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7813A - 연료전지의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스택 구조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의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스택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7813A
KR20120067813A KR1020100129419A KR20100129419A KR20120067813A KR 20120067813 A KR20120067813 A KR 20120067813A KR 1020100129419 A KR1020100129419 A KR 1020100129419A KR 20100129419 A KR20100129419 A KR 20100129419A KR 20120067813 A KR20120067813 A KR 20120067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material
fuel cell
bipolar plate
membrane
separa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9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0286B1 (ko
Inventor
홍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100129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0286B1/ko
Priority to PCT/KR2011/005525 priority patent/WO2012081792A1/ko
Publication of KR20120067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7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0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0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47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fo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막/전극 접합체(Membrane Electrode Assembly)의 양면에 형성되어, 수소와 산소 가스를 막/전극 접합체의 전극으로 공급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에 있어서,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단위 플레이트; 각각의 단위 플레이트 사이를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비전도성 재질의 분리부재;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 각 단위 플레이트와 분리부재에 연통 형성되어, 가스의 공급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유로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스택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료전지 스택의 제작 비용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또한 적은 적층 셀 수로 고전압 스택을 제작함으로써 전력 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연료전지의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스택 구조{Bipolar plate for fuel cell and stack structur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연료전지의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스택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막/전극 접합체의 양면에 형성되어 수소와 산소 가스를 막/전극 접합체의 전극으로 공급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에 대해, 비전도성 재질의 분리부재에 의해 전도성 재질의 단위 플레이트가 동일 평면상에서 복수로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연료전지 스택의 제작 비용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또한 적은 적층 셀 수로 고전압 스택을 제작함으로써 전력 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연료전지의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스택 구조에 관한 것이다.
수요량에 비해 생산량이 현저히 줄어든 석유 에너지는 심각한 자연 환경 문제를 일으킬 뿐 아니라 매장량이 유한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대체에너지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중 수소에너지를 사용하는 연료전지는 현재의 내연 기관에 비하여 열효율이 높을 뿐 아니라 생성물 또한 청정하여 환경 친화적인 우수한 대체에너지로 각광받고 있다.
연료전지는 연료가스인 수소와 산화가스인 산소(또는 공기)가 반응하면서 일어나는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연소 과정 없이 화학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 시스템으로서, 폐쇄계 내에서 전기를 생산하게 되는 기존의 전지와 달리 외부로부터 수소와 산소를 공급받아 연속적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고효율의 청정 에너지 변환장치이다.
상기와 같이 외부에서 공급되는 수소와 산소를 사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연료전지의 최종 생성물질은 물과 열 및 직류 전기로서, NOx, SOx 등의 유해 가스 배출이 1% 이하인 청정 고효율 발전 시스템이기 때문에 환경 오염을 상당 부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효율이 25% 이하인 기존의 내연기관에 비하여 50% 이상으로 매우 높아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실용화하기 위하여 널리 연구되고 있다.
그리고, 고효율의 청정 발전 시스템인 연료전지는, 사용되는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150?200℃ 부근에서 작동하는 인산형, 상온 내지 100℃ 이하에서 작동하는 고분자 전해질형 또는 알칼리형, 600?700℃의 고온에서 작동하는 용융탄산염형 및 1000℃ 정도의 고온에서 작동하는 고체산화물형 연료전지 등으로 크게 분류되며, 각 연료전지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원리에 의해서 작동하나 연료의 종류, 운전 온도, 촉매 및 전해질에 따라 상기와 같이 구분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여러 종류 연료전지들 중에서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는, 고체인 고분자를 전해질로 사용하기 때문에 전해질 관리가 용이하고, 전해질에 의한 부식이나 전해질이 증발되는 문제가 없으며, 단위 면적당 전류밀도가 높아 타 연료전지에 비하여 출력 특성이 월등히 높은 동시에 작동 온도가 낮을 뿐 아니라, 설비 유지 및 보수가 간편하고 빠른 시동 및 응답 특성을 가지고 있어 자동차용 등과 같은 이동용 전원이나, 주택과 공공 건물 등의 분산용 전원 및 전자기기용 소형 전원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개발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EMFC)는 기본적으로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 스택(stack), 개질기(reformer), 연료 탱크 및 연료 펌프 등을 구비한다. 스택은 연료 전지의 본체를 형성하며, 연료 펌프는 연료 탱크 내의 연료를 개질기로 공급한다. 개질기는 연료를 개질하여 수소 가스를 발생시키고 그 수소 가스를 스택으로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는 연료 펌프의 작동으로 연료 탱크 내의 연료를 개질기로 공급하고, 이 개질기에서 연료를 개질하여 수소 가스를 발생시키며, 스택에서 이 수소 가스와 산소를 전기화학적으로 반응시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킨다.
상기와 같은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에 있어 전기를 실질적으로 발생시키는 스택은 막/전극 접합체(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와 이의 양면에 밀착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Bipolar Plate)로 이루어진 단위 셀이 수 개 내지 수십 개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막/전극 접합체는 고분자 전해질막을 사이에 두고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이 부착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상기 각각의 막/전극 접합체를 분리하고 연료 전지의 반응에 필요한 수소 가스와 산소를 막/전극 접합체의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으로 공급하는 통로의 역할, 그리고 각각의 막/전극 접합체의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을 직렬로 연결시켜 주는 전도체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한편, 종래의 연료전지는 두 장의 바이폴라 플레이트 사이에 막/전극 접합체 1개를 삽입하여 1셀을 구성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1셀에서는 약 1V의 전압이 발생하기 때문에 원하는 전압 범위에서 시스템이 운전되기 위해서는 다수의 셀을 적층해서 스택을 제작해야 한다.
반면, 연료전지 스택의 제작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스택에 적층되는 셀의 수를 줄이고 대면적으로 제작해서 바이폴라 플레이트와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 비용을 줄여야 한다.
그런데 대면적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제작하여 셀 수를 줄일 경우, 셀의 면적이 증가하고 셀 수가 감소하기 때문에 저전압/고전류 스택이 되며, 저전압/고전류 스택의 경우에는 PCS(전력변환기)의 효율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저전압/고전류인 경우 PCS의 효율은 떨어지면서 가격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고, 변환 효율로 인해 스택의 최소 전압 한계가 있어서 대면적으로 개발하는데에도 한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적층되는 셀의 수를 줄여서 연료전지 스택의 제작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연료전지의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스택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해결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은 적층 셀 수로 고전압 스택을 제작함으로써 전력 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을 또 다른 해결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의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막/전극 접합체(Membrane Electrode Assembly)의 양면에 형성되어, 수소와 산소 가스를 막/전극 접합체의 전극으로 공급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에 있어서,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단위 플레이트; 각각의 단위 플레이트 사이를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비전도성 재질의 분리부재;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 각 단위 플레이트와 분리부재에 연통 형성되어, 가스의 공급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유로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부재는 고분자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위 플레이트와 분리부재는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미세 분말 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단위 플레이트를 형성하기 위한 전도성 재질의 분말과, 상기 분리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비전도성 재질의 분말을 몰드 내에 구분하여 주입한 후, 압축에 의해 열 융착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단위 플레이트를 형성하기 위한 전도성 재료와, 상기 분리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비전도성 재료를 건조 과정을 통해 가성형 한 후, 금형에 주입한 상태에서 압착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금형 내부에 상기 단위 플레이트를 형성하기 위한 전도성 재료를 1차 사출하고, 금형 코어의 이동으로 형성된 공간에 상기 분리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비전도성 재료를 2차 사출한 후, 금형을 압착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분리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비전도성 재료는 고분자 레진(resin)과, 흐름성 및 열팽창률을 개선하기 위한 첨가제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위 플레이트를 형성하기 위한 전도성 재료는 상기 비전도성 재료에 도전성 카본 물질이 혼합된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의 스택 구조는, 전해질막을 사이에 두고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이 부착된 막/전극 접합체와; 상기 막/전극 접합체의 양면에 형성되어, 수소와 산소 가스를 막/전극 접합체의 전극으로 공급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단위 플레이트; 각각의 단위 플레이트 사이를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비전도성 재질의 분리부재;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 각 단위 플레이트와 분리부재에 연통 형성되어, 가스의 공급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유로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의 스택 구조는, 전해질막을 사이에 두고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이 부착된 막/전극 접합체와, 상기 막/전극 접합체에 수소와 산소 가스를 공급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가 번갈아가면서 연속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단위 플레이트; 각각의 단위 플레이트 사이를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비전도성 재질의 분리부재;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 각 단위 플레이트와 분리부재에 연통 형성되어, 가스의 공급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유로 채널;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의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스택 구조에 의하면, 연료전지 스택의 제작 비용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또한 적은 적층 셀 수로 고전압 스택을 제작함으로써 전력 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의 바이폴라 플레이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의 바이폴라 플레이트가 적층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의 바이폴라 플레이트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의 스택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의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스택 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은, 막/전극 접합체(Membrane Electrode Assembly)와 이의 양면에 밀착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Bipolar Plate)가 연속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막/전극 접합체는 고분자 전해질막을 사이에 두고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이 부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각각의 막/전극 접합체를 분리하고, 연료 전지의 반응에 필요한 수소와 산소 가스를 막/전극 접합체의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으로 공급하는 통로의 역할, 그리고 각각의 막/전극 접합체의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을 직렬로 연결시켜 주는 전도체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따라서,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통해 애노드 전극에는 수소 가스가 공급되는 반면, 캐소드 전극에는 산소가 공급된다. 이 과정에서 애노드 전극에서는 수소 가스의 산화 반응이 일어나게 되고, 캐소드 전극에서는 산소의 환원 반응이 일어나게 되며 이때 생성되는 전자의 이동으로 인해 전기를 발생시키고, 열과 수분을 부수적으로 발생시킨다.
이처럼, 연료전지의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연료 및 공기를 공급하는 유로 채널이 형성되고, 또한 전극에서 발생하는 전자의 이동 통로 역할도 하기 때문에 전기가 흐를 수 있는 전도체 재질로 제작하게 된다.
예를 들어, 흑연판이나 금속판 등의 전도체 재질의 기판에 기계 가공을 통하여 유로 채널을 형성하거나, 또는 유로 채널이 형성된 성형 몰드를 사용하여 전도체인 흑연복합소재나 금속판을 성형하여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제작하게 된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티타늄 또는 구리 등의 전도체 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의 바이폴라 플레이트 구조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적층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의 바이폴라 플레이트(10)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단위 플레이트(12)와, 각각의 단위 플레이트(12) 사이를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비전도성 재질의 분리부재(14), 그리고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 각 단위 플레이트(12)와 분리부재(14)에 연통 형성되어 가스의 공급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유로 채널(도시 생략)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의 단위 플레이트(12)는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분리되지만, 유로 채널이 상호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바이폴라 플레이트(10)는, 일반적인 바이폴라 플레이트와 마찬가지로 동일 평면상에서는 가스 이동을 위한 유로 채널을 공유하는 반면, 일반적인 바이폴라 플레이트와 달리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복수의 단위 플레이트(12)로 구분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단위 플레이트(12) 각각은 종래의 일반적인 바이폴라 플레이트와 마찬가지로, 막/전극 접합체(20)를 분리하고, 연료 전지의 반응에 필요한 수소와 산소 가스를 막/전극 접합체(20)의 전극으로 공급하며, 각 막/전극 접합체(20)의 전극을 직렬로 연결시켜 주는 전도체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각각의 단위 플레이트(12)는 전도성 재질의 흑연소재 혹은 금속판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위 플레이트(12) 각각은 종래의 일반적인 바이폴라 플레이트와 동일한 작용을 수행한다. 따라서 동일 평면상에서 비전도성 재질의 분리부재(14)에 의해 4개의 단위 플레이트(12)가 배치되면, 결국 4개의 연료전지 단위 셀이 나란히 형성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부재(14)는, 동일 평면상의 단위 플레이트(12)를 전기적으로 분리시키기 위한 요소로서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예를 들어 비전도성 고분자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부재(14)에는 인접하는 단위 플레이트(12)와 연통되는 유로 채널이 형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단위 플레이트(12)는 상기 분리부재(14)로 인해 상호 분리되어 배치될 뿐만 아니라 전기적으로도 분리되고, 다만 가스의 공급 및 배출을 위한 유로 채널은 단위 플레이트(12)와 분리부재(14)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단위 플레이트(12)를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상기 분리부재(14)는 전기적으로 절연체이므로 상호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이폴라 플레이트(10)는, 동일 평면상에 십자형 구조의 분리부재(14)가 형성되고, 상기 분리부재(14) 주위로 4개의 단위 플레이트(12)가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여기서 각각의 단위 플레이트(12)는 상호 전기적으로 분리되며, 각 단위 플레이트(12)와 분리부재(14)에는 유로 채널이 상호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종래의 연료전지 스택에서는 두 장의 바이폴라 플레이트 사이에 막/전극 접합체 1개를 삽입하여 1셀을 구성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1셀에서는 약 1V의 전압이 발생하기 때문에 원하는 전압 범위에서 시스템이 운전되기 위해서는 다수의 셀을 적층해서 스택을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증가하고 공간 이용이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적은 적층 셀 수로도 종래에 비해 고전압의 연료전지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4개의 단위 플레이트(12)로 구분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10)를 이용하여 연료전지를 제작하게 되면, 종래와 동일한 셀 수로 적층되어도 4배의 전압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동일 평면상에서 복수의 단위 플레이트(12)로 이루어지는 바이폴라 플레이트(10)를 이용하여 연료전지 스택을 구성하면, 종래에 비해 연료전지 스택의 제조 비용이 줄어들고, 적층되는 셀 수가 감소하기 때문에 고전압 스택을 구현할 수 있어서 PCS(전력변환기)의 효율이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바이폴라 플레이트(10)는 상기 단위 플레이트(12)와 분리부재(14)가 일체로 성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의 바이폴라 플레이트 제조방법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바이폴라 플레이트 제조방법은, 미세 분말 공급장치를 이용하여 단위 플레이트(12)와 분리부재(14)의 분말을 몰드(30) 내에 구분하여 주입한 후 압축시켜서 제조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미세 분말 공급장치(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상기 단위 플레이트(12)를 형성하기 위한 전도성 재질의 분말과, 상기 분리부재(14)를 형성하기 위한 비전도성 재질의 분말을 몰드(30) 내에 구분하여 주입한다. 즉, 전도성 재질의 분말과 비전도성 재질의 분말을 서로 혼입되지 않도록 몰드(30) 내에 분리하여 주입한다. 이후, 몰드(30) 내의 분말을 로(furnace)의 열적 분위기에서 압축시키면, 분말의 계면들이 서로 열에 의해 융착되면서 단위 플레이트(12)와 분리부재(14)로 이루어지는 바이폴라 플레이트(10)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바이폴라 플레이트 제조방법은, 단위 플레이트(12)와 분리부재 재료(14)를 가성형 한 후, 금형(40)에서 압착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단위 플레이트(12)를 형성하기 위한 전도성 재료와, 상기 분리부재(14)를 형성하기 위한 비전도성 재료에 대한 건조 과정을 거치면, 용매가 증발하면서 약한 결합력으로 전도성 재료와 비전도성 재료가 임시 결합되는 가성형 공정이 이루어진다. 이후, 상기 가성형 된 바이폴라 플레이트(10) 재료를 금형(40)에 주입한 상태에서 압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바이폴라 플레이트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바이폴라 플레이트 제조방법은, 단위 플레이트(12)와 분리부재(14)를 금형(50)에 차례로 사출한 후 압착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단위 플레이트(12)를 형성하기 위한 전도성 재료를 금형(50) 내부에 1차 사출한다. 이때, 중심부에는 코어(56)가 위치하고 있어서 전도성 재료가 채워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코어(56)를 후퇴 이동시켜서 형성된 중심부의 빈 공간에 상기 분리부재(14)를 형성하기 위한 비전도성 재료를 2차 사출한 후, 금형(50)을 압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바이폴라 플레이트가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전도성 재료는 비전도성 재료에 비해 유동성이 현저히 떨어지므로, 제1 사출 실린더(52)를 통해 유동성이 낮은 전도성 재료를 우선적으로 금형(50) 내에 1차 사출한다. 이후, 금형의 코어(56)를 이동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중심부의 빈 공간에, 제2 사출 실린더(54)를 통해 유동성이 높은 비전도성 재료를 2차 사출한다.
전도성 재료는 비전도성 재료에 도전성 카본 물질(카본블랙, 흑연, CNT 등)을 혼합한 것으로서, 비전도성 재료와 같은 고분자 레진(resin)을 접착제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비전도성 재료는 고분자 레진만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흐름성 및 열팽창률을 개선하기 위해서 윤활제나 실리카(silica) 등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연료전지 스택 구조에 대해 살펴본다.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의 스택 구조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 구조는, 막/전극 접합체(20)와 한 쌍의 바이폴라 플레이트(10)를 포함하는 단위 셀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막/전극 접합체(20)는 전해질막을 사이에 두고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이 부착되는 통상적인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10)는, 상기 막/전극 접합체(20)의 양면에 형성되어 수소와 산소 가스를 막/전극 접합체(20)의 전극으로 공급하는 것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단위 플레이트(12)와, 각각의 단위 플레이트(12) 사이를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비전도성 재질의 분리부재(14), 그리고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 각 단위 플레이트(12)와 분리부재(14)에 연통 형성되어 가스의 공급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유로 채널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 구조는, 막/전극 접합체(20)와 바이폴라 플레이트(10)가 번갈아가면서 연속적으로 적층되는 구조, 즉 단위 셀이 연속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막/전극 접합체(20)는 전해질막을 사이에 두고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이 부착되는 통상적인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10)는, 상기 막/전극 접합체(20)의 양면에 형성되어 수소와 산소 가스를 막/전극 접합체(20)의 전극으로 공급하는 것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단위 플레이트(12)와, 각각의 단위 플레이트(12) 사이를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비전도성 재질의 분리부재(14), 그리고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 각 단위 플레이트(12)와 분리부재(14)에 연통 형성되어 가스의 공급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유로 채널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바이폴라 플레이트 12 : 단위 플레이트
14 : 분리부재 20 : 막/전극 접합체

Claims (9)

  1. 막/전극 접합체(Membrane Electrode Assembly)의 양면에 형성되어, 수소와 산소 가스를 막/전극 접합체의 전극으로 공급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에 있어서,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단위 플레이트;
    각각의 단위 플레이트 사이를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비전도성 재질의 분리부재;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 각 단위 플레이트와 분리부재에 연통 형성되어, 가스의 공급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유로 채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바이폴라 플레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재는 고분자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바이폴라 플레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플레이트와 분리부재는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바이폴라 플레이트.
  4. 제3항에 있어서,
    미세 분말 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단위 플레이트를 형성하기 위한 전도성 재질의 분말과, 상기 분리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비전도성 재질의 분말을 몰드 내에 구분하여 주입한 후, 압축에 의해 열 융착 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바이폴라 플레이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플레이트를 형성하기 위한 전도성 재료와, 상기 분리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비전도성 재료를 건조 과정을 통해 가성형 한 후, 금형에 주입한 상태에서 압착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바이폴라 플레이트.
  6. 제3항에 있어서,
    금형 내부에 상기 단위 플레이트를 형성하기 위한 전도성 재료를 1차 사출하고, 금형 코어의 이동으로 형성된 공간에 상기 분리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비전도성 재료를 2차 사출한 후, 금형을 압착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바이폴라 플레이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비전도성 재료는 고분자 레진(resin)과, 흐름성 및 열팽창률을 개선하기 위한 첨가제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위 플레이트를 형성하기 위한 전도성 재료는 상기 비전도성 재료에 도전성 카본 물질이 혼합된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바이폴라 플레이트.
  8. 전해질막을 사이에 두고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이 부착된 막/전극 접합체와;
    상기 막/전극 접합체의 양면에 형성되어, 수소와 산소 가스를 막/전극 접합체의 전극으로 공급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단위 플레이트;
    각각의 단위 플레이트 사이를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비전도성 재질의 분리부재;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 각 단위 플레이트와 분리부재에 연통 형성되어, 가스의 공급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유로 채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스택 구조.
  9. 전해질막을 사이에 두고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이 부착된 막/전극 접합체와, 상기 막/전극 접합체에 수소와 산소 가스를 공급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가 번갈아가면서 연속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단위 플레이트;
    각각의 단위 플레이트 사이를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비전도성 재질의 분리부재;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 각 단위 플레이트와 분리부재에 연통 형성되어, 가스의 공급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유로 채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스택 구조.
KR1020100129419A 2010-12-16 2010-12-16 연료전지의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KR101430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419A KR101430286B1 (ko) 2010-12-16 2010-12-16 연료전지의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PCT/KR2011/005525 WO2012081792A1 (ko) 2010-12-16 2011-07-27 연료전지의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스택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419A KR101430286B1 (ko) 2010-12-16 2010-12-16 연료전지의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813A true KR20120067813A (ko) 2012-06-26
KR101430286B1 KR101430286B1 (ko) 2014-08-14

Family

ID=46244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9419A KR101430286B1 (ko) 2010-12-16 2010-12-16 연료전지의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30286B1 (ko)
WO (1) WO20120817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32239B2 (ja) * 2013-06-13 2017-05-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
KR101692860B1 (ko) 2015-01-27 2017-01-05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연료전지 분리판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1402B1 (ko) * 1999-03-09 2002-06-21 이종훈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단전지와 스택구조
US7195836B2 (en) * 2003-03-07 2007-03-27 General Motors Corporation Polymeric separator plates
KR100846932B1 (ko) * 2006-09-21 2008-07-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예비 성형체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분리판의 2단계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작된 분리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81792A1 (ko) 2012-06-21
KR101430286B1 (ko) 2014-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3754B1 (ko) 스택 및 이를 채용한 연료 전지 시스템
EP3016193B1 (en) Solid oxide fuel cell stack
CN100438187C (zh) 高温燃料电池系统
US20120178012A1 (en) Sealing member for solid oxide fuel cell and solid oxide fuel cell employing the same
KR20040050872A (ko)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50357655A1 (en) Stack Structure for Fuel Cell
WO2013048654A1 (en) Composite solid oxide fuel cell electrolyte
KR20180081167A (ko) 전지 시스템용 조립 방법과 배열체
JP2002124273A (ja)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とその製造方法及び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モジュール
CN101540409B (zh) 电场-膜电极组合结构的燃料电池装置及其可逆式再生氢氧电解装置
KR101430286B1 (ko) 연료전지의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CN103682406B (zh) 利用天然气的固体氧化物燃料电池
KR20130113602A (ko) 평관형 고체산화물 단위 셀, 이를 이용한 평관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및 평관형 고체산화물 수전해장치
KR101155375B1 (ko) 평관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병합형 연료극 지지체 및 이를 이용한 스택 구조
KR101228763B1 (ko) 반응 면적이 증가된 평판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12235B1 (ko) 연료전지용 고분자 막/전극 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연료전지
CN103956504A (zh) 一种单片电解质固体氧化物燃料电池组
KR20200048661A (ko) 일체형 집전판을 이용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수전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79681B1 (ko)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
KR101162876B1 (ko) 연료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Partsch et al. LTCC-based micro-scale PEM fuel cell
US20110117475A1 (en) Anode supported solid oxide fuel cell
JP2024042644A (ja) 電気化学装置
KR100446781B1 (ko) 연료전지의 혼합전극 구조
KR20160075987A (ko) 평면배열형 연료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