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0514A -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및 소수성으로 개질된 중합체를 갖는 피부 세정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및 소수성으로 개질된 중합체를 갖는 피부 세정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0514A
KR20120070514A KR1020110137937A KR20110137937A KR20120070514A KR 20120070514 A KR20120070514 A KR 20120070514A KR 1020110137937 A KR1020110137937 A KR 1020110137937A KR 20110137937 A KR20110137937 A KR 20110137937A KR 20120070514 A KR20120070514 A KR 20120070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glyceryl
alkyl
skin cleansing
surfactant
cleans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7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5344B1 (ko
Inventor
엠마뉴엘 아님-단소
리사 간돌피
유엔 토마스 건
러쎌 엠. 월터스
마이클 제이. 페볼라
Original Assignee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캄파니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캄파니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캄파니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70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0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uric acid derivatives, e.g. sodium lauryl sulf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방법 및 조성물은, 지방산의 폴리글리세릴 에스테르, 저분자량의 소수성으로 개질된 중합체 및 음이온성 및/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며, 저자극 특성과 함께 하나 이상의 추가적 특성, 예를 들어, 비교적 높은 투명도, 비교적 높은 거품 발생, 및/또는 이들의 조합을 갖는 조성물 및 그러한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들 조성물은 낮은 pH 값을 가지며 피부를 세정하는 데 유용하다.

Description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및 소수성으로 개질된 중합체를 갖는 피부 세정 조성물 {skin cleansing Compositions with polyglycerol esters and hydrophobically modified polymers}
본 발명의 방법 및 조성물은 비교적 높은 거품 발생(foaming) 능력과 함께 저자극 특성을 나타내는 조성물, 및 그러한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조성물은 피부, 및 모발을 포함하는 기타 신체 부분을 세정하는 데 유용하다.
합성 계면활성제 세제, 예를 들어 양이온성, 음이온성, 양쪽성,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세정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다양한 세제 및 세정 조성물에 널리 사용된다. 또한, 소정 조성물, 예를 들어 샴푸 및 워시(wash)를 비롯한 개인 케어 조성물에서는, 비교적 높은 수준의 거품 부피 및/또는 거품 안정성을 달성하기에 충분한 계면활성제의 배합물 및 수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합성 세제는 피부 및 눈을 자극하는 경향이 있다. 개인 케어 조성물에 증가된 세정 및 거품 발생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이러한 조성물에서 그러한 세제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러한 조성물과 관련된 자극이 또한 증가하는 경향이 있어서, 그러한 조성물을 피부 및/또는 눈에 또는 그 부근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하지 않게 만든다.
더 순한 세정 조성물을 제조하려는 소정 시도는 비교적 낮은 양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거품 발생은 비교적 높은 경향이 있으나 자극이 또한 비교적 높은 경향이 있음)를 비교적 보다 저자극성인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비이온성 및/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배합하는 것을 포함하였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4,726,915호를 참조한다. 순한 세정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다른 접근법은 계면활성제 복합체를 얻기 위하여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양쪽성 또는 양이온성 화합물을 결합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4,443,362호; 제4,726,915호; 제4,186,113호; 및 제4,110,263호를 참조한다. 불행히도, 그러한 방법 둘 모두를 통해 제조되는 순한 세정 조성물은 비교적 불량한 거품 발생 및 세정 성능이 문제가 되는 경향이 있다.
게다가, 소정 용도와 관련하여, 소비자는 비교적 투명한 세정 조성물을 요구한다. 특히, 투명한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소비자에게 순수함의 미적 표시를 제공하기 위하여 흔히 사용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중합체성 증점제를 비롯한, 종래의 개인 케어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수의 성분들은 조성물이 탁해지거나 불투명해지게 하는 경향이 있다. 중합체, 계면활성제 및 다른 선택적 성분의 어떤 배합이 클렌저(cleanser)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또한 높은 투명도를 나타내는 조성물을 생성하기 위해 배합될 수 있는지가 용이하게 예측가능하지 않다.
미국 특허 제6,897,253호('253호)는 사실상 가교결합된 알칼리-팽윤가능한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리올로지 개질제(rheology modifier), 물, 알칼리성 물질, 및 사실상 불용성인 화합물이 안정화되거나 현탁되기에 유효한 양의 계면활성제를 기술한다. 그러한 중합체성 리올로지 개질제는 상당한 점도를 구축하기 위하여 5 또는 6의 pH를 필요로 한다. 소수성으로 개질된 중합체 ("hmp")를 계면활성제 시스템에 첨가하는 것이 거품 발생 성능을 여전히 유지하는 더 순한 계면활성제를 야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브리치(LiBrizzi) 등의 미국 특허 제7,157,414호). 표면 장력측정은 hmp가 계면활성제의 일부분을 중합체의 소수성 도메인에 결합시켜 유리 미셀(free micelle) 농도를 감소시킨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미국 특허 공개 제2008/0113895호는 순한 세정 시스템을 위해 저분자량 아크릴 중합체를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소듐 라우레쓰 설페이트 및 소듐 트라이데세쓰 설페이트와 함께 사용하는 것을 개시한다.
미국 특허 제5,130,056호는 혼합물의 구성성분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이온성 및/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적어도 하나의 다이글리세롤의 C8 내지 C18 지방산 모노에스테르 및/또는 테트라글리세롤의 C8 내지 C18 지방산 다이에스테르를 함유하되, 계면활성제 혼합물에 존재하는 전체 계면활성제 함량 (100 중량%)에 대하여, 2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다이글리세롤의 지방산 모노에스테르 및/또는 테트라글리세롤의 지방산 다이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세척제, 세정제 및/또는 화장품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고분자량의 소수성으로 개질된 중합체는 높은 중합체 농도에서는 효능을 상당히 손실하며, 즉, hmp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순함(mildness)의 이점이 점점 더 작아진다.
미국 특허 공개 제2008/0112913호는 자극 완화를 위한 저분자량 아크릴 중합체의 사용을 기술하며, 저분자량의 소수성으로 개질된 중합체를 갖는 투명한 세정 시스템의 생성에 있어서의 어려움을 지적한다.
더욱 최근에는, 저분자량 hmp가 더 큰 분자량의 hmp와 비교하여 더 적은 효능 손실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특허 제7,803,403호, 문헌[M. Fevola, r. Walters, J. LiBrizzi, "A New Approach to Formulating Mild Cleansers: Hydrophobically-Modified Polymers for Irritation Mitigation" Polymeric Delivery of Therapeutics, 2010, 221] 참조). hmp의 분자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중합체는 확장된 코일로 더욱 쉽게 개방되며, 따라서 심지어 더 높은 중합체 농도에서도 더 많은 계면활성제를 결합시킬 수 있다. 월터스(Walters) 등은 이러한 결합된 계면활성제는 더욱 안정한 상태이며, 이러한 계면활성제는 덜 동적임을 또한 입증하였다 (공계류 중인 미국 특허 출원 제12/779211호).
본 발명자들은 저분자량 hmp가 계면활성제 시스템에서 계면활성제의 일부분, 전형적으로 20 내지 30%를 결합시킨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나머지 계면활성제는 중합체에 결합하지 않으며 유리 미셀 또는 단량체성 계면활성제로서 존재한다. 저분자량 hmp가 존재하는 경우, 계면활성제는 3가지 상태로 존재한다: 1) 중합체와 결합된 상태, 2) 유리 미셀 상태, 또는 3) 단량체성 계면활성제로서의 상태. 저분자량 hmp는 오직 중합체에 결합된 계면활성제에만 영향을 주므로, 제형에 대한 순함의 개선은 오직 중합체에 결합된 계면활성제로 인한 것이다.
저분자량 hmp가 존재하는 경우에조차, 용액 중에는 여전히 많은 유리 미셀이 있으며, 이는 계면활성제 용액의 공격성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케어 조성물은 저자극 특성을 가지며, 세정 조성물에서 바람직한 우수한 거품 발생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a) 저분자량의 비-가교결합된 선형 아크릴 공중합체;
(b) 지방산과 글리세린 중합체의 에스테르 (여기서, 상기 에스테르는 x개의 글리세린 반복 단위와 n의 탄소 사슬 길이를 가지고,
x는 8 내지 14이며; n은 10 내지 18임); 및
(c)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그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고, 그로 이루어지는, 피부 세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에 첨가된 하나 이상의 폴리글리세릴 에스테르 (이하, "PGE")는, 저분자량 HMP와 결합되지 않은 채 남아있는,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유리 미셀로 들어가기 쉽다. PGE는 계면활성제 시스템에 남아있는 유리 미셀을 안정화시키고 더 순하게 만드는 작용을 한다. 저분자량 HMP가 조성물에 존재하는 경우 유리 미셀은 계면활성제 시스템의 공격성 대부분의 원인이 되는 계면활성제 집단을 구성하기 때문에, 이러한 유리 미셀을 더 순하게 만드는 PGE의 작용은 전체 세정 시스템이, PGE가 조성물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보다 상당히 더 순해지게 한다.
<도 1>
도 1은 실시예 3에 기재된 제형들의 TEP 시험 EC50을 플라시보와 비교한 차이를 나타낸다.
<도 2>
도 2는 3가지 상이한 공중합체에 대한, 중합체 농도의 함수로서의 소수성으로 개질된 중합체 효능을 나타낸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조성물이 비교적 낮은 자극 및 비교적 높은 거품 발생 특징을 포함하는 특성들의 독특하고 예상치 않은 조합을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영유아 피부를 포함하는 피부 케어, 화장품 또는 세정 조성물에 고도로 바람직하게 만든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저분자량의 비-가교결합된 선형 아크릴 공중합체, 폴리글리세릴 에스테르 및 적어도 하나의 음이온성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이들의 배합물을 함유하거나, 포함하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거나, 이로 이루어진다.
놀랍게도, 저분자량의 비-가교결합된 선형 아크릴 공중합체와 결합할 선택 군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은 이전에 가능할 것으로 생각했던 것보다 더 순한 조성물이 얻어지게 한다.
저분자량 hmp를 계면활성제 시스템에 첨가하는 것이 거품 발생 성능을 여전히 유지하는 더 순한 계면활성제를 야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헌[M. Fevola, r. Walters, J. LiBrizzi, "A New Approach to Formulating Mild Cleansers: Hydrophobically-Modified Polymers for Irritation Mitigation" Polymeric Delivery of Therapeutics, 2010, 221]). 저분자량 hmp는 계면활성제의 일부분을 중합체의 소수성 도메인에 결합시킬 것이다. 이러한 결합된 계면활성제는 유리 미셀로 존재하는 계면활성제보다 더욱 안정한 상태이며, 이러한 계면활성제는 유리 미셀로 존재하는 계면활성제보다 덜 동적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pH"는 ASTM 방법 E70 - 07인, 유리 전극을 이용한 수용액의 pH에 대한 표준 시험 방법(Standard Test Method for pH of Aqueous Solutions With the Glass Electrode)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은 pH 측정치를 포함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거품 발생 세정 조성물"은 지질, 오일 및 천연 성분을 피부 표면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으며 거품(즉, 막으로 둘러싸인 기포들의 시스템)을 생성할 수 있는 그러한 조성물을 포함한다. 세정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피부에 도포되며 물로 헹궈진다. 손가락, 손, 또는 워시 클로스(wash cloth)로 문지르거나 또는 욕조에 부어서 클렌저를 거품내거나 거품 발생시킬 수 있다. 거품 발생 세정 조성물에 노출되고 세정되기 전에 피부가 손상된 장벽을 갖는 경우, 소정 유형의 세정 조성물은 이미 고통받고 있는 피부 장벽의 건강 또는 완전성(integrity)에 추가로 손상을 줄 수 있다. 특히, 비교적 고함량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세정 조성물이 피부 장벽 기능에 더 큰 손상을 주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특히, 피부 세정 제형은 물로 헹구어 제거하기 위해 피부 표면 상의 오염물을 유화시키는 계면활성제들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용한 계면활성제들은 음이온성, 양쪽성일 수 있으며, 바(bar), 액체, 크림, 젤 등의 형태일 수 있다. 계면활성제들은 피부에 대한 그의 효과가 현저하게 다르며 피부 장벽에 대한 그의 효과가 상당히 상이하다. 계면활성제들은 사세포(corneocyte) 팽창, 분해, 및 손상에 대한 효과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계면활성제들뿐만 아니라, 다른 국소 처리제들은 피부 장벽의 투과성에 대한 효과가 크게 다를 수 있다.
장벽 기능 손상의 측정
TEWL 및 피부 수화도는 피부 장벽이 손상되었는지를 결정하는 측정의 두 분야를 이룬다. 그러나, 이러한 시험 방법에 의해 산출되는 절대적인 측정치는 장벽 손상의 특성 및 정도를 이해하기 위한 추가적인 수단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명의 다른 사람이 일정 환경에 노출되어도 그들 자신의 특정 피부 특성들의 속성에 따라 그들의 노출된 피부로부터 매우 상이한 TEWL 또는 피부 수화도 측정치를 나타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매우 다른 사람들에서 상이한 환경이 유사한 TEWL 또는 피부 수화도 측정치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손상된 장벽 기능을 갖는 피부에 대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도포의 효과를 결정할 때, 세정 조성물에 노출 시 TEWL 또는 피부 수화도 수준이 어떻게 변화할 수 있는 지를 조사하고 노출 후의 TEWL 또는 피부 수화도의 변화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TEWL 및 피부 수화도는 계면활성제 운동력학(kinetics) 및 동력학(dynamics)과 관련될 수 있다.
손상된 피부 장벽은 더 높은 TEWL을 포함하는 소정 물리적 특성을 가질 수 있지만, 감소된 수화도 수준이 손상된 장벽 기능을 갖는 피부에 초기에 항상 존재하지는 않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그러나, 손상된 장벽 기능을 갖는 피부를 세정할 때에는 경피 수분 손실을 증가시키지 않고 그에 의한 추가적인 손상을 야기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질층의 수화도 수준은 그의 기계적 및 전기적 특성에 영향을 주며, 따라서, 피부의 고주파 전도도를 측정하는 스키-콘-200EX(Ski-Con-200EX)(일본 소재의 아이.비.에스 컴퍼니 리미티드(I.B.S Co., LTD.))를 사용하여 표재성(superficial) 사세포(제1 층)의 상대적인 수분 보유 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은 일정 기간 동안 피부 상에 탐침을 위치시켜 수행될 수 있다. 탐침은 컴퓨터 또는 기타 데이터 기록 장치에 연결된다. 전도도에 의해 측정되는 피부 수화도는 마이크로 지멘스, "㎲"로 표시된다.
놀랍게도 본 발명자들은 피부에 순하고 피부 장벽의 손상을 단지 최소한으로 변화시키지만 사용자에게 허용가능한 거품 수준을 생성할 수 있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피부를 세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중합체성 물질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저분자량" 중합체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표준물을 사용하여 보정된 젤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할 때 수평균 분자량(Mn)이 약 100,000 이하인 중합체를 말한다. 소정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저분자량 중합체는 분자량 범위가 약 5,000 내지 약 80,000 Mn,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000 내지 약 50,000 Mn,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5,000 내지 40,000 Mn인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유용한 중합체성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성 및/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결합시키기에 적합한 조성물이며, 점성 형성을 실질적으로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전형적으로 계면활성제 시스템과 관련된 손상된 피부 장벽의 손상을 완화시키는 비가교결합된 선형 아크릴 공중합체이다. 비가교결합된 선형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표준물을 사용하여 보정된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할 때 수평균 분자량이 100,000 이하인 저분자량의 것이다(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달리 명시되지 않는다면, 모든 수평균 분자량(Mn)은 이러한 방식으로 측정된 분자량을 말한다). 공중합체 완화제(mitigant)는 적어도 2개의 단량체 성분으로부터 중합된다. 제1 단량체 성분은 적어도 하나의 카르복실산 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α,β-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로부터 선택된다. 이러한 산 기는 일산(monoacid) 또는 이산(diacid), 다이카르복실산의 무수물, 이산의 모노에스테르, 이들의 염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제2 단량체 성분은 (제1 단량체 성분에 비하여) 소수성으로 개질되며, (메트)아크릴산의 선형 및 분지형 C1 내지 C9 알킬 에스테르, 선형 및 분지형 C1 내지 C10 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C1 내지 C9 알킬 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α,β-에틸렌계 불포화 비-산(non-acid) 단량체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 제2 단량체 성분은 하기 화학식으로 표현된다:
CH2=CRX
여기서, R은 수소 또는 메틸이고; X는 -C(O)OR1 또는 -OC(O)R2이고; R1은 선형 또는 분지형 C1 내지 C9 알킬이고; R2는 수소 또는 선형 또는 분지형 C1 내지 C9 알킬이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R1 및 R2는 선형 또는 분지형 C1 내지 C8 알킬이고 다른 태양에서 R1 및 R2는 선형 또는 분지형 C2 내지 C5 알킬이다.
예시적인 제1 단량체 성분에는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아코니트산,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예시적인 제2 단량체 성분에는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 포르메이트, 비닐 아세테이트, 1-메틸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비닐 부티레이트, 비닐 2-에틸헥사노에이트, 비닐 피발레이트, 비닐 네오데카노에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메트)아크릴" 산 및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산 및 상응하는 알킬 아크릴레이트의 상응하는 메틸 유도체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 산은 아크릴산 및/또는 메타크릴산을 말하며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를 말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단량체 성분은 (메트)아크릴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제2 단량체 성분은 적어도 하나의 C1 내지 C9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비가교결합된 선형 아크릴 공중합체 완화제는 당업계에 알려진 자유 라디칼 중합 기술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 사용되는 제1 단량체 성분의 양 대 제2 단량체 성분의 양은 중합 매질 중 모든 단량체들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20:80 중량% 내지 약 50:50 중량%의 범위이다. 다른 태양에서 제1 단량체 성분 대 제2 단량체 성분의 중량비는 중합 매질 중 모든 단량체들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35:65 중량%이며, 다른 태양에서 제1 단량체 성분 대 제2 단량체 성분의 중량비는 중합 매질 중 모든 단량체들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25:75 중량%이다.
다른 태양에서, 유화 중합 기술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비가교결합된 선형 아크릴 공중합체 완화제를 합성할 수 있다. 전형적인 유화 중합에서는, 혼합 교반하면서 개시된 단량체들의 혼합물을 적합한 반응기 내의 적합한 양의 물 중의, 예를 들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예를 들어, 지방 알코올 설페이트 또는 알킬 설포네이트)와 같은, 유화 계면활성제의 용액에 첨가하여 단량체 에멀젼을 제조한다. 에멀젼을 임의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예를 들어, 질소로 퍼징하여, 산소를 제거한 다음, 과황산나트륨과 같은 중합 촉매(개시제) 또는 유화 중합 분야에서 잘 알려진 바와 같은 임의의 다른 적합한 부가중합 촉매를 첨가하여 중합 반응을 개시한다. 중합이 완료될 때까지, 전형적으로 약 4 내지 약 16 시간 범위의 시간 동안 중합 매질을 교반한다. 필요하다면, 개시제를 첨가하기 전에 단량체 에멀젼을 약 70 내지 약 95℃ 범위의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에멀젼 중합 분야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더 많은 촉매를 첨가하여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할 수 있다. 이어서, 생성된 중합체 에멀젼 생성물을 반응기로부터 배출시키고 보관 또는 사용을 위해 포장한다. 선택적으로, 반응기로부터 배출시키기 전에 에멀젼의 pH 또는 다른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생성물 에멀젼은 총 고형물 함량이 약 10 내지 약 50 중량%의 범위이다. 전형적으로, 생성물 에멀젼의 총 중합체 함량(중합체 고형물)은 약 15 내지 약 45 중량%의 범위이며, 일반적으로 약 35 중량% 이하이다.
일 태양에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표준물을 사용하여 보정된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할 때 본 발명의 선형 공중합체 완화제의 수평균 분자량(Mn)은 100,000 이하이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분자량은 약 5,000 내지 약 80,000 Mn 사이, 다른 태양에서 약 10,000 내지 50,000 Mn 사이, 그리고 또 다른 태양에서, 약 15,000 내지 40,000 Mn 사이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 선형 공중합체 완화제는 탈이온수 중 5 중량% 중합체 고형물 농도에서 점도가 500 mPa?s 이하(브룩필드(Brookfield) RVT, 20 rpm, 스핀들 넘버 1)이며, 18 중량% NaOH 용액에 의해 pH 7로 중화된다. 점도는 다른 태양에서 약 1 내지 약 500 mPa?s, 다른 태양에서 약 10 내지 약 250 mPa?s, 그리고 또 다른 태양에서 약 15 내지 약 150 mPa?s의 범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저분자량의 비-가교결합된 선형 아크릴 공중합체는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이다.
폴리글리세릴 에스테르
본 발명의 제2 요소는 PGE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PGE는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은, 지방산과 글리세린 중합체의 에스테르이다:
x개의 글리세린 반복 단위와 n의 탄소 사슬 길이를 갖는 지방산과 글리세린 중합체의 에스테르
(여기서,
x는 글리세린 반복 단위의 개수이고
n은 탄소 사슬 길이임)
여기서, PGE는 평균 약 8 내지 약 14개의 글리세린 단위 (즉, x가 8 내지 14임) 및 약 10 내지 약 18개의 탄소 원자의 탄소 사슬 (즉, n이 10 내지 18임)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x는 약 10 내지 약 12여야 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x는 10이어야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n은 약 12 내지 약 18이어야 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n은 약 12 내지 약 16이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글리세릴 반복 단위"는 글리세롤 (C3H8O3)의 구조적 유도체인 반복단위, 예를 들어, 탈수된 글리세롤 (C3H6O2)에 상응하는 반복 단위를 지칭한다. 글리세린 반복 단위의 예에는:
(a) 하기 화학식의 선형-1,4 (L1 ,4) 반복 단위:
Figure pat00001
;
(b) 하기 화학식의 선형-1,3 (L1 ,3) PG 반복 단위:
Figure pat00002
;
(c) 하기 화학식의, 분지형 및 환형 PG를 야기하는, 수지상(dendritic) (D) PG 반복 단위:
Figure pat00003
;
(d) 하기 화학식의 말단-1,2 (T1 ,2) 단위 (폴리글리세릴 부분(moiety) PG에 부착된 것으로 도시됨):
Figure pat00004
; 및
(e) 하기 화학식의 말단-1,3 (T1 ,3) 단위 (폴리글리세릴 부분 PG에 부착된 것으로 도시됨):
Figure pat00005
가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폴리글리세릴 부분"은 둘 이상의 글리세린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선형, 분지형, 및/또는 환형 폴리에테르 부분을 의미한다. 폴리글리세릴 부분은 글리세롤의 축합 중합; 글리세롤 카르보네이트의 개환 중합, 및 글리시돌의 개환 중합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다양한 합성 경로를 통해 유도될 수 있다. 소정 실시 형태에서, 폴리글리세릴 부분은 모든 반복 단위가 글리세린 반복 단위인 호모폴리에테르를 포함한다. 소정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 폴리글리세릴 부분은 코폴리에테르이며, 즉, 글리세린 반복 단위와 글리세린 반복 단위가 아닌 추가의 폴리에테르 반복 단위 둘 모두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글리세롤은 1,3-프로판다이올과 공중합되어 상기한 글리세린 반복 단위와 하기 화학식의 옥시프로필렌 반복 단위 둘 모두를 포함하는 코폴리에테르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6
이상의 화학식에서, 폴리글리세릴 부분은 "PG"로 표시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폴리글리세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글리세릴 부분으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비이온성 친수성 세그먼트와 하나 이상의 소수성 부분을 포함하는 양쪽성 분자를 의미한다. 폴리글리세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에는, 폴리글리세릴 에스테르 (PGE), 예를 들어, 폴리글리세릴-10 라우레이트 (여기서, PG는 10개의 글리세린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글리세릴 부분이고, R은 C11H23임)
Figure pat00007
뿐만 아니라, 폴리글리세릴-10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코코에이트, 폴리글리세릴-10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10 팔미테이트, 폴리글리세릴-10 올레에이트, 폴리글리세릴-12 라우레이트 등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PGE는 다수의 에스테르 치환기를 갖는 폴리글리세릴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PGE는 모노에스테르, 다이에스테르, 트라이에스테르 등일 수 있음).
다른 폴리글리세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는 폴리글리세릴 에테르, 예를 들어, 폴리글리세릴-10 라우릴 에테르 (여기서, PG는 10개의 글리세린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글리세릴 부분이고, R은 C12H25임):
Figure pat00008
등이 포함된다. 또 다른 폴리글리세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는 폴리글리세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예를 들어, 폴리글리세릴-20 소르비탄 라우레이트 (여기서, PG는 폴리글리세롤이고, 모든 PG RU의 합은 20개이고, R은 C11H23임)가 포함된다. (크로다 인터네셔널 피엘씨(Croda International PLC)로 양도된 베비나카티(Bevinakatti) 등의 국제 특허 공보 WO 2009016375호 참조).
Figure pat00009
.
임의의 적합한 폴리글리세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폴리글리세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글리세릴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릴 에테르, 폴리글리세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이들 중 둘 이상의 배합물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소정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폴리글리세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글리세릴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릴 에테르, 이들 중 둘 이상의 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PGE는 폴리올과 모노글리세라이드, 다이글리세라이드, 트라이글리세라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반응 생성물일 수 있으며, 여기서, 반응 생성물은 에스테르교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올은 글리세롤, 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톨, 프로필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당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소정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폴리글리세릴-8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8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9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8 코코에이트, 폴리글리세릴-9 코코에이트, 폴리글리세릴-10 코코에이트, 폴리글리세릴-11 코코에이트, 폴리글리세릴-12 코코에이트, 폴리글리세릴-8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9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10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11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12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8 팔미테이트, 폴리글리세릴-9 팔미테이트, 폴리글리세릴-10 팔미테이트, 폴리글리세릴-11 팔미테이트, 폴리글리세릴-12 팔미테이트, 폴리글리세릴-10 올레에이트, 폴리글리세릴-11 올레에이트, 폴리글리세릴-12 올레에이트, 폴리글리세릴-10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2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4 스테아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14 올레에이트 및 이들 중 둘 이상의 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PGE를 포함하거나, 그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거나, 그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자들은 하기를 포함하는 소정 PGE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효과적이지 않음을 알아내었다:
폴리글리세릴-6 코코에이트, 폴리글리세릴-4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5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6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7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4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5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6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7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6 미리스테이트 및 폴리글리세릴-7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8 올레에이트, 폴리글리세릴-14 라우레이트.
본 발명자들은 PGE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존재하는 다른 계면활성제와 공-미셀화(co-micellize)되기에 충분히 소수성이어야 함을 알아내었다. 또한 PGE는 수 분산성이 되도록 충분히 친수성이어야 한다. 그러므로, 바람직하게는, x:n의 비는 약 2 미만이고 약 1 초과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PGE는 하기를 포함한다: 폴리글리세릴-10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코코에이트, 폴리글리세릴-11 코코에이트, 폴리글리세릴-12 코코에이트, 폴리글리세릴-10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11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12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10 팔미테이트, 폴리글리세릴-11 팔미테이트, 폴리글리세릴-12 팔미테이트, 폴리글리세릴-10 올레에이트, 폴리글리세릴-11 올레에이트, 폴리글리세릴-12 올레에이트, 폴리글리세릴-10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1 스테아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12 스테아레이트.
가장 바람직하게는, 하기 구조를 갖는 폴리글리세릴-10 라우레이트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존재한다:
Figure pat00010
(여기서, PG = 10개의 글리세린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글리세릴 부분이고, R은 C11H23임).
계면활성제
본 발명의 제3 요소는 음이온성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이다.
소정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적합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다음 부류의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된 것들을 포함한다: 알킬 설페이트,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 모노글리세릴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 설포네이트, 알킬아릴 설포네이트, 알킬 설포석시네이트, 알킬 에테르 설포석시네이트, 알킬 설포석신아메이트, 알킬 아미도설포석시네이트, 알킬 카르복실레이트, 알킬 아미도에테르카르복실레이트, 알킬 석시네이트, 지방 아실 사르코시네이트, 지방 아실 아미노산, 지방 아실 타우레이트, 지방 알킬 설포아세테이트, 알킬 포스페이트, 및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 소정의 바람직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에는:
알킬 설페이트
Figure pat00011
[여기서, R은 C8 - C24 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M+는 1가 양이온임. 예에는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R = C12 알킬, M+ = Na+),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R = C12 알킬, M+ = NH3 +), 및 소듐 코코-설페이트 (R = 코코넛 알킬, M+ = Na+)가 포함됨];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Figure pat00012
[여기서, R은 C8 - C24 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n은 1 내지 12이며, M+는 1가 양이온임. 예에는 소듐 라우레쓰 설페이트 (R = C12 알킬, M+ = Na+, n = 1 - 3), 암모늄 라우레쓰 설페이트 (R = C12 알킬, M+ = NH3 +, n = 1 - 3), 및 소듐 트라이데세쓰 설페이트 (R = C13 알킬, M+ = Na+, n = 1 - 4)가 포함됨];
알킬 모노글리세라이드 설페이트
Figure pat00013
[여기서, R은 C8 - C24 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M+는 1가 양이온임. 예에는 소듐 코코모노글리세라이드 설페이트 (RCO = 코코 아실, M+ = Na+) 및 암모늄 코코모노글리세라이드 설페이트 (RCO = 코코 아실, M+ = NH3 +)가 포함됨];
알킬 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014
[여기서, R은 C8 - C24 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M+는 1가 양이온임. 예에는 소듐 라우레이트 (R = C11H23, M+ = Na+) 및 포타슘 미리스테이트 (R = C13H27, M+ = K+)가 포함됨];
알킬 에테르 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015
[여기서, R은 C8 - C24 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n은 1 내지 20이고, M+는 1가 양이온임. 예에는 소듐 라우레쓰-13 카르복실레이트 (R = C12 알킬, M+ = Na+, n = 13), 및 소듐 라우레쓰-3 카르복실레이트 (R = C12 알킬, M+ = Na+, n = 3)가 포함됨];
장쇄 알파 올레핀의 설포네이트화에 의해 제조된 알파 올레핀 설포네이트. 알파 올레핀 설포네이트는 하기 알켄 설포네이트:
Figure pat00016
(여기서, R은 C8 - C18 알킬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M+는 1가 양이온임), 및 하기 하이드록시알킬 설포네이트:
Figure pat00017
(여기서, R은 C4 - C18 알킬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M+는 1가 양이온임)의 혼합물로 이루어짐. 예에는 소듐 C12-14 올레핀 설포네이트 (R = C8 - C10 알킬, M+ = Na+) 및 소듐 C14-16 올레핀 설포네이트 (R = C10 - C12 알킬, M+ = Na+)가 포함됨;
알킬 설포네이트 :
Figure pat00018
[여기서, R은 C8 - C24 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M+는 1가 양이온임. 예에는 소듐 C13-17 알칸 설포네이트 (R = C13 - C17 알킬, M+ = Na+) 및 소듐 C14-17 알킬 Sec 설포네이트 (R = C14 - C17 알킬, M+ = Na+)가 포함됨];
알킬아릴 설포네이트
Figure pat00019
[여기서, R은 C6 - C18 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M+는 1가 양이온임. 예에는 소듐 데세일벤젠설포네이트 (R = C10 알킬, M+ = Na+) 및 암모늄 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R = C12 알킬, M+ = NH3 +)가 포함됨];
알킬 글리세릴 에테르 설포네이트 :
Figure pat00020
[여기서, R은 C8 - C24 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M+는 1가 양이온임], 예를 들어 소듐 코코글리세릴 에테르 설포네이트 (R = 코코 알킬, M+ = Na+);
알킬 설포석시네이트
Figure pat00021
[여기서, R은 C8 - C20 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M+는 1가 양이온임], 예를 들어 다이소듐 라우릴 설포석시네이트 (R = 라우릴, M+ = Na+).
알킬 에테르 설포석시네이트
Figure pat00022
[여기서, R은 C8 - C20 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n은 1 내지 12이고, M+는 1가 양이온임], 예를 들어 다이소듐 라우레쓰 설포석시네이트 (R = 라우릴, n = 1 - 4, 및 M+ = Na+)
다이알킬 설포석시네이트
Figure pat00023
[여기서, R은 C6 - C20 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M+는 1가 양이온임], 예를 들어 다이에틸헥실 소듐 설포석시네이트 (R = 2-에틸헥실, M+ = Na+).
알킬아미도알킬 설포석시네이트
Figure pat00024
[여기서, R은 C8 - C20 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R'는 C2 - C4 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이고, M+는 1가 양이온임], 예를 들어 다이소듐 코크아미도 MIPA-설포석시네이트 (RCO = 코코 아실, R' = 아이소프로필, M+ = Na+).
알킬 설포석신아메이트
Figure pat00025
[여기서, R은 C8 - C20 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M+는 1가 양이온임], 예를 들어 다이소듐 스테아릴 설포석신아메이트 (R = 스테아릴, C18H37, M+ = Na+).
알파-설포 지방산 에스테르
Figure pat00026
[여기서, R은 C6 - C16 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R'는 C1 - C4 알킬이고, M+는 1가 양이온임], 예를 들어 소듐 메틸 2-설포라우레이트 (R = C10H21, R' = 메틸, CH3, 및 M+ = Na+).
알파-설포 지방산 염
Figure pat00027
[여기서, R은 C6 - C16 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M+는 1가 양이온임], 예를 들어 다이소듐 2-설포라우레이트 (R = C10H21, M+ = Na+).
알킬 설포아세테이트
Figure pat00028
[여기서, R은 C8 - C18 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M+는 1가 양이온임], 예를 들어 소듐 라우릴 설포아세테이트 (R = 라우릴, C12H25, M+ = Na+).
아실 이세티오네이트
Figure pat00029
[여기서, RCO는 C8 - C20 아실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R'는 H 또는 CH3이고, M+는 1가 양이온임], 예를 들어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 (RCO = 코코 아실, R' = H, M+ = Na+) 및 소듐 라우로일 메틸 이세티오네이트 (RCO = 라우로일, R' = CH3, M+ = Na+).
아실 락틸레이트
Figure pat00030
[여기서, RCO는 C8 - C20 아실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M+는 1가 양이온임], 예를 들어 소듐 라우로일 락틸레이트 (RCO = 라우로일, M+ = Na+).
아실 글리시네이트 및 아실 사르코시네이트
Figure pat00031
[여기서, RCO는 C8 - C20 아실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R'는 H (글리시네이트) 또는 CH3 (사르코시네이트)이고, M+는 1가 양이온임], 예를 들어 소듐 코코일 글리시네이트 (RCO = 코코 아실, R' = H, M+ = Na+), 암모늄 코코일 사르코시네이트 (RCO = 코코 아실, R' = CH3, M+ = NH4 +) 및 소듐 라우로일 사르코시네이트 (RCO = 라우로일, R' = CH3, M+ = Na+).
아실 글루타메이트
Figure pat00032
[여기서, RCO는 C8 - C20 아실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R'는 H 또는 CH3이고, M+는 1가 양이온임], 예를 들어 다이소듐 코코일 글루타메이트 (RCO = 코코 아실, R' = H, M+ = Na+) 및 다이소듐 라우로일 글루타메이트 (RCO = 라우로일, R' = H, M+ = Na+).
아실 아스파르테이트
Figure pat00033
[여기서, RCO = C8 - C20 아실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R'는 H 또는 CH3이고, M+는 1가 양이온임], 예를 들어 다이소듐 N-라우로일 아스파르테이트 (RCO = 라우로일, R' = H, M+ = Na+).
아실 타우레이트
Figure pat00034
[여기서, RCO는 C6 - C20 아실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R'는 H 또는 CH3이고, M+는 1가 양이온임], 예를 들어 다이소듐 코코일 글루타메이트 (RCO = 코코 아실, R' = H, M+ = Na+) 및 다이소듐 라우로일 글루타메이트 (RCO = 라우로일, R' = H, M+ = Na+).
알킬 포스페이트
Figure pat00035
[여기서, R은 C6 - C20 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M+는 1가 양이온임], 예를 들어 포타슘 라우릴 포스페이트 (R = 라우릴, C12H25, M+ = K+) 및 포타슘 C12-13 알킬 포스페이트 (R = C12 - C13 알킬, M+ = K+)
소듐 라우릴 글루코사이드 카르복실레이트, 다이소듐 코코-글루코사이드 시트레이트, 소듐 코코-글루코사이드 타르트레이트, 다이소듐 코코-글루코사이드 설포석시네이트, 소듐 코코글루코사이드 하이드록시프로필설포네이트, 소듐 데실글루코사이드 하이드록시프로필설포네이트, 소듐 라우릴글루코사이드 하이드록시프로필설포네이트, 소듐 하이드록시프로필설포네이트 코코글루코사이드 교차중합체(Crosspolymer), 소듐 하이드록시프로필설포네이트 데실글루코사이드 교차중합체, 소듐 하이드록시프로필설포네이트 라우릴글루코사이드 교차중합체를 포함하는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APG)의 음이온성 유도체; 및 음이온성 중합체성 APG 유도체, 예를 들어 오'레닉(O'Lenick)의 미국 특허 제7,507,399호; 미국 특허 제7,375,064호; 및 미국 특허 제7,335,627호에 개시된 것, 및 이들 중 둘 이상의 배합물 등.
양쪽성 계면활성제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양쪽성"은 1) 예를 들어, 아미노(염기성) 및 산(예를 들어, 카르복실산, 산성) 작용기 둘 모두를 포함하는 아미노산과 같이, 산성 부위 및 염기성 부위 둘 모두를 포함하는 분자; 또는 2) 양전하와 음전하 둘 모두를 동일한 분자 내에 보유하는 쯔비터이온성 분자를 의미할 것이다. 후자의 전하는 조성물의 pH에 의존적일 수 있거나 아니면 독립적일 수 있다. 쯔비터이온성 물질의 예는 알킬 베타인 및 아미도알킬 베타인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반대 이온 없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pH 조건 하에서,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양전하와 음전하의 균형을 이루어서 전기적으로 중성이거나, 아니면 반대 이온,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알칼리토, 또는 암모늄 반대 이온을 갖는다는 것을 쉽게 인지할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예는, 암포카르복실레이트, 예를 들어, 알킬암포아세테이트 (모노 또는 다이); 알킬 베타인; 아미도알킬 베타인; 아미도알킬 설타인; 암포포스페이트; 포스포릴화된 이미다졸린, 예를 들어, 포스포베타인 및 파이로포스포베타인; 카르복시알킬 알킬 폴리아민; 알킬이미노-다이프로피오네이트; 알킬암포글리시네이트 (모노 또는 다이); 알킬암포프로프리오네이트 (모노 또는 다이); N-알킬 β-아미노프로프리온산; 알킬폴리아미노 카르복실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적합한 암포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의 예는 하기 화학식의 것들을 포함한다:
A-CONH(CH2)xN+R5R6 R 7
여기서,
A는 약 7 내지 약 21개, 예를 들어, 약 10 내지 약 1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또는 알케닐 기이고;
x는 약 2 내지 약 6의 정수이고;
R5는 수소이거나, 또는 약 2 내지 약 3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카르복시알킬 기이고;
R6은 약 2 내지 약 3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하이드록시알킬 기이거나, 또는 하기 화학식의 기이고:
R8-O-(CH2)nCO2 -
(여기서,
R8은 약 2 내지 약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렌 기이고 n은 1 또는 2임);
R7은 약 2 내지 약 3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카르복시알킬 기이다.
적합한 알킬 베타인의 예는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B-N+R9R10(CH2)pCO2 -
여기서,
B는 약 8 내지 약 22개, 예를 들어, 약 8 내지 약 1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또는 알케닐 기이고;
R9 및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약 1 내지 약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 기이고;
p는 1 또는 2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베타인은 영국 웨스트 미들랜즈 소재의 알브라이트 앤드 윌슨, 리미티드(Albright & Wilson, Ltd)로부터 "엠피겐(Empigen) BB/J"로 구매가능한, 라우릴 베타인이다.
적합한 아미도알킬 베타인의 예는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D-CO-NH(CH2)q-N+R11R12(CH2)mCO2 -
여기서,
D는 약 7 내지 약 21개, 예를 들어, 약 7 내지 약 1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또는 알케닐 기이고;
R11 및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약 1 내지 약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 기이고;
q는 약 2 내지 약 6의 정수이고; m은 1 또는 2이다.
한 가지의 아미도알킬 베타인은 미국 버지니아주 호프웰 소재의 골드슈미트 케미칼 코포레이션(Goldschmidt Chemical Corporation)으로부터, 상표명 "테고베타인(Tegobetaine) L7"로 구매가능한, 코크아미도프로필 베타인이다.
적합한 아미도알킬 설타인의 예는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Figure pat00036
여기서,
E는 약 7 내지 약 21개, 예를 들어, 약 7 내지 약 1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또는 알케닐 기이고;
R14 및 R15는 각각 독립적으로, 약 1 내지 약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 기이고;
r은 약 2 내지 약 6의 정수이고;
R13은 약 2 내지 약 3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렌 또는 하이드록시알킬렌 기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아미도알킬 설타인은 미국 뉴저지주 크랜버리 소재의 론-풀렝크 인크.(Rhone-Poulenc Inc.)로부터 상표명 "미라타인(Mirataine) CBS"로 구매가능한 코크아미도프로필 하이드록시설타인이다.
적합한 암포포스페이트 화합물의 예는 하기 화학식의 것들을 포함한다:
Figure pat00037
여기서,
G는 약 7 내지 약 21개, 예를 들어, 약 7 내지 약 1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또는 알케닐 기이고;
s는 약 2 내지 약 6의 정수이고;
R16은 수소이거나, 또는 약 2 내지 약 3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카르복시알킬 기이고;
R17은 약 2 내지 약 3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하이드록시알킬 기이거나, 또는 하기 화학식의 기이고:
R19-O-(CH2)t-CO2 -(여기서, R19는 약 2 내지 약3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렌 또는 하이드록시알킬렌 기이고 t는 1 또는 2임);
R18은 약 2 내지 약 3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렌 또는 하이드록시알킬렌 기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암포포스페이트 화합물은 미국 뉴저지주 소재의 모나 인더스트리즈 오브 패터슨(Mona Industries of Paterson)으로부터 상표명 "모나테릭(Monateric) 1023"으로 구매가능한 소듐 라우로암포 PG-아세테이트 포스페이트, 및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미국 특허 제4,380,637호에 개시된 것들이다.
적합한 포스포베타인의 예는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Figure pat00038
여기서, E, r, R1, R2 및 R3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다. 일 실시 형태에서, 포스포베타인 화합물은 모두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미국 특허 제4,215,064호, 제4,617,414호, 및 제4,233,192호에 개시된 것들이다.
적합한 파이로포스포베타인의 예는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Figure pat00039
여기서, E, r, R1, R2 및 R3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다. 일 실시 형태에서, 파이로포스포베타인 화합물은 모두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미국 특허 제4,382,036호, 제4,372,869호, 및 제4,617,414호에 개시된 것들이다.
적합한 카르복시알킬 알킬폴리아민의 예는 하기 화학식의 것들을 포함한다:
Figure pat00040
여기서,
I는 약 8 내지 약 22개, 예를 들어, 약 8 내지 약 16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 또는 알케닐 기이고;
R22는 약 2 내지 약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카르복시알킬 기이고;
R21은 약 2 내지 약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렌 기이고,
u는 약 1 내지 약 4의 정수이다.
임의의 적합한 양의 중합체성 물질, PGE 및 음이온성 및/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 중 중합체성 물질의 활성량(active amount)을 기준으로) 약 0.02 중량% 초과 내지 약 5 중량%의 중합체성 물질을 포함하고, 이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고, 이로 이루어진다. 소정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조성물은 약 0.1 내지 약 3 중량%의 중합체성 물질,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2 중량%의 중합체성 물질, 및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약 1.2 중량%의 중합체성 물질을 포함한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 중 계면활성제(들)의 총 활성량을 기준으로 약 1.5 중량% 초과 내지 약 15 중량% 미만의 전체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이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고, 이로 이루어진다. 소정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조성물은 약 2 내지 약 7 중량%의 전체 계면활성제 (양쪽성 또는 음이온성 또는 이들의 배합물)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제형은 약 1.5 내지 약 5 중량%의 전체 계면활성제를 갖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용한 비-가교결합된 선형 아크릴 공중합체는 당업계에 알려진 자유 라디칼 중합 기술을 통하여 합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 사용되는 제1 단량체 성분의 양 대 제2 단량체 성분의 양은 중합 매질 중 모든 단량체들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20:80 중량% 내지 약 50:50 중량%의 범위이다. 다른 태양에서 제1 단량체 성분 대 제2 단량체 성분의 중량비는 중합 매질 중 모든 단량체들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35:65 중량%이며, 다른 태양에서 제1 단량체 성분 대 제2 단량체 성분의 중량비는 중합 매질 중 모든 단량체들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25:75 중량%이다.
생성된 세정 조성물뿐만 아니라, 본 방법에 따른 배합 단계에서 배합되는 중합체성 물질, PGE 및 적어도 하나의 음이온성 및/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임의의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양쪽성, 비이온성 및/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진주광택제(pearlescent) 또는 불투명화제, 증점제, 이차 컨디셔너(secondary conditioner), 습윤제, 킬레이팅제, 및 조성물의 외관, 감촉 및 향을 증진시키는 첨가제, 예를 들어, 착색제, 방향제, 방부제, pH 조절제 등을 비배타적으로 포함하는 임의의 다양한 다른 성분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모발에 광택과 같은 추가적인 특질을 부여하는 휘발성 실리콘과 같은 임의의 다양한 구매가능한 이차 컨디셔너가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일 실시 형태에서, 휘발성 실리콘 컨디셔닝제는 대기압 비점이 약 220℃ 미만이다. 휘발성 실리콘 컨디셔너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0% 내지 약 3%, 예를 들어 약 0.25% 내지 약 2.5% 또는 약 0.5% 내지 약 1.0%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적합한 휘발성 실리콘의 예에는 비배타적으로 폴리다이메틸실록산, 폴리다이메틸사이클로실록산, 헥사메틸다이실록산, 사이클로메티콘 유체, 예컨대 미국 미시간주 미들랜드 소재의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Dow Corning Corporation)으로부터 상표명 "DC-345"로 구매가능한 폴리다이메틸사이클로실록산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로메티콘 유체가 포함된다.
개인 세정 조성물에 보습 및 컨디셔닝 특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다양한 구매가능한 습윤제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습윤제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0% 내지 약 10%, 예를 들어 약 0.5% 내지 약 5% 또는 약 0.5 내지 약 3%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적합한 습윤제의 예에는 비배타적으로 1)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용성 액체 폴리올; 2) 화학식: HO-(R"O)b-H(여기서, R"는 약 2개 내지 약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렌 기이며, b는 약 2 내지 약 10의 정수임)의 폴리알킬렌 글리콜; 3) 화학식 CH3-C6H10O5-(OCH2CH2)c-OH(여기서, c는 약 5 내지 약 25의 정수임)의 메틸 글루코스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4) 우레아; 및 5)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되며, 글리세린이 바람직한 습윤제이다.
적합한 킬레이팅제의 예에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보호 및 보존할 수 있는 것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킬레이팅제는 에틸렌다이아민 테트라아세트산 ("EDTA")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미국 미시간주 미들랜드 소재의 다우 케미칼 컴퍼니(Dow Chemical Company)로부터 상표명 "베르센(Versene) 100XL"로 구매가능한 테트라소듐 EDTA이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 내지 약 0.5% 또는 약 0.05% 내지 약 0.25%의 양으로 존재한다.
적합한 방부제에는 유기산 방부제가 포함되며, 벤조산 및 이의 알칼리 금속염 및 암모늄염 (예를 들어, 벤조산나트륨), 소르브산 및 이의 알칼리 금속염 및 암모늄염 (예를 들어, 소르브산칼륨), p-아니스산 및 이의 알칼리 금속염 및 암모늄염, 및 살리실산 및 이의 알칼리 금속염 및 암모늄염이 포함될 수 있다. 조성물의 pH는 임의의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유기산 또는 무기산, 예를 들어 시트르산, 아세트산, 글리콜산, 락트산, 말산, 타르타르산, 또는 염산을 사용하여 적정한 산가(acidic value)로 조절될 수 있다.
벤조산나트륨이 방부제로서, 조성물을 보존하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 내지 약 0.5%로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소르브산칼륨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 내지 약 0.6%,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3 내지 약 0.5%의 양으로 본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는 다른 방부제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한 배합 단계 이전에, 이후에 또는 그와 동시에 상기한 하나 이상의 선택적인 성분을 중합체성 물질 및/또는 음이온성 및/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과 혼합하거나 그로 도입하기 위한 임의의 다양한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소정 실시 형태에서는 혼합 순서가 중요하지 않지만,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중합체성 물질 및/또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방향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같은 소정 성분들을 첨가하기 전에 그러한 성분들을 예비 블렌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정 방법은 예를 들어 거품 생성, 헹굼 단계 등을 포함하는, 모발 및 피부의 세정과 통상적으로 관련된 임의의 다양한 추가적인 선택 단계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임의의 특정 작동 이론에 의해 또는 그러한 이론으로 제한되는 것을 원하지 않지만, 저분자량의 소수성으로 개질된 중합체(hm-polymer)와 결합된 계면활성제가 미셀로서 존재하는 계면활성제보다 더 안정한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미셀 구조 중에 포함된 계면활성제는 저분자량 소수성으로 개질된 중합체와 결합되는 경우보다 더 빠르게 미셀 밖으로 분산된다.
저분자량의 소수성으로 개질된 중합체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방법에 유용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전술한 정보는 미국 특허 공개 제2008/0112913호, 제2006/0257348호, 및 제20070111910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 모두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예시적으로 개시된 본 발명의 방법 및 조성물은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지 않은 임의의 구성요소, 성분, 또는 단계의 부재 하에 적합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성 및 본 발명을 수행하는 방법을 추가로 예시하기 위해서 몇몇 실시예가 하기에 기재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의 상세 사항으로 제한되는 것으로 여겨져서는 안된다.
방법
평형 장력측정 시험
장력측정 시험을 사용하여 특정한 소수성으로 개질된 물질이 계면활성제를 그에 결합시키는 데 대한 적합성을 결정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 용액의 평형 표면장력, γeq를 측정하는 방법은 빌헬미(Wilhelmy) 플레이트 방법 (문헌[Holmberg, K.; Jonsson, B.; Kronberg, B.; Lindman, B. Surfactants and Polymers in Aqueous Solution, Wiley & Sons, p. 347])이다. 이 방법에서는, 플레이트를 액체에 잠기게 하고 액체에 의해 플레이트에 가해지는 하향력(downward force)을 측정한다. 그 다음, 플레이트에 대한 힘 및 플레이트의 치수에 기초하여 액체의 표면장력을 결정할 수 있다. 그 다음, 일정 범위의 농도에 걸쳐 표면장력을 측정함으로써 임계 미셀 농도(CMC)를 결정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는, 백금 빌헬미 플레이트를 갖는 크루스(Kruss) K100 장력측정계(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매튜스 소재의 크루스 유에스에이(Kruss USA))를 사용하여 일정 범위의 농도에 걸쳐 각각의 샘플의 평형 표면장력을 결정하였다. 샘플 용기는 일부 초기 용액을 수용하며 여기에서 빌헬미 플레이트가 표면장력을 측정한다. 그 다음, 제2 용액을 샘플 용기에 투여하고, 교반하고, 이어서 빌헬미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다시 시험한다.
분자량 결정
중합체 샘플의 수 평균 (Mn)을 폴리머 래보러터리즈(Polymer Laboratories)에서 제조된 PL-220 고온 GPC 기기를 사용하는 GPC 방법을 통해 결정한다. 상기 기기를 워터스 엠파워(Waters Empower) Pro LC/GPC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컴팩 델 옵티플렉스(Compaq Dell OptiPlex) GX270 컴퓨터와 통합한다. 대략 0.02 g의 중합체 샘플을 250 ppm BHT 및 0.05몰 NaNO3을 함유하는, 다이메틸 아세트아미드(DMAc) 5㎖에 용해시킨다. 시험 샘플 용액을 약 2시간 동안 부드럽게 진탕하고 0.45 ㎛ PTFE 일회용 디스크 필터로 여과한다. 크로마토그래피 조건은 다음과 같다:
이동상: 250 ppm BHT 및 0.05 m NaNO3을 갖는, DMAc, 70℃, 1.0 ㎖/min.
샘플 크기: 100 ㎕
컬럼 세트: PLgel (가드(Guard) + 2 x 믹스드(Mixed)-B), 모두 10 ㎛, 병렬
검출기: 굴절률 검출기
보정 표준물: PMMA
시험관내 피부 등가물을 통한 피부 자극 가능성 시험:
시험관내 피부 등가물은 인간 피부 모델로서 입증되어 있으며, 피부에 대한 계면활성제 및 다른 소비자 제품의 시험관내 및 생체내 영향 사이의 상관성을 효과적으로 나타낸다. 매트테크 코포레이션(MatTek Corporation)에 의해 제공되는 에피덤(EpiDerm™) 피부 모델을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목표 세포는 인간 피부로부터 유래한 상피이다. 시험 물질을 공기 계면에서 배양 표면에 직접 도포하여, 희석되지 않은 것 및/또는 최종 용도 희석물을 직접 시험할 수 있다.
이 연구에 사용되는 실험 설계는 한 가지 사이토카인의 방출을 결정하는 확정적인 분석으로 이루어진다. (MTT 환원법에 의해 측정시) 조직 생존능력이 음성 대조군 조직과 비교하여 50%만큼 감소하지 않은 경우에, 염증 가능성을 사이토카인 IL-1α의 합성/방출에 의해 측정한다.
처리 상(phase)에서는, 각각의 희석된 시험 제품에 대해 6개의 피부 등가물을 사용하며, 각각의 결과를 평균하여 전체 반응을 얻는다. 100 ㎕를 각각의 등가물에 도포하여, 희석된 제품 (10% 희석)에 1시간 동안 노출시킨 다음, Ca, Mg가 없는 PBS 용액으로 5회 헹군다. 각각의 헹굼을 위해 분석 배지를 갖는 6 웰 트레이에 각각의 조직을 넣고 24시간 동안 다시 인큐베이팅한다. 인큐베이팅 후에 IL-1α의 사이토카인 반응에 대해 조직을 평가한다.
거품 부피 시험:
소비자 제품의 거품 생성을 측정하기 위한 산업적으로 허용되는 수단은 시타(Sita) 거품 시험기 R-2000(독일 드레스덴 소재의 시타 메스테크니크 게엠베하(SITA Messtechnik GmbH))이다. 거품 생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특별히 설계된, 시타 거품 시험기는 재킷형 샘플 용기와 교반기로 이루어진다. 경수의 수돗물을 나타내기 위하여, 0.36 g의 염화칼슘을 995 g의 탈이온수에 용해시킨다. 5 그램의 시험 포뮬러를 이 용액에 첨가하고 균질해질 때까지 혼합한다. 그 다음, 시험 포뮬러의 이러한 0.5% 희석액을 시타 거품 측정기의 보유 탱크에 넣는다. 각각의 실험 진행 동안, 250 ㎖의 용액을 시험 용기에 도입하고 30℃ ±2℃가 되게 한다. 교반기를 1200 rpm 또는 900 rpm에서 15초 동안 회전시킨 다음, 거품 부피를 측정한다. 총 12 사이클 동안 교반을 반복한다. 각각의 시험 샘플에 대해 3회 거품 발생 시험을 행한다.
경상피(Trans-Epithelial) 투과성 시험 ("TEP 시험"):
하기 경상피 투과성 ("TEP") 및 장력측정 시험을 본 발명의 방법 및 하기 실시예에 사용한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TEP 시험을 사용하여 어떠한 경우에 조성물이 본 발명에 따른 감소된 자극의 조성물이 되는 지를 결정한다.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문헌[Invittox Protocol Number 86 (May 1994)]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인비톡스 프로토콜(Invittox Protocol) 제86호, "경상피 투과성 (TEP) 분석"에 따라 소정 제형에 대해 예상되는 눈 및/또는 피부의 자극을 측정한다. 일반적으로, 제품의 눈 및/또는 피부 자극 가능성은, 층을 통과하는 플루오레세인의 누출에 의해 평가되는 것과 같은, 세포 층의 투과성에 대한 그의 영향을 결정하여 평가할 수 있다. 마딘-다비 개 신장 (Madin-Darby canine kidney; MDCK) 세포의 단층을, 하부 웰 내에 배지 또는 분석 완충액을 포함하는 24-웰 플레이트에서 미세다공성 삽입물에 컨플루언스(confluence)로 성장시킨다. 제품의 자극 가능성은 제품의 희석액에 15분 노출 후 세포 단층에서 투과 장벽에 대한 손상을 측정함으로써 평가한다. 장벽 손상은 분광광도법으로 측정되는 바와 같이, 30분 후 하부 웰로 누출되는 나트륨 플루오레세인의 양에 의해 평가한다. 플루오레세인 누출을 시험 물질의 농도에 대해 플롯팅하여, EC50 (최대 염료 누출의 50%, 즉 투과 장벽에 대한 50% 손상을 유발하는 시험 물질의 농도)을 결정한다. 점수가 높을수록 더 순한 제형을 나타낸다.
미세다공성 막에서 성장된 MDCK 세포 층의 시험 샘플에 대한 노출은 자극물이 눈과 접촉할 때 발생하는 첫 번째 사건에 대한 모델이다. 생체 내에서, 각막 상피의 최외각 층은 세포 사이의 밀착 연접(tight junction)의 존재로 인해 선택적으로 투과성인 장벽을 형성한다. 자극물에 노출시, 밀착 연접은 분리되어, 투과 장벽을 제거한다. 유체는 상피의 하부층 및 간질에 흡수되어, 콜라겐 라멜라가 분리되게 하며, 그 결과로 불투명해진다. TEP 분석은 미세다공성 삽입물에서 성장된 MDCK 세포의 층에서 세포들 사이의 밀착 연접의 파괴에 대한 자극물의 영향을 측정한다. 손상은 세포 층 및 미세다공성 막을 통해 하부 웰로 누출되는 마커 염료(나트륨 플루오레세인)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분광광도법으로 평가한다.
실시예 1
비교예 C1 내지 비교예 C6: 세정 조성물의 제조: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순함 용량 반응(Mildness Dose Response)
표 1에 열거된 물질 및 양을 사용하여 하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C1 내지 C6의 세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pat00041
표 1의 각각의 조성물을 하기와 같이 독립적으로 제조하였다: 물(50.0 부)을 비이커에 첨가하였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을 위해, 혼합하면서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카보폴 아쿠아 (Carbopol Aqua) SF-1, 미국 오하이오주 소재의 루브리졸(Lubrizol))를 물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혼합하면서 여기에 PEG-80 소르비탄 라우레이트를 첨가한 다음, 각각의 개별 생성 혼합물이 균질해질 때까지 혼합하면서 여기에 독립적으로 하기 성분을 첨가하였다: 코크아미도프로필 베타인, 소듐 트라이데세쓰, 다이소듐 라우로암포다이아세테이트, 글리세린, 폴리쿼터늄-10, 쿼터늄-15, 및 테트라소듐 EDTA. 이어서,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약 6.3 내지 6.6의 최종 pH가 얻어질 때까지, 생성된 용액의 pH를 조정하였다. 이어서, 여기에 잔량의 물을 첨가하였다.
세정 조성물들의 TEP 시험 순함 비교: 비교예 C1 내지 비교예 C6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들을 이어서 상기 TEP 시험에 따라 순함에 대해 시험하였다. 표 2는 각각의 예의 조성물의 TEP 값을 열거한다:
[표 2]
Figure pat00042
HMP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계면활성제 시스템에 첨가하는 것이 TEP 시험 결과를 증가시키며 (C2와 비교하여 C1), 이는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첨가에 의해 계면활성제 시스템이 더 순해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비교예 C2 내지 비교예 C6에서는,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농도가 증가하고, TEP 시험 결과는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농도의 증가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지 않는다. TEP 시험 결과의 증가는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평탄역을 겪으며, 높은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농도에서는 계면활성제 시스템의 순함을 개선하는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효능이 손실된다.
HMP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TEP 시험에 의해 측정되는 것과 같은 순함의 개선이 대략 0.27% HMP에서 평탄역에 근접하였다.
비교예 C7 내지 비교예 C18: HMP 용액의 제조: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장력측정 용량 반응
하기 예는 계면활성제를 결합시키는 2가지 HMP의 효능을 나타낸다.
표 3에 열거된 물질 및 양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C7 내지 C18의 세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3]
Figure pat00043
표 3의 조성물들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HPLC 등급 물 (50.0 부)을 용기에 첨가하였다. 혼합하면서, 존재한다면, 중합체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물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20%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필요한 대로) 사용하여 약 6.8의 최종 pH가 얻어질 때까지, 생성된 용액 각각의 pH를 조정하였다. 이어서, 여기에 잔량의 물을 첨가하였다.
표 3의 조성물들을 계면활성제 소듐 트라이데세쓰 설페이트 (TDES)와 함께 평형 장력측정 시험을 사용하여 임계 미셀 농도 (CMC) 값에 대해 시험하였다. 임의의 HMP가 없는 필적하는 조성물 (즉, 물)에 대한 CMC에 기초하여 각각의 조성물에 대한 델타 CMC를 계산하였고, 그러한 값을 중합체가 그에 계면활성제를 결합시키는 (그리고 자극을 감소시키는) 효능의 예시로서 표 4에 나타낸다.
[표 4]
Figure pat00044
2가지 HMP,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둘 모두가 CMC 또는 ΔCMC의 증가를 나타내며, 이는 HMP에 대한 계면활성제의 결합을 시사한다. HMP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HMP에 대한 계면활성제의 결합의 효능은 감소한다. 더 많은 HMP가 계면활성제 시스템에 첨가됨에 따라 순함의 이점이 감소된다.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 대한 계면활성제의 결합은 약 250 ㎎/L의 중합체에서 평탄역을 이루며,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 대한 계면활성제의 결합은 약 750 ㎎/L의 중합체에서 평탄역을 이룬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HMP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TEP 시험에 의해 측정되는 것과 같은 순함의 개선이 대략 0.27% HMP에서 평탄역에 근접하였다. HMP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평형 장력측정 시험에 의해 측정되는 것과 같은 순함의 개선이 대략 250 ㎎/L, 또는 약 0.025% HMP에서 평탄역에 근접하였다. TEP 시험은 희석 기반 시험이다; 제형을 0% 내지 15%에서 시험하며 따라서 두 시험에서 보고된 활성제 농도는 10배만큼 다르다. 이는 또한, TEP 시험 및 평형 장력측정 시험 둘 모두가 동일 농도 범위에서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평탄역을 나타내도록 수행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HMP인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평형 장력측정 시험에 의해 측정되는 것과 같은 순함의 개선이 약 0.075% HMP인, 대략 750 ㎎/L에서 평탄역에 근접한다. 이는 TEP 시험 및 피부 자극 가능성 시험과 같은 희석 기반 시험에서의 0.75% HMP와 동등하다.
실시예 2
비교예 C19 내지 비교예 C22: 세정 조성물의 제조: 폴리글리세롤-10 라우레이트 순함 용량 반응
표 5에 열거된 물질 및 양을 사용하여 실시예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C19 내지 C22의 세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5]
Figure pat00045
표 5의 각각의 조성물을 하기와 같이 독립적으로 제조하였다: 물(50.0 부)을 비이커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각각의 개별 생성 혼합물이 균질해질 때까지 혼합하면서 여기에 독립적으로 하기 성분을 첨가하였다: 폴리글리세롤-10 라우레이트, 그리고 용액을 70℃로 가열하였다. 약 15분 혼합 후에, 냉각을 시작하였다. 이어서, 요청된 대로,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코크아미도프로필 베타인, 소르브산칼륨, 글리세린 및 방향제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6.0의 원하는 최종 pH가 얻어질 때까지 수산화나트륨 또는 시트르산의 20% 용액을 사용하여, 생성된 용액의 pH를 조정하였다. 이어서, 여기에 잔량의 물을 첨가하였다.
세정 조성물의 TEP 시험 순함 비교: 비교예 C19 내지 C22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들을 이어서 상기 TEP 시험에 따라 순함에 대해 시험하였다. 표 6은 각각의 예의 조성물의 TEP 값을 열거한다:
[표 6]
Figure pat00046
폴리글리세롤-10 라우레이트를 계면활성제 시스템에 첨가하는 것이 TEP 시험 결과를 증가시키며 (C20과 비교하여 C19), 이는 폴리글리세롤-10 라우레이트의 첨가에 의해 계면활성제 시스템이 더 순해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비교예 C20 내지 비교예 C22에서는, 폴리글리세롤-10 라우레이트의 농도가 증가하고, TEP 시험 결과는 폴리글리세롤-10 라우레이트 농도의 증가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지 않는다. TEP 시험 결과의 증가는 폴리글리세롤-10 라우레이트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평탄역을 겪으며; 높은 폴리글리세롤-10 라우레이트 농도에서는 계면활성제 시스템의 순함을 개선하는 폴리글리세롤-10 라우레이트의 효능이 손실된다.
다수의 계면활성제 기반 시스템에서, 0.5% PG-10 라우레이트로 달성되는 것보다 더 큰 순함의 개선이 필요하다. 이는 더 높은 농도의 PG-10 라우레이트의 첨가에 의해 달성되지 않는다. 폴리글리세롤-10 라우레이트는 순함의 개선이 대략 0.5% PG-10 라우레이트에서 평탄역에 근접한다.
실시예 3
비교예 C23 내지 비교예 C25, 및 본 발명의 실시예 E1: 세정 조성물의 제조
표 7에 열거된 물질 및 양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C23 내지 C25 및 E1의 세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7]
Figure pat00047
비교예 C23 내지 C25 및 본 발명의 실시예 E1에 대하여 TEP 시험을 사용하여 EC50을 측정하였다.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없고 폴리글리세롤-10 라우레이트가 없는 플라시보인 C23에 대한 EC50 값을 C24 내지 C25 및 E1에 대한 EC50 값으로부터 제하였다. 차이는 도 1에 나타나있다.
도 1에서, 0.5% PG-10 라우레이트의 첨가는 플라시보와 비교하여 TEP 시험에서 EC50을 증가시키며(C24), 0.9%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첨가는 플라시보와 비교하여 TEP 시험에서 EC50을 증가시킨다(C25). 실시예 1 및 실시예 2로부터, 각각 0.5% 및 0.9%를 초과하는 PG-10 라우레이트 또는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농도에서, 순함은 농도 증가에 비례하여 증가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다. 놀랍게도, 각각 1.0% 및 0.9%의 PG-10 라우레이트 및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배합은 TEP 시험에서 EC50의 추가적인 증가를 제공한다 (E1). 이러한 순함의 증가는, 두 성분 모두가 단독으로 사용 시에는 효능이 손실되는 수준보다 크거나 거의 그러한 수준인 농도일 때 달성된다.
실시예 4
비교예 C26 내지 비교예 C29 및 본 발명의 실시예 E2 내지 실시예 E5: 세정 조성물의 제조: 다중 계면활성제 시스템에서 PG-10 라우레이트 및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배합을 사용한 순함
표 8에 열거된 물질 및 양에 따라 C26 내지 C29 및 E2 내지 E5의 세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제형에 대한 피부 자극 가능성 시험의 결과가 또한 표 8에 나타나있다.
[표 8]
Figure pat00048
표 8의 각각의 조성물을 하기와 같이 독립적으로 제조하였다: 물(50.0 부)을 비이커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각각의 개별 생성 혼합물이 균질해질 때까지 혼합하면서 여기에 독립적으로 하기 성분을 첨가하였다: 요청된 대로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교차중합체를 첨가하고, 20%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약 7.0으로 조정하였다. 이어서, 요청된 대로 폴리글리세롤-10 라우레이트를 첨가하고, 용액을 70℃로 가열하였다. 약 15분 혼합 후에, 냉각을 시작하였다. 이어서, 요청된 대로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또는 소듐 아이소트라이데실 알코올 설페이트 또는 소듐 C14-16 올레핀 설포네이트, 및 코크아미도프로필 베타인 또는 코크아미도프로필 하이드록시설타인 또는 다이소듐 라우로암포다이아세테이트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hm-중합체인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미국 오하이오주 브렉스빌 소재의 루브리졸)를 첨가하고, 20%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약 7.0으로 조정하였다. 이어서, 요청된 대로, 소르브산칼륨 또는 벤조산나트륨 또는 페녹시에탄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 글리세린, 염화나트륨, 및 방향제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수산화나트륨 또는 시트르산의 20% 용액을 사용하여, 4.8 (벤조산나트륨), 6.0 (소르브산칼륨), 또는 7.0 (페녹시에탄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의 원하는 최종 pH가 얻어질 때까지, 생성된 용액의 pH를 조정하였다. 이어서, 여기에 잔량의 물을 첨가하였다.
각각의 제형에 대한 피부 자극 가능성 시험의 결과가 또한 표 8에 나타나있다. 표 8의 모든 제형, 비교예 및 본 발명의 실시예는 0.3%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함유한다. IL-1α 농도의 절대값은 베이스 계면활성제 시스템에 따라 상이하다. 적어도 하나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시스템 모두에서 PG-10 라우레이트의 첨가로 인해 IL-1α의 농도가 감소하며, 이는 PG-10 라우레이트의 첨가 및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의 배합으로 인해 순함이 추가로 증가됨을 나타낸다 (E2 내지 E4).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일부 블렌드와 같이 계면활성제 베이스가 전통적으로 더 순한 경우 (E5), PG-10 라우레이트가 제형의 순함에 미치는 영향은 더 적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실시예 E6 내지 실시예 E7: 세정 조성물의 제조: 고농도로 PG-10 라우레이트와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배합을 사용한 순함
표 9에 열거된 물질 및 양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E6 내지 E7의 세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제형에 대한 피부 자극 가능성 시험의 결과가 또한 표 9에 나타나있다.
[표 9]
Figure pat00049
표 9의 각각의 조성물을 하기와 같이 독립적으로 제조하였다: 물(50.0 부)을 비이커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각각의 개별 생성 혼합물이 균질해질 때까지 혼합하면서 여기에 독립적으로 하기 성분을 첨가하였다: 폴리글리세롤-10 라우레이트를 첨가하고 용액을 70℃로 가열하였다. 이어서, 코코-베타인, 다이소듐 라우로암포다이아세테이트, hm-중합체인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미국 오하이오주 브렉스빌 소재의 루브리졸)를 첨가하고, 20%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약 pH 7.0으로 조정하고, 이어서 요청된 대로, 소르브산칼륨, 글리세린 및 방향제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6.0의 원하는 최종 pH가 얻어질 때까지 수산화나트륨 또는 시트르산의 20% 용액을 사용하여, 생성된 용액의 pH를 조정하였다. 이어서, 여기에 잔량의 물을 첨가하였다.
각각의 제형에 대한 피부 자극 가능성 시험의 결과가 또한 표 9에 나타나있다. 표 9의 모든 제형은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폴리글리세롤-10 라우레이트를 표 8에서 상기에 나타낸 것과 유사한 농도로 포함한다. 실시예 E7은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폴리글리세롤-10 라우레이트 둘 모두를 실시예 E6보다 훨씬 더 큰 농도로 포함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약 0.75%의 평탄역 농도를 초과하는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농도 증가는 순함의 비례하는 증가를 제공하지 않는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약 0.5%의 평탄역 농도를 초과하는 폴리글리세롤-10 라우레이트의 농도 증가는 순함의 비례하는 증가를 제공하지 않는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PG-10 라우레이트와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배합은 순함의 증가를 제공한다. 놀랍게도, PG-10 라우레이트와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배합은 그들의 평탄역 농도보다 훨씬 더 높은 농도에서, 피부 자극 가능성 시험에 의해 측정되는 것과 같은 순함의 상당한 증가를 제공한다 (E7).
실시예 6
비교예 C30 및 본 발명의 실시예 E6 내지 실시예 E9: 세정 조성물의 제조: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PGE
표 10에 열거된 물질 및 양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C33 내지 C34 및 E8 내지 E12의 세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0]
Figure pat00050
표 10의 각각의 조성물을 하기와 같이 독립적으로 제조하였다: 물(50.0 부)을 비이커에 첨가하였다. 비교예 C30 및 실시예 E8 내지 실시예 E12를 위해, 혼합하면서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물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혼합하면서 여기에 PGE (폴리글리세롤-10-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롤-10-미리스테이트, 또는 폴리글리세롤-10-올레에이트 중 어느 하나)를 첨가한 다음, 각각의 개별 생성 혼합물이 균질해질 때까지 혼합하면서 여기에 독립적으로 하기 성분을 첨가하였다: 코크아미도프로필 베타인, 소듐 C14-16 올레핀 설포네이트, 글리세린, 및 벤조산나트륨. 이어서, 20% 수산화나트륨 또는 시트르산 용액을 사용하여 약 4.8의 최종 pH가 얻어질 때까지, 생성된 용액의 pH를 조정하였다. 이어서, 여기에 잔량의 물을 첨가하였다.
세정 조성물의 거품 부피 시험: 비교예 C30 및 본 발명의 실시예 E8 내지 실시예 E12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들을 이어서 상기 거품 부피 시험에 따라 거품 발생에 대해 시험하였다: 표 11은 각각의 예의 조성물의 거품 부피 결과를 열거한다.
[표 11]
Figure pat00051
다양한 PGE 계면활성제, PG-10-L, PG-10-M, PG-10-O의 첨가는 전부, 조사된 두 가지 rpm 모두에서, 계면활성제 시스템의 거품을 추가한다.
세정 조성물의 피부 자극 가능성 시험 결과: 비교예 C30 및 본 발명의 실시예 E8, 실시예 E9, 실시예 E11, 및 실시예 E12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들을 이어서 상기 피부 자극 가능성 시험에 따라 자극 가능성에 대해 시험하였다: 표 12는 각각의 예의 조성물의 피부 자극 가능성 시험 결과를 열거한다:
[표 12]
Figure pat00052
다양한 PGE 계면활성제, PG-10-L, PG-10-M, PG-10-O의 첨가는 모두, 계면활성제 시스템의 순함을 개선한다. 놀랍게도, PGE 계면활성제는 계면활성제 시스템의 순함을 개선함에도 불구하고, PGE는 클렌저의 거품을 또한 개선한다. 일반적으로, 거품 증가는 더 독하고, 덜 순한 계면활성제 시스템과 서로 관련된다.

Claims (14)

  1. 피부 세정 조성물로서,
    (a) 저분자량의 비-가교결합된 선형 아크릴 공중합체;
    (b) 지방산과 글리세린 중합체의 에스테르 (여기서, 상기 에스테르는 x개의 글리세린 반복 단위와 n의 탄소 사슬 길이를 가지고,
    x는 8 내지 14이며; n은 10 내지 18임);
    (c)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세정 조성물의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식 PGE-x-n을 갖는 상기 지방산과 글리세린 중합체의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상기 전체 계면활성제 로드(load)는 상기 피부 세정 조성물의 약 15 중량% 이하인, 피부 세정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x:n의 비는 약 1 대 약 2인, 피부 세정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x는 약 10 내지 약 12인, 피부 세정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x는 10인, 피부 세정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n은 약 12 내지 약 18인, 피부 세정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n은 약 12 내지 약 16인, 피부 세정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킬 설페이트,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 모노글리세릴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 설포네이트, 알킬아릴 설포네이트, 알킬 설포석시네이트, 알킬 에테르 설포석시네이트, 알킬 설포석신아메이트, 알킬 아미도설포석시네이트, 알킬 카르복실레이트, 알킬 아미도에테르카르복실레이트, 알킬 석시네이트, 지방 아실 사르코시네이트, 지방 아실 아미노산, 지방 아실 타우레이트, 지방 알킬 설포아세테이트, 알킬 포스페이트, 및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피부 세정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과 글리세린 중합체의 에스테르는 폴리글리세릴-8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8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9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8 코코에이트, 폴리글리세릴-9 코코에이트, 폴리글리세릴-10 코코에이트, 폴리글리세릴-11 코코에이트, 폴리글리세릴-12 코코에이트, 폴리글리세릴-8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9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10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11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12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8 팔미테이트, 폴리글리세릴-9 팔미테이트, 폴리글리세릴-10 팔미테이트, 폴리글리세릴-11 팔미테이트, 폴리글리세릴-12 팔미테이트, 폴리글리세릴-10 올레에이트, 폴리글리세릴-11 올레에이트, 폴리글리세릴-12 올레에이트, 폴리글리세릴-10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2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4 스테아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14 올레에이트 및 이들 중 둘 이상의 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피부 세정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암포카르복실레이트, 예를 들어, 알킬암포아세테이트 (모노 또는 다이); 알킬 베타인; 아미도알킬 베타인; 아미도알킬 설타인; 암포포스페이트; 포스포릴화된 이미다졸린, 예를 들어, 포스포베타인 및 파이로포스포베타인; 카르복시알킬 알킬 폴리아민; 알킬이미노-다이프로피오네이트; 알킬암포글리시네이트 (모노 또는 다이); 알킬암포프로프리오네이트 (모노 또는 다이); N-알킬 β-아미노프로프리온산; 알킬폴리아미노 카르복실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피부 세정 조성물.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 2 내지 약 7 중량%의 전체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 1.5 내지 약 5 중량%의 전체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900 rpm으로 30초에서 약 100 ㎖ 초과의 거품 부피를 나타내는, 피부 세정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900 rpm으로 160초에서 약 160 ㎖ 초과의 거품 부피를 나타내는, 피부 세정 조성물.
KR1020110137937A 2010-12-21 2011-12-20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및 소수성으로 개질된 중합체를 갖는 피부 세정 조성물 KR1018253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974,188 US8338348B2 (en) 2010-12-21 2010-12-21 Skin cleansing compositions with polyglycerol esters and hydrophobically modified polymers
US12/974,188 2010-1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514A true KR20120070514A (ko) 2012-06-29
KR101825344B1 KR101825344B1 (ko) 2018-02-05

Family

ID=45346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7937A KR101825344B1 (ko) 2010-12-21 2011-12-20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및 소수성으로 개질된 중합체를 갖는 피부 세정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338348B2 (ko)
EP (1) EP2468246B1 (ko)
KR (1) KR101825344B1 (ko)
CN (1) CN102552062B (ko)
AU (1) AU2011250859B2 (ko)
BR (1) BRPI1105992B8 (ko)
CA (1) CA2762183C (ko)
ES (1) ES2455974T3 (ko)
RU (1) RU2580625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65101A (zh) 2009-03-27 2012-02-29 阿克塔马克斯手术器材有限责任公司 包含聚甘油醛的组织粘合剂和密封剂
MX2013000593A (es) * 2010-07-15 2013-03-05 Procter & Gamble Metodo para limpiar cabello.
JP5978544B2 (ja) * 2011-09-29 2016-08-24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化粧料用組成物及び化粧料
EP2861688B1 (en) 2012-06-15 2019-04-24 Arkema, Inc. Peroxide dispersions
US9861119B2 (en) 2012-06-15 2018-01-09 Arkema Inc. Peroxide dispersions
RU2673342C2 (ru) 2013-02-19 2018-11-26 Джонсон энд Джонсон Консьюмер Инк. Способы и композиции для улучшения внешнего вида и формирования рубцовой ткани
KR20150126894A (ko) 2013-03-08 2015-11-13 루브리졸 어드밴스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비이온성의 양친매성 폴리머의 사용을 통한 클렌징 조성물의 개선된 발포 성능
JP5766337B2 (ja) * 2013-06-28 2015-08-19 花王株式会社 化粧料
US9539185B2 (en) 2013-09-30 2017-01-10 L'oreal Self-foaming cleansing system
DE102014207421A1 (de) * 2014-04-17 2015-10-22 Evonik Degussa Gmbh Tensidzusammensetzungen und hoch ölhaltige Formulierungen enthaltend diese
EP3050946A1 (de) * 2015-01-30 2016-08-03 Evonik Degussa GmbH Betaine mit spezieller fettsäurekettenverteilung
US20180094211A1 (en) * 2015-04-13 2018-04-05 Rhodia Operations Mild surfactant formulations for skin cleansing
AU2016305530B2 (en) * 2015-08-13 2021-04-29 Arch Personal Care Products, Lp Wet wipe concentrate
US20170079892A1 (en) * 2015-09-18 2017-03-23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Foaming sunscreen composition containing an ultraviolet radiation-absorbing compound and a superhydrophilic amphiphilic copolymer
US20170172892A1 (en) * 2015-12-16 2017-06-22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Cleansing bars containing polyglycerol esters
JP6215435B1 (ja) * 2016-11-25 2017-10-18 株式会社ファンケル 化粧料用組成物
US20180280275A1 (en) * 2017-03-31 2018-10-04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Methods of Improving the Activity of Retinoids
GB2581901B (en) 2017-10-30 2022-05-25 Kimberly Clark Co Absorbent assemblies and absorbent articles including a hydrophobically modified polymer
CN107811874A (zh) * 2017-10-31 2018-03-20 武汉润欣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不含peg‑系表面活性剂温和保湿卸妆水及其制备工艺
JP7277083B2 (ja) * 2018-06-12 2023-05-18 ロレアル 発泡性組成物
CN109316381A (zh) * 2018-10-23 2019-02-12 张庆 有效控制胶束渗透进皮肤的洁肤液及其制备、洁肤方法
DE102019209908A1 (de) 2019-07-05 2021-01-07 Beiersdorf Ag Fettsäure-Polyglycerylester-haltige Reinigungszubereitung
CN111214843B (zh) * 2020-03-02 2022-04-26 黄冈永安日用化工有限公司 一种高品质甲基牛磺酸钠的蒸馏装置及生产方法
CN116887808A (zh) * 2021-02-26 2023-10-13 莱雅公司 刺激降低的表面活性剂组合物
BR112023023280A2 (pt) * 2021-05-10 2024-01-23 Basf Se Éter sulfatos à base de misturas de álcool tridecílico isomérico, composição, e, uso de éter sulfatos à base de misturas de álcool tridecílico isomérico
WO2023065258A1 (en) 2021-10-22 2023-04-27 Beiersdorf Ag A mild cleansing composition distributable from a pump foamer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0260A (en) 1968-01-16 1976-04-13 Ibrahim Andrew Eldib Polyacrylates of selective viscosity as detergent builders
US4110263A (en) 1977-06-17 1978-08-29 Johnson & Johnson Baby Products Company Mild cleansing compositions containing alkyleneoxylated bis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US4186113A (en) 1978-04-03 1980-01-29 Johnson & Johnson Low irritating detergent compositions
US4215064A (en) 1978-11-30 1980-07-29 Johnson & Johnson Phosphobetaines
US4380637A (en) 1978-11-30 1983-04-19 Johnson & Johnson/Mona Industries, Inc. Imidazoline phosphobetaines
US4233192A (en) 1978-11-30 1980-11-11 Johnson & Johnson Detergent compositions
US4382036A (en) 1981-05-15 1983-05-03 Johnson & Johnson Baby Products Company Pyrophosphobetaines
US4372869A (en) 1981-05-15 1983-02-08 Johnson & Johnson Baby Products Company Detergent compositions
US4443362A (en) 1981-06-29 1984-04-17 Johnson & Johnson Baby Products Company Detergent compounds and compositions
US4617414A (en) 1984-09-10 1986-10-14 Johnson & Johnson Baby Products Company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hosphate surfactants
US4726915A (en) 1986-03-10 1988-02-23 Johnson & Johnson Baby Products Company Detergent compositions
DE3902374A1 (de) 1989-01-27 1990-08-02 Solvay Werke Gmbh Wasch- reinigungs- und/oder koerperreinigungsmittel
US5286719A (en) 1991-10-28 1994-02-15 Mona Industries, Inc. Phospholipid virucidal compositions
US5648348A (en) 1991-10-28 1997-07-15 Mona Industries, Inc. Phospholipid antimicrobial compositions
US5215976A (en) 1991-10-28 1993-06-01 Mona Industries, Inc. Phospholipids useful as spermicidal agents
CA2095743A1 (en) 1992-05-07 1993-11-08 Thomas R. Russo Shampoos containing polyglyceryl esters
FR2733417B1 (fr) * 1995-04-25 1997-06-06 Oreal Emulsion huile-dans-eau moussante a base de tensio-actifs non-ioniques, d'une phase grasse et d'un polymere cationique ou anionique reticule et utilisation en application topique
US20020031532A1 (en) * 1996-11-04 2002-03-14 Hirotaka Uchiyama Shampoo composition comprising silicone emulsion
US5951991A (en) * 1997-05-22 1999-09-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sing products with improved moisturization
US5968493A (en) 1997-10-28 1999-10-19 Amway Corportion Hair care composition
DE19818410A1 (de) 1998-04-24 1999-10-28 Wella Ag Haar- und Körperreinigungsmittel mit verminderter Hautirritation
RU2141312C1 (ru) * 1998-08-18 1999-11-20 Ставропольское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Пульс" Косме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лица
DE19960767A1 (de) 1999-12-16 2001-06-21 Beiersdor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besonders hautverträglicher kosmetischer oder dermatologischer Reinigungszubereitungen
US6468614B1 (en) 2000-03-17 2002-10-22 Levine Anna L. Apparatus for displaying paper, fabric, photographs or the like
US6635702B1 (en) 2000-04-11 2003-10-21 Noveon Ip Holdings Corp. Stable aqueous surfactant compositions
CN1309815C (zh) 2000-10-17 2007-04-11 三菱化学株式会社 用于洗涤剂的聚甘油脂肪酸酯和含有该物质的洗涤剂
ES2428027T3 (es) * 2002-05-20 2013-11-05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Composición que comprende adenosín-monofosfato para el tratamiento del melasma
US20050070452A1 (en) 2003-08-28 2005-03-31 Joseph Librizzi Methods of reducing irritation in personal care compositions
US7157414B2 (en) 2003-08-28 2007-01-02 J&J Consumer Companies, Inc. Methods of reducing irritation in personal care compositions
FR2865401B1 (fr) 2004-01-27 2006-04-28 Oreal Composition de nettoyage de la peau
US20050180939A1 (en) * 2004-01-27 2005-08-18 L'oreal Skin cleansing composition
US20060018861A1 (en) * 2004-07-23 2006-01-26 Minghua Chen Skin care composition
US7507399B1 (en) 2004-08-05 2009-03-24 Surfatech Corporation Functionalized polymeric surfactants based upon alkyl polyglycosides
US20060083703A1 (en) * 2004-10-19 2006-04-20 Torgerson Peter M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comprising polyol esters containing alkyl chains
CA2607605C (en) 2005-05-10 2017-04-25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Low-irritation person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a low molecular weight polymer and a surfactant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7547434B2 (en) 2005-09-09 2009-06-16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itigating skin irritation
US7335627B1 (en) 2006-05-25 2008-02-26 Surfa Tech Corporation Polymeric alkylpolyglycoside carboxylates
US7803403B2 (en) 2006-11-09 2010-09-28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Low-irrit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ES2561839T3 (es) 2006-11-09 2016-03-01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 Polímeros que mitigan la irritación y sus usos
US7375064B1 (en) 2007-02-20 2008-05-20 Surfatech Corporation Functionalized polymeric surfactants based upon alkyl polyglycosides
GB0714817D0 (en) 2007-07-31 2007-09-12 Croda Int Plc Polyglycerol derivatives
US20090053337A1 (en) 2007-08-21 2009-02-26 L'oreal Composition and method of improving skin barrier function of compromised skin
US20100129303A1 (en) * 2008-10-17 2010-05-27 Dueva-Koganov Olga V Sunscreen and person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a random terpolymer
DE102008059445A1 (de) 2008-11-27 2010-06-02 Henkel Ag & Co. Kgaa Schäumende Emulsionen mit Emulgatorkombination
US20110277796A1 (en) 2010-05-13 2011-11-17 Russel Walters Method of cleansing skin having an impaired barr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1250859A1 (en) 2012-07-05
CA2762183A1 (en) 2012-06-21
CA2762183C (en) 2019-01-22
BRPI1105992B8 (pt) 2022-08-30
ES2455974T3 (es) 2014-04-16
EP2468246B1 (en) 2014-01-22
US20120157366A1 (en) 2012-06-21
KR101825344B1 (ko) 2018-02-05
BRPI1105992B1 (pt) 2017-12-19
US8338348B2 (en) 2012-12-25
BRPI1105992A2 (pt) 2013-04-09
CN102552062B (zh) 2016-06-22
RU2580625C2 (ru) 2016-04-10
AU2011250859B2 (en) 2014-10-23
EP2468246A1 (en) 2012-06-27
CN102552062A (zh) 2012-07-11
RU2011152102A (ru) 201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344B1 (ko)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및 소수성으로 개질된 중합체를 갖는 피부 세정 조성물
KR101487720B1 (ko) 저자극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U2016323835B2 (en) Compositions comprising zwitterionic alkyl-alkanoylamides and/or alkyl alkanoates
RU2619209C2 (ru) Составы с полиглицериловыми неионными поверхностно-активными веществами (пав)
RU2605295C2 (ru) МАЛОРАЗДРАЖАЮЩИЕ ПРОЗРАЧНЫЕ ОЧИЩАЮЩИЕ КОМПОЗИЦИИ С ОТНОСИТЕЛЬНО НИЗКИМ pH
BRPI1102843A2 (pt) composiÇÕes de limpeza lÍmpidas, de baixa irritaÇço com ph relativamente baixo
KR20110125594A (ko) 손상된 장벽을 갖는 피부를 세정하는 방법
CA2716754C (en) Foaming low-irritation compositions comprising a low degree-of-polymerization surfactant and a micellar thickener
BR112012033245B1 (pt) Clear, low irritation skin cleansing compositions with relatively low p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