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6583A - 광학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6583A
KR20120066583A KR1020110122830A KR20110122830A KR20120066583A KR 20120066583 A KR20120066583 A KR 20120066583A KR 1020110122830 A KR1020110122830 A KR 1020110122830A KR 20110122830 A KR20110122830 A KR 20110122830A KR 20120066583 A KR20120066583 A KR 20120066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ptical system
imaging
image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2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리미츠 아나다
지로 푸나쿠라
야스히로 모리모토
미츠히로 토가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3/325,829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20147247A1/en
Publication of KR20120066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65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2003/0093Simple or compound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Abstract

본 발명의 광학 시스템은, 광이 입사되는 음의 파워를 가지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통과한 광이 입사되는 복수의 광학 소자를 구비하는 복안 광학 소자와, 상기 렌즈 및 상기 복안 광학 소자를 통과한 광을 수광하는 촬상 소자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학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OPTICAL SYSTEM AND IMAG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학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화상 정보를 취득하는 촬상 장치로서,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 촬상 장치에 있어서는, 피사체인 물체에 대향하는 단일 광학계에 의해 물체 화상(image)을 취득하는 구성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일 광학계의 촬상 장치에서는, 시차(parallax)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 정보를 얻을 수 없다. 그래서, 시차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 정보를 근거로 자유시점(free-view point) 화상이나 다중 초점 또는 전초점 화상(multi-focal image)을 합성할 수 있는 복안(fly's eye) 결상 광학계를 이용한 촬상 장치가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복안형의 촬상 장치의 일 예로서, 일본 특개2001-61109호 공보는 렌즈 어레이를 이용한 촬상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미국 특허 제5076687호는 렌즈 어레이와 양(positive)의 파워를 가지는 렌즈를 조합시켜, 렌즈 어레이에 포함되는 각 렌즈에 의해 촬상되는 복수의 피사체 화상 사이에서 시야 중복을 확보하면서, 시야를 분할하는 광학 레인징 장치(optical ranging apparatus)를 개시한다.
미국 특허 제5076687호에 기재된 종래의 기술은, 인접 피사체 화상 사이에서 시야 중복을 확보하고자 하면, 시차량이 적어져, 피사체 화상의 해상도가 저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구성이 가지고 있었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광학 시스템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또한, 시차량을 크게 해서 해상도를 향상시킨 화상을 얻기 위한 광학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광학 시스템은, 광이 입사되는 음(negative)의 파워를 가지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통과한 광이 입사되는 복수의 광학 소자를 구비하는 복안 광학 소자와 상기 렌즈 및 상기 복안 광학 소자를 통과한 광을 수광하는 촬상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광학 소자의 각각의 촬상 범위는 공통 범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광학 시스템에 따르면, 광학 시스템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또한, 시차량을 크게 해서 해상도를 향상시킨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광학 시스템에서, 상기 공통 범위는 상기 촬상 범위의 50% 이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광학 시스템에 따르면, 시차량의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해상도를 향상시킨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관한 촬상 장치는, 촬상 대상물로부터의 광이 입사되는 음의 파워를 가지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통과한 상기 촬상 대상물로부터의 광이 입사되는 복수의 광학 소자를 구비하는 복안 광학 소자와 상기 렌즈 및 상기 복안 광학 소자를 통과한 상기 촬상 대상물로부터의 광을 수광하는 촬상 소자를 구비하는 광학 시스템과, 상기 촬상 소자에 수광된 상기 촬상 대상물의 광을 처리하여 상기 촬상 대상물의 화상을 구성하는 처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광학 소자의 각각의 촬상 범위는 공통 범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촬상 장치에 의하면, 광학 시스템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또한, 시차량을 크게 해서 해상도를 향상시킨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관한 촬상 장치에서, 상기 공통 범위는 상기 촬상 범위의 50% 이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관한 촬상 장치에 의하면, 시차량의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해상도를 향상시킨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에 의하면, 광학 시스템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또한, 시차량을 크게 해서 해상도를 향상시킨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광학 시스템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광학 시스템의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광학 시스템에 대한 비교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광학 시스템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은 렌즈 어레이를 이용한 광학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고, (b)은 양의 파워를 가지는 렌즈와 렌즈 어레이를 이용한 광학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해서 실시 예로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광학 시스템(100)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광학 시스템(100)은, 음의 파워를 가지는 렌즈(101)와, 촬상 대상물(피사체라고도 한다(도시 생략))의 위치에서 볼 때 렌즈(101)의 뒤 측에 배치되는 복안 광학 소자(102)와, 촬상 대상물의 위치에서 볼 때 복안 광학 소자(102)의 뒤 측에 배치되는 촬상 소자(103)를 포함한다. 렌즈(101)는 음의 파워를 가지는 렌즈이면 어떠한 렌즈를 이용해도 되고, 도시한 바와 같이 양면 오목 렌즈 또는 광축(110)과 접하는 두 광학면들 중 적어도 한 광학면이 오목면인 렌즈이어도 된다. 또한, 렌즈(101)의 두 광학면들 중 적어도 한 광학면은 비구면일 수 있다. 혹은, 렌즈(101)는, 복수의 렌즈가 조합되어, 전체로서 파워가 음이 되는 렌즈 군으로 이루어지는 렌즈이어도 된다. 복안 광학 소자(102)는 광축(110)을 법선으로 하는 가상의 평면 또는 광축(110)을 기준으로 대칭인 곡면상에 복수의 광학면 또는 복수의 광학 소자가 배치된 광학 소자이다. 통상적으로 광축은 이를 중심으로 해당 광학계(또는 광학 시스템)를 회전시켜도 광학적으로 변동이 없는 축을 말한다. 예를 들어, 광축상에 정렬된다는 것은 해당 광학계를 구성하는 렌즈의 곡률 중심이 상기 광축상에 위치하거나, 해당 렌즈 어레이 또는 렌즈의 대칭점(즉, 대칭 중심) 또는 중심점이 상기 광축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복안 광학 소자(102)는 복수의 광학 소자(102a)가 배열되어서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복수의 광학 소자(102a)가 배열된 것이면, 복안 광학 소자(102)는 일체형의 렌즈 어레이여도 되고, 개별적인 렌즈들을 집합한 렌즈 그룹이어도 된다. 상기 각 광학 소자(102a)는 양의 파워를 가지는 렌즈이면 어떠한 렌즈를 이용해도 되고, 도시한 바와 같이 양면 볼록 렌즈 또는 두 광학면들 중 적어도 한 광학면이 볼록면인 렌즈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각 광학 소자(102a)의 두 광학면들 중 적어도 한 광학면은 비구면 또는 평면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학 소자(102a)는 광축(110)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된다. 촬상 소자(103)는 복수의 수광 소자(도시 생략)를 가지고 있고, 복수의 수광 소자가 촬상 소자의 표면에 배치된다. 렌즈(101)에 입사하여, 렌즈(101) 및 복안 광학 소자(102)를 통과한 광을 촬상 소자(103)의 수광 소자가 수광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광학 시스템(100)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광학 시스템(100)의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비교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광학 시스템(100)에 의해, 촬상 대상물(105)의 상을 촬상하는 구성 예를 나타낸 것이다. 촬상 대상물(105)로서, 렌즈(101) 전방의 무한대에 위치하는 제1 물체(105a)와 렌즈(101) 가까이에 위치하는 제2 물체(105b)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촬상 대상물(105)로부터의 광이 렌즈(101)에 입사되면, 촬상 대상물(105)의 허상(106)이 촬상 대상물(105)에서 볼 때 렌즈(101)의 전방(도 2에 나타낸 렌즈(101)의 좌측)에 결상된다. 이때, 제1 물체(105a)의 허상을 제1 허상(106a)으로 하고, 제2 물체(105b)의 허상을 제2 허상(106b)으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허상(106a)은 렌즈(101)의 초점면(focal plane)(111)에 결상되고, 제2 허상(106b)은 초점면(111)보다도 렌즈(101) 측의 소정의 위치에 결상된다.
허상(106)은, 복안 광학 소자(102)에 포함되는 복수의 광학 소자(102a)를 통해서 촬상 소자(103)의 수광 소자 위에, 촬상 대상물(105)의 상으로서 결상된다. 이때, 하나의 광학 소자(102a)에 의해 결상되는 상을, 이하, 개안상이라고 하고, 복안 광학 소자(102) 전체에 대한 개안상의 집합을 복안상이라고 한다. 복수의 개안상은, 각각, 광학 소자(102a)의 수에 따라서 복수의 시점이나 방향에서 얻어지는 촬상 대상물(105)의 축소 상의 화상 데이터이다. 따라서, 개안상의 집합인 복안상에는 촬상 대상물(105)의 거리 정보 및 방향 정보 등이 포함된다. 따라서, 복수의 개안상의 화상 데이터를, 컴퓨터 등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수단을 이용하여 화상 처리함으로써, 해상도가 높은 촬상 대상물(105)의 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해 진다. 복수의 개안상의 화상 데이터를,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촬상 소자(103)에 접속된 화상 처리 수단에 의해 처리함으로써, 촬상 대상물(105)의 단일 화상을 얻어도 된다. 또한, 복수의 개안상 각각의 거리정보 및 방향정보를 포함하는 화상 데이터를 화상 처리 수단으로 처리함으로써, 임의의 위치에 핀트를 맞춘 촬상 대상물(105)의 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촬상 대상물(105)을 촬영한 후에, 그 상의 핀트를 다시 맞추거나, 촬상 대상물(105)의 거리를 추정하거나 할 수 있다.
이어서, 도 3을 참조하여,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광학 시스템(100)에 대한 비교 예인 광학 시스템(2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광학 시스템(200)은, 양의 파워를 가지는 렌즈(201)와, 촬상 대상물(205)에서 볼 때 렌즈(201)의 뒤 측에 배치되는 복안 광학 소자(202)와, 촬상 대상물(205)에서 볼 때 복안 광학 소자(202)의 뒤 측에 배치되는 촬상 소자(203)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광학 시스템(100)과 도 3에 도시된 광학 시스템(200)의 차이는, 렌즈(201)가 양의 파워를 가지는 점이다. 렌즈(201)는 양의 파워를 가지는 렌즈이면 어떠한 렌즈를 이용해도 되고, 도시한 바와 같이 양면 볼록 렌즈 또는 광축(210)과 접하는 두 광학면들 중 적어도 한 광학면이 볼록면인 렌즈이어도 된다.
렌즈(201)의 전방에 배치된 촬상 대상물(205)로부터의 광이 렌즈(201)에 입사되면, 촬상 대상물(205)의 실상(207)이, 렌즈(201)와 복안 광학 소자(202)의 사이에 결상된다. 또한, 촬상 대상물(205)은 무한대에 위치하는 제1 물체(205a)와 근접 위치에 배치되는 제2 물체(205b)를 포함한다. 실상(207)은, 제1 물체(205a)의 제1 실상(207a)과 제2 물체(205b)의 제2 실상(207b)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무한대에 위치하는 제1 물체(205a)의 제1 실상(207a)은 렌즈(201)와 복안 광학 소자(202)와의 사이의 초점면(111)에 결상된다. 또한, 근접한 제2 물체(105b)의 제2 실상(207b)은 렌즈(201)의 초점면 211보다 후방이며 복안 광학 소자(202)보다 앞 측의 소정의 위치에 결상된다.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광학 시스템(100)과 도 3에 나타낸 비교 예의 광학 시스템(200)을 비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광학 시스템(100)은, 촬상 대상물(105)의 허상(106)의 결상 위치가 촬상 대상물(105)에서 볼 때 광학 시스템(100)의 전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렌즈(101)와 복안 광학 소자(102)의 거리 d1을 짧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나타낸 비교 예의 광학 시스템(200)은, 촬상 대상물(205)의 실상(207)의 결상 위치가, 광학 시스템(200) 내의 렌즈(201)와 복안 광학 소자(202)의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렌즈(201)와 복안 광학 소자(202)의 거리 d2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광학 시스템(100)에 있어서의 렌즈(101)와 복안 광학 소자(102)의 거리 d1보다도 길게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광학 시스템(100)에 따르면, 비교 예의 광학 시스템(200)과 비교하여, 렌즈(101)와 복안 광학 소자(102)의 거리 d1을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광학계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광학 시스템(100)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광학 시스템(100)은, 음의 파워를 가지는 렌즈(101)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비교 예의 광학 시스템(200)과 비교하여, 촬상 대상물(105)의 허상(106)의 결상 위치로부터 복안 광학 소자(102)까지의 거리를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촬상 소자(103)에 결상되는 상의 횡배율을 크게 할 수 있고, 시차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개안상의 시야 중복을 확보하여, 복수의 광학 소자(102a)의 각각의 촬상 범위가 공통 범위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개안상들 사이에서의 공통 촬상 범위는, 촬상 범위의 50% 이상이다. 즉, 광학 시스템(100)에 의하면, 시야 중복도를 50% 이상으로 하여 복수의 개안상을 얻을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광학 시스템(100)에 따르면, 시차량의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해상도를 향상시킨 촬상 대상물(105)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광학 시스템(100)과 비교 예에 따른 광학 시스템을 비교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비교 예에 따른 광학 시스템의 구성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의 (a)는 렌즈 어레이를 이용한 광학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4의 (b)는 양의 파워를 가지는 렌즈와 렌즈 어레이를 이용한 광학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a)을 참조하면, 도 4의 (a)에 나타낸 광학 시스템(300)은, 렌즈 어레이(302)와 촬상 대상물(305)에서 볼 때 렌즈 어레이(302)의 후방에 배치되는 촬상 소자(303)를 포함한다. 촬상 대상물(305)은, 렌즈 어레이(302)의 전방에 위치하고, 렌즈 어레이(302)에 배열된 각 렌즈(302a∼302c)를 통하여, 촬상 대상물(305)의 축소 상이 실상(307a∼307c)으로서 촬상 소자(303)의 수광 소자 위에 결상된다.
상기 광학 시스템(300)에 의하면, 촬상 대상물(305)이 먼 물체일 경우, 렌즈 어레이(302)로부터 촬상 대상물(305)까지의 거리가 길어져, 시차량이 적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광학 시스템(100)에 있어서, 복안 광학 소자(102)의 전방에 음의 파워를 가지는 렌즈(101)를 배치함으로써, 촬상 대상물(105)의 허상(106)의 결상 위치로부터 복안 광학 소자(102)의 거리를, 비교 예에 따른 광학 시스템(300)과 비교해서 짧게 할 수 있고, 시차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광학 시스템(100)에 따르면, 비교 예에 따른 광학 시스템(300)과 비교하여, 해상도를 향상시킨 촬상 대상물(105)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이어서, 도 4의 (b)를 참조하면, 도 4의 (b)에 나타낸 광학 시스템(500)은, 양의 파워를 가지는 렌즈(501)와, 촬상 대상물(505)에서 볼 때 렌즈(501)의 후방에 배치되는 렌즈 어레이(502)와, 촬상 대상물(505)에서 볼 때 렌즈 어레이(502)의 후방에 배치되는 촬상 소자(503)를 포함한다. 촬상 대상물(505)은, 렌즈(501)의 전방에 위치하고, 렌즈(501)와 렌즈 어레이(502)의 사이에 촬상 대상물(505)의 실상(507)이 결상된다. 렌즈 어레이(502)는,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를 포함하고, 각 마이크로 렌즈를 통하여, 실상(507)은, 일 부분씩 촬상 소자(503) 위에 개안상(508a∼508e)으로서 결상된다. 이때, 촬상 소자(503) 위에 결상되는 복수의 개안상(508a∼508e)은 각각 촬상 대상물(505)의 축소 상의 일부이다.
이와 같이, 상기 광학 시스템(500)에 의하면, 상술한 도 3에 도시된 광학 시스템(200)과 동일하게, 대물 렌즈인 렌즈(501)와 렌즈 어레이(502)의 사이에 실상(507)이 결상될 경우에는, 광학계의 전체 길이가 길어진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촬상 소자(503)의 후방에 결상되는 실상(507)을, 촬상 소자(503) 위에 결상할 경우에는, 광학계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지만, 인접하는 복수의 개안상(508a∼508e)의 시야 중복을 확보하고자 하면, 시차량이 적어져, 촬상 대상물(505)의 화상의 해상도가 저하해 버린다. 또한, 마이크로 렌즈의 수를 줄인 경우에는, 인접하는 마이크로 렌즈들 사이에서의 시야 중복을 확보하기 위해서, 마이크로 렌즈의 초점 거리를 길게 할 필요가 있어, 광학계의 전체 길이가 길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광학 시스템(100)에 있어서, 촬상 대상물(105)의 허상(106)의 결상 위치가 촬상 대상물(105)에서 볼 때 렌즈(101)의 전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광학계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광학 시스템(100)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광학 시스템(100)에 따르면, 광학 소자(102a)의 수에 따라서 복수의 시점이나 방향에서 얻어지는 촬상 대상물(105)의 축소 상인, 복수의 개안상의 화상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개안상의 시야 중복을 확보하여, 복수의 광학 소자(102a) 중 인접하는 광학 소자(102a)가, 촬상 범위의 50% 이상의 공통 촬상 범위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야 중복도가 50% 이상인 복수의 개안상의 화상 데이터를 화상 처리함으로써, 해상도를 향상시킨 촬상 대상물(105)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광학 시스템(100)은, 양의 파워를 가지는 렌즈를 이용한 광학 시스템(500)과 비교하여, 촬상 대상물(105)의 허상(106)의 결상 위치부터 복안 광학 소자(102)까지의 거리를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촬상 소자(103)에 결상되는 상의 횡배율을 크게 할 수 있고, 시차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광학 시스템(100)에 따르면, 비교 예에 따른 광학 시스템(500)과 비교한 경우에도, 시차량의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해상도가 높은 촬상 대상물(105)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광학 시스템(100)에 따르면, 소형화가 가능하고, 또한, 시차량을 크게 해서 해상도를 향상시킨 화상을 얻기 위한 광학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광학 시스템(100)은,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및 휴대 전화 등을 포함하는 각종 전자기기에 이용하는 광학 시스템 및 촬상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100: 광학 시스템, 101: 렌즈, 102: 복안광학소자, 102a: 광학소자, 103: 촬상 소자

Claims (10)

  1. 광이 입사되는 음의 파워를 가지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통과한 광이 입사되는 복수의 광학 소자를 구비하는 복안 광학 소자와,
    상기 렌즈 및 상기 복안 광학 소자를 통과한 광을 수광하는 촬상 소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학 소자의 각각의 촬상 범위는 공통 범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범위는 상기 촬상 범위의 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양면 오목한 렌즈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학 소자는 각각 양면 볼록한 렌즈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스템.
  6. 촬상 대상물로부터의 광이 입사되는 음의 파워를 가지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통과한 상기 촬상 대상물로부터의 광이 입사되는 복수의 광학 소자를 구비하는 복안 광학 소자와,
    상기 렌즈 및 상기 복안 광학 소자를 통과한 상기 촬상 대상물로부터의 광을 수광하는 촬상 소자를 구비하는 광학 시스템과,
    상기 촬상 소자에 수광된 상기 촬상 대상물의 광을 처리하여 상기 촬상 대상물의 상을 구성하는 처리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학 소자의 각각의 촬상 범위는 공통 범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범위는 상기 촬상 범위의 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양면 오목한 렌즈임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학 소자는 각각 양면 볼록한 렌즈임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KR1020110122830A 2010-12-14 2011-11-23 광학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 KR201200665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325,829 US20120147247A1 (en) 2010-12-14 2011-12-14 Optical system and imag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78119 2010-12-14
JP2010278119A JP2012129713A (ja) 2010-12-14 2010-12-14 光学システム及びこれを備える撮像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583A true KR20120066583A (ko) 2012-06-22

Family

ID=46646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2830A KR20120066583A (ko) 2010-12-14 2011-11-23 광학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2129713A (ko)
KR (1) KR201200665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6726A (ko) 2018-08-31 2020-03-11 난창 오-필름 옵티컬-일렉트로닉 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촬상 광학 시스템 및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7693A (en) * 1987-04-24 1989-07-11 Ultramatrix, Inc. Composite process video and motion picture photography system and method
JP4235539B2 (ja) * 2003-12-01 2009-03-11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画像構成装置及び画像構成方法
JP4826152B2 (ja) * 2005-06-23 2011-11-30 株式会社ニコン 画像合成方法及び撮像装置
JP2008294741A (ja) * 2007-05-24 2008-12-04 Olympus Corp 撮像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6726A (ko) 2018-08-31 2020-03-11 난창 오-필름 옵티컬-일렉트로닉 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촬상 광학 시스템 및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129713A (ja) 201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73202B2 (ja) 画像入力装置
CN105635530B (zh) 光场成像系统
US20050185050A1 (en) Stereo imager
CN107395924B (zh) 图像处理装置、图像捕获装置和图像处理方法
WO2018192579A1 (zh) 摄像头模组
US20160120397A1 (en) Endoscope image-acquisition device
CN107948470B (zh) 摄像头模块和移动设备
JP2007271724A (ja) オートフォーカスアダプタ
TW201222139A (en) Stereoscopic imaging apparatus
JP6727795B2 (ja) 撮像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システム
JP2010249941A (ja) 立体撮像装置
JP4472166B2 (ja) 3次元撮像装量
US4525744A (en) Viewfinder optical arrangement of a camera
US20120147247A1 (en) Optical system and imag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00356739A (ja) 魚眼レンズ系
JP2004212692A (ja) マクロレンズ
KR20120066583A (ko) 광학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
KR101082382B1 (ko) 입체영상 촬영렌즈계
JPH05203873A (ja) 射出瞳の遠い2焦点切換式レンズ
JP2011182041A (ja) 撮像装置
JP6389547B1 (ja) 撮像装置及び眼底検査装置
JP2012129714A (ja) 光学システム及びこれを備える撮像装置
WO2012117619A1 (ja) 立体画像撮像装置
JP5452800B2 (ja) 立体像撮影装置
WO2024051214A1 (zh) 一种三维图像采集装置、相关设备以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