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9994A - A position-track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location based service - Google Patents

A position-track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location based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9994A
KR20120069994A KR1020100131363A KR20100131363A KR20120069994A KR 20120069994 A KR20120069994 A KR 20120069994A KR 1020100131363 A KR1020100131363 A KR 1020100131363A KR 20100131363 A KR20100131363 A KR 20100131363A KR 20120069994 A KR20120069994 A KR 20120069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location
information
animal
lo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13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66418B1 (en
Inventor
박경호
Original Assignee
박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호 filed Critical 박경호
Priority to KR1020100131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6418B1/en
Publication of KR20120069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99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4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8Interfacing a video terminal to a particular transmission medium, e.g. ISD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PURPOSE: A location-tracking system for animals based on augmented reality(AR) and location based services(LBS) is provided to efficiently manage grazed livestocks and wild animals. CONSTITUTION: A transceiving module(110)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An identification(ID) storing module(120) stores and provides the intrinsic IDs of animals. A controlling module(140) controls the 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based on a location sensor(130). A portable terminal(30) includes the transceiving module, a capturing module,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and the controlling module. A server(50) includes a storing module, an integrated information module, and a central controlling module. The storing module stores transceived information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The integrated information module generates integrated information including geographical or animal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Description

증강현실 및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동물위치추적시스템{A Position-Track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Location Based Service}A Position-Track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Location Based Service}

본 발명은 증강현실 및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하여 동물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자신의 반려동물을 잃어버린 경우 반려동물에 부착된 위치정보제공기의 신호 및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지역정보를 바탕으로 능동적으로 잃어버린 반려동물을 찾을 수 있도록 하거나, 동물원 등의 특수 구역에서 사육되는 동물들의 관리 혹은 탈출했을 경우 빠른 시간 내에 능동적으로 찾을 수 있도록 하고, 방생하여 키우는 가축의 효율적 관리 또는 보호대상인 야생동물의 관리 및 생태정보 파악에도 활용될 수 있으며, 위치센서가 지피에스(GPS), 시디엠에이(CDMA), 와이파이(WiFi) 방식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용하는 방식을 활용하여 보다 정확한 위치정보제공을 통해 동물위치추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동물에 부착된 위치정보제공기의 출력모듈을 통해 기 저장된 메시지나 사용자가 원하는 메시지를 출력하여 동물 주변의 사람들에게 상황을 전파,인지시킬 수 있는 동물위치추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capable of tracking the location of an animal using augmented reality and location-based services, and more particularly, when a user loses his or her companion animal, a signal of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er attached to the companion animal and Actively find lost pets based on local inform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of their portable terminals, or actively find and manage animals that are bred in special areas such as zoos as soon as possible. It can be used for efficient management of livestock raised or management of wild animals that are protected, and ecological information.The location sensor is one or more of GPS, CDA, and Wi-Fi. Efficiency of animal location tracking by providing more accurate location information To increase, and will have a message or a user pre-stored via the output module provides location information attached to the animals based on animal tracking system that can recognize radio waves, people of the situation of the animals around to output the desired message.

현대사회가 성숙해 갈수록 점점 더 자신이 키우는 동물에 대해 가족과 같은 유대관계를 느끼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어, 이제는 애완동물을 넘어 반려동물로 사랑받는 동물들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As modern society matures, more and more people feel family-like ties to their own animals, and more and more animals are loved as pets.

그러나, 이러한 반려동물을 잠시간의 부주의에 의해 잃어버린 경우, 지금까지는 자신의 주변 동네 주위에 전단지를 붙인다거나 사례금 현수막을 게재하는 정도가 잃어버린 반려동물을 찾기 위한 수단의 대부분이고, 최근에 들어 IT기술을 활용하여 미리 반려동물에게 RFID칩과 같은 것을 이식해 놓은 경우라 하더라도 이와 같은 RFID칩을 이용해 잃어버린 동물을 찾기 위해서는 동물병원이나 동물보호소 등의 곳곳에 RFID칩을 인식할 리더기가 비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이용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However, if these pets have been lost by carelessness for a while, most of the means for finding lost pets by placing flyers or placing gratuity banners around their neighbors until now have been the most common means of searching for lost pets. Even if the animal is implanted with a pet chip such as an RFID chip in advance, in order to find the lost animal using the RFID chip, a reader must be provided to recognize the RFID chip in various places such as an animal hospital or animal shelter. There was a difficulty in being used.

또한, 이러한 RFID칩을 활용하는 방식은 반려동물을 잃어버린 직후에 신속하게 잃어버린 반려동물을 찾는 데에는 활용될 수 없는 한계가 있을 뿐더러, 특히 반려동물을 타인이 의도적으로 훔쳐간 경우나 혹은 잃어버린 타인의 반려 동물을 발견하고도 의도적으로 되돌려주지 않는 경우 및 되돌려줄 의지가 없는 경우 등에 있어서는 활용될 수 없는 무용지물에 불과한 문제를 안고 있었다. In addition, the method of using such an RFID chip has a limitation that it cannot be used to find a lost pet immediately after the pet is lost.In particular, when a pet is intentionally stolen by another person, or a lost pet of another person Even if they found it and didn't return it intentionally, and they didn't have the will to return it, they had a problem that they couldn't use.

따라서, 잃어버린 반려동물의 위치를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늘고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잃어버린 반려동물의 주위에 있는 사람들에게 상황을 인지시킬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반려동물을 찾을 수 있게 하여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유기견의 숫자를 줄일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 역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Therefore,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a system that can immediately identify the location of lost pets, and users can actively recognize the situation with those around them, making it easier to find pets. There is also a need for a system that can reduce the number of stray dogs emerging as a social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자신의 반려동물을 잃어버린 경우 반려동물에 부착된 위치정보제공기의 신호 및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지역정보를 바탕으로 능동적으로 잃어버린 반려동물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동물위치추적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user to actively find the lost pet based on the local information using the signal of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r attached to the pet and the augmented reality of his portable terminal when the user lost his pet It is to provide an animal location tracking syste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생하여 키우는 가축의 효율적 관리 또는 보호대상인 야생동물의 관리 및 생태정보 파악에도 활용될 수 있는 증강현실 및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동물위치추적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imal location track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location-based services that can be utilized for efficient management of livestock raised or management of wild animals and ecological inform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치센서가 지피에스(GPS), 시디엠에이(CDMA), 와이파이(WiFi) 방식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용하는 방식을 활용하여 보다 정확한 위치정보제공을 통해 동물위치추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동물위치추적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the position sensor is a combination of any one or two or more of the GPS, CDA, Wi-Fi (WiFi) method of tracking the animal location through providing more accurate location information It is to provide an animal location tracking system tha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물에 부착된 위치정보제공기의 출력모듈을 통해 기 저장된 메시지나 사용자가 원하는 메시지를 출력하여 동물 주변의 사람들에게 상황을 전파,인지시킬 수 있는 동물위치추적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imal position tracking system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ognizing a situation to people around the animal by outputting a pre-stored message or a message desired by a user through an output module of the position information provider attached to the animal. It is.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태양전지 셀이 구비된 펜스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A fence equipped with a solar cell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및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동물위치추적시스템은 동물에 장착되는 위치정보제공기; 사용자가 동물의 위치를 확인하고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 상기 위치정보제공기 및 휴대용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고 제어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정보제공기는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모듈과, 동물의 고유ID를 저장?제공하는 ID저장모듈과, 위치센서를 통한 위치정보전송 및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모듈과, 주변영상을 캡쳐하는 촬영모듈과, 위치센서 및 자이로센서를 통한 촬영위치와 자세정보를 기반으로 위치정보데이터를 생성하는 위치정보데이터모듈과,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모듈과, 송수신된 정보 및 지역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모듈과, 전송받은 위치정보를 토대로 지역정보 또는 동물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통합정보데이터를 생성하는 통합정보데이터모듈과, 중앙제어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동물의 위치를 능동적으로 확인하고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imal location track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location-based ser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er mounted on the animal; A portable terminal for allowing a user to identify and track the location of the animal; And a ser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to and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r and the portable terminal.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r includes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an ID storage module for storing and providing a unique ID of an animal, and a location sensor. And a control module for transmitting and controlling position information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a photographing module for capturing surrounding images, and a photographing position and posture information through a posi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A location information data module for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data, and a control module, wherein the server comprises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a storage module for storing transmitted and received information and area information, and local information based on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Or a user including an integrated information data module for generating integrated information data including animal position information and a central control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to enable the active location and tracking of the animal.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및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동물위치추적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위치센서는 지피에스(GPS), 시디엠에이(CDMA), 와이파이(WiFi) 방식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용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nimal location track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location-based ser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sensor may be any one of a GPS, a CDA, and a WiFi metho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way to mix one or more than two.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및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동물위치추적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주변 실사영상에 서버로부터 전송된 지역정보 또는 동물위치정보를 중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재생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nimal location tracking system using the augmented reality and location-based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s the local information or animal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superimposed on the live-action image surrounding the display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video playback modul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및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동물위치추적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제공기는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모듈과, 상기 출력모듈을 통해 출력될 다양한 음성신호를 저장하는 데이터모듈을 추가로 포함하여, 동물 주변의 사람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음성신호를 출력?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nimal location track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location-based ser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r is an output module capable of outputting a voice signal, and outputs through the output module It further comprises a data module for storing a variety of voice signals to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output and provide a voice signal to be delivered to people around the animal.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및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동물위치추적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상기 위치정보제공기의 출력모듈을 통해 출력될 음성신호를 선택 또는 제작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생성모듈을 추가로 포함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음성신호를 동물 주변의 사람들에게 전달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nimal location track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location-based ser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allows the user to select a voice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modul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r. Or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for making and transmitt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can transmit the desired voice signal to the people around the animal.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nstitution described below, the combination, and the use relationship.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신의 반려동물을 잃어버린 경우 반려동물에 부착된 위치정보제공기의 신호 및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지역정보를 바탕으로 능동적으로 잃어버린 반려동물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ctively finding the lost pet based on the local information using the signal of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r attached to the pet and the augmented reality of his portable terminal when the user lost his pet Have

본 발명은 방생하여 키우는 가축의 효율적 관리 또는 보호대상인 야생동물의 관리 및 생태정보 파악에도 활용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can be utilized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the livestock raised by raising or the management of wild animals and the ecological information to be protected.

본 발명은 위치센서가 지피에스(GPS), 시디엠에이(CDMA), 와이파이(WiFi) 방식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용하는 방식을 활용하여 보다 정확한 위치정보제공을 통해 동물위치추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efficiency of animal location tracking by providing a more accurate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position sensor using any one or two or more of the GPS, CDA, Wi-Fi method It has the effect of making it possible.

본 발명은 동물에 부착된 위치정보제공기의 출력모듈을 통해 기 저장된 메시지나 사용자가 원하는 메시지를 출력하여 동물 주변의 사람들에게 상황을 전파,인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transmitting the pre-stored message or a message desired by the user through the output modul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r attached to the animal to propagate the situation to people around the anim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및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동물위치추적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동물위치추적시스템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블럭도
도 3과 4는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화면을 도시한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및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동물위치추적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도 5의 동물위치추적시스템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블럭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animal track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location-based ser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nimal positioning system of Figure 1
3 and 4 are reference diagrams showing a display screen displayed through a portable terminal.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animal location track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location-based servic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nimal positioning system of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및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동물위치추적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animal location track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location-based ser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및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동물위치추적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동물위치추적시스템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3과 4는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화면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animal location track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location-based ser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nimal location tracking system of FIG. 3 and 4 are reference diagrams showing a display screen displayed through a portable terminal.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및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동물위치추적시스템은 동물에 장착되는 위치정보제공기(10); 사용자가 동물의 위치를 확인하고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30); 상기 위치정보제공기(10) 및 휴대용 단말기(30)와 정보를 송수신하고 제어하는 서버(50);를 포함한다.
1 to 4, the animal location track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location-based ser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er (10) mounted to the animal; A portable terminal 30 for allowing a user to identify and track the location of the animal; It includes; and the server 5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to and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r 10 and the portable terminal 30.

상기 위치정보제공기(10)는 동물에 장착되어 동물의 위치에 관련된 제반 정보를 송수신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해 상기 위치정보제공기(10)는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모듈(110)과, 동물의 고유ID를 저장?제공하는 ID저장모듈(120)과, 위치센서(130)를 통한 위치정보전송 및 제어하는 제어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osition information provider 10 is mounted on the animal and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position of the animal. For this purpose, the position information provider 10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and a transmission module 110 and the animal It may include an ID storage module 120 for storing and providing a unique ID, and a control module 140 for transmitting and controll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position sensor 130.

상기 송수신모듈(110)은 동물의 위치와 관련된 위치정보나 서버(50)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부분이다. 위치기반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란 이동통신망이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을 통해 얻은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이용자에게 여러가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상기 송수신모듈(110)은 서버(50)나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30)와의 관계에서 이러한 위치기반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정보를 송수신하게 된다. 상기 송수신모듈(110)은 CDMA와 같은 이동통신망 등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110 is a par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rver 50 or the loca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location of the animal. Location Based Service (Location Based Service) is a system that provides a variety of services to the user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the transmission module 110 is the server 50 or the user In order to utilize the location-based service in rel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30 o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110 preferably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CDMA.

상기 ID저장모듈(120)은 상기 위치정보제공기(10)를 장착하고 있는 동물의 고유ID를 저장?제공하는 부분으로, 상기 위치정보제공기(10)를 장착하고 있는 동물에 관련된 정보를 고유ID와 함께 저장하고 있다가 필요한 경우 서버(50) 등에 전송하도록 한다. 상기 ID저장모듈(120)에서 저장하고 있는 정보로는 위치정보제공기(10)의 고유번호, 동물의 종별, 이름, 신체에 관한 정보(크기, 몸무게, 나이 등), 건강에 관한 정보(예방접종 이력, 수술 이력 등), 동물을 관리하는 주인이나 기관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ID저장모듈(120)로는 플래쉬메모리 등이 활용될 수 있다. The ID storage module 120 stores and provides a unique ID of the animal on which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r 10 is mounted, and uniquely stor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animal on which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r 10 is mounted. It is stored with the ID and transmitted to the server 50 if necessary. Information stored in the ID storage module 120 includes a unique number of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r 10, the type of animal, name, body information (size, weight, age, etc.), health information (prevention) Vaccination history, surgical history, etc.), and information about the owner or organ that manages the animal. As the ID storage module 120, a flash memory or the like may be utilized.

상기 위치센서(130)는 위치정보제공기(10)를 장착하고 있는 동물의 위치를 감지하여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 지피에스(GPS), 시디엠에이(CDMA), 와이파이(WiFi) 방식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용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GPS 방식의 경우 GPS 위성과의 통신을 통해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WiFi 방식의 경우 무선AP와의 통신을 통해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CDMA방식의 경우 셀타워와의 통신을 통해 위치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위치센서(130)는 이러한 각각의 방식으로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을 혼용하는 방식으로 위치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위치정보제공기(10)를 장착하고 있는 동물의 위치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생성하여 전달할 수 있다. The position sensor 130 is a part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animal equipped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r 10 to provide the location information, GPS, CDA, WiFi (WiFi) ) Any one method or a mixture of two or more may be used. In the case of the GPS method, loc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GPS satellites, and in the case of the WiFi method, loc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a wireless AP, and in the case of CDMA method, loc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a cell tower. . The position sensor 130 generates position information in each of these ways or in a manner of mixing two or more of them, thereby generating and transmit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animal equipped with the position information provider 10 more accurately. have.

상기 제어모듈(140)은 위치센서(130)를 통한 위치정보전송 및 위치정보제공기(10) 구성 전반을 제어하는 부분으로, 상기 위치센서(130)를 통해 생성된 위치정보를 상기 ID저장모듈(120)에 저장된 동물에 관련된 고유ID와 함께 송수신모듈(110)을 통해 서버(50)로 전송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상기 서버(50)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위치정보제공기(10)의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40)로는 중앙처리장치(CPU)와 같은 구성이 활용될 수 있다.
The control module 140 is a part for controlling the overall lo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position information provider 10 configuration through the position sensor 130, the ID information storage module for the position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position sensor 130 It is possible to transmit to the server 50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110 with the unique ID associated with the animal stored in the 120, o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er 50 of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r 10 You can control the configuration. As the control module 140, a configuration such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may be utilized.

상기 휴대용 단말기(30)는 사용자가 동물의 위치를 확인하고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30)는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모듈(310)과, 주변영상을 캡쳐하는 촬영모듈(320)과, 위치센서(130) 및 자이로센서(340)를 통한 촬영위치와 자세정보를 기반으로 위치정보데이터를 생성하는 위치정보데이터모듈(350)과, 제어모듈(370) 및 주변 실사영상에 서버(50)로부터 전송된 지역정보 또는 동물위치정보를 중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재생모듈(36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30 is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check and track the location of the animal, for this purpose, the portable terminal 30 is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31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and a recording module for capturing surrounding images And a location information data module 350 for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data based on the photographing position and attitude information through the location sensor 130 and the gyro sensor 340, the control module 370, and the surrounding photorealistic image. It may include an image playback module 360 to display the superimposed local information or animal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50.

상기 송수신모듈(310)은 휴대용 단말기(3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위치와 관련된 위치정보데이터나 서버(50)에서 전송되는 각종 신호를 송수신하는 부분으로, 이는 앞서 설명한 위치정보제공기(10)의 송수신모듈(110)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module 310 is a par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data associated with the location of the user using the portable terminal 30 or various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server 50, which is the position of the information provider 10 Sinc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11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촬영모듈(320)은 휴대용 단말기(3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지역의 실사영상을 얻기 위한 카메라구성으로, 촬영된 이미지의 디지털화가 가능한 이미지센서를 포함하게 되며, 이미지센서로는 CMOS, CCD, NMOS 등이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촬영모듈(320)은 이미지센서를 통해 얻어진 이미지를 후술할 영상재생모듈(360) 등에 전송하게 된다. The photographing module 320 is a camera configuration for obtaining a live image of a region where a user using the portable terminal 30 is located. The photographing module 320 includes an image sensor capable of digitizing a photographed image. CCD, NMOS, etc. may be utilized. The photographing module 320 transmits the image obtained through the image sensor to the image reproducing module 36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위치센서(330)는 휴대용 단말기(3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 지피에스(GPS), 시디엠에이(CDMA), 와이파이(WiFi) 방식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용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위치센서(330)는 앞서 설명한 위치정보제공기(10)의 위치센서(130)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The position sensor 330 detects the position of the user who uses the portable terminal 30 to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Among the GPS, CDA, and Wi-Fi methods, Either on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y be used. Since the position sensor 33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position sensor 130 of the position information provider 10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자이로센서(340)는 휴대용 단말기(3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자세에 관련된 정보를 측정하는 부분이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이란 가상현실 기술에서 파생된 기술로서 실세계에 대한 인지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을 말하는데, 실시간 처리를 바탕으로 미리 구축된 실세계 정보가 특수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제로 관찰되는 실세계의 영상에 겹쳐서 표현,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제 관찰지역에 대한 신속하고 편리한 상황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증강현실 기술에서 실사영상에 가상영상을 정합하기 위해서는 촬영모듈(320)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30)의 위치와 자세값을 이용하여 미리 3차원으로 모델링된 데이터를 3차원 원근 투영법을 이용하여 가상영상을 렌더링한 다음, 실사영상과 가상영상을 합성하여 보여주게 되는데, 상기 가상영상은 휴대용 단말기(30)의 위치와 자세 오차에 매우 민감하게 변화되기 때문에 휴대용 단말기(30)의 안정적인 위치 및 자세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30)에 상기 위치센서(330)는 물론 상기 자이로센서(340)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자이로센서(34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자세획득센서와 동일한 것이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The gyro sensor 340 is a part for measuring information related to a posture of a user who uses the portable terminal 30. Augmented Reality is a technology derived from virtual reality technology that improves the perception of the real world. The real-world information, which is built based on real-time processing, is superimposed on the image of the real world actually observed through a special interface. This technology allows the user to make quick and convenient situational judgment on the actual observation area. In this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n order to match the virtual image with the real image, the data modeled in three dimensions in advance using the position and the posture value of the portable terminal 30 equipped with the imaging module 320 by using the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projection method After the virtual image is rendered, the real image and the virtual image are synthesized and shown. Since the virtual image changes very sensitively to the position and posture error of the portable terminal 30, the stable position and posture of the portable terminal 30 are shown. It is necessary to obtain information, and for this purpos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30 is provided with the gyro sensor 340 as well as the position sensor 330. Since the gyro sensor 340 is the same as the posture acquisition sensor which is generally use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위치정보데이터모듈(350)은 상기 위치센서(330) 및 자이로센서(340)를 통한 휴대용 단말기(3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위치와 자세정보를 기반으로 위치정보데이터를 생성하는 부분이다. 위치정보데이터란 휴대용 단말기(3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상기 촬영모듈(320)을 통해 실사영상을 촬영한 지역의 위치 및 자세정보를 통합하여 서버(50)로 전송하는 데이터를 지칭하는 것으로, 후술할 서버(50)는 위치정보데이터를 수신한 후 해당 위치정보에 맞는 지역정보데이터 및 동물 위치정보를 통합한 통합정보데이터(가상영상)를 생성하여 휴대용 단말기(30)에 전송하게 된다. The location information data module 350 is a part for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data based on the location and attitude information of the user using the portable terminal 30 through the location sensor 330 and the gyro sensor 340. The location information data refers to data transmitted by the user using the portable terminal 30 to the server 50 by integrating the location and attitude information of the area where the live action image is captured by the shooting module 320. After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data, the server 50 generates the integrated information data (virtual image) integrating the local information data and the animal location information suitable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portable terminal 30.

상기 영상재생모듈(360)은 상기 촬영모듈(320)을 통해 촬영된 실사영상에 서버(50)로부터 전송된 지역정보 또는 동물 위치정보를 통합한 통합정보데이터를 중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부분이다. 상기 영상재생모듈(360)은 촬영모듈(320)을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된 실사영상에 서버(50)로부터 전송된 지역정보데이터 및 동물 위치정보를 정합시켜 정합된 실사영상과 통합정보데이터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게 된다. The image reproducing module 360 superimposes and displays the integrated information data integrating local information or animal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50 on the live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module 320. The image reproducing module 360 matches the local information data and the animal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50 to the live image captured in real time through the recording module 320 to display the matched live image and the integrated information data. Will be displayed.

상기 제어모듈(370)은 상기 위치센서(330) 및 자이로센서(340)를 통한 사용자의 위치 및 자세에 관한 정보와 이를 이용한 위치정보데이터모듈(350)의 위치정보데이터를 서버(50)에 전송하거나, 서버(50)로부터 전송받은 통합정보데이터나 상기 촬영모듈(320)을 통해 촬영한 실사영상 이미지를 영상재생모듈(36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등 휴대용 단말기(30) 구성 전반을 제어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어모듈(370) 역시 위치정보제공기(10)의 제어모듈(140)과 마찬가지로 중앙처리장치(CPU)와 같은 구성이 활용될 수 있다.
The control module 370 transmits the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 and posture of the user through the position sensor 330 and the gyro sensor 340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data of the position information data module 350 using the same to the server 50. Or, the part that control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30 such that the integrated information data received from the server 50 or the live image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photographing module 320 is displayed through the image playback module 360. to be. Like the control module 140 of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r 10, the control module 370 may also use a configuration such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상기 서버(50)는 상기 위치정보제공기(10) 및 휴대용 단말기(30)와 정보를 송수신하면서 시스템 전반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해 상기 서버(50)는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모듈(510)과, 송수신된 정보 및 지역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모듈(520)과, 전송받은 위치정보를 토대로 지역정보 또는 동물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통합정보데이터를 생성하는 통합정보데이터모듈(530)과, 중앙제어모듈(54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rver 5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entire system while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r 10 and the portable terminal 30, for this purpose, the server 50 transmits and receives the information transmitting and receiving module 510 And a storage module 520 for storing transmitted and received information and local information, an integrated information data module 530 for generating integrated information data including local information or animal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nd central control. Module 540 may be included.

상기 송수신모듈(510)은 상기 위치정보제공기(10)에서 전송되는 동물 위치정보나 상기 휴대용 단말기(30)에서 전송되는 위치정보데이터 등을 수신하고, 상기 위치정보제공기(10)나 휴대용 단말기(30)에 필요한 정보를 전송하는 부분으로, 이는 앞서 설명한 위치정보제공기(10)의 송수신모듈(110)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510 receives the animal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r 10 or the location information data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3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r 10 or the portable terminal. This is a part for transmitting necessary information at 30, which i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10 of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r 10 described abov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저장모듈(520)은 상기 송수신모듈(510)을 통해 송수신된 정보 및 지역정보데이터를 저장하는 부분으로, 지역정보데이터란 실사영상의 위치 및 자세에 대응되는 지형 및 시설물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말한다. 상기 저장모듈(520)로는 HDD와 같은 저장장치 등이 활용될 수 있다. The storage module 520 stores information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510 and area information data, and the area information data refers to detailed information on the terrain and facilities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and posture of the live-action image. . As the storage module 520, a storage device such as an HDD may be used.

상기 통합정보데이터모듈(530)은 휴대용 단말기(30)로부터 전송받은 위치정보데이터를 토대로 지역정보데이터 및/또는 동물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통합정보데이터를 생성하는 부분이다. 통합정보데이터란 휴대용 단말기(30)로부터 위치정보데이터를 수신한 후 해당 위치정보에 맞는 지역정보데이터 및/또는 동물 위치정보를 통합한 정보데이터를 의미한다. 상기 통합정보데이터모듈(530)로는 연산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CPU) 등이 활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후술할 중앙제어모듈(540)를 활용하여 동시에 기능이 수행될 수도 있다. The integrated information data module 530 is a part for generating integrated information data including local information data and / or animal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data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30. The integrated information data refers to information data obtained by incorporating location information data from the portable terminal 30 and integrating local information data and / or animal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As the integrated information data module 530,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for performing a calculation function may be utilized, and as necessary, a function may be simultaneously performed using the central control module 54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중앙제어모듈(540)은 상기 송수신모듈(510)을 통한 정보의 송수신, 상기 통합정보데이터모듈(530)의 상기 저장모듈(520)에 저장된 지역정보데이터 및/또는 동물 위치정보의 활용 등 서버(50) 전반의 구성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중앙제어모듈(540) 역시 상기 위치정보제공기(10)의 제어모듈(140) 등과 유사하게 중앙처리장치(CPU) 등이 활용될 수 있다.
The central control module 540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510, and utilizes local information data and / or animal lo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520 of the integrated information data module 530. (50)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half is controlled. The central control module 540 may also utiliz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d the like similar to the control module 140 of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r 10.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및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동물위치추적시스템의 작동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 2, it will be described for the operation of the animal track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location-based ser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동물에 장착되어 있는 위치정보제공기(10)는 송수신모듈(110)을 통해 수시로 동물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지점에 대한 위치정보 및 ID저장모듈(120)에 저장되어 있는 동물 고유의 ID(일 예로, ID-0000)를 서버(50)에 전송하게 되며, 서버(50)는 전송된 동물 ID 및 위치정보를 저장모듈(520)에 저장하게 된다. 이때, 자신의 반려동물을 잃어버린 사용자(또는 자신이 방생하여 사육하고 있는 동물이나 관리중인 야생동물의 위치를 확인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즉시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30)를 사용하여 자신이 위치하는 지역에 대한 실사영상을 촬영하고, 이와 동시에 휴대용 단말기(30)에 포함된 위치센서(330) 및 자이로센서(340)로부터 획득된 촬영한 지역의 위치 및 자세정보를 통합한 위치정보데이터가 생성되어 서버(50)에 전송된다. 휴대용 단말기(30)로부터 위치정보데이터가 수신되게 되면 서버(50)는 이를 저장함과 아울러 이를 토대로 지역정보데이터 및/또는 동물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통합정보데이터를 생성하여 휴대용 단말기(30)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전송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30)를 통해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이 위치하는 지역과 잃어버린 동물이 현재 위치하는 지역에 대한 정보를 지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즉시 잃어버린 동물이 현재 위치하는 지점으로 이동하여 동물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잃어버린 동물 근처까지 이동한 사용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30)를 통해 자신이 촬영한 지역의 시설물의 실사영상에 지역정보데이터 및 동물위치정보(통합정보데이터)가 정합된 증강현실화면을 통해 잃어버린 동물이 정확히 어느 시설물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정확하게 확인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잃어버린 반려동물을 찾을 수 있게 된다. First, as shown in FIG. 2,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r 10 mounted on the animal is stor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ID storage module 120 for the point where the animal is currently located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10 from time to time. The animal unique ID (eg, ID-0000)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50, and the server 50 stores the transmitted animal ID and location information in the storage module 520. At this time, a user who has lost his pet (or a user who wants to check the location of the animal he is living and breeding or managing the wild animal) immediately uses his portable terminal 30 in the area where he is located. Taking a photo of the real picture, and at the same time the location information data incorporating the location and attitude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ed area obtained from the position sensor 330 and the gyro sensor 340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30 is generated and the server ( 50).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data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30, the server 50 stores the information and generates integrated information data including local information data and / or animal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stored information, and uses the portable terminal 30. Will be sent to the user.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 the user can first check the information on the region where the animal is located and the region where the lost animal is currently located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30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30. You will be able to track the location of the animal by moving to the location where it is located. In addition, the user who moved to the near lost animal is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animal location information (integrated information data) is matched to the live-action image of the facility of the area photographed by the mobile terminal 30 as shown in FIG.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allows you to find out exactly where a lost animal is located in which facility and quickly and accurately find your lost pet.

이와 같은 동물위치추적시스템은 반려동물을 잃어버린 경우 이외에도 일 예로, 지리산의 곰과 같이 인위적으로 야생에서 관리되는 야생동물이 서식하는 주변으로 등산하는 등산객과 같이 등산지역의 야생동물의 위치를 확인하여 이를 피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이나, 방생하여 가축을 사육하는 목축업자와 같은 사용자들에게도 활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loss of pets, the animal location tracking system checks the location of wild animals in the climbing area, such as hikers who hike to the vicinity of artificially managed wild animals such as bears of Jirisan. It can also be used for users who want to avoid or for livestock breeders who live and raise livestock.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및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동물위치추적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6은 도 5의 동물위치추적시스템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animal track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location-based servic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nimal tracking system of Figure 5 to be.

도 5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및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동물위치추적시스템은 상기 위치정보제공기(10)가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모듈(160)과 상기 출력모듈(160)을 통해 출력될 다양한 음성신호를 저장하는 데이터모듈(150)을 추가로 포함하여, 동물 주변의 사람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음성신호를 출력?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5 and 6, the animal location track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location-based servic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output module 160,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r 10 can output a voice signal And a data module 150 for storing various voice signals to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module 160, and output and provide a voice signal to be transmitted to people around the animal.

상기 출력모듈(160)은 상기 데이터모듈(150)에 저장된 음성신호 또는 서버(50)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게 하는 부분으로, 일반적으로 소형 기기에 장착되는 스피커모듈이 활용될 수 있다. The output module 160 is a part for outputting the voice signal stored in the data module 150 or the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er 50 to the outside. Generally, a speaker module mounted on a small device may be utilized. Can be.

상기 데이터모듈(150)은 상기 출력모듈(160)을 통해 출력될 다양한 음성신호를 저장하는 부분으로, 상기 데이터모듈(150)에 저장되는 음성신호에는 반려동물을 잃어버린 사용자가 길을 헤메는 반려동물의 주위에 있을 사람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세지 즉, '저의 0000을 보호해주세요', '잃어버린 0000을 보시거나 보호하고 계신분은 ***로 연락해주세요' 등의 메세지 또는 야생동물을 관리하는 사용자가 야생동물이 서식하는 근처로 등산하는 등산객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세지 즉, '0000가 주변에 있으니 주의해 주세요', '이곳은 0000가 서식하는 곳이니 등산을 삼가해 주세요' 등의 메세지가 포함될 수 있다. The data module 150 is a part for storing various voice signals to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module 160, and the pet lost a companion animal to the voice signal stored in the data module 150. Messages that you want to convey to people around you, such as 'Please protect my 0000', 'If you are viewing or protecting your lost 0000, please contact ***' This message may be sent to the hikers who are living near the habitat of the animals, such as 'Please note that 0000 is near', 'Please do not climb this place because 0000 is inhabited'. .

이와 같이, 위치정보제공기(10)가 출력모듈(160)과 데이터모듈(150)을 포함하게 됨으로써 잃어버린 동물을 찾고자 하는 사용자가 동물 근처에 도착하기 전이더라도 동물 주변의 사람들에게 상황을 알리는 음성신호를 전달할 수 있어 사용자가 도착하기 전 동물이 안전사고 등을 당하게 되는 상황을 예방할 수 있을 뿐더러 잃어버린 동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찾을 수 있게 된다.
As such, since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r 10 includes the output module 160 and the data module 150, even if a user who wants to find a lost animal arrives near the animal, a voice signal for notifying people around the animal of the situation. It can be delivered to prevent the situation where the animal is subjected to safety accidents before the user arrives, and also to more effectively find the lost animal.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30)는 사용자가 상기 위치정보제공기(10)의 출력모듈(160)을 통해 출력될 음성신호를 선택 또는 제작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생성모듈(371)을 추가로 포함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음성신호를 동물 주변의 사람들에게 전달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30 further includes a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371 that allows a user to select, produce and transmit a voice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module 160 of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r 10. In this case, the user can transmit a desired voice signal to people around the animal.

상기 제어신호생성모듈(371)은 사용자 스스로 상기 출력모듈(160)을 통해 출력될 음성신호를 선택 또는 제작하여 전송할 수 있게 하는 구성으로, 상기 데이터모듈(150)에 기 저장된 음성신호가 현장상황에 부합하지 않는 것들만 있는 경우 또는 특별한 상황에서 사용자 본인이 주변에 전달하고자 하는 메세지가 있는 경우 등에 있어 사용자가 직접 출력될 메세지를 선택 또는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황에 맞는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신호생성모듈(371)은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자판을 통해 입력된 문자나 사용자가 음성을 녹음하여 메세지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을 디지털메세지로 변환하여 메세지를 제작하게 된다.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371 is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select, produce, and transmit a voice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module 160. The voice signal stored in the data module 150 may be stored in a field situation. When there are only those that do not match or when there is a message that the user wants to deliver in a special situation, the user can select or produce a message to be output directly so that an effective response according to the situation is possible.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371 converts a text input through a keyboard that allows a user to input a text or a voice input through a microphone that allows a user to record a voice to produce a message. Will be produced.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longing to the scope.

10: 위치정보제공기
110: 송수신모듈 120: ID저장모듈 130: 위치센서
140: 제어모듈 150: 데이터모듈 160: 출력모듈
30: 휴대용 단말기
310: 송수신모듈 320: 촬영모듈
330: 위치센서 340: 자이로센서 350: 위치정보데이터모듈
360: 영상재생모듈 370: 제어모듈 371: 제어신호생성모듈
50: 서버
510: 송수신모듈 520: 저장모듈
530: 통합정보데이터모듈 540: 중앙제어모듈
10: location information provider
110: transceiver module 120: ID storage module 130: position sensor
140: control module 150: data module 160: output module
30: portable terminal
310: transceiver module 320: recording module
330: position sensor 340: gyro sensor 350: position information data module
360: image playback module 370: control module 371: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50: server
510: transceiver module 520: storage module
530: integrated information data module 540: central control module

Claims (5)

동물에 장착되는 위치정보제공기;
사용자가 동물의 위치를 확인하고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
상기 위치정보제공기 및 휴대용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고 제어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정보제공기는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모듈과, 동물의 고유ID를 저장?제공하는 ID저장모듈과, 위치센서를 통한 위치정보전송 및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모듈과, 주변영상을 캡쳐하는 촬영모듈과, 위치센서 및 자이로센서를 통한 촬영위치와 자세정보를 기반으로 위치정보데이터를 생성하는 위치정보데이터모듈과,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모듈과, 송수신된 정보 및 지역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모듈과, 전송받은 위치정보를 토대로 지역정보 또는 동물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통합정보데이터를 생성하는 통합정보데이터모듈과, 중앙제어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동물의 위치를 능동적으로 확인하고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및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동물위치추적시스템.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er mounted on the animal;
A portable terminal for allowing a user to identify and track the location of the animal;
It includes; and a ser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r and the portable terminal,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r includes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an ID storage module for storing and providing a unique ID of an animal, and a control module for transmitting and controlling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a position sensor.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a photographing module for capturing surrounding images, a location information data module for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data based on photographing position and posture information through a posi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and a control module. Including,
The server includes an information transmitting / receiving module for transmitting / receiving information, a storage module for storing transmitted / received information and local information, and an integrated information data module for generating integrated information data including regional information or animal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 Including the central control module,
Animal location track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location-based service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can actively identify and track the location of the anim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센서는
지피에스(GPS), 시디엠에이(CDMA), 와이파이(WiFi) 방식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용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및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동물위치추적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osition sensor
GPS (CPS), CDA (CDMA), Wi-Fi (WiFi) Any one or two or more of the method of using a combination of the animal location tracking system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주변 실사영상에 서버로부터 전송된 지역정보 또는 동물위치정보를 중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재생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및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동물위치추적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Animal location tracking system using an augmented reality and location-based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image playback module for superimposing and displaying the local information or animal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to the surrounding live im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제공기는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모듈과, 상기 출력모듈을 통해 출력될 다양한 음성신호를 저장하는 데이터모듈을 추가로 포함하여,
동물 주변의 사람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음성신호를 출력?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및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동물위치추적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r
Further comprising an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and a data module for storing a variety of voice signals to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module,
Animal location track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location-based service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and provide a voice signal to be delivered to people around the anima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상기 위치정보제공기의 출력모듈을 통해 출력될 음성신호를 선택 또는 제작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생성모듈을 추가로 포함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음성신호를 동물 주변의 사람들에게 전달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및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동물위치추적시스템.
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4,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for allowing a user to select, produce and transmit a voice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modul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r, so that the user can transmit the desired voice signal to people around the animal Animal location track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location-based services.
KR1020100131363A 2010-12-21 2010-12-21 A Position-Track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Location Based Service KR1012664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363A KR101266418B1 (en) 2010-12-21 2010-12-21 A Position-Track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Location Based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363A KR101266418B1 (en) 2010-12-21 2010-12-21 A Position-Track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Location Based Ser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994A true KR20120069994A (en) 2012-06-29
KR101266418B1 KR101266418B1 (en) 2013-05-22

Family

ID=46687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1363A KR101266418B1 (en) 2010-12-21 2010-12-21 A Position-Track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Location Based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6418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308B1 (en) * 2013-02-27 2014-09-16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ets Location tracking Device.
CN107896364A (en) * 2017-11-23 2018-04-10 沈阳首视科技有限责任公司 Data processing method and outdoor intelligent terminal based on position positioning and augmented reality
KR102210076B1 (en) * 2020-04-16 2021-02-02 김원국 System and server for supporting of monitoring, capturing and tracking harmful wild animals
KR20220074103A (en) * 2020-11-27 2022-06-03 주식회사 소프트그래피 Device and method of image registration for 3d model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893B1 (en) * 2017-08-21 2019-11-04 주식회사 베르그앤릿지 Pet care method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2256973B1 (en) 2019-09-10 2021-05-27 김용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game with pet using augment reality
KR102237447B1 (en) 2020-08-20 2021-04-06 김유창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panion animal extended reality video experien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679B1 (en) 2001-03-30 2003-02-12 백무창 Animal breeding method by Global Positioning System and its system
KR100789100B1 (en) 2006-09-19 2007-12-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obile augment reality service system and metho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308B1 (en) * 2013-02-27 2014-09-16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ets Location tracking Device.
CN107896364A (en) * 2017-11-23 2018-04-10 沈阳首视科技有限责任公司 Data processing method and outdoor intelligent terminal based on position positioning and augmented reality
KR102210076B1 (en) * 2020-04-16 2021-02-02 김원국 System and server for supporting of monitoring, capturing and tracking harmful wild animals
KR20220074103A (en) * 2020-11-27 2022-06-03 주식회사 소프트그래피 Device and method of image registration for 3d mod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6418B1 (en) 201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418B1 (en) A Position-Track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Location Based Service
US7466992B1 (en) Communication device
US20210304577A1 (en) Integrated Camera and Ultra-Wideband Location Devices and Related Systems
US20160030275A1 (en) Blind-guiding positioning system for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1401209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position of a device relative to a virtual fence
US20140059704A1 (en) Client device, server, and storage medium
US20100020229A1 (en) Wearable personal video/audio device method and system
KR20090002657A (en) Method for creating image file including information of individual and apparatus thereof
KR101481051B1 (en) Private black box apparatus and driviing method thereof
US201300800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Lost Subjects
US20110013032A1 (en) Imaging system, moving body, and imaging control method
US20150281568A1 (en) Content acquisition device, portable device,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2322004B1 (en) Geofencing based tourism platform
EP2892222A1 (en) Control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230413014A1 (en) Personal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s
US20220139199A1 (en) Accurate digital security system, method, and program
Boulos et al. Geo-enabled technologies for independent living: examples from four European projects
US20170347627A1 (en) Lost and found notifications for pets based on geolocation and profile information
KR20160096256A (en) Guardian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protege
US20100240404A1 (en) Personal location monitoring system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KR20120088320A (en) Object recognition and for the visually impaired pedestrian guidance system
JP2012248967A (en) Security-ensuring remote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JP2015176220A (en) Bulletin board device and bulletin board system
KR20130131511A (en) Guide apparatus for blind person
KR101336825B1 (en) Monitoring system for prevention of crime and violence in sch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