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6060A - 노드 및 그것에 이용하는 감시 관리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하는 전송 시스템, 입력 회로, 출력 회로 - Google Patents

노드 및 그것에 이용하는 감시 관리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하는 전송 시스템, 입력 회로, 출력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6060A
KR20120066060A KR1020127011506A KR20127011506A KR20120066060A KR 20120066060 A KR20120066060 A KR 20120066060A KR 1020127011506 A KR1020127011506 A KR 1020127011506A KR 20127011506 A KR20127011506 A KR 20127011506A KR 20120066060 A KR20120066060 A KR 20120066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am frame
node
oam
tt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1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4369B1 (ko
Inventor
젠롱 쿠이
히로유끼 다까기
마사끼 우마야바시
가즈오 다까기
아끼라 사꾸라이
히로시 다나까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66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6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04L43/0817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by checking func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0Active monitoring, e.g. heartbeat, ping or trace-rou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5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using label swapping, e.g. multi-protocol label switch [MP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8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timing considerations
    • H04L47/286Time to li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30Peripheral units, e.g. input or output 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55Prevention, detection or correction of errors
    • H04L49/555Error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OAM 프레임을 출력 라인 카드에서 처리 가능한 노드(전송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노드는, MPLS(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망을 구성하는 노드로서, TTL(Time To Live)을 갖는 OAM(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프레임을 노드의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입력부와, OAM 프레임을 노드의 외부로 송신하는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부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OAM 프레임이 나타내는 종단처가 자기 노드이며, 또한, 상기 수신한 OAM 프레임을 상기 출력부로 송신하는 경우, 상기 TTL을 특정한 값으로 하여 상기 수신한 OAM 프레임의 상기 출력부로의 송신을 행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송신된 OAM 프레임을 종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노드 및 그것에 이용하는 감시 관리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하는 전송 시스템, 입력 회로, 출력 회로{NODE, MONITORING AND ADMINISTRATION METHOD USED THEREUPON, AND TRANSFER SYSTEM, INPUT CIRCUIT, AND OUTPUT CIRCUIT USING SAME}
본 발명은 노드 및 그것에 이용하는 감시 관리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하는 전송 시스템, 입력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킷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감시 관리 기술, 보다 상세하게는 라벨 스위칭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커넥션의 확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저 트래픽을 캐리어망 내의 엣지 장치 간에서 전송하는 구조로서,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를 이용한 라벨 스위치 방식이 일반화되어 있다.
MPLS에서는, 각 중계 장치가 패킷에 부가된 「라벨」이라고 불리는 식별자를 이용하여 포워딩을 행한다. 이 라벨이 부가된 패킷의 통로를 LSP(Label Switched Path)라고 부른다.
LSP의 입구에 있는 LER(라벨 엣지 라우터)에 패킷이 도달하면, 패킷 내의 경로 정보에 라벨을 부가하여, LSR(라벨 스위칭 라우터)로 전송한다. LSR은, 입력 패킷의 라벨을 보고, 어느 출력 포트로 전송해야 하는지를 판단하여 패킷을 보낸다. 네트워크의 출구에 있는 LER은, 도착한 패킷으로부터 라벨을 제거하고, 네트워크의 외부로 전송한다.
캐리어망 내의 엣지 장치 간에 개설된 LSP에 있어서의 경로 진단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하는 비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이 존재한다. 비특허 문헌 1의 4.2.1절과 4.2.2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되는 경로 진단 기술은, 경로 진단을 행하는 LSP에 대해 OAM(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패킷을 전송하고, 그 응답을 확인함으로써, 라벨 스위치 방식에 기초하여 구축된 라벨 전송처 경로의 부정합을 검사하는 것이다.
즉, 패킷의 전송 홉 수의 상한이 상이한 OAM 패킷[요구 트레이스(trace) 패킷]을 순차적으로 송신해 가고, 응답이 없었던 경우에 통신상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2a)는 패킷의 전송 홉 수(TTL : Time to live)의 상한이 상이한 OAM 패킷(예를 들면, LSP-trace의 요구 메시지)을 송신한다.
상기한 OAM 패킷을 수신하는 중계 장치가 섀시형의 스위치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경우, 상기한 중계 장치(2a, 2b, 2c)의 입력 라인 카드(21a, 21b, 21c)에서, 상기한 OAM 패킷의 TTL값을 「TTL=TTL-1」한다. 이 연산 결과가 「0」이 되는 경우, 상기한 OAM 패킷은, 그 입력 라인 카드에서 종단된다.
또한, 그 TLV(Type/Length/Value) 중 타깃(Target) ID(IDentifier) 정보가 자체 카드 ID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정상의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장치[중계 장치(2a, 2b, 2c)]로 회신한다.
도 22에 도시하는 OAM 프레임의 포맷을 참조하면, OAM 프레임은, LSP 헤더[LSP 라벨, EXP(Experimental field), S(the stacking bit indicates), TTL 정보를 포함함], OAM 등의 제어 메시지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헤더, 프레임의 페이로드로 되는 TLV 등을 포함한다.
N.Bahadur, R.Aggarwal, T.Nadeau, N.Sprecher, Y.Weingarten.IETF Draft "draft-nitinb-mpls-tp-lsp-ping-bfd-procedures-00". July 5, 2009. http://tools.ietf.org/html/draft-nitinb-mpls-tp-lsp-ping-bfd-procedures-00
비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중계 장치에 있어서의 TTL 연산 처리는, 입력 라인 카드에서만 행해지므로, TTL=1의 OAM 프레임은, 상기한 중계 장치의 입력 라인 카드에서 종단되어 버린다. 즉, 본 발명에 관련되는 기술에서는, OAM 패킷이 입력 라인 카드에서만 처리되고, 출력 라인 카드에서 처리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출력 라인 카드의 장해 상황을 감시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여, OAM 프레임을 출력 라인 카드에 있어서 처리할 수 있는 노드 및 그것에 이용하는 감시 관리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하는 전송 시스템, 입력 회로, 출력 회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노드는, MPLS(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망을 구성하는 노드로서, TTL(Time To Live)을 갖는 OAM(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프레임을 노드의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입력부와, OAM 프레임을 노드의 외부로 송신하는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부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OAM 프레임이 나타내는 종단처가 자기 노드이며, 또한, 상기 수신한 OAM 프레임을 상기 출력부로 송신하는 경우, 상기 TTL을 특정한 값으로 하여 상기 수신한 OAM 프레임의 상기 출력부로의 송신을 행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송신된 OAM 프레임을 종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노드는, TTL(Time To Live)을 갖는 OAM(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노드로서, 장치의 외부로부터 OAM 프레임을 수신하는 입력부와, OAM 프레임을 장치의 외부로 송신하는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부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OAM 프레임의 TTL을, 종단처가 상기 출력부인 것을 나타내는 특정한 값으로 하여 상기 출력부로 송신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수신한 OAM 프레임의 TTL의 값을 검지하고, 상기 특정의 값의 TTL을 포함하는 OAM 프레임을 종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감시 관리 방법은, MPLS(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망을 구성하는 노드에 이용하는 감시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노드에, TTL(Time To Live)을 갖는 OAM(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프레임을 노드의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입력부와, OAM 프레임을 노드의 외부로 송신하는 출력부를 설치하고, 상기 입력부가, 외부로부터 수신한 OAM 프레임이 나타내는 종단처가 상기 노드이며, 또한, 상기 수신한 OAM 프레임을 상기 출력부로 송신하는 경우, 상기 TTL을 특정한 값으로 하여 상기 수신한 OAM 프레임의 상기 출력부로의 송신을 행하고, 상기 출력부가, 상기 입력부로부터 송신된 OAM 프레임을 종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송 시스템은, MPLS(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망을 구성하는 노드를 포함하는 전송 시스템으로서, 상기 노드는, TTL(Time To Live)을 갖는 OAM(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프레임을 노드의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입력부와, OAM 프레임을 노드의 외부로 송신하는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부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OAM 프레임이 나타내는 종단처가 자기 노드이며, 또한, 상기 수신한 OAM 프레임을 상기 출력부로 송신하는 경우, 상기 TTL을 특정한 값으로 하여 상기 수신한 OAM 프레임의 상기 출력부로의 송신을 행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송신된 OAM 프레임을 종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 회로는, MPLS(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망에 이용되는 노드 내에 설치한 입력 회로로서, TTL(Time To Live)을 갖는 OAM(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프레임을 노드의 외부로부터 수신하고, 외부로부터 수신한 OAM 프레임이 나타내는 종단처가 상기 노드이며, 또한, 상기 수신한 OAM 프레임을, 상기 노드 내에 설치된 OAM 프레임을 상기 노드의 외부로 송신하는 출력부로 송신하는 경우, 상기 TTL을 특정한 값으로 하여 OAM 프레임을 상기 출력부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출력 회로는, MPLS(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망에 이용되는 노드 내에 설치한 출력 회로로서, TTL(Time To Live)을 갖는 OAM(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프레임을 노드의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입력부가,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한 OAM 프레임이 나타내는 종단처가 상기 노드이며, 또한, 상기 수신한 OAM 프레임을, 상기 TTL을 특정한 값으로 하여 송신하는 경우, 상기 입력부로부터 송신된 OAM 프레임을 종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동작으로 함으로써, OAM 프레임을 출력 라인 카드에서 처리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라벨 전송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라벨 전송 장치의 전체 동작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라벨 전송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라벨 전송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라벨 전송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라벨 전송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라벨 전송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라벨 전송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이용하는 G-ACH 프레임의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이용하는 ACH TLV Header의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이용하는 ACH TLV의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이용하는 라인 카드를 특정하기 위한 ACH TLV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라벨 전송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특정한 라벨을 갖는 프레임을 추출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라벨 전송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라벨 전송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라벨 전송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라벨 전송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라벨 전송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라벨 전송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LSP-Ping/LSP-Trace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MPLS 프레임의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전송 장치(노드)로서 라벨 전송 장치의 개략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벨 전송 장치는, 설명을 간단화하기 위해, 입력부인 입력 라인 카드와 출력부인 출력 라인 카드를 갖는 섀시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벨 전송 장치는, 반드시 섀시형일 필요는 없고, 입력부인 입력 포트와 출력부인 출력 포트를 갖는 단일 보드형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라벨 전송 장치는, 상기한 입력 라인 카드에, 종단해야 하는 OAM(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OAM 프레임에 저장되어 있는 타깃(Target) ID(IDentifier)가 자체 카드 ID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일치하는 경우에 정상의 OAM 응답 프레임을 송신원으로 송신하고, 상이한 경우에 OAM 프레임의 TTL(Time to live : 패킷의 전송 홉 수)을 미리 설정한 이상값(예를 들면, 출력 라인 카드에서, 통상적인 프레임이 아닌 것을 인식하기 위한 설정값)으로 하여 출력 라인 카드에 전송하는 OAM 처리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벨 전송 장치는, 상기한 출력 라인 카드에, 입력 프레임의 헤더에 있는 TTL값을 검지하고, TTL값이 이상값의 프레임을 추출하는 TTL 처리부와, TTL 처리부로부터 추출된 프레임이 OAM 프레임인 경우, OAM 프레임에 저장되어 있는 타깃 ID 정보를 자체 카드 ID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정상의 OAM 응답 프레임을 송신원으로 송신하고, 상이한 경우에 에러의 OAM 응답 프레임을 송신원으로 송신하는 OAM 처리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라벨 전송 장치에서는, 중계 장치의 출력 라인 카드의 장해 상황을 감시할 수 있으므로, 즉, 송신 장치가 중계 장치의 출력 라인 카드의 장해 상황도 감시할 수 있으므로, OAM 프레임을 출력 라인 카드에서 처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라벨 전송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라벨 전송 장치는, 입력 라인 카드(11)와, 출력 라인 카드(12)와, 그들 라인 카드 사이를 연결하는 스위치 패브릭(이하, SF라고 함)(1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입력 라인 카드(11)는, 포트(111)와, 라벨 식별부(112)와, TTL 처리부(113)와, OAM 처리부(114)와, 전송부(115)를 구비하고 있다. 포트(111)는,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프레임을 라벨 식별부(112)로 전송하거나, OAM 처리부(114)로부터 수신하는 프레임을 외부로 출력하거나 한다.
라벨 식별부(112)는, 포트(111)로부터 수신하는 프레임의 LSP(Label Switched Path) 라벨을 식별하고, 전송해야 하는 라벨인 경우, 수신 프레임을 TTL 처리부(113)로 전송한다. 또한, 라벨 식별부(112)는, 종단해야 하는 라벨인 경우, 수신 프레임의 식별 헤더를 보고 OAM 프레임인지를 판별한다.
라벨 식별부(112)는, OAM 프레임이면, OAM 처리부(114)로 전송하고, OAM 프레임이 아니면 폐기 또는 다른 종단 처리를 행한다. 라벨 식별부(112)에 있어서의 그 외의 종단 처리에 대해서는, 본 발명과 직접 관계되지 않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TTL 처리부(113)는, 라벨 식별부(112)로부터 수신하는 프레임의 TTL을 검지하여, TTL>1이면, 「TTL=TTL-1」의 연산을 하여 TTL을 재기입한 후에, 전송부(115)로 전송한다. TTL 처리부(113)는, TTL=1이면, 수신 프레임의 식별 헤더를 보고 OAM 프레임인지를 판별한다.
TTL 처리부(113)는, OAM 프레임이면, OAM 처리부(114)로 전송하고, OAM 프레임이 아니면 폐기 또는 그 외의 종단 처리를 행한다. TTL 처리부(113)에 있어서의 그 외의 종단 처리에 대해서는, 본 발명과 직접 관계되지 않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OAM 처리부(114)는, 라벨 식별부(112) 또는 TTL 처리부(113)로부터 OAM 프레임을 수신하고, 그 OAM 프레임의 종별을 판단하여 처리한다. 이하, OAM 프레임이 Ping 메시지인 경우를 예로 들어, OAM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OAM 처리부(114)는, 수신한 Ping 메시지의 TLV(Type/Length/Value)를 보고, 타깃 ID가 자체 카드 ID와 일치하는 경우, 수신 메시지의 TLV의 소스(Source) ID를 타깃 ID, 소스 ID를 자체 카드 ID로 하는 응답 OAM 프레임을 생성하여 포트(111)로 회신한다.
그러나, 수신한 Ping 메시지의 타깃 ID가 자체 카드 ID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수신 OAM 프레임의 TTL을 이상 TTL(예를 들면, TTL=0)로 하여 전송부(115)로 전송하고, 응답 OAM 프레임의 회신 처리를 출력 라인 카드(12)에 맡긴다.
이하, 설명을 간단화하기 위해, 입력 라인 카드로부터 출력 라인 카드로 전송하는 OAM 프레임의 TTL값을 0으로 하지만, 반드시 TTL=0이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다른 이상의 TTL값을 삽입하여, 출력 라인 카드(12)가 통상적인 프레임이 아닌 것을 인식할 수 있으면 된다.
또한, OAM 처리부(114)는, 상술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기술 모드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기술 모드를 동시에 서포트하는 것도 가능하게 한다. 수신 OAM 프레임의 전용 필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련되는 기술 모드에서 동작하거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기술 모드에서 동작하는지를 결정한다.
OAM 프레임의 전용 필드는, OAM의 페이로드의 Reserved 영역을 사용하는지, 타입(Type)을 사용하는지 등의 것이 생각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기술 모드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기술 모드를 구별하기 위해, 전용 필드값을, 가령 본 발명에 관련되는 기술 모드가 「0」,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기술 모드가 「1」이라고 정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기술 모드의 OAM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OAM 처리부(114)의 처리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본 발명에 관련되는 기술 모드의 OAM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OAM 처리부(114)는, 우선 수신한 Ping 메시지의 TLV를 보고, 타깃 ID가 자체 카드 ID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
OAM 처리부(114)는, 일치하는 경우, 수신 메시지의 TLV의 소스 ID를 타깃 ID, 소스 ID를 자체 카드 ID로 하는 응답 OAM 프레임을 생성하여 포트(111)로 회신한다. 반대로, 타깃 ID가 자체 카드 ID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OAM 처리부(114)는, 자체 카드 ID를 소스 ID로 하는 에러의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포트(111)로 회신한다.
전송부(115)는, TTL 처리부(113)와 OAM 처리부(114)로부터 수신하는 프레임의 라벨을 스왑하고, 전송처 포트를 지정하여 SF(13)로 수신 프레임을 전송한다.
출력 라인 카드(12)는, TTL 식별부(121)와, OAM 처리부(122)와, 포트(123)를 구비하고 있다. TTL 식별부(121)는, SF(13)로부터 수신하는 프레임의 TTL값을 검지하여, TTL≥1이면, 포트(123)로 전송하고, TTL=0이면 OAM 처리부(122)로 전송한다.
OAM 처리부(122)는, TTL 식별부(121)로부터 수신하는 프레임을 수신하고, OAM 프레임의 종별을 판단하여 처리한다. 이하, OAM 프레임이 Ping 메시지인 경우를 예로 들어 OAM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OAM 처리부(122)는, 수신한 Ping 메시지의 TLV를 보고, 타깃 ID가 자체 카드 ID인 경우, 수신 메시지의 TLV의 소스 ID를 타깃 ID, 소스 ID를 자체 카드 ID로 하는 정상의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SF(13)로 회신한다. 또한, OAM 처리부(114)는, 수신한 Ping 메시지의 TLV를 보고, 타깃 ID가 공백인 경우, 수신한 Ping 메시지의 대상이 자체 카드라고 판단해도 된다.
그러나, 수신한 Ping 메시지의 타깃 ID가 자체 카드 ID는 아닌 경우, OAM 처리부(122)는, TTL이 Expired된 것을 나타내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SF(13)로 회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라벨 전송 장치의 전체 동작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송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장치(1a)의 입력 라인 카드(11a)로부터 장치(1b)의 입력 라인 카드(11b)를 향해, TTL=1(타깃 ID=11b)의 Ping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그것을 수신하는 장치(1b)의 입력 라인 카드(11b)는, 타깃 ID가 자체 카드 ID이므로, 정상의 응답 메시지를 장치(1a)로 회신한다.
또한, 장치(1a)의 입력 라인 카드(11a)로부터 장치(1b)의 출력 라인 카드(12b)를 향해, TTL=1(타깃 ID=12b)의 Ping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그것을 수신하는 장치(1b)의 입력 라인 카드(11b)는, 우선 TTL=0에서 종단하고, 타깃 ID가 자체 카드 ID와 상이한 경우, TTL=0의 수신 Ping 메시지를 그대로 출력 라인 카드(12b)로 전송한다.
Ping 메시지를 수신하는 출력 라인 카드(12b)는, TTL=0의 프레임에 대해서만 OAM 처리를 행하므로, TTL=0, 또한 타깃 ID가 자체 카드 ID의 경우, 정상의 응답 메시지를 장치(1a)로 회신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라벨 전송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라벨 전송 장치의 동작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처리 동작은, 라벨 전송 장치 내의 CPU(중앙 처리 장치)(도시 생략)가 메모리 등(도시 생략)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혹은,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처리 동작은, 프로그래머블ㆍ로직 디바이스를 설계할 때에 이용되고, 하드웨어의 동작으로 실현되어도 된다.
입력 라인 카드(11)의 라벨 식별부(112)는, 포트(111)에서 수신하는 프레임의 LSP 라벨을 식별하고(도 3 스텝 S1, S2), 그 라벨이 종단되면 안 되는(전송해야만 하는) 경우(도 3 스텝 S3의 아니오), 수신 프레임을 TTL 처리부(113)로 전송한다.
또한, 라벨 식별부(112)는, 종단해야 하는 라벨인 경우(도 3 스텝 S3의 예), 수신 프레임의 식별 헤더를 보고 OAM 프레임인지를 판별한다(도 4 스텝 S8). 라벨 식별부(112)는, OAM 프레임이면(도 4 스텝 S8의 예), 그 프레임을 OAM 처리부(114)로 전송하고, OAM 프레임이 아니면(도 4 스텝 S8의 아니오), 폐기 또는 그 외의 종단 처리를 행한다(도 4 스텝 S9). 라벨 식별부(112)에 있어서의 그 외의 종단 처리에 대해서는, 본 발명과 직접 관계되지 않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TTL 처리부(113)는, 라벨 식별부(112)로부터 수신하는 프레임의 TTL을 검지하여(도 3 스텝 S4), TTL>1이면(도 3 스텝 S5의 아니오), 「TTL=TTL-1」의 연산을 하여 TTL을 재기입한 후에 전송부(115)로 전송한다(도 3 스텝 S6, S7).
TTL 처리부(113)는, TTL=1이면(도 3 스텝 S5의 예), 수신 프레임의 식별 헤더를 보고 OAM 프레임인지 여부를 판별한다(도 4 스텝 S8). TTL 처리부(113)는, OAM 프레임이면(도 4 스텝 S8의 예), 그 프레임을 OAM 처리부(114)로 전송하고, OAM 프레임이 아니면(도 4 스텝 S8의 아니오), 그 프레임의 폐기 또는 그 외의 종단 처리를 행한다(도 4 스텝 S9). TTL 처리부(113)에 있어서의 그 외의 종단 처리에 대해서는, 본 발명과 직접 관계되지 않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OAM 처리부(114)는, 라벨 식별부(112) 또는 TTL 처리부(113)로부터 OAM 프레임을 수신하고, 그 OAM 프레임의 종별을 판단하여 처리한다(도 4 스텝 S10). 이하, OAM 프레임이 Ping 메시지인 경우를 예로 들어 OAM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OAM 처리부(114)는, 수신한 Ping 메시지의 TLV를 보고, 타깃 ID가 자체 카드 ID인 경우(도 4 스텝 S11의 예, 스텝 S13의 예), 수신 메시지의 TLV의 소스 ID를 타깃 ID, 소스 ID를 자체 카드 ID로 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포트(111)로 회신한다(도 4 스텝 S14).
그러나, OAM 처리부(114)는, 수신한 Ping 메시지의 타깃 ID가 자체 카드 ID는 아닌 경우(도 4 스텝 S13의 아니오), 수신 메시지를 전송부(115)로 전송한다.
전송부(115)는, TTL 처리부(113)로부터 수신하는 프레임의 라벨을 스왑하고(도 3 스텝 S6), 전송처 포트를 지정하여 SF(13)로 수신 프레임을 전송한다(도 3 스텝 S7).
출력 라인 카드(12)의 TTL 식별부(121)는, 수신하는 프레임의 TTL값을 검지하여(도 5 스텝 S21, S22), TTL>0이면(도 5 스텝 S23의 아니오), 포트(123)로 전송하고, TTL=0이면(도 5 스텝 S23의 예), OAM 처리부(122)로 전송한다.
OAM 처리부(122)는, TTL 식별부(121)로부터 프레임을 수신하면, OAM 프레임인지를 판별한다(도 5 스텝 S25). OAM 처리부(122)는, OAM 프레임이 아니면(도 5 스텝 S25의 아니오), 그 프레임의 폐기 또는 그 외의 종단 처리를 행한다(도 5 스텝 S26). OAM 프레임이 아닌 경우의 종단 처리에 대해서는, 본 발명과 직접 관계되지 않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계속해서, OAM 처리부(122)는, OAM 프레임의 종별을 판단하여 처리한다(도 5 스텝 S27). 이하, OAM 프레임이 Ping 메시지인 경우를 예로 들어 OAM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OAM 처리부(122)는, 수신한 Ping 메시지의 TLV를 보고, 타깃 ID가 자체 카드 ID인 경우(도 5 스텝 S28의 예, 스텝 S30의 예), 수신 메시지의 TLV의 소스 ID를 타깃 ID, 소스 ID를 자체 카드 ID로 하는 정상의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SF(13)로 회신한다(도 5 스텝 S31).
그러나, OAM 처리부(122)는, 수신한 Ping 메시지의 타깃 ID가 자체 카드 ID는 아닌 경우(도 5 스텝 S30의 아니오), TTL이 Expired된 것을 나타내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SF(13)로 회신한다(도 5 스텝 S32).
OAM 처리부(122)는, OAM 프레임이 Ping 메시지는 아닌 경우(도 5 스텝 S28의 아니오), 그 외의 OAM 처리를 행한다(도 5 스텝 S29). OAM 처리부(122)에 있어서의 그 외의 OAM 처리에 대해서는, 본 발명과 직접 관계되지 않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종단해야 하는 OAM 프레임을 수신하여 타깃 ID가 자체 카드 ID와 상이한 경우, TTL=0의 OAM 프레임을 그대로 출력 라인 카드(12)로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 입력 라인 카드(11)의 OAM 처리부(114)와, 입력 라인 카드(11)로부터 TTL=0의 OAM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타깃 ID와 자체 카드 ID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 정상의 OAM 응답 프레임을, 상이한 경우에 이상의 OAM 응답 프레임을 수신 OAM 프레임의 송신원으로 회신하는 기능을 갖는 출력 라인 카드(12)의 OAM 처리부(122)를 가짐으로써, 송신 장치가 중계 장치의 출력 라인 카드(12)의 장해 상황도 감시할 수 있으므로, OAM 프레임을 출력 라인 카드(12)에서 처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라벨 전송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라벨 전송 장치는, 입력 라인 카드(11)의 구성에 내부 전용 메시지 처리부(141)를 추가하고, 출력 라인 카드(12)의 OAM 처리부(122) 대신에 내부 전용 메시지 처리부(151)를 설치한 것 외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라벨 전송 장치의 입력 라인 카드(11) 및 출력 라인 카드(12)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동일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또한, 동일 구성 요소의 동작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라벨 전송 장치와 마찬가지이다.
입력 라인 카드(14)의 내부 전용 메시지 처리부(141)는, OAM 처리부(114)로부터 OAM 프레임의 타깃 ID 정보를 수취한 경우, 타깃 ID 정보를 포함하는 내부 전용의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부(115)로 송신한다.
그 후, 내부 전용 메시지 처리부(141)는, 일정 시간 내에 출력 라인 카드(15)로부터의 내부 전용의 응답 메시지를 대기하고, 수취한 경우에 출력 라인 카드(15)가 정상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타깃 ID가 출력 라인 카드(15)와 일치한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OAM 처리부(114)에 통지한다.
반대로, 일정 시간에 응답 메시지를 수취할 수 없었던 경우, 내부 전용 메시지 처리부(141)는, 출력 라인 카드(15)가 이상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OAM 처리부(114)에 통지한다.
출력 라인 카드(15)의 내부 전용 메시지 처리부(151)는, SF(13)로부터 내부 전용의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확인 메시지의 타깃 ID 정보를 자체 카드 ID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 타깃 ID가 일치하는 것을 나타내는 내부 전용의 응답 메시지를 회신하고, 상이한 경우에 타깃 ID가 일치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내부 전용의 응답 메시지를 회신한다.
이하, OAM 프레임이 Ping 메시지인 경우를 예로 들어 OAM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입력 라인 카드(14)의 동작이,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입력 라인 카드(11)의 동작과 상이한 점은, 도 4의 스텝 S13으로부터 도 3의 스텝 S6까지의 동작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동작에서는, TTL=0의 수신 OAM 프레임을 그대로 전송부(115)를 통해 출력 라인 카드(12)로 송신하고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신 OAM 프레임 대신에, 내부 전용의 응답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입력 라인 카드(14)의 OAM 처리부(114)는, 타깃 ID가 자체 카드 ID와 상이한 경우(도 4 스텝 S13의 아니오), 라벨 스왑하고(도 3 스텝 S6), 출력 라인 카드(15)로 전송하는(도 3 스텝 S7) 것은 아니고, 출력 라인 카드(15)의 카드 ID를 미리 관리하고 있어, 우선 수신 OAM 프레임의 타깃 ID가 출력 라인 카드(15)의 카드 ID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
OAM 처리부(114)는, 일치하는 경우, 내부 전용 메시지 처리부(141)에서 출력 라인 카드(15)의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내부 전용의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부(115)로 송신한다. 그 후, OAM 처리부(114)는, 일정 시간 내에 출력 라인 카드(15)로부터의 내부 전용의 응답 메시지를 수취한 경우, 출력 라인 카드(15)의 카드 ID를 소스 ID로 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포트(111)로 회신하고, 일정 시간에 응답 메시지를 수취할 수 없었던 경우, 자체 카드 ID를 소스 ID로 하는 에러의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포트(111)로 회신한다.
반대로, 수신 OAM 프레임의 타깃 ID가 출력 라인 카드(15)의 카드 ID와 상이한 경우, OAM 처리부(114)는, 출력 라인 카드(15)의 상황을 확인하지 않고, 에러의 응답 OAM 프레임을 생성하여 회신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출력 라인 카드(15)의 동작이, 도 5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출력 라인 카드(12)의 동작과 상이한 점은, TTL 처리가 불필요하고, OAM 프레임 처리 대신에 내부 전용의 메시지를 처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종단해야 하는 OAM 프레임을 수신하여, 타깃 ID가 자체 카드 ID와 상이한 경우, 타깃 ID를 포함하는 내부 확인 메시지를 출력 라인 카드(15)로 송신하는 기능과, 출력 라인 카드(15)로부터 내부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입력 OAM 프레임의 송신원 장치에 대해, 응답 OAM 프레임을 생성하여 송신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입력 라인 카드(14)의 OAM 처리부(114)와, 입력 라인 카드(14)로부터 내부 전용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타깃 ID와 자체 카드 ID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 일치의 내부 응답 메시지를, 상이한 경우에 불일치의 내부 응답 메시지를 입력 라인 카드(14)로 송신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출력 라인 카드(15)의 내부 전용 메시지 처리부(151)를 가짐으로써, 송신 장치가 중계 장치의 출력 라인 카드(15)의 장해 상황도 감시할 수 있으므로, OAM 프레임을 출력 라인 카드(15)에서 처리할 수 있다.
상기한 OAM 프레임을 출력 라인 카드에서 처리한다고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는, 도 7에 도시하는 구성이나 도 8에 도시하는 구성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응하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응한다.
도 7에 있어서, 장치(라벨 전송 장치)(1)는, 입력부(입력 라인 카드)(11)와, 출력부(출력 라인 카드)(1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도 7에 도시하는 구성에 있어서, 입력부(11)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OAM 프레임의 프레임의 통로를 나타내는 필드 또는 장치간의 전송 횟수를 나타내는 필드가 나타내는 종단처가 자기 장치이며, 또한, 외부로부터 수신한 OAM 프레임을 출력부(12)로 송신하는 경우, 장치간의 전송 횟수를 나타내는 필드를 특정한 값으로 하여 OAM 프레임을 출력부(12)로 송신한다. 출력부(12)는, 입력부(11)로부터 송신된 OAM 프레임의 장치간의 전송 횟수를 나타내는 필드가 특정한 값인 경우에 입력부(11)로부터 송신된 OAM 프레임을 종단한다. 이것에 의해, 도 7에 도시하는 구성으로도, OAM 프레임을 출력부(12)에서 처리할 수 있다.
도 8에 있어서, 장치(라벨 전송 장치)(1)는, 입력부(입력 라인 카드)(14)와, 출력부(출력 라인 카드)(1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도 8에 도시하는 구성에 있어서, 입력부(14)는, 프레임의 통로를 나타내는 필드와 장치간의 전송 횟수를 나타내는 필드와 장치 내의 종단처를 나타내는 필드를 갖는 OAM 프레임을 장치(1)의 외부로부터 수신하고, 출력부(15)는, OAM 프레임을 장치(1)의 외부로 송신한다.
입력부(14)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OAM 프레임의 프레임의 통로를 나타내는 필드 또는 장치간의 전송 횟수를 나타내는 필드가 나타내는 종단처가 자기 장치이며, 또한, 외부로부터 수신한 OAM 프레임을 출력부(15)로 송신하는 경우, 내부 전용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부(15)로 송신하고, 출력부(15)는, 입력부(14)로부터 송신된 내부 전용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것에 의해, 도 8에 도시하는 구성으로도, OAM 프레임을 출력부(15)에서 처리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이용하는 G-ACH(Generic-Associated CHannel) 프레임의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이용하는 ACH TLV Header의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이용하는 ACH TLV의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이용하는 라인 카드를 특정하기 위한 ACH TLV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하는 포맷은, RFC(RFC)5586(비특허 문헌 2)에 기재된 MPLS Generic Associated Channel의 프레임 포맷을 도시하고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포맷에 있어서, GAL(Generic Associated channel Label)은, LSP의 라벨 스택의 최하에 사용하고, 다음으로 ACH(Associated Channel Header)가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 GAL에는, 예약 라벨의 13번을 사용한다.
ACH는, 선두 4비트가 「0001b」이고, OAM 등의 Control Channel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ACH는, OAM의 종별(예를 들면, 경보나 성능 감시 등)을 나타내는 Channel Type 필드를 갖는다.
ACH TLV Header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ACH TLVs의 총 길이를 나타내기 위한 헤더 정보이고, 사이즈는 4byte이다. ACH TLV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ACH TLV Header에 이어서, 송신원이나 송신처의 식별자를 나타내는 Value를 넣기 위한 필드이다. G-Ach Message에는, OAM 메시지 등의 상세 내용이 포함된다.
도 11에 있어서, ACH TLV의 최초의 2byte는 Value의 타입(TLV Type)을 나타내고, 다음의 2byte는 Value의 Length를 나타내고 있다. Value는 식별자의 종류에 따라 그 사이즈가 상이하다.
예를 들면, 라인 카드를 특정하기 위한 Value의 일례로서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ACH TLV의 Value의 타입=5, Value의 Length=8, 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Node_ID, Logical Interface Handle(LIH)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 경우의 사이즈는 12byte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기술에 있어서의 OAM 프레임의 판정 처리에서는, LSP Label의 처리에 있어서, 수신 프레임의 외측의 LSP Label을 보고, TTL>1의 경우에, 그 수신 프레임을 종단하지 않고, TTL을 감산하여 다음 단(段)으로 전송하고 있다. TTL=1이고 S(the stacking bit indicates)비트가 0의 경우에는, 그 라벨을 벗겨 2단째의 라벨을 검색한다.
반대로, TTL=1이고 S비트가 1의 경우에는, LSP는 아닌, PW(Pseudo Wire) 프레임으로서 종단 처리를 실시한다. PW OAM은, OAM 동작적으로는 LSP OAM과 유사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LSP OAM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PW OAM에 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입력 라인 카드가 TTL=1의 OAM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ACH TLV의 타깃 ID를 보고, 자체 카드 ID가 아니면 출력 라인 카드로 전송하고 있지만, 출력 라인 카드로 전송하는 형태로서, 어느 출력 라인 카드에 출력해야 하는지를 선정하지 않고 모든 출력 라인 카드로 전송해도 된다.
또한, 상기한 입력 라인 카드가, 출력 라인 카드의 카드 ID 리스트를 갖고 있고, 그 카드 ID 리스트로부터 타깃 ID를 검색함으로써, 특정한 출력 라인 카드에 대해서만 OAM 프레임을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전송 후에 있어서의 출력 라인 카드의 동작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그 동작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OAM 프레임의 판정 처리에서는, GAL Label 이후의 처리에 있어서, 상기한 2단째의 라벨이 GAL의 경우, 또한 GAL에 이어서 ACH 헤더의 Channel Type이 OAM을 나타내고 있으면, OAM 프레임으로 판정하여 OAM 처리를 실시한다. 2단째의 라벨이 GAL은 아닌 경우에는, OAM 처리 이외의 처리를 실시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입력 라인 카드와 출력 라인 카드를 식별시키기 위해, ACH TLV의 타깃 ID를 보고 판정하고 있지만, OAM 프레임의 임의의 필드를 이용하여 입력 라인 카드와 출력 라인 카드를 식별해도 된다. 그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입력부가 ACH TLV의 타깃 ID보다도, 특히 먼저 읽어들이는 것이 가능한 필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OAM 프레임의 송신원이 대상으로 하는 라인 카드를 보다 신속히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은 판정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1) 입력 라인 카드에 있어서, GAL의 TC(Traffic Class) 필드의 값을 보고, 어느 라인 카드에서 처리할 것인지를 판정하는 방법이 생각된다. LSP Label의 TC 필드는 프레임의 전송 우선도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으므로 남용할 수 없지만, GAL의 TC 필드는 일반적으로 이용 용도가 없으므로, 특별한 용도로 이용해도 문제없다.
(2) ACH의 Channel Type의 신규의 값을 정의하고, 어느 라인 카드에서 처리할 것인지를 판정하는 방법이 생각된다. 예를 들면, Channel Type은, 일반적으로 OAM의 종별을 나타내기 위해 이용되지만, Channel Type="X"이면 입력 라인 카드 행의 OAM, Channel Type="Y"이면 출력 라인 카드 행의 OAM으로 정의하는 것도 가능하다.
(3) ACH Reserved 영역에 신규의 값을 정의하고, 입력 라인 카드 행인지, 출력 라인 카드 행인지를 판정시키는 방법이 생각된다. 예를 들면, LSP-ping의 경우, "1"이면 입력 라인 카드 행의 OAM, "2"이면 출력 라인 카드 행의 OAM으로 정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입력 라인 카드에서 TTL=1의 OAM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ACH TLV의 타깃 ID를 보고, 자체 카드 ID가 아니면 출력 라인 카드로 전송하고 있다. 그러나, 입력 라인 카드에서, ACH TLV의 타깃 ID를 보고, 어느 출력 라인 카드 앞인지를 판정하고, 그 특정한 출력 라인 카드에 대해서만 OAM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도 생각된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라벨 전송 장치는, 상기한 입력 라인 카드에, 자기 장치에서 처리해야 하는 OAM 프레임, 예를 들면 TTL=1의 OAM 프레임, 혹은 특정한 라벨을 이용하는 OAM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그 프레임을 종단함과 함께, TTL에 이상값(예를 들면, TTL=0)을 설정하여 출력 라인 카드로도 전송하는 TTL 처리부와, TTL 처리부로부터 수신하는 OAM 프레임에 저장되어 있는 타깃 ID가 자체 카드 ID와 일치하는지를 판정하여, 일치하는 경우에 정상의 OAM 응답 프레임을 송신원으로 송신하고, 상이한 경우에 그 OAM 프레임을 폐기하는 OAM 처리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라벨 전송 장치는, 상기한 출력 라인 카드에, 입력 프레임의 헤더에 있는 TTL값을 검지하고, TTL값이 이상값의 프레임을 추출하는 TTL 처리부와, TTL 처리부로부터 추출된 프레임이 OAM 프레임인 경우, OAM 프레임에 저장되어 있는 타깃 ID 정보를 자체 카드 ID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정상의 OAM 응답 프레임을 송신원으로 송신하고, 상이한 경우에 폐기, 또는 에러의 OAM 응답 프레임을 송신원으로 송신하는 OAM 처리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라벨 전송 장치에서는, 중계 장치의 출력 라인 카드의 장해 상황을 감시할 수 있으므로, 즉, 송신 장치가 중계 장치의 출력 라인 카드의 장해 상황도 감시할 수 있으므로, OAM 프레임을 출력 라인 카드에서 처리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라벨 전송 장치에 있어서는, 입력 라인 카드에서 TTL에 이상값(예를 들면, TTL=0)을 설정하여 출력 라인 카드로 전송하고 있는 것뿐이며, 어느 라인 카드에서 처리할 것인지를 판정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입력 라인 카드에서의 처리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라벨 전송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3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라벨 전송 장치는, 입력 라인 카드(16)와, 출력 라인 카드(12)와, 그들 라인 카드 사이를 연결하는 스위치 패브릭(이하, SF라고 함)(1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입력 라인 카드(16)는, 포트(111)와, TTL 처리부(113)와, OAM 처리부(114)와, 전송부(115)를 구비하고 있다. 포트(111)는,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프레임을 TTL 처리부(113)로 전송하거나, OAM 처리부(114)로부터 수신하는 프레임을 외부로 출력하거나 한다.
TTL 처리부(113)는, 포트(111)로부터 수신하는 프레임의 라벨 TTL을 검지하여, TTL>1이면, 「TTL=TTL-1」연산하여 TTL을 재기입한 후에, 전송부(115)로 전송한다. TTL 처리부(113)는, TTL=1의 프레임이면, 수신 프레임의 식별 헤더를 보고 OAM 프레임인지를 판별한다. 또한, TTL<1의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는 그 프레임을 폐기한다. TTL 처리부(113)는 TTL=1의 프레임을 추출하는 대신에, 특정한 라벨을 갖는 프레임을 추출하는 방법도 생각된다.
여기서, 도 14를 이용하여 특정한 라벨을 갖는 프레임을 추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14의 (a)에 도시하는 장치(1)에서는, 수신한 프레임의 LSP 라벨이 α, β, γ의 경우, 그 LSP 라벨을 x, y, z로 스위치하여 전송하고, 수신한 프레임의 LSP 라벨이 δ의 경우, 그 수신한 프레임을 종단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수신한 프레임의 LSP 라벨에 따른, 입력 라인 카드의 대응을 미리 설정하여,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해 둔다. 그리고, 수신한 프레임의 LSP 라벨이 δ의 경우, 그 LSP 라벨을 종단해야 하는 라벨이라고 하고, 이 LSP 라벨 「δ」을 갖는 프레임을 추출하는 방법이 생각된다. 또한, 이 방법은, 도 3의 스텝 S2, S3의 처리에도, 즉 종단해야 하는 라벨인지 여부의 판정에도 적용 가능하다.
TTL 처리부(113)는, 수신 프레임이 OAM 프레임은 아닌 경우, 폐기 또는 다른 종단 처리를 행한다. 한편, TTL 처리부(113)는, 수신 프레임이 OAM 프레임의 경우, OAM 처리부(114)로 전송함과 함께, TTL에 이상값(예를 들면, TTL=0)을 설정하여 출력 라인 카드로 전송한다.
OAM 처리부(114)는, TTL 처리부(113)로부터 OAM 프레임을 수신하고, 그 OAM 프레임의 종별을 판단하여 처리한다. 이하, OAM 프레임이 Ping 메시지인 경우를 예로 들어, OAM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OAM 처리부(114)는, Ping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타깃 ID가 자체 카드 ID와 일치하는 경우, 수신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소스 ID를 타깃 ID, 자체 카드 ID를 소스 ID로 하는 응답 OAM 프레임(이 응답 OAM 프레임이 상기한 Ping 메시지의 응답인 Ping 응답 메시지에 상당함)을 생성하여 포트(111)로 회신한다. 반대로, 타깃 ID가 자체 카드 ID와 상이한 경우는, 수신 메시지를 폐기한다.
전송부(115)는, TTL 처리부(113)로부터 수신하는 프레임의 라벨을 스왑하고, 전송처 포트를 지정하여 SF(13)로 수신 프레임을 전송한다.
출력 라인 카드(12)는, TTL 식별부(121)와, OAM 처리부(122)와, 포트(123)를 구비하고 있다. TTL 식별부(121)는, SF(13)로부터 수신하는 프레임의 TTL값을 검지하여, TTL≥1이면, 포트(123)로 전송하고, TTL=0이면, OAM 처리부(122)로 전송한다.
OAM 처리부(122)는, TTL 식별부(121)로부터 수신하는 프레임을 수신하고, OAM 프레임의 종별을 판단하여 처리한다. 이하, OAM 프레임이 Ping 메시지인 경우를 예로 들어 OAM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OAM 처리부(122)는, 수신한 Ping 메시지의 TLV를 보고, 타깃 ID가 자체 카드 ID인 경우, 수신 메시지의 TLV의 소스 ID를 타깃 ID, 소스 ID를 자체 카드 ID로 하는 정상의 응답 메시지(Ping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SF(13)로 회신한다.
그러나, 수신한 Ping 메시지의 타깃 ID가 자체 카드 ID는 아닌 경우, OAM 처리부(122)는 수신 메시지를 폐기한다. 단, 필요에 따라 TTL이 Expired된 것을 나타내는 응답 메시지(Ping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SF(13)로 회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라벨 전송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 15 내지 도 17에 나타내는 처리 동작은, 라벨 전송 장치 내의 CPU(중앙 처리 장치)(도시 생략)가 메모리 등(도시 생략)에 저장된 소프트 프로그램 혹은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하드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라벨 전송 장치의 입력 라인 카드(16)의 TTL 처리부(113)는, 포트(111)에서 수신하는 프레임의 LSP 라벨의 TTL을 검지하고(도 15 스텝 S31, S32), TTL=1의 프레임을 추출하여(도 15 스텝 S33의 예), OAM 판정을 실시한다. 반대로, 그 외의 정상 프레임은(도 15 스텝 S33의 아니오), TTL을 감산하여 전송한다(도 15 스텝 S34 내지 S36).
TTL 처리부(113)는, 수신 프레임이 OAM 프레임은 아닌 경우(도 16 스텝 S37의 아니오), 수신 프레임을 종단 혹은 폐기한다(도 16 스텝 S41). TTL 처리부(113)는, 반대로 수신 프레임이 OAM 프레임이면(도 16 스텝 S37의 예), 그 프레임을 카피하여(도 16 스텝 S38), 원래의 프레임을 OAM 처리부(114)로 전송하고(도 16 스텝 S39의 아니오), 카피한 프레임의 TTL에 이상값(예를 들면, TTL=0)을 설정하여 전송부(115)로 전송한다(도 16 스텝 S39의 예).
OAM 처리부(114)는, TTL 처리부(113)로부터 OAM 프레임을 수신하고, 그 OAM 프레임의 종별을 판단하여 처리한다. OAM 처리부(114)는, OAM 프레임이 Ping 메시지가 아닌 경우(도 16 스텝 S40의 아니오), 그 외의 OAM 종단 혹은 폐기한다(도 16 스텝 S41). OAM 처리부(114)는, 반대로 OAM 프레임이 Ping 메시지의 경우(도 16 스텝 S40의 예), OAM 프레임을 전송부(115)로 전송함과 함께, OAM 종단 처리를 실시한다.
이하, OAM 프레임이 Ping 메시지인 경우를 예로 들어 OAM 종단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OAM 처리부(114)는, 수신한 Ping 메시지의 TLV를 보고, 타깃 ID가 자체 카드 ID인 경우(도 16 스텝 S42의 예), 수신 메시지의 TLV의 소스 ID를 타깃 ID, 소스 ID를 자체 카드 ID로 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포트(111)로 회신한다(도 16 스텝 S43).
그러나, OAM 처리부(114)는, 수신한 Ping 메시지의 타깃 ID가 자체 카드 ID는 아닌 경우(도 16 스텝 S42의 아니오), 수신 메시지를 폐기한다(도 16 스텝 S44).
전송부(115)는, TTL 처리부(113)로부터 카피한 프레임을 수신하면, TTL 처리부(113)로부터 수신하는 프레임의 라벨을 스왑하고(도 15 스텝 S35), 전송처 포트를 지정하여 수신 프레임을 전송한다(도 15 스텝 S36).
출력 라인 카드(12)의 TTL 식별부(121)는, 수신하는 프레임의 TTL값을 검지하여(도 17 스텝 S51, S52), TTL>0이면(도 17 스텝 S53의 아니오), 포트(123)로 전송하고(도 17 스텝 S54), TTL=0이면(도 17 스텝 S53의 예), OAM 처리부(122)로 전송한다.
OAM 처리부(122)는, TTL 식별부(121)로부터 프레임을 수신하면, OAM 프레임인지를 판별한다(도 17 스텝 S55). OAM 처리부(122)는, OAM 프레임이 아니면(도 17 스텝 S55의 아니오), 그 프레임의 폐기 또는 그 외의 종단 처리를 행한다(도 17 스텝 S57). OAM 프레임이 아닌 경우의 종단 처리에 대해서는, 본 발명과 직접 관계되지 않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계속해서, OAM 처리부(122)는, OAM 프레임의 종별을 판단하여 처리한다(도 17 스텝 S56). 이하, OAM 프레임이 Ping 메시지인 경우를 예로 들어 OAM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OAM 처리부(122)는, 수신한 Ping 메시지의 TLV를 보고, 타깃 ID가 자체 카드 ID인 경우(도 17 스텝 S58의 예), 정상의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SF(13)로 회신한다(도 17 스텝 S59).
그러나, OAM 처리부(122)는, 수신한 Ping 메시지의 타깃 ID가 자체 카드 ID는 아닌 경우(도 17 스텝 S58의 아니오), 수신 메시지를 폐기한다(도 17 스텝 S60).
OAM 처리부(122)는, OAM 프레임이 Ping 메시지는 아닌 경우(도 17 스텝 S56의 아니오), 그 외의 OAM 종단 혹은 폐기한다(도 17 스텝 S57). OAM 처리부(122)에 있어서의 그 외의 OAM 종단에 대해서는, 본 발명과 직접 관계되지 않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라벨 전송 장치는, 입력부와 출력부를 포함하는 라벨 전송 장치에 있어서, 입력부에, 수신 프레임의 TTL과 종류를 검지하여, TTL=1의 OAM 프레임인 경우, OAM 프레임을 종단함과 함께, OAM 프레임의 TTL에 이상값을 설정하여 출력부로 전송하는 TTL 처리부(113)를 구비하고, 해당하는 출력 라인 카드만이 OAM 회답함으로써, OAM 프레임을 출력 라인 카드(12)에서 처리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입력 라인 카드(16)에서 지연하는 일 없이, 고속으로 출력 라인 카드(12)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라벨 전송 장치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3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비해, TTL 처리부(116)가 상이하다. 포트(111), OAM 처리부(114), 전송부(1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와 동일 구성으로 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동일 구성 요소의 동작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라벨 전송 장치와 동일한 동작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TTL 처리부(116)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TTL 처리부(113)와 상이하며, Ping 메시지의 Ping 식별부(1161)를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서는, Ping 메시지의 식별을 전부 OAM 처리부(114)에서 행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서는, Ping 메시지의 식별을 TTL 처리부(116)에서 실시한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라벨 전송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처리 동작은, 라벨 전송 장치 내의 CPU(중앙 처리 장치)(도시 생략)가 메모리 등(도시 생략)에 저장된 소프트 프로그램 혹은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하드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이하,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라벨 전송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와 동일 구성 요소의 동작은, 상기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라벨 전송 장치와 동일한 동작이므로, 동일 구성 요소[입력 라인 카드(16)의 포트(111), OAM 처리부(114), 전송부(115) 및 출력 라인 카드(12)의 동작]의 동작 설명은 생략하고, 구성 요소가 상이한 입력 라인 카드(16)의 TTL 처리부(116)의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TTL 처리부(116)는, 수신하는 프레임의 LSP 라벨의 TTL을 검지하고(도 19 스텝 S71, S72), TTL=1 혹은 특정한 라벨을 갖는 프레임을 추출하여(도 19 스텝 S73의 예), OAM 판정을 실시한다. 반대로, 그 외의 정상 프레임은, TTL을 감산하여 전송부(115)로 전송하여 처리한다(도 19 스텝 S74 내지 S76).
TTL 처리부(116)는, 수신 프레임이 OAM 프레임은 아닌 경우(도 20 스텝 S77의 아니오), 수신 프레임을 종단 혹은 폐기한다(도 20 스텝 S79). TTL 처리부(116)는, 반대로 수신 프레임이 OAM 프레임인 경우(도 20 스텝 S77의 예), 또한 OAM 타입을 식별한다.
그 결과, TTL 처리부(116)는, 수신 프레임이 Ping 메시지는 아닌 경우(도 20 스텝 S78의 아니오), 그 외의 종단 혹은 폐기한다(도 20 스텝 S79). TTL 처리부(116)는, 반대로 OAM 프레임이 Ping 메시지인 경우(도 20 스텝 S78의 예), OAM 프레임을 카피하고(도 20 스텝 S80, S81의 아니오), 전송부(115)로 전송하여 처리한다(도 19 스텝 S74 내지 스텝 S76). 원래의 프레임은(도 20 스텝 S81의 예), OAM 처리부(114)로 전송하여 처리한다(도 20 스텝 S82 내지 스텝 S84).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라벨 전송 장치는, 입력부와 출력부를 포함하는 라벨 전송 장치에 있어서, 입력부에, 수신 프레임의 TTL과 종류를 검지하여, TTL=1의 OAM 프레임, 또한 Ping 메시지인 경우, OAM 프레임을 종단함과 함께, OAM 프레임의 TTL에 이상값을 설정하여 출력부로 전송하는 TTL 처리부(116)를 구비하고, 해당하는 출력 라인 카드(12)만이 OAM 회답함으로써, OAM 프레임을 출력 라인 카드(12)에서 처리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입력 라인 카드(16)에서 지연을 감소시켜, 고속으로 출력 라인 카드(12)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입력 라인 카드가, 외부로부터 수신한 OAM 프레임에 저장된 LSP 라벨의 TTL을 특정한 값(예를 들면 0)으로 설정하여, 출력 라인 카드 앞으로 송신하고, 출력 라인 카드가 TTL의 값에 기초하여 OAM 프레임을 종단할 수 있도록 하고 있었다. 이하의 제5 실시 형태 및 제6 실시 형태에서는, LSP 라벨의 TTL 대신에, OAM 프레임이 갖는 LSP 라벨의 TTL 이외의 필드에 저장되어 있는 값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후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라벨 전송 장치의 구성은, 모두 제3 실시 형태의 것과 대략 마찬가지이므로, 각 구성 및 동작의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이후의 실시 형태에서는, 적절히 도 13을 이용하여, OAM 프레임이 갖는 LSP 라벨의 TTL 이외의 필드에 저장되어 있는 값의 설정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우선, 제5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OAM 프레임 또는 내부 전용 메시지(이하, OAM 프레임)가, 도 9에 도시하는 GAL을 이용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OAM 프레임이 GAL을 이용하는 경우, 출력 라인 카드(12)가 OAM 프레임을 종단할지의 여부의 판단 기준으로서, LSP 라벨의 TTL 대신에,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하는 GAL의 TTL 또는 TC를 이용하는 것이 생각된다.
우선, LSP 라벨의 TTL 대신에, GAL의 TTL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입력 라인 카드(16)의 포트(111)가 OAM 프레임을 수신할 때, 통상적으로, GAL의 TTL값은 1이다. 이것을 이용하여, TTL 처리부(113)에 의해 LSP 라벨의 TTL이 1이며, OAM 프레임이 자기 노드 앞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TTL 처리부(113)는, GAL의 TTL값을 특정한 값으로 하여, 출력 라인 카드(12)로 송신한다. 특정한 값으로서는, 예를 들면, GAL의 TTL값을 2로 하는 것이 생각된다. 다음으로, 출력 라인 카드(12)는, GAL의 TTL값에 기초하여 OAM 프레임을 종단한다.
GAL의 TC를 이용하는 경우도, 대략 마찬가지로, TTL 처리부(113)가, GAL의 TC값을 특정한 값으로 변경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GAL의 TC의 통상값을 0, 특정한 값을 1로 하는 것이 일례로서 생각된다.
이상과 같이, 제5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OAM 프레임을 출력 라인 카드에서 처리할 수 있다. 이 결과, 출력 라인 카드의 장해 상황을 감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6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등에서는, 출력 라인 카드가 LSP 라벨의 TTL에 기초하여 OAM 프레임을 종단할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있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LSP 라벨의 TTL 및 OAM 프레임이 갖는 LSP 라벨의 TTL 이외의 필드 각각의 특정한 값에 기초하여, 출력 라인 카드(12)는 OAM 프레임을 종단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미리 OAM 프레임의 송신원이, LSP 라벨의 TTL 이외의 필드 중 어느 것을 이용할지 선택하고, 특정한 값을 결정해 두는 것으로 한다.
우선, 입력 라인 카드(16)의 포트(111)가 OAM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제5 실시 형태 등과 마찬가지로, TTL 처리부(113)는, LSP 라벨의 TTL이 1이면, 수신한 OAM 프레임이 자기 노드 앞이라고 판단한다. 그 후, TTL 처리부(113)는, 수신한 OAM 프레임을 출력 라인 카드(12)로 송신한다. 즉, 입력 라인 카드(16)에서는, OAM 프레임에 저장된 값을 원칙으로서 특별히 변경하는 일 없이, 출력 라인 카드(12)로 송신하고 있다.
계속해서, 출력 라인 카드(12)의 TTL 식별부(121)는, 입력 라인 카드(16)가 송신한 OAM 프레임을 수신한다. 여기서, 출력 라인 카드의 TTL 식별부(121)는, OAM 프레임의 종단처가 자기 노드인 것을 나타내는 LSP 라벨의 TTL값에 더하여, LSP 라벨의 TTL 이외의 필드의 값을 이용하여, 수신한 OAM 프레임을 종단해야 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OAM 프레임의 종단처가 자기 노드인 것을 나타내는 LSP 라벨의 TTL은, 미리 정해진 값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리 정해진 값은, 1이어도 되고, 제1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OAM 처리부(114)에 의해 설정되는 특정한 값이어도 된다. 특정한 값의 일례로서는, 0을 들 수 있다.
LSP 라벨의 TTL 이외의 필드로서는, 도 9의 프레임 포맷에 있어서의, LSP 라벨(도 9 :「LSP Label」) 이외의 필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GAL, ACH, 또는 ACH TLV 내의 필드를 이용하는 것이 생각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ACH의 Channel Type, ACH TLV의 Type, 혹은 ACH TLV의 Value, 혹은 GAL의 TTL 필드에 특정한 값을 설정해 두는 것이 생각된다. 단, LSP 라벨은, OAM 프레임의 전송에 필요하므로, 이용할 수 없다. 따라서, 원칙으로서 LSP 라벨 이외이며 상술한 필드 중 어느 하나에, OAM 프레임이 출력 라인 카드(12)에서 종단되는 것을 나타내는 값이 들어 있으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출력 라인 카드(12)의 TTL 식별부(121)가, GAL의 TTL, ACH Channel Type, ACH TLV의 Type 혹은 Value에 의해, 수신한 OAM 프레임을 종단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 후의 OAM 프레임 종단 처리 등은, 다른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제6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출력 라인 카드의 장해 상황을 감시할 수 있으므로, OAM 프레임을 출력 라인 카드에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미리 OAM 프레임의 송신원이, 어느 필드를 참조할지를 결정해 둠으로써,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5 실시 형태 등에서 행하고 있었던 입력 라인 카드에서의 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제6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입력 라인 카드에서의 처리 부가를 삭감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상술한 제5 실시 형태 및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 GAL의 TTL, TC값, 혹은 ACH의 각 필드를 이용하는 것은 아니고, OAM 프레임에 새롭게 특수한 라벨을 설치하는 방법도 생각된다. 특수 라벨은, 예를 들면, GAL의 GAL 필드 내에 설치하는 것이 생각된다. 출력 라인 카드(12)는, 이 특수 라벨을 포함하는 OAM 프레임 또는 내부 전용 메시지를 수신하면, 특수 라벨을 포함하는 OAM 프레임 또는 내부 전용 메시지를 추출하여, 종단 처리를 행한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라벨 전송 장치 내의 입력부(입력 라인 카드)는 TTL=1의 OAM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 OAM 프레임의 TTL을 특정한 값(예를 들면 0)으로 하여, 출력부(출력 라인 카드)로 송신하고 있다. 다음으로, 출력부는 TTL에 특정한 값을 갖는 OAM 프레임을 종단하고 있다.
비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에서는, TTL은 중계 장치에 도달할 때마다 감산되고, TTL이 1의 OAM 프레임을 수신한 중계 장치가, OAM 프레임을 종단하고 있었다. 이 경우, TTL은, OAM 프레임의 종단처로 되는 노드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되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비특허 문헌 1에 있어서, OAM 프레임의 종단처로 되는 노드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하고 있었던 TTL이라 하는 필드에 저장되어 있는 값을, 출력부가 OAM 프레임을 종단하기 위한 플래그로서 사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비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에서는, OAM 프레임은, 종단처인 중계 장치에 도달하면, 중계 장치 내의 입력부에서 종단되어 있다. 이 때문에, OAM 프레임이 출력부에서 처리되는 일은 없어, 출력 라인 카드의 장해 상황을 감시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이것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TTL의 종래의 이용되는 방법과는 전혀 상이한 방법으로 TTL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과제가 해결된다. 구체적으로는, TTL을 특정한 값(예를 들면, TTL=0)으로 하여, 입력부가 출력부로 OAM 프레임을 송신함으로써, 출력부는 TTL에 특정한 값을 갖는 OAM 프레임을 종단할 수 있다. 이 결과, 출력부가 OAM 프레임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에 의해 출력 라인 카드의 장해 상황을 감시할 수 있다.
이상,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 발명의 구성이나 상세에는, 본원 발명의 스코프 내에서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변경을 할 수 있다.
이 출원은, 2009년 11월 5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특원 2009-253569 및 2010년 6월 18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특원 2010-139696을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의 전체를 여기에 원용한다.
1a, 1b, 1c : 장치
11, 11a, 11b, 11c, 14, 16 : 입력 라인 카드
12, 12a, 12b, 12c, 15 : 출력 라인 카드
13 : 스위치 패브릭
111 : 포트
112 : 라벨 식별부
113, 116 : TTL 처리부
114 : OAM 처리부
115 : 전송부
121 : TTL 처리부
122 : OAM 처리부
123 : 포트
141 : 내부 전용 메시지 처리부
151 : 내부 전용 메시지 처리부
1141 : Ping 처리부
1161 : Ping 식별부

Claims (22)

  1. MPLS(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망을 구성하는 노드로서,
    TTL(Time To Live)을 갖는 OAM(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프레임을 노드의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입력부와,
    OAM 프레임을 노드의 외부로 송신하는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부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OAM 프레임이 나타내는 종단처가 자기 노드이며, 또한, 상기 수신한 OAM 프레임을 상기 출력부로 송신하는 경우, 상기 TTL을 특정한 값으로 하여 상기 수신한 OAM 프레임의 상기 출력부로의 송신을 행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송신된 OAM 프레임을 종단하는 노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송신된 OAM 프레임을 종단할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송신된 OAM 프레임의 TTL의 값을 판단하는 처리부를 구비하는 노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OAM 프레임은, 노드 내의 종단처를 나타내는 필드를 더 갖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송신된 OAM 프레임을 종단하고, 종단한 OAM 프레임이 갖는 상기 노드 내의 종단처를 나타내는 필드가 상기 출력부를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한 OAM 프레임의 송신원에 상기 출력부가 상기 송신된 OAM 프레임을 수신한 것을 통지하는 노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수신한 OAM 프레임이 갖는 상기 노드 내의 종단처를 나타내는 필드가 나타내는 종단처가 상기 입력부와 상이한 경우에 상기 출력부로의 송신을 행하는 노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수신한 OAM 프레임이 갖는 상기 노드 내의 종단처를 나타내는 필드가 상기 입력부를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수신한 OAM 프레임의 송신원에 상기 입력부가 상기 OAM 프레임을 수신한 것을 통지하는 노드.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경우는, 상기 출력부를 나타내는 경우인 노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출력부로의 송신 후에 상기 수신한 OAM 프레임이 갖는 상기 노드 내의 종단처를 나타내는 필드를 판단하는 노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값이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OAM 프레임이 나타내는 종단처는, 상기 TTL이 나타내는 종단처인 노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TTL이 나타내는 종단처는, 상기 TTL이 1의 OAM 프레임을 수신한 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OAM 프레임이 나타내는 종단처는, 상기 OAM 프레임이 갖는 상기 OAM 프레임의 통로를 나타내는 필드가 나타내는 종단처인 노드.
  12. 제3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송신된 OAM 프레임에 저장된 상기 노드 내의 종단처를 나타내는 필드가 상기 출력부와 상이한 종단처를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노드 내의 종단처를 나타내는 필드가 나타내는 종단처가 상기 출력부와 상이한 것을, 상기 수신한 OAM 프레임의 송신원에 통지하는 노드.
  13. 제3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내의 종단처를 나타내는 필드는, OAM 프레임의 GAL(Generic Associated channel Label)의 TC(Traffic Class), OAM 프레임의 ACH(Associated Channel Header)의 Channel Type, OAM 프레임의 ACH의 Reserved, ACH의 TLV(Target/Length/Value) 중 어느 하나인 노드.
  14. 제3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OAM 프레임이 Ping 메시지인 경우, 상기 Ping 메시지의 상기 노드 내의 종단처를 나타내는 필드가 나타내는 종단처가 자신인 경우에 상기 입력부가 수신한 것을 나타내는 Ping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신원에 송신하고, 상이한 경우에 상기 Ping 메시지를 폐기하고,
    상기 출력부는, 종단한 OAM 프레임이 상기 Ping 메시지인 경우, 상기 Ping 메시지의 상기 노드 내의 종단처를 나타내는 필드가 나타내는 종단처가 자신인 경우에 상기 입력부가 수신한 것을 나타내는 Ping 메시지를,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한 OAM 프레임의 송신원에 송신하고, 상이한 경우에 상기 Ping 메시지를 폐기하는 노드.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MPLS는, MPLS-TP(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 Transport Profile)인 노드.
  16. TTL(Time To Live)을 갖는 OAM(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노드로서,
    장치의 외부로부터 OAM 프레임을 수신하는 입력부와,
    OAM 프레임을 장치의 외부로 송신하는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부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OAM 프레임의 TTL을, 종단처가 상기 출력부인 것을 나타내는 특정한 값으로 하여 상기 출력부로 송신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수신한 OAM 프레임의 TTL의 값을 검지하고, 상기 특정한 값의 TTL을 포함하는 OAM 프레임을 종단하는 노드.
  17. MPLS(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망을 구성하는 노드에 이용하는 감시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노드에,
    TTL(Time To Live)을 갖는 OAM(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프레임을 노드의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입력부와,
    OAM 프레임을 노드의 외부로 송신하는 출력부를 설치하고,
    상기 입력부가, 외부로부터 수신한 OAM 프레임이 나타내는 종단처가 상기 노드이며, 또한, 상기 수신한 OAM 프레임을 상기 출력부로 송신하는 경우, 상기 TTL을 특정한 값으로 하여 상기 수신한 OAM 프레임의 상기 출력부로의 송신을 행하고,
    상기 출력부가, 상기 입력부로부터 송신된 OAM 프레임을 종단하는 감시 관리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가, 상기 송신된 OAM 프레임을 종단할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송신된 OAM 프레임의 TTL을 판단하는 감시 관리 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OAM 프레임은, 노드 내의 종단처를 나타내는 필드를 더 갖고, 상기 출력부가, 상기 송신된 OAM 프레임을 종단하고, 종단한 OAM 프레임이 갖는 상기 노드 내의 종단처를 나타내는 필드가 상기 출력부를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한 OAM 프레임의 송신원에 상기 출력부가 상기 송신된 OAM 프레임을 수신한 것을 통지하는 감시 관리 방법.
  20. MPLS(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망을 구성하는 노드를 포함하는 전송 시스템으로서,
    상기 노드는,
    TTL(Time To Live)을 갖는 OAM(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프레임을 노드의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입력부와,
    OAM 프레임을 노드의 외부로 송신하는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부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OAM 프레임이 나타내는 종단처가 자기 노드이며, 또한, 상기 수신한 OAM 프레임을 상기 출력부로 송신하는 경우, 상기 TTL을 특정한 값으로 하여 상기 수신한 OAM 프레임의 상기 출력부로의 송신을 행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송신된 OAM 프레임을 종단하는 전송 시스템.
  21. MPLS(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망에 이용되는 노드 내에 설치한 입력 회로로서,
    TTL(Time To Live)을 갖는 OAM(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프레임을 노드의 외부로부터 수신하고,
    외부로부터 수신한 OAM 프레임이 나타내는 종단처가 상기 노드이며, 또한, 상기 수신한 OAM 프레임을, 상기 노드 내에 설치된 OAM 프레임을 상기 노드의 외부로 송신하는 출력부로 송신하는 경우, 상기 TTL을 특정한 값으로 하여 OAM 프레임을 상기 출력부로 송신하는 입력 회로.
  22. MPLS(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망에 이용되는 노드 내에 설치한 출력 회로로서,
    TTL(Time To Live)을 갖는 OAM(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프레임을 노드의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입력부가,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한 OAM 프레임이 나타내는 종단처가 상기 노드이며, 또한, 상기 수신한 OAM 프레임을, 상기 TTL을 특정한 값으로 하여 송신하는 경우, 상기 입력부로부터 송신된 OAM 프레임을 종단하는 출력 회로.
KR1020127011506A 2009-11-05 2010-11-02 노드 및 그것에 이용하는 감시 관리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하는 전송 시스템, 입력 회로, 출력 회로 KR1013643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53569 2009-11-05
JP2009253569 2009-11-05
JP2010139696 2010-06-18
JPJP-P-2010-139696 2010-06-18
PCT/JP2010/069878 WO2011055837A1 (ja) 2009-11-05 2010-11-02 ノード及びそれに用いる監視管理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る転送システム、入力回路、出力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060A true KR20120066060A (ko) 2012-06-21
KR101364369B1 KR101364369B1 (ko) 2014-02-18

Family

ID=43970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1506A KR101364369B1 (ko) 2009-11-05 2010-11-02 노드 및 그것에 이용하는 감시 관리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하는 전송 시스템, 입력 회로, 출력 회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97308B2 (ko)
EP (1) EP2498453B1 (ko)
JP (1) JP5682568B2 (ko)
KR (1) KR101364369B1 (ko)
CN (1) CN102598601B (ko)
WO (1) WO20110558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11540B2 (ja) * 2011-09-20 2016-10-19 日本電気株式会社 診断システム
CN103152266B (zh) * 2011-12-07 2016-08-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设备间的同步方法、网络设备及系统
US9094337B2 (en) * 2012-12-21 2015-07-28 Cieno Corporation Source identification preservation in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networks
JP2015070329A (ja) * 2013-09-26 2015-04-13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CN106712983B (zh) * 2015-07-27 2020-01-3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运行、管理和维护oam报文处理方法及装置
US10103981B2 (en) * 2015-11-01 2018-10-16 Cisco Technology, Inc. BIER forwarding validation
US11330003B1 (en) * 2017-11-14 2022-05-10 Amazon Technologies, Inc. Enterprise messaging platform
CN114827019B (zh) * 2018-07-13 2023-08-22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在网业务的mpls扩展头
JP7452872B2 (ja) 2021-09-28 2024-03-19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通信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6479B2 (ja) * 1994-03-07 2004-03-15 富士通株式会社 装置内パス監視方式
CN1330139C (zh) * 2003-07-31 2007-08-01 华为技术有限公司 多协议标签交换(mpls)支持多端口虚拟局域网(vlan)的方法
US7693075B2 (en) * 2003-12-24 2010-04-06 Intel Corporation Updating address tables
CN100403687C (zh) * 2005-03-29 2008-07-16 华为技术有限公司 在多协议标签交换网络中实现分域管理和保护的方法
WO2007119635A1 (ja) * 2006-03-27 2007-10-25 Nec Corporation フレーム転送経路確認方法、ノード、そのプログラム及びフレーム転送経路確認システム
CN101179479A (zh) * 2006-11-09 2008-05-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以太网的操作管理和维护报文的传输方法、系统和节点
US7839796B2 (en) * 2007-03-14 2010-11-23 Cisco Technology, Inc. Monitor for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networks
US8085674B2 (en) * 2007-04-11 2011-12-27 Alcatel Lucent Priority trace in data networks
CN100531075C (zh) * 2007-09-17 2009-08-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使用exp字段标识监视子层的方法
JP5151807B2 (ja) * 2008-08-26 2013-02-27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保守管理メッセージ終端方法
US8391163B2 (en) * 2009-03-23 2013-03-05 Cisco Technology, Inc. Operating MPLS label switched paths and MPLS pseudowire in loopback mode
JP5049317B2 (ja) * 2009-06-23 2012-10-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伝送装置、伝送システム、障害検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1055837A1 (ja) 2013-03-28
US20120219003A1 (en) 2012-08-30
WO2011055837A1 (ja) 2011-05-12
CN102598601B (zh) 2016-08-10
US8897308B2 (en) 2014-11-25
KR101364369B1 (ko) 2014-02-18
EP2498453A4 (en) 2017-01-04
CN102598601A (zh) 2012-07-18
EP2498453B1 (en) 2018-10-10
JP5682568B2 (ja) 2015-03-11
EP2498453A1 (en)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4369B1 (ko) 노드 및 그것에 이용하는 감시 관리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하는 전송 시스템, 입력 회로, 출력 회로
US7710860B2 (en) Data relay apparatus and data relay method
EP3817298A1 (en) Data message detec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EP2763359B1 (en) Communication system, sending device, communication device, failure notification method and non-temporary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EP2074752B1 (en) Resiliency schemes in connection oriented communications networks
CN108964943B (zh) 一种实现ioam封装的方法及装置
US9059905B2 (en) Methods and arrangements in an MPLS-TP network
EP2553870B1 (en) An operations, administrations and management proxy and a method for handling operations, administrations and management messages
US20140293798A1 (en) Mpls-tp network and link trace method thereof
CN105515816A (zh) 检测层次信息的处理方法及装置
JP4611863B2 (ja) ループ検出方法およびループ検出装置
US8737238B2 (en) Congestion detecting method and communication node
CN111327527B (zh) 流量转发方法、系统、sdn控制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8767736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communication program
CN105703967A (zh) 一种检测标签交换路径连通性的方法及装置
US7929451B2 (en) Switch and packet forwarding method
EP2627037A1 (en) Network configuration method, ring network system, and node
CN114205221A (zh) 一种故障查询方法及装置
CN106375143B (zh) 一种链路检测报文发送方法及装置
EP2944066B1 (en) Method and device for handling inconsistency of psc states between two ends
CN116032770A (zh) 一种基于lldp的拓扑链路发现方法
CN118175069A (zh) 一种多协议标签交换mpls转发平面检测方法及装置
KR20130085488A (ko) 패킷 전달망의 oam 프레임 처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5