하거나 반대로 통신을 통해 블랙박스(100)의 제1제어부(190)로부터 제어를 받을 수 있다.
제2제어부(260)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본 발명에 따른 제보방법의 설명에서 후술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보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보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100)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블랙박스(100)는 본 발명에 따른 제보방법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보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100)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보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1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보방법의 제1실시예에 관하여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보방법의 제1실시예의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보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120)를 통해 촬상된 차량을 포함하는 영상에 관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보방법의 제1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배대상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수배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10),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S120), 촬상한 영상으로부터 영상에 포함된 객체에 관한 식별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S130), 추출된 식별이미지를 분석하여 객체의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40), 객체의 식별정보 및 수배대상의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객체가 수배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50) 및 객체가 수배대상인 때 제보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16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보방법의 제1실시예의 각 단계에 관하여 설명한다.
블랙박스(100)는 수배대상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수배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10).
블랙박스(100)는 제1통신부(160)를 통해 수배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배정보는 수배대상에 관한 정보, 수배시간, 수배지역에 관한 정보 및 그 외의 수배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수배대상은 경찰 등의 정부기관 또는 그 밖의 민간단체나 개인이 수배하는 대상일 수 있다. 이러한 수배대상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배대상은 차량으로써, 경찰 등의 정부기관이 수배하는 법규위반차량, 사고차량, 수배자소유차량, 용의자소유차량, 범행에 사용된 차량이나 뺑소니차량과 같은 민간이나 개인이 수배하는 차량 또는 동행차량 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수배대상은 사람으로써, 미아, 노인, 가출청소년과 같이 가출한 자, 지명수배자, 용의자, 탈영병, 간첩, 범죄자, 실종자 등일 수 있다.
수배대상에 관한 정보는 수배대상을 식별하기 위한 수배대상의 식별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배대상이 차량인 때에는 수배대상의 식별정보는 수배차량의 차량번호, 수배차량의 종류, 크기, 색깔, 그 밖의 수배차량의 외관상 특징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수배대상이 사람인 때에는, 수배대상의 식별정보는 사람의 이름, 연령, 성별, 신장, 체중, 신체모양, 안면모양, 머리칼의 색깔, 머리모양, 입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옷, 말투, 눈의 색깔, 흉터 및 행동상의 특징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통신부(160)는 서버(300) 또는 서버(300)로부터 수배정보를 수신한 내비게이션(2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배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내비게이션(200)이 블랙박스(100) 대신 서버(300)로부터 수배정보를 수신하여 블랙박스(100)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대신 수행할 수도 있다.
블랙박스(100)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S120).
카메라(120)는 영상을 촬상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은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일 수 있다. 카메라(120)가 동영상을 촬상하는 때에는 마이크(130)가 음성을 녹음할 수 있을 것이다.
제1제어부(190)는 카메라(120)가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제어부(190)는 제1입력부(140)를 통해 받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카메라(120)가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제어부(190)는 제1감지부(170)를 통해 차량이 주행하는 동안 자동으로 카메라(120)가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1제어부(190)는 카메라(120)가 일정한 간격에 따라 주기적으로 정지영상을 촬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1제어부(190)는 통상적인 경우에 카메라(120)가 저화질의 영상을 촬영하다가, 제1감지부(170)나 마이크(130)에서 수신한 신호에 따라 사고가 발생하거나 위험상황이 발생한 때, 고화질의 영상을 촬영하거나 별도의 정지영상을 촬영하도록 카메라(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촬영된 영상은 제1저장부(180)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영상은 제1통신부(160)를 통해 외부기기로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랙박스(100)의 제1통신부(160)는 서버(300) 및 내비게이션(200) 중 적어도 하나로 촬상한 영상을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영상을 수신한 내비게이션(200)은 제2통신부(230)를 통해 영상을 다시 서버(300)로 전달하거나 제2저장부(250)에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또 제1제어부(190)는 카메라(120)가 촬상한 영상을 임시적으로 저장부(180)에 저장하고, 임시적으로 저장된 영상에 수배대상이 포함된 때에는 이를 반영구적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에 수배대상이 포함되지 아니한 때에는 이를 삭제할 수 있다.
블랙박스(100)는 촬상한 영상으로부터 영상에 포함된 객체에 관한 식별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S130).
제1제어부(190)는 촬상한 영상에 수배대상에 해당할 수 있는 객체가 포함된 때 그 영상으로부터 식별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즉, 수배대상이 차량인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20)가 촬상한 영상에 차량이 포함되면 그 영상으로부터 차량번호판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제1제어부(190)는 카메라(120)가 동영상을 촬영한 경우에는 동영상으로부터 소정의 프레임간격으로 정지영상을 추출하여 정지영상으로부터 식별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또 제1제어부(190)는 영상으로부터 소정의 방법에 따라 식별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는데, 그 전에 이러한 이미지의 추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영상을 전처리 할 수 있다. 이러한 전처리 과정은 반드시 이미지의 추출 전에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후술할 식별이미지를 분석하여 객체의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중에도 수행될 수 있다.
전처리 과정은 영상의 각도보정, 색조보정, 명암보정, 음영보정 및 노이즈제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처리 과정을 거친 영상은 선명도가 향상될 수 있으므로 제1제어부(190)는 전처리 된 영상을 이용하면 보다 용이하게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색조보정은 영상의 그레이화, 흑백의 이진화 및 특정 색상의 강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음영보정은 영상에 나타나는 경계선의 굵기를 조절하는 것일 수 있으며, 노이즈제거는 영상 내의 불필요한 잡티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원본영상 또는 전처리 된 영상으로부터 제1제어부(190)는 식별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는데, 이러한 식별이미지는 촬상한 객체의 적어도 일부로 그 객체를 식별할 수 있는 부위에 관한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이미지는 차량을 수배하는 경우에는 차량의 번호판이미지일 수 있고, 사람을 수배하는 경우에는 사람의 안면이미지와 같은 사람의 외관의 적어도 일부의 이미지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촬상한 영상으로부터 차량의 번호판이미지를 추출하는 방법에 관하여 다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보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번호판이미지에 관한 도면이다.
제1제어부(190)는 카메라(120)를 통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포함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차량을 포함하는 영상에는 차량을 식별하는 번호판의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제1제어부(190)는 이러한 영상으로부터 식별이미지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번호판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차량의 번호판은 각 국가마다 정해진 규격에 일정한 형태를 취하도록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많은 경우 이러한 번호판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우선, 번호판은 일정한 직사각형의 모양을 가지며 직사각형 내부에 일련의 숫자, 문자 및 기호가 기재되어 있다. 다음으로, 번호판에 있어서 바탕과 글씨는 서로 다른 특정한 색상으로 구성된다. 이때, 바탕색과 글자의 색은 보색관계처럼 서로 색상, 채도, 명도 차이가 극심한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바탕은 초록이고, 글자는 흰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제어부(190)는 이러한 번호판의 특징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번호판을 추출할 수 있다.
첫째, 번호판은 정해진 규격에 따른 직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제1제어부(190)는 영상에서 경계선추출(edge detection)을 수행하여 가로 및 세로 경계선이 정해진 규격으로 직사각형을 구성하는 영역을 번호판으로 추출할 수 있다.
둘째, 번호판은 비교적 좁은 영역에 많은 글자가 기재되어 타 영역에 비해 색상, 채도, 명도 등의 변화가 급격히 변하는 회수가 잦다. 따라서, 제1제어부(190)는 색상, 채도 및 명도 등이 연속적으로 급격하게 변화하는 영역을 번호판으로 추출할 수 있다.
셋째, 번호판 및 차량이 포함된 영상 내에는 번호판을 제외하면 수직방향의 경계선이 극히 적은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제1제어부(190)는 영상에서 경계선추출을 수행하여 수직방향의 경계선을 추출하고 그 사이의 영역을 번호판으로 추출할 수 있다.
넷째, 번호판은 규격에 따라 정해진 색상의 바탕색을 가지므로, 제1제어부(190)는 영상의 RGB(red-green-blue) 또는 HIS 색상정보를 이용하여 특정한 색상으로 구성된 영역을 번호판으로 추출할 수 있다.
제1제어부(190)는 상술한 방법과 그 밖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다른 번호판이미지 추출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촬상한 영상으로부터 번호판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촬상한 영상으로부터 사람의 안면이미지를 추출하는 방법에 관하여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보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120)를 통해 촬상된 사람을 포함하는 영상에 관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보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안면이미지에 관한 도면이다.
제1제어부(190)는 카메라(120)를 통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이 포함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사람을 포함하는 영상에는 사람의 외관의 적어도 일부의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제1제어부(190)는 이러한 영상으로부터 식별이미지로써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면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제1제어부(190)는 안면이미지를 다양한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다.
첫째, 안면은 전체적으로 사람의 피부색과 사람 및 머리의 색으로 구성되며 부분적으로 눈동자의 색. 눈자위의 흰색 및 입술의 색으로 구성된다. 제1제어부(190)는 이러한 색상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중 일정한 영역 내에 상술한 색상들이 밀집해 있는 영역을 안면이미지로 추출할 수 있다.
둘째, 안면은 눈, 코, 입 및 귀를 포함하며 이러한 안면의 구성성분은 일정한 기하학적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제어부(190)는 영상으로부터 경계선을 검출하고, 안면의 구성성분으로 추정되는 경계선이 일정한 기하학적 형상으로 배치된 영역을 안면이미지로 추출할 수 있다.
셋째, 안면은 일반적으로 타원형, 원형, 계란형의 형상을 가지므로, 제1제어부(190)는 경계선 검출을 통해 이러한 형상으로 구성된 경계선 내부를 안면이미지로 추출할 수 있다.
제1제어부(190)는 상술한 방법, 아이젠(Eigen) 함수를 이용하여 안면을 검출하는 방법, 신경망을 이용하여 안면을 검출하는 방법 및 그 밖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다른 안면이미지 추출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촬상한 영상으로부터 안면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영상으로부터 식별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가 반드시 전부 블랙박스(100)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영상으로부터 식별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의 적어도 일부는 내비게이션(20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블랙박스(100)는 촬상한 영상을 내비게이션(200)으로 송신하고, 내비게이션(200)이 수신한 영상으로부터 식별이미지를 추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블랙박스(100)는 추출된 식별이미지를 분석하여 객체의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40).
제1제어부(19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추출된 식별이미지를 분석하여 객체의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객체의 식별정보란 객체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객체의 식별정보는 수배대상의 식별정보와 대응되는 내용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의 식별정보는 객체가 차량인 때에는 차량의 차량번호, 종류, 크기, 색깔, 그 밖의 차량의 외관상 특징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객체가 사람인 때에는, 사람의 이름, 연령, 성별, 신장, 체중, 신체모양, 안면모양, 머리칼의 색깔, 머리모양, 입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옷, 말투, 눈의 색깔, 흉터 및 행동상의 특징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식별이미지가 차량의 번호판이미지인 때에는 객체의 식별정보는 차량번호이고, 식별이미지가 사람의 안면이미지인 때에는 객체의 식별정보는 안면정보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의 번호판이미지를 분석하여 차량번호를 획득하는 방법에 관하여 다시 도 8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보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번호판이미지의 분석에 관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제어부(190)는 촬상한 영상에 차량이 포함된 때 도 8에 도시된 번호판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제1제어부(190)는 번호판이미지로부터 차량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제1제어부(190)는 먼저 번호판이미지로부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하나하나의 영역, 즉 복수의 단일문장영역을 분리할 수 있다. 제1제어부(190)는 촬상된 영상으로부터 번호판이미지를 추출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단일문자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단일문자영역이 결정되면 제1제어부(190)는 문자인식기법을 통하여 단일문자영역을 분석하여 단일문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단일문자들에 기초하여 차량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문자인식기법은 원형정합방법, 구문론적 방법, 신경망알고리즘을 이용한 방법 및 그 밖의 다양한 문자인식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원형정합방법이란 문자를 표준문자패턴에 정합시켜 문자를 인식하는 방법이며, 구문론적 방법은 문자의 구조적 정보, 즉 크기, 기울기 등을 고려하여 문자를 인식하는 방법이다.
한편, 제1제어부(190)는 차량에 관하여 상술한 차량번호 이외에도 촬상한 영상으로부터 식별이미지로써 차량이미지를 획득하고 분석하여 차량의 크기, 종류 및 색깔 등의 외관에 관한 특징을 객체의 식별정보로써 획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사람의 안면이미지를 분석하여 안면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관하여 다시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보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안면이미지의 분석에 관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제어부(190)는 촬상한 영상에 사람이 포함된 때 도 10에 도시된 안면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제1제어부(190)는 안면이미지를 분석하여 안면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안면정보란 안면의 특징에 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제1제어부(190)는 안면이미지로부터 눈, 코, 입 및 귀 등과 같은 안면의 구성성분의 각각에 관한 특징 및 이들간의 관계에 관한 특징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이러한 특징을 포함하는 안면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안면의 구성성분 각각에 관한 특징은, 각 안면의 구성성분의 위치나 길이, 각도, 크기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성성분 간의 관계는 각 구성성분 간의 위치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제어부(190)는 안면이미지를 분석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 사이의 거리(F1), 눈썹의 각도(F2), 코의 크기(F3), 입의 크기(F4) 등에 관한 안면정보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제1제어부(190)는 안면이미지를 기하학적 특징을 찾는 구조적 방법, 극좌표계변환 또는 웨이블릿변환 등의 수학적 변환 필터를 이용하는 방법,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지역적 특징분석(local feature analysts), 선형판별분석(linear discriminant analysis) 등의 통계적 모델을 이용하는 방법, K-L 변환, 신경망모델, 3차원 정보에 관한 베이지안 확률모델을 이용한 방법 등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안면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제1제어부(190)는 사람에 관하여 상술한 안면정보 이외에도 식별이미지로써 사람의 외관이미지를 획득하고, 분석하여 사람의 성별, 신체정보, 옷정보, 머리모양정보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외관정보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식별이미지를 분석하여 객체의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가 반드시 전부 블랙박스(100)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식별이미지를 분석하여 객체의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의 적어도 일부는 내비게이션(20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블랙박스(100)는 객체의 식별정보 및 수배대상의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객체가 수배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50). 이러한 객체의 수배대상해당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반드시 블랙박스(100)에 의하여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닐 수 있으며 이러한 단계의 적어도 일부는 내비게이션(20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제1제어부(19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획득한 객체의 식별정보 및 수신한 수배대상의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객체가 수배대상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제어부(190)는 객체의 식별정보가 수배대상의 식별정보에 포함되는 때에 객체가 수배대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1제어부(190)는 객체의 식별정보와 수배대상의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일정한 수준 이상의 유사점이 있는 때 객체를 수배대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의 식별정보가 촬영된 차량의 차량번호이고, 수배대상의 식별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수배차량의 차량번호일 때, 제1제어부(190)는 촬영된 차량의 차량번호가 적어도 하나의 수배차량의 차량번호 중 하나와 일치하는 때에 객체가 수배대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제어부(190)는 차량번호와 수배차량번호가 일치하지는 아니하여도 일정한 개수 이상의 문자가 일치하는 때에, 즉 다시 말해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때 차량을 수배차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문자 전체 중 한 개나 두 개의 문자만 상이하고 다른 문자가 전부 일치하는 경우에는 차량을 수배차량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차량번호에 있어서 기하학적으로 유사한 문자만 상이한 때에도 차량을 수배차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숫자 ‘5’ 및 ‘8’은 문자인식 과정 중에 흔히 인식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차량번호가 ‘1235’이고, 수배차량번호가 ‘1238’인 때에는 차량을 수배차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객체의 식별정보가 안면정보이고, 수배대상의 식별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수배자의 안면정보인 때에는 객체의 안면정보와 수배자의 안면정보는 일반적으로 완전히 일치하기 힘들기 때문에 경우가 거의 없으므로, 제1제어부(190)는 촬영된 객체의 안면정보와 수배자의 안면정보를 비교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때 촬영된 사람이 수배대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면정보가 눈썹의 각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때, 1도 정도의 차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블랙박스(100)는 객체가 수배대상인 때 제보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S160).
제1제어부(190)는 제1통신부(160)를 통해 객체가 수배대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된 때 제보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1통신부(160)는 제보정보를 내비게이션(200) 및 서버(3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외부기기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단계들이 내비게이션(200)에 의해 수행된 경우 또는 내비게이션(200)이 제보정보를 블랙박스(100)로부터 수신한 때에는 내비게이션(200)이 제보정보를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보정보는, 촬영된 객체의 식별정보, 수배대상에 관한 정보, 촬상한 이미지, 추출된 식별이미지, 제보시간, 제보위치, 제보자 및 그 외의 제보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에 관한 제보정보는, 촬영된 차량의 차량번호, 수배차량의 차량번호, 차량을 포함한 영상, 번호판이미지 및 제보차량의 이동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람에 관한 제보정보는, 수배자이름, 안면이미지, 안면정보, 발견한 위치, 발견한 시간, 이동방향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내비게이션(200)은 영상을 촬상한 시각의 위치정보에 따라 발견한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200)은 이러한 위치정보를 블랙박스(100)에 제공하고 블랙박스(100)는 이러한 위치정보에 따라 제보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내비게이션(200)은 블랙박스(100)로부터 제보정보의 일부를 수신하여 수신한 제보정보에 위치정보를 추가하여 이를 외부기기, 예를 들어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블랙박스(100)는 사용자로부터 제보정보의 송신을 지시하는 신호를 받고, 이러한 신호를 획득한 때에 선택적으로 제보정보를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
블랙박스(100)가 제보정보의 송신 전에 사용자로부터 송신을 지시하는 입력을 받은 뒤 제보를 수행하는 것은 다양한 장점이 있을 수 있다.
첫째, 비록 블랙박스(100)가 카메라(120)를 통해 영상을 촬영하여 수배대상을 발견한 경우라도 사용자가 제보를 원하지 아니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보를 원하는 경우에만 제보를 수행하도록 제보 전에 사용자의 허가를 받을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둘째, 블랙박스(100)가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그 영상에 포함된 객체가 수배대상인지 판단하는 것은 부정확할 수 있는데, 블랙박스(100)가 부정확한 제보를 수행하는 것은 유관기관에 수사의 혼선을 초래하고, 제보를 받는 서버가 불필요한 연산을 수행하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일차적으로 블랙박스(100)가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객체가 수배대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사용자가 이차적으로 다시 재판단하여 제보의 수행여부를 결정하면, 보다 정확한 제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제어부(190)는 일차적으로 객체가 수배대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때, 사용자가 이차적으로 객체의 수배대상 해당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1출력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객체의 수배대상 해당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는, 촬영된 영상의 적어도 일부, 객체에 관한 식별이미지, 객체의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수배대상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출력부(150)는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번호판이미지 및 수배차량의 차량번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번호판이미지에 따른 객체의 차량번호와 수배차량의 차량번호를 제공받아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객체가 수배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제1입력부(140)는 사용자로부터 제보정보의 송신을 지시하는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출력부(150)가 사용자에게 객체의 수배대상 해당여부의 판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면, 사용자는 이를 바탕으로 촬영된 객체가 수배대상인지를 판단하고, 수배대상으로 판단된 때에 블랙박스(100)의 제1입력부(140)를 통해 제보를 지시하는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제1제어부(190)는 제1입력부(140)를 통해 제보정보의 송신을 지시하는 신호를 획득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통신부(160)를 통해 제보정보를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제보방법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촬상한 영상에 포함된 객체를 분석하여 수배대상을 발견하여 이를 제보할 수 있다. 즉, 블랙박스(100) 및 내비게이션(200) 중 적어도 하나가 수배대상을 찾아 이를 유관기관에 알림으로써 수배대상을 찾는데 드는 시간과 인력이 절감될 수 있다.
또 제1실시예에 따르면, 서버(300) 대신 블랙박스(100) 및 내비게이션(200) 중 적어도 하나가 수배정보를 활용하여 촬상된 영상에 포함된 객체가 수배대상인지 판단함으로써 서버(300)가 과도한 작업을 처리하지 아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제1실시예에 따르면, 수배대상이 발견된 시각이나 위치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함께 제보함으로써, 수배대상을 찾기 용이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보방법의 제2실시예에 관하여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보방법의 제2실시예의 순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보방법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수배지역에 따른 수배정보의 송신에 관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보방법의 제2실시예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보대상의 식별정보를 포함한 수배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210), 제보대상의 식별정보를 포함한 제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20), 제보정보 및 수배정보를 비교하여 제보된 객체가 수배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30), 제보된 객체가 수배대상에 해당하는 때 제보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240) 및 제보된 객체가 수배대상에 해당하는 때 제보정보에 따른 제보자를 포상대상으로 선정하는 단계(S250)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보방법의 제2실시예의 각 단계에 관하여 설명한다.
서버(300)는 수배대상의 식별정보를 포함한 수배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S210).
서버(300)는 수배정보를 외부기기로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수배정보에는 수배대상의 식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기기는 블랙박스(100) 및 내비게이션(2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300)는 반드시 블랙박스(100) 및 내비게이션(200)으로 직접 수배정보를 송신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외부기기를 중계하여 수배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서버(300)는 수배정보를 일정한 조건에 따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일정한 지역에 위치하는 외부기기로 수배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300)는 수배대상을 수배하는 지역에 위치하는 외부기기로 수배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서버(300)는 수배정보를 송신하고, 외부기기는 수배정보에 포함된 수배지역에 관한 정보를 먼저 수신하고, 현재 위치가 수배지역에 해당하는 때 나머지 수배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는 서버(300)는 수배지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수배정보를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블랙박스(100) 및 내비게이션(200) 중 적어도 하나는 현재위치에 따라 수배정보의 일부를 활성화하고, 일부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랙박스(100)는 서울경기지역(D1) 및 부산경남지역(D2)에 대한 수배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서울경기지역에 위치한 때에는 서울경기지역에 관한 수배정보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러한 블랙박스(100)가 이동하여 부산경남지역에 위치하면 블랙박스(100)는 서울경기지역에 관한 수배정보를 비활성화하고 부산경남지역에 관한 수배정보를 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다.
서버(300)는 이러한 수배정보를 유관기관, 예를 들어, 경찰이나 미아찾기단쳬 등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서버(300)가 이러한 유관기관에 설치되어 수배정보를 유관기관의 구성원으로부터 직접 입력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새로운 수배정보를 획득되거나 수배정보가 수정되면 서버(300)는 새로이 획득된 수배정보나 수정된 수배정보를 외부기기로 송신할 수 있다.
서버(300)는 제보대상의 식별정보를 포함한 제보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220),
서버(300)는 외부기기로부터 제보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제보정보는, 제보대상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보대상이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제보방법의 제1실시예에서 카메라(120)로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기기는 전화, 이동통신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PC(personal computer), 인터넷과 상술한 블랙박스(100), 내비게이션(200) 및 그 밖의 통신기능을 수행하여 제보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보정보에는 객체의 식별정보, 촬상한 영상의 적어도 일부 및 식별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서버(300)는 제보정보 및 수배정보를 비교하여 제보된 객체가 수배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30).
서버(300)는 제보정보 및 수배정보를 비교하여 제보된 객체가 수배대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블랙박스(100) 및 내비게이션(200)은 촬상한 영상에 포함된 객체가 수배대상에 해당하는 때에 제보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블랙박스(100)나 내비게이션(200)은 서버(300)보다 연산능력이 작을 수 있으므로 촬상한 영상에 포함된 객체가 수배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정확성이 서버(300)와 비교하여 낮을 수 있다. 또한 수배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시로 수정될 수 있는데 블랙박스(100) 및 내비게이션(200)은 수정되기 전 수배정보에 근거하여 객체의 수배대상해당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서버(300)가 제보정보와 수배정보를 비교하여 제보된 객체가 수배대상에 해당하는지를 다시 판단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제보정보가 차량번호인 때에 이러한 차량번호가 수배차량번호에 포함되는지에 따라 제보된 객체가 수배대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수배대상에서 제보된 차량번호가 삭제된 때에는 서버(300)는 수배대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될 수 있으며, 반대로 이러한 제보를 송신한 외부기기의 주변에 위치한 다른 외부기기로부터 제보정보가 기 수신된 기록이 있다면 서버(300)는 다른 제보정보를 참조하여 제보된 객체의 수배대상해당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예를 들어, 서버(300)가 제보정보로써 촬상한 영상의 적어도 일부 또는 식별이미지를 수신한 때에는 촬상한 영상의 적어도 일부 또는 식별이미지를 분석하여 객체의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객체, 즉 제보대상의 식별정보 및 수배정보에 근거하여 객체의 수배대상해당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버(300)가 이러한 영상 또는 식별이미지에 따라 객체의 수배대상해당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기본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보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블랙박스(100)가 촬상한 영상 및 식별이미지 등에 근거하여 객체의 수배대상해당여부를 판단하는 방법과 유사할 수 있다. 이때 서버(300)는 일반적으로 블랙박스(100)나 내비게이션(200)과 비교하여 보다 강력한 연산능력을 가지고 또 보다 개선된 영상인식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것이므로, 더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다.
서버(300)는 제보된 객체가 수배대상에 해당하는 때 제보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240).
서버(300)는 제보된 객체가 수배대상으로 판단된 때 제보정보를 유관기관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서버(300)가 유관기관에 설치된 때에는 서버(300)는 제보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로써, 경찰이나 미아찾기단체 등은 제보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참고하여 수배대상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서버(300)는 제보된 객체가 수배대상에 해당하는 때 제보정보에 따른 제보자를 포상대상으로 선정할 수 있다(S250).
서버(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판단의 결과 제보된 객체가 수배대상인 때 포상대상을 선정할 수 있다. 포상대상이란 제보에 대한 대가로 보상을 받는 자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제보정보는 제보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300)는 제보자에 관한 정보에 따라 제보자를 포상대상으로 선정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서버(300)는 제보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제보자에 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또 제보정보는 제보시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300)는 제보시각에 관한 정보를 더 고려하여 포상대상을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가 복수의 제보정보를 접수할 수 있는데, 이때 각 제보정보에 포함된 제보시각에 근거하여 최초에 수신된 제보정보에 따른 제보자를 포상대상으로 선정할 수 있다.
서버(300)는 이처럼 선정된 포상대상에 대하여 다양한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부기관이나 유관기관이 관리하는 서버(300)라면 포상대상에 대하여 세제 혜택을 부여하거나 포상금 또는 현상금을 지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설업체가 관리하는 서버(300)라면 포상대상에 대하여 전자머니나 쿠폰을 제공할 수 있다. 서버(300)는 포상대상으로 선정된 제보자에 관한 정보와 연계하여 보상이나 대가에 관한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서버(300)는 이와 같이 제보자를 포상대상으로 선정하고, 선정된 제보자에게 포상대상으로 선정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메시지는 블랙박스(100), 내비게이션(200) 등과 같이 제보를 수행한 장치로 송신되거나 또는 그 밖의 이동통신단말기, 전화기, 사용자의 이메일 등으로 송신될 수 있다. 여기서 송신하기 위한 주소는 제보정보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송신되는 메시지는 보상에 관한 내용을 반영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로써, 제보자는 이러한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제보정보가 접수되고, 포상대자로 선정되고, 그에 따라 제공받을 보상에 대하여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제보방법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수배정보가 수배대상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 즉 수배지역에 위치한 외부기기로 송신됨으로써 보다 정확한 수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 제보정보가 접수되면 유관기관은 제보정보에 따라 수배대상을 찾을 수 있다. 또 제보자에게 포상을 함으로써, 제보에 관한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제보방법은, 서로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이용할 수 있다. 또 각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계들은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계들과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제보방법은, 이를 수행하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의 형태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블랙박스
110: 부착부 120: 카메라 130: 마이크
140: 제1입력부 150: 제1출력부 160: 제1통신부
161: 제1위치정보모듈 162: 제1무선인터넷모듈
163: 제1유선통신모듈 164: 제1근거리통신모듈
170: 제1감지부 180: 제1저장부 190: 제1제어부
200: 내비게이션
210: 제2입력부 220: 제2출력부 230: 제2통신부
231: 제1위치정보모듈 232: 제1무선인터넷모듈 233: 제1유선통신모듈
234: 제1근거리통신모듈 235: 방송송수신모듈
240: 제2감지부 241: 운동감지모듈 242: 광센싱모듈
250: 제2저장부 260: 제2제어부
300: 서버

Claims (19)

  1. 통신부;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객체의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배대상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객체의 식별정보 및 상기 수배대상의 식별정보를 토대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보정보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의 식별정보 및 상기 수배대상의 식별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전자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보정보의 송신을 지시하는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보정보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전자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에 포함된 객체에 관한 식별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식별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객체의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전자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동행차량, 수배차량, 수배자, 실종자 및 미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동행차량의 차량번호, 상기 수배차량의 차량번호, 상기 수배자의 외관정보, 상기 실종자의 외관 정보 및 상기 미아의 외관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이미지는, 차량의 번호판이미지 또는 사람의 외관의 적어도 일부에 관한 외관이미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8.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번호판이미지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여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를 획득하는
    전자기기.
  9.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관이미지를 분석하여 수배자, 실종자 및 미아 중 적어도 하나의 외관정보를 획득하는
    전자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보정보는, 상기 촬영된 영상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객체의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의 현재 위치에 관한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보정보는, 상기 획득한 위치정보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보정보를 유관기관으로 송신하는
    전자기기.
  13. 수배대상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기기로부터 제보대상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보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보대상의 식별정보 및 상기 수배대상의 식별정보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보정보를 유관기관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보정보는, 제보자정보 및 제보시각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보대상의 식별정보 및 상기 수배대상의 식별정보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보자정보 및 상기 제보시각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포상대상을 선정하는
    전자기기.
  15. 수배대상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영상에 포함된 객체의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객체의 식별정보 및 상기 수배대상의 식별정보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경우, 제보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객체에 관한 식별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객체의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보방법.
  17. 외부기기로 수배대상의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제보대상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보대상의 식별정보 및 상기 수배대상의 식별정보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보정보를 유관기관에 제공하거나 상기 제보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보정보는, 제보자정보 및 제보시각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보대상의 식별정보 및 상기 수배대상의 식별정보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보자정보 및 상기 제보시각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포상대상을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보방법.
  19.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100132406A 2010-12-22 2010-12-22 제보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기록매체 KR2012007088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406A KR20120070888A (ko) 2010-12-22 2010-12-22 제보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기록매체
PCT/KR2011/009729 WO2012086965A2 (ko) 2010-12-22 2011-12-16 제보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406A KR20120070888A (ko) 2010-12-22 2010-12-22 제보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888A true KR20120070888A (ko) 2012-07-02

Family

ID=46314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2406A KR20120070888A (ko) 2010-12-22 2010-12-22 제보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20070888A (ko)
WO (1) WO2012086965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1614A (ko) * 2014-12-12 2016-06-22 김선황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차량 찾기 시스템
KR20180068556A (ko) * 2016-12-14 2018-06-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작업 정보 제공 장치, 작업 정보 제공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180135554A (ko) * 2017-06-13 2018-12-21 유윤상 스마트폰의 카메라 협력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68338A1 (en) * 2014-03-22 2015-09-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racking from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1155A (en) * 1993-12-08 1995-01-10 Gerber; Eliot S. Vehicle speeding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KR20030041613A (ko) * 2001-11-20 2003-05-27 주식회사 기가밉스 주차장 보안 시스템
JP2004056415A (ja) * 2002-07-19 2004-02-19 Sony Corp 撮影装置、撮影・記録装置、撮影・記録・配信装置、撮影方法、撮影・記録方法、及び、撮影・記録・配信方法
US8660299B2 (en) * 2007-09-22 2014-02-2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utomated person identification and location for search applications
KR20100058330A (ko) * 2008-11-24 2010-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와 제어장치, 그들을 포함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및 그들의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1614A (ko) * 2014-12-12 2016-06-22 김선황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차량 찾기 시스템
KR20180068556A (ko) * 2016-12-14 2018-06-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작업 정보 제공 장치, 작업 정보 제공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180135554A (ko) * 2017-06-13 2018-12-21 유윤상 스마트폰의 카메라 협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86965A3 (ko) 2012-10-04
WO2012086965A2 (ko) 201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1254B2 (en) Autonomous vehicle cameras used for near real-time imaging
CN108680173B (zh) 电子装置、电子装置的控制方法及计算机可读记录介质
CN110956061B (zh) 动作识别方法及装置、驾驶员状态分析方法及装置
US10535145B2 (en) Context-based, partial edge intelligence facial and vocal characteristic recognition
CN104011734B (zh) 从附着到车辆的对象获得信息的系统、方法和装置
US20190005310A1 (en) Public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autonomous smart car
CN114463898B (zh) 一种快递取件提醒方法和装置
CN105701458B (zh) 基于车载设备获取图像识别车辆外部信息的方法及系统
KR100533033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기술을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EP2003611A2 (en)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information presentation terminal, and server
CN110751659B (zh) 图像分割方法及装置、终端、存储介质
TW201944324A (zh) 導引系統
CN107566742A (zh) 拍摄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09389029A (zh) 基于行车记录仪的寻人方法、装置、系统和存储介质
CN107707824A (zh) 拍摄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KR20120126529A (ko) 촬영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간 연관성 분석방법 및 시스템
KR20120070888A (ko) 제보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기록매체
JP2016045678A (ja) 価格表示システム、価格判定装置、表示装置、価格判定方法、および、価格判定プログラム
CN111325701B (zh) 图像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180089500A1 (en) Portable identification and data display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WO202105533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ally detecting violation of a driving-related law
WO2019221070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709326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114039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rning a user about a suspicious vehicle
CN111563086B (zh) 信息关联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