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7793A - 냉매를 이용한 이온성 액체의 정제 방법 - Google Patents

냉매를 이용한 이온성 액체의 정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7793A
KR20120067793A KR1020100129375A KR20100129375A KR20120067793A KR 20120067793 A KR20120067793 A KR 20120067793A KR 1020100129375 A KR1020100129375 A KR 1020100129375A KR 20100129375 A KR20100129375 A KR 20100129375A KR 20120067793 A KR20120067793 A KR 20120067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nic liquid
refrigerant
phase
mixture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9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0511B1 (ko
Inventor
김범식
박유인
서정권
임정애
김보경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29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0511B1/ko
Publication of KR20120067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7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63/00Purification; Separ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제전 이온성 액체와 액상의 냉매를 혼합하는 단계; 냉매와 이온성 액체 혼합액을 추출하는 단계; 및 냉매와 이온성 액체 혼합액에서 냉매를 기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온성 액체의 정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온성 액체의 제조 또는 사용 후 발생되는 부생성 염 또는 다량의 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기술로서 이온성 액체의 정제, 분리 또는 회수에 응용이 가능하며 고순도의 이온성 액체를 경제적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냉매를 이용한 이온성 액체의 정제 방법{Purification Method of Ionic Liquid using Refrigerants}
본 발명은 냉매를 이용한 이온성 액체의 정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온성 액체의 정제 기술은 응용 분야에서 이온성 액체 및 생성물 회수 문제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는 이온성 액체가 증기압이 거의 없는 특성이 있어 기존의 분리 방법으로 쉽게 회수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기 때문이며, 사용 과정에 유기 생성물이 생성된 경우 회수를 위해 용제를 다시 사용하게 되어 친환경 용매(green solvent)로 이온성 액체의 사용 목적이 훼손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초임계 또는 아임계 이산화탄소가 사용되나 이 경우 대부분 이온성 액체 내에 열적 불안정성을 갖는 생성물이나 고비점을 갖는 유기 생성물을 회수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초임계 장치가 고가여서 범용화 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온성 액체를 소수성으로 설계 합성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이러한 문제로부터 어느 정도 자유로울 수 있으나 정제 수율 측면에서 문제가 있다. 음이온의 종류에 의해서 소수성을 갖는 이온성 액체의 경우도 물과 섞이지 않아 특정 몰 비에서 상 분리 현상이 일어난다. 따라서 소수성 이온성 액체의 경우에도 부생성 산 또는 염을 제거하는데 있어서 수율 상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친수성 이온성 액체 내에 존재하는 부생성 산 또는 염의 효과적인 제거를 위한 신매체를 이용한 정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고, 이온성 액체의 제조 또는 사용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생성물을 제거하고, 순도 높은 이온성 액체를 얻기 위해 보다 효율이 높은 정제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제 전 이온성 액체와 액상의 냉매를 혼합하는 단계; 냉매와 이온성 액체 혼합액을 추출하는 단계; 및 냉매를 기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온성 액체의 정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온성 액체의 제조 또는 사용 후 발생되는 부생성 염 또는 다량의 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기술로서 이온성 액체의 정제, 분리 또는 회수에 응용이 가능하며 고순도의 이온성 액체를 경제적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러한 효과는 이온성 액체 응용공정의 경쟁력 확보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C8H15BF4N2 와 물 및 R22(A), R134a(B) 냉매에 대한 삼성분계 상평형도이다.
도 2는 C8H15ClN2 와 물 및 R22(A), R134a(B) 냉매에 대한 삼성분계 상평형도이다.
도 3은 C10H18N2O2 와 물 및 R22(A), R134a(B) 냉매에 대한 삼성분계 상평형도이다.
도 4는 C8H15BrN2 와 물 및 R22(A), R134a(B) 냉매에 대한 삼성분계 상평형도이다.
도 5는 C6H11BF4N2 와 물 및 R22(A), R134a(B) 냉매에 대한 삼성분계 상평형도이다.
도 6은 C6H11BrN2 와 물 및 R22(A), R134a(B) 냉매에 대한 삼성분계 상평형도이다.
도 7은 C8H14N2O2 와 물 및 R22(A), R134a(B) 냉매에 대한 삼성분계 상평형도이다.
도 8은 C8H18N2O4S 와 물 및 R22(A), R134a(B) 냉매에 대한 삼성분계 상평형도이다.
도 9는 C7H11F3N2O3S 와 물 및 R22(A), R134a(B) 냉매에 대한 삼성분계 상평형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1에서의 삼성분계 상평형도 및 이온 액상 크로마토그래피(ILC) 분석 결과이다.
도 11은 실시예 2에서의 삼성분계 상평형도 및 ILC 분석 결과이다.
도 12는 실시예 3에서의 삼성분계 상평형도 및 ILC 분석 결과이다.
도 13은 실시예 4에서의 삼성분계 상평형도 및 ILC 분석 결과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온성 액체의 제조 또는 사용 후 발생되는 부생성 염 또는 다량의 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온성 액체의 합성 시 발생되는 부생성염의 효과적인 정제방법은 특히 친수성 이온성 액체의 경우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정제방법을 찾기 위하여 이온성 액체와 부생성염, 물의 분리 특성을 신 매체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친수성 이온성 액체 분리/정제 기술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친수성 이온성 액체로는 이미다졸리움계, 암모니움계, 콜린계, 포스포늄계, 설포늄계, 피리니듐계, 피라졸늄계 이온성 액체 등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정제전 이온성 액체와 액상의 냉매를 혼합하는 단계; 냉매와 이온성 액체 혼합액을 추출하는 단계; 및 냉매와 이온성 액체 혼합액에서 냉매를 기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온성 액체의 정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정제 전 이온성 액체는 이온성 액체, 물 및 부생성 염의 혼합액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정제 전 이온성 액체를 정제하여 순수한 이온성 액체를 수득하고자 한다.
상기 정제 전 이온성 액체와 액상의 냉매를 혼합하는 단계에서 조건 압력은 냉매를 액화시키기 위한 압력, 즉, 7 ~ 15 기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매를 혼합하여, 냉매의 혼합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냉매 및 이온성 액체의 혼합액과 물 및 부생성 염의 혼합액 2상으로 분리함으로써 액-액 추출이 가능하다. 하기 실험예에서 다양한 이온성 액체의 냉매 및 물에 대한 삼성분계 상평형도를 제시한다.
상기 추출된 냉매 및 이온성 액체 혼합액에서 압력을 0.1 ~ 2 기압으로 낮추어 냉매를 기화시킬 수 있으며, 순수한 이온성 액체를 수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냉매는 이온성 액체에 대한 용해도가 뛰어나 이러한 냉매를 이용하여 물, 부생성 염 및 이온성 액체 혼합물로부터 이온성 액체만 선택적으로 추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냉매는 상온에서 기체이며 쉽게 액화가 가능한 물질이다. 7 ~ 15 기압의 압력하에서 액화가 이루어져 이온성 액체 수용액과 액-액 추출이 가능하다. 또한 추출 후 압력을 0.1 ~ 2 기압으로 낮추어 주는 것만으로도 쉽게 이온성 액체와 냉매를 분리할 수 있으며, 분리된 냉매는 가압에 의하여 액화시켜 재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냉매는 CFC계 냉매, HCFC계 냉매, HFC계 냉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특히 R22, R134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나,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만 할 것이다.
실험예 : 삼성분계 상평형도의 제시
압력에 견디는 강화유리를 사용하여 반응기를 제작하였다. 반응기에 이온성 액체 및 물을 일정량 투입 한 후, 냉매를 천천히 주입하며 혼탁점(clouding point)을 측정하였다. 혼탁점이 만들어지는 그 순간의 냉매 주입량을 측정하여 그 조성을 몰 비로 삼성분계에 나타내었다. 이온성 액체 양과 물 양을 변화 및 냉매의 종류(R22, R134a)에 변화를 주어 상기 실험을 반복하여 혼탁점을 구하였다.
하기 표 1의 이온성 액체의 종류를 바꾸어 가며 삼성분 상평형도를 구하였으며 이는 도 1 ~ 9에서 나타내었다.
이온성 액체 약어 화학식
도 1 1-Buthyl-3- methylimidazolium tetrafluoroborate BMImBF4 C8H15BF4N2
도 2 1-Buthyl-3- methylimidazolium chloride BMImCl C8H15ClN2
도 3 1-Buthyl-3-
methylimidazolium
acetate
BMImAc C10H18N2O2
도 4 1-Butyl-3- methylimidazolium bromide BMImBr C8H15BrN2
도 5 1-ethyl-3- methylimidazolium tetrafluoroborate EMImBF4 C6H11BF4N2
도 6 1-ethyl-3- methylimidazolium bromide EMImBr C6H11BrN2
도 7 1-ethyl-3- methylimidazolium acetate EMImAc C8H14N2O2
도 8 1-ethyl-3- methylimidazolium ethylsulfate EMImEtOSO4 C8H16N2O4S
도 9 1-ethyl-3- methylimidazolium trifluoromethanesulfate EMImMtSO3 C7H11F3N2O3S
실시예 1
압력에 견디는 강화유리를 사용하여 반응기를 제작하였다. 반응기에 이미다졸리움계 이온성 액체인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움-테트라플루오로 보레이트(BMImBF4)를 8.99 그램을 투입하였다. 이어서 이온성 액체의 부생성염으로 알려진 1000 ppm 리튬클로라이드(LiCl) 수용액 6.73 그램을 임의로 제조하여 투입하였다. 이온성 액체와 수용액이 균일상을 이루고 있음을 확인한 후 교반하고 액상의 R22 34 그램을 첨가하여 상평형도의 2상 영역으로 조성을 조절하였다. R22는 이온성 액체와 함께 상 분리가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R22와 이온성 액체의 혼합액을 추출하였다. 도 10은 화살표 방향으로 조성을 바꾸어 상분리 후 수용액층(Aq. phase)과 냉매 및 이온성 액체 혼합액 층(IL phase)을 각각 ILC로 분석한 결과이다. 냉매 및 이온성 액체 혼합액 층에는 염소 이온이 검출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추출된 R22와 이온성 액체의 혼합액을 1 기압의 압력에서 R22를 기화시켜 순수한 이온성 액체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압력에 견디는 강화유리를 사용하여 반응기를 제작하였다. 반응기에 이미다졸리움계 이온성 액체인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움-테트라플루오로 보레이트(BMImBF4)를 8.83 그램을 투입하였다. 이어서 이온성 액체의 부생성염으로 알려진 1000 ppm 리튬클로라이드(LiCl) 수용액 9.73 그램을 임의로 제조하여 투입하였다. 이온성 액체와 수용액이 균일상을 이루고 있음을 확인한 후 교반하고 액상의 R134a 8.36 그램을 첨가하여 상평형도의 2상 영역으로 조성을 조절하였다. R134a는 이온성 액체와 함께 상 분리가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R134a와 이온성 액체의 혼합액을 추출하였다. 도 11은 화살표 방향으로 조성을 바꾸어 상 분리 후 수용액층(Aq. phase)과 냉매 및 이온성 액체 혼합액 층(IL phase)을 각각 ILC로 분석한 결과이다. 냉매 및 이온성 액체 혼합액 층에는 염소 이온이 검출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추출된 R134a와 이온성 액체의 혼합액을 1 기압의 압력에서 R134a를 기화시켜 순수한 이온성 액체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3
압력에 견디는 강화유리를 사용하여 반응기를 제작하였다. 반응기에 이미다졸리움계 이온성 액체인 1-에칠-3-메틸-이미다졸리움-테트라플루오로 보레이트(EMImBF4)를 7.31 그램을 투입하였다. 이어서 이온성 액체의 부생성염으로 알려진 1000 ppm 리튬클로라이드(LiCl) 수용액 8.26 그램을 임의로 제조하여 투입하였다. 이온성 액체와 수용액이 균일상을 이루고 있음을 확인한 후 교반하고 액상의 R22 13.7 그램을 첨가하여 상평형도의 2상 영역으로 조성을 조절하였다. R22는 이온성 액체와 함께 상 분리가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R22와 이온성 액체의 혼합액을 추출하였다. 도 12는 화살표 방향으로 조성을 바꾸어 상 분리 후 수용액층(Aq. phase)과 냉매 및 이온성 액체 혼합액 층(IL phase)을 각각 ILC로 분석한 결과이다. 냉매 및 이온성 액체 혼합액 층에는 염소 이온이 검출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R22와 이온성 액체의 혼합액을 1 기압의 압력에서 R22를 기화시켜 순수한 이온성 액체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4
압력에 견디는 강화유리를 사용하여 반응기를 제작하였다. 반응기에 이미다졸리움계 이온성 액체인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네이트(EMImMtSO3)를 7.8 그램을 투입하였다. 이어서 이온성 액체의 부생성염으로 알려진 1000 ppm 리튬클로라이드(LiCl) 수용액 8.53 그램을 임의로 제조하여 투입하였다. 이온성 액체와 수용액이 균일상을 이루고 있음을 확인 한 후 교반하고 액상의 R22 14.4 그램을 첨가하여 상평형도의 2상 영역으로 조성을 조절하였다. R22는 이온성 액체와 함께 상 분리가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R22와 이온성 액체의 혼합액을 추출하였다. 도 13은 화살표 방향으로 조성을 바꾸어 상 분리 후 수용액층(Aq. phase)과 냉매 및 이온성 액체 혼합액 층(IL phase)을 각각 ILC로 분석한 결과이다. 냉매 및 이온성 액체 혼합액 층에는 염소 이온이 검출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R22와 이온성 액체의 혼합액을 1 기압의 압력에서 R22를 기화시켜 순수한 이온성 액체를 수득하였다.

Claims (5)

  1. (1) 정제 전 이온성 액체와 액상의 냉매를 혼합하는 단계;
    (2) 냉매 및 이온성 액체 혼합액을 추출하는 단계; 및
    (3) 냉매 및 이온성 액체 혼합액에서 냉매를 기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온성 액체의 정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가 CFC계 냉매, HCFC계 냉매, HFC계 냉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성 액체의 정제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가 R-22, R-134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성 액체의 정제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액체는 이미다졸리움계, 암모니움계, 콜린계, 포스포늄계, 설포늄계, 피리니듐계, 또는 피라졸늄계 이온성 액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성 액체의 정제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 및 (2) 단계에서 압력은 7 ~ 15 기압이며 상기 (3) 단에서 압력은 0.5 ~ 2 기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성 액체의 정제 방법.
KR1020100129375A 2010-12-16 2010-12-16 냉매를 이용한 이온성 액체의 정제 방법 KR101210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375A KR101210511B1 (ko) 2010-12-16 2010-12-16 냉매를 이용한 이온성 액체의 정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375A KR101210511B1 (ko) 2010-12-16 2010-12-16 냉매를 이용한 이온성 액체의 정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793A true KR20120067793A (ko) 2012-06-26
KR101210511B1 KR101210511B1 (ko) 2012-12-10

Family

ID=46686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9375A KR101210511B1 (ko) 2010-12-16 2010-12-16 냉매를 이용한 이온성 액체의 정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051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950B1 (ko) 2002-08-21 2005-06-29 한국화학연구원 이미다졸리움계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혼합가스 분리 방법
KR100903862B1 (ko) * 2003-03-12 2009-06-24 주식회사 씨트리 고순도의 이온성 액체를 위한 정제방법
TW200808656A (en) 2006-04-27 2008-02-16 Solvay Fluor Gmbh Reversible water-free process for the separation of acid-containing gas mix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0511B1 (ko) 2012-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en et al. Phase equilibria of imidazolium ionic liquids and the refrigerant gas, 1, 1, 1, 2-tetrafluoroethane (R-134a)
AU2006210403B2 (en) Absorption cycle utilizing ionic liquid as working fluid
EP2021276B1 (en) Process for purifying perfluorinated products
US7964760B2 (en) Process for the separation of fluorocarbons using ionic liquids
US8628644B2 (en) Utilizing ionic liquids for hydrofluorocarbon separation
US20090131728A1 (en) Process for the separation of diastereomers
RU2008146745A (ru) Обратимый безводный способ разделения газовых смесей, содержащих кислоты
EP2086914A1 (en) Process for the separation of tetrafluoroethylene from carbon dioxide using ionic liquids
CN109952284B (zh) (z)-1-氯-2,3,3-三氟-1-丙烯的制造方法
EP3919467A1 (en) Azeotropic composition containing 1,2-difluoroethylene or 1,1,2-trifluoroethylene and hydrogen fluoride
KR20060035763A (ko) 플루오르화 수소의 정제방법
CN114150159A (zh) 一种温控型贵金属分离萃取剂及其制备方法与均相萃取方法
KR101210511B1 (ko) 냉매를 이용한 이온성 액체의 정제 방법
TWI689486B (zh) 氟化烷之製造方法、脒鹼之分離、回收方法、及回收的脒鹼之使用方法
CN112574773A (zh) 一种用于分离芳烃的低共熔溶剂及用于分离芳烃的应用及方法
Ren et al. Global phase behavior of imidazolium ionic liquids and compressed 1, 1, 1, 2‐tetrafluoroethane (R‐134a)
Yanagiuchi et al.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indole from coal tar by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KR101453888B1 (ko) 이온성 액체 내의 고비점 유기화합물을 제거하는 이온성 액체의 정제방법
Wang et al. A novel and efficient synthetic route to perfluoroisobutyronitrile from perfluoroisobutyryl acid
EP3974408A1 (en) Method for separating double-bond-comprising straight-chain hydrocarbon in which all hydrogen atoms have been substituted with fluorine atoms or chlorine atoms
CN116199560B (zh) 一种反式-1-氯-3,3,3-三氟丙烯与1,1,1,3,3-五氟丙烷混合物的分离方法
Samimi et al. Lactic-based novel amine ionic liquid: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DEA][Lac]
EP2181082B1 (en) Process for the purification of alpha,omega-diiodoperfluorinated compounds
CN112574774A (zh) 一种低共熔溶剂及其制法和用于分离芳烃的应用
CN108689797A (zh) 一种离子液体用于脱除氟代化合物中HCl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