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6998A - 염료감응 태양 전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염료감응 태양 전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6998A
KR20120066998A KR1020100128378A KR20100128378A KR20120066998A KR 20120066998 A KR20120066998 A KR 20120066998A KR 1020100128378 A KR1020100128378 A KR 1020100128378A KR 20100128378 A KR20100128378 A KR 20100128378A KR 20120066998 A KR20120066998 A KR 20120066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e
thin film
solar cell
oxide thin
sensitized so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8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만구
김점종
윤호경
주무정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28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6998A/ko
Priority to JP2011266208A priority patent/JP2012129203A/ja
Publication of KR20120066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69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27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electrode
    • H01G9/2031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electrode comprising titanium oxide, e.g. TiO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04Light-sensitiv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e.g. comprising an organic electrolyte
    • H01G9/2013Light-sensitiv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e.g. comprising an organic electrolyte the electrolyte comprising ionic liquids, e.g. alkyl imidazolium iodi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27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electrode
    • H01G9/2036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electrode comprising mixed oxides, e.g. ZnO covered TiO2 p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45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 semiconductor electrode comprising elements of the fourth group of the Periodic System (C, Si, Ge, Sn, Pb)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68Panels or arrays of photoelectrochemical cells, e.g. photovoltaic modules based on photoelectrochemical cells
    • H01G9/2077Sealing arrangements, e.g. to prevent the leakage of the electroly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ybrid Cell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염료감응 태양 전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염료감응 태양 전지는, 제1 전극, 제1 전극과 이격되어 마주하는 제2 전극 및 제1 및 제2 전극들 사이에 충진되는 전해질 용액을 포함한다. 제1 전극은 하기의 구조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료가 흡착된 제1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을 포함한다.
[구조식 1]
Figure pat00024

(구조식 1에서, R1 내지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암모늄 이온 또는 포스포늄 이온이고, R2 및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이온이다)

Description

염료감응 태양 전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Dye-sensitized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태양 전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련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염료감응 태양 전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도시 근교를 시발로 사계절 고밀도 농산물 재배가 가능한 시설 농업 예를 들면 온실 또는 비닐 하우스 단지가 구축되고 있으며, 환경 재해에 강하고 다양한 고소득 작물 재배가 가능하여 빠르게 확산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시설 농업에서 유리 온실은 광 투과율이 약 90% 이상이어서, 약 70% 수준인 비닐 하우스에 비해 일조량이 낮은 계절의 작물 재배에 유리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높은 설치 비용으로 인해 사용이 제한적인 높은 가격의 작물재배에 적용되어 왔다. 또한, 사계절 시설 농업은 난방에 많은 에너지를 사용함으로 인해 에너지 비용 변동에 따른 수익성 변화가 크며, 여름철에는 강한 태양광 적외선에 의한 고온의 온실 내부로 인하여 농작물 재배에 어려움이 있다.
농작물 성장은 적외선, 가시광선, 자외선을 포함한 태양광에서 가시광선의 일부 영역의 빛으로 주로 광합성 작용하며, 약 30,000 내지 70,000Lux 정도의 빛의 양이 광합성을 위해 필요하다. 그런데 실제 한낮의 태양광은 약 12,000Lux이며, 그 중 430 내지 450nm 및 640 내지 680nm 영역의 빛만 광합성에 필요하다. 광합성에 관여하지 않는 빛을 전기 에너지로 활용하여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관점에서 염료감응 태양 전지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광합성에 필요한 빛만을 선택적으로 투과하고, 나머지 빛을 전기 에너지로 사용하는 염료감응 태양 전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상기 염료감응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일 실시예는 염료감응 태양 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염료감응 태양 전지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이격되어 마주하는 제2 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들 사이에 충진되는 전해질 용액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전극은 하기의 구조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료가 흡착된 제1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을 포함할 수 있다.
[구조식 1]
Figure pat00001
상기 구조식 1에서, R1 내지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암모늄 이온 또는 포스포늄 이온이고, R2 및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이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전극은 하기의 구조식 2 내지 5로 표시된 화합물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구조식 2] [구조식 3]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구조식 4] [구조식 5]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전극은,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및 제1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도전막 및 상기 제1 나노 입자 산화막 박막 상에 배치된 제2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도전막은 인듐 주석 산화물(induim tin oxide) 또는 주석 산화물(SnO2)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나노 입자 산화물은 티탄 산화물(TiO2)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나노 입자 산화물은 알루미늄 산화물(Al2O3), 실리콘 산화물(SiO2), 알루미늄 티탄 산화물(AlxTi1 - xO) 및 실리콘 티탄 산화물(SixTi1 - x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은 2.4 내지 2.8의 굴절율을 가지며, 상기 제2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은 1.2 내지 2.8 이하의 굴절율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전극은,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제2 도전막 및 제3 도전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도전막은 인듐 주석 산화물(ITO) 또는 주석 산화물(SnO2)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도전막은 백금(Pt) 또는 탄소(C)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해질 용액은 요오드 이온(I3 -/I-)을 포함하는 전해질 용액 또는 겔형(gel type) 고분자 전해질 용액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염료감응 태양 전지는, 상기 제1 및 제2 전극들 사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들의 가장자리를 연결하여, 상기 전해질 용액을 밀폐하는 밀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의 제1 나노 입자는 5 내지 30nm 크기이며, 상기 제2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의 제2 나노 입자는 5 내지 10nm 크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다른 실시예는 염료감응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염료감응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은, 제1 기판 상에 예비 제1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을 형성하고, 상기 예비 제1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에 하기의 구조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료가 흡착하여 제1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을 형성하여, 상기 제1 기판 및 제1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을 포함하는 제1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과 이격하여 마주하도록 제2 전극을 배치하고,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전극들 사이에 전해질 용액을 충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구조식 6]
Figure pat00006
상기 구조식 6에서, R1 내지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암모늄 이온 또는 포스포늄 이온이고, R2 및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이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전극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예비 제1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 상에 예비 제2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을 형성하고, 상기 예비 제1 및 제2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들에 상기 구조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료를 흡착하여, 상기 제1 및 제2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들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의 제1 나노 입자와, 상기 제2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의 제2 나노 입자는 각각 150 내지 200℃의 온도에서 수열 합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전극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제1 기판 및 예비 제1 나노 입자 산화물 사이에 제1 도전막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전극을 형성하는 것은, 제2 기판에 인듐 주석 산화물 또는 주석 산화물을 포함하는 제2 도전막을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제2 도전막 상에 백금 또는 탄소를 포함하는 제3 도전막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해질 용액을 제조하는 공정은, 1, 2-디메틸-3-옥틸-이미다졸륨 아이오다이드(1, 2-dimethyl-3-octyl-imidazolium iodide) 및 I2(iodine)을 3-메톡시프로피오니트릴(3-methoxypropionitrile)에 용해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전해질 용액은 I3 -/I-전해질 용액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해질 용액을 제조하는 공정은,
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poly vinylidene fluoride: PVDF)계 중합체 또는 그 공중합체를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NMP) 또는 3-메톡시프로피오니트릴(3-Methoxypropionitrile: MP) 용매에 용해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전해질 용액은 겔형 고분자 전해질 용액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염료감응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전해질 용액을 밀폐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전극들 사이를 연결하는 밀폐부를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밀폐부는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자외선 경화 수지 또는 유리 프리트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변형된 루테늄계 염료를 나노 입자에 흡착하여, 약 440nm 내지 약 660nm 파장의광을 더욱 효율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식물 성장에 적합한 태양 전지를 이용하여 시설 농업의 에너지 효율적 관리 및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 전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g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 전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3은 제1 나노 입자 및 제2 나노 입자가 수열 합성 시, 온도에 따른 투과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 전지로 광을 조사하고, 광의 파장에 따른 투과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염료감응 태양 전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 전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태양 전지는 제1 전극(110)과, 제1 전극(110)과 이격되어 마주하는 제2 전극(210)과, 제1 및 제2 전극들(110, 210) 사이를 충진하는 전해질 용액(3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110)은, 제1 기판(100), 제1 도전막(102), 제1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104') 및 제2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106')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기판(100)은 광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 기판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기판(100)은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plastic) 기판일 수 있다. 제1 도전막(102)은 제1 기판(100)의 일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도전막(102)은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또는 주석 산화물(SnO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104')은 제1 도전막(102)의 일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도전막(102)의 일 면은 제1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104')과 접하며, 타 면은 제1 기판(100)과 접할 수 있다. 제1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104')은 약 5㎛ 내지 10㎛ 정도의 두께를 가지며, 제1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104')의 제1 나노 입자는 약 5nm 내지 약 20nm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104') 약 2.4 내지 약 2.8의 굴절율을 가질 수 있으며, 티탄 산화물(TiO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104')은 약 430nm 내지 약 450nm 영역, 약 640nm 내지 약 680nm 영역의 광을 투과시키는 루테늄계(ruthenium) 염료의 변형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104')은 하기의 구조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구조식 1]
Figure pat00007
구조식 1에서, R1 내지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암모늄 이온 또는 포스포늄 이온일 수 있다. 또한, 구조식에서, R2 및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이온일 수 있으며, 이 경우, R1 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암모늄 이온 또는 포스포늄 이온일 수 있다.
예컨대, 루테늄계 염료의 변형 화합물은 하기의 구조식 2 내지 구조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조식 2] [구조식 3]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구조식 4] [구조식 5]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제2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106')은 약 1.2 내지 약 2.3 이하의 굴절율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106')의 산화물은 알루미늄 산화물(Al2O3), 실리콘 산화물(SiO2), 알루미늄 티탄 산화물(AlxTi1 - xO) 및 실리콘 티탄 산화물(SixTi1 - x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106')은 약 1㎛ 내지 약 3㎛ 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제2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106')의 제2 나노 입자는 약 5nm 내지 10nm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2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106')은 약 430nm 내지 약 450nm 영역, 약 640nm 내지 약 680nm 영역의 광을 투과시키는 루테늄계 염료의 변형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104')은 상기의 구조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구조식 1에서, R1 내지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암모늄 이온 또는 포스포늄 이온일 수 있다. 또한, 구조식에서, R2 및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이온일 수 있으며, 이 경우, R1 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암모늄 이온 또는 포스포늄 이온일 수 있다. 예컨대, 루테늄계 염료의 변형 화합물은 상기의 구조식 2 내지 구조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나노 산화물 박막들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태양 전지는, 일반적인 태양 전지에 사용되는 루테늄계 염료를 변형한 것으로, 일반적인 태양 전지에서 사용되는 루테늄계 염료보다 약 20nm의 파장을 단파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태양 전지는 약 430nm 내지 약 450nm 영역, 약 640nm 내지 약 680nm 영역의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고, 그 외의 광을 전기 에너지로 이용할 수 있다.
제2 전극(210)은, 제2 기판(200), 제2 도전막(202) 및 제3 도전막(204)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기판(200)은 광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 기판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기판(100)은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제2 기판(200)은 제1 기판(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도전막(202)은 제2 기판(200)의 일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도전막(202)은 제1 전극(110)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도전막(202)은 인듐 주석 산화물(ITO) 또는 주석 산화물(SnO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도전막(204)은 제2 도전막(202)의 일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3 도전막(204)은 제1 전극(110)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 도전막(204)은 백금(Pt)과 같은 금속 또는 탄소(C)를 포함할 수 있다.
전해질 용액(302)은 제1 및 제2 전극들(110, 210) 사이를 충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해질 용액(302)은 요오드 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요오드 이온을 포함하는 전해질 용액(302)은 1, 2-디메틸-3-옥틸-이미다졸륨 아이오다이드(1, 2-dimethyl-3-octyl-imidazolium iodide) 및 요오드(I2)를 3-메톡시프로피오니트릴(3-methoxypropionitrile)에 용해시킨 I3 -/I- 전해질 용액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해질 용액(302)은 겔형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계 중합체 또는 그 공중합체를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NMP) 또는 3-메톡시프로피오니트릴(3-methoxypropionitrile: MP) 용액에 녹인 용액일 수 있다.
태양 전지는, 전해질 용액(302)을 밀폐하는 밀폐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밀폐부(300)는 제1 및 제2 전극들(110, 210)의 사이에서, 제1 및 제2 전극들(110, 210) 가장자리를 감싸며 배치될 수 있다. 밀폐부(300)는 고분자 수지 또는 유리 프리트(frit)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분자 수지의 예로는,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염료감응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도 2a 내지 도 2g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 전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제1 기판(100)에 제1 도전막(102)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판(100) 상에 제1 도전막(102)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도전막(102)은 스핀 코팅(spin coating)을 이용하여 제1 기판(1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도전막(102)은 인듐 주석 산화물(ITO) 또는 주석 산화물(SnO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1 도전막(102) 상에 예비 제1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104)을 형성할 수 있다.
예비 제1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104)을 제조하는 공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우선, 제1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인쇄용 페이스트(paste for painting)를 제1 도전막(102) 상에 제1 두께로 코팅할 수 있다. 제1 나노 입자는 약 5nm 내지 약 30nm의 크기의 이산화티탄(TiO2)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1 나노 입자는 약 20n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예비 제1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104)의 제1 나노 입자는 약 150℃ 내지 약 200℃ 온도에서 수열(hydrothermal) 합성될 수 있다.
제1 두께로 코팅된 제1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인쇄용 페이스트를 가열하여, 제1 두께보다 실질적으로 작은 제2 두께를 갖는 예비 제1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104)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두께를 제1 두께보다 약 1/10정도 작을 수 있다. 예컨대, 제1 두께는 약 100㎛이고, 제2 두께는 약 10㎛일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예비 제1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104) 상에 예비 제2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106)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비 제2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106)은 증착(deposition) 공정을 이용하여 약 1㎛ 이하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인쇄용 페이스트를 코팅하고 가열하여 약 3㎛ 이하의 두께를 갖는 예비 제2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106)을 형성할 수 있다.
예비 제2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106)은 약 1.2 내지 약 2.3 이하의 굴절율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예비 제2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106)은 알루미늄 산화물(Al2O3), 실리콘 산화물(SiO2), 알루미늄 티탄 산화물(AlxTi1 - xO) 및 실리콘 티탄 산화물(SixTi1 - x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비 제2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106)의 제2 나노 입자는 약 5nm 내지 약 10nm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예비 제2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106)의 제2 나노 입자는 약 150℃ 내지 약 200℃ 온도에서 수열 합성될 수 있다.
도 2d를 참조하면, 예비 제1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104) 및 예비 제2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106)에 하기의 구조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료를 흡착시켜, 제1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104') 및 제2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106')을 형성할 수 있다.
[구조식 1]
Figure pat00012
구조식 1에서, R1 내지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암모늄 이온 또는 포스포늄 이온일 수 있다. 또한, 구조식에서, R2 및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이온일 수 있으며, 이 경우, R1 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암모늄 이온 또는 포스포늄 이온일 수 있다.
예컨대, 루테늄계 염료의 변형 화합물은 상기의 구조식 2 내지 구조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조식 2] [구조식 3]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구조식 4] [구조식 5]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6
제1 및 제2 나노 산화물 박막들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태양 전지는 약 430nm 내지 약 450nm 영역, 약 640nm 내지 약 680nm 영역의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고, 그 외의 광을 전기 에너지로 이용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전극(110)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전극(110)은, 제1 기판(100), 제1 도전막(102), 제1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104') 및 제2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10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e를 참조하면, 제2 기판(200)에 제2 도전막(202)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기판(200) 상에 제2 도전막(202)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도전막(202)은 스핀 코팅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도전막(202)은 인듐 주석 산화물(ITO) 또는 주석 산화물(SnO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f를 참조하면, 제2 도전막(202) 상에 제3 도전막(204)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3 도전막(204)은 제2 도전막(202) 상에 금속 이온 또는 탄소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을 스핀 코팅한 후 가열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금속 이온은 백금 이온일 수 있다.
이로써, 제2 전극(210)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전극(210)은, 제2 기판(200), 제2 도전막(202) 및 제3 도전막(20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g를 참조하면,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210) 사이에 전해질 용액(302)을 충진할 수 있다.
제1 전극(110)의 제2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106')과 제2 전극(210)의 제3 도전막(204)이 마주보도록, 제1 및 제2 전극들(110, 210)을 이격시켜 배치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전극들(110, 210) 사이에 전해질 용액(302)을 충진할 수 있다.
전해질 용액(302)은 요오드 이온을 포함하는 전해질 용액 또는 겔형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해질 용액(302)은 요오드 이온을 포함하는 전해질 용액일 수 있다. 요오드 이온을 포함하는 전해질 용액은 1, 2-디메틸-3-옥틸-이미다졸륨 아이오다이드(1, 2-dimethyl-3-octyl-imidazolium iodide) 및 요오드(I2)를 3-메톡시프로피오니트릴(3-methoxypropionitrile)에 용해시킨 I3 -/I-전해질 용액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해질 용액(302)은 겔형 고분자 전해질일 수 있다. 겔형 고분자 전해질은 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계 중합체 또는 그 공중합체를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NMP) 또는 3-메톡시프로피오니트릴(3-methoxypropionitrile: MP) 용액에 녹인 용액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전극들(110, 210) 사이에서, 제1 및 제2 전극들(110, 210)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전해질 용액(302)을 밀폐하는 밀폐부(300)를 형성할 수 있다. 밀폐부(300)는 전해질 용액(302)이 충진되기 전에 형성될 수 있다.
( 실험예 )
제1 기판에 ITO 또는 주석 산화물(SnO2)을 포함하는 제1 도전막을 형성하였다. 제1 도전막 상에 약 20nm 크기의 이산화티탄(TiO2, 제1 나노 입자)을 포함하는 인쇄용 페이스트를 약 100㎛ 두께로 코팅하였다. 이산화티탄을 포함하는 인쇄용 페이스트를 약 450℃ 내지 약 550℃에서 약 30분 가열하여, 약 10㎛ 두께의 이산화티탄 박막(예비 제1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을 형성하였다.
이산화티탄 박막 상에 약 10nm 크기의 산화 알루미늄(Al2O3, 제2 나노 입자)을 포함하는 인쇄용 페이스트를 약 10㎛ 두께로 코팅하였다. 산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인쇄용 페이스트를 약 450℃ 내지 약 550℃에서 약 30분 가열하여, 약 3㎛ 두께의 산화 알루미늄 박막(예비 제2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을 형성하였다.
이산화티탄 박막 및 산화 알루미늄 박막이 형성된 제1 기판을 3mM의 하기의 구조식 5를 갖는 화합물이 용해된 에탄올 용액에서 약 18시간 동안 염료를 흡착하였다.
[구조식 5]
Figure pat00017
이로써, 제1 기판, 제1 도전막, 제1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 및 제2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을 포함하는 제1 전극을 형성하였다.
제2 기판에 ITO 또는 주석 산화물(SnO2)을 포함하는 제2 도전막을 형성하였다. 제2 도전막 상에 약 10mM의 백금 이온이 포함된 이소프로필알코올(isopropyl alcohol) 용액을 약 1,000RPM의 속도로 스핀 코팅한 후, 약 450℃ 내지 약 550℃에서 약 30분 가열하여, 제3 도전막을 형성하였다.
이로써, 제2 기판, 제2 도전막 및 제3 도전막을 포함하는 제2 전극을 형성하였다.
제1 전극의 제2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과, 제2 전극의 제3 도전막이 마주보도록, 제1 및 제2 전극들을 이격하여 배치하였다. 이격된 제1 및 제2 전극들 사이에 밀폐부를 설치하였다.
밀폐부, 제1 및 제2 전극들로 한정되는 공간으로 전해질 용액을 충진하였다. 전해질 용액은 I3 -/I-전해질 용액으로, 1, 2-디메틸-3-옥틸-이미다졸륨 아이오다이드(1, 2-dimethyl-3-octyl-imidazolium iodide) 및 요오드(I2)를 3-메톡시프로피오니트릴(3-methoxypropionitrile)에 용해시켜 제조하였다.
이로써, 제1 및 제2 전극, 전해질 용액으로 이루어진 염료감응 태양 전지를 완성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 실험예에서 제작된 염료감응 태양 전지에 대한 투과율을 알아보기로 한다.
도 3은 제1 나노 입자 및 제2 나노 입자가 수열 합성 시, 온도에 따른 투과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선은 제1 및 제2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이 형성되지 않은 태양 전지에 대한 투과율을 나타낸다. 점선은 약 180℃에서 수열 합성된 제1 나노 입자 및 제2 나노 입자를 각각 포함하는 제1 및 제2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이 포함된 태양 전지에 대한 투과율을 나타낸다. 일점쇄선은 약 230℃에서 수열 합성된 제1 나노 입자 및 제2 나노 입자를 각각 포함하는 제1 및 제2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이 포함된 태양 전지에 대한 투과율을 나타낸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약 230℃에서 수열 합성된 제1 나노 입자 및 제2 나노 입자보다 약 180℃에서 수열 합성된 제1 나노 입자 및 제2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의 투과율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 전지로 광을 조사하고, 광의 파장에 따른 투과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약 440nm 내지 약 660nm 파장에서 일반적인 염료감응 태양 전지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제작된 염료감응 태양 전지에서 투과율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제1 기판 102: 제1 도전막
104: 제1 나노입자 산화물 박막 106: 제2 나노입자 산화물 박막
110: 제1 전극 200: 제2 기판
202: 제2 도전막 204: 제3 도전막
210: 제2 전극 300: 밀폐부
302: 전해질 용액

Claims (19)

  1.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이격되어 마주하는 제2 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들 사이에 충진되는 전해질 용액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전극은 하기의 구조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료가 흡착된 제1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 전지.
    [구조식 1]
    Figure pat00018

    (상기 구조식 1에서, R1 내지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암모늄 이온 또는 포스포늄 이온이고, R2 및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이온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하기의 구조식 2 내지 5로 표시된 화합물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염료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 전지.
    [구조식 2] [구조식 3]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20

    [구조식 4] [구조식 5]
    Figure pat00021
    Figure pat00022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및 제1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도전막; 및
    상기 제1 나노 입자 산화막 박막 상에 배치된 제2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 전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막은 인듐 주석 산화물(induim tin oxide) 또는 주석 산화물(SnO2)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나노 입자 산화물은 티탄 산화물(TiO2)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나노 입자 산화물은 알루미늄 산화물(Al2O3), 실리콘 산화물(SiO2), 알루미늄 티탄 산화물(AlxTi1 - xO) 및 실리콘 티탄 산화물(SixTi1 - x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 전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은 2.4 내지 2.8의 굴절율을 가지며,
    상기 제2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은 1.2 내지 2.8 이하의 굴절율을 갖는 염료감응 태양 전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제2 도전막 및 제3 도전막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 전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막은 인듐 주석 산화물(ITO) 또는 주석 산화물(SnO2)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도전막은 백금(Pt) 또는 탄소(C)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 전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 용액은 요오드 이온(I3 -/I-)을 포함하는 전해질 용액 또는 겔형(gel type) 고분자 전해질 용액인 염료감응 태양 전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들 사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들의 가장자리를 연결하여, 상기 전해질 용액을 밀폐하는 밀폐부를 더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 전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의 제1 나노 입자는 5 내지 30nm 크기이며,
    상기 제2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의 제2 나노 입자는 5 내지 10nm 크기인 염료감응 태양전지.
  11. 제1 기판 상에 예비 제1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을 형성하고;
    상기 예비 제1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에 하기의 구조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료가 흡착하여 제1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을 형성하여, 상기 제1 기판 및 제1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을 포함하는 제1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과 이격하여 마주하도록 제2 전극을 배치하고;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들 사이에 전해질 용액을 충진하는 것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구조식 6]
    Figure pat00023

    (상기 구조식 6에서, R1 내지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암모늄 이온 또는 포스포늄 이온이고, R2 및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이온이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예비 제1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 상에 예비 제2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을 형성하고;
    상기 예비 제1 및 제2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들에 상기 구조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료를 흡착하여, 상기 제1 및 제2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들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의 제1 나노 입자와, 상기 제2 나노 입자 산화물 박막의 제2 나노 입자는 각각 150 내지 200℃의 온도에서 수열(hydrothermal) 합성된 염료감응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제1 기판 및 예비 제1 나노 입자 산화물 사이에 제1 도전막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을 형성하는 것은,
    제2 기판에 인듐 주석 산화물 또는 주석 산화물을 포함하는 제2 도전막을 형성하고; 및
    상기 제2 도전막 상에 백금 또는 탄소를 포함하는 제3 도전막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 용액을 제조하는 공정은,
    1, 2-디메틸-3-옥틸-이미다졸륨 아이오다이드(1, 2-dimethyl-3-octyl-imidazolium iodide) 및 I2(iodine)을 3-메톡시프로피오니트릴(3-methoxypropionitrile)에 용해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전해질 용액은 I3 -/I-전해질 용액인 염료감응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 용액을 제조하는 공정은,
    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poly vinylidene fluoride: PVDF)계 중합체 또는 그 공중합체를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NMP) 또는 3-메톡시프로피오니트릴(3-Methoxypropionitrile: MP) 용매에 용해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전해질 용액은 겔형 고분자 전해질 용액인 염료감응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 용액을 밀폐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전극들 사이를 연결하는 밀폐부를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는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자외선 경화 수지 또는 유리 프리트(frit)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염료감응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KR1020100128378A 2010-12-15 2010-12-15 염료감응 태양 전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12006699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378A KR20120066998A (ko) 2010-12-15 2010-12-15 염료감응 태양 전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JP2011266208A JP2012129203A (ja) 2010-12-15 2011-12-05 染料感応太陽電池及びこれを製造する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378A KR20120066998A (ko) 2010-12-15 2010-12-15 염료감응 태양 전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998A true KR20120066998A (ko) 2012-06-25

Family

ID=46645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8378A KR20120066998A (ko) 2010-12-15 2010-12-15 염료감응 태양 전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2129203A (ko)
KR (1) KR2012006699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54488B1 (en) * 2013-10-04 2019-05-08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Transistor, and transistor manufactur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957A (ko) * 2002-02-02 2003-08-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 함유 겔형 고분자 전해질을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JP2004311197A (ja) * 2003-04-07 2004-11-04 Hitachi Metals Ltd 光電極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色素増感型太陽電池
JP2006159886A (ja) * 2004-11-10 2006-06-22 Dainippon Printing Co Ltd 導電性基板、色素増感型太陽電池用電極基板、及び色素増感型太陽電池
JP2008186669A (ja) * 2007-01-29 2008-08-14 Mitsubishi Electric Corp 色素増感型太陽電池の製造方法
JP5274033B2 (ja) * 2007-01-31 2013-08-28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色素増感型太陽電池スペーサー
CN101723983B (zh) * 2008-10-21 2012-08-08 明德国际仓储贸易(上海)有限公司 钌金属络合物及用此络合物制作的光电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129203A (ja) 201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03129A1 (en) Producing method of mesoporous thin film solar cell based on perovskite
Wang et al. Electronic-insulating coating of CaCO3 on TiO2 electrode in dye-sensitized solar cells: improvement of electron lifetime and efficiency
Yoo et al. Stable and colorful perovskite solar cells using a nonperiodic SiO2/TiO2 multi-nanolayer filter
Chang et al. Panchromatic photon-harvesting by hole-conducting materials in inorganic–organic heterojunction sensitized-solar cell through the formation of nanostructured electron channels
Tetreault et al. High-efficiency solid-state dye-sensitized solar cells: fast charge extraction through self-assembled 3D fibrous network of crystalline TiO2 nanowires
Heo et al. Sb2S3-sensitized photoelectrochemical cells: open circuit voltage enhancement through the introduction of poly-3-hexylthiophene interlayer
Chen et al. M13 virus-enabled synthesis of titanium dioxide nanowires for tunable mesoporous semiconducting networks
Yang et al. Three-dimensional photonic crystal fluorinated tin oxide (FTO) electrodes: synthesis and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Lin et al. High-efficiency dye-sensitized solar cells based on robust and both-end-open TiO 2 nanotube membranes
Ma et al. Unveil the full potential of integrated-back-contact perovskite solar cells using numerical simulation
CN103903862A (zh) 一种基于平面梳齿状电极结构的透明柔性电化学器件及其制备方法
Ye et al. Acetate-based crystallization kinetics modulation of CsPbI2Br for improved photovoltaic performance
CN105308701B (zh) 设有聚光装置的色素敏化型太阳能电池
CN104183704A (zh) 一种量子点共敏化型钙钛矿太阳能电池的制备方法
Raut et al. A review on gel polymer electrolytes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Liu et al. Lead halide ultraviolet-harvesting transparent photovoltaics with an efficiency exceeding 1%
González-García et al. Single-step fabrication process of 1-D photonic crystals coupled to nanocolumnar TiO 2 layers to improve DSC efficiency
CA2878406C (en) Photoelectrically convertible composition comprising an anionic polymer, a laminate, and processes therefor
Shi et al. Efficient and stable perovskite solar cells with a superhydrophobic two-dimensional capping layer
JP2012204275A (ja) 色素増感型太陽電池の製造方法、色素増感型太陽電池及び色素増感型太陽電池モジュール
Wu et al. Solution-processed anatase titania nanowires: from hyperbranched design to optoelectronic applications
Moon et al. Solid-state solar energy conversion from WO3 nano and microstructures with charge transportation and light-scattering characteristics
Patil et al. Innovative approaches to semi-transparent perovskite solar cells
Spadaro et al. Environmentally Friendly Water-Based Electrolyte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Future Prospective and Outlook
JP2001247314A (ja) 薄膜形成方法及び光電変換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