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8517A - 기지국 및 기지국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 및 기지국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8517A
KR20120068517A KR1020100130170A KR20100130170A KR20120068517A KR 20120068517 A KR20120068517 A KR 20120068517A KR 1020100130170 A KR1020100130170 A KR 1020100130170A KR 20100130170 A KR20100130170 A KR 20100130170A KR 20120068517 A KR20120068517 A KR 20120068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io
length
base station
traffic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0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익
박우구
송평중
신경철
함진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30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8517A/ko
Priority to US13/327,622 priority patent/US20120155306A1/en
Publication of KR20120068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85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2Negotiating communicat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기지국은 하향링크 버퍼 내의 트래픽 양을 측정한다. 측정된 트래픽 양이 임계값보다 많은 경우에, 기지국은 임계값에 대한 트래픽 양의 비율과 슈퍼 프레임의 길이에 따라 활성 구간과 비활성 구간 사이의 비율을 조절한다. 측정된 트래픽 양이 임계값보다 적은 경우에, 기지국은 트래픽 양에 대한 임계값의 비율과 슈퍼 프레임의 길이에 따라 활성 구간과 비활성 구간 사이의 비율을 조절한다.

Description

기지국 및 기지국의 동작 방법{BASE ST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기지국 및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기지국의 저전력 모드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펨토셀 기지국의 전파간섭 해소 및 저전력화를 위하여 펨토셀 기지국은 저전력 모드로 운용된다. 이 저전력 모드는 기지국 Low-Duty Mode 또는 기지국 Power Saving Mode라 불린다. 펨토셀 기지국에 접속된 이동국(Mobile Station, MS)이 없거나 접속되어 있는 모든 이동국이 idle state일 경우에, 저전력 모드로 운용되는 펨토셀 기지국은 불연속적으로 송수신을 한다. 즉, 펨토셀 기지국은 활성 구간 (Available Interval, AI)과 비활성 구간(Un-Available Interval, UAI)을 발생시키고, 비활성 구간(UAI) 동안 전력 소모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이를 통해, 매크로셀 및 인접 펨토셀 과의 간섭이 회피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지국 저전력 모드 방식을 보여주는 실시 예이다.
도 1을 통해 설명하면, 기지국의 저전력 모드에 사용되는 Low-Duty Cycle은 활성 구간(AI)과 비활성 구간(UAI)으로 구성된다. 활성 구간(AI)에서 기지국은 이동국과 동기를 맞출 수 있고, paging, ranging, data traffic transmission opportunities와 같은 signaling을 수행할 수 있다. 활성 구간(A)은 Super Frame 단위로 설정되고, 주기적으로 발생한다. 비활성 구간(UAI)에서 기지국은 이동국과 통신을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전력 소모가 최소화된다. 비활성 구간(UAI)는 이동국의 스캐닝 성능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기지국에 대한 저전력 모드 운용은 펨토셀 기지국에 한정된다. 특히, 종래의 기술은 해당 펨토셀 기지국을 사용할 수 있는 가입자 수가 극히 제한적이라는 전제를 하여 디자인되었기 때문에, 펨토셀에 비해 가입자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마이크로셀 이상의 서비스 커버리지를 갖는 기지국에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Low-Duty Cycle이 고정적이고 이동국으로의 송수신 트래픽에 대한 스캐쥴링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만약 기존 발명들이 펨토셀에 비해 활성 이동국(Active MS)의 발생 빈도가 많은 마이크로셀 기지국에 적용된다면, 해당 기지국은 비활성 구간(UAI)의 발생이 불가능하여 저전력 모드로 운용될 경우가 거의 없을 것이다.
최근 펨토셀 기지국뿐만 아니라 광역 커버리지를 갖는 마이크로셀(또는 그 이상) 기지국에서의 저전력 모드 운용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활성 이동국의 트래픽 빈도가 매우 낮은 지역 및 시간대에 이러한 기지국 저전력 모드 운용을 통하여 전력소모를 낮추기 위한 방안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지국 내에 있는 활성 이동국의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고도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기지국 및 기지국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운용 방법은 하향링크 버퍼 내의 트래픽 양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래픽 양에 따라 활성 구간과 비활성 구간 사이의 제1 비율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비율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트래픽 양을 임계값과 비교하여 비교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비율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교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비율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트래픽 양이 상기 임계값보다 많은 경우에, 상기 임계값에 대한 상기 트래픽 양의 제2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비율에 따라 상기 제1 비율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비율에 따라 상기 제1 비율을 조절하는 단계는, 슈퍼 프레임의 길이에 상기 제2 비율을 곱한 만큼 상기 활성 구간의 길이를 늘이는 단계와, 슈퍼 프레임의 길이에 상기 제2 비율을 곱한 만큼 상기 비활성 구간의 길이를 줄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교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비율을 조절하는 단계는 현재의 비활성 구간의 길이가 0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비율의 조절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교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비율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트래픽 양이 상기 임계값보다 적은 경우에, 상기 트래픽 양에 대한 상기 임계값의 제2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비율에 따라 상기 제1 비율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비율에 따라 상기 제1 비율을 조절하는 단계는, 슈퍼 프레임의 길이에 상기 제2 비율을 곱한 만큼 상기 활성 구간의 길이를 줄이는 단계와, 슈퍼 프레임의 길이에 상기 제2 비율을 곱한 만큼 상기 비활성 구간의 길이를 늘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교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비율을 조절하는 단계는 현재의 활성 구간의 길이가 최소 활성 구간 길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비율의 조절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의 운용 방법은 상기 제1 비율에 대한 정보를 방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하향링크 버퍼 내의 트래픽 양을 측정하는 트래픽양 확인부; 및 상기 트래픽 양에 따라 활성 구간과 비활성 구간 사이의 제1 비율을 조절하는 모드 동작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모드 동작 제어부는 상기 트래픽 양을 임계값과 비교하여 비교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모드 동작 제어부는 상기 트래픽 양이 상기 임계값보다 많은 경우에 상기 임계값에 대한 상기 트래픽 양의 제2 비율과 슈퍼 프레임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1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모드 동작 제어부는 상기 트래픽 양이 상기 임계값보다 적은 경우에 상기 트래픽 양에 대한 상기 임계값의 제3 비율과 슈퍼 프레임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1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1 비율에 대한 정보를 방송하는 정보 방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지국의 운용 방법은 상기 복수의 시스템의 비활성 구간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0의 비활성 구간의 길이를 가진 제1 시스템이 존재하는 경우, 0이 아닌 비활성 구간의 길이를 가진 제2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단말에게 상기 제1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지국의 운용 방법은 상기 제2 시스템에 대하여 활성 구간과 비활성 구간의 비율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지국은 상기 복수의 시스템의 비활성 구간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및 0의 비활성 구간의 길이를 가진 제1 시스템이 존재하는 경우, 0이 아닌 비활성 구간의 길이를 가진 제2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단말에게 상기 제1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2 시스템에 대하여 활성 구간과 비활성 구간의 비율을 조절하는 모드 동작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트래픽 량에 따라 동적으로 Low-Duty Cycle을 변경함으로써, 기지국 내에 있는 활성 이동국의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에 영향을 주지 않고도 마이크로셀 또는 그 이상의 커버리지를 갖는 기지국의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셀간 전파간섭 또한 줄일 수 있다.
또한 다중모드/다중밴드 기지국일 경우에, 비활성 구간(UAI)이 0인 시스템으로의 강제 핸드오버를 통하여 더욱 효과적인 저전력 모드 운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기지국 저전력 모드 방식을 보여주는 실시 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트래픽 인지 저전력 모드의 동작을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400)의 블록도를 보여준다.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블록도를 보여준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동국(Mobile Station, MS)은 단말(terminal),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트래픽 인지 저전력 모드의 동작을 보여준다.
인구밀도가 적은 지역이나 심야 시간대의 경우, 가입자의 단말 사용량은 적다. 특히 실시간 트래픽은 매우 간헐적으로 발생한다. 특히 도심지역이라 하더라도 사무실 및 공장 밀집지역은 낮 시간대에는 단말 사용자가 많으나 심야 시간대에는 단말 사용자가 극히 소수일 것이다. 이러한 경우, 비록 활성 이동국이 존재한다 하더라도 활성 이동국의 트래픽이 비실시간 트래픽인 경우에 기지국을 저전력 모드로 운용함으로써 기지국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한다.
도 2의 (1)에서와 같이, 발생하는 트래픽 량이 소량이어서 Low-Duty Cycle 동안 반복하여 발생되는 활성 구간(AI)내에 활성 이동국의 QoS를 떨어트리지 않으면서 처리될 수 있다면, 기지국은 초기에 설정된 Low-Duty Cycle을 유지하며 활성 구간(AI)내에 활성 이동국으로 트래픽을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활성 이동국의 QoS 감소 유무를 판별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변수가 사용될 수 있다.
변수 BUFtraffic는 기지국의 하향링크 버퍼에 입력된 총 트래픽 량을 나타낸다.
변수 THqos는 기지국의 하향링크 버퍼에 입력된 총 트래픽 량이 많고 적음과 활성 이동국의 QoS 감소 유무를 판별하기 위한 임계값이다. 초기 THqos 값은 기지국의 하향링크 버퍼 내의 트래픽 량과 활성 이동국의 QoS의 변동성을 반영하여 설정된다.
도 2의 (2)와 같이, 기지국의 하향링크 버퍼에 비활성 구간(UAI) 동안 입력된 트래픽 량(BUFtraffic)이 임계값 THqos을 초과하면, 기지국은 활성 이동국의 QoS가 감소된 것으로 판단하고, Low-Duty Cycle의 활성 구간(AI)을 증가시켜 기지국의 하향링크 송신 기회(downlink Transmission Opportunity)를 증가 시킨다. 이와 같이 활성 구간(AI)을 변경한 경우, 기지국은 Low-Duty Cycle 정보, 활성 구간(AI) 정보, 비활성 구간(UAI)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Advertisement 메시지를 통해 MS들에게 공지한다.
도 2의 (3)과 같이, 기지국내에 활성 이동국들이 많은 경우, 기지국의 송신 기회를 증가시키기 위해 활성 구간(AI)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며, 결국 비활성 구간(UAI)이 0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의 정상 동작 모드 (Normal Mode)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비활성 구간(UAI)이 0일 경우는 기지국의 정상 동작 모드(Normal Mode)로의 천이로 구분된다. 도 2 (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활성 구간(AI)이 변경되었으므로 기지국은 Low-Duty Cycle 정보를 Advertisement 메시지를 통해 MS들에게 공지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특히 도 3은 기지국의 동적 트래픽 인지 저전력 모드의 동작을 보여준다.
먼저 기지국은 저전력 모드로 동작한다(S301).
다음, 기지국은 Low-Duty Cycle 마다 하향링크 버퍼의 트래픽 량(BUFtraffic)과 임계값(THqos)을 비교한다(S303).
만약 임계값(THqos)보다 하향링크 버퍼의 트래픽 량(BUFtraffic)이 크다면, 기지국은 현재의 비활성 구간(UAI)의 길이가 0인지 확인한다(S305).
현재의 비활성 구간(UAI)의 길이가 0이면, 기지국은 더 이상 증가시킬 활성 구간(AI)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현재의 활성 구간(AI)을 유지한다.
현재의 비활성 구간(UAI)의 길이가 0이 아니면, 기지국은 트래픽 량(BUFtraffic)이 임계값(THqos)을 초과한 정도 n를 계산한다(S307). 이때 트래픽 량(BUFtraffic)이 임계값(THqos)을 초과한 정도 n은 수학식 1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다음, 기지국은 활성 구간(AI)의 길이를 하향링크 버퍼의 트래픽 량(BUFtraffic)이 임계값(THqos)을 초과한 정도 n에 따라 증가시키고 비활성 구간(UAI)의 길이를 활성 구간(AI)의 길이가 증가한 만큼 감소시킨다(S309). 기지국은 수학식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활성 구간(AI)의 길이를 n개의 슈퍼 프레임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늘이고, 비활성 구간(UAI) 의 길이를 n개의 슈퍼 프레임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줄일 수 있다.
Figure pat00002
수학식 2에서 Next_AI는 변경될 활성 구간(AI)의 길이를 나타내고, Current_AI는 현재의 활성 구간(AI)의 길이를 나타내고, Next_UAI는 변경될 비활성 구간(UAI)의 길이를 나타내고, Current_UAI는 현재의 비활성 구간(UAI)의 길이를 나타내며, SF는 1 슈퍼 프레임의 길이를 나타낸다.
한편, 임계값(THqos)보다 하향링크 버퍼의 트래픽 량(BUFtraffic)이 작다면, 기지국은 현재의 활성 구간(AI)의 길이가 초기 활성 구간의 길이 또는 최소 활성 구간의 길이와 같은지를 판단한다(S311).
현재의 활성 구간(UAI)의 길이가 초기 활성 구간의 길이 또는 최소 활성 구간의 길이와 같다면, 기지국은 더 이상 감소시킬 활성 구간(AI)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현재의 활성 구간(AI)을 유지한다.
현재의 활성 구간(AI)의 길이가 초기 활성 구간의 길이 또는 최소 활성 구간의 길이보다 크다면, 기지국은 임계값(THqos)이 하향링크 버퍼의 트래픽 량(BUFtraffic)을 초과한 정도 m을 계산한다(S313). 이때 임계값(THqos)이 하향링크 버퍼의 트래픽 량(BUFtraffic)을 초과한 정도 m은 수학식 3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03
다음, 기지국은 활성 구간(AI)의 길이를 임계값(THqos)이 하향링크 버퍼의 트래픽 량(BUFtraffic)을 초과한 정도 m에 따라 감소시키고 비활성 구간(UAI)의 길이를 활성 구간(AI)의 길이가 감소한 만큼 증가시킨다(S315). 기지국은 수학식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활성 구간(AI)의 길이를 m개의 슈퍼 프레임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줄이고, 비활성 구간(UAI) 의 길이를 m개의 슈퍼 프레임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늘일 수 있다.
Figure pat00004
활성 구간(AI)의 길이와 비활성 구간(UAI)의 길이가 변경되면, 기지국은 변경된 활성 구간(AI)과 비활성 구간(UAI)에 대한 정보를 Advertisement 메시지를 통해 이동국에게 공지한다. 이로써, 기지국으로부터 Advertisement 메시지를 수신한 활성 이동국은 변경된 활성 구간(AI)에 맞춰 상향링크 전송 기회(Uplink Transmission Opportunity)를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400)의 블록도를 보여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400)은 하향링크 버퍼(410), 트래픽량 확인부(420), 모드 동작 제어부(430), 정보 방송부(440)를 포함한다.
트래픽량 확인부(420)는 하향링크 버퍼(410) 내의 하향링크 트래픽의 양을 확인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모드 동작 제어부(430)에 제공한다.
모드 동작 제어부(430)는 하향링크 버퍼(410) 내의 하향링크 트래픽의 양을 임계값(THqos)과 비교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 구간(AI)의 길이 및 비활성 구간(UAI)의 길이를 변경한다.
정보 방송부(440)는 활성 구간(AI)의 길이 및 비활성 구간(UAI)의 길이의 변경 정보를 생성하고 방송한다.
또한 여러 이종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는 다중 모드/다중 밴드 기지국은 활성 이동국들을 비활성 구간(UAI)이 0인 시스템으로 강제 핸드오버를 수행시켜 상대적으로 비활성 구간(UAI)이 큰 시스템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블록도를 보여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500)은 UAI 정보 획득부(510), 강제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 전송부(520)를 포함한다. 특히 도 5와 관련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500)은 복수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고, 각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도 4에 도시된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500)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UAI 정보 획득부(510)는 복수의 시스템의 비활성 구간(UAI)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정보를 획득한다(S601).
다음, 강제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 전송부(520)는 복수의 시스템 중 길이가 0인 비활성 구간(UAI)을 가진 시스템의 존재를 확인한다(S603). 기지국은 복수의 시스템 중 정상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시스템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길이가 0인 비활성 구간(UAI)을 가진 시스템이 존재하거나 정상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시스템이 존재하는 경우, 강제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 전송부(520)는 길이가 0인 비활성 구간(UAI)을 가진 시스템 또는 정상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시스템으로의 강제 핸드오버를 지시하는 메시지를 길이가 0이 아닌 비활성 구간을 가진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셀 내의 활성 이동국에게 전송한다(S605).
길이가 0이 아닌 비활성 구간을 가진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활성 이동국의 수가 감소하였으므로, 길이가 0이 아닌 비활성 구간을 가진 시스템의 모드 동작 제어부(4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 구간(AI) 및 비활성 구간(UAI) 사이의 비율을 조절한다(S607).
이상에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여러 실시예를 각각 설명하였으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지국의 기능들은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기지국(400), 하향링크 버퍼(410), 트래픽량 확인부(420)
모드 동작 제어부(430), 정보 방송부(440),
기지국(500), UAI 정보 획득부(510),
강제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 전송부(520)

Claims (17)

  1. 하향링크 버퍼 내의 트래픽 양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래픽 양에 따라 활성 구간과 비활성 구간 사이의 제1 비율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운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율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트래픽 양을 임계값과 비교하여 비교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비율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운용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비율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트래픽 양이 상기 임계값보다 많은 경우에, 상기 임계값에 대한 상기 트래픽 양의 제2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비율에 따라 상기 제1 비율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운용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율에 따라 상기 제1 비율을 조절하는 단계는,
    슈퍼 프레임의 길이에 상기 제2 비율을 곱한 만큼 상기 활성 구간의 길이를 늘이는 단계와,
    슈퍼 프레임의 길이에 상기 제2 비율을 곱한 만큼 상기 비활성 구간의 길이를 줄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운용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비율을 조절하는 단계는
    현재의 비활성 구간의 길이가 0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비율의 조절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운용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비율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트래픽 양이 상기 임계값보다 적은 경우에, 상기 트래픽 양에 대한 상기 임계값의 제2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비율에 따라 상기 제1 비율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운용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율에 따라 상기 제1 비율을 조절하는 단계는,
    슈퍼 프레임의 길이에 상기 제2 비율을 곱한 만큼 상기 활성 구간의 길이를 줄이는 단계와,
    슈퍼 프레임의 길이에 상기 제2 비율을 곱한 만큼 상기 비활성 구간의 길이를 늘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운용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비율을 조절하는 단계는
    현재의 활성 구간의 길이가 최소 활성 구간 길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비율의 조절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운용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율에 대한 정보를 방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의 운용 방법.
  10. 하향링크 버퍼 내의 트래픽 양을 측정하는 트래픽양 확인부; 및
    상기 트래픽 양에 따라 활성 구간과 비활성 구간 사이의 제1 비율을 조절하는 모드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지국.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동작 제어부는 상기 트래픽 양을 임계값과 비교하여 비교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비율을 조절하는 기지국.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동작 제어부는 상기 트래픽 양이 상기 임계값보다 많은 경우에 상기 임계값에 대한 상기 트래픽 양의 제2 비율과 슈퍼 프레임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1 비율을 조절하고,
    상기 모드 동작 제어부는 상기 트래픽 양이 상기 임계값보다 적은 경우에 상기 트래픽 양에 대한 상기 임계값의 제3 비율과 슈퍼 프레임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1 비율을 조절하는 기지국.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율에 대한 정보를 방송하는 정보 방송부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
  14. 복수의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지국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스템의 비활성 구간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0의 비활성 구간의 길이를 가진 제1 시스템이 존재하는 경우, 0이 아닌 비활성 구간의 길이를 가진 제2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단말에게 상기 제1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운용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스템에 대하여 활성 구간과 비활성 구간의 비율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의 운용 방법.
  16. 복수의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스템의 비활성 구간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및
    0의 비활성 구간의 길이를 가진 제1 시스템이 존재하는 경우, 0이 아닌 비활성 구간의 길이를 가진 제2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단말에게 상기 제1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는 기지국.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스템에 대하여 활성 구간과 비활성 구간의 비율을 조절하는 모드 동작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
KR1020100130170A 2010-12-17 2010-12-17 기지국 및 기지국의 동작 방법 KR2012006851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170A KR20120068517A (ko) 2010-12-17 2010-12-17 기지국 및 기지국의 동작 방법
US13/327,622 US20120155306A1 (en) 2010-12-17 2011-12-15 Base st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170A KR20120068517A (ko) 2010-12-17 2010-12-17 기지국 및 기지국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517A true KR20120068517A (ko) 2012-06-27

Family

ID=46234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0170A KR20120068517A (ko) 2010-12-17 2010-12-17 기지국 및 기지국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155306A1 (ko)
KR (1) KR2012006851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16594B2 (en) 2012-04-27 2016-12-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in dense network operations
US11166320B2 (en) * 2017-04-28 2021-11-02 Lg Electronics Inc. Random access performing method, and device supporting same
WO2020060474A1 (en) * 2018-09-19 2020-03-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obility management with base station using duty cycle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60469B2 (en) * 2007-03-19 2010-12-28 Intel Corporation Sleep optimization for mobile devices in a wireless network
US8626223B2 (en) * 2008-05-07 2014-01-07 At&T Mobility Ii Llc Femto cell signaling gating
KR20100132427A (ko) * 2009-06-09 2010-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펨토 기지국의 저부하 모드 동작 방법
US8433345B2 (en) * 2009-06-17 2013-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to support paging with less interference in multi-tier communication systems
US8219086B2 (en) * 2009-07-06 2012-07-10 Intel Corporation Low duty mode for femtocell base stations
WO2011025295A2 (en) * 2009-08-27 2011-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support low duty mode in femtocells
US8607279B2 (en) * 2010-03-23 2013-12-10 Qualcomm Incorporated Induced sleep intervals for devices receiving bursty non-real time broadcast flow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55306A1 (en) 201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09504B2 (ja) セルラシステムおよびセルラシステムの隣接周波数干渉回避方法と移動局
JP4173293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無線ネットワーク制御装置、移動局及び移動局の消費電力削減方法
KR101642998B1 (ko) 이동국에서의 배터리 수명 보존 장치 및 그에 따른 시스템
TWI511491B (zh) 動態分時雙工方法及其裝置
CN106465264B (zh) 虚拟无线接入网络(v-ran)的动态节能发射点(tp)静默
KR20140131285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JP5745071B2 (ja) 基地局の電力消費の最適化
CN105830483A (zh) 波束配置方法、基站及用户设备
US9706490B2 (en) Method for energy saving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KR20010112337A (ko)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리소스들을 시공유하는 방법
US8725183B2 (en)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base station and terminal
EP2519060A1 (en) Power saving mode adjustment
KR20120068517A (ko) 기지국 및 기지국의 동작 방법
Akkari et al. Dynamic Clustering Protocol for coordinated tethering over cellular networks
Dataesatu et al. System Performance Enhancement with Energy Efficiency Based Sleep Control for 5G Heterogeneous Cellular Networks.
Islam et al. A reinforcement learning based algorithm towards energy efficient 5G multi-tier network
Xu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energy efficiency with sleep mode in ultra dense networks
KR2015009550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소형셀 운영 장치 및 방법
CN101815247B (zh) 广播信道周期的设置方法
JP6560753B2 (ja) モバイルセルラー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データ送信電力を管理するための方法
US20230089297A1 (en) Adjusting a user equipment activity timing based on multiple signal sources for wireless network
US9980217B2 (en) Method and system for opportunistic probing
Dataesatu Study on Energy-Efficiency Enhancement Techniques for 5G Cellular Networks
Kwan et al. Sleep-Wake Scheduling Scheme for Small Cell Base Stations: A Review
Altay et al. Dynamic adjustment of idle mode sleep time by received power outage prob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