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6577A - 플레이야드 - Google Patents

플레이야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6577A
KR20120066577A KR1020110101546A KR20110101546A KR20120066577A KR 20120066577 A KR20120066577 A KR 20120066577A KR 1020110101546 A KR1020110101546 A KR 1020110101546A KR 20110101546 A KR20110101546 A KR 20110101546A KR 20120066577 A KR20120066577 A KR 20120066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center
pin
lock member
longitud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치로 오니시
Original Assignee
아프리카 칠드런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프리카 칠드런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프리카 칠드런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66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65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6Children's play- pens
    • A47D13/061Children's play- pens foldable
    • A47D13/063Children's play- pens foldable with soft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folding of the cabine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6Children's play- pens

Landscapes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Toy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과제
절첩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플레이야드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플레이야드(10)의 가로재(16)는, 길이 방향 일방 부재(161)와, 길이 방향 타방 부재(162)와, 길이 방향 중앙부로서 이들 길이 방향 일방 부재 및 길이 방향 타방 부재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중앙 연결 부재(20)와, 길이 방향 일방 부재와 중앙 연결 부재를 회동 불능으로 하는 일방 로크기구(241)와, 길이 방향 타방 부재와 중앙 연결 부재를 회동 불능으로 하는 타방 로크기구(242)와, 이들 쌍방의 로크기구를 동시에 해제하여 쌍방의 로크 해제를 유지하는 로크 동작기구(25)를 갖는다.

Description

플레이야드{PLAY YARD}
본 발명은, 플레이야드(플레이펜(playpen))의 절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소아가 놀 수 있는 보호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플레이야드(플레이펜)가 주지(周知)이다. 플레이야드는, 유소아가 놀 수 있는 영역을 구획하는 틀이고, 일반적으로 골조 구조체와, 이 골조 구조체를 포위하는 봉제포(縫製布)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것으로서 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8-154752(특허문헌1)의 플레이야드는, 4개의 세로 테두리(기둥)와, 이들 세로 테두리의 상부에 배치된 4개의 상부 가로 테두리와, 이들 세로 테두리의 하부에 배치된 4개의 하부 가로 테두리와, 이들 하부 가로 테두리의 위에 재치된 저판과, 4개의 세로 테두리의 사방에 팽팽히 걸쳐진 프레임 커버를 가지며, 사방의 측면 및 저면이 폐쇄된다. 이에 의해, 플레이야드의 내부에 수용된 유소아가 생각치 않게 외부로 나오는 일이 없다는 것이다.
또한 플레이야드는, 운반에 도움이 되도록 경량화되고, 비사용시에는 컴팩트하게 절첩(折疊)되는 것이 보통이고, 특허문헌1의 프레임 중 수평으로 늘어나는 상부 가로 테두리(가로재(橫材))가, 양단측으로 각각 늘어나는 파이프 부재와, 중앙부에 배치되고 양단측의 파이프 부재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 2 절첩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전개(展開) 상태에서 일단측의 파이프 부재, 제 2 절첩부, 타단측의 파이프 부재가 일직선으로 늘어난다. 또한 절첩 상태에서 파이프 부재가 제 2 절첩부에 대해 90도가 되도록 회동하고, 이에 의해 양단측의 파이프 부재가 서로 근접하여 평행하게 정돈된다. 이리하여 상부 가로 테두리(가로재)는, 2개소의 피벗(회동 연결점)을 가지며, 사용 상태에서 일직선으로 늘어나, 절첩할 때에는 ㄷ자형상으로 변형된다.
특허문헌1 : 일본 특개2008-154752호 공보 단락 번호 0051 도 9
그러나, 특허문헌1의 플레이야드에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문제가 생긴다. 즉 파이프 부재가 제 2 절첩부에 대해 단지 피벗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에 지나지 않고, 회동을 규제하는 로크 수단을 갖지 않는다. 이 때문에, 사용 상태 및 절첩 상태의 양쪽에서 불안정하다.
그래서, 일단측의 파이프 부재와 제 2 절첩부을 회동 불능으로 로크하는 일방(一方)측의 로크기구, 및 타단측의 파이프 부재와 제 2 절첩부을 회동 불능으로 로크하는 타방(他方)측의 로크기구를 마련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절첩할 때, 이들의 로크를 전부 해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해제가 불완전하게 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 경우, 일방의 로크기구가 해제되지 않아, 절첩 조작이 하기 어렵다. 특히, 플레이야드를 절첩할 때에는 복수개의 상부 가로 테두리(가로재)를 절첩하여야 하기 때문에, 많은 로크기구를 전부 확실하게 해제하는 것은 번잡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정을 감안하여, 절첩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플레이야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야드는, 복수의 기둥재(柱材), 및 기둥재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가로재(橫材)를 가지며, 유소아를 수용하는 공간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절첩 가능한 프레임 구조체를 구비한다. 그리고 가로재 중 적어도 일부는, 중간 정도에서 꺾임 변형 가능하고, 길이 방향 일방 부재와, 길이 방향 타방 부재와, 길이 방향 중앙부로서 이들 길이 방향 일방 부재 및 길이 방향 타방 부재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중앙 연결 부재와, 길이 방향 일방 부재와 중앙 연결 부재를 회동 불능으로 하는 일방 로크기구와, 길이 방향 타방 부재와 중앙 연결 부재를 회동 불능으로 하는 타방 로크기구와, 이들 쌍방의 로크기구를 동시에 해제하여 쌍방의 로크 해제를 유지하는 로크 동작기구를 갖는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쌍방의 로크기구를 동시에 해제하여 쌍방의 로크 해제를 유지하는 로크 동작기구를 갖기 때문에, 유소아의 보호자가 로크 동작기구를 해제 조작하면, 일방 로크기구도 타방 로크기구도 확실하게 로크 해제된다. 이에 의해, 절첩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중간 정도에서 꺾임 변형 가능이란, 가로재의 길이 방향 중앙부를 포함하고, 길이 방향 양단부를 제외한 길이 방향 도중의 개소에서, 꺾임 변형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개의 중앙 연결 부재에 대해 쌍방의 로크 해제를 유지하는 로크 동작기구의 구조는 쌍방의 로크기구를 동시에 해제하는 것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고, 쌍방의 로크기구와 기계적으로 링크하는 기구라도, 전동식이라도 좋다. 본 발명은 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일방 로크기구는, 중앙 연결 부재에 지지되어 길이 방향 일방 부재의 회동을 불능으로 하는 로크 위치 및 길이 방향 일방 부재의 회동을 허용하는 프리 위치에 선택적으로 되는 일방 로크부재를 포함한다. 타방 로크기구는, 중앙 연결 부재에 지지되어 길이 방향 타방 부재의 회동을 불능으로 하는 로크 위치 및 길이 방향 타방 부재의 회동을 허용하는 프리 위치에 선택적으로 되는 타방 로크부재를 포함한다. 로크 동작기구는, 일방 로크부재 및 타방 로크부재를 동시에 로크 위치로부터 프리 위치로 하는 공통의 조작자(操作子)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유소아의 보호자가 공통되는 1개의 조작자를 조작함에 의해 일방측 로크기구도 타방측 로크기구도 확실하게 로크 해제된다. 따라서 로크 동작기구를 알맞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조작자는 버튼이라도 좋고 레버라도 좋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조작자는, 원위치로부터 조작 위치에 조작됨에 의해 일방 로크부재 및 타방 로크부재를 동시에 해제하는 것이면 좋고, 로크부재를 작동시킬 때의 동작에 관해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조작자는, 수동으로 조작 위치로부터 원위치에 되돌려지는 것이라도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자동으로 조작 위치로부터 원위치에 되돌려진다. 예를 들면, 조작자는, 원위치로부터 조작 위치에 조작됨에 의해 일방 로크부재 및 타방 로크부재를 로크 위치로부터 프리 위치에 동작시켜서, 로크 동작기구는, 조작자를 원위치에 복귀시키는 리턴 스프링을 또한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로크 동작기구가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기 때문에, 조작자를 조작하지 않는 한, 로크부재가 로크 위치에 되며, 따라서 로크가 불의에 해제되는 일이 없다.
쌍방의 로크부재를 움직이는 로크 동작기구의 구조는 쌍방의 로크부재를 동시에 움직이는 것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고, 쌍방의 로크부재와 기계적으로 링크하는 기구라도, 전동식이라도 좋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일방 로크부재 및 타방 로크부재는, 관통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이들의 관통구멍을 공통되는 1개의 연결핀이 관통하고, 중앙 연결 부재는 연결핀의 양단과 계합하는 중앙 안내부가 형성되고, 연결핀은 중앙 안내부를 따라서 이동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일방 로크부재 및 타방 로크부재를 1개의 연결핀이 공통으로 관통하기 때문에, 일방 로크부재 및 타방 로크부재가 핀으로 연결되어 연동(連動)할 수 있다. 따라서 로크 동작기구로서, 쌍방의 로크기구를 동시에 해제하는 구조를 알맞게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쌍방의 로크부재를 동시에 움직이는데 즈음하여, 이들 로크부재의 거동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다른 거동이라도 좋고, 같은 거동이라도 좋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일방 로크부재는 중앙 연결 부재의 한쪽에 배치되고, 타방 로크부재는 중앙 연결 부재의 다른쪽에 배치되고, 중앙 연결 부재의 중앙을 통과하는 가상의 중심면에 관해 이들 일방 로크부재 및 타방 로크부재는 대칭형상이면서 대칭 배치되고, 연결핀은 중심면을 따라서 핀 연재방향과 직각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쌍방의 로크부재가 중심면에 관해 대칭으로 거동하기 때문에, 쌍방의 로크기구를 동시에 해제하는 구조를 알맞게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일방 로크부재는 연결핀과 평행하게 늘어나는 일방 지지핀 및 일방 지지핀의 연재방향에 대해 경사하는 경사면이 마련되고, 타방 로크부재는 연결핀과 평행하게 늘어나는 타방 지지핀 및 타방 지지핀의 연재방향에 대해 경사하는 경사면이 마련되고, 중앙 연결 부재는 중심면에 관해 한쪽 및 다른쪽에 대칭 배치되는 대칭형상의 일방 안내부 및 타방 안내부가 형성되고, 일방 안내부는 일방 지지핀의 양단과 계합하여, 일방 지지핀을 핀 연재방향과 직각으로 안내하고, 타방 안내부는 타방 지지핀의 양단과 계합하여, 타방 지지핀을 핀 연재방향과 직각으로 안내하고, 조작자는 경사면에 각각 맞닿는 1쌍의 다리부(脚部)를 가지며, 조작자가 조작됨에 의해, 다리부가 지지핀의 연재방향으로 전진하여 경사면을 동시에 압입하여 일방 로크부재 및 타방 로크부재를 움직인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쌍방의 로크부재가 중심면에 관해 대칭으로 거동하기 때문에, 쌍방의 로크기구를 동시에 해제하는 구조를 알맞게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조작자의 다리부가 지지핀의 연재방향으로 전진하여 일방 로크부재의 경사면 및 타방 로크부재의 경사면을 동시에 압입한다. 따라서 조작자의 핀 연재방향의 전진을 로크부재의 핀 직각 방향의 움직임으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조작자의 조작에 의해 확실하게 로크를 해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일방 로크부재 및 타방 로크부재는, 경사면에 인접하여 연결핀과 평행한 면이 각각 마련되고, 경사면을 압입한 다리부는, 더욱 전진하여 이들의 평행면과 평행하게 늘어나서 접촉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일방 로크부재 및 타방 로크부재가 어떠한 힘을 받아서 다리부를 누르는 경우라도, 다리부는 일방 로크부재 및 타방 로크부재에 의해 움직여지는 일은 없고, 일방 로크부재 및 타방 로크부재의 프리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기둥재는 적어도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 있으면 되고, 상하 방향과 교차하여 늘어나는 경사재(斜材)라도 좋다. 또한 기둥재의 갯수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유소아 수용 공간이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의 플레이야드라면, 4모퉁이(角)에 각각 1개씩의 기둥재를 갖는다. 또는 육각형 등, 평면에서 보아 다각형의 플레이야드라면, 각 모퉁이(角)에 각각 1개씩의 기둥재를 가져도 좋다. 2개 이상의 기둥재를 서로 연결하는 가로재는, 적어도 수평 방향으로 늘어나 있으면 되고, 수평 방향과 교차하여 늘어나는 경사재라도 좋다. 즉 프레임 구조체의 개략 형상은, 평면에서 보았을때 특히 한정되지 않고,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 등의 4각형이면 좋다. 또는 정육각형이나 정팔각형 등 짝수개의 모서리부를 갖는 정다각형이라도 좋다. 또는 정육각형이나 정팔각형중 대향하는 2변을 다른 변보다도 길게 늘린 등각 다각형이라도 좋다. 단적으로 표현하면, 프레임 구조체는 평면에서 보았을때 4각형 또는 짝수개의 모서리부를 갖는 등각 다각형을 구성한다. 한 실시 형태로서, 유소아 수용 공간은 평면에서 보았을때 4각형을 구성하고, 기둥재는 4각형의 모서리부에 각각 배치되고, 가로재는 평면에서 보았을때 서로 평행한 2개1쌍의 4각형의 변을 구성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중간 정도에서 꺾임 변형 가능한 가로재가, 평면에서 보았을때 직사각형?정사각형 등 4각형의 유소아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구조체의 가로재 중, 2개1쌍의 4각형의 변을 구성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절첩할 때에는 효율적으로 꺾임 변형시켜서, 프레임 구조체를 가로재의 길이 방향으로 축소할 수 있다. 즉 가로재는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4각형의 프레임 구조체에서는, 단변끼리를 효율적으로 꺾임 변형시킬 수 있고, 프레임 구조체를 단변 방향으로 축소시킬 수 있다. 또는 장변끼리를 효율적으로 꺾임 변형시킬 수 있고, 프레임 구조체를 장변 방향으로 축소시킬 수 있다. 또는 단변 및 장변의 전부를 꺾임 변형시킬 수 있고, 프레임 구조체를 단변 방향 및 장변 방향으로 축소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정다각형의 프레임 구조체에서는,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는 2변1쌍의 가로재를 효율적으로 꺾임 변형시킬 수 있고, 프레임 구조체를 이들 2변의 연재방향으로 축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중간 정도에서 꺾임 변형 가능한 가로재는 상술한 배치로 한정되지 않고, 평면에서 보았을때 프레임 구조체의 모든 가로재에 배치되어도 좋고, 모든 가로재 중의 몇개의 가로재에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이러한 실시 형태 외에도, 프레임 구조체는 정오각형이나 정칠각형 등 홀수개의 모서리부를 갖는 정다각형으로서, 가로재가 모든 변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길이 방향 일방 부재와 중앙 연결 부재를 상대 회동 불능으로 하는 일방 로크기구와, 길이 방향 타방 부재와 중앙 연결 부재를 상대 회동 불능으로 하는 타방 로크기구와, 이들 쌍방의 로크기구를 동시에 해제하여 쌍방의 로크 해제를 유지하는 로크 동작기구를 갖기 때문에, 유소아의 보호자가 로크 동작기구를 해제 조작하면, 일방측 로크기구도 타방측 로크기구도 확실하게 로크 해제된다. 이에 의해, 플레이야드가 전개된 사용 상태에서는 가로재가 불의에 절첩되지 않도록 로크된다. 따라서 플레이야드의 사용 상태에서는 가로재가 꺾임 변형하는 일이 없고, 프레임 구조체는 사용 상태에서의 플레이야드의 골조의 역할을 확실하게 다한다. 그리고 복수개의 가로재를 동시에 꺾임 변형시키는 작업을 수반하는 플레이야드의 절첩 조작에 즈음하여, 일방측 로크기구를 로크 해제하면 타방측 로크기구도 확실하게 로크 해제된다. 따라서 유소아의 보호자가 플레이야드의 절첩 조작을 용이?신속?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가 되는 플레이야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동 실시예의 플레이야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3은 동 실시예의 플레이야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동 실시예의 플레이야드를 도시하는 하면도.
도 5는 동 실시예의 플레이야드의 절첩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
도 6은 동 실시예의 플레이야드의 절첩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 7은 동 실시예의 플레이야드의 절첩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하면도.
도 8은 록된 가로재의 중앙부를 취출하여 도시하는 평면도.
도 9는 록된 가로재의 중앙부를 취출하여 도시하는 정면도.
도 10은 도 8의 X-X에서의 단면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1은 도 8의 XI-XI에서의 단면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2는 중앙 연결 부재를 취출하여 도시하는 정면도.
도 13은 로크 해제된 가로재의 중앙부를 취출하여 도시하는 평면도.
도 14는 로크 해제된 가로재의 중앙부를 취출하여 도시하는 정면도.
도 15는 도 13의 XV-XV에서의 단면을 도시하는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도시하는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가 되는 플레이야드의 전체 개략을 도시한다. 이 중 도 1 내지 도 4는 플레이야드가 전개된 사용 상태를 나타내고, 도 5 내지 도 7은 플레이야드의 절첩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플레이야드(10)는, 플레이야드(10)의 골격을 구성하는 프레임 구조체(11)와, 프레임 구조체(11)에 부착되고 프레임 구조체(11)의 외주를 포위하는 포상(布狀)부재(12)와, 프레임 구조체(11)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봉(棒)부재(13)와, 봉부재(13)에 지지된 깔개판(敷板)(41)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플레이야드(10)는, 평면에서 보아 개략 직사각형이기 때문에, 편의상, 한 쌍의 장변 부분을 플레이야드 일방측, 플레이야드 타방측, 플레이야드 좌측, 플레이야드 우측, 플레이야드 측부, 플레이야드 양측부, 또는 플레이야드 좌우측부라고 칭한다. 또한 1쌍의 단변 부분을 플레이야드 일단부, 플레이야드 타단부, 플레이야드 전단부, 플레이야드 후단부, 플레이야드 단부, 플레이야드 양단부, 또는 플레이야드 전후단부라고 칭한다. 플레이야드(10)는, 유소아를 놀게 하는 울타리로서 사용할 수 있는 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소아를 눕히는 침대로서도 알맞게 사용 가능하다.
우선 프레임 구조체(11)에 관해 설명하면, 프레임 구조체(11)는 유소아를 수용하는 공간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4개의 기둥재(14)와, 플레이야드 양측부에 마련된 1쌍의 가로재(15L, 15R)와, 플레이야드 양단부에 마련된 1쌍의 가로재(16, 16)와, 평면에서 보았을때 대각선이 되도록 배치된 크로스 파이프(17)를 포함한다. 평면에서 보았을때, 복수의 기둥재(14)는 유소아를 수용하는 공간의 외주에 배치되고, 가로재(15L, 15R, 16)는 이웃하는 기둥재(14, 14)끼리를 서로 연결한다.
기둥재(14)는 평면에서 보았을때 직사각형이 되는 유소아 수용 공간의 네모퉁이의 모서리부에서 직립하도록 배치된다. 플레이야드 일단부에 배치된 2개의 기둥재(14, 14) 사이에는, 가로재(16)가 가설(架設)된다. 마찬가지로, 플레이야드 타단부에 배치된 2개의 기둥재(14, 14) 사이에도, 가로재(16)가 가설된다. 마찬가지로, 플레이야드 일방측에 배치된 2개의 기둥재(14, 14) 사이에는, 가로재(15R)가 가설된다. 구체적으로는, 가로재(16, 15R)의 단부는 기둥재(14)의 상단부 블록(14B)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플레이야드의 절첩시에는, 가로재(16, 15R)가 기둥재(14)에 근접하도록 회동 가능하다. 또한 가로재(16)는, 중앙부에 마련된 중앙 연결 부재(20)와, 중앙 연결 부재(20)로부터 길이 방향 한쪽으로 늘어나는 파이프(161)와, 중앙 연결 부재(20)로부터 길이 방향 다른쪽으로 늘어나는 파이프(162)로 구성된다. 파이프(161) 및 파이프(162)는 같은 길이의 봉부재이다.
또한 가로재(15R)는, 중앙부에 마련된 중앙 연결 부재(20)와, 중앙 연결 부재(20)로부터 길이 방향 한쪽으로 늘어나는 파이프(151)와, 중앙 연결 부재(20)로부터 길이 방향 다른쪽으로 늘어나는 파이프(152)로 구성된다. 파이프(151) 및 파이프(152)는 같은 길이의 봉부재이고, 파이프(161, 162)보다도 길다.
플레이야드 양단부에 마련된 2개1쌍의 가로재(16, 16)는 평면에서 보았을때 4각형이 되는 유소아 보호 공간의 2개1쌍의 단변을 구성한다. 플레이야드 양측부에 마련된 2개1쌍의 가로재(15L, 15R)는 유소아 보호 공간의 2개1쌍의 장변을 구성한다.
플레이야드의 사용 상태에서, 중앙 연결 부재(20)는 중앙 연결 부재(20)로부터 길이 방향 한쪽으로 늘어나는 파이프(161) 및 길이 방향 다른쪽으로 늘어나는 파이프(162)를 로크하고, 가로재(16)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직선으로 유지된다. 그러나 중앙 연결 부재(20)의 로크를 해제하면 가로재(16)가 중앙부에서 꺾임 변형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플레이야드(10)를 절첩하면 가로재(16)가 중앙부에서 꺾임 변형한다. 그리고 후술하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연결 부재(20)로부터 파이프(161, 162)가 상방으로 늘어나, 가로재(16)는 V자형상이 된다. 가로재(15R)도 마찬가지로 중앙 연결 부재(20)가 마련되고, 플레이야드의 사용 상태에서는 일직선이 되고, 플레이야드의 절첩 상태에서는 중앙부에서 꺾임 변형한다. 그리고 중앙 연결 부재(20)로부터 파이프(151, 152)가 상방으로 늘어나, 가로재(15R)는 V자형상이 된다.
가로재(15L)도 마찬가지로 중앙 연결 부재(20)가 마련되고, 플레이야드의 사용 상태에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직선으로 늘어나 있다. 그러나 플레이야드의 절첩 상태에서는 중앙부에서 꺾임 변형한다. 그리고 후술하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연결 부재(20)로부터 파이프(151, 152)가 상방으로 늘어나, 가로재(15L)는 V자형상이 된다.
또한, 복수개의 가로재 중 가로재(15L)만, 플레이야드 우측 2개소의 슬라이드 부재(18)를 통하여, 기둥재(14)에 회동 가능하면서 활주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드 부재(18)에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에 기둥재(14)가 관통하고, 1쌍의 슬라이드 부재(18)는 기둥재(14)를 따라서 활주 가능하다. 통상, 슬라이드 부재(18)는 멈춤개(留具)(19)로 활주 불능으로 되어 있고, 슬라이드 부재(18)가 플레이야드 우측에 배치된 1쌍의 기둥재(14)의 상단부에 각각 고정된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18)는 가로재(15L)의 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플레이야드의 절첩시에는 가로재(15L)가 기둥재(14)에 근접하도록 회동 가능하다. 또한, 가로재(15L)의 길이 방향 한쪽의 파이프(151)는 가로재(15R)의 길이 방향 한쪽의 파이프(151)보다도 슬라이드 부재(18)의 치수분만큼 단축된다. 마찬가지로 가로재(15L)의 길이 방향 다른쪽의 파이프(152)는 가로재(15R)의 길이 방향 다른쪽의 파이프(152)보다도 슬라이드 부재(18)의 치수분만큼 단축된다.
멈춤개(19)를 풀어서 1쌍의 슬라이드 부재(18)를 활주 가능하게 하면, 도 2에 화살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재(15L)는 1쌍의 슬라이드 부재(18)와 함께 하방으로 이동하고, 도 2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위치에 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플레이야드(10)에의 유소아의 출입이 용이해지고, 보호자는 플레이야드(10) 내의 유소아에게 간단히 손을 뻗을 수 있다. 또한 보호자가 보아 가로재(15L)는 4개의 가로재중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기 때문에, 앞테두리라고도 칭한다.
크로스 파이프(17)는, X자형상으로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플레이야드(10) 하면에서, 대각선상에 배치된다. 크로스 파이프(17)는, 구체적으로, X자의 중앙에 배치된 중앙 연결 부재(23)와, 중앙 연결 부재(23) 및 각 기둥재(14)와 연결하는 4개의 파이프(171 내지 174)로 구성된다. 파이프(171 내지 174)의 일방단은 기둥재(14)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또한 파이프(171 내지 174)의 타방단은 중앙 연결 부재(23)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도면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2 및 도 3에서는 중앙 연결 부재(23)의 일부를 단면으로 하여 나타낸다. 중앙 연결 부재(23)는, 4개의 파이프(171 내지 174)가 중앙 연결 부재(23)의 하방을 향하도록 회동하는 것을 허용하지만, 중앙 연결 부재(23)의 상방을 향하도록 회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플레이야드의 사용 상태에서 크로스 파이프(17)는 X자로 전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레이야드의 절첩 상태에서, 4개의 파이프(171 내지 174)는 중앙 연결 부재(23)의 하방에 집약되고, 크로스 파이프(17)는 작게 절첩된다.
플레이야드 타단에 배치된 2개의 기둥재(14, 14)의 하단에는, 차륜(21)과, 차륜(21)의 외주를 포위하는 차륜 커버(22)가 마련된다. 차륜(21)은 차륜 커버(22)의 하단으로부터 돌출하여 플레이야드 설치상면(設置床面)(S)에 접지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차륜 커버(22)중 플레이야드 내측의 일부(22s)는, 차륜 커버(22) 중 플레이야드 외측의 일부보다도 더욱 하방으로 돌출하여 플레이야드 설치상면(S)에 접지한다. 이 때문에, 플레이야드 설치상면(S)에 모든 기둥재(14)를 접지시키는 통상의 사용 상태에서는, 차륜(21)이 플레이야드 설치상면(S)에서 전동(轉動)하는 것이 저지된다.
그러나 플레이야드(10)를 사용하지 않을 때 등, 도 2 및 도 5의 지면(紙面) 좌측에 도시되는 플레이야드(10)의 일단부(A)를 들어올리면, 차륜 커버 돌출부(22s)가 설치상면(S)로부터 떨어지과 함께 차륜(21)이 설치상면(S)에 접지한다. 이 때문에, 전개된 상태 및 절첩 상태의 플레이야드(10)를 기울여, 플레이야드 일단부의 기둥재(14)를 저면(S)로부터 떼고, 플레이야드 타단부의 기둥재(14) 하단의 차륜(21)만을 접지시킴에 의해 용이하게 플레이야드(10)를 운반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가로재(15L, 15R, 16)는 중앙부에서 각각 꺾임 변형 가능하고, 크로스 파이프(17)는 중앙부에서 꺾임 변형 가능하고, 가로재(15L, 15R, 16) 및 크로스 파이프(17)의 단부는 기둥재(14)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때문에, 프레임 구조체(11)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전개된 사용 상태와, 도 6에 도시하는 절첩 상태의 2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다음에 포상부재(12)에 관해 설명하면, 포상부재(12)는 수㎜ 정도의 망목의 네트나, 천 등의 소재로 형성되고, 4개의 중심부재(14)의 사이의 4면에 각각 장설(張設)된다. 그리고 포상부재(12)의 상단은 가로재(15L, 15R, 16)에 매달린다. 또한 포상부재(12)의 하단은 크로스 파이프(17)와 개략 같은 높이 위치에 있다. 이에 의해 포상부재(12), 크로스 파이프(17)보다도 상방에 마련된 깔개판(41)을 확실하게 둘러싼다.
다음에 봉부재(13)에 관해 설명하면, 봉부재(13)는, 플레이야드 양측부에서 직선형상으로 늘어나는 1쌍의 봉형상체로서, 수평한 자세가 되어, 양단이 기둥재(14)에 부착된다. 봉부재(13)는, 도 2에 실선 및 2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둥재(14)의 하단부 및 중앙부에 선택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즉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각 기둥재(14)에는 높이 위치가 다른 2개의 브래킷(31, 32)이 부착 고정된다. 브래킷(31)은 기둥재의 하단 영역으로서 크로스 파이프(17)보다도 약간 상방에 고정된다. 브래킷(32)은, 크로스 파이프(17)의 중앙부에 고정된다. 브래킷(31, 32)은 봉부재(13)의 단부를 지지한다. 경질의 봉부재(13)는 유소아의 하중에 더하여 유소아가 활발하게 움직일 때의 충격 하중에도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굽힘 강도 및 전단 강도를 갖는 파이프이고, 양단부를 제외한 중앙 영역이 깔개판(41) 하면을 따라서 늘어나고, 양단부가 브래킷(31, 32)에 부착된다. 이에 의해 봉부재(13)는, 깔개판(41) 윗면에 실려지는 유소아를 안정하게 지지한다. 그리고 유소아가 깔개판상에서 활발하게 활동하여도, 가로재(15L, 15R, 16)가 꺾임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중앙 연결 부재(20) 및 파이프(151, 152)를 갖는 플레이야드 양측부의 가로재(15L, 15R)와, 중앙 연결 부재(20) 및 파이프(161, 162)를 갖는 플레이야드 양단부의 가로재(16, 16)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들의 가로재(15L, 15R, 16)는 파이프의 길이가 다른 것뿐이고, 중앙 연결 부재(20)에서의 꺾임 변형의 기구에 관해서는 전부 공통되기 때문에, 대표로서 가로재(16)에 관해 설명한다.
도 8은 가로재의 중앙부를 취출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중앙 연결 부재(20)를 단면으로 하여 나타낸다. 도 9는 가로재의 중앙부를 취출하여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지면 우측은 일부 단면으로 도시된다. 도 10은, 도 8의 X-X에서의 단면을 도시하는 설명도다. 도 11은, 도 8의 XI-XI에서의 단면을 도시하는 설명도다. 이들 도 8 내지 도 11은 전부 회동 불능으로 로크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는 중앙 연결 부재를 취출하여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가로재(16)는, 길이 방향 일방 부재가 되는 파이프(161)와, 길이 방향 타방 부재가 되는 파이프(162)와, 길이 방향 중앙부로서 이들 파이프(161) 및 파이프(162)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중앙 연결 부재(20)와, 파이프(161)와 중앙 연결 부재(20)를 상대 회동 불능으로 하는 일방 로크기구로서의 일방 로크부재(241)와, 파이프(162)와 중앙 연결 부재(20)를 상대 회동 불능으로 하는 타방 로크기구로서의 타방 로크부재(242)와, 이들 쌍방의 로크기구를 동시에 해제하여 쌍방의 로크 해제를 유지하는 로크 동작기구로서의 버튼(25)을 갖는다.
설명의 편리를 위해, 중앙 연결 부재(20)에서 보아 파이프(161)를 좌방으로 하고, 파이프(162)를 우방으로 하여, 이하, 좌우방향이라고 칭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연결 부재(20)는 좌우방향 중앙을 통과하는 중심선(C)에 관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고, 파이프(161) 및 파이프(162) 중심선(C)에 관해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이프(161)의 양단중, 길이 방향 중앙측의 단부는 연결축(261)을 통하여 중앙 연결 부재(20)의 일방단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또한 파이프(162)의 양단중, 길이 방향 중앙측의 단부는 연결축(262)을 통하여 중앙 연결 부재(20)의 타방단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중앙 연결 부재(20)는 간격을 수반하고 대향하는 1쌍의 벽부(201, 202)를 갖는다. 이들 벽부(201, 202)에는, 연결축(261, 262)이 가설된다. 또한 도 9에 도시하지 않은 파이프(161, 162)의 타방단부는, 기둥재(14)의 상단부 블록(14B)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중앙 연결 부재(20)는 중간 벽부(203)를 또한 가지며, 중간 벽부(203)는 1쌍의 벽부(201, 202)의 상단과 각각 결합한다. 도 10 및 도 11의 단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벽부(201 내지 203)는 단면으로 보아 ㄷ자형상으로 배치된다.
수평 방향으로 늘어나는 파이프(161)는 연결축(261)보다도 단부측에서 벽부(203)와 맞닿음으로써, 중앙 연결 부재(20)보다도 하방으로의 회동이 규제된다. 이에 대해, 파이프(161)는 중앙 연결 부재(20)보다도 상방으로의 회동이 허용된다. 그러나 파이프(161)는, 연결축(261)보다도 단부측에서 일방 로크부재(241)와 계합하고 있는 동안은 상방으로의 회동도 규제되고, 이에 의해 파이프(161)는 중앙 연결 부재(20)에 대해 상대 회동 불능으로 로크된다.
수평 방향으로 늘어나는 파이프(162)도 연결축(262)보다도 단부측에서 벽부(203)와 맞닿음으로써, 중앙 연결 부재(20)보다도 하방으로의 회동이 규제된다. 이에 대해, 파이프(162)는 중앙 연결 부재(20)보다도 상방으로의 회동이 허용된다. 그러나 파이프(162)는, 연결축(262)보다도 단부측에서 타방 로크부재(242)와 계합하고 있는 동안은 상방으로의 회동도 규제되고, 이에 의해 파이프(162)는 중앙 연결 부재(20)에 대해 상대 회동 불능으로 로크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연결 부재(20)는 서로 평행하게 늘어나는 연결축(261, 262)에서 보아 하방으로 삐져나와 있고, 이들의 연결축(261, 262)을 포함하는 가상 평면보다도 하방에 로크부재(241, 242)가 부착된다.
여기서 부언하면, 서로 평행하게 늘어나는 연결축(261, 262)은 중앙 연결 부재(20)의 중앙을 통과하는 가상의 중심면에 관해 좌우 대칭형상이면서 좌우 대칭 배치가 된다. 이들의 중심면은 도 8, 도 9, 도 12, 및 후술하는 도 13, 도 14에서 중심선(C)으로 표시된다.
4개의 가로재(15L, 16, 15R, 16)에 의해 사방이 포위되는 유소아 수용 영역을 플레이야드 내측으로 하고, 유소아 수용 영역의 밖을 플레이야드 외측으로 하여, 벽부(202)는 플레이야드 내측에 배치되고, 벽부(201)는 플레이야드 외측에 배치된다.
벽부(201)의 내외 양면중 벽부(202)로부터 먼 측의 외측면에는, 센터 로크 커버(30)가 부착 고정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센터 로크 커버(30)는 정면으로 보아 타원형상이고, 도 8, 도 10,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연으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외측으로 팽창한 입체적 형상이다. 센터 로크 커버(30)의 중앙에는 센터 구멍(30h)이 형성된다. 센터 구멍(30h)은 벽부(201)의 수직 방향으로 늘어나, 버튼(25)을 수용한다. 플레이야드(10)의 사용 상태에서 버튼(25)은 통상, 도 8, 도 10,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벽부(201)로부터 떨어진 원위치(原位置)로 되어 있다. 버튼(25)에는 벽부(202)를 향하여 돌출하는 다리부(251, 252)가 마련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리부(251, 252)는 좌우방향 중앙을 통과하는 중심선(C)에 관해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고, 다리부(251, 252) 선단이, 벽부(201)에 천공된 1쌍의 관통구멍(20c)을 각각 관통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방향 중앙을 통과하는 중심선(C)을 경계로 하여, 일방 로크기구에 포함되는 일방 로크부재(241)는 좌측에 배치되고, 타방 로크기구에 포함되는 타방 로크부재(242)는 우측에 배치되고, 양자(241, 242)의 형상은 중앙 연결 부재(20)의 중앙을 통과하는 가상의 중심면에 관해 좌우 대칭형상이면서 좌우 대칭 배치가 된다. 그래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이하, 주로 타방 로크부재(242)에 관해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방 로크부재(242)는, 1쌍의 벽부(201, 202)의 사이에 개재한다. 그리고, 좌우방향 중앙의 중심선(C)상에 맞추어서 원형 단면의 관통구멍(244)이 형성된다. 관통구멍(244)은, 마찬가지로 형성된 일방 로크부재(242)의 관통구멍(243)과 정렬하고, 이들 관통구멍(243, 244)을, 공통되는 1개의 연결핀(27)이 관통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벽부(201, 202)에는 좌우방향 중앙의 중심선(C)상에 1쌍의 긴 구멍(20a)이 천공된다. 도 9에 도시하는 정면으로 보아 1쌍의 긴 구멍(20a)은 동일 형상, 동일 치수, 동일 위치에 있고,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 연결핀(27)의 양단과 각각 계합한다. 이에 의해 연결핀(27)은 긴 구멍(20a)에 안내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긴 구멍(20a)은 연결핀(27)의 연재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늘어나기 때문에, 연결핀(27)은 중심선(C)을 따라서 핀 연재방향과 직각으로 이동한다.
타방 로크부재(242)중 중심선(C)으로부터 가장 먼 하단부에는, 단면 원형의 타방 지지핀(246)의 중앙 영역이 고정된다. 그리고 타방 지지핀(246)의 양단이 벽부(201, 202)를 향하여 각각 돌출하고, 중심선(C)보다도 우측에서 벽부(201, 202)에 각각 천공되어 좌우방향으로 늘어나는 1쌍의 긴 구멍(20b)과 계합한다. 도 9에 도시하는 정면으로 보아 1쌍의 긴 구멍(20b)은 동일 형상, 동일 치수, 동일 위치에 있기 때문에, 타방 지지핀(246)는 우측의 긴 구멍(20b)에 안내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벽부(201, 202)중 중심선(C)보다도 좌측에도 1쌍의 긴 구멍(20b)이 천공된다. 또한 타방 지지핀(246)과 마찬가지로, 일방 로크부재(241)에 일방 지지핀(245)이 고정되고, 일방 지지핀(245)은 중심선(C)보다도 좌측의 긴 구멍(20b)에 안내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벽부(201, 202)에는 중심선(C)을 따라서 1쌍의 긴 구멍(20a)이 천공되고, 중심선(C)에 관해 좌우 대칭으로 2쌍의 긴 구멍(20b)이 천공된다. 또한 벽부(201)에는 중심선(C)에 관해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 1쌍의 관통구멍(20c)이 천공된다. 이 밖에, 벽부(201, 202)에는 연결축(261)이 삽통 고정되는 1쌍의 관통구멍(261h)과, 연결축(262)이 삽통 고정되는 1쌍의 관통구멍(262h)이 천공된다. 관통구멍(261h)과 관통구멍(262h)은 중심선(C)에 관해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다.
타방 로크부재(242)중 타방 지지핀(246) 및 연결핀(27)의 쌍방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는 경사면(282)이 형성된다. 경사면(282)은 타방 로크부재(242)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연결핀(27) 및 타방 지지핀(246)의 연재방향에 대해 경사하고,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벽부(201) 근처에 지향한다. 경사면(282)의 경사는, 가장 벽부(201) 근처의 부위에서 가장 하측에 있고, 벽부(202)에 근접함에 따라 서서히 상방을 향한다.
경사면(282)은 타방 로크부재(242)중 벽부(201) 근처에 형성된다. 이에 대해 타방 로크부재(242)중 벽부(202) 근처에는, 연결핀(27) 및 타방 지지핀(246)의 축선과 평행한 면(284)이 형성된다. 평행면(284) 및 경사면(282)은 연결핀(27) 및 타방 지지핀(246)의 축선 방향에 연속하여 형성된다.
또한 경사면(282)은, 버튼(25)으로부터 돌출하여 벽부(202)를 향하여 늘어나는 다리부(252)의 선단과 근접한다. 다리부(252)의 선단의 하단측에는, 경사면(282)과 대응하도록 노치하여 형성된 다리부 경사면(252c)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일방 로크부재(241)에는 경사면(281) 및 평행면(283)이 형성되고, 경사면(281)은 다리부(251)의 선단에 형성된 다리부 경사면(251c)과 근접한다.
타방 로크부재(242)중 타방 지지핀(246) 및 연결핀(27)의 쌍방에서 가장 떨어진 위치에는 상향으로 돌출하는 계합 돌기(292)가 형성된다. 계합 돌기(292)는 타방 로크부재(242)의 상연(上緣)중 중심선(C)으로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 즉 파이프(162)의 부근에 있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합 돌기(292)의 선단이 파이프(162)의 외주면이과 대응하는 원호형상의 요곡면이 된다. 따라서 계합 돌기(292)의 선단 형상은 벽부(201) 근처의 부위 및 벽부(202) 근처의 부위가 벽부(201, 202)의 중간의 부위보다도 상향으로 돌출한다.
타방 로크부재(242)의 로크 위치에서, 연결핀(27)은 긴 구멍(20a) 상단이 되고, 타방 지지핀(246)은 긴 구멍(20b) 중 중심선(C)에 가까운 쪽의 단이 되고, 타방 로크부재(242)의 계합 돌기(292)는, 하방에서 파이프(162)의 외주면을 계합 지지한다. 이에 의해 파이프(162)는 연결축(262) 주위의 회동이 불능으로 된다.
마찬가지로 일방 로크부재(241)의 계합 돌기(291)는, 하방에서 파이프(161)의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계합한다. 이에 의해 파이프(161)는 연결축(261) 주위의 상대 회동이 불능으로 된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타방 로크부재(242)의 로크 위치에서, 연결핀(27)은 긴 구멍(20a)의 상단에 위치하고, 타방 지지핀(246)은 긴 구멍(20b)중 중심선(C)에 가장 가까운 단에 위치한다. 그리고 다리부(252)는 벽부(202)로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에 있다. 또한 도 8 및 도 10에 도시하는 일방 로크부재(241) 및 타방 로크부재(242)의 로크 위치에서, 2개의 로크부재(241, 242)를 동시에 동작시키는 조작자인 버튼(25)은, 벽부(201)로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에 된다. 그리고 다리부 경사면(252c)는 경사면(282)중 가장 벽부(201) 근처의 부위와 접촉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방 로크부재(241) 및 타방 로크부재(242)는, 중앙 연결 부재(20)에 각각 지지되고,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이프(161, 162)의 회동을 불능으로 하는 로크 위치에 된다. 또한 일방 로크부재(241) 및 타방 로크부재(242)는,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이프(161, 162)의 회동을 허용하는 프리 위치에 선택적으로 된다.
도 13은 로크 해제된 가로재의 중앙부를 취출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중앙 연결 부재(20)를 단면으로 하여 나타낸다. 도 14는 로크 해제된 가로재의 중앙부를 취출하여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지면 우측은 일부 단면으로 도시된다. 도 15는 도 13의 XIV-XIV에서의 단면을 도시하는 설명도다.
버튼(25)이 전술한 도 8,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벽부(201)로부터 격리한 원위치에 있을 때, 다리부(251)의 선단은 경사면(281)의 가장 벽부(201) 근처의 부위와 접촉함과 함께, 다리부(252)의 선단은 경사면(282)의 가장 벽부(201) 근처의 부위와 접촉한다.
2개의 로크부재(241, 242)를 동시에 동작시키는 공통의 조작자인 버튼(25)은 센터 구멍(30h) 내를 활주 가능하고, 벽부(201)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버튼(25)을 압입하면, 버튼(25)은 벽부(201)에 맞닿을 때까지 전진하고, 1쌍의 다리부(251, 252)를 통하여 일방 로크부재(241) 및 타방 로크부재(242)를 동시에 로크 위치로부터 프리 위치로 한다. 도 13 내지 도 15는 이들 로크부재(241, 242)의 프리 위치를 나타낸다. 일방 로크부재(241)는 프리 위치에서 중앙 연결 부재(20)에 대한 파이프(161)의 회동을 허용한다. 타방 로크부재(242)도 프리 위치에서 중앙 연결 부재(20)에 대한 파이프(162)의 회동을 허용한다.
구체적으로는, 버튼(25)이 압입 조작되고 벽부(201)를 향하여 전진하면, 다리부(251, 252)가 핀(245, 246, 27)의 축선 방향으로 전진하여 경사면(281, 282)을 각각 동시에 압입한다. 그러면 압입력을 받아서 로크부재(241, 242)는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연결핀(27)은 긴 구멍(20a)을 따라서 하방으로 이동하고, 지지핀(245, 246)은 긴 구멍(20b)을 따라서 중앙선(C)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로크부재(241, 242)는 이동하여 자세를 바꾼다.
버튼(25)이 벽부(201)에 인접하는 조작 위치까지 전진하면, 다리부(251, 252)는 경사면(281, 282)을 각각 하방으로 눌러서 후퇴시켜, 다리부(251, 252)의 선단이 벽부(202)에 달한다. 이에 의해 로크부재(242)는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하는 프리 위치에 되고, 로크부재(241)도 중심선(C)에 관해 좌우 대칭의 자세로 프리 위치에 된다. 이리하여 버튼(25)은, 원위치로부터 조작 위치에 조작됨에 의해 일방 로크부재(241) 및 타방 로크부재(242)를 로크 위치로부터 프리 위치에 동작시킨다.
타방 로크부재(242)의 프리 위치에서, 연결핀(27)은 긴 구멍(20a) 하단이 되고, 타방 지지핀(246)은 긴 구멍(20b) 중 중심선(C)으로부터 먼 쪽의 단이 되고, 계합 돌기(292)가 파이프(162)로부터 떨어져서 중심선(C)에 근접하도록 인입(引入)된다. 이에 의해 파이프(162)는 연결축(262) 주위에 회동 자유롭게 된다.
마찬가지로 일방 로크부재(241)의 계합 돌기(291)는, 파이프(161)로부터 떨어져서 중심선(C)에 근접하도록 인입된다. 이에 의해 파이프(161)는 연결축(261) 주위에 회동 자유롭게 된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방 로크부재(242)의 프리 위치에서, 다리부(252)는 경사면(282)와 접촉하지 않는다. 그리고 다리부(252)는 평행면(284)과 평행하게 늘어나, 평행면(284)에서의 벽부(201)측부터 벽부(202)측까지 연속하여 접촉한다. 따라서 타방 로크부재(242)가 어떠한 힘을 받아서 다리부(252)를 상방으로 누르는 경우라도, 다리부(252)는 타방 로크부재(242)에 의해 움직여지는 일은 없고, 타방 로크부재(242)의 프리 위치를 유지한다. 마찬가지로 다리부(251)는 일방 로크부재(241)의 프리 위치를 유지한다. 이에 의해 버튼(25)은 로크 해제를 유지한다.
또한, 로크 동작기구는 조작자인 버튼(25)을 원위치에 복귀시키는 리턴 스프링을 또한 포함하여도 좋다. 이들의 리턴 스프링은 벽부(201)와 버튼(25)의 사이에 개삽(介揷)되어, 버튼(25)을 벽부(201)로부터 떨어지도록 가세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가로재(16)가 길이 방향 한쪽으로 늘어나는 파이프(161)와, 길이 방향 다른쪽으로 늘어나는 파이프(162)와, 길이 방향 중앙부로서 이들 파이프(161) 및 파이프(162)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중앙 연결 부재(20)와, 파이프(161)와 중앙 연결 부재(20)를 회동 불능으로 하는 일방 로크기구로서의 일방 로크부재(241)와, 파이프(162)와 중앙 연결 부재(20)를 회동 불능으로 하는 타방 로크기구로서의 타방 로크부재(242)와, 이들 쌍방의 로크기구를 동시에 해제하여 쌍방의 로크 해제를 유지하는 로크 동작기구로서의 버튼(25)을 갖는다. 또한 가로재(15L, 15R)도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이에 의해, 플레이야드(10)를 절첩할 때에 유소아의 보호자가 로크 동작기구를 조작하면, 일방 로크기구도 타방 로크기구도 확실하게 로크 해제된다. 이 결과, 플레이야드가 절첩 작업중에, 한쪽의 파이프(161)가 회동 자유롭게 되지만 다른쪽의 파이프(162)가 회동 불능인 채여서, 절첩 작업이 복잡해진다는 부적합함이 해소된다. 따라서 보호자는 플레이야드(10)의 절첩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로크 동작기구로서, 일방 로크부재(241) 및 타방 로크부재(242)를 동시에 로크 위치로부터 프리 위치로 하는 공통의 조작자로서의 버튼(25)을 포함하기 때문에, 간이한 버튼 조작에 의해, 2개의 로크부재(241, 242)는 확실하게 로크 해제된다. 따라서 로크 동작기구를 알맞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조작자로서의 버튼(25)이 원위치로부터 조작 위치에 조작됨에 의해 일방 로크부재(241) 및 타방 로크부재(242)를 로크 위치로부터 프리 위치에 동작시키는 본 실시예에 의하면, 로크 동작기구는 버튼(25)을 원위치에 복귀시키는 리턴 스프링을 또한 포함하여 좋다. 이 결과, 버튼(25)을 압입하지 않는 한, 로크부재(241, 242)가 로크 위치에 되고, 따라서 파이프(161, 162)의 로크가 불의에 해제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일방 로크부재(241) 및 타방 로크부재(242)는, 관통구멍(243, 244)이 각각 형성되고, 이들의 관통구멍(243, 244)을 공통되는 1개의 연결핀(27)이 관통하고, 중앙 연결 부재(20)는 연결핀(27)의 양단과 계합하는 중앙 안내부로서 긴 구멍(20a)이 형성되고, 연결핀(27)은 긴 구멍(20a)을 따라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일방 로크부재(241) 및 타방 로크부재(242)가 핀(27)으로 연결되어 연동할 수 있다. 따라서 로크 동작기구로서, 쌍방의 로크기구를 동시에 해제하는 구조를 알맞게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일방 로크부재(241)는 중앙 연결 부재(20)의 좌방에 배치되고, 타방 로크부재(242)는 중앙 연결 부재(20)의 우방에 배치되고, 중앙 연결 부재(20)의 중앙을 통과하는 가상의 중심면(중심선(C))에 관해 이들 일방 로크부재(241) 및 타방 로크부재(242)는 대칭형상이면서 대칭 배치되고, 연결핀(27)은 중심선(C)을 따라서 핀 연재방향과 직각으로 상하 이동한다. 이에 의해, 쌍방의 로크부재(241, 242)가 중심선(C)에 관해 대칭으로 거동하여, 쌍방의 로크부재(241, 242)를 동시에 해제하는 구조를 알맞게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일방 로크부재(241)는 연결핀(27)과 평행하게 늘어나는 일방 지지핀(245) 및 일방 지지핀(245)의 연재방향에 대해 경사하는 경사면(281)이 마련된다. 마찬가지로 타방 로크부재(242)는 연결핀(27)과 평행하게 늘어나는 타방 지지핀(246) 및 타방 지지핀(246)의 연재방향에 대해 경사하는 경사면(282)이 마련된다. 중앙 연결 부재(20)는 중심면(중심선(C))에 관해 좌방 및 우방에 대칭 배치되는 대칭형상의 좌방안내부 및 우방안내부가 되는 긴 구멍(20b)이 형성된다. 좌방의 긴 구멍(20b)은 일방 지지핀(245)의 양단과 계합하여, 일방 지지핀(245)을 핀 연재방향과 직각으로 안내하고, 우방의 긴 구멍(20b)은 타방 지지핀(246)의 양단과 계합하여, 타방 지지핀(246)을 핀 연재방향과 직각으로 안내한다. 버튼(25)은 경사면(281, 282)에 각각 맞닿는 1쌍의 다리부(251, 252)를 가지며, 버튼(25)이 조작됨에 의해, 다리부(251, 252)가 지지핀(245, 246)의 연재방향으로 전진하여 경사면(281, 282)을 동시에 압입하여 일방 로크부재(241) 및 타방 로크부재(242)를 움직인다.
이에 의해, 쌍방의 로크부재(241, 242)가 중심면(중심선(C))에 관해 대칭으로 거동하기 때문에, 쌍방의 로크기구를 동시에 해제하는 구조를 알맞게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버튼의 다리부가 지지핀(245, 246)의 연재방향으로 전진하여 일방 로크부재의 경사면(281) 및 타방 로크부재의 경사면(282)을 동시에 압입한다. 따라서 버튼(25)의 핀 연재방향의 전진을 로크부재(241, 242)의 핀 직각 방향의 움직임으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버튼(25)의 조작에 의해 확실하게 로크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일방 로크부재(241) 및 타방 로크부재(242)는, 경사면(281, 282)에 인접하여 연결핀(27)과 평행한 면(283, 284)이 각각 마련되고, 경사면(281, 282)을 압입한 다리부(251, 252)는, 더욱 전진하여 이들의 평행면(283, 284)과 평행하게 늘어나서 접촉한다. 이에 의해, 로크부재(241, 242)가 어떠한 힘을 받아서 다리부(251, 252)를 상방에 누르는 경우라도, 다리부(251, 252)는 로크부재(241, 242)에 의해 움직여지는 일은 없고, 로크부재(241, 242)의 프리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유소아를 수용하는 공간은 평면에서 보았을때 4각형을 구성하고, 기둥재(14)는, 이 4각형의 모서리부에 각각 배치되고, 중간 정도에서 꺾임 변형 가능한 가로재(15L, 15R)는 서로 평행한 2개1쌍의 4각형의 변을 구성하도록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2개의 가로재(16)도 서로 평행한 2개1쌍의 4각형의 변을 구성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의해, 절첩할 때에는 가로재(15L, 15R)를 효율적으로 꺾임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2개의 가로재(16)를 효율적으로 꺾임 변형시킬 수 있다.
즉, 4각형의 프레임 구조체(11)에 있어서 단변의 가로재(16, 16)는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단변끼리를 꺾임 변형시킬 수 있고, 프레임 구조체(11)를 단변 방향으로 축소시킬 수 있다. 또는 장변의 가로재(15L, 15R)는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장변끼리를 꺾임 변형시킬 수 있고, 프레임 구조체를 장변 방향으로 축소시킬 수 있다. 또는 단변 및 장변의 전부를 꺾임 변형시킬 수 있고, 프레임 구조체(11)를 단변 방향 및 장변 방향으로 축소시킬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도시한 실시의 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본 발명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또는 균등한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의 수정이나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이 되는 플레이야드는, 육아용 가구 내지 육아용 기구에서 유리하게 이용된다.
10 : 플레이야드 11 : 프레임 구조체
12 : 포상부재 13 : 봉부재
14 : 기둥재 15L : 가로재(앞테두리)
15R, 16 : 가로재 17 : 크로스 파이프
18 : 슬라이드 부재 19 : 멈춤개
20 : 중앙 연결 부재 20a, 20b : 긴 구멍
20c : 관통구멍 201, 202, 203 : 벽부
21 : 차륜 22 : 차륜 커버
23 : 중앙 연결 부재 241 : 일방 로크부재
242 : 타방 로크부재 243, 244 : 관통구멍
245 : 일방 지지핀 246 : 타방 지지핀
25 : 버튼 241, 252 : 다리부
261, 262 : 연결축 27 : 연결핀
281, 282 : 경사면 283, 284 : 평행면
291, 292 : 계합 돌기 30 : 센터 로크 커버
31, 32 : 브래킷 41 : 깔개판
42 : 포제 통형상 부재 51 : 제 1 벽판
52 : 제 2 벽판 53 : 제 3 벽판
54 : 제 4 벽판 S : 플레이야드 설치상면

Claims (8)

  1. 복수의 기둥재, 및 상기 기둥재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가로재를 가지며, 유소아를 수용하는 공간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절첩 가능한 프레임 구조체를 구비하고,
    상기 가로재 중 적어도 일부는, 중간 정도에서 꺾임 변형 가능하고, 길이 방향 일방 부재와, 길이 방향 타방 부재와, 길이 방향 중앙부로서 이들 길이 방향 일방 부재 및 길이 방향 타방 부재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중앙 연결 부재와, 상기 길이 방향 일방 부재와 상기 중앙 연결 부재를 회동 불능으로 하는 일방 로크기구와, 상기 길이 방향 타방 부재와 상기 중앙 연결 부재를 회동 불능으로 하는 타방 로크기구와, 이들 쌍방의 로크기구를 동시에 해제하여 쌍방의 로크 해제를 유지하는 로크 동작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야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 로크기구는, 상기 중앙 연결 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길이 방향 일방 부재의 회동을 불능으로 하는 로크 위치 및 상기 길이 방향 일방 부재의 회동을 허용하는 프리 위치에 선택적으로 되는 일방 로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타방 로크기구는, 상기 중앙 연결 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길이 방향 타방 부재의 회동을 불능으로 하는 로크 위치 및 상기 길이 방향 타방 부재의 회동을 허용하는 프리 위치에 선택적으로 되는 타방 로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로크 동작기구는, 상기 일방 로크부재 및 상기 타방 로크부재를 동시에 로크 위치로부터 프리 위치로 하는 공통의 조작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야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자는, 원위치로부터 조작 위치에 조작됨에 의해 상기 일방 로크부재 및 상기 타방 로크부재를 로크 위치로부터 프리 위치에 동작시키고,
    상기 로크 동작기구는, 상기 조작자를 상기 원위치에 복귀시키는 리턴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야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 로크부재 및 상기 타방 로크부재는, 관통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이들의 관통구멍을 공통되는 1개의 연결핀이 관통하고,
    상기 중앙 연결 부재는 상기 연결핀의 양단과 계합하는 중앙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핀은 상기 중앙 안내부를 따라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야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 로크부재는 상기 중앙 연결 부재의 한쪽에 배치되고, 상기 타방 로크부재는 상기 중앙 연결 부재의 다른쪽에 배치되고, 중앙 연결 부재의 중앙을 통과하는 가상의 중심면에 관해 이들 일방 로크부재 및 타방 로크부재는 대칭형상이면서 대칭 배치되고,
    상기 연결핀은 상기 중심면을 따라서 핀 연재방향과 직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야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 로크부재는 상기 연결핀과 평행하게 늘어나는 일방 지지핀 및 상기 일방 지지핀의 연재방향에 대해 경사하는 경사면이 마련되고,
    상기 타방 로크부재는 상기 연결핀과 평행하게 늘어나는 타방 지지핀 및 상기 타방 지지핀의 연재방향에 대해 경사하는 경사면이 마련되고,
    상기 중앙 연결 부재는 상기 중심면에 관해 한쪽 및 다른쪽에 대칭 배치되는 대칭형상의 일방 안내부 및 타방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일방 안내부는 상기 일방 지지핀의 양단과 계합하여, 일방 지지핀을 핀 연재방향과 직각으로 안내하고,
    상기 타방 안내부는 상기 타방 지지핀의 양단과 계합하여, 타방 지지핀을 핀 연재방향과 직각으로 안내하고,
    상기 조작자는 상기 경사면에 각각 맞닿는 1쌍의 다리부를 가지며, 상기 조작자가 조작됨에 의해, 상기 다리부가 상기 지지핀의 연재방향으로 전진하여 상기 경사면을 동시에 압입하여 상기 일방 로크부재 및 상기 타방 로크부재를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야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 로크부재 및 상기 타방 로크부재는, 상기 경사면에 인접하여 상기 연결핀과 평행한 면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경사면을 압입한 상기 다리부는, 더욱 전진하여 상기 평행면과 평행하게 늘어나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야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소아 수용 공간은 평면에서 보았을때 4각형을 구성하고,
    상기 기둥재는, 상기 4각형의 모서리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중간 정도에서 꺾임 변형 가능한 가로재는, 서로 평행한 2개1쌍의 4각형의 변을 구성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야드.
KR1020110101546A 2010-12-14 2011-10-06 플레이야드 KR201200665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78039A JP2012125336A (ja) 2010-12-14 2010-12-14 プレイヤード
JPJP-P-2010-278039 2010-12-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577A true KR20120066577A (ko) 2012-06-22

Family

ID=46198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546A KR20120066577A (ko) 2010-12-14 2011-10-06 플레이야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145982A1 (ko)
JP (1) JP2012125336A (ko)
KR (1) KR20120066577A (ko)
CN (1) CN102551422A (ko)
TW (1) TW20122348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66705A1 (en) * 2014-09-05 2016-03-10 Goodbaby Child Product Co., Ltd. Breathable And Light Weight Play Yards And Mattress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5427A (en) * 1995-11-28 1997-04-01 Huang; Li-Chu C. Foldable playyard
US6018846A (en) * 1997-11-13 2000-02-01 Huang; Sieno Tsung-Ming Safety hinge mechanism for foldable play yard
GB2363425B (en) * 2000-06-15 2004-07-14 Kenny Cheng Foldable mechanism for playyard
CN2549837Y (zh) * 2002-06-18 2003-05-14 郑钦明 婴儿床扶手组收合机构
GB2393489B (en) * 2002-09-26 2005-07-13 Cheng Kenny Foldable mechanism for playyard
CN201160703Y (zh) * 2008-02-29 2008-12-10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可折叠的游戏围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23484A (en) 2012-06-16
JP2012125336A (ja) 2012-07-05
CN102551422A (zh) 2012-07-11
US20120145982A1 (en) 201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9932B2 (en) Child play enclosure frame
GB2463982A (en) Stroller connectable with a car seat
KR101851556B1 (ko) 절첩식 책상
KR20130038272A (ko) 폴딩 테이블 프레임
CN114732249A (zh) 可收合的儿童床
TWI656856B (zh) 承載裝置
KR20120066577A (ko) 플레이야드
KR102370475B1 (ko) 안전수단을 구비한 절첩식 침대
JP3732787B2 (ja) 育児器具
JP3802635B2 (ja) 中折式構造体
KR20120066578A (ko) 플레이야드
CN209950625U (zh) 一种折叠桌
CN209750497U (zh) 一种带升降功能的儿童子母床
JP3209233U (ja) ベッドガード
KR101565301B1 (ko) 테이블용 다리장치
KR200492926Y1 (ko) 실외 유모차의 구조
TW201331482A (zh) 床之骨架結構及該骨架收折與展開方法
CN216020206U (zh) 一种婴儿床扶手结构以及设有该扶手结构的婴儿床
CN215915494U (zh) 一种折叠机构及护理台
CN216628066U (zh) 一种儿童床
KR20190000377U (ko) 카트
JP7422422B2 (ja) 車椅子の支持構造および車椅子
US20220153330A1 (en) Armrest folding mechanism and baby carriage
TWI814444B (zh) 嬰兒床
JPH10192100A (ja) 折畳み式多連結ベ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